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2748A -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2748A
KR20240012748A KR1020220090102A KR20220090102A KR20240012748A KR 20240012748 A KR20240012748 A KR 20240012748A KR 1020220090102 A KR1020220090102 A KR 1020220090102A KR 20220090102 A KR20220090102 A KR 20220090102A KR 20240012748 A KR20240012748 A KR 202400127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ice cooker
water
outer pot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0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이용희
신대기
유세동
이영환
이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90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748A/ko
Publication of KR20240012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27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은, 외솥 및 상기 외솥의 내측에 안착되는 내솥이 구비된 밥솥을 포함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밥의 취사를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메뉴에 해당되는 밥의 재료를 상기 내솥에 공급하고, 물을 상기 외솥과 상기 내솥으로 공급하여 밥의 취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밥을 취사하는 단계; 및 상기 완성된 밥에 대한 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OF A RICE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 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보온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밥솥은 취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을 위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식탁 또는 수납장의 레일 선반 등에 놓인 상태에서 작동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18-0000128호에는 “전기압력밥솥”이 개시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밥을 취사하기 위해 사용자는 밥의 재료와 물을 솥에 넣은 후 밥솥을 직접 작동한다. 사용자는 밥의 취사를 위해 밥의 재료와 물을 직접 솥에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밥을 취사하는 과정에서 밥솥에 미리 설정된 작동방법으로 밥을 짓기에, 사용자가 원하는 밥의 맛을 제공하는 것에 제한이 있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솥으로 공급되는 밥의 재료와 물의 공급량에 따라 밥의 맛이 결정되므로, 사용자가 밥의 재료에 대응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완성되는 밥의 맛을 조절할 수 있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하게 밥을 취사할 수 있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이 수용되는 외솥과 상기 외솥의 내측에 안착되는 내솥을 가지는 밥솥을 포함하여, 밥을 지을 시 밥의 맛을 조절할 수 있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을 지을 내솥과 상기 내솥으로 수분을 공급하는 외솥을 가지는 밥솥을 포함하여, 밥을 지을 시 밥의 찰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솥이 안착되는 밥솥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밥솥스테이션이 상기 밥솥의 밥솥뚜껑을 개폐할 수 있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택된 메뉴에 해당되는 밥의 재료와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밥을 취사할 수 있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완성된 밥에 대한 평가 정보를 획득하여, 완성된 밥이 사용자의 취향에 적합하게 밥솥장치의 설정값을 조절할 수 있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밥의 취사가 가능하고, 밥의 재료와 물이 자동으로 공급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밥의 맛을 사용자의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밥의 찰기를 조절 가능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사용자들의 입맛에 대응할 수 있는 밥을 완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완성된 밥을 제공하므로, 사용자의 식감을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시점에 완성된 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밥의 재료에 대응하여 밥의 취사를 적합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밥솥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솥과 내솥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로 밥이 지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솥에 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솥에 밥의 재료와 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로 밥을 짓기 위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도 11은 도 10의 메뉴 선택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12는 도 10의 취사 준비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도 10의 취사 진행 및 종료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는 밥솥스테이션(10)과 밥솥(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40)은 상기 밥솥스테이션(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은 상기 밥솥(4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은 상기 밥솥(40)으로 쌀, 잡곡 등 밥의 재료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밥솥(40)이 장착된 밥솥스테이션(10)은 테이블, 식탁 등에 놓인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은 베이스(11)와, 스탠드(13)와, 회전바디(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는 상기 베이스(11)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는 받침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에 상기 밥솥(40), 상기 스탠드(13), 상기 회전바디(15)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의 상측에 상기 밥솥(40)과 상기 스탠드(13)가 함께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는 일정한 높이(height)를 가지며, 너비(width) 방향보다 길이(length) 방향의 길이가 긴 타원,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베이스(11)의 상측에 상기 밥솥(40)과 상기 스탠드(13)가 함께 놓이도록, 일정한 높이와 직경을 가지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11)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는 상기 밥솥(40)이 놓이는 밥솥안착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안착홈(111)에는 상기 밥솥(40)의 밥솥본체(5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밥솥안착홈(111)은 상기 베이스(11)의 상면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밥솥안착홈(111)은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솥안착홈(111)에 상기 밥솥본체(50)가 안착되면, 상기 밥솥(40)과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이 서로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밥솥(40)이 상기 밥솥안착홈(111)에 안착되면, 상기 밥솥스테이션(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밥솥(40)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는 상기 베이스(11)의 상면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13)는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의 상단은 상기 회전바디(1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는 상기 베이스(11)에 상기 밥솥(40)이 안착될 시 상기 밥솥(40)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의 높이는 상기 밥솥(40)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가 상기 밥솥(40)보다 큰 높이를 가지므로 상기 회전바디(15)가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밥솥(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는 회전가이드삽입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은 상기 회전바디(15)의 회전가이드(151)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일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은 상기 스탠드(13)의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가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로부터 분리 시 상기 스탠드(13)로부터 상기 회전바디(15)를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에 대해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스탠드(13)의 내부에 상기 회전가이드(15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가이드(151)가 회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너비 방향보다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긴 타원,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탠드(1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밥솥(40)으로 쌀, 잡곡 등 밥의 재료와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바디(15)에는 재료저장통(27), 물저장통(28), 물공급부(2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27)은 내부에 밥의 재료가 저장되고, 상기 물저장통(28)은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27)은 상기 밥의 재료가 통과하는 재료저장통개구(271)가 포함되고, 상기 물저장통(28)은 상기 물이 통과하는 물저장통개구(28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밥솥(40)의 상방에 위치하거나 상기 밥솥(40)의 상방에서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회전가이드(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와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회전바디(15)가 상기 스탠드(13)에 대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 일측은 상기 회전바디(15)의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가이드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52)는 후술할 후크부(20)가 통과하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후크부(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을 전방으로, 우측을 후방으로, 상측을 상방으로, 하측을 하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후크부(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에서 상기 회전바디(15)의 전방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재료통과홀(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통과홀(153)은 상기 재료저장통(27)으로부터 공급된 밥의 재료가 통과하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통과홀(153)은 상기 가이드홀(152)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재료통과홀(153)은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가 상기 밥솥(40)의 