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370A - 밥솥장치 - Google Patents

밥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370A
KR20240033370A KR1020220111926A KR20220111926A KR20240033370A KR 20240033370 A KR20240033370 A KR 20240033370A KR 1020220111926 A KR1020220111926 A KR 1020220111926A KR 20220111926 A KR20220111926 A KR 20220111926A KR 20240033370 A KR20240033370 A KR 202400333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er
rice
dispenser
hoo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연
이용희
신대기
유세동
이영환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1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370A/ko
Publication of KR20240033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3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는, 밥의 재료가 저장된 재료저장통이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안착되며, 밥솥본체와 밥솥뚜껑이 구비되는 밥솥;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재료저장통으로부터 투입된 밥의 재료를 상기 밥솥본체로 공급하는 재료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공급부는, 내부에 재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공급부몸체; 상기 재료수용공간으로 상기 밥의 재료가 투입되는 재료투입구; 상기 재료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밥의 재료가 배출되는 재료배출구; 및 상기 재료수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밥의 재료에 대한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재료공급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밥솥장치 {RICE COOK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밥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솥은 밥을 지을 수 있는 취사 기능과, 취사된 밥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보온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밥솥은 취사 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배출을 위해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는 식탁 또는 수납장의 레일 선반 등에 놓인 상태에서 작동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20-0067580호에는 “조리 기구”가 개시된다.
종래기술에는, 물과 쌀을 밥솥으로 공급하여 밥을 짓는 조리 기구가 개시된다. 상세히, 저장 용기에 재료 디스펜서를 장착하고, 재료 디스펜서의 내부로 투입된 쌀을 공급하는 사상이 개시된다.
종래기술에 의하면, 재료 디스펜서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재료 디스펜서의 회전 과정에서 쌀에 전단 응력이 발생되어 쌀이 조각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초기 작동 시 재료 디스펜서의 내부로 투입된 쌀을 배출구로 배출하기 위해 쌀이 투입된 재료 디스펜서를 배출구를 향해 회전시켜야 하므로, 회전모터의 불필요한 소비 전력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재료 디스펜서에 쌀이 부족해지는 상황에서 쌀이 모두 투입되지 않은 재료 디스펜서가 회전하여 밥솥으로 공급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재료 디스펜서에 의해 쌀을 공급하므로 공급되는 쌀의 양을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재료 디스펜서에 저장 용기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저장 용기의 쌀이 재료 디스펜서로 배출되어 재료 디스펜서에 저장 용기가 정확하게 안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재료 용기에 저장된 쌀이 시간이 지날수록 쌀의 상태가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밥의 재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밥의 재료에 손상을 최소화하고, 밥의 재료를 정량으로 항상 공급할 수 있는 밥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밥의 재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작동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밥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밥의 재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공급되는 밥의 재료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밥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밥의 재료를 보충하는 과정에서 저장 용기로부터 밥의 재료가 불필요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밥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장 용기에 보관된 밥의 재료가 장시간 동안 초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밥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재료저장통에 저장된 밥의 재료를 밥솥으로 공급하는 재료공급부를 포함하여, 밥을 지을 시 밥의 재료를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의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수용공간과, 밥의 재료가 투입되는 재료투입구와, 밥의 재료가 배출되는 재료배출구와, 재료수용공간에 배치되어 밥의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조절부를 포함하여, 상기 재료수용공간에 저장된 밥의 재료를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의 재료가 저장되는 재료저장통이 안착되고, 상기 재료저장통으로부터 밥의 재료가 투입되는 저장통삽입구가 구비된 저장통안착부를 재료투입구에 연결하여, 밥의 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추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료저장통의 개구에 장착되는 디스펜서를 포함하여, 재료저장통을 뒤집어도 밥의 재료가 재료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료저장통의 개구에 장착된 디스펜서가 안착되는 디스펜서지지부를 저장통안착부에 형성하여, 디스펜서가 장착된 재료저장통이 저장통안착부에 안착될 시에 밥의 재료가 재료투입구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재료저장통의 개구에 장착된 디스펜서에 탈산소제를 구비하여, 재료저장통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산소에 의해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의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수용공간과, 밥의 재료가 투입되는 재료투입구와, 밥의 재료가 배출되는 재료배출구와, 재료수용공간에 배치되어 밥의 재료를 공급하는 재료공급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수용공간에서 상기 재료공급조절부에 접촉되는 회전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회전하는 재료공급조절부에서 정량인 밥의 재료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의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수용공간과,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안착되는 센서가압부와, 상기 센서가압부를 통해 전달되는 압력으로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와, 무게감지부를 회전가능하게 하는 회전개폐부를 포함하여,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의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수용공간과,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된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와, 무게감지부에서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재료배출구를 개폐하는 재료공급조절부를 포함하여,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의 재료가 수용되는 재료수용공간과,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안착되는 가압판과, 상기 가압판을 통해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와, 상기 무게감지부와 상기 가압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판을 포함하여,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솥본체에 외솥과, 외솥의 내측에 안착되는 내솥을 포함하여, 완성되는 밥의 맛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공급부를 포함하여, 외솥과 내솥 각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밥솥뚜껑을 조작하기 위한 뚜껑조작부를 포함하여, 밥솥뚜껑을 편리하게 잠금 및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방에서 하방을 향해 이동하는 밥의 재료에 대한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밥의 재료를 공급하므로 밥의 재료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료저장통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재료수용공간과 저장통안착부에 수용된 밥의 재료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밥의 재료를 항상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료저장통에 디스펜서를 장착하여, 재료저장통을 저장통안착부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밥의 재료가 불필요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통안착부에 재료저장통이 장착된 상태에서, 재료저장통의 내부에 수용된 산소를 제거하여 밥의 재료가 산소에 의해 상태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급되는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를 감지하고, 공급되는 밥의 재료량을 조절하여 사용자의 니즈에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료저장통을 저장통안착부에 장착 시 밥의 재료가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되고 재료공급조절부에 도달하므로, 재료공급조절부를 작동 시 바로 밥의 재료가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으로 밥의 취사가 가능하고, 밥의 재료와 물이 자동으로 공급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솥과 외솥을 가지는 밥솥 구조를 통해 밥의 찰기를 조절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밥솥본체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솥과 내솥의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로 밥이 지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솥에 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솥에 밥의 재료와 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에 의해 밥의 재료가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료공급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의 부분 확대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사시도.
도 28은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분해도.
도 29는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는 밥솥스테이션(10)과 밥솥(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40)은 상기 밥솥스테이션(1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은 상기 밥솥(40)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은 상기 밥솥(40)으로 쌀, 잡곡 등 밥의 재료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밥솥(40)이 장착된 밥솥스테이션(10)은 테이블, 식탁 등에 놓인 상태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은 상기 밥솥장치의 몸체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은 베이스(11)와, 스탠드(13)와, 회전바디(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는 평판 형상의 플레이트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는 상기 베이스(11)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의 상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는 받침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에 상기 밥솥(40), 상기 스탠드(13), 상기 회전바디(15)가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의 상측에 상기 밥솥(40)과 상기 스탠드(13)가 함께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는 일정한 높이(height)를 가지며, 너비(width) 방향보다 길이(length) 방향의 길이가 긴 타원,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베이스(11)의 상측에 상기 밥솥(40)과 상기 스탠드(13)가 함께 놓이도록, 일정한 높이와 직경을 가지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베이스(11)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는 상기 밥솥(40)이 놓이는 밥솥안착홈(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안착홈(111)에는 상기 밥솥(40)의 밥솥본체(50)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밥솥안착홈(111)은 상기 베이스(11)의 상면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밥솥안착홈(111)은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솥안착홈(111)에 상기 밥솥본체(50)가 안착되면, 상기 밥솥(40)과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이 서로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밥솥(40)이 상기 밥솥안착홈(111)에 안착되면, 상기 밥솥스테이션(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밥솥(40)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는 상기 베이스(11)의 상면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의 하단은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드(13)는 상기 베이스(1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의 상단은 상기 회전바디(1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는 상기 베이스(11)에 상기 밥솥(40)이 안착될 시 상기 밥솥(40)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의 높이는 상기 밥솥(40)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가 상기 밥솥(40)보다 큰 높이를 가지므로 상기 회전바디(15)가 회전에 의하여 상기 밥솥(4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13)는 회전가이드삽입홀(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은 상기 회전바디(15)의 회전가이드(151)가 삽입되기 위한 개구일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은 상기 스탠드(13)의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가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로부터 분리 시 상기 스탠드(13)로부터 상기 회전바디(15)를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에 대해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스탠드(13)의 내부에 상기 회전가이드(151)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가이드(151)가 회전될 수도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정한 높이를 가지며 너비 방향보다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긴 타원,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의 상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탠드(13)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밥솥(40)으로 쌀, 잡곡 등 밥의 재료와 물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바디(15)에는 재료저장통(27), 물저장통(28), 물공급부(2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27)은 내부에 밥의 재료가 저장되고, 상기 물저장통(28)은 내부에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27)은 상기 밥의 재료가 통과하는 저장통개구(271)가 포함되고, 상기 물저장통(28)은 상기 물이 통과하는 물저장통개구(28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밥솥(40)의 상방에 위치하거나 상기 밥솥(40)의 상방에서 멀어지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회전가이드(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내부에 중공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와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 중 적어도 하나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상기 회전가이드삽입홀(1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회전바디(15)가 상기 스탠드(13)에 대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151)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 일측은 상기 회전바디(15)의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가이드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52)는 후술할 후크부(20)가 통과하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후크부(2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을 전방으로, 우측을 후방으로, 상측을 상방으로, 하측을 하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후크부(20)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에서 상기 회전바디(15)의 전방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재료통과홀(15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통과홀(153)은 상기 재료저장통(27)으로부터 공급된 밥의 재료가 통과하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통과홀(153)은 상기 가이드홀(152)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재료통과홀(153)은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가 상기 밥솥(40)의 상방에 위치할 때, 상기 재료통과홀(153)과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밥솥(40)의 사영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재료통과홀(153)과 상기 가이드홀(152)은 상기 밥솥(40)에 구비된 내솥(54)의 사영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출수구(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는 상기 재료통과홀(153)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의 후방에는 상기 회전가이드(15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는 상기 물저장통(28)으로부터 공급된 물이 통과하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의 내부에는 후술할 유출배관(267)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바디커버(1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커버(159)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에 형성된 구멍은 상기 회전바디(15)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구성들을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한 개구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저장통안착부(1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통안착부(17)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의 상측 단부로 상기 재료저장통(27)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의 하측 단부에는 저장통삽입구(171)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27)의 저장통개구(271)는 상기 저장통삽입구(17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물저장통안착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상명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의 상측 단부로 상기 물저장통(28)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의 하측 단부에는 후술할 물공급부(26)의 수조(261)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의 상면에서, 상기 바디커버(159)는 상기 회전바디(15)의 전방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상기 저장통안착부(17)는 상기 바디커버(159)의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는 상기 저장통안착부(17)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의 내부공간에는 후크부(20)를 조작하기 위한 후크승강부(21), 후크회전부(22), 후크이송부(23)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부(21), 상기 후크회전부(22), 상기 후크이송부(23)는 상기 후크부(20)에 직접/간접으로 연결되어, 상기 