KR20240023140A - 가스 쿨러 - Google Patents

가스 쿨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23140A
KR20240023140A KR1020247001868A KR20247001868A KR20240023140A KR 20240023140 A KR20240023140 A KR 20240023140A KR 1020247001868 A KR1020247001868 A KR 1020247001868A KR 20247001868 A KR20247001868 A KR 20247001868A KR 20240023140 A KR20240023140 A KR 20240023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casing
gas
outlet
drain recov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1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야 다나카
Original Assignee
코벨코 컴프레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벨코 컴프레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벨코 컴프레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23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31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7/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 F28D7/16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tubular conduit assemblies for both heat-exchange media,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a conduit wall the conduits being arranged in parallel spaced re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7/00Removing ice or water from heat-exchange apparatus
    • F28F17/005Means for draining condensates from heat exchangers, e.g. from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07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 F28F9/013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for tubes or tube-assembl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Abstract

가스 쿨러(1)는, 케이싱(4)의 하류측 공간(25A, 25B)을 확정하는 저벽에 국소적인 마련된 오목부이고, 냉각부(12A, 12B)에서 가스를 냉각함으로써 가스로부터 분리된 드레인이 고이는 드레인 회수부(31A, 31B)를 구비한다. 가스 쿨러(1)는, 케이싱(4)의 벽부(6A)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개구이며, 드레인 회수부(31A, 31B)에 고인 드레인을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드레인 배출구(32A, 32B)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가스 쿨러
본 발명은, 가스 쿨러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압축기용의 가스 쿨러에서는, 가스 도입구로부터 내부에 도입된 가스는, 열교환기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통과함으로써 냉각되어, 가스 도출구로부터 도출된다. 냉각에 의해 응축된 가스 중의 액체(가스가 공기인 경우에는 수분), 즉 드레인은, 가스 쿨러의 저벽에 마련된 드레인 회수부에 회수된다. 드레인 회수부에 회수된 드레인은, 가스 쿨러의 케이싱에 마련된 개구(드레인 배출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5-200474호
특허문헌 1의 가스 쿨러에서는, 드레인 배출 시에, 가스 도출구를 향하여 흐르는 가스가, 드레인과 함께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누출되기 쉽다. 특히, 드레인 회수부에 고인 드레인의 액위가 낮으면, 가스가 드레인을 밀어 내는 듯한 양태로,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누출한다. 드레인 도출구로부터의 가스의 누출이 있으면, 그만큼,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 가능한 드레인 양이 감소한다. 즉, 드레인 도출구로부터의 가스의 누출은, 드레인 배출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가스 쿨러의 드레인 배출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가스 도입구와 가스 도출구가 마련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 도입구가 개구되는 상류측 공간과 상기 가스 도출구가 개구되는 하류측 공간으로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부를 구분함과 함께,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부에 도입된 가스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류측 공간을 획정하는 저벽에 국소적으로 마련된 오목부이고, 상기 냉각부에서 상기 가스를 냉각함으로써 상기 가스로부터 분리된 드레인이 고이는 드레인 회수부와, 상기 케이싱의 벽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개구이며, 상기 드레인 회수부에 고인 상기 드레인을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드레인 배출구를 구비하는, 가스 쿨러를 제공한다.
드레인 회수부는 케이싱의 저벽에 국소적으로 마련된 오목부이므로, 드레인의 액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도, 드레인 회수부 내의 드레인 액위가 높고, 드레인 배출구가 드레인의 액면보다도 하방에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드레인을 밀어 내는 듯한 양태로, 가스가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 내지 억제할 수 있다. 드레인 도출구로부터의 가스의 누출을 방지 내지 억제함으로써, 가스의 누출에 기인하는 드레인 배출구로부터 배출 가능한 드레인 양의 감소를 회피할 수 있어, 드레인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드레인 회수부의 주위벽은,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류측 공간을 획정하는 주위벽과는 다른 벽이 되도록 주조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드레인 회수부가 국소적인 오목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드레인 배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품 개수의 증가나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상기 드레인 회수부의 상기 드레인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폭은, 상기 하류측 공간의 상기 드레인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폭의 0.2배 이상 0.5배 이하여도 된다.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저벽은, 상기 드레인 회수부를 향하여 하향의 제1 경사를 갖고, 상기 드레인 회수부의 저벽은, 상기 드레인 배출구를 향하여 하향의 제2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경사는 상기 제1 경사보다도 커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경사로 드레인 회수부에 드레인이 수집되기 쉽게 함과 함께, 제2 경사에 의해, 케이싱의 높이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드레인 배출구를 드레인으로 막기 쉽게 함으로써, 드레인의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드레인 배출구의 상단의 높이 위치는, 상기 드레인 회수부의 상단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아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드레인 회수부 내의 드레인의 액면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드레인 배출구로부터의 가스의 누출을 방지 내지 억제할 수 있어, 드레인 배출성이 향상된다.