상방에 위치할 때, 상기 재료통과홀(153)과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밥솥(40)의 사영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재료통과홀(153)과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밥솥(40)에 구비된 내솥(54)의 사영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출수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는 상기 재료통과홀(15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의 후방에는 상기 회전가이드(15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는 상기 물저장통(28)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통과하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의 내부에는 후술할 유출배관(267)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바디커버(1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159)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에 형성된 구멍은 상기 회전바디(15)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구성들을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한 개구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재료저장통안착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안착부(17)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료저장통안착부(17)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안착부(17)의 상측 단부로 상기 재료저장통(27)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안착부(17)의 하측 단부에는 재료저장통삽입구(17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27)의 재료저장통개구(271)는 상기 재료저장통삽입구(17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물저장통안착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상명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의 상측 단부로 상기 물저장통(28)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의 하측 단부에는 후술할 물공급부(26)의 수조(261)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의 상면에서, 상기 바디커버(159)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전방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재료저장통안착부(17)는 상기 바디커버(159)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는 상기 재료저장통안착부(17)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의 내부공간에는 후크부(20)를 조작하기 위한 후크승강부(21), 후크회전부(22), 후크이송부(2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부(21), 상기 후크회전부(22), 상기 후크이송부(23)는 상기 후크부(20)에 직접/간접으로 연결되어, 상기 후크부(20)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후크승강부(21)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후크회전부(2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후크이송부(23)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밥솥(40)의 밥솥뚜껑(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밥솥뚜껑(60)이 상기 밥솥(40)의 밥솥본체(50)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밥솥뚜껑(60)에 상기 후크부(20)가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후크바(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바(20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봉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후크바(201)는 원통의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바(201)의 상부는 상기 회전바디(15)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후크바(201)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홀(152)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회전후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202)는 상기 밥솥뚜껑(60)의 후크장착홀(60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20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밥솥뚜껑(60)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거나, 상기 밥솥뚜껑(60)에 상기 후크부(20)가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202)는 상기 후크바(201)의 하단에서 양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후크(202)는 상기 후크바(201)의 하단에서 상기 후크바(201)에 대한 수직한 방향 또는 상기 후크바(20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후크(202)를 하방에서 바라보면 장방형 타원,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바(201)와 상기 회전후크(202)를 측방에서 바라보면 거꾸로 배치된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후크승강기어(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기어(203)는 상기 후크바(201)의 외주면에 제공되며, 상기 후크바(201)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기어(203)는 후크승강부(21)의 승강기어(212)와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크승강기어(203)는 상기 후크바(201)의 외주면에 스크류로 제공되거나, 상기 후크바(201)의 외주면에 래크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후크바(201)는 후크회전부(22)에 의해 회전하므로 상기 후크승강기어(203)는 스크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회전축삽입홀(2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삽입홀(204)는 후크회전부(22)의 회전축(22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삽입홀(204)은 상기 후크바(201)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회전축(222)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삽입홀(204)에 삽입된 회전축(222)에 의해 상기 후크바(201)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바(201)에서 상기 회전축삽입홀(204)은 상기 후크승강기어(20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부(21)는 상기 후크부(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부(21)는 승강모터(211)와, 상기 승강모터(211)에 의해 회전하는 축에 연결된 승강기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211)는 상기 승강기어(21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어(212)는 상기 후크승강기어(20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어(21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후크부(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부(22)는 상기 후크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부(22)는 회전모터(221)와, 상기 회전모터(22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22)과, 상기 회전모터(221)가 수용되는 모터하우징(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22)은 상기 회전축삽입홀(20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2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후크부(20)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223)은 상기 후크이송부(23)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223)은 상기 회전모터(22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부(22)는 상기 후크부(20)를 초기 위치인 0도에서 제1회전각도까지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부(22)는 상기 제1회전각도에서 제2회전각도까지 더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을 상기 밥솥본체(50)에 잠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각도는 상기 제1회전각도보다 큰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각도에 상기 후크부(20)가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잠금 해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각도에 상기 후크부(20)가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고정 상태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초기 위치인 0도에 상기 후크부(20)가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해제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후크이송부(23)는 상기 후크승강부(21)와, 상기 후크회전부(22)와, 상기 후크부(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이송부(23)는 이동모터(231)와, 상기 이동모터(231)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동기어(232)와, 상기 이동기어(232)와 연결되는 후크이동래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어(23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후크이동래크(23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이동래크(233)에 상기 모터하우징(223)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이동래크(233)가 상기 이동기어(23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후크승강부(21) 및 상기 후크회전부(2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의 내부공간에는 재료공급부(25)와, 물공급부(2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는 상기 재료저장통(27)에 저장된 밥의 재료를 상기 밥솥(4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물저장통(28)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밥솥(4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는 상기 재료저장통안착부(17)와 상기 재료통과홀(153)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와 상기 출수구(154)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는 공급부본체(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본체(251)는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공간(252)과, 상기 회전공간(252)의 상부와 연통되는 재료투입구(253)와, 상기 회전공간(252)의 하부와 연통되는 재료배출구(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투입구(253)는 상기 재료저장통삽입구(17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재료배출구(254)는 상기 재료통과홀(153)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재료투입구(253)는 상기 공급부본체(251)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재료배출구(254)는 상기 공급부본체(25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공간(25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는 상기 