후크부(20)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후크승강부(21)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후크회전부(2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후크이송부(23)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밥솥(40)의 밥솥뚜껑(6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밥솥뚜껑(60)이 상기 밥솥(40)의 밥솥본체(50)에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밥솥뚜껑(60)에 상기 후크부(20)가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와, 상기 후크승강부(21)와, 상기 후크회전부(22)와, 상기 후크이송부(23)는 뚜껑조작부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후크바(2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바(20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봉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후크바(201)는 원통의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바(201)의 상부는 상기 회전바디(15)의 내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후크바(201)의 하부는 상기 가이드홀(152)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회전후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202)는 상기 밥솥뚜껑(60)의 후크장착홀(60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20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밥솥뚜껑(60)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거나, 상기 밥솥뚜껑(60)에 상기 후크부(20)가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202)는 상기 후크바(201)의 하단에서 양측 방향으로 평행하게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후크(202)는 상기 후크바(201)의 하단에서 상기 후크바(201)에 대한 수직한 방향 또는 상기 후크바(201)의 반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후크(202)를 하방에서 바라보면 장방형 타원,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바(201)와 상기 회전후크(202)를 측방에서 바라보면 거꾸로 배치된 T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후크승강기어(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기어(203)는 상기 후크바(201)의 외주면에 제공되며, 상기 후크바(201)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기어(203)는 후크승강부(21)의 승강기어(212)와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크승강기어(203)는 상기 후크바(201)의 외주면에 스크류로 제공되거나, 상기 후크바(201)의 외주면에 래크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후크바(201)는 후크회전부(22)에 의해 회전하므로 상기 후크승강기어(203)는 스크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는 회전축삽입홀(2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삽입홀(204)는 후크회전부(22)의 회전축(22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삽입홀(204)은 상기 후크바(201)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회전축(222)이 삽입되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삽입홀(204)에 삽입된 회전축(222)에 의해 상기 후크바(201)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바(201)에서 상기 회전축삽입홀(204)은 상기 후크승강기어(20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부(21)는 상기 후크부(2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승강부(21)는 승강모터(211)와, 상기 승강모터(211)에 의해 회전하는 축에 연결된 승강기어(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211)는 상기 승강기어(212)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어(212)는 상기 후크승강기어(203)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기어(21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후크부(2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부(22)는 상기 후크부(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부(22)는 회전모터(221)와, 상기 회전모터(22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222)과, 상기 회전모터(221)가 수용되는 모터하우징(2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22)은 상기 회전축삽입홀(20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22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후크부(20)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223)은 상기 후크이송부(23)에 연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223)은 상기 회전모터(221)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부(22)는 상기 후크부(20)를 초기 위치인 0도에서 제1회전각도까지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크회전부(22)는 상기 제1회전각도에서 제2회전각도까지 더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을 상기 밥솥본체(50)에 잠금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각도는 상기 제1회전각도보다 큰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각도에 상기 후크부(20)가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잠금 해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각도에 상기 후크부(20)가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고정 상태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초기 위치인 0도에 상기 후크부(20)가 도달하면,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해제 상태와 잠금 해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후크이송부(23)는 상기 후크승강부(21)와, 상기 후크회전부(22)와, 상기 후크부(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후크이송부(23)는 이동모터(231)와, 상기 이동모터(231)의 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이동기어(232)와, 상기 이동기어(232)와 연결되는 후크이동래크(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기어(23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후크이동래크(233)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후크이동래크(233)에 상기 모터하우징(223)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후크이동래크(233)가 상기 이동기어(23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후크승강부(21) 및 상기 후크회전부(22)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의 내부공간에는 재료공급부(25)와, 물공급부(26)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는 상기 재료저장통(27)에 저장된 밥의 재료를 상기 밥솥(4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물저장통(28)에 저장된 물을 상기 밥솥(40)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는 상기 저장통안착부(17)와 상기 재료통과홀(153)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와 상기 출수구(154)의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는 공급부몸체(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251)는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공간(252)과, 상기 회전공간(252)의 상부와 연통되는 재료투입구(253)와, 상기 회전공간(252)의 하부와 연통되는 재료배출구(2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투입구(253)는 상기 저장통삽입구(17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재료배출구(254)는 상기 재료통과홀(153)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재료투입구(253)는 상기 공급부몸체(251)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재료배출구(254)는 상기 공급부몸체(25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공간(252)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공간(252)은 재료수용공간이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는 상기 회전공간(252)에서 회전하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256)와,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256)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체바디(2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바디(257)는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축에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는 설정된 회전 각도로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25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256)는 상기 회전체바디(257)의 외면에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는 설정된 각도로 설치되어,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상기 밥솥(40)으로 공급되는 밥의 재료가 수용되며,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256)의 회전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설정된 양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바디(257)에 고정된 회전블레이드(256)의 단부는 상기 회전공간(252)의 내면에 접촉되거나 밀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256)의 단부와 상기 회전공간(252)의 내면 사이로 상기 밥의 재료가 통과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에 포함되는 상기 회전체바디(257), 상기 회전블레이드(256), 상기 회전모터를 재료공급조절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물저장통(28)으로부터 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제공받은 물을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에 연결되는 수조(2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261)는 상기 물저장통안착부(18)의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조(261)는 수조입구(262)와 수조출구(2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조입구(262)는 상기 수조(261)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출구(263)는 상기 수조(261)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조입구(262)는 상기 물저장통삽입구(18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수조(261)는 상기 수조입구(262)로 유입되는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수조출구(263)는 후술할 펌프(260)의 흡입측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261)에 저장된 물이 상기 펌프(260)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펌프(260)와, 상기 펌프(260)에 연결되는 배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펌프(260)는 상기 물저장통(28)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유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펌프(260)는 상기 회전바디(15)의 내부공간과 상기 회전가이드(15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의 배관들에는 유입배관(264)과, 연결배관(266)과, 유출배관(26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배관들에 연결되는 밸브(2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배관(264)은 상기 펌프(260)의 흡입측과 상기 수조출구(263)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배관(266)은 상기 밸브(265)의 입구측과 상기 펌프(260)의 토출측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267)은 상기 밸브(265)의 출구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출수구(154)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267)은 상기 출수구(154)를 향해 적어도 일부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267)은 상기 출수구(154)의 내측에 위치하여, 물이 상기 밥솥(40)을 향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밸브(265)와 상기 펌프(260)를 이용하여 상기 유출배관(267)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과 물의 토출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밸브(265)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밥솥(40)은 밥솥본체(50)와 밥솥뚜껑(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에는 외솥(52)과 내솥(54)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상기 외솥(52)과 상기 내솥(54)이 수용된 밥솥본체(50)의 상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는 외솥안착홈(5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안착홈(501)에는 상기 외솥(52)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솥안착홈(501)은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는 밥솥손잡이(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손잡이(502)는 상기 밥솥본체(50)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밥솥손잡이(502)는 상기 밥솥본체(50)의 외면 양측에 복수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상기 밥솥본체(50)를 운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는 상기 외솥(52)으로 열을 공급하는 가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열부는 제1가열부(504)와 제2가열부(5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504)는 상기 외솥안착홈(501)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2가열부(505)는 상기 외솥안착홈(501)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가열부(504)와 상기 제2가열부(505)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가열부가 상기 외솥안착홈(501)의 하방에서 측방까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열부(504)와 상기 제2가열부(505)는 인덕션 히터(IH)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부(504)와 상기 제2가열부(505)는 상기 밥솥스테이션(1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는 외솥감지부(50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감지부(507)는 상기 외솥안착홈(501)의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솥감지부(507)는 상기 외솥안착홈(501)에 상기 외솥(52)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외솥안착홈(501)에 상기 외솥(52)이 안착되면, 상기 외솥(52)의 저면이 상기 외솥감지부(507)를 가압하므로 상기 외솥감지부(507)가 상기 외솥(52)의 안착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는 밥솥받침대(5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받침대(509)는 상기 밥솥본체(50)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솥받침대(509)는 상기 밥솥안착홈(11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밥솥받침대(509)가 상기 밥솥안착홈(111)에 안착되면, 상기 밥솥(40)과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밥솥받침대(509)가 상기 밥솥안착홈(111)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밥솥받침대(509)와 상기 밥솥안착홈(111) 각각에는 무선 전원 송신기와 무선 전원 수신기, 커넥터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상기 후크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상기 후크부(20)에 의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구(601)와, 상기 후크부(20)가 삽입되는 후크장착홀(6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구(601)와 상기 후크장착홀(603)은 상기 밥솥뚜껑(6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구(601)를 통해 밥을 취사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후크장착홀(603)은 상기 후크부(20)의 회전후크(20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후크장착홀(603)은 상기 회전후크(20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후크(202)가 타원으로 형성 시, 상기 후크장착홀(603)도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202)는 상기 후크장착홀(603)을 통과한 후 상기 밥솥뚜껑(60)의 내부에서 회전하여 상기 후크장착홀(603)과 상기 회전후크(202)가 교차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크장착홀(603)과 상기 회전후크(202)가 교차되면, 상기 회전후크(202)가 상기 후크장착홀(603)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후크장착홀(603)과 상기 회전후크(202)가 평행하면, 상기 후크장착홀(603)로부터 상기 회전후크(202)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외솥커버(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커버(61)는 상기 밥솥뚜껑(6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저면이 상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외솥커버(61)가 수용될 수 있는 내측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솥커버(61)는 상기 외솥(52)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이 상기 밥솥본체(50)에 결합 시 상기 외솥커버(61)가 상기 외솥(52)의 상면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실링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62)는 상기 외솥커버(61)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62)는 상기 외솥커버(61)와 상기 외솥(52)의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외솥커버(61)와 상기 외솥(52)이 상기 실링부(62)에 의해 밀폐되므로, 취사 시 상기 외솥(52)의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회전잠금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63)는 상기 외솥커버(61)와 상기 밥솥뚜껑(6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의 내측공간에는 상기 회전잠금부(63)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잠금부(63)의 내측에 상기 외솥커버(6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63)는 회전에 의해 상기 외솥(52)의 잠금리브(52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63)는 상기 잠금리브(522)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커버잠금리브(6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잠금부(63)는 상기 후크장착홀(603)에 삽입된 회전후크(202)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후크(202)가 정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회전잠금부(63)도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리브(522)와 상시 커버잠금리브(631)가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202)가 역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회전잠금부(63)도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잠금리브(522)와 상기 커버잠금리브(631)가 걸림 해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3에 기초하여 상기 밥솥뚜껑(60)의 개방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밥솥뚜껑(60)의 폐쇄 상태는 상기 개방 상태의 역순으로 이해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을 개방 시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고정 상태에서 상기 후크승강부(21)가 상기 밥솥뚜껑(60)을 상방으로 이동 후 상기 후크이송부(23)가 상기 밥솥뚜껑(60)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이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이 개방되며, 상기 재료공급부(25)와 상기 물공급부(26)를 통해 밥의 재료와 물을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이 개방되면, 완성된 밥을 취식할 수 있다.
