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7877A -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7877A
KR20240017877A KR1020240012622A KR20240012622A KR20240017877A KR 20240017877 A KR20240017877 A KR 20240017877A KR 1020240012622 A KR1020240012622 A KR 1020240012622A KR 20240012622 A KR20240012622 A KR 20240012622A KR 20240017877 A KR20240017877 A KR 202400178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housing
coil
position senso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1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7877A/ko
Publication of KR2024001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78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외주면에 제1 코일이 배치되는 보빈, 상기 제1 코일과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 상기 보빈의 이동에 따른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 위치 센서, 및 상기 제1 위치 센서의 출력 단자들에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A LENS MOVING UNIT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실시 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초소형, 저전력 소모를 위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에 사용된 보이스 코일 모터(VCM:Voice Coil Motor)의 기술을 적용하기 곤란하여, 이와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자제품에 실장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사용 도중에 빈번하게 카메라 모듈이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촬영하는 동안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따라 미세하게 카메라 모듈이 흔들릴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손떨림 방지 수단을 카메라 모듈에 추가 설치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실시 예는 제1 코일과의 크로스토크(crosstalk)에 기인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위치 센서의 피드백 폐루프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외주면에 제1 코일이 배치되는 보빈(bobbin); 상기 제1 코일과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 상기 보빈의 이동에 따른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 위치 센서; 및 상기 제1 위치 센서의 출력 단자들에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실시 예는 제1 코일과의 크로스토크(crosstalk)에 기인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1 위치 센서의 피드백 폐루프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커버 부재를 제거한 렌즈 구동 장치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빈, 제1 코일, 제1 마그네트, 제2 마그네트, 제1 위치 센서 및 센서 기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보빈 및 제1 마그네트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센서 기판 및 제1 위치 센서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센서 기판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제1 마그네트, 및 제2 마그네트의 저면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1의 보빈, 하우징, 하측 탄성 부재 및 복수의 지지 부재가 결합된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상측 탄성 부재, 하측 탄성 부재, 제1 위치 센서, 센서 기판, 베이스, 지지 부재 및 회로 기판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제2 코일 및 회로 기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회로 기판에 실장되는 커패시터를 나타낸다.
도 13은 커패시터와 제1 위치 센서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4는 커패시터와 회로 기판의 단자들 간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위치 센서, 커패시터, 및 저항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도 16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필터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 및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on)"와 "하/아래(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면의 설명을 통하여 동일한 요소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해 다음과 같이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상,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데카르트 좌표계(x, y, z)를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좌표계를 사용하여 설명할 수도 있으며,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각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 방향인 z축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며, 광축 방향인 z축 방향을 '제1 방향'이라 칭하고, x축 방향을 '제2 방향'이라 칭하고, y축 방향을 '제3 방향'이라 칭할 수 있다.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소형 카메라 모듈에 적용되는 '손떨림 보정 장치'란 정지 화상의 촬영 시 사용자의 손떨림에 의해 기인한 진동으로 인해 촬영된 이미지의 외곽선이 또렷하게 형성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싱 장치'란, 피사체의 화상의 초점을 자동으로 이미지 센서 면에 결상시키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손떨림 보정 장치와 오토 포커싱 장치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의한 렌즈 구동 장치는, 적어도 한 장의 렌즈로 구성된 광학 모듈을 광축에 대해 평행한 제1 방향으로 움직이거나,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및 제3 방향에 의해 형성되는 면에 대하여 움직여 손떨림 보정 동작 및/또는 오토 포커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0)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1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렌즈 구동 장치(100)는 커버 부재(300), 상측 탄성 부재(150), 센서 기판(180), 제1 위치 센서(170), 제1 코일(120), 보빈(bobbin, 110), 하우징(housing, 140), 제1 마그네트(130, "구동용 마그네트"라고도 함), 하측 탄성 부재(160), 회로 기판(250), 베이스(210), 및 커패시터(310)를 포함한다.
렌즈 구동 장치(100)는 제2 마그네트(190, "센싱용 마그네트"라고도 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00)는 복수의 지지 부재(220), 제2 코일(230), 및 제2 위치 센서들(240: 240a, 24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커버 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버 부재(300)는 베이스(210)와 함께 형성되는 수용 공간 내에 상측 탄성 부재(150), 보빈(110), 제1 코일(120), 하우징(140), 제2 마그네트(190), 제1 마그네트(130), 하측 탄성 부재(160), 복수의 지지 부재(220), 제2 코일(230), 회로 기판(250), 및 커패시터(310)를 수용한다.
커버 부재(30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단부 및 측벽들을 포함하는 상자 형태일 수 있으며, 커버 부재(300)의 하부는 베이스(210)의 상부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의 상단부의 형상은 다각형, 예컨대, 사각형 또는 팔각형 등일 수 있다.
커버 부재(300)는 보빈(110)과 결합하는 렌즈(미도시)를 외부광에 노출시키는 중공을 상단부에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의 내부에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 부재(300)의 중공에는 광투과성 물질로 이루어진 윈도우(Window)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커버 부재(300)의 재질은 제1 마그네트(130)와 붙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SUS 등과 같은 비자성체일 수 있으나, 자성 재질로 형성하여 요크(yoke) 기능을 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커버 부재(300)를 제거한 렌즈 구동 장치(100)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보빈(110), 제1 코일(120), 제2 마그네트(190), 제1 마그네트(130-1 내지 130-4), 제1 위치 센서(170) 및 센서 기판(18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보빈(110)을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빈(110)은 하우징(14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 코일(120)과 제1 마그네트(130) 간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하여 광축 방향 또는 광축과 평행한 제1 방향, 예컨대, Z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보빈(110)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내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렌즈가 설치되는 렌즈 배럴(lens barrel,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 배럴은 보빈(11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보빈(110)은 렌즈 또는 렌즈 배럴의 장착을 위하여 중공을 갖는 구조일 수 있다. 중공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빈(110)은 제1 및 제2 돌출부(111, 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110)의 제1 돌출부(111)는 가이드(guide)부(111a) 및 제1 스토퍼(stopper)(111b)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110)의 가이드부(111a)는 상측 탄성 부재(150)의 설치 위치를 가이드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의 가이드부(111a)는 상측 탄성 부재(150)의 제1 프레임 연결부(153)가 지나가는 경로를 가이드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가이드부(111a)가 제1 방향에 직교하는 제2 및 제3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11a)는 x축과 y축이 형성하는 평면 상에서 보빈(110)의 중심에 대해 대칭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고, 예시된 바와 달리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이 배제된 비대칭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보빈(110)의 제2 돌출부(112)는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및 제3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빈(110)의 제2 돌출부(112)의 상부면(112a)에는 상측 탄성 부재(150)의 제1 내측 프레임(151)이 안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빈(110)의 제1 돌출부(111)의 제1 스토퍼(111b) 및 제2 돌출부(112)는 보빈(110)이 오토 포커싱 기능을 위해 광축에 평행한 방향인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움직일 때,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보빈(110)이 규정된 범위 이상으로 움직이더라도, 보빈(110)의 몸체 바닥면이 베이스(210) 및 회로 기판(250)의 상부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빈(110)은 센서 기판(180)이 제1 방향(z축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보빈(110)의 내주면(110a)과 외주면(110b) 사이에 마련되는 지지홈(114)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0)의 지지홈(114)은 센서 기판(180)의 제1 방향(z축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보빈(110)의 내주면(110a)과 제1 및 제2 돌출부(111,1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보빈(110)은 센서 기판(180)에 배치, 결합, 또는 실장된 제1 위치 센서(170)가 수용 또는 배치되는 홈(116)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0)은 센서 기판(180)에 실장된 제1 위치 센서(170)가 제1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보빈(110)의 제1 및 제2 돌출부(111, 112) 사이의 공간에 마련되는 홈(116)을 구비할 수 있다.