회전공간(252)에서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256)와,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256)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체바디(2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바디(257)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축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는 설정된 회전 각도로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25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256)는 상기 회전체바디(257)의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는 설정된 각도로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밥솥(40)으로 공급되는 밥의 재료가 수용되며,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25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설정된 양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바디(257)에 고정된 회전블레이드(256)의 단부는 상기 회전공간(252)의 내면에 접촉되거나 밀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256)의 단부와 상기 회전공간(252)의 내면 사이로 상기 밥의 재료가 통과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물저장통(28)으로부터 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제공받은 물을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에 연결되는 수조(2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261)는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261)는 수조입구(262)와 수조출구(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입구(262)는 상기 수조(261)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출구(263)는 상기 수조(26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입구(262)는 상기 물저장통삽입구(18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수조(261)는 상기 수조입구(262)로 유입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수조출구(263)는 후술할 펌프(260)의 흡입측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261)에 저장된 물이 상기 펌프(26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펌프(260)와, 상기 펌프(260)에 연결되는 배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260)는 상기 물저장통(28)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펌프(260)는 상기 회전바디(15)의 내부공간과 상기 회전가이드(15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의 배관들에는 유입배관(264)과, 연결배관(266)과, 유출배관(26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배관들에 연결되는 밸브(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배관(264)은 상기 펌프(260)의 흡입측과 상기 수조출구(26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266)은 상기 밸브(265)의 입구측과 상기 펌프(260)의 토출측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267)은 상기 밸브(265)의 출구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출수구(154)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267)은 상기 출수구(154)를 향해 적어도 일부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267)은 상기 출수구(154)의 내측에 위치하여, 물이 상기 밥솥(40)을 향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밸브(265)와 상기 펌프(260)를 이용하여 상기 유출배관(267)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과 물의 토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밸브(265)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밥솥(40)은 밥솥본체(50)와 밥솥뚜껑(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에는 외솥(52)과 내솥(54)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상기 외솥(52)과 상기 내솥(54)이 수용된 밥솥본체(5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는 외솥안착홈(5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안착홈(501)에는 상기 외솥(52)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솥안착홈(501)은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는 밥솥손잡이(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손잡이(502)는 상기 밥솥본체(50)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밥솥손잡이(502)는 상기 밥솥본체(50)의 외면 양측에 복수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상기 밥솥본체(50)를 운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는 상기 외솥(52)으로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부는 제1가열부(504)와 제2가열부(5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504)는 상기 외솥안착홈(501)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가열부(505)는 상기 외솥안착홈(501)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가열부(504)와 상기 제2가열부(505)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가열부가 상기 외솥안착홈(501)의 하방에서 측방까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열부(504)와 상기 제2가열부(505)는 인덕션 히터(IH)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504)와 상기 제2가열부(505)는 상기 밥솥스테이션(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는 외솥감지부(5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감지부(507)는 상기 외솥안착홈(501)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솥감지부(507)는 상기 외솥안착홈(501)에 상기 외솥(52)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외솥안착홈(501)에 상기 외솥(52)이 안착되면, 상기 외솥(52)의 저면이 상기 외솥감지부(507)를 가압하므로 상기 외솥감지부(507)가 상기 외솥(52)의 안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는 밥솥받침대(5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받침대(509)는 상기 밥솥본체(5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솥받침대(509)는 상기 밥솥안착홈(11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밥솥받침대(509)가 상기 밥솥안착홈(111)에 안착되면, 상기 밥솥(40)과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밥솥받침대(509)가 상기 밥솥안착홈(111)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밥솥받침대(509)와 상기 밥솥안착홈(111) 각각에는 무선 전원 송신기와 무선 전원 수신기, 커넥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상기 후크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상기 후크부(20)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구(601)와, 상기 후크부(20)가 삽입되는 후크장착홀(6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구(601)와 상기 후크장착홀(603)은 상기 밥솥뚜껑(6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구(601)를 통해 밥을 취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후크장착홀(603)은 상기 후크부(20)의 회전후크(20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후크장착홀(603)은 상기 회전후크(20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후크(202)가 타원으로 형성 시, 상기 후크장착홀(603)도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202)는 상기 후크장착홀(603)을 통과한 후 상기 밥솥뚜껑(6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후크장착홀(603)과 상기 회전후크(202)가 교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크장착홀(603)과 상기 회전후크(202)가 교차되면, 상기 회전후크(202)가 상기 후크장착홀(603)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후크장착홀(603)과 상기 회전후크(202)가 평행하면, 상기 후크장착홀(603)로부터 상기 회전후크(202)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외솥커버(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커버(61)는 상기 밥솥뚜껑(6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저면이 상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외솥커버(61)가 수용될 수 있는 내측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솥커버(61)는 상기 외솥(52)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이 상기 밥솥본체(50)에 결합 시 상기 외솥커버(61)가 상기 외솥(52)의 상면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실링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62)는 상기 외솥커버(61)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62)는 상기 외솥커버(61)와 상기 외솥(52)의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외솥커버(61)와 상기 외솥(52)이 상기 실링부(62)에 의해 밀폐되므로, 취사 시 상기 외솥(52)의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회전잠금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63)는 상기 외솥커버(61)와 상기 밥솥뚜껑(6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의 내측공간에는 상기 회전잠금부(63)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잠금부(63)의 내측에 상기 외솥커버(6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63)는 회전에 의해 상기 외솥(52)의 잠금리브(52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63)는 상기 잠금리브(522)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커버잠금리브(6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63)는 상기 후크장착홀(603)에 삽입된 회전후크(20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후크(202)가 정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회전잠금부(63)도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리브(522)와 상시 커버잠금리브(631)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202)가 역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회전잠금부(63)도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리브(522)와 상기 커버잠금리브(631)가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에 기초하여 상기 밥솥뚜껑(60)의 개방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밥솥뚜껑(60)의 폐쇄 상태는 상기 개방 상태의 역순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을 개방 시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고정 상태에서 상기 후크승강부(21)가 상기 밥솥뚜껑(60)을 상방으로 이동 후 상기 후크이송부(23)가 상기 밥솥뚜껑(6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재료공급부(25)와 상기 물공급부(26)를 통해 밥의 재료와 물을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이 개방되면, 완성된 밥을 취식할 수 있다.