상기 내솥(54)에 상기 밥의 재료와 물이 공급되고, 상기 외솥(52)에 물이 공급되면, 상기 밥솥뚜껑(60)을 폐쇄할 수 있다. 또한, 완성된 밥을 미취식할 경우에 상기 밥솥뚜껑(60)을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을 폐쇄 시 상기 후크이송부(23)가 상기 밥솥뚜껑(60)을 후방으로 이동 후 상기 후크승강부(21)가 상기 밥솥뚜껑(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이 상기 밥솥본체(50)를 커버하면, 상기 후크회전부(22)가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을 걸림 고정 상태와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후크부(20)가 상기 밥솥뚜껑(6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와, 상기 밥솥뚜껑(60)이 개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는 상기 스탠드(13)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바디(15)가 회전 시 상기 밥솥(40) 또는 상기 밥솥본체(50)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밥솥(40)에 대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회전바디(15)에는 저장통안착부(17), 재료공급부(25), 재료통과홀(153)이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가 복수로 제공되면, 서로 다른 밥의 재료를 담은 재료저장통(27)을 장착하여, 다양한 밥을 취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밥솥스테이션(10)과 상기 밥솥(40) 중 하나 이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밥솥스테이션(10)에 구비되며, 상기 밥솥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크승강부(21), 상기 후크회전부(22), 상기 후크이송부(23), 상기 재료공급부(25), 상기 물공급부(26), 상기 가열부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단말기, 서버 등과 통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작동신호를 전달하거나,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은 정보신호를 상기 단말기, 서버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밥솥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디스플레이, 버튼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상기 밥솥스테이션(1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밥솥장치의 조작부는 상기 바디커버(159)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밥솥본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외솥과 내솥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밥솥본체(50)에는 외솥(52)과 내솥(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은 상기 밥솥본체(50)의 외솥안착홈(50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기 외솥(5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의 내측에는 외솥내부공간(S1)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은 저면을 형성하는 외솥저면(524)과, 측면을 형성하는 외솥측면(5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측면(521)의 상단에는 잠금리브(5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리브(522)는 상기 외솥측면(521)의 상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외솥측면(521)의 상단이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잠금리브(522)는 상기 외솥측면(521)의 상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솥저면(524)은 상기 제1가열부(504)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외솥측면(521)은 상기 제2가열부(505)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은 외솥돌출부(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돌출부(523)는 상기 외솥저면(524)의 일부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솥돌출부(523)는 상기 외솥저면(524)의 중심 또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솥돌출부(523)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면, 상기 외솥저면(524)에는 내면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후술할 내솥함몰부(54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기 외솥내부공간(S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기 외솥(52)의 외솥저면(52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의 내측에는 내솥내부공간(S2)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저면을 형성하는 내솥저면(542)과, 측면을 형성하는 내솥측면(5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저면(542)은 상기 외솥저면(524)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의 높이는 상기 외솥(5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외솥(52)이 상기 외솥커버(61)에 의해 커버되면, 상기 내솥(54)의 높이와 상기 외솥(52)의 높이 차이에 의해 상기 외솥내부공간(S1)과 상기 내솥내부공간(S2)이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내솥함몰부(5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함몰부(543)는 상기 내솥저면(542)의 일부가 상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저면(542)에는 상기 내솥함몰부(543)에 의해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솥함몰부(543)는 상기 외솥돌출부(52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솥함몰부(543)와 상기 외솥돌출부(523)는 서로 대응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기 내솥함몰부(543)와 상기 외솥돌출부(523)에 의해 상기 외솥(52)의 내부에서 설정된 위치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솥내부공간(S2)에는 밥의 재료와 물이 수용되고, 상기 외솥내부공간(S1)에는 상기 내솥(54)과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의 내측에 상기 내솥(54)이 안착되면, 상기 외솥측면(521)과 상기 내솥측면(541)의 사이에는 사이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솥(54)이 상기 외솥(52)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편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솥측면(541)과 상기 외솥측면(521)의 사이에 형성되는 사이공간이 일정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로 밥이 지어지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밥솥장치에 밥의 취사를 위한 조작신호가 입력되면, 밥솥(40)이 작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밥솥(40)의 내솥(54)에는 밥의 재료와 물이 공급된 상태이고, 상기 밥솥(40)의 외솥(52)에는 물이 공급된 상태이고, 밥솥뚜껑(60)이 밥솥본체(50)에 잠금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에 밥의 재료와 물이 미 공급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밥솥장치는 상기 밥솥뚜껑(60)을 개방하여 상기 밥의 재료와 물을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에 공급 후 상기 밥솥뚜껑(60)을 잠금 상태가 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먼저 가열부가 작동하여 상기 외솥(52)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은 제1가열부(504)와 제2가열부(505)에 의해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504)와 상기 제2가열부(505)의 온도를 동일하게 조절하거나, 둘의 온도가 서로 다르게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외솥(52)이 가열되면, 상기 외솥(52)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솥(54)으로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의 저면은 상기 외솥(52)의 저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전도에 의해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의 측면은 상기 외솥(52)의 측면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대류, 방사에 의해 열이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은 상기 외솥(52)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내솥(54)에 수용된 밥의 재료와 물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이 가열되면, 상기 외솥(52)과 상기 내솥(54)의 사이공간에 위치하는 물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에서 발생된 증기는 외솥내부공간(S1)과 연통된 내솥내부공간(S2)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내솥(54)이 가열되어 상기 밥의 재료와 물이 취사되는 과정에서 상기 사이공간에서 발생된 증기가 추가 공급되므로 완성되는 밥의 찰기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외솥커버(61)에 의해 외솥(52)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외솥내부공간(S1)과 상기 내솥내부공간(S2)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설정된 압력까지 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밥의 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밥을 만드는 방법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솥(52)에서 상기 내솥(54)으로 전달되는 열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솥(52)의 내측에 상기 내솥(54)을 설치하기 위한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외솥에 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솥에 밥의 재료와 물을 공급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밥솥뚜껑(60)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을 커버하는 밥솥뚜껑(60)에 후크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20)와 상기 밥솥뚜껑(60)이 연결되면, 상기 후크부(20)는 상기 밥솥뚜껑(60)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은 후크부(20)에 의해 상기 밥솥본체(50)에서 상방을 향해 이동 후 밥솥스테이션(10)의 전방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이 이동하면, 상기 밥솥본체(50)의 내측에 수용된 외솥(52)과 상기 외솥(52)의 내측에 수용된 내솥(54)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밥솥스테이션(10)의 회전바디(15)가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회전바디(15)의 재료통과홀(153)과 출수구(154)는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출수구(154)는 적어도 상기 외솥(52)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재료통과홀(153)은 상기 내솥(54)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154)는 물공급부(26)에 의해 공급되는 물이 통과하고, 상기 재료통과홀(153)은 재료공급부(25)에 의해 공급되는 밥의 재료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물저장통(28)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상기 재료공급부(25)는 재료저장통(27)으로부터 밥의 재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밥을 취사하기 위해 상기 물공급부(26)를 작동하여 상기 외솥(52)을 향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외솥(52)의 측면과 상기 내솥(54)의 측면 사이에 정의되는 사이공간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은 상기 외솥내부공간(S1)의 일부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사이공간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은 미리 설정된 공급량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펌프(260)와 밸브(265)를 통해 상기 유출배관(267)으로 토출되는 물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솥(52)을 향해 공급되는 물의 공급량은 사용자가 선택하는 밥의 찰기 정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외솥(52)에 설정된 공급량의 물을 공급한 후, 상기 재료공급부(25)와 상기 물공급부(26)를 통해 상기 내솥(54)에 밥의 재료와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는 회전블레이드(256)를 회전하여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의 사이로 수용된 밥의 재료를 상기 재료통과홀(153)을 향해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설정된 공급량으로 밥의 재료가 공급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블레이드(256)의 회전에 따라 미리 설정된 공급량을 상기 내솥(54)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미리 설정된 1인분에 해당하는 밥의 재료 또는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밥의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25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밥의 재료는 상기 재료통과홀(153)을 통과한 후 하방으로 낙하하여 상기 내솥(54)으로 투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256)의 사이각도가 60도로 설정되고, 사용자가 2인분의 밥을 취사할 경우, 상기 회전블레이드(256)는 120도를 회전하여 2인분에 해당되는 밥의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25)를 통해 상기 밥의 재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상기 물공급부(26)는 하방으로 이동하는 밥의 재료를 향해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유출배관(267)의 일부가 하향 경사지게 형성하여, 토출되는 물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밥의 재료를 향해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26)는 상기 펌프(260)와 상기 밸브(265)를 통해 물의 유량과 압력을 조절하여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통과홀(153)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는 이동경로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가상선(1점쇄선)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유출배관(267)을 통해 하향 경사지게 토출되는 물의 이동경로는 상기 출수구(154)에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가상선(점선)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가 이동하는 가상선과 상기 물이 이동하는 가상선은 교차첨(P)에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교차점에서 상기 밥의 재료와 상기 물이 서로 접촉되며, 상기 물의 수압에 의해 상기 밥의 재료가 상기 내솥(54)의 저면으로 넓게 퍼질 수 있다. 상기 교차점은 상기 내솥(54)의 저면에서 상기 내솥(54)의 상단 사이에서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물과 상기 밥의 재료가 상기 교차점에서 교차하지 않는 경우, 상기 내솥(54)의 저면에서 상기 밥의 재료가 쌓인 높이가 상기 내솥(54)으로 공급된 물의 수위보다 높아서 상기 밥의 재료 일부가 밥이 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공급부(26)에서 공급되는 물과 상기 재료공급부(25)에서 공급되는 밥의 재료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여 상기 밥의 재료가 쌓인 높이가 공급된 물의 수위보다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내솥(54)과 상기 외솥(52)에 물과 밥의 재료에 대한 공급이 완료되면, 상기 밥솥장치는 상기 밥솥뚜껑(60)을 폐쇄하여 밥의 취사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60)을 폐쇄 시 상기 밥솥뚜껑(60)은 상기 후크이송부(23)와 상기 후크승강부(21)에 의해 상기 밥솥본체(50)의 상면을 커버하고, 상기 후크회전부(22)에 의해 상기 밥솥뚜껑(60)을 상기 밥솥본체(50)에 잠금되도록 한 후 밥의 취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35)는 저장통안착부(1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35)는 상기 저장통안착부(17)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는 재료저장통(27)이 안착되며, 상기 재료저장통(27)에 저장된 밥의 재료는 상기 저장통안착부(17)를 통과한 후 상기 재료공급부(3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는 상기 재료저장통(27)이 삽입되는 저장통삽입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삽입구(171)에는 상기 재료저장통(27)의 저장통개구(271)가 삽입되며, 상기 저장통개구(271)를 통과한 밥의 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는 후술할 디스펜서(70, 도 13 참조)가 안착되기 위한 디스펜서지지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지지부(173)는 상기 저장통삽입구(171)의 내면에서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리브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지지부(173)는 상기 저장통삽입구(171)의 내측에 형성되는 그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지지부(173)는 상기 저장통삽입구(171)의 내측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지지부(173)는 상기 디스펜서(70)를 지지하면서, 상기 저장통삽입구(171)로 투입된 밥의 재료가 통과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35)는 공급부몸체(3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내부에는 회전공간(3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상단은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상단은 상기 저장통삽입구(171)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삽입구(171)를 통해 투입된 밥의 재료는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회전공간(35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상단에는 상기 저장통삽입구(171)와 연통되는 재료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하단에는 밥의 재료가 배출되기 위한 재료배출구(3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공간(352)은 