보빈(110)은 하측 탄성 부재(160)에 결합 및 고정되는 지지 돌기(117, 도 8 참조)를 하부면에 구비할 수 있다.
보빈(110)의 제1 및 제2 돌출부(111, 112)의 저면과 하우징(140)의 제1 안착홈(146)의 바닥면(146a)이 접촉된 상태가 초기 위치로 설정되면, 오토 포커싱 기능은 기존의 보이스 코일 모터(VCM:Voice Coil Motor)에서의 단방향 제어와 같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전류가 제1 코일(120)에 공급될 때 보빈(110)이 상승하고, 전류의 공급이 차단될 때 보빈(120)이 하강하여,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보빈(110)의 제1 및 제2 돌출부(111, 112)의 저면과 제1 안착홈(146)의 바닥면(146a)이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가 초기 위치로 설정되면, 오토 포커싱 기능은 기존의 보이스 코일 모터에서의 양방향 제어와 같이 전류의 방향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즉, 보빈(110)을 광축에 평행한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작을 통해 오토 포커싱 기능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정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110)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보빈(110)이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코일(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코일(120)은 보빈(110)의 외주면(110a, 도 4 참조) 상에 배치된다. 제1 코일(120)은 제1 위치 센서(170)와 제1 방향과 수직인 제2 방향 또는 제3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130)과 제1 위치 센서(170)는 제2 또는 제3 방향으로 서로 간섭 또는 오버랩되지 않도록 보빈(110)의 외주면(110a)에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120)은 보빈(110)의 외주면(110a) 하측 또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위치 센서(170)는 제1 코일(120)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코일(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보빈(110)의 외주면(110a)을 감싸도록 권선될 수 있다.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코일(120)은 보빈(110)의 외주면(110a)에 형성되는 홈부(118) 내에 삽입, 배치, 또는 고정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코일(120)은 보빈(110)의 외주면(110a)에 직접 권선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코일(120)은 코일 링을 이용하여 보빈(110)에 권선되거나, 각진 링 형상의 코일 블록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코일 링은 센서 기판(180)이 보빈(110)의 홈(114)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모습과 마찬가지로 보빈(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코일(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8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1 코일(120)의 형상은 보빈(110)의 외주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으로,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의 외주면이 8각 형상이기 때문이다.
또한, 제1 코일(120)에서 적어도 4면은 직선으로 마련될 수 있고, 이들 면을 연결하는 모서리 부분도 직선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라운드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코일(120)에는 AF 구동을 위하여 교류 신호(예컨대, 교류 전류) 형태의 구동 신호가 인가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코일(120)의 구동 신호는 정현파 신호 또는 펄스 신호(예컨대,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일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코일(120)에 인가되는 구동 신호는 교류 신호 및 직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PWM 신호의 주파수는 20KHz 이상일 수 있으며, 소모 전류 감소를 위하여 500kHz 이상일 수 있다.
제1 코일(120)은 전류가 공급되면 제1 마그네트(130)와 전자기적 상호 작용을 통해 전자기력을 형성할 수 있으며, 형성된 전자기력이 보빈(110)을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1 코일(120)은 제1 마그네트(130)와 대응되게 구성될 수 있는데, 제1 마그네트(130)가 단일 몸체로 구성되어 제1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 전체가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마련되면, 제1 코일(120) 또한 제1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면이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130)가 광축에 수직한 면으로 2분할 또는 4분할되어 제1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이 2개 또는 그 이상으로 구분될 경우, 제1 코일(120) 역시 분할된 제1 마그네트(130)와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제1 위치 센서(170) 및 센서 기판(18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위치 센서(170)는 보빈(110)에 배치, 결합, 또는 실장되어, 보빈(1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광축 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 보빈(110)이 이동할 때, 제1 위치 센서(170)는 보빈(1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는 보빈(110)의 이동에 따른 제1 마그네트(130)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장치(100)에 제1 및 제2 마그네트들(130,190)이 함께 구비될 경우, 제1 위치 센서(170)는 제1 마그네트(130)의 자기장의 세기 및 제2 마그네트(190)의 자기장의 세기의 합을 감지할 수 있고,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보빈(110)의 광축 방향 또는 제1 방향으로의 변위가 조정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는 센서 기판(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홀 센서(Hall sensor)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홀 센서 등과 같은 위치 검출 센서 단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는 다양한 형태로 보빈(110)에 배치, 결합, 또는 실장될 수 있으며, 제1 위치 센서(170)가 배치, 결합 또는 실장되는 형태에 따라 제1 위치 센서(170)는 다양한 방법으로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는 보빈(110)의 외주면(110a)에 배치, 결합,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센서(170)는 센서 기판(180)에 배치, 결합, 또는 실장될 수 있고, 센서 기판(180)은 보빈(110)의 외주면(110a)에 배치, 또는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위치 센서(170)는 센서 기판(180)을 통하여 보빈(110)에 간접적으로 배치, 결합,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는 후술하는 상측 탄성 부재(150) 또는 하측 탄성 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위치 센서(170)는 상측 탄성 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a는 도 4에 도시된 보빈(110) 및 제1 마그네트(130:130-1, 130-2, 130-3, 130-4)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센서 기판(180) 및 제1 위치 센서(170)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c는 도 4에 도시된 센서 기판(180)의 일 실시 예에 의한 배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a를 참조하면, 센서 기판(180)은 보빈(110)에 장착되며, 광축 또는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보빈(11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 기판(180)은 보빈(110)의 홈(114)에 삽입 또는 배치되어 보빈(110)에 결합될 수 있다. 센서 기판(180)은 보빈(110)에 장착되기에 적합하면 충분하며, 도 4에서는 링(ring) 형상을 예시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위치 센서(170)는 에폭시 또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를 이용하여 센서 기판(180)의 전면에 부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110a)은 제1 마그네트(130)가 배치되는 하우징(140)의 제1 측부들(141)과 대응하는 제1 측면들(S1), 및 제1 측면들(S1)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측면들(S1)을 서로 연결하는 제2 측면들(S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는 보빈(110)의 제1 측면들(S1) 중 어느 하나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0)의 홈(116)은 보빈(110)의 제1 측면들(S1)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위치 센서(170)는 보빈(110)의 홈(116) 내에 삽입 또는 배치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위치 센서(170)는 센서 기판(180)의 일면에 배치, 결합,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예컨대, 보빈(110)의 초기 위치에서 제1 방향으로 제1 및 제2 마그네트들(130, 190)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거나 또는 정렬되도록 제1 위치 센서(170)는 센서 기판(18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는 센서 기판(180)에 마련된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센서 기판(180)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구동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보빈(110)의 외주면(110a)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1 코일(120)로부터 최대한 멀리 위치하도록 제1 위치 센서(170)가 센서 기판(180)의 일면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고주파 영역에서 제1 위치 센서(170)가 제1 코일(120)의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여, 제1 위치 센서(170)의 오동작 및 에러가 방지될 수 있다.