상기 케이싱에, 상기 가스 도출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승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회수부는, 상기 상승 유로의 하단과 대향하도록 마련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상승 유로를 통하여 상승하는 가스류와 드레인의 액면의 거리를 이격하여, 가스류와 부수되어서 드레인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 내지 억제할 수 있다.
외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상기 드레인 회수부가 국소적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해, 드레인 회수부를 마련한 것에 의한 케이싱의 대형화와 그것에 수반하는 중량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 개수의 증가나 구조의 복잡화 없이, 가스 쿨러의 드레인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쿨러의 사시도.
도 2는, 케이싱의 상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케이싱의 하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케이싱의 평면도.
도 5는, 케이싱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선 VI-VI을 따른 케이싱의 단면도.
도 7은, 도 4의 선 VII-VII를 따른 케이싱의 단면도.
도 8은, 도 5의 선 VIII-VIII을 따른 케이싱의 단면도.
도 9는, 도 5의 선 IX-IX를 따른 케이싱의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부분 X의 확대도.
도 11은, 도 7의 부분 XI의 확대도.
도 12는, 도 5의 선 XII-XII를 따른 케이싱의 단면도.
도 13은, 도 5의 선 XIII-XIII을 따른 케이싱의 단면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가스 쿨러(1)는, 인터 쿨러(2A)와 애프터 쿨러(2B)를 갖고, 이들 인터 쿨러(2A)와 애프터 쿨러(2B)를 일체화한 케이싱(4)을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스 쿨러(1)는, 오일 프리의 2단 스크루 압축기에 내장되어 있다. 인터 쿨러(2A)가 저단측 스크루 압축기와 고단측 스크루 압축기 사이의 가스 유로에 마련되고, 애프터 쿨러(2B)가 고단측 스크루 압축기보다 하류의 가스 유로에 마련된다.
도 6 내지 도 9를 아울러 참조하면, 케이싱(4)은, 저벽(5), 저벽(5)으로부터 상승되는 한 쌍의 단부벽(6A, 6B), 저벽(5)으로부터 상승되는 한 쌍의 측벽(7A, 7B), 단부벽(6A, 6B)과 측벽(7A, 7B)의 상단의 정상벽(8) 및 격벽(9)을 구비한다. 격벽(9)은, 케이싱(4)의 내부, 즉 저벽(5), 단부벽(6A, 6B), 측벽(7A, 7B) 및 정상벽(8)으로 둘러싸인 공간을, 인터 쿨러(2A)를 위한 제1 공간(11A)과 애프터 쿨러(2B)를 위한 제2 공간(11B)으로 칸막이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4)은 주조에 의해 제조되고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1 공간(11A) 내에 인터 쿨러(2A)의 열교환기(냉각부)(12A)가 수용되고, 제2 공간(11B) 내에 애프터 쿨러(3)의 열교환기(냉각부)(12B)가 수용되어 있다. 열교환기(12A, 12B)는 각각, 스페이서(13)로 연결된 한 쌍의 시일 플레이트(14, 14)와, 시일 플레이트(14, 14) 사이에 배치된 관다발(15)을 구비한다. 또한, 열교환기(12A, 12B)는 각각,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핀(16)을 구비하고, 관다발(15)은, 이들의 핀(16)과 일체화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케이싱(4)의 한쪽의 단부벽(6A)에는, 인터 쿨러(2A)의 열교환기(12A)를 위한 개구(17A)와, 애프터 쿨러(2B)의 열교환기(12B)를 위한 개구(17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4)의 다른 쪽의 단부벽(6B)에도, 인터 쿨러(2A)의 열교환기(12A)를 위한 개구(17C)와, 애프터 쿨러(2B)의 열교환기(12B)를 위한 개구(17D)가 마련되어 있다. 