재료수용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재료배출구(354)는 배출연장부(35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연장부(3541)는 상기 재료배출구(35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연장부(3541)는 상기 재료배출구(354)를 통과한 밥의 재료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배출연장부(3541)에 의해 내솥을 향하는 밥의 재료의 이동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회전공간(352)은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내면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공간(352)은 상측에 상기 재료투입구가 위치하고, 상기 회전공간(352)의 하측에 상기 재료배출구(354)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공간(352)은 상방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면적이 감소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공간(352)을 정의하는 공급부몸체(351)의 다수의 측면 중 일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다수의 측면 중 나머지들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으로 형성되는 회전공간(352)의 내측에는 회전블레이드(356)가 결합된 회전체바디(357)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356)는 상기 곡면으로 형성되는 회전공간(352)의 일면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하거나, 상기 곡면으로 형성되는 회전공간(352)의 일면과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면으로 형성되는 회전공간(352)의 일면과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은 밥의 재료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면으로 형성되는 회전공간(352)의 일면은 상기 회전블레이드(356)를 회전 시 형성되는 가상원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35)는 회전블레이드(356)와 회전체바디(3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바디(357)에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356)가 결합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356)는 설정된 각도를 이루도록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356)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밥의 재료량에 따라 각도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35)는 회전모터(355)와 회전모터브라켓(35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355)는 상기 회전체바디(357)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355)는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모터(355)의 회전축은 상기 공급부몸체(351)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체바디(357)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브라켓(3551)은 상기 회전모터(355)를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외측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모터브라켓(3551)은 상기 회전모터(355)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모터(355)를 지지하거나, 상기 회전모터(355)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외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35)는 회전스토퍼(36, 도 16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는 상기 회전공간(35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356)가 회전 시 상기 회전스토퍼(36)의 일부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35)에 포함되는 상기 회전체바디(357), 상기 회전블레이드(356), 상기 회전모터(355), 상기 회전스토퍼(36)를 재료공급조절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는 회전스토퍼몸체(3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몸체(361)는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몸체(361)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와 상기 회전공간(352)을 정의하는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일 측면 사이에서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와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측면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356)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며, 상기 회전체바디(357)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을 가지고, 상기 회전체바디(357)의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몸체(361)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측면에서 상기 회전블레이드(356)를 향해 연장되는 길이를 가지며,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일정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는 몸체절곡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절곡부(362)는 상기 회전스토퍼몸체(361)의 일단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절곡부(362)는 상기 회전스토퍼몸체(361)의 일단에서 하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절곡부(362)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가 회전 시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의 회전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절곡부(362)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가 회전 시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에 접촉되어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와 상기 회전스토퍼(36)의 사이로 밥의 재료가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는 몸체회전부(3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회전부(363)는 상기 회전스토퍼몸체(361)의 타단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회전부(363)는 상기 회전스토퍼몸체(361)가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측면에 대해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몸체(361)는 상기 회전몸체부(363)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공간(352)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몸체회전부(363)는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측면 이외에도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는 스토퍼탄성부재(3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탄성부재(365)는 상기 회전스토퍼(36)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의 회전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스토퍼탄성부재(365)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에 상기 회전스토퍼(36)가 다시 접촉되도록 상기 회전스토퍼(36)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의 회전 방향을 정의하면, 상기 회전스토퍼(36)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스토퍼탄성부재(365)에 의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토퍼탄성부재(365)는 압축스프링, 인장스프링, 토션스프링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상기 스토퍼탄성부재(365)는 토션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스토퍼탄성부재(365)의 일측이 상기 회전스토퍼(35)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탄성부재(365)의 타측이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바디(357)에 의해 상기 다수의 회전블레이드(356)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스토퍼(36)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 각각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가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에 접촉되면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배출구(354)를 향하는 이동이 제한되고, 상기 회전스토퍼(36)가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에 미접촉시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356)의 사이에 수용된 밥의 재료는 상기 재료배출구(354)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체바디(357)의 회전에 의해서 서로 이웃하게 위치한 회전블레이드(356)의 사이 공간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상기 회전스토퍼(36)로 설정된 공급량만큼 상기 재료배출구(354)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료저장통(27)에는 디스펜서(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0)는 상기 재료저장통(27)의 저장통개구(27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0)는 상기 재료저장통(27)의 내부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외부로 배출되는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0)는 저장통안착부(17)의 디스펜서지지부(173)에 안착될 시 상기 재료저장통(27)의 내부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공급부(35)로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의 (a)는 상기 디스펜서(70)가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 미 안착시 모습을 나타내고, 도 12의 (b)는 상기 디스펜서(70)가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 안착된 모습을 나타낸다. 상기 디스펜서(70)가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 안착되면, 후술할 디스펜서(70)의 디스펜서스토퍼(71)가 상기 재료저장통(27)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디스펜서바디(72)의 디스펜서통과홀(727)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0)를 상기 저장통안착부(17)로부터 분리 시 상기 디스펜서통과홀(727)이 폐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펜서(7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디스펜서(70)는 디스펜서스토퍼(71), 디스펜서바디(72), 디스펜서안착부(73), 디스펜서탄성부재(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와 상기 디스펜서안착부(73)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바디(72)는 상기 디스펜서안착부(73)와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의 사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디스펜서안착부(7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탄성부재(74)는 상기 디스펜서안착부(73)와 상기 디스펜서바디(72)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디스펜서바디(72)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는 상기 재료저장통(27)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는 스토퍼캡(711)과, 스토퍼측면(713)과, 스토퍼저면(7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측면(713)과, 스토퍼저면(715)을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의 스토퍼몸체라 정의하고, 상기 스토퍼캡(711)은 상기 스토퍼몸체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711)은 상기 스토퍼측면(713)의 상단에 연결되고, 상기 스토퍼저면(715)은 상기 스토퍼측면(713)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측면(713)은 내부에 수용공간(717)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711)은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측면(713)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저면(715)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측면(713)의 저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717)은 상기 스토퍼측면(713)과 상기 스토퍼저면(715)과 상기 스토퍼캡(711)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717)에는 탈산소제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711)은 상기 스토퍼측면(713)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711)을 상기 스토퍼측면(713)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탈산소제를 상기 수용공간(717)에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측면(713)은 다공부(7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공부(7131)는 상기 스토퍼측면(713)에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717)에 수용된 탈산소제는 상기 다공부(7131)를 통과한 상기 재료저장통(27)의 내부에 수용된 공기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다공부(7131)는 상기 밥의 재료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711)은 스토퍼캡리브(71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리브(7111)는 위로 볼록한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 스토퍼캡(711)의 하단에서 외측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리브(7111)는 후술할 스토퍼측면리브(7133)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리브(7111)에는 스토퍼캡결합돌기(71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결합돌기(7113)는 상기 스토퍼캡(711)과 상기 스토퍼측면(713)을 결합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결합돌기(7113)는 상기 스토퍼캡리브(7111)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후 측방으로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결합돌기(7113)는 상기 스토퍼캡리브(7111)의 저면에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측면(713)은 스토퍼측면리브(7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측면리브(7133)는 원기둥으로 형성된 스토퍼측면(713)의 상단에서 외측을 향하는 반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측면리브(7133)의 상면에는 상기 스토퍼캡리브(7111)의 저면이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측면리브(7133)는 결합돌기장착홀(713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장착홀(7135)은 상기 스토퍼측면리브(7133)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장착홀(7135)에는 상기 스토퍼캡결합돌기(711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장착홀(7135)은 상기 스토퍼캡결합돌기(7113)에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결합돌기(7113)가 상기 결합돌기장착홀(7135)에 삽입된 후 회전하면 상기 결합돌기장착홀(713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캡결합돌기(7113)를 역 회전하면 상기 결합돌기장착홀(7135)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바디(72)는 내측바디(721)와, 외측바디(723)와, 연장바디(7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바디(72)는 상기 재료저장통(27)의 저장통개구(271)에 장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바디(721)는 상기 저장통개구(27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바디(721)의 내부에는 밥의 재료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개구(271)는 상기 저장통개구(27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측바디(721)의 상측에는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측면(713)과 상기 스토퍼저면(715)의 직경은 상기 내측바디(721)의 직경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측면(713)과 상기 스토퍼저면(715)의 직경은 상기 저장통개구(27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바디(723)는 상기 저장통개구(271)의 직경부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바디(723)의 내측에는 상기 내측바디(721)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측바디(723)와 상기 내측바디(721)의 사이에 상기 저장통개구(27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측바디(723)는 바디함몰부(72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함몰부(7231)는 상기 외측바디(723)의 내면이 외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함몰부(7231)는 상기 연장바디(722)와 상기 외측바디(723)가 연결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함몰부(7231)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통개구(271)를 상기 내측바디(721)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흘러나온 밥의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바디(722)는 상기 내측바디(721)의 하측과 상기 외측바디(723)의 하측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장바디(722)는 상기 저장통개구(271)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내측바디(721)와, 상기 연장바디(722)와, 상기 외측바디(723)에 의해 상기 저장통개구(271)가 삽입되고, 안착되는 