센서 기판(180)은 몸체(182), 탄성 부재 접촉부(184-1, 내지 184-4) 및 회로 패턴(L1 내지 L4)을 포함할 수 있다.
보빈(110)의 홈(114)이 보빈(110)의 외주면(110a)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경우, 보빈(110)의 홈(114)에 삽입되는 센서 기판(180)의 몸체(182)는 홈(114)에 삽입되어 고정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의 홈(114)과 센서 기판(180)의 몸체(182)는 원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보빈(110)의 홈(114)과 센서 기판(180)의 몸체(182)는 다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센서 기판(180)의 몸체(182)는 제1 위치 센서(170)가 배치, 결합, 또는 실장되는 제1 세그먼트(182a), 및 제1 세그먼트(182a)에 접하여 연장되고 보빈(110)의 홈(114)에 삽입되는 제2 세그먼트(182b)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기판(180)은 제1 세그먼트(182a)와 마주하는 부분에 오프닝(opening, 181)을 마련하여 보빈(110)의 홈(114)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센서 기판(180)의 특정 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센서 기판(180)의 탄성 부재 접촉부(184-1 내지 184-4)는 센서 기판(180)의 몸체(182)로부터 제1 내측 프레임(151)과 접촉 가능한 방향 예를 들어, 광축 방향인 제1 방향 또는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센서 기판(180)의 탄성 부재 접촉부(184-1 내지 184-4)는 상측 탄성 부재(150)의 제1 내측 프레임(151)과 연결될 부분이며, 탄성 부재 접촉부(184-1 내지 184-4)의 수는 1개 이상일 수 있다.
센서 기판(180)의 회로 패턴(L1 내지 L4)은 센서 기판(180)의 몸체(182)에 형성되고 제1 위치 센서(170)와 탄성 부재 접촉부(184-1 내지 184-4)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치 센서(170)는 홀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만일, 제1 위치 센서(170)가 홀 센서로 구현될 경우, 홀 센서(170)는 복수의 핀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핀들은 입력 핀들(P11,P12), 및 출력 핀들(P21, P22)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핀들(P21, P22)을 통하여 출력되는 신호는 전류 형태 또는 전압 형태일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의 입력 핀들(P11,P12) 및 출력 핀들(P21, P22)은 회로 패턴(L1 내지 L4)을 통하여 탄성 부재 접촉부들(184-1 내지 184-4)과 서로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를 참조하면, 회로 패턴의 제1 라인(L1)은 제1 입력 핀(P11)과 제4 탄성 부재 접촉부(184-4)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회로 패턴의 제2 라인(L2)은 제2 입력 핀(P12)과 제3 탄성 부재 접촉부(184-3)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회로 패턴의 제3 라인(L3)은 제1 출력 핀(P21)과 제1 탄성 부재 접촉부(184-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회로 패턴의 제4 라인(L4)은 제2 출력 핀(P22)과 제2 탄성 부재 접촉부(18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제1 내지 제4 라인(L1 내지 L4)은 육안으로 보이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들(L1 내지 L4)은 육안으로 보이지 않도록 센서 기판(180)의 몸체(18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140)을 설명한다.
하우징(140)은 센싱용인 제2 마그네트(190), 및 구동용인 제1 마그네트(130)를 지지하며, 광축과 평행한 제1 방향으로 보빈(110)이 이동할 수 있도록 내측에 보빈(110)을 수용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전체적으로 중공 기둥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은 다각형(예컨대, 사각형, 또는 팔각형) 또는 원형의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40)의 평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140), 제2 마그네트(190), 및 제1 마그네트(130)의 저면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I-I' 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9는 도 1의 보빈(110), 하우징(140), 하측 탄성 부재(160) 및 복수의 지지 부재(220)가 결합된 저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하우징(140)은 보빈(110)의 제1 및 제2 돌출부(111, 11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1 안착홈(146)을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140)은 보빈(110)의 제1 및 제2 돌출부(111, 112) 사이의 제1 폭(W1)을 갖는 공간과 대응하는 제3 돌출부(148)를 구비할 수 있다.
보빈(110)과 대향하는 하우징(140)의 제3 돌출부(148)의 면은 보빈(110)의 측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보빈(110)의 제1 및 제2 돌출부(111, 112) 사이의 제1 폭(W1)과 도 6에 도시된 하우징(140)의 제3 돌출부(148)의 제2 폭(W2)이 일정 공차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보빈(110)의 제1 및 제2 돌출부(111, 112) 사이에서 하우징(40)의 제3 돌출부(148)가 회전하는 것이 규제될 수 있다. 그러면, 보빈(110)이 광축 방향이 아닌 광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더라도, 하우징(140)의 제3 돌출부(148)가 보빈(11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의 외곽의 상측은 사각 평면 형상을 갖지만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내곽의 하측은 8각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40)은 복수의 측부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개의 제1 측부들(141)과 4개의 제2 측부들(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측부들(141) 각각의 폭은 제2 측부들(142) 각각의 폭보다 클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1 측부들(141)은 제1 마그네트(130)가 설치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2 측부들(142)은 인접하는 2개의 제1 측부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지지 부재(220)가 배치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1 측부들(141)은 하우징(140)의 제2 측부들(142)을 상호 연결하며, 일정 깊이의 평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1 측부들(141) 각각은 이와 대응되는 제1 마그네트(130)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40)은 제2 마그네트(19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안착부(141b), 및 제2 마그네트들(130-1, 130-2,130-3,130-4)을 수용하기 위한 제2 안착부(141a)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은 제1 측부들(141) 중 어느 하나의 외측 상단에 형성되는 제1 안착부(141b)를 가질 수 있고, 제1 측부들(141)의 내측 하단에 제2 안착부(141a)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안착부(141b)는 제2 안착부(141a)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190)는 제1 안착부(141b)에 삽입, 고정될 수 있고, 제2 마그네트들(130-1,130-2,130-3,130-4) 각각은 하우징(140)의 제1 측부들(141)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2 안착부(141a)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2 안착부(141a)는 제1 마그네트(130)의 크기와 대응되는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마그네트(130)와 적어도 3면, 즉 양 측면과 상부면이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2 안착부(141a)의 바닥면, 즉 후술할 제2 코일(230)을 마주보는 면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제2 안착부(141a)에 고정된 제2 마그네트(130)의 바닥면은 제2 코일(230)과 직접 마주볼 수 있다.
제1 및 제2 마그네트들(130, 190)은 하우징(140)의 제1 및 제2 안착부들(141b, 141a)에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부재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는 하우징(140)의 제1 및 제2 안착부들(141b, 141a)은 도 6 및 도 7과 같이 오목한 요홈으로 형성하는 대신, 제1 및 제2 마그네트들(130, 190)의 일부가 노출 또는 끼워질 수 있는 장착공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마그네트(190)는 제1 마그네트들(130-1, 130-2,130-3,130-4) 중 어느 하나(예컨대, 130-1)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190)는 제1 마그네트(예컨대, 130-1)와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마그네트(190)와 제1 마그네트(예컨대, 130-1) 사이에는 하우징(140)의 일부가 배치될 수도 있다.