인터 쿨러(2A)의 열교환기(12A)는, 개구(17A, 17C)에 삽입함으로써, 제1 공간(11A) 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애프터 쿨러(2B)의 열교환기(12B)는, 개구(17B, 17D)에 삽입함으로써, 제2 공간(11B) 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도 1을 아울러 참조하면, 개구(17A, 17B)는, 설치부(18A, 18B)에 의해 기밀 상태로 밀봉되고, 설치부(18A, 18B)에는 커버(19A, 19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구(17C, 17D)는, 설치부(18C, 18D)에 의해 기밀 상태로 밀봉되고, 설치부(18C, 18D)에는 커버(19C, 19D)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커버(19A)에 마련된 유입 포트(21A)로부터 인터 쿨러(2A)의 열교환기(12A)의 관다발(15)에 냉각수가 공급되고, 관다발(15)을 통과한 냉각수는, 커버(19A)에 마련된 유출 포트(22A)로부터 유출된다. 또한, 커버(19B)에 마련된 유입 포트(21B)로부터 애프터 쿨러(2B)의 열교환기(12B)의 관다발(15)에 냉각수가 공급되고, 냉각관(17)을 통과한 냉각수는, 커버(19B)에 마련된 유출 포트(22B)로부터 유출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공간(11A)에서는, 단부벽(6A, 6B) 사이에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 리브(23A, 23A)가 측벽(7A)과 격벽(9)에 마련되어 있다. 이들의 지지 리브(23A, 23A) 상에 인터 쿨러(2A)의 열교환기(12A)의 시일 플레이트(14, 14)가 지지되어,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공간(11A)은, 단부벽(6A, 6B) 사이에 걸쳐, 열교환기(12A)보다도 상방의 상류측 공간(24A)과, 열교환기(12A)보다도 하방의 하류측 공간(25A)으로 구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공간(11B)에서는, 측벽(7B)과 격벽(9)에 마련되어 지지 리브(23B, 23B) 상에, 애프터 쿨러(2B)의 열교환기(12B)의 시일 플레이트(14, 14)가 지지되어, 시일부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제1 공간(11A)은, 단부벽(6A, 6B) 사이에 걸쳐, 열교환기(12B)보다도 상방의 상류측 공간(24B)과, 열교환기(12B)보다도 하방의 하류측 공간(25B)으로 구획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케이싱(4)의 정상벽(8)에는, 인터 쿨러(2A)의 가스 도입구(26A)가, 상류측 공간(24A)에 개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가스 도입구(26A)는, 저단측 스크루 압축기의 토출구와 유체적으로 접속된 입구 포트(28A)(도 1 및 도 2 참조)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케이싱(4)의 격벽(9)에는, 인터 쿨러(2A)의 가스 도출구(27A)가, 하류측 공간(25A)에 개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4)의 격벽(9)에는 가스 도출구(27A)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승 유로(29)가 형성되어 있고, 가스 도출구(27A)는, 이 상승 유로(29)를 통해, 정상벽(7)에 마련된 출구 포트(30)(도 1 및 도 2 참조)와 연통하고 있다. 출구 포트(30)는, 고단측 스크루 압축기의 흡입구와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케이싱(4)의 정상벽(8)에는, 애프터 쿨러(2B)의 가스 도입구(26B)가, 상류측 공간(24B)에 개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가스 도입구(26B)는, 고단측 스크루 압축기의 토출구에 유체적으로 접속된 입구 포트(28B)(도 1 내지 도 3 참조)와 연통하고 있다. 또한, 측벽(7B)에는, 애프터 쿨러(2B)의 가스 도출구(27B)가, 하류측 공간(25B)에 개구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가스 도출구(27B)는 2단 스크루 압축기보다도 하류측에 유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저단측 스크루 압축기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가스(예를 들어 압축 공기)는, 인터 쿨러(2A)에 도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저단측 스크루 압축기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가스는, 입구 포트(28A)를 거쳐서 가스 도입구(26A)로부터 인터 쿨러(2A)의 상류측 공간(24A)에 도입되어, 열교환기(12A)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통과하여 하류측 공간(25A)에 유입된다. 하류측 공간(25A)에 유입된 가스는, 가스 도출구(27A)로부터 상승 유로(29)로 흘러, 출구 포트(30)로부터 도출된다. 인터 쿨러(2A)로부터 도출된 가스는, 고단측 스크루 압축기의 흡입구에 흡입된다.
