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0279A -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0279A
KR20240010279A KR1020220087637A KR20220087637A KR20240010279A KR 20240010279 A KR20240010279 A KR 20240010279A KR 1020220087637 A KR1020220087637 A KR 1020220087637A KR 20220087637 A KR20220087637 A KR 20220087637A KR 20240010279 A KR20240010279 A KR 20240010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itake mushroom
obesity
mushroom mycelium
preventing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미영
최화정
김선형
Original Assignee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087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0279A/ko
Publication of KR20240010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27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투여함으로써 고지방식이 시 유발되는 체중증가를 저감시키고, 혈중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이용하여 비만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obesity comprising Lentinus edodes mycelial culture}
본 발명은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경제성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고칼로리 음식섭취 증가와 운동의 감소로 여분의 칼로리가 지방의 형태로 인체에 축적되면서 비만 환자가 늘고 있다. 체내에 과도하게 많은 양의 체지방이 축적된 상태인 비만(obesity)은 음식으로 섭취한 열량이 신체활동으로 소비하는 열량보다 많을 때 체지방으로 축적되면서 일어나며, 남자는 체지방이 체중의 25% 이상일 때, 여자는 체중의 30% 이상일 때를 비만이라고 정의한다.
비만의 주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에너지 대사 이상 등이 있으며, 증후성 비만의 경우 내분비, 시상하부성, 유전, 전두엽 및 대사성 등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비만은 과도한 영양섭취에 비해 에너지 소비가 적을 때 여분의 에너지가 체지방의 형태로 축적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을 거치며 과체중 및 비만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비만은 제2형 당뇨병, 동맥경화증을 비롯하여 많은 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키며, 이들로 인한 합병증과 사망률을 증가시키므로 반드시 치료되어야 하는 만성질환으로 간주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비만의 치료법으로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요법 등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방법과 약물치료 및 수술적 치료법 등이 있다. 이중 생활습관 교정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하지만,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일이 쉽지 않으며, 식이요법, 운동요법만으로 체중을 감량하는 데는 한계가 있어서, 많은 경우에 약물치료가 필요하게 된다.
1890년대 갑상선 호르몬이 비만치료제로 소개된 이후로, 많은 약물들이 시도되었으나 대부분의 약물이 효과가 없거나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이 중단되었다. 근래까지 암페타민 등의 남용이 문제가 되어왔고, 펜플루라민과 펜테르민 복합제가 심장판막 이상으로 사용이 금지되기도 하였다.
한편, 버섯은 예전부터 널리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버섯은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 성분이 많아 식용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Chang, 2006). 이중 표고버섯(Lentinus edodes)은 전 세계에서 3번째의 재배량과 2번째로 이용률이 많은 버섯으로 동남 아시아에서 재배된다.
식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고버섯은 표고버섯의 자실체(fruit body)로, 글루칸(glucan)과 에리타데닌(eritadenine)과 같은 물질들은 혈중 지질을 낮추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Jenkins et al., 2002). 표고버섯 자실체의 β-glucan은 위장관 내에서 포만감을 주어 음식물의 섭취를 감소시키고, 영양물질 흡수 지연, 혈당 감소 및 콜레스테롤 감소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Chibata et al., 1969). 또한 고콜레스테롤 동물모델에서 표고버섯 자실체의 섭취가 혈당과 지질 배출에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Yoon et al., 2011), 또한 고콜레스테롤 동물 모델과 심장의 관상동맥질환 모델에서 표고버섯의 에리타데닌(eritadenine)의 효과를 확인하였다(Sugiyama et al., 1995).
최표고버섯 균사체의 경우, 맛, 향, 채취방법 등의 측면에서 식용으로 사용하기 부적합하였으나, 최근 연구에 의하면 영양소 및 생리활성 성분이 자실체보다 풍부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표고버섯 균사체(mycelium) 배양물의 열수추출물에는 lentinan을 비롯한 glycoprotein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Oba et al., 2009), 항산화, 항균, 항암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표고버섯 균사체의 항비만 효과는 직접적으로 확인된 바 없다.