하우징(140)의 제1 측부(141)는 커버 부재(300)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40)의 제1 측부(141)는 제2 측부(142)보다 큰 면을 가질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2 측부(142)는 지지 부재(220)가 지나가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2 측부(142)의 상부는 통공(147)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20)는 통공(147)을 관통하여 상측 탄성 부재(15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커버 부재(300)의 내측면에 직접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40)은 상단에는 제2 스토퍼(144)가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40)은 상측 탄성 부재(150)와 결합을 위하여 상부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상측 지지 돌기(143)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140)의 제1 상측 지지 돌기(143)는 하우징(140)의 제2 측부(142)에 대응하는 하우징(140)의 상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1 상측 지지 돌기(143)는 예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상을 가질 수도 있고, 이와 달리 원통 형상 또는 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우징(140)은 하측 탄성 부재(160)와 결합 및 고정되는 하측 지지 돌기(145)를 하부면에 구비할 수 있다.
지지 부재(220)가 지나가는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댐핑 역할을 할 수 있는 젤 형태의 실리콘을 채우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하우징(140)은 제2 측부(142)에 형성되는 제1 요홈(142a)를 구비할 수 있다. 즉, 하우징(140)의 요홈(142a)에는 댐핑 실리콘이 채워질 수 있다.
하우징(140)은 제1 측부들(141)으로부터 돌출된 복수 개의 제3 스토퍼(149)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스토퍼(149)는 하우징(140)이 제2 및 제3 방향으로 움직일 때 커버 부재(300)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140)의 바닥면이 후술할 베이스(210) 및/또는 회로 기판(250)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40)은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4 스토퍼(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우징(140)은 아래쪽으로는 베이스(210)와 이격되고, 상측으로는 커버 부재(300)와 이격되어 상하 간섭 없이 광축 방향 높이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40)은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전후좌후 방향인 제2 및 제 3 방향으로 쉬프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마그네트(190)와 제1 마그네트(130; 130-1 내지 130-4)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마그네트(130)는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코일(120)과도 오버랩되도록 하우징(140)의 제2 안착부(141a)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및 제2 마그네트들(130, 190) 각각은 하우징(140)의 제1 측부(141)의 외측 또는 내측에 모두 배치되거나, 또는 하우징(140)의 제2 측부(142)의 내측 또는 외측에 모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마그네트(190)는 하우징(140)의 제1 측부(14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고, 제2 마그네트(190)는 하우징(140)의 제1 측부(141)의 외측에 수용될 수도 있다.
제1 마그네트(130)의 형상은 하우징(140)의 제1 측부(14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코일(120)과 마주보는 면은 제1 코일(120)의 대응되는 면의 곡률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마그네트(130)는 한 몸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실시 예의 경우 도 5a를 참조하면, 제1 코일(120)을 마주보는 면을 S극(132), 바깥쪽 면은 N극(134)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대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마그네트(130)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 예는 4개의 제1 마그네트들(130-1 내지 130-4)를 구비할 수 있으며, 4개의 제1 마그네트들(130-1 내지 130-4) 각각은 하우징(140)의 4개의 제1 측부들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마그네트들(130-1 내지 130-4) 각각은 도 5a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평면이 대략 사각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이와 달리 삼각형상, 마름모 형상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측 탄성 부재(150), 하측 탄성 부재(160), 및 지지 부재(2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측 탄성 부재(150) 및 하측 탄성 부재(160)는 보빈(110)을 탄성에 의하여 지지한다. 지지 부재(220)는 하우징(140)을 베이스(210)에 대하여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고, 상측 또는 상기 하측 탄성 부재들(150,160) 중 적어도 하나와 회로 기판(25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상측 탄성 부재(150), 하측 탄성 부재(160), 제1 위치 센서(170), 센서 기판(180), 베이스(210), 지지 부재(220) 및 회로 기판(250)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다.
상측 탄성 부재(150)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의 상측 탄성 부재들(150; 150-1 내지 150-4)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기판(180)의 탄성 부재 접촉부들(184-1 내지 184-4)은 상측 탄성 부재(150) 또는 하측 탄성 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0에서는 탄성 부재 접촉부들(184-1 내지 184-4)이 상측 탄성 부재들(150-1 내지 150-4)과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예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탄성 부재 접촉부들(184-1 내지 184-4)은 하측 탄성 부재(160)에 전기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상측 탄성 부재(150) 및 하측 탄성 부재(160)에 모두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도 있다.
제1 위치 센서(1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탄성 부재 접촉부들(184-1 내지 184-4) 각각은 복수의 상측 탄성 부재들(150-1 내지 150-4)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상측 탄성 부재들(150-1 내지 150-4) 각각은 복수의 지지 부재들(220)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3 상측 탄성 부재들(150-1, 150-3) 각각(150a)은 제1 내측 프레임(151), 제1-1 외측 프레임(152a) 및 제1 프레임 연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및 제4 상측 탄성 부재들(150-2, 150-4) 각각(150b)은 제1 내측 프레임(151), 제1-1 외측 프레임(152b) 및 제1 프레임 연결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 부재들(150-1 내지 150-4)의 제1 내측 프레임(151)은 보빈(110) 및 탄성 부재 접촉부들(184-1 내지 184-4) 중 대응하는 어느 하나와 결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110)의 제2 돌출부(112)의 상부면(112a)이 평평할 경우, 상측 탄성 부재(150)의 제1 내측 프레임(151)은 보빈(110)의 제2 돌출부(112)의 상부면(112a)에 얹혀진 후, 접착 부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1-1 외측 프레임(152a, 152b)은 하우징(140)과 결합되고 지지 부재(220)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프레임 연결부(153)는 제1 내측 프레임(151)과 제1-1 외측 프레임(152a, 152b)을 연결할 수 있다. 제1-1 외측 프레임(152b)은 제1-1 외측 프레임(152a)을 양분한 형태를 갖지만,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제1-1 외측 프레임(152a)은 제1-1 외측 프레임(152b)과 동일한 모습으로 양분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 연결부(153)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프레임 연결부(153)의 위치 변화 및 미세 변형을 통해 보빈(110)은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의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이 탄력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1 상측 지지 돌기(143)는 도 10에 예시된 상측 탄성 부재(150)의 제1-1 외측 프레임(152a, 152b)과 하우징(14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1-1 외측 프레임(152a, 152b)에는 제1 상측 지지 돌기(143)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2-2 통공(15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상측 지지 돌기(143)와 제2-2 통공(157)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 부재로 고정될 수도 있다.