고단측 스크루 압축기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가스는, 애프터 쿨러(2B)에 도입된다. 구체적으로는, 고단측 스크루 압축기의 토출구로부터 토출된 가스는, 입구 포트(28B)를 거쳐서 가스 도입구(26B)로부터 애프터 쿨러(2B)의 상류측 공간(24B)에 도입되어, 열교환기(12B)를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통과하여 하류측 공간(25B)에 유입된다. 하류측 공간(25B)에 유입된 가스는, 가스 도출구(27B)로부터 도출되어, 하류측에 보내진다.
인터 쿨러(2A)의 열교환기(12A)와 애프터 쿨러(2B)의 열교환기(12B)에서는, 가스가 관다발(15) 및 핀(16)과 접촉함으로써, 관다발(15) 내의 냉각수와 열교환하여 냉각된다. 냉각된 가스 중의 액분(液分)이 응축하여, 액적이 되어 낙하하여, 드레인이 된다.
도 12 및 도 13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벽(5)의 인터 쿨러(2A)의 하류측 공간(25A)을 획정하는 부분에, 국소적인 오목부인 드레인 회수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저벽(5)의 애프터 쿨러(2B)의 하류측 공간(25B)을 획정하는 부분에, 국소적인 오목부인 드레인 회수부(31B)가 마련되어 있다.
도 3에 가장 명료하게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스 쿨러(1)의 외관에 있어서, 케이싱(4)의 저벽(5)으로부터 드레인 회수부(31A, 31B)가 국소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도 7 및 도 10을 아울러 참조하면, 인터 쿨러(2A)에는, 케이싱(4)의 단부벽(6A)을 관통하여 드레인 회수부(31A)와 연통하는 개구인, 드레인 배출구(32A)가 마련되어 있다. 저벽(5)의 인터 쿨러(2A)의 하류측 공간(25A)을 획정하는 부분의 상면은, 드레인 회수부(31A)를 향하여 하향의 경사 θ1(제1 경사)을 갖는다. 그 때문에, 열교환기(12A)로 가스를 냉각함으로써 가스로부터 분리된 드레인은, 저벽(5)의 상면을 드레인 회수부(31A)를 향하여 흘러, 드레인 회수부(31A)에 포획되어서 고인다. 드레인 회수부(31A)에 고인 드레인은, 드레인 배출구(32A)의 하류의 케이싱(4)의 외부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전자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드레인 배출구(32A)로부터 케이싱(4)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8 및 도 11을 아울러 참조하면, 애프터 쿨러(2B)에도, 케이싱(4)의 단부벽(6A)을 관통하여 드레인 회수부(31B)와 연통하는 개구인, 드레인 배출구(32B)가 마련되어 있다. 저벽(5)의 애프터 쿨러(2B)의 하류측 공간(25B)을 획정하는 부분의 상면은, 드레인 회수부(31B)를 향하여 하향의 경사 θ3(제1 경사)을 갖는다. 그 때문에, 열교환기(12B)로 가스를 냉각함으로써 가스로부터 분리된 드레인은, 저벽(5)의 상면을 드레인 회수부(31B)를 향하여 흘러, 드레인 회수부(31B)에 포획되어서 고인다. 드레인 회수부(31B)에 고인 드레인은, 드레인 배출구(32B)의 하류의 케이싱(4)의 외부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전자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드레인 배출구(32A)로부터 케이싱(4)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6, 도 10,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인터 쿨러(2A)의 드레인 회수부(31A)는, 주위벽, 즉 저벽(34)과 4개의 측벽(35a, 35b, 35c, 35d)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단부벽(6A)측에 위치하는 측벽(35a)에 드레인 배출구(32A)가 개구되어 있다. 드레인 회수부(31A)의 저벽(34)의 상면은 드레인 배출구(32A)를 향하여 하향의 경사 θ2(제2 경사)를 갖는다. 경사 θ2는 전술한 저벽(5)의 인터 쿨러(2A)의 하류측 공간(25A)을 획정하는 부분의 하향의 경사 θ1(제1 경사)보다도 크다.