상기 내솥(54)에 상기 밥의 재료와 물이 공급되고, 상기 외솥(52)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밥솥뚜껑(60)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완성된 밥을 미취식할 경우에 상기 밥솥뚜껑(60)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을 폐쇄 시 상기 후크이송부(23)가 상기 밥솥뚜껑(60)을 후방으로 이동 후 상기 후크승강부(21)가 상기 밥솥뚜껑(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이 상기 밥솥본체(50)를 커버하면, 상기 후크회전부(22)가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을 걸림 고정 상태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와, 상기 밥솥뚜껑(60)이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가 회전 시 상기 밥솥(40) 또는 상기 밥솥본체(50)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밥솥(40)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회전바디(15)에는 재료저장통안착부(17), 재료공급부(25), 재료통과홀(153)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안착부(17)가 복수로 제공되면, 서로 다른 밥의 재료를 담은 재료저장통(27)을 장착하여, 다양한 밥을 취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밥솥스테이션(10)과 상기 밥솥(40)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밥솥스테이션(10)에 구비되며, 상기 밥솥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크승강부(21), 상기 후크회전부(22), 상기 후크이송부(23), 상기 재료공급부(25), 상기 물공급부(26),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단말기, 서버 등과 통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작동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신호를 상기 단말기, 서버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밥솥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디스플레이, 버튼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밥솥스테이션(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의 조작부는 상기 바디커버(159)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밥솥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솥과 내솥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밥솥본체(50)에는 외솥(52)과 내솥(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은 상기 밥솥본체(50)의 외솥안착홈(50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기 외솥(5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의 내측에는 외솥내부공간(S1)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은 저면을 형성하는 외솥저면(524)과, 측면을 형성하는 외솥측면(5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측면(521)의 상단에는 잠금리브(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리브(522)는 상기 외솥측면(521)의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외솥측면(521)의 상단이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리브(522)는 상기 외솥측면(521)의 상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솥저면(524)은 상기 제1가열부(504)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외솥측면(521)은 상기 제2가열부(505)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은 외솥돌출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돌출부(523)는 상기 외솥저면(524)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솥돌출부(523)는 상기 외솥저면(524)의 중심 또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솥돌출부(523)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 상기 외솥저면(524)에는 내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후술할 내솥함몰부(54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기 외솥내부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기 외솥(52)의 외솥저면(52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의 내측에는 내솥내부공간(S2)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저면을 형성하는 내솥저면(542)과, 측면을 형성하는 내솥측면(5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저면(542)은 상기 외솥저면(52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의 높이는 상기 외솥(5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외솥(52)이 상기 외솥커버(61)에 의해 커버되면, 상기 내솥(54)의 높이와 상기 외솥(52)의 높이 차이에 의해 상기 외솥내부공간(S1)과 상기 내솥내부공간(S2)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내솥함몰부(5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함몰부(543)는 상기 내솥저면(542)의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저면(542)에는 상기 내솥함몰부(543)에 의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함몰부(543)는 상기 외솥돌출부(52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솥함몰부(543)와 상기 외솥돌출부(523)는 서로 대응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기 내솥함몰부(543)와 상기 외솥돌출부(523)에 의해 상기 외솥(52)의 내부에서 설정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솥내부공간(S2)에는 밥의 재료와 물이 수용되고, 상기 외솥내부공간(S1)에는 상기 내솥(54)과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의 내측에 상기 내솥(54)이 안착되면, 상기 외솥측면(521)과 상기 내솥측면(541)의 사이에는 사이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솥(54)이 상기 외솥(52)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솥측면(541)과 상기 외솥측면(521)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공간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로 밥이 지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에 밥의 취사를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밥솥(40)이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밥솥(40)의 내솥(54)에는 밥의 재료와 물이 공급된 상태이고, 상기 밥솥(40)의 외솥(52)에는 물이 공급된 상태이고, 밥솥뚜껑(60)이 밥솥본체(50)에 잠금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에 밥의 재료와 물이 미 공급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밥솥장치는 상기 밥솥뚜껑(60)을 개방하여 상기 밥의 재료와 물을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에 공급 후 상기 밥솥뚜껑(60)을 잠금 상태가 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먼저 가열부가 작동하여 상기 외솥(52)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은 제1가열부(504)와 제2가열부(505)에 의해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504)와 상기 제2가열부(505)의 온도를 동일하게 조절하거나, 둘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외솥(52)이 가열되면, 상기 외솥(52)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솥(54)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의 저면은 상기 외솥(52)의 저면에 접촉되어 있기에 전도에 의해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의 측면은 상기 외솥(52)의 측면과 이격되어 있기에 대류, 방사에 의해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기 외솥(52)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내솥(54)에 수용된 밥의 재료와 물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이 가열되면, 상기 외솥(52)과 상기 내솥(54)의 사이공간에 위치하는 