센서 기판(180)의 탄성 부재 접촉부들(184-1 내지 184-4)과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 부재들(150-1 내지 150-4) 간의 통전성 연결을 통하여, 제1 위치 센서(170)의 4개의 핀들(P11 내지 P22)은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 부재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 부재들(150-1 내지 150-4)은 지지 부재(220)를 통해 회로 기판(250)에 연결된다. 즉, 제1 상측 탄성 부재(150-1)는 제1-1 또는 제1-2 지지 부재(220-1a, 220-1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회로 기판(250)에 연결되고, 제2 상측 탄성 부재(150-2)는 제2 지지 부재(220-2)를 통해 회로 기판(250)에 연결되고, 제3 상측 탄성 부재(150-3)는 제3-1 또는 제3-2 지지 부재(220-3a, 220-3b)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회로 기판(250)에 연결되고, 제4 상측 탄성 부재(150-4)는 제4 지지 부재(220-4)를 통해 회로 기판(25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는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 부재들(150-1 내지 150-4) 중 어느 2개, 및 이와 연결되는 지지 부재(220)를 통하여 회로 기판(250)으로부터 입력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제1 내지 제4 상측 탄성 부재들(150-1 내지 150-4) 중 나머지 2개, 및 이와 연결된 지지 부재들(220)을 통하여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신호를 회로 기판(250)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하측 탄성 부재(160)는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이격된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160-1, 16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코일(120)은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160-1, 160-2)을 통하여 복수의 지지 부재(2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160-1, 160-2)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내측 프레임(161-1, 161-2), 적어도 하나의 제2 외측 프레임(162-1, 162-2)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프레임 연결부(163-1, 1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측 프레임(161-1, 161-2)은 보빈(110)과 결합될 수 있고, 제2 외측 프레임(162-2, 162-2)은 하우징(14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1 프레임 연결부(163-1)는 제2 내측 프레임(161-1)과 제2 외측 프레임(162-1)을 연결하고, 제2-2 프레임 연결부(163-2)는 2개의 제2 외측 프레임(162-1, 162-2)을 연결할 수 있고, 제2-3 프레임 연결부(163-3)은 제2 내측 프레임(161-2)과 제2 외측 프레임(162-2)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1 하측 탄성 부재(160-1)는 제1 코일 프레임(164-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 하측 탄성 부재(160-2)는 제2 코일 프레임(16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코일 프레임들(164-1, 164-2) 각각은 제1 코일(120)의 양끝단들 중 어느 하나에 솔더 등과 같은 통전성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160-1, 160-2)은 회로 기판(250)으로부터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및 제2 전원들을 인가받아 제1 코일(1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160-1, 160-2) 각각은 제2-4 프레임 연결부(16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4 프레임 연결부(163-4)는 코일 프레임(164)과 제2 내측 프레임(161-2)을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제2-1 내지 제2-4 프레임 연결부들(163-1 내지 163-4)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한 번 이상 절곡 형성되어 일정 형상의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제2-1 및 제2-3 프레임 연결부(163-1, 163-3)의 위치 변화 및 미세 변형을 통해 보빈(110)은 광축에 평행한 제1 방향으로의 상승 및/또는 하강 동작이 탄력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들(160-1, 160-2) 각각은 절곡부(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곡부(165)는 제2-2 프레임 연결부(163-2)로부터 상측 탄성 부재(150)를 향하여 제1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측 탄성 부재(160)는 제5 및 제6 상측 탄성 부재들(150-5, 15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6 상측 탄성 부재들(150-1 내지 150-6)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고,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5 및 제6 상측 탄성 부재들(150-5, 150-6) 각각은 연결 프레임(154) 및 제1-2 외측 프레임(155)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프레임(154)은 절곡부(165)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2 외측 프레임(155)은 연결 프레임(154)으로부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하우징(155)과 결합될 수 있고, 지지 부재(22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5 상측 탄성 부재(150-5)는 제5 지지 부재(220-5)와 연결되고, 제6 상측 탄성 부재(150-6)는 제6 지지 부재(220-6)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1, 160-2) 각각의 절곡부(165)와 제5 및 제6 상측 탄성 부재(150-5, 150-6)의 연결 프레임(154) 및 제1-2 외측 프레임(155)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1, 160-2) 각각과 제5 및 제6 상측 탄성 부재(150-5, 150-6) 각각은 제1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165, 154)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1, 160-2)는 회로 기판(250)으로부터 전원을 받아서 복수의 지지 부재(220)와 연결된 제5 및 제6 상측 탄성 부재(150-5, 150-6)를 통하여 제1 코일(120)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들(150, 160) 각각이 분할되지만, 다른 실시 예에서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들(150, 160)이 분할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보빈(110)의 제1 하측 지지 돌기(117)는 하측 탄성 부재(160)의 제2 내측 프레임(161-1, 161-2)과 보빈(11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하우징(140)의 제2 하측 지지 돌기(145)는 하측 탄성 부재(160)의 제2 외측 프레임(162-1, 162-2)과 하우징(140)을 결합 및 고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1, 160-1) 각각의 제2 내측 프레임(161-1, 161-2)에서 보빈(110)의 제1 하측 지지 돌기(117)와 대응되는 위치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통공(161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빈(110)의 제1 하측 지지 돌기(117)와 통공(161a)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 부재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하측 탄성 부재(160-1, 160-2) 각각의 제2 외측 프레임(162-1, 162-2)에는 하우징(140)의 제2 하측 지지 돌기(145)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통공(16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40)의 제2 하측 지지 돌기(145)와 통공(162a)은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 부재로 고정될 수도 있다.
전술한 상측 탄성 부재(150)와 하측 탄성 부재(160) 각각은 판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실시 예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150, 160)의 재질에 국한되지 않는다.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상측 탄성 부재(150)를 이용하여 제1 위치 센서(17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기적으로 분리된 다른 2개의 상측 탄성 부재(150) 및 지지 부재(220)를 이용하여 제1 위치 센서(17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회로 기판(25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하측 탄성 부재(160)를 이용하여 제1 코일(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 예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즉,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복수의 상측 탄성 부재(150)의 역할과 복수의 하측 탄성 부재(160)의 역할은 서로 바뀔 수 있다. 즉,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상측 탄성 부재(150) 및 지지 부재(220)를 이용하여 제1 코일(1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하측 탄성 부재(160)를 이용하여 제1 위치 센서(17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제1 위치 센서(17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된 다른 2개의 하측 탄성 부재(160)를 이용하여 회로 기판(25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이는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도면들을 통해 자명하다.