공간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바디(72)는 몸체연장부(7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연장부(725)는 상기 내측바디(721)의 중심과 교차하는 직선의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몸체연장부(725)는 상기 내측바디(721)의 하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내측바디(721)의 중심과 교차하는 직선의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연장부(725)의 양측으로 밥의 재료가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연장부(725)는 연장바통과홀(72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바통과홀(7251)은 후술할 연장바(733)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바통과홀(7251)은 상기 연장바(73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연장바통과홀(7251)은 상기 내측바디(721)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안착부(73)는 연장바지지대(731)와 연장바(7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바(733)와 상기 연장바지지대(73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바(733)의 일측 단부는 상기 스토퍼저면(715)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바(733)의 타측 단부는 상기 연장바지지대(73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바지지대(731)는 상기 디스펜서지지부(173)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바지지대(731)는 상기 연장바(733)가 장착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는 서로 이웃하는 지지대의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재료공급부(35)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탄성부재(74)는 상기 연장바(733)를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탄성부재(74)의 일측 단부는 상기 연장바지지대(731)에 지지되고, 상기 디스펜서탄성부재(74)의 타측 단부는 상기 연장바지지대(731)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장바(733)는 상기 디스펜서탄성부재(74)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탄성부재(74)는 압축 스프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탄성부재(74)가 압축 스프링으로 제공될 경우에 상기 재료저장통(27)의 하중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70)가 개방되고, 상기 재료저장통(27)과 상기 디스펜서(70)를 상기 저장통안착부(17)로부터 분리 시 상기 디스펜서(70)는 폐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에 의해 밥의 재료가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료공급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디스펜서(70)가 장착된 재료저장통(27)은 저장통안착부(17)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는 상기 디스펜서(70), 상기 재료저장통(27) 순서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0)는 상기 재료저장통(27)의 저장통개구(271)에 장착되어 상기 재료저장통(27)의 내부에 저장된 밥의 재료를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70)가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 삽입되면, 상기 디스펜서지지부(173)에 상기 디스펜서안착부(73)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료저장통(27)의 하중에 의해 상기 디스펜서바디(72)가 상기 디스펜서안착부(73)를 향하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가 상기 재료저장통(27)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가 상기 디스펜서바디(72)로부터 이격되면, 상기 디스펜서바디(72)와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의 사이로 상기 재료저장통(27)에 저장된 밥의 재료가 상기 디스펜서통과홀(727)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는 상기 재료저장통(27)의 내부에 삽입되는데, 상기 디스펜서스토퍼(71)에 구비된 탈산소제는 상기 재료저장통(27)의 내부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산소를 흡수하여 상기 밥의 재료에 대한 산화방지, 곰팡이 등 미생물의 번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바디(72)의 디스펜서통과홀(727)을 통과한 밥의 재료는 저장통삽입구(171)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삽입구(171)를 통과한 밥의 재료는 상기 공급부몸체(351)의 회전공간(352)으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회전공간(352)으로 투입된 밥의 재료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가 구비된 회전체바디(357)와 상기 회전스토퍼(36)의 상측에 쌓일 수 있다. 상기 회전공간(352)은 상기 회전블레이드(356)가 구비된 회전체바디(357)와 상기 회전스토퍼(36)에 상측공간과 하측공간으로 구분되며, 투입된 밥의 재료는 상측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356)에 접촉될 수 있다. 다수의 회전블레이드(356) 중 서로 이웃하는 일 회전블레이드(356)와 타 회전블레이드(356)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스토퍼(36)의 작동을 설명한다.
상기 일 회전블레이드(356)와 상기 회전스토퍼(36)가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7의 (a) 참조) 상기 일 회전블레이드(356)와 상기 회전스토퍼(36)가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밥의 재료는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바디(357)에 의해 다수의 회전블레이드(356)가 회전하면, 상기 일 회전블레이드(356)에서 타 회전블레이드(356)를 향해 회전할 수 있다. 도 17의 (b)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일 회전블레이드(356)에서 타 회전블레이드(356)로 회전하면, 상기 일 회전블레이드(356)에 접촉되는 회전스토퍼(36)가 상기 타 회전블레이드(356)에 접촉되는 과정에서 상기 일 회전블레이드(356)와 타 회전블레이드(356)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밥의 재료가 상기 하측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는 상기 회전블레이드(356)의 회전력에 의해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회전스토퍼(36)의 스토퍼탄성부재(365)에 의해 타 방향으로 역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에 의해 상기 일 회전블레이드(356)와 타 회전블레이드(356)의 사이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설정된 공급량으로 상기 재료배출구(354)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재료배출구(354)를 통과한 밥의 재료는 상기 배출연장부(3541)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회전스토퍼(36)가 상기 스토퍼탄성부재(365)의 탄성력에 의해 역 회전하여 상기 타 회전블레이드(356)에 접촉될 수 있다. (도 17의 (c) 참조) 상기 타 회전블레이드(356)와 상기 회전스토퍼(36)가 접촉되면, 상기 밥의 재료는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356)의 사이에 수용될 수 있는 밥의 재료량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체바디(357)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설정된 공급량으로 밥솥에 밥의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후방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료공급부(45)는 저장통안착부(17)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는 재료저장통(27)이 장착되며, 상기 재료저장통(27)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공급부(4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45)는 공급부몸체(4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 안착된 재료저장통(27)으로부터 밥의 재료가 상기 공급부몸체(451)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451)의 내부에는 재료수용공간(452)이 포함되며,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에 상기 밥의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451)는 상기 밥의 재료가 투입되기 위해 상측에 형성되는 재료투입구와, 상기 밥의 재료를 배출하기 위해 하측에 형성되는 재료배출구(4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투입구와 상기 재료배출구(454)는 상기 재료수용공간(452)과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재료배출구(454)는 배출연장부(45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은 상기 공급부몸체(451)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의 일부는 상기 재료배출구(454)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45)는 회전모터(455)와 회전모터브라켓(455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455)는 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455)는 상기 공급부몸체(45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공급부몸체(451)를 관통하여 후술할 재료공급조절부(46)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모터브라켓(4551)은 상기 회전모터(455)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모터(455)가 상기 공급부몸체(451)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모터(45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45)는 재료공급조절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는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는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을 상측공간과 하측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는 상기 회전모터(455)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는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는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의 내부에서 초기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상측공간과 하측공간을 구분할 수 있다. 본 상태를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의 폐쇄 상태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는 상기 회전모터(455)에 의해 하방을 향해 회전하여 상측공간과 하측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본 상태를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의 개방 상태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의 폐쇄 상태로 변경을 위해서 상기 회전모터(455)는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초기 위치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는 회전개폐부(4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개폐부(461)는 회전축연결부(4611)를 포함하여, 상기 회전모터(455)의 회전축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개폐부(461)는 상기 회전모터(455)에 의해 회전하며, 후술할 무게센서부(463)와 센서가압부(465)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개폐부(46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연결부(4611)는 상기 회전개폐부(46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연결부(4611)는 상기 회전개폐부(461)가 상기 재료수용공간(45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개폐부(461)는 상기 회전축연결부(461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회전개폐부(461)의 타측 단부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개폐부(461)는 설정된 회전각도로 회전 또는 역 회전하면서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는 무게센서부(4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463)는 상기 회전개폐부(46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463)의 상측에는 후술할 센서가압부(465)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463)는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으로 투입된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463)에서 감지되는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회전개폐부(461)를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463)는 상기 센서가압부(465)와 상기 회전개폐부(461)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밥의 재료에 의해 상기 센서가압부(465)가 상기 회전개폐부(461)를 향하는 압력으로 상기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는 센서가압부(4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가압부(465)는 상기 무게센서부(46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463)는 상기 회전개폐부(46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센서가압부(465)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가압부(465)는 받침판연결부(46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연결부(4651)는 상기 회전개폐부(461)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가압부(465)가 상기 회전개폐부(461)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연결부(4651)는 상기 센서가압부(465)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센서가압부(465)는 상기 받침판연결부(4651)를 회전 중심으로 상기 회전개폐부(461)에 대해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센서가압부(465)의 상측에는 밥의 재료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밥의 재료의 무게에 의해 상기 센서가압부(465)는 상기 받침판연결부(465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하지만, 상기 센서가압부(465)와 상기 회전개폐부(461)의 사이에는 무게센서부(463)가 위치하므로 상기 센서가압부(465)가 상기 무게센서부(463)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463)는 상기 회전개폐부(461)에 대한 상기 센서가압부(465)의 변화를 감지하므로, 상기 회전개폐부(461)가 상기 회전모터(455)에 의해 일정한 회전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도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463)는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에 수용된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463)는 밥의 재료에 대한 제1무게를 감지할 수 있고,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의 작동에 의해 제1무게에서 감소된 제2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무게는 상기 재료수용공간(452)에 수용된 밥의 재료에 대한 총 무게를 나타내는 값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2무게는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의 개방에 의해 밥의 재료 일부가 상기 재료배출구(454)로 공급되어 상기 제1무게보다 작은 무게를 가지는 값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1의 (a)는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를 개방하여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배출구(454)를 향해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도 21의 (b)는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를 폐쇄하여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배출구(454)를 향해 미 공급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무게센서부(463)를 통해 밥의 재료량 변화를 감지하고, 상기 재료공급조절부(46)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공급되는 밥의 재료량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인분보다 많고 2인분보다 작은 양의 밥을 짓기 원할 때 공급할 수 있는 밥의 재료량을 변경하여 공급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4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료공급부(55)는 저장통안착부(17)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는 재료저장통(27)이 장착되며, 상기 재료저장통(27)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공급부(5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55)는 공급부몸체(5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 안착된 재료저장통(27)으로부터 밥의 재료가 상기 공급부몸체(551)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551)의 내부에는 재료수용공간(552)이 포함되며, 상기 재료수용공간(552)에 상기 밥의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재료수용공간(552)은 상기 공급부몸체(551)의 상측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료수용공간(552)은 상기 공급부몸체(551)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공급부몸체(551)의 내면에 의해 정의되는 다수의 측면과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면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재료수용공간(552)의 개방된 상면으로 밥의 재료가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551)는 재료배출구(5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배출구(554)는 상기 재료수용공간(552)의 측면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배출구(554)는 상기 재료수용공간(552)의 상면보다 바닥면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재료배출구(554)의 입구는 후술할 무게감지부(56)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재료배출구(554)의 