물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에서 발생된 증기는 외솥내부공간(S1)과 연통된 내솥내부공간(S2)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이 가열되어 상기 밥의 재료와 물이 취사되는 과정에서 상기 사이공간에서 발생된 증기가 추가 공급되므로 완성되는 밥의 찰기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외솥커버(61)에 의해 외솥(52)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외솥내부공간(S1)과 상기 내솥내부공간(S2)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설정된 압력까지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밥의 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밥을 만드는 방법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솥(52)에서 상기 내솥(54)으로 전달되는 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솥(52)의 내측에 상기 내솥(54)을 설치하기 위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솥에 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솥에 밥의 재료와 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밥솥뚜껑(6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을 커버하는 밥솥뚜껑(60)에 후크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와 상기 밥솥뚜껑(60)이 연결되면,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후크부(20)에 의해 상기 밥솥본체(50)에서 상방을 향해 이동 후 밥솥스테이션(10)의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이 이동하면, 상기 밥솥본체(50)의 내측에 수용된 외솥(52)과 상기 외솥(52)의 내측에 수용된 내솥(54)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의 회전바디(15)가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바디(15)의 재료통과홀(153)과 출수구(154)는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출수구(154)는 적어도 상기 외솥(52)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재료통과홀(153)은 상기 내솥(54)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는 물공급부(26)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통과하고, 상기 재료통과홀(153)은 재료공급부(25)에 의해 공급되는 밥의 재료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물저장통(28)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상기 재료공급부(25)는 재료저장통(27)으로부터 밥의 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밥을 취사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부(26)를 작동하여 상기 외솥(52)을 향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솥(52)의 측면과 상기 내솥(54)의 측면 사이에 정의되는 사이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은 상기 외솥내부공간(S1)의 일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은 미리 설정된 공급량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펌프(260)와 밸브(265)를 통해 상기 유출배관(267)으로 토출되는 물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솥(52)을 향해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밥의 찰기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에 설정된 공급량의 물을 공급한 후, 상기 재료공급부(25)와 상기 물공급부(26)를 통해 상기 내솥(54)에 밥의 재료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는 회전블레이드(256)를 회전하여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의 사이로 수용된 밥의 재료를 상기 재료통과홀(153)을 향해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설정된 공급량으로 밥의 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블레이드(256)의 회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공급량을 상기 내솥(54)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미리 설정된 1인분에 해당하는 밥의 재료 또는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밥의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25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밥의 재료는 상기 재료통과홀(153)을 통과한 후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내솥(54)으로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의 사이각도가 60도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2인분의 밥을 취사할 경우, 상기 회전블레이드(256)는 120도를 회전하여 2인분에 해당되는 밥의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를 통해 상기 밥의 재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공급부(26)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밥의 재료를 향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유출배관(267)의 일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토출되는 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밥의 재료를 향해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펌프(260)와 상기 밸브(265)를 통해 물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여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통과홀(153)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이동경로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선(1점쇄선)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267)을 통해 하향 경사지게 토출되는 물의 이동경로는 상기 출수구(154)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상선(점선)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가 이동하는 가상선과 상기 물이 이동하는 가상선은 교차첨(P)에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밥의 재료와 상기 물이 서로 접촉되며, 상기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밥의 재료가 상기 내솥(54)의 저면으로 넓게 퍼질 수 있다. 상기 교차점은 상기 내솥(54)의 저면에서 상기 내솥(54)의 상단 사이에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물과 상기 밥의 재료가 상기 교차점에서 교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내솥(54)의 저면에서 상기 밥의 재료가 쌓인 높이가 상기 내솥(54)으로 공급된 물의 수위보다 높아서 상기 밥의 재료 일부가 밥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공급부(26)에서 공급되는 물과 상기 재료공급부(25)에서 공급되는 밥의 재료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여 상기 밥의 재료가 쌓인 높이가 공급된 물의 수위보다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에 물과 밥의 재료에 대한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밥솥장치는 상기 밥솥뚜껑(60)을 폐쇄하여 밥의 취사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을 폐쇄 시 상기 밥솥뚜껑(60)은 상기 후크이송부(23)와 상기 후크승강부(21)에 의해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후크회전부(22)에 의해 상기 밥솥뚜껑(60)을 상기 밥솥본체(50)에 잠금되도록 한 후 밥의 취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로 밥을 짓기 위한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밥솥장치가 작동하여 밥을 지을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밥솥장치에 밥을 짓기 위한 메뉴 선택 단계(S1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메뉴 선택 단계는, 밥의 양과, 밥의 맛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밥솥장치에 구비되는 조작부를 조작하거나,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밥솥장치로 작동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밥솥 또는 상기 밥솥스테이션에 구비될 수 있다.