다음으로 지지 부재(220; 220-1 내지 220-6)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지지 부재(220)는 하우징(140)의 제2 측부들(14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제2 측부들(142) 각각에 대응하여 2개의 지지 부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실시 예는 총 8개의 지지 부재들(220-1a, 220-1b, 220-2, 220-3a, 2203b, 220-4, 220-5,220-6)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서 하우징(140)에서 4개의 제2 측부(142) 중 2개의 제2 측부(142) 각각에는 하나의 지지 부재만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2개의 제2 측부(142) 각각에 두 개의 지지 부재가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지지 부재(220)는 하우징(140)의 제1 측부(141)에 판스프링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탄성 부재(150)와 회로 기판(250) 간의 전기적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 부재(220)는 제1 위치 센서(170)와 제1 코일(120)에서 요구되는 전원을 전달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위치 센서(17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회로 기판(250)에 제공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지지 부재(220)는 탄성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는 부재, 예컨대, 판스프링(leaf spring), 코일스프링(coil spring), 서스펜션와이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지지 부재(220)는 상측 탄성 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베이스(210), 회로 기판(250), 및 제2 코일(2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베이스(210)는 보빈(110)의 중공, 또는/및 하우징(140)의 중공에 대응하는 중공을 구비할 수 있고, 커버 부재(300)와 일치 또는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210), 제2 코일(230), 회로 기판(250), 및 커패시터(31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베이스(210)는 커버 부재(300)를 접착 고정할 때,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단턱(2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단턱(211)은 상측에 결합되는 커버 부재(300)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커버 부재(300)의 단부가 면 접촉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단턱(211)과 커버 부재(300)의 단부는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의 단자(251)가 형성된 부분과 마주하는 베이스(210)의 면에는 대응되는 크기의 받침부(255)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받침부(255)는 베이스(210)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한 단면으로 단턱(211) 없이 형성되어, 회로 기판(250)의 단자면(253)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210)의 모서리는 제2 요홈(212)를 가질 수 있다. 커버 부재(300)의 모서리가 돌출된 형태를 가질 경우, 커버 부재(300)의 돌출부는 제2 요홈(212)에서 베이스(210)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210)의 상부면에는 제2 위치 센서(240)가 배치될 수 있는 안착홈(215-1, 215-2)이 마련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베이스(210)에는 2개의 안착홈들(215-1, 215-2)이 마련될 수 있고, 제2 위치 센서(240)가 베이스(210)의 안착홈들(215-1, 215-2)에 배치됨으로써, 하우징(140)이 제2 방향과 제3 방향으로 움직이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210)의 안착홈들(215-1, 215-2)의 중심들과 베이스(210)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들이 이루는 각도는 9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베이스(210)의 상부면에는 커패시터(310)가 배치되는 홈(215-3)이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단자들과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홈(215-3)은 회로 기판(250)의 단자면(253)에 인접하는 베이스(210)의 상부면의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210)의 안착홈들(215-1, 215-2) 각각은 제2 코일(230)의 중앙 또는 중앙부근에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2 코일(230)의 중심과 제2 위치 센서(240)의 중심을 일치시킬 수도 있다.
회로 기판(250)을 기준으로 상부에는 제2 코일(230)이, 하부에는 제2 위치 센서(240), 및 커패시터(3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센서(240)는 광축(예컨대, Z축)과 수직인 방향(예컨대, X축 또는 Y축)으로 베이스(210)에 대한 하우징(140)의 변위를 감지할 수 있다.
제2 위치 센서(240)는 광축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하우징(140)의 변위를 감지하기 위하여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2개의 센서들(240a 240b)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은 베이스(210)의 상부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보빈(110)의 중공, 하우징(140)의 중공, 또는/및 베이스(210)의 중공에 대응하는 중공을 구비할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의 외주면의 형상은 베이스(210)의 상부면과 일치 또는 대응되는 형상, 예컨대,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은 상부면으로부터 절곡되고, 외부로부터 전기적 신호들을 공급받는 복수 개의 단자들(terminals, 251), 또는 핀들(pins)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면(253)을 구비할 수 있다.
회로 기판(250)의 단자들은 제2 코일(230), 제2 위치 센서들(240a, 240b), 지지 부재(220), 및 커패시터(3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제2 코일(230)은 회로 기판(250)과 별도의 회로 부재(231)에 마련되는 형태로 구현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2 코일(230)은 링 형상의 코일 블록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FP 코일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회로 기판(250)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코일(230)은 회로 부재(231)를 관통하는 통공(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20)는 통공(230a)을 관통하여 회로 기판(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코일(230)은 하우징(140)에 고정되는 제1 마그네트(130)와 대향하도록 회로 기판(25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2 코일(230)은 회로 기판(250)의 네 변에 총 4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2 방향용 1개, 제3 방향용 1개 등 2개만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4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1 마그네트(130)와 제2 코일(2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하우징(140)이 제2 및/또는 제3 방향으로 움직여 손떨림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위치 센서(240)는 홀 센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자기장 세기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예컨대, 제2 위치 센서(240)는 홀 센서를 포함하는 드라이버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홀 센서 등과 같은 위치 검출 센서 단독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회로 기판(250)의 단자면(253)에는 복수 개의 단자(251)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250)의 단자면(253)에 설치된 복수 개의 단자(251)를 통해 외부 전원을 인가받아 제1 및 제2 코일들(120, 230), 제1 및 제2 위치 센서들(170, 240)에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고, 제1 및 제2 위치 센서들(170, 24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들을 외부로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회로 기판(250)은 FPCB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회로 기판(250)의 단자들을 베이스(210)의 표면에 표면 전극 방식 등을 이용하여 직접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로 기판(250)은 지지 부재(220)가 관통 가능한 통공(250a1, 250a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부재(220)는 회로 기판(250)의 통공(250a1, 250a2)을 통하여 회로 기판(250)의 저면에 배치될 수 있는 해당하는 회로 패턴과 솔더링 등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서 회로 기판(250)은 통공(250a1, 250a2)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지지 부재(220)는 회로 기판(250)의 상면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에 솔더링 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회로 기판(250)은 베이스(210)의 상측 지지 돌기(217)와 결합하는 통공(250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의 상측 지지 돌기(217)와 통공(250b)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되어 열 융착으로 고정될 수도 있고,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 부재로 고정될 수도 있다.
도 12는 회로 기판(250)에 실장되는 커패시터(310)를 나타낸다.
도 12를 참조하면, 커패시터(310)는 회로 기판(250)의 제1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250)의 제1면은 베이스(210)의 상부면에 대향하는 회로 기판(250)의 하부면일 수 있다. 예컨대, 커패시터(310)는 회로 기판(250)의 하부면에 본딩될 수 있고,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커패시터(310)는 회로 기판(250)의 상부면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커패시터(310)는 칩(chip) 또는 콘덴서 형태로 회로 기판(250)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1 커패시터(310)는 회로 기판(25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회로 기판(250)은 제1 도전층, 제2 도전층, 및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예컨대, 유전체)을 포함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310)는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단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커패시터(310)와 제1 위치 센서(170)의 전기적 연결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위치 센서(170)는 제1 입력 신호(Va)가 제공되는 제1 입력 단자(17a), 제2 입력 신호(Vb)가 제공되는 제2 입력 단자(17b), 제1 출력 단자(18a), 및 제2 출력 단자(18b)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패시터(310)는 제1 위치 센서(170)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18a, 18b)과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커패시터(310)의 일단(305a)은 제1 출력 단자(18a)에 연결, 또는 접속될 수 있고, 커패시터(310)의 타단(305b)은 제2 출력 단자(18b)에 연결, 또는 접속될 수 있다.