도 7, 도 11,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애프터 쿨러(2B)의 드레인 회수부(31B)는, 주위벽, 즉 저벽(36)과 4개의 측벽(37a, 37b, 37c, 37d)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단부벽(6A)측에 위치하는 측벽(37a)에 드레인 배출구(32B)가 개구되어 있다. 드레인 회수부(31B)의 저벽(36)의 상면은 드레인 배출구(32A)를 향하여 하향의 경사 θ4(제2 경사)를 갖는다. 이 경사 θ4는 전술한 저벽(5)의 애프터 쿨러(2B)의 하류측 공간(25B)을 획정하는 부분의 상면의 하향의 경사 θ3보다도 크다.
도 9를 참조하면, 인터 쿨러(2A)에서는, 드레인 회수부(31A)의 드레인 배출구(32A)를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폭 W1은, 하류측 공간(24A)과 동일하게 드레인 배출구(32A)를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폭 W2의 0.2배 이상 0.5배 이하이다. 또한, 애프터 쿨러(2B)에 대해서도, 드레인 회수부(31B)의 폭 W3은, 하류측 공간(24B)의 폭 W4의 0.2배 이상 0.5배 이하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터 쿨러(2A)에서는, 드레인 배출구(32A)의 상단의 높이 위치 H1은, 드레인 회수부(31A)의 상단의 높이 위치 H2보다도 낮다. 도 11을 참조하면, 아우터 쿨러(2B)에 대해서도, 드레인 배출구(32B)의 상단의 높이 위치 H3은, 드레인 회수부(31B)의 상단의 높이 위치 H4보다도 낮다.
도 6을 참조하면, 인터 쿨러(2A)에서는, 드레인 회수부(31A)는, 상승 유로(29)의 하단과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드레인 회수부(31A, 31B)는 케이싱(4)의 저벽(5)에 국소적으로 마련된 오목부이므로, 드레인의 액량이 비교적 적은 경우에도, 드레인 회수부(31A, 31B) 내의 드레인의 액위가 높고, 드레인 배출구(32A, 32B)가 드레인의 액면보다도 하방에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드레인 배출 시에 드레인을 밀어 내는 듯한 양태로, 가스가 드레인 배출구(32A, 32B)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 내지 억제할 수 있다. 드레인 배출구(32A, 32B)로부터의 가스의 누출을 방지 내지 억제함으로써, 가스의 누출에 기인하는 드레인 배출구(32A, 32B)로부터 배출 가능한 드레인 양의 감소를 회피할 수 있어, 드레인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드레인 회수부(31A)는 케이싱(4)의 저벽(5)에 국소적으로 마련된 오목부이고, 드레인 회수부(31A)의 주위벽, 즉 저벽(34)과 4개의 측벽(35a 내지 35d)은, 하류측 공간(25A)을 획정하는 주위벽, 즉 케이싱(4)의 저벽(5), 단부벽(6A, 6B), 측벽(7A), 정상벽(8) 및 격벽(9)과 다른 벽으로서 주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드레인 회수부(31B)는 케이싱(4)의 저벽(5)에 국소적으로 마련된 오목부이고, 드레인 회수부(31B)의 주위벽, 즉 저벽(36)과 4개의 측벽(37a 내지 37d)은, 하류측 공간(25B)을 획정하는 주위벽, 즉 케이싱(4)의 저벽(5), 단부벽(6A, 6B), 측벽(7B), 정상벽(8) 및 격벽(9)과 다른 벽으로서 주조되어 있다. 그 때문에, 드레인 회수부(31A, 31B)의 국소적인 오목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상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 배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드레인 배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부품 개수의 증가나 구조의 복잡화를 초래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 회수부(31A, 31B)의 저벽(34, 36)은 드레인 배출구(32A, 32B)를 향하여 하향의 경사 θ2, θ4를 갖는다. 이러한 하향의 경사 θ2, θ4에 의해, 드레인 회수부(31A, 31B) 내의 드레인의 드레인 배출구(32A, 32B)를 향하는 흐름이 촉진된다. 그 때문에, 저벽(34, 36)의 경사에 의해서도, 드레인 배출구(32A, 32B)로부터의 드레인 배출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 회수부(31A, 31B)의 저벽(34, 36)의 하향의 경사 θ2, θ4는, 케이싱(4)의 저벽(5)의 하향의 경사 θ1, θ3보다도 크다. 이러한 경사의 설정은, 드레인 회수부(31A, 31B) 내에서의 드레인 배출구(32A, 32B)를 향하는 드레인의 유속을, 케이싱(4)의 저벽(5) 상의 드레인의 유속보다도 크게 한다. 그 결과, 드레인 회수부(31A, 31B)의 케이싱(4)의 저벽(5)의 하향의 경사 θ1, θ3으로 드레인 회수부(31A, 31B)에 드레인이 수집되기 쉽게 함과 함께, 드레인 회수부(31A, 31B)의 저벽(34, 36)의 하향의 경사 θ2, θ4에 의해, 케이싱(4)의 높이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면서 드레인 배출구(32A, 32B)를 드레인으로 막기 쉬워지고, 이 점에서도 드레인 배출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레인 배출구(32A, 32B)의 상단의 높이 위치 H1, H3은, 드레인 회수부(31A, 31B)의 높이 위치 H2, H4보다도 낮다. 