메뉴 선택 단계에서 선택이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밥의 취사 준비 단계(S2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취사 준비 단계는 상기 밥솥장치가 메뉴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밥의 맛과 밥의 양에 대응하는 밥의 재료와 물을 밥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취사 준비 단계에서 상기 밥솥장치는 상기 밥의 재료와 상기 물을 밥솥의 내솥과 외솥으로 공급하기 위해 밥솥뚜껑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취사 준비 단계에서 상기 밥솥장치는 상기 밥의 재료와 상기 물의 공급이 완료된 후 개방된 밥솥뚜껑으로 밥솥본체를 폐쇄하고, 상기 밥솥뚜껑이 상기 밥솥본체에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
취사 준비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밥의 취사 진행 및 종료 단계(S3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취사 진행 및 종료 단계는 취사 진행 단계와 취사 종료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취사 진행 단계는 밥솥장치가 밥의 취사를 시작하는 시점에서 진행되는 단계이고, 상기 취사 종료 단계는 밥솥장치가 밥의 취사가 종료되는 시점에서 진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취사 진행 단계는 취사 준비가 완료된 밥솥장치를 작동하여 사용자가 메뉴 선택 단계에서 선택한 밥의 맛과 밥의 양으로 밥을 조리할 수 있다. 상기 취사 진행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취사 종료 단계가 될 수 있다. 상기 취사 종료 단계는 밥의 취사가 완료된 후 사용자가 밥을 취식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취사 진행 및 종료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밥을 취식하는 사용자에게 평가 단계(S40)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단계는 사용자가 취식하는 완성된 밥의 맛과 밥솥장치가 제공하는 밥의 맛에 대한 평가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 또는 밥솥장치에 구비된 조작부를 통해 상기 평가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밥솥장치의 메뉴 선택 단계를 선택하면, 상기 밥솥장치는 미리 저장된 설정값으로 완성된 밥의 맛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평가 정보로 상기 밥솥장치에 저장된 저장값을 변경하기 위한 수정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평가 단계로 수집되는 평가 정보로 상기 밥솥장치에 미리 저장된 설정값을 수정값으로 변경할 수 있다.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밥의 재료에 대한 공급량과, 내솥과 외솥 각각에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 내솥과 외솥의 내부압력, 밥의 재료가 물에 담기는 침지시간, 가열부의 가열시간, 뜸 들이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물의 공급량, 내솥과 외솥의 내부압력, 밥의 재료가 물에 담기는 침지시간, 가열부의 가열시간, 가열부의 가열온도, 뜸 들이는 시간은 상기 밥솥장치에 미리 저장된 설정값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평가 단계를 통해 상기 밥솥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밥의 맛에 대한 평가 정보를 획득받고, 상기 밥솥장치의 설정값을 수정값으로 변경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밥의 맛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메뉴 선택 단계, 상기 취사 준비 단계, 상기 취사 진행 및 종료 단계 각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도 10의 메뉴 선택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메뉴 선택 단계가 진행되면, 밥의 재료 선택 단계(S101)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 선택 단계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취향에 해당되는 밥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저장통과 재료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재료저장통과 재료공급부는 서로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밥솥장치는 쌀과 잡곡을 공급하는 복수의 재료저장통과 재료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 선택 단계에서 사용자는 쌀, 잡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고, 상기 복수의 재료공급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밥의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밥의 재료 선택 단계가 완료되면, 밥의 용량 선택 단계(S102)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밥의 용량 선택 단계에서 사용자는 완성하고자 하는 밥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밥의 양은 완성될 밥의 양을 n인분으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미리 저장된 설정값으로 밥의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상기 재료공급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와 회전체바디를 회전하여 설정값으로 밥의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설정된 밥의 공급량은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의 사이공간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설정된 밥의 공급량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의 설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회전블레이드설치홈이 상기 회전체바디에 더 형성될 필요가 있다.
밥의 용량 선택 단계가 완료되면, 밥의 맛 선택 단계(S103)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밥의 맛은 완성될 밥의 형상에 따라 진밥(질게 지어진 밥), 된밥(물기가 적게 지어진 밥), 선밥(충분히 익지 않은 밥, 고두밥), 탄밥(까많게 탄 밥, 누룽지)으로 나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완성될 밥의 형상에 따라 나뉘는 진밥, 된밥, 선밥, 탄밥을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완성될 밥의 형상에 따라 나뉘는 밥의 종류를 선택한 후, 선택된 밥의 종류에 밥의 찰기를 추가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밥의 맛을 조절하기 위해 공급되는 수분을 조절하여 밥의 찰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의 맛을 조절하기 위해 완성될 밥의 형상에 따라 내솥으로 공급되는 밥의 재료에 따라 공급될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의 맛을 조절하기 위해 외솥을 가열하는 가열부의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의 맛을 조절하기 위해 밥의 재료가 물에 잠기는 취반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의 맛을 조절하기 위해 외솥으로 공급될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밥이 지어지는 내솥으로 공급될 수 있는 증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의 맛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내솥과 외솥의 내부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내부압력을 조절하는 릴리즈 밸브의 작동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릴리즈 밸브는 밥솥뚜껑에 구비되어 증기배출구로 배출되는 증기의 유동 여부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뉴 선택 단계에서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메뉴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취사 준비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메뉴 선택 단계에서 선택이 완료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메뉴 선택 단계를 재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0의 취사 준비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취사 준비 단계가 진행되면, 밥솥장치는 밥솥뚜껑을 개방하는 단계(S201)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밥솥뚜껑을 밥솥본체로부터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을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개방하기 위해 상기 밥솥장치는 상기 밥솥뚜껑에 연결되는 후크부를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상기 후크부를 상기 밥솥뚜껑에 연결하여, 상기 밥솥뚜껑을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밥솥뚜겅을 개방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설정된 공급량으로 내솥에 밥의 재료를 공급하는 단계(S202)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는 밥이 지어질 내솥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재료공급부의 회전블레이드를 회전시켜서 메뉴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밥의 양으로 밥의 재료를 밥이 지어질 내솥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밥의 양에 따라 회전블레이드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공급될 밥의 재료에 대한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밥의 재료를 공급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내솥과 외솥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준비 단계(S203)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준비 단계는 메뉴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내솥과 외솥으로 공급될 물의 공급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준비 단계는 물공급부를 통해서 공급될 수 있는 물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를 통해 공급될 물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의 교체 시점이 도달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물을 공급하기 위한 준비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물의 공급량에 대한 조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04)를 진행할 수 있다. 조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내솥과 외솥 각각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의 조절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상기 내솥과 외솥 각각으로 공급될 물의 공급량을 미리 설정된 설정값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설정값은 밥의 양과 밥의 맛의 조절에 따라 미리 설정된 초기 설정값 일 수 있다. 상기 초기 설정값은 실험에 의해 도출될 수 있다. 조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초기 설정값에서 변경된 조절값으로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물의 공급량의 조절이 필요하면, 밥솥장치는 과거 작동에서 획득한 평가 단계의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내솥과 외솥 각각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물을 공급하는 단계(S205)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초기 설정값에서 변경된 조절값으로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상기 내솥 및 외솥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조절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물의 공급량의 조절이 필요하지 않으면, 밥솥장치는 초기 설정값에 기초하여 내솥과 외솥 각각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물을 공급하는 단계(S206)를 진행할 수 있다.