도 14는 커패시터(310)와 회로 기판(250)의 단자들 간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도 14를 참조하면, 탄성 부재 접촉부들(184-1 내지 184-4)과 상측 탄성 부재(150) 간의 전기적 연결에 의하여 제1 위치 센서(170)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18a,18b)은 상측 탄성 부재(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측 탄성 부재(150)와 지지 부재(220) 간의 전기적 연결, 및 지지 부재(220)와 회로 기판(250) 간의 전기적 연결을 통하여 제1 위치 센서(170)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18a,18b)은 회로 기판(250)의 단자들(예컨대, 251-1 내지 251-8) 중 2개의 단자들(예컨대, 251-5,251-6)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310)는 제1 위치 센서(170)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18a,18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회로 기판(250)의 2개의 단자들(예컨대, 251-5,251-6)에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위치 센서(170)의 제1 및 제2 출력 단자들(18a,18b)에 병렬 연결되는 커패시터(310)를 포함하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를 형성함으로써, 실시 예는 PWM 신호로 구동되는 제1 코일(120)과의 제1 위치 센서(170) 간의 크로스토크(crosstalk)에 기인하는 PWM 노이즈를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신호로부터 제거할 수 있고, 가청 주파수 중에서 1kHz 이상의 주파수 영역에서 이득을 감소시킴으로써 제1 위치 센서(170)의 피드백 폐루프 AF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위치 센서(170), 커패시터(310), 및 저항의 전기적 연결 관계를 나타낸다. 도 13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는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단자(18b)와 커패시터(310)의 일단(305b)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저항(320)은 회로 기판(250)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저항(320)은 회로 기판(250) 내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커패시터(310) 및 저항(320)에 의하여 저역 통과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단자들(18a, 18b)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하여 필터링함으로써, PWM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고, 제1 위치 센서(170)의 피드백 폐루프 AF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6은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200)은 렌즈 배럴(400), 렌즈 구동 장치(100), 접착 부재(710), 필터(610), 제1 홀더(600), 제2 홀더(800), 이미지 센서(810), 모션 센서(motion sensor, 820), 손떨림 제어부(830), 및 커넥터(connector, 84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lens barrel, 400)은 렌즈 구동 장치(100)의 보빈(11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홀더(600)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베이스(210)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610)는 제1 홀더(600)에 장착되며, 제1 홀더(600)는 필터(610)가 안착되는 돌출부(500)를 구비할 수 있다.
접착 부재(710)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베이스(210)를 제1 홀더(600)에 결합 또는 부착시킬 수 있다. 접착 부재(710)는 상술한 접착 역할 외에 렌즈 구동 장치(100)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접착 부재(710)는 에폭시, 열경화성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등일 수 있다.
필터(610)는 렌즈 배럴(400)을 통과하는 광에서의 특정 주파수 대역의 광이 이미지 센서(810)로 입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필터(610)는 적외선 차단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필터(610)는 x-y평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필터(610)가 실장되는 제1 홀더(600)의 부위에는 필터(610)를 통과하는 광이 이미지 센서(810)에 입사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800)는 제1 홀더(6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2 홀더(600)에는 이미지 센서(810)가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10)는 필터(61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여 광이 포함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이다.
제2 홀더(800)는 이미지 센서(810)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장치로 전송하기 위해, 각종 회로, 소자, 제어부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홀더(800)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될 수 있고, 회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고, 각종 소자가 결합하는 회로 기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810)는 렌즈 구동 장치(100)를 통하여 입사되는 광에 포함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필터(610)와 이미지 센서(810)는 제1 방향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모션 센서(820)는 제2 홀더(800)에 실장되며, 제2 홀더(800)에 마련되는 회로 패턴을 통하여 손떨림 제어부(8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모션 센서(820)는 카메라 모듈(200)의 움직임에 의한 회전 각속도 정보를 출력한다. 모션 센서(820)는 2축 또는 3축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또는 각속도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손떨림 제어부(820)는 제2 홀더(800)에 실장되며,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2 위치 센서(240), 및 제2 코일(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홀더(800)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회로 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홀더(800)에 실장된 손떨림 제어부(820)는 회로 기판(250)을 통하여 제2 위치 센서(240), 및 제2 코일(2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손떨림 제어부(830)는 렌즈 구동 장치(100)의 제2 위치 센서(240)로부터 제공되는 출력 신호들에 기초하여, 렌즈 구동 장치(100)의 OIS 가동부에 대한 손떨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840)는 제2 홀더(8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포트(port)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200-1)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6과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의 렌즈 구동 장치(100-1)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100)에서 커패시터(310)가 제거된 점을 제외하고는 렌즈 구동 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카메라 모듈(200-1)은 도 16에 도시된 렌즈 구동 장치(200)에 필터부(8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부(850)는 제1 코일(120)의 PWM 구동시,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신호로부터 PWM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으며, 제1 위치 센서(170)의 피드백 폐루프 AF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예컨대, 필터부(850)는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와 같이,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단자들(18a, 18b)과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필터부(85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18을 참조하면, 필터부(850)는 제2 홀더(800)에 배치되는 커패시터(310a), 및 저항(3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더(800)에 형성되는 회로 패턴을 통하여 저항(320a)은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단자(18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커패시터(310a)는 저항(320a)과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단자(18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커패시터(310a) 및 저항(320a)은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단자들(18a,18b)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신호를 필터링하는 저역 통과 필터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단자들과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는 도 5c에 도시된 센서 기판(18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커패시터는 제1 위치 센서(170)의 출력 단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 부재 접촉부들(예컨대, 184-1, 184-2)과 전기적으로 병렬 연결되도록 센서 기판(180)의 몸체(182)의 제2 세그먼트(182b)에 배치될 수 있다.
커패시터는 센서 기판(180)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센서 기판(180)은 제1 도전층, 제2 도전층, 및 제1 도전층과 제2 도전층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절연층(예컨대, 유전체)을 포함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보빈 120: 제1 코일
130: 제1 마그네트 140: 하우징
150: 상측 탄성 부재 160: 하측 탄성 부재
170: 제1 위치 센서 180: 센서 기판
190: 제2 마그네트 210: 베이스
220: 지지 부재 230: 제2 코일
240: 제2 위치 센서 250: 회로 기판
310: 커패시터.

Claims (1)

  1. 외주면에 제1 코일이 배치되는 보빈(bobbin);
    상기 제1 코일과 상호 작용에 의하여 상기 보빈을 이동시키는 마그네트가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보빈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측 및 하측 탄성 부재;
    상기 보빈의 이동에 따른 상기 마그네트의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출력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 위치 센서; 및
    상기 제1 위치 센서의 출력 단자들에 병렬로 연결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장치.