출구는 상기 공급부몸체(551)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배출구(554)는 입구에서 출구를 향해 하방으로 연장되는 개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55)는 무게감지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부(56)는 상기 재료수용공간(552)의 바닥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부(56)는 상기 재료수용공간(552)에 수용된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부(56)에서 감지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밥의 재료에 대한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무게감지부(56)는 상기 재료수용공간(552)에 수용된 밥의 재료에 대한 총 무게를 감지하고, 상기 총 무게에서 상기 밥의 재료를 공급하여 감소되는 무게 변화를 파악하여, 밥의 재료에 대한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부(56)는 감지부몸체(5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몸체(561)는 상기 재료수용공간(552)의 바닥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몸체(56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감지부몸체(561)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몸체(561)의 돌출부는 상기 감지부몸체(561)의 일측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몸체(561)의 돌출부에는 후술할 받침판(565)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부(56)는 무게센서부(5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563)는 상기 감지부몸체(561)의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감지부몸체(561)의 돌출부의 측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563)의 상측에는 후술할 받침판(565)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563)는 상기 감지부몸체(561)와 상기 받침판(565)의 사이에서 상기 받침판(565)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무게감지부(56)는 받침판(56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565)의 상면에는 밥의 재료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565)은 받침판연결부(56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연결부(5651)는 상기 감지부몸체(561)의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565)은 상기 받침판(565)의 상측에 안착되는 밥의 재료에 의해 상기 받침판연결부(565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565)은 상기 재료배출구(554)를 향하는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55)는 재료공급조절부(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57)는 상기 무게감지부(56)로부터 감지되는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57)는 상기 재료배출구(554)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57)의 조작에 의해 밥의 재료에 대한 공급 여부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조절부(57)는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571)와, 상기 피니언기어(571)와 맞물려 이동하는 랙기어(573)와, 상기 랙기어(573)에 연결되어 상기 재료배출구(554)의 입구를 개폐하는 배출게이트(5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는 상기 공급부몸체(551)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상기 피니언기어(571)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573)는 상기 피니언기어(571)와 맞물려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573)의 일측 단부에 상기 배출게이트(57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게이트(575)는 상기 랙기어(573)의 직선 운동에 의해 상기 재료배출구(554)의 입구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573)는 상기 재료배출구(554)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출게이트(575)는 상기 랙기어(573)에 의해 상하 이동하며, 상기 재료배출구(554)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573)에 의해 상기 배출게이트(575)가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배출게이트(575)는 상기 재료배출구(554)의 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도 24의 (a) 참조) 상기 랙기어(573)에 의해 상기 배출게이트(575)가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배출게이트(575)는 상기 재료배출구(554)의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도 24의 (b) 참조)
도 25는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의 작동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재료공급부(65)는 저장통안착부(17)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는 재료저장통(27)이 장착되며, 상기 재료저장통(27)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공급부(65)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65)는 공급부몸체(6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17)에 안착된 재료저장통(27)으로부터 밥의 재료가 상기 공급부몸체(651)로 투입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651)의 내부에는 재료수용공간(652)이 포함되며,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에 상기 밥의 재료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651)는 이너바디(65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바디(6511)는 상기 공급부몸체(65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651)의 내부에서 상기 이너바디(6511)는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후술할 재료배출구(654)는 상기 공급부몸체(651)의 내부에서 상기 이너바디(6511)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너바디(6511)의 외면과 상기 공급부몸체(651)의 내면 사이에 상기 재료배출구(654)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재료배출구(654)는 상기 공급부몸체(651)의 일측과 타측에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26을 기준으로, 상기 재료배출구(654)는 상기 이너바디(6511)의 좌측과 우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651)는 이동가이드홈(65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홈(6513)은 상기 이너바디(65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홈(6513)은 상기 이너바디(6511)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가이드홈(6513)은 후술할 승강판(658)의 상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65)는 받침판(65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656)는 상기 재료수용공간(652)과 상기 이너바디(6511)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656)의 상면에는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656)은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656)은 후술할 승강모터(659)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656)이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판(656)이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이너바디(65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656)이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의 내부로 이동하므로,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에 수용된 밥의 재료는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받침판(656)이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의 내부에서 상기 이너바디(6511)의 상측을 향해 이동하므로, 상기 이너바디(6511)와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통해 상기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배출구(654)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656)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배출구(654)를 향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면에서 하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65)는 무게센서부(65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657)는 상기 받침판(656)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656)의 저면에 상기 무게센서부(657)의 상면이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657)는 상기 받침판(656)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받침판(656)의 상측에 쌓인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657)의 하측에는 후술할 승강판(658)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657)와 상기 받침판(656)은 상기 승강판(658)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65)는 승강판(6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판(658)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부와, 상기 승강판(658)의 양측 단부가 하방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의 상측에 상기 무게센서부(657)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무게센서부(657)의 저면이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는 상기 이동가이드홈(6513)에 삽입되어, 상기 승강판(658)의 상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의 길이는 상기 이동가이드홈(6513)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승강판(658)은 후술할 승강모터(659)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판(658)은 상기 공급부몸체(651)의 내부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판(658)은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의 내부에서 상기 이너바디(6511)의 상측을 향해 하방으로 이동하거나, 상기 이너바디(6511)의 상측에서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의 내부를 향해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65)는 승강모터(6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659)는 상기 공급부몸체(651)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659)의 회전축은 상기 공급부몸체(651)를 관통하여 상기 승강판(658)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모터(659)는 상기 승강판(658)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직선 운동으로 변경하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는 상기 공급부몸체(65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65)에 포함되는 상기 받침판(656), 상기 무게센서부(657), 상기 승강판(658), 상기 승강모터(659)를 재료공급조절부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에 밥의 재료가 수용되면, 상기 밥의 재료에 의해 상기 받침판(656)이 하방을 향해 가압되고, 상기 받침판(656)의 가압에 의해 상기 무게센서부(657)가 상기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도 26의 (a) 참조)
밥의 재료를 상기 재료배출구(654)로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승강모터(659)를 작동하여 상기 승강판(658)을 하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판(658)이 하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무게센서부(657)와 상기 받침판(656)도 상기 승강판(658)과 함께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승강판(658)이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받침판(656)과 상기 재료수용공간(652)의 사이에 틈이 발생되고, 상기 틈을 통해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배출구(654)로 투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판(658)을 하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재료배출구(654)를 개방할 수 있다. (도 26의 (b) 참조)
상기 무게센서부(657)는 상기 받침판(656)를 통해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설정된 공급량으로 밥의 재료를 공급한 후 상기 승강판(658)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재료배출구(654)를 폐쇄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29는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300)는 밥솥하우징(310)과 하우징도어(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도어(330)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우징도어(330)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하측에 힌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도어(330)는 모터의 동력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도어(33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개방된 일면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과 상기 하우징도어(330)는 상기 밥솥장치(300)의 몸체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도어수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수용부(312)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전면부(311)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수용부(312)는 상기 전면부(31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내측에 상기 하우징도어(33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수용부(312)는 상기 전면부(311)에서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후면부(318)를 향하는 방향(후방)으로 함몰되어 상기 하우징도어(330)가 내측에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상기 도어수용부(312)는 상기 전면부(311)의 테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전면부(311)의 전방에 상기 하우징도어(33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도어(330)가 상기 밥솥하우징(310)을 폐쇄 시, 상기 하우징도어(330)가 상기 도어수용부(312)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제1수용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313)는 밥솥이 수용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밥솥은 밥솥본체(500)와 밥솥뚜껑(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313)는 상기 전면부(311)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솥은 상기 제1수용부(313)에 대해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수용부(313)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흡기구(3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315)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외부 공기가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흡기구(315)는 다수의 통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기구(315)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외부 양측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315)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후술할 제2수용부(316)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제2수용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316)는 뚜껑조작부(410), 저장통안착부(34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수용부(316)는 상기 흡기구(31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는 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2수용부(316)는 상기 제1수용부(313)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313)와 상기 제2수용부(316)는 상기 전면부(311)와 상기 후면부(318)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수용부(313)와 상기 제2수용부(316)는 구획부(314)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상기 구획부(314)에는 상기 뚜껑조작부(410)의 후크부(430)가 통과하는 제1통과홀과, 저장통안착부(340)가 삽입되는 제2통과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물공급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400)는 상기 밥솥본체(500)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부(400)는 물을 저장하는 물통(401)과, 저장된 물을 유동시키는 펌프(402)와, 저장된 물이 통과하는 다수의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후면부(318)에는 상기 물통(401)이 수용되는 물통수용부(319)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수용부(319)는 상기 후면부(318)가 상기 전면부(311)를 향하는 방향(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통수용부(319)가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후방에 형성되면,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외부에서 상기 물통(401)을 교체할 수 있다. 