내솥과 외솥으로 물이 공급 시 물공급부는 외솥에 물을 우선 공급한 후 내솥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외솥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외솥의 측면과 상기 내솥의 측면 사이로 정의되는 사이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내솥으로 공급되는 물은 내솥에 이미 공급된 밥의 재료를 향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가 상기 내솥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상기 밥의 재료가 상기 내솥의 저면에 쌓이게 배치되는데, 상기 내솥으로 공급되는 물에 의해 상기 내솥의 내측에서 상기 밥의 재료가 주변으로 퍼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공급부는 토출되는 물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외솥과 상기 내솥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내솥에 밥의 재료를 공급한 후 외솥과 내솥에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외솥에 물을 공급한 후 내솥에 밥의 재료와 물을 함께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밥의 재료를 공급하는 단계(S202)가 내솥과 외솥 각각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S206) 또는 이전 평가를 반영하여 내솥과 외솥 각각에 물을 공급하는 단계(S205)와 동시에 진행될 수도 있다.
내솥과 외솥 각각에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밥솥뚜껑을 폐쇄하는 단계(S207)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밥솥본체로부터 이격되게 위치한 밥솥뚜껑이 상기 밥솥본체를 향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에 연결된 후크부를 이동시켜 상기 밥솥본체의 개방된 상면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은 상기 후크부에 의해 상기 밥솥본체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 후 상기 밥솥본체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도 13은 도 10의 취사 진행 및 종료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취사 준비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밥솥뚜껑을 잠금하는 단계(S301)를 진행할 수 있다. 밥솥뚜껑이 밥솥본체를 폐쇄한 후 상기 밥솥뚜껑에 연결된 후크부를 작동하여 상기 밥솥뚜껑이 상기 밥솥본체에 잠금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밥솥뚜껑은 상기 밥솥본체에 잠금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후크부의 회전에 의해 밥솥뚜껑의 회전잠금부가 작동하여 외솥의 잠금리브에 상기 회전잠금부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밥솥뚜껑을 잠금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취사를 시작하는 단계(S302)를 진행할 수 있다. 취사가 시작되면, 상기 밥솥장치는 메뉴 선택 단계에서 선택된 정보에 기초하여 밥의 취사를 진행할 수 있다.
밥솥장치는 밥의 재료를 불림하는 단계(S303)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를 불림하는 단계는 밥의 재료에 따라 서로 다른 불림시간(or 침지시간)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쌀과 잡곡 중 잡곡의 불림 시간이 쌀의 불림 시간보다 길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에 대한 불림 시간은 밥의 재료에 따라 서로 다른 불림 시간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밥의 맛을 조절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불림 시간으로 밥의 재료를 불릴 수 있다. 상기 불림 시간이 증가될수록 밥의 재료에 함유되는 수분의 양이 증가되며, 이에 따라 밥의 맛이 조절될 수 있다.
밥의 재료를 불림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가열부를 작동하여 가열하는 단계(S304)를 진행할 수 있다. 밥솥장치는 가열부를 작동하여 외솥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외솥으로 공급되는 열에 의해 내솥과 상기 외솥에 수용된 물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외솥의 저면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와 외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여, 밥을 짓는 과정에서 상기 제1가열부와 제2가열부의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열부는 상기 외솥의 측면을 가열하므로, 상기 외솥의 측면과 상기 내솥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는 물의 증발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외솥의 저면을 가열하여 상기 내솥으로 열을 전달하기에 상기 제1가열부는 연속하게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제1가열부의 가열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외솥과 상기 내솥은 외솥커버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가열부에 의해 밀폐된 내부공간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밀폐된 내부공간은 내솥내부공간과 외솥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내부공간은 밥이 지어는 공간으로 밥의 재료와 물이 수용되어 있고, 가열부에 의해 밥이 지어질 수 있다. 상기 외솥내부공간은 물이 수용되어 있고, 가열부에 의해 물이 증기가 되어 상기 내솥내부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에 의해서 상기 밀폐된 내부공간의 압력이 증가되며, 설정된 압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가열부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밀폐된 내부공간의 압력은 밥솥뚜껑의 증기배출구에 구비되는 릴리즈 밸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는 설정된 시간으로 외솥과 내솥으로 열을 공급하여 밥을 지을 수 있다.
가열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가열된 밥의 재료를 뜸들이는 단계(S305)를 진행할 수 있다. 뜸들이는 단계는 설정된 시간으로 외솥 및 내솥의 열기가 밥의 재료로 고르게 퍼질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뜸들이는 단계는 상기 외솥 및 내솥으로 공급되는 가열부의 열이 밥의 재료 전제로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며, 완성되는 밥의 밥알로 수분이 공급될 수 있다. 완성된 밥으로 공급될 수 있는 수분의 양은 상기 내솥내부공간과 외솥내부공간에 수용된 물에 양에 대응될 수 있다. 뜸을 들이는 시간은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작동할 수 있다. 밥의 맛을 조절하기 위해 뜸을 들이는 시간이 조절될 수 있다.