그 때문에, 드레인 회수부(31A, 31B) 내의 드레인의 액면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드레인 배출구(32A, 32B)는 드레인에 전체가 잠긴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드레인 회수부(31A, 31B) 내의 드레인의 액면이 비교적 낮은 경우에도 드레인 배출구(32A, 32B)로부터의 가스의 누출을 방지 내지 억제할 수 있어, 드레인 배출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 쿨러(2A)에서는, 가스 도출구(27A)로부터 출구 포트(30)로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승 유로(29)의 하단과 대향하도록, 국소적인 오목부인 드레인 회수부(31A)가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승 유로(29)를 통하여 상승하는 가스류와 드레인의 액면의 거리를 이격할 수 있어, 가스류와 수반하여 드레인이 인터 쿨러(2A)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 내지 억제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스 쿨러(1)의 외관에 있어서, 케이싱(4)의 저벽(5)으로부터 드레인 회수부(31A, 31B)가 국소적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드레인 회수부(31A, 31B)를 마련한 것에 의한 케이싱(4)의 대형화와 그것에 수반하는 중량 증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부호 42A, 42B로 각각 나타내는 바와 같이, 드레인 배출구는 케이싱(4)의 저벽을 관통하여 드레인 회수부(31A, 31B)와 연통하는 개구여도 된다.
1: 가스 쿨러
2A: 인터 쿨러
2B: 애프터 쿨러
4: 케이싱
5: 저벽
6A, 6B: 단부벽
7A, 7B: 측벽
8: 정상벽
9: 격벽
11A: 제1 공간
11B: 제2 공간
12A, 12B: 열교환기
13: 스페이서
14: 시일 플레이트
15: 관다발
16: 핀
17A, 17B, 17C, 17D: 개구
18A, 18B, 18C, 18D: 설치부
19A, 19B, 19C, 19D: 커버
21A, 21B: 유입 포트
22A, 22B: 유출 포트
23A, 23B: 지지 리브
24A, 24B: 상류측 공간
25A, 25B: 하류측 공간
26A, 26B: 가스 도입구
27A, 27B: 가스 도출구
28A, 28B: 입구 포트
29: 상승 유로
30: 출구 포트
31A, 31B: 드레인 회수부
32A, 32B: 드레인 배출구
34, 36: 저벽
35a, 35b, 35c, 35d, 37a, 37b, 37c, 37d: 측벽
42A, 42B: 드레인 배출구

Claims (7)

  1. 가스 도입구와 가스 도출구가 마련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가스 도입구가 개구되는 상류측 공간과 상기 가스 도출구가 개구되는 하류측 공간으로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부를 구분 함과 함께, 상기 케이싱의 상기 내부에 도입된 가스를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류측 공간을 획정하는 저벽에 국소적으로 마련된 오목부이며, 상기 냉각부에서 상기 가스를 냉각함으로써 상기 가스로부터 분리된 드레인이 고이는 드레인 회수부와,
    상기 케이싱의 벽부를 관통하도록 마련된 개구이며, 상기 드레인 회수부에 고인 상기 드레인을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유도하기 위한, 드레인 배출구
    를 구비하는, 가스 쿨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회수부의 주위벽은, 상기 케이싱의 상기 하류측 공간을 획정하는 주위벽과는 다른 벽이 되도록 주조되어 있는, 가스 쿨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회수부의 상기 드레인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폭은, 상기 하류측 공간의 상기 드레인 배출구를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인 폭의 0.2배 이상 0.5배 이하인, 가스 쿨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저벽은, 상기 드레인 회수부를 향하여 하향의 제1 경사를 갖고,
    상기 드레인 회수부의 저벽은, 상기 드레인 배출구를 향하여 하향의 제2 경사를 갖고,
    상기 제2 경사는 상기 제1 경사보다도 큰, 가스 쿨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배출구의 상단 높이 위치는, 상기 드레인 회수부의 상단의 높이 위치보다도 낮은, 가스 쿨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 상기 가스 도출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는 상승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드레인 회수부는, 상기 상승 유로의 하단과 대향하도록 마련되어 있는, 가스 쿨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관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으로부터 상기 드레인 회수부가 국소적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스 쿨러.