한편, 본 설명에서 물통(401)으로 설명하였으나, 수도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상기 물공급부(400)의 다수의 배관은 상기 물통수용부(319)와 상기 펌프(402)의 유입측을 연결하는 유입배관(404)과, 상기 펌프(402)의 유출측에 연결되는 제1유출배관(406)과, 상기 제1유출배관(406)에 연결되며 상기 제1수용부(313)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2유출배관(407)과, 상기 제2유출배관(407)에 연결되는 절곡배관(4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출배관(407)은 상기 제1수용부(313)의 저면을 정의하는 밥솥하우징(310)의 내측 저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상기 밥솥본체(500)에 대응하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절곡배관(408)은 상기 제2유출배관(407)의 상단에서 절곡되어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설명에서 상기 절곡배관(408)이라 칭하고 있으나, 상기 절곡배관(408)을 가이드배관 또는 회전배관이라 칭할 수도 있다. 상기 절곡배관(408)은 상기 제2유출배관(407)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배관(408)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를 포함할 경우에, 상기 절곡배관(408)은 상기 밥솥본체(500)로 물을 공급 시 상기 밥솥본체(500)를 향해 회전하고, 상기 밥솥본체(500)로 물을 미 공급 시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출배관(407)은 상기 제2구획부(318)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설명에서는 상기 절곡배관(408)이 상기 제2유출배관(407)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절곡배관(408)과 상기 제2유출배관(407)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 상기 제2유출배관(407)이 상기 제1유출배관(406)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저장통안착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340)는 상기 구획부(314)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340)에는 재료저장통(590)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340)는 상기 구획부(314)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340)는 제1저장통삽입구(341)와 제2저장통삽입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통삽입구(341)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저장통삽입구(342)는 상기 구획부(31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통삽입구(342)는 상기 제1저장통삽입구(341)보다 작은 직경을 가실 수 있다. 상기 제1저장통삽입구(341)에 상기 재료저장통(590)의 저장통본체(591)가 삽입되고, 상기 제2저장통삽입구(342)에 상기 재료저장통(590)의 개구부(592)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592)는 상기 저장통본체(59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590)을 상기 저장통안착부(340)에 하방으로 안착하여, 상기 재료저장통(590)을 상기 밥솥하우징(31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2저장통삽입구(342)는 상기 구획부(314)의 제2통과홀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재료저장통(590)을 상기 저장통안착부(340)에서 상방으로 이동 시 상기 재료저장통(590)을 상기 저장통안착부(3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저장통안착부(340)는 디스펜서지지부(3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지지부(343)는 상기 제2저장통삽입구(342)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지지부(343)에는 디스펜서(미도시)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재료저장통(590)의 개구부(592)에 장착되어, 상기 재료저장통(590)에 저장된 밥의 재료가 배출되는 여부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가 상기 디스펜서지지부(343)에 안착 시 상기 밥의 재료가 배출되고, 상기 디스펜서가 상기 디스펜서지지부(343)로부터 이탈 시 상기 밥의 재료가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재료공급부(3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370)는 상기 재료저장통(590)에 저장된 쌀, 잡곡 등 밥의 재료를 상기 밥솥본체(500)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370)는 상기 구획부(314)에 연결되며, 상기 저장통안착부(340)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재료공급부(370)는 공급부몸체(3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71)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71)의 상단은 상기 구획부(314)와 연결되며, 상기 제2저장통삽입구(342)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71)의 상단에는 투입구(3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71)의 하단에는 배출구(37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374)는 상기 공급부몸체(371)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71)의 내부를 통과하는 밥의 재료는 상기 경사부에 의해 상기 배출구(374)를 향해 이동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공급부몸체(371)의 내부공간에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376)와, 회전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블레이드(376)를 회전시키는 회전축(377)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376)는 상기 회전축(377)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77)은 상기 공급부몸체(371)를 가로질러 상기 공급부몸체(371)의 내부공간을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376)로 상기 내부공간이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급부몸체(371)는 원통으로 형성되므로, 내부공간이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블레이드(376)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377)에 복수의 회전블레이드(376)가 180도 각도를 가지도록 설치되면, 상기 공급부몸체(371)의 내부공간을 상기 복수의 회전블레이드(376)로 차폐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급부몸체(371)가 원형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회전블레이드(376)를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상기 공급부몸체(371)가 사각형으로 형성되면, 상기 회전블레이드(376)는 다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밥솥이송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이송부(380)는 상기 밥솥이 상기 제1수용부(313)의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밥솥이송부(380)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내측 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밥솥이송부(380)는 상기 밥솥을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밥솥이동부(381)와, 상기 밥솥이동부(381)가 이동하는 밥솥이동레일(3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이동레일(382)은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내측 저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밥솥이동부(381)는 상기 밥솥본체(500)와 연결되며, 상기 밥솥이동부(381)가 상기 밥솥이동레일(382)을 따라 이동 시 상기 밥솥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이송부(380)는 상기 밥솥본체(50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밥솥본체(500)와 상기 밥솥뚜껑(530)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밥솥이송부(380)는 상기 밥솥본체(50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밥솥본체(500)에 쌀, 잡곡 등 밥의 재료와 물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뚜껑조작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뚜껑조작부(410)는 후크조절부(420)와 후크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430)는 상기 후크조절부(420)에 연결되며, 상기 후크조절부(420)에 의해 상기 후크부(430)가 상하 이동하거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430)는 상기 구획부(314)를 통과하여 상기 밥솥뚜껑(53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430)는 상기 구획부(314)의 제1통과홀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후크조절부(420)는 상기 후크부(430)를 회전시키기 위한 후크회전모터와, 상기 후크부(4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후크이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43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후크바와, 상기 후크바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회전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는 상기 후크바의 하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는 상기 후크바의 하측 단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후크는 장방형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후크가 회전하면, 상기 후크부(430)가 상기 밥솥뚜껑(530)에 걸림 고정되고, 상기 회전후크가 역 회전하면, 상기 후크부(430)가 상기 밥솥뚜껑(530)으로부터 고정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후크가 회전하면, 상기 후크부(430)가 상기 밥솥뚜껑(530)을 상기 밥솥본체(500)에 잠금하고, 상기 회전후크가 역 회전하면, 상기 후크부(430)가 상기 밥솥뚜껑(530)을 상기 밥솥본체(500)로부터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43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후크부(430)는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증기배출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390)는 상기 밥솥뚜껑(530)의 증기배출구(531)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390)는 상기 밥솥뚜껑(530)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390)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제1수용부(313)의 상방에 위치하며, 상기 제2수용부(316)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390)는 유입구와, 유출구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를 연결하는 증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출구는 상기 유입구의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구획부(314)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출구는 상기 전면부(311)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덕트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기 유출구를 향해 연장되며, 상기 증기덕트는 상기 제2수용부(316)와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증기덕트는 상기 유입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유출구를 향해 전방을 향해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증기배출부(390)는 토출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팬은 상기 증기덕트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증기덕트에는 상기 토출팬이 설치되기 위한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개구는 상기 증기덕트와 상기 제2수용부(316)를 연통할 수 있다. 즉, 상기 개구에 설치된 토출팬을 통해 상기 제2수용부(316)의 내부 공기가 상기 유출구를 향해 유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은 배출가이드(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320)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320)는 상기 유출구의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320)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내측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유출구의 전방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배출가이드(320)는 다수의 루버와, 다수의 루버를 일체로 작동시키기 위한 루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루버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루버연결부는 상기 다수의 루버를 연결하여, 상기 다수의 루버가 동시에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루버는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내측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내부에는 밥솥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밥솥은 밥솥본체(500)와 밥솥뚜껑(5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은 상기 밥솥이송부(380)에 의해 상기 밥솥하우징(31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밥솥이동부(381)는 상기 밥솥본체(500)에 연결되므로 상기 밥솥이동부(381)의 이동에 의해 상기 밥솥본체(500)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밥솥은 상기 밥솥장치(300)의 몸체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밥솥본체(500)는 외솥(510)과 내솥(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솥(520)은 상기 외솥(5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내솥(520)의 높이는 상기 외솥(510)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내솥(520)이 상기 외솥(510)에 수용되면, 상기 내솥(520)의 상단이 상기 외솥(510)의 상단보다 하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솥(510)은 상기 밥솥본체(500)에 형성되는 외솥안착홈(531)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솥안착홈(531)에는 상기 외솥(510)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5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부(502)는 상기 외솥(510)을 감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내솥(520)에는 쌀, 잡곡 등 밥의 재료와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솥(510)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외솥(510)에는 외솥손잡이(511)와 잠금리브(5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외솥손잡이(511)는 상기 외솥(510)의 외주면에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잠금리브(512)는 상기 외솥(510)과 상기 밥솥뚜껑(530)을 결합하기 위해 제공되며, 상기 외솥(51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외솥안착홈(531)에는 상기 외솥손잡이(511)가 수용되는 손잡이안착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530)은 상기 밥솥본체(500)의 상면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530)은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구(531)와 상기 후크부(430)가 삽입되는 후크장착홀(5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밥솥뚜껑(530)의 내부에는 상기 외솥(510)의 상면을 커버하기 위한 외솥커버와, 상기 잠금리브(512)와 연동하여 상기 밥솥뚜껑(530)과 상기 밥솥본체(500)의 외솥(510)을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동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솥커버와 상기 잠금동작부에 의해 상기 외솥(510)과 상기 밥솥뚜껑(530)이 결합되므로 압력을 조절하여 취사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후크장착홀(533)은 상기 후크부(4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후크장착홀(533)은 장방형의 타원,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430)는 상기 후크장착홀(533)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상기 잠금동작부를 작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크부(430)가 상기 후크장착홀(533)에서 회전하면, 상기 후크부(430)의 일부가 상기 후크장착홀(533)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크부(430)를 상기 후크장착홀(533)로부터 걸림 해제하기 위해서 상기 후크부(430)는 잠금을 위해 회전한 일 방향에서 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외솥(510)은 상기 가열부(502)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외솥(510)은 상기 내솥(520)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내솥(520)의 일부는 상기 외솥(510)에 접촉되므로 상기 외솥(510)의 열 일부가 상기 내솥(520)으로 전도될 수 있다. 상기 외솥(510)이 가열되면, 상기 외솥(510)에 수용된 물이 증기가 되어 상기 내솥(520)으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내솥(520)은 상기 외솥(510)으로부터 전달되는 열로 가열되며, 상기 내솥(520)에 수용된 물과 쌀, 잡곡 등이 밥이 될 수 있다. 상기 내솥(520)에서 밥이 지어지는 과정에서 상기 외솥(510)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기 내솥(520)으로 공급되므로 밥의 찰기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타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300)의 재료공급부(370)와 저장통안착부(340)는 제1실시 예 내지 제4실시 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재료공급부와 저장통안착부로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타 실시 예에 따른 밥솥장치(300)의 재료저장통(590)에는 디스펜서(70)가 장착되고, 상기 저장통안착부(340)에는 상기 디스펜서(70)가 안착되기 위한 디스펜서지지부(343)가 포함될 수 있다.