KR1020240012622A 2015-11-02 2024-01-26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400178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2622A KR20240017877A (ko) 2015-11-02 2024-01-26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3120A KR102631961B1 (ko) 2015-11-02 2015-11-02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40012622A KR20240017877A (ko) 2015-11-02 2024-01-26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120A Division KR102631961B1 (ko) 2015-11-02 2015-11-02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7877A true KR20240017877A (ko) 2024-02-08

Family

ID=586622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120A KR102631961B1 (ko) 2015-11-02 2015-11-02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240012622A KR20240017877A (ko) 2015-11-02 2024-01-26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3120A KR102631961B1 (ko) 2015-11-02 2015-11-02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656374B2 (ko)
EP (2) EP4325268A3 (ko)
KR (2) KR102631961B1 (ko)
CN (3) CN108292022B (ko)
WO (1) WO20170783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1961B1 (ko) 2015-11-02 2024-01-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I650587B (zh) * 2016-08-04 2019-02-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裝置
KR102402616B1 (ko) * 2017-05-26 2022-05-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CN111095063A (zh) 2017-08-04 2020-05-01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包括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装置
KR102492625B1 (ko) * 2017-08-28 2023-01-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424362B1 (ko) * 2017-08-30 2022-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KR102510508B1 (ko) * 2017-09-29 2023-03-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JP7057492B2 (ja) * 2017-12-28 2022-04-20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KR102651531B1 (ko) * 2018-04-03 2024-03-2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 기기
JP2019184842A (ja) * 2018-04-11 2019-10-24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装置、電子機器
KR102547878B1 (ko) * 2018-05-11 2023-06-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동작 방법
EP3846433A4 (en) * 2018-08-31 2022-06-01 LG Innotek Co., Ltd. LENS DRIVE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THEREOF
JP7321686B2 (ja) 2018-09-04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カメラシステム
JP7114412B2 (ja) 2018-09-04 2022-08-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システム
US11212462B1 (en) * 2018-09-21 2021-12-28 Apple Inc. Camera lens tilt detection and correction
US11140321B2 (en) 2018-09-28 2021-10-05 Apple Inc. Increasing sensitivity of a probe sensor for lens position
KR102653204B1 (ko) * 2019-03-15 2024-04-0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액츄에이터
CN114586333B (zh) * 2019-10-31 2022-12-06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控制透镜致动器的驱动电路和方法
JP7180024B1 (ja) * 2022-03-31 2022-11-29 エーエーシー オプティックス (ナンネイ)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駆動機構、撮像装置及び携帯型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08A (zh) * 1992-06-19 1994-01-05 竹松良行 相机用自动对焦电路
US6339681B1 (en) * 1998-10-22 2002-01-15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apparatus
US6657513B2 (en) * 2000-10-19 2003-12-02 Murata Manufacturing Co., Ltd. Nonreciprocal circuit devic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225897C (zh) * 2002-08-21 2005-11-02 佳能株式会社 摄像装置
US7327239B2 (en) * 2004-08-06 2008-02-05 Invision Systems, Llc Heads-up speed display for vehicles
KR100721167B1 (ko) * 2005-08-24 2007-05-23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모듈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모듈
CN200941127Y (zh) * 2006-06-27 2007-08-29 泓记精密股份有限公司 音圈马达式对焦致动器
JP5038664B2 (ja) 2006-08-23 2012-10-03 株式会社リコー 像振れ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JP5230994B2 (ja) * 2006-12-15 2013-07-10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撮像装置
EP1959677B1 (en) * 2007-02-16 2019-09-04 Nikon Corporation Camera system and camera body
KR101442612B1 (ko) 2008-03-31 2014-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흔들림 감지 유닛, 이를 구비한 흔들림 보정 장치, 및흔들림 보정 방법
KR101434203B1 (ko) 2008-05-29 2014-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287070B2 (ja) * 2008-09-17 2013-09-11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モジュールおよび電子機器
JP5357614B2 (ja) * 2009-04-15 2013-12-04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撮影用光学装置
CN102024796B (zh) * 2009-09-14 2012-07-25 华东科技股份有限公司 具显示装置的集成电路模块
JP5079049B2 (ja) * 2009-11-17 2012-11-21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CN105048760B (zh) * 2010-07-06 2018-02-09 Lg伊诺特有限公司 音圈电机、线圈组件及其制造方法
JPWO2012017684A1 (ja) * 2010-08-06 2013-10-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レンズユニット
KR101776085B1 (ko) * 2010-12-13 2017-09-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5974442B2 (ja) * 2011-07-01 2016-08-23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カメラシステム及びカメラボディ
JP5821356B2 (ja) 2011-07-15 2015-11-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20130024301A (ko) * 2011-08-31 2013-03-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451467B1 (ko) * 2011-09-15 2014-10-15 삼성전기주식회사 스위칭 노이즈가 감소된 카메라 모듈
US8817116B2 (en) * 2011-10-28 2014-08-26 Lg Innotek Co., Ltd. Camera module
KR101944920B1 (ko) * 2011-10-31 2019-02-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9300196B2 (en) * 2011-11-16 2016-03-29 Lg Innotek Co., Ltd. Voice coil motor
JP2013134455A (ja) * 2011-12-27 2013-07-08 Nidec Copal Corp 像振れ補正装置及びレンズ駆動装置
JP5447555B2 (ja) 2012-02-20 2014-03-19 株式会社ニコン 振れ補正装置、レンズ鏡筒、カメラボディ、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KR102079758B1 (ko) * 2012-12-14 2020-02-2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JP2014126668A (ja) * 2012-12-26 2014-07-07 Mitsumi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TWI464479B (zh) * 2013-02-08 2014-12-11 Wah Hong Ind Corp 鏡頭致動裝置
KR20140111217A (ko) * 2013-02-14 2014-09-18 김영준 렌즈 액츄에이터,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37102A1 (ko) * 2013-03-07 2014-09-12 자화전자(주)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TWI457693B (zh) * 2013-05-10 2014-10-21 Tdk Taiwan Corp 光學影像防震裝置
KR102144490B1 (ko) * 2013-07-17 2020-08-1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8805176B1 (en) * 2013-07-01 2014-08-12 Silitech Technology Corp. Auto-focus driving structure
EP2887514B1 (en) * 2013-12-23 2020-06-24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US10114229B2 (en) * 2014-01-02 2018-10-30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same
KR102159746B1 (ko) * 2014-01-28 2020-09-2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EP3848742B1 (en) * 2014-03-05 2024-04-10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653247B1 (ko) * 2014-03-06 2016-09-01 주식회사 하이소닉 자동 초점 조절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 액추에이터
JP2015175879A (ja) * 2014-03-13 2015-10-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及び撮像装置
EP3070514B1 (en) * 2015-03-19 2020-01-15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camera module and mobile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631961B1 (ko) * 2015-11-02 2024-01-3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24647A1 (en) 2023-10-12
US10656374B2 (en) 2020-05-19
US20200241237A1 (en) 2020-07-30
CN113448055A (zh) 2021-09-28
US11726294B2 (en) 2023-08-15
KR20170050946A (ko) 2017-05-11
CN108292022A (zh) 2018-07-17
EP4325268A2 (en) 2024-02-21
KR102631961B1 (ko) 2024-01-31
US20180321459A1 (en) 2018-11-08
CN108292022B (zh) 2021-07-09
EP3373058A1 (en) 2018-09-12
WO2017078328A1 (ko) 2017-05-11
CN113448055B (zh) 2024-03-19
EP4325268A3 (en) 2024-04-24
US20210223505A1 (en) 2021-07-22
CN113448054A (zh) 2021-09-28
US10996427B2 (en) 2021-05-04
EP3373058A4 (en) 2018-12-26
EP3373058B1 (en) 2024-02-07
CN113448054B (zh) 2024-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961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95266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4304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7258076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含むカメラモジュール
KR2022010673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44217B1 (ko) 렌즈 구동 장치
KR10220903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59545B1 (ko) 렌즈 구동 장치
KR102617336B1 (ko) 렌즈 구동 장치
KR102391890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98330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079331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638228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55999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20014911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