뜸을 들이는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증기를 배출하는 단계(S306)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증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밥솥뚜껑의 증기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증기를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증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외솥 및 내솥의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외솥 및 내솥의 내부에 남아있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증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상기 증기배출구에 구비되는 릴리즈 밸브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증기를 배출하는 단계는, 고온 및 고압의 증기를 밥솥의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므로, 밥솥장치는 증기 배출 시 사용자에게 증기 배출에 대한 알림을 진행할 수 있다.
증기를 배출하는 단계가 완료되면, 밥솥장치는 취사를 종료하는 단계(S307)를 진행할 수 있다. 취사를 종료하는 단계는 밥솥에서 밥이 완성되는 단계로, 사용자에게 밥의 완성을 알릴 수 있다. 취사를 종료하는 단계는 밥솥장치를 작동하여 사용자가 밥을 취식할 수 있도록 밥의 취식을 준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밥솥장치는 밥솥본체로부터 밥솥뚜껑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솥장치는 후크부를 밥솥뚜껑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솥장치는 밥솥스테이션의 회전바디가 구동부에 의해 회전 가능한 경우에 상기 회전바디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솥장치는 가열부를 보온으로 작동하여 완성된 밥의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10: 밥솥스테이션 20: 후크부
21: 후크승강부 22: 후크회전부
23: 후크이송부 25: 재료공급부
26: 물공급부 27: 재료저장통
28: 물저장통 50: 밥솥본체
52: 외솥 54: 내솥
60: 밥솥뚜껑

Claims (10)

  1. 외솥 및 상기 외솥의 내측에 안착되는 내솥이 구비된 밥솥을 포함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밥의 취사를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메뉴에 해당되는 밥의 재료를 상기 내솥에 공급하고, 물을 상기 외솥과 상기 내솥으로 공급하여 밥의 취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밥을 취사하는 단계; 및
    상기 완성된 밥에 대한 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밥의 취사를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밥솥의 밥솥뚜껑을 밥솥본체로부터 분리하여 개방하는 단계와, 상기 내솥으로 상기 밥의 재료를 설정된 공급량으로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외솥과 상기 내솥으로 상기 물을 설정된 공급량으로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밥솥뚜껑을 상기 밥솥본체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상기 밥솥이 안착되는 밥솥스테이션을 더 포함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으로 상기 물을 공급한 후 상기 내솥으로 물을 공급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으로 상기 물과 상기 밥의 재료를 함께 공급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밥의 취사를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에서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물의 공급량으로 상기 외솥과 상기 내솥으로 물을 공급하며, 상기 평가 정보를 획득하는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솥과 상기 내솥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과 상기 외솥에 상기 밥의 재료와 상기 물의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밥솥뚜껑을 이동하여 상기 밥솥본체를 폐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밥의 취사를 위한 메뉴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밥의 재료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밥의 재료에 대한 공급량을 조절하는 단계와, 완성될 밥의 맛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밥을 취사하는 단계는, 상기 밥의 재료를 불림하는 단계와, 상기 밥솥에 구비되는 가열부를 작동하여 상기 외솥을 가열하는 단계와, 가열된 밥의 재료를 뜸들이는 단계와, 상기 밥솥으로부터 증기를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에 구비되는 가열부를 작동하여 상기 외솥을 가열하는 단계는, 상기 외솥의 저면을 가열하는 제1가열부와, 상기 외솥의 측면을 가열하는 제2가열부의 가열 온도와 가열시간을 조절하여, 상기 외솥의 내측에 안착된 내솥을 가열하면서 상기 내솥으로 증기를 공급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성된 밥에 대한 평가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에는, 상기 완성된 밥에 대한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외솥 및 상기 내솥으로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 내솥과 외솥의 내부압력, 상기 밥솥재료에 대한 침지시간, 가열부의 가열시간 및 가열온도 뜸들이는 시간을 조절하는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20090102A 2022-07-21 2022-07-21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127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102A KR20240012748A (ko) 2022-07-21 2022-07-21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0102A KR20240012748A (ko) 2022-07-21 2022-07-21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2748A true KR20240012748A (ko) 2024-01-30

Family

ID=89715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0102A KR20240012748A (ko) 2022-07-21 2022-07-21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27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216E1 (en) Automatic cooker
US7250587B2 (en) Method for simultaneously toasting bread and steaming
CN1286418C (zh) 加热烹饪装置
JP3835804B2 (ja) 加熱調理器及び加熱調理方法
US20170231430A1 (en) Air Fryer
US6323464B1 (en) Module for producing hot humid air for a proofing or holding operation
WO2017190522A1 (zh) 一种电饭锅
US20030124213A1 (en) Pasta machine
WO2003039308A1 (en) Apparatus for steaming food
JP4194550B2 (ja) 炊飯器
JP2008057801A (ja) 加熱調理器
KR101645564B1 (ko) 회전 드럼식 조리기
CN112806826A (zh) 烹饪器具及其控制方法
KR20240012748A (ko)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CN100353895C (zh) 用于在微波炉中烹煮面食的容器
KR20240009115A (ko) 밥솥장치
AU2021303000B2 (en) Cooking apparatus control method
KR20240019973A (ko) 밥솥장치
KR20210000407A (ko) 다기능 가스 구이기
KR20010084034A (ko) 전기 압력밥솥의 가변식 증기배출장치
KR101019413B1 (ko) 다단으로 구획된 인입출이 가능한 안착수단이 구비된 증기압을 이용한 조리장치
KR20240033370A (ko) 밥솥장치
US20240049910A1 (en) Cooking expansion module
JP6910237B2 (ja) 加熱調理器
KR20240040339A (ko) 밥솥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