종래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177380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6595호에는 옥수수수염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청고추 추출물 및 팥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및 표고버섯, 탱자 및 옥수수수염 각각의 추출물을 특정 배합비로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항당뇨 및 항고지혈증 용도의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항미만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으며, 한국등록특허 제0898832호에는 체중과 피하 지방량, 지방 조직 내 세포크기, 혈청 중 총 지방(total lipids)량, 트라이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및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량을 감소시키고, 혈청 중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량을 증가시키며, 지방조직 및 간조직의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Hormone-sensitive lipase) 활성을 높이는 등의 항비만 효과를 발휘하는 으름덩굴, 옥수수수염, 애기사과, 율무, 표고버섯 및 머위로 조성되는 항비만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항미만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비특허선행문헌인 대한목초학회지 제26권 제2호(김수민 등, 2011)의 표고버섯 균사체의 생리활성과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에는 표고버섯 균사체 열수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성이 기재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항미만 효과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국등록특허 제1177380호, 옥수수염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청고추 추출물 및 팥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2012년08월21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6595호, 율무, 표고버섯, 탱자 및 옥수수수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2016년03월09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0898832호, 항비만용 조성물,2009년05월14일, 등록.
김명아, 중성지방과 심혈관질환, J Lipid Atheroscler 2013;2(1):1-8. 김수민, 김은주, 표고버섯 균사체의 생리활성과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Kor. J. Herbology 2011;26(2):25-30. 남상명, 하은회, 서영주, 박혜숙, 장문회, 서주희, 김병미, 4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지표가 혈중지질수준과 고지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제17 권 제1 호 2008. 20-28. Chan Yoon Park(2019).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Vitamin D Metabolism and Adipose Tissue Inflammation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Chang, S.T.(2006). The world mushroom industry: trend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t J Med Mushrooms. 8(4):297-314. Chae Myeong Lee, Bae Hwan Kim (2012). Research Paper : The Anti-obesity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Ethanol Extract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Hepatic and Adipose Tissue in HFD-induced Obese M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3):677-687. Chibata, I., Okumura, K., Takeyama, S., Kotera, K. (1969). Lentinacin: a new hypocholesterolemic substance in Lentinus edodes. Experientia. 25(12):1237-1238. Ciriolo MR, Rossi L, Mavelli I, Rotilio G, Borzatta V, Cristofori M, Barbanti M. (1984). The effects of hypolipidemic agents derived from procetofenic acid on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nd on malonydialdehyde production of rat liver. Arzneimittelforschung 34: 456-457. Fukada, S., Setoue, M., Morita, T., Sugiyama, K. (2006). Dietary eritadenine suppresses guanidinoacetic acid-induced hyperhomocysteinemia in rats. J Nutr. 136(11):2797-2802. Gordon T, Kannel WB, Castelli WP, Thomase R and Dawber TR. (1981). Lipoprote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Arth. Intern. Med., 141(9), 1128-1131. Hae Jeong Ryu, Min Young Um, Ji Yun Ahn, Chang Hwa Jung, Dam Huh, Tae Wan Kim, Tae Youl Ha. (2011). Anti-obesity Effect of Hypsizigus marmoreus in High Fat-fed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2), 1708-1714. Jin Gi Shin, Jung Sook Choi, Gyung Yun Beik (2019). Effect of Mahangbokhap Extract Lipid Profile and Tissue in HFD-induced Obese M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51-59. Lee, Kyung-Suk (2009). Effects of the Sarcodon aspratus on the obesity induced by high fat-diet and the atopic dermatitis. Department of Biology.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algado Junior W, Santos JS, Sankarankutty AK, de Castro e Silva O. (2006).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obesity. Acta Cir Bras. 21(1): 72-78. Sugiyama, K., Akachi, T., Yamakawa, A. (1995). Hypocholesterolemic action of eritadenine is mediated by a modification of hepatic phospholipid metabolism in rats. J Nutr. 125(8):2134-2144. Tae Jin Kim(2022) The improvement effects of Patchouli alcohol on wound healing in high fat diet-fed mice through AMPK-mediated suppression of inflammation and TGFb1 signaling. Major in Pharmacology, Department of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Yamamoto, Y., H. Shirono, K. Kono, and Y. Ohashi. (1997).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the water-soluble lignin rich fraction prepared from LEM: The extract of the solid culture medium of Lentinus edodes mycelia. Biosci. Biotech. Biochem. 61. 1909~1912. Yoon, K.N., Alam, N., Lee, J.S., Cho, H.J., Kim, H.Y., Shim, M.J., Lee, M.W., Lee, T.S. (2011).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dietary Lentinus edodes on plasma, feces and hepatic tissue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Mycobiology. 39(2):96-102. Wasser, S.P., Weis, A.L. (1999). Medicinal properties of substances occurring in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s: current perspectives. Int J Med Mushrooms. 1: 31-62.