KR1020247001868A 2021-06-30 2022-06-08 가스 쿨러 KR2024002314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109505A JP2023006753A (ja) 2021-06-30 2021-06-30 ガスクーラ
JPJP-P-2021-109505 2021-06-30
PCT/JP2022/023063 WO2023276590A1 (ja) 2021-06-30 2022-06-08 ガスクー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3140A true KR20240023140A (ko) 2024-02-20

Family

ID=84690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868A KR20240023140A (ko) 2021-06-30 2022-06-08 가스 쿨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23006753A (ko)
KR (1) KR20240023140A (ko)
CN (1) CN117545978A (ko)
TW (1) TWI817562B (ko)
WO (1) WO202327659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0474A (ja) 2014-04-09 2015-11-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クー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84558A (en) * 1976-09-14 1977-07-14 Mikuni Jukogyo Gas cooler
JP3209760B2 (ja) * 1991-09-17 2001-09-1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排気熱回収用熱交換器
JP3253825B2 (ja) * 1995-05-23 2002-02-04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JP2000230726A (ja) * 1999-02-09 2000-08-22 Toyo Eng Works Ltd 空気調和機
DE102011076800A1 (de) * 2011-05-31 2012-12-06 Behr Gmbh & Co. Kg Wärmeübertrager
JP6204870B2 (ja) * 2014-04-09 2017-09-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クーラ
JP6472745B2 (ja) * 2015-12-25 2019-02-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クー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00474A (ja) 2014-04-09 2015-11-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ガスク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45978A (zh) 2024-02-09
WO2023276590A1 (ja) 2023-01-05
TW202311690A (zh) 2023-03-16
TWI817562B (zh) 2023-10-01
JP2023006753A (ja) 2023-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5209B (zh) 氣體冷卻器
KR20070116073A (ko) 내연기관용 오일 순환 장치
JP6761656B2 (ja) サージタンク一体式吸気マニホールド
JP2007120482A (ja) ブローバイガス環流装置
EP2012021B1 (en) Liquid tank
KR20240023140A (ko) 가스 쿨러
JP6204870B2 (ja) ガスクーラ
JP2006305525A (ja) 気液分離器
JP2000345838A (ja) 水冷式内燃機関の冷却装置
CN108138690B (zh) 气缸盖的水套构造
EP3396292B1 (en) Gas cooler
JP6350627B2 (ja) 気液分離器及び該気液分離器を備えたエンジン冷却液の気体抜き構造
WO2021241144A1 (ja) ガスクーラ
JP2008202410A (ja) 気液分離装置
JP6865319B2 (ja) サージタンク一体式吸気マニホールド
JP6593518B2 (ja) 内燃機関
CN215949826U (zh) 一种压缩机壳体和压缩机
JP2023510817A (ja) スクロール圧縮機、冷凍装置及び車両
JP2022175812A (ja) 工作機械の液体排出構造
CN114251185A (zh) 发动机气缸盖
JPH06341391A (ja) ドローンカップ形冷却器
KR19990020133U (ko) 수액기 컨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