10: 밥솥스테이션 20: 후크부
21: 후크승강부 22: 후크회전부
23: 후크이송부 25: 재료공급부
26: 물공급부 27: 재료저장통
28: 물저장통 35: 재료공급부
50: 밥솥본체 52: 외솥
54: 내솥 60: 밥솥뚜껑
70: 디스펜서

Claims (20)

  1. 밥의 재료가 저장된 재료저장통이 장착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안착되며, 밥솥본체와 밥솥뚜껑이 구비되는 밥솥;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재료저장통으로부터 투입된 밥의 재료를 상기 밥솥본체로 공급하는 재료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공급부는,
    내부에 재료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공급부몸체;
    상기 재료수용공간으로 상기 밥의 재료가 투입되는 재료투입구;
    상기 재료수용공간으로부터 상기 밥의 재료가 배출되는 재료배출구; 및
    상기 재료수용공간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밥의 재료에 대한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재료공급조절부를 포함하는 밥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조절부는,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재료수용공간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체바디; 및
    상기 회전체바디에 장착되는 다수의 회전블레이드를 포함하는 밥솥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투입구로 투입된 밥의 재료는, 상기 회전체바디와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상측에 쌓이며,
    서로 이웃하는 회전블레이드의 사이에 수용된 밥의 재료가 상기 재료배출구로 공급되는 밥솥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조절부는,
    상기 재료수용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단부에 접촉되며, 상기 공급부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밥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스토퍼는,
    회전스토퍼몸체;
    상기 회전스토퍼몸체의 일측 단부에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블레이드의 단부에 접촉되는 몸체절곡부;
    상기 회전스토퍼몸체의 타측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몸체회전부; 및
    상기 회전스토퍼몸체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공급부몸체에 타측이 연결되는 스토퍼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밥솥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조절부는, 상기 재료수용공간에 수용된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를 파악하고, 파악된 무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밥의 재료를 상기 재료배출구로 공급하기 위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조절부는,
    회전모터에 의해 상기 공급부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개폐부;
    상기 회전개폐부의 상측에 제공되는 무게센서부; 및
    상기 무게센서부의 상측에 제공되고, 상기 회전개폐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센서가압부를 포함하는 밥솥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조절부는, 상기 재료배출구를 개폐하기 위해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에 의해 직선 운동하는 랙기어, 상기 랙기어에 형성된 배출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수용공간에는, 상기 재료공급조절부의 작동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밥의 재료에 대한 무게 정보를 감지하는 무게감지부가 더 포함되는 밥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공급조절부는,
    상기 재료수용공간에서 상기 밥의 재료가 안착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하측에 제공되는 무게센서부; 및
    승강모터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받침판의 하측에 제공되는 승강판을 포함하는 밥솥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본체는, 상기 승강판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시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이동가이드홈이 형성된 이너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재료배출구는, 상기 이너바디의 외면과 상기 공급부몸체의 내면 사이에 정의되며,
    상기 재료공급조절부는, 상기 공급부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재료수용공간과 상기 이너바디의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여, 상기 재료배출구를 개폐하는 밥솥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재료저장통이 삽입되기 위한 저장통삽입구가 형성된 저장통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통삽입구에는, 상기 재료저장통의 개구에 장착되는 디스펜서가 지지되기 위한 디스펜서지지부가 형성되는 밥솥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는,
    상기 재료저장통의 개구에 장착되고, 상기 밥의 재료가 통과하는 디스펜서통과홀이 구비되는 디스펜서바디;
    상기 재료저장통의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재료저장통의 내부로 삽입되는 디스펜서스토퍼;
    상기 디스펜서스토퍼에 연결되며 상기 디스펜서바디를 통과하는 연장바와, 상기 디스펜서지지부에 안착되는 연장바지지대가 구비되는 디스펜서안착부; 및
    상기 디스펜서바디와 상기 연장바지지대의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디스펜서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펜서안착부가 상기 디스펜서지지부에 안착 시, 상기 디스펜서스토퍼가 상기 디스펜서바디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디스펜서통과홀이 개방되는 밥솥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펜서스토퍼는,
    탈산소제를 내부에 저장하기 위한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재료저장통의 내부를 연통하기 위한 다공부가 구비되는 스토퍼몸체; 및
    상기 스토퍼몸체에 결합되는 스토퍼캡을 포함하는 밥솥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는, 뚜껑조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조작부는,
    회전후크가 구비된 후크부;
    상기 후크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후크승강부; 및
    상기 후크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후크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밥솥뚜껑은, 상기 회전후크가 삽입되기 위한 후크장착홀을 포함하고,
    상기 후크장착홀에 삽입되는 후크부에 의해 상기 밥솥뚜껑이 상기 밥솥본체에 결합 또는 분리되는 밥솥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는, 밥솥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밥솥스테이션은,
    바닥에 지지되며 상기 밥솥본체가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탠드; 및
    상기 스탠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고, 상기 밥솥뚜껑을 조작하기 위한 뚜껑조작부 및 상기 재료공급부가 구비되는 회전바디를 포함하는 밥솥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몸체는, 상기 밥솥이 내부에 수용되는 밥솥하우징 및 상기 밥솥하우징을 개폐하는 하우징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밥솥하우징은,
    상기 밥솥뚜껑을 조작하기 위한 뚜껑조작부와, 상기 밥솥뚜껑에서 배출되는 증기를 외부로 가이드하는 증기배출부와, 상기 재료공급부를 포함하는 밥솥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하우징은, 상기 밥솥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밥솥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밥솥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밥솥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밥솥본체는,
    외솥이 안착되는 외솥안착홈; 및
    상기 외솥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솥의 내측에는, 내솥이 안착되는 밥솥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밥의 재료는, 상기 내솥으로 공급되는 밥솥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통 및 상기 물저장통이 장착되기 위한 물저장통안착부가 구비되는 물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부는,
    상기 물이 유입되는 유입배관;
    상기 유입배관으로 유입된 물을 유동시키는 펌프; 및
    상기 펌프에 의해 유동되는 물을 상기 내솥과 상기 외솥으로 배출하는 유출배관을 더 포함하는 밥솥장치.
KR1020220111926A 2022-09-05 2022-09-05 밥솥장치 KR202400333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926A KR20240033370A (ko) 2022-09-05 2022-09-05 밥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926A KR20240033370A (ko) 2022-09-05 2022-09-05 밥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370A true KR20240033370A (ko) 2024-03-12

Family

ID=90300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926A KR20240033370A (ko) 2022-09-05 2022-09-05 밥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37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9787B2 (ja) 過熱蒸気調理器
EP1724529B1 (en) Steam oven with fluid supply and drain vessel
US20180177322A1 (en) Low vacuum and vacuum release device for electric rice cooker
US7997187B2 (en) Brewed beverage maker
RU2563214C2 (ru) Эргономичное серви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шины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ов
US20170347408A1 (en) Heating cooker
US20060000821A1 (en) Oven with a system for generating steam
EP1343356B1 (en) Microwave oven having a coffee maker
US7146904B2 (en) Top load coffee maker with front access water reservoir
US20220151426A1 (en) Liquid heating apparatus
CN111084544A (zh) 一种烹饪器具
JP2009523514A (ja) フィルタコーヒー用マシン
KR20240033370A (ko) 밥솥장치
EP1613898B1 (en) Microwave oven having coffee maker
JP2010063595A (ja) 飲料供給装置
KR20240009115A (ko) 밥솥장치
KR20240009116A (ko) 밥솥장치
KR20240019973A (ko) 밥솥장치
KR20240040339A (ko) 밥솥장치
KR20240009117A (ko) 밥솥장치
KR20240043263A (ko) 밥솥장치
JP2010057799A (ja) 飲料供給装置
KR20240019972A (ko) 밥솥장치
KR20240012748A (ko) 밥솥장치의 제어방법
JP6477103B2 (ja) 飲料抽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