본 발명의 목적은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표고버섯 균사체는 액체배지 또는 고체배지에서 배양될 수 있으며, 액체매지인 경우, 보리와 쌀겨를 중량비 1:1, 5:1, 10:1, 20:1 또는 40:1 로 혼합한 YMG 액체 배지에서 25 ~37℃, 150 rpm, 초기 산소량 0.5 vvm의 조건으로 배양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리와 쌀겨의 중량비는 20:1이다. 고체배지인 경우, 보리와 쌀겨를 중량비 20:1로 혼합한 혼합물을 고압멸균한 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여기에 표고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배양할 수 있다. 배양은 액체배지인 경우, 2~5일, 고체배지인 경우, 5~10일 배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일 배양할 수 있다. 균사체 성장속도에 따라 배양기간을 조절할 수 있다. 보리와 쌀겨를 중량비 20:1로 혼합한 배지는 표고버섯 균사체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 균사체 성장 속도를 높여 배양물의 수득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5일보다 짧게 배양하는 경우, 표고버섯 균사체가 충분히 성장하지 못할 수 있으며, 10일보다 오래 배양하는 경우, 표고버섯 균사체의 과배양으로 영양성분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 배양이 끝나면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 (Lentinus edodes mycelial culture)은 감압 농축기로 농축할 수 있다.
상기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은 전체 약학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99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액제,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감미제, 산미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가용화된 데커시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산미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 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하루 1㎎/㎏ 내지 대략 700㎎/㎏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투여량은 하루 10㎎/㎏ 내지 500㎎/㎏이며,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하루 100㎎/㎏ 내지 360㎎/㎏이다. 하루 1㎎/㎏보다 적은 투여는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투여량이 너무 적어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하루 700㎎/㎏ 보다 많은 양의 투여는 투여하는 용량대비 효과가 적어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상기 조성물은 상기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이 전체 식품 총 중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1~99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1~70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로 하여 첨가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은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투여함으로써 고지방식이 시 유발되는 체중증가를 저감시키고, 혈중 중성지방을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비만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10주 동안 정상군(Normal), 고지방식이군(HFD/control) 및 고지방식이 및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HFD/MC-LE)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A) 10주 동안의 Normal, HFD/control 및 HFD/MC-LE 마우스의 체중변화 (B) 10주 후의 Normal, HFD/control 및 HFD/MC-LE 마우스의 체중증감. 데이터는 세가지 개별 실험의 평균±S.D. n=그룹당 10 (p<.01).
도 2는 10주 간 정상군(Normal), 고지방식이군(HFD/control) 및 고지방식이 및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HFD/MC-LE) 처리한 마우스의 간 무게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데이터는 세가지 개별 실험의 평균±S.D. n=그룹당 10 (p<.01).
도 3은 10주 간 정상군(Normal), 고지방식이군(HFD/control) 및 고지방식이 및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HFD/MC-LE) 처리한 마우스 간의 조직학적 분석 사진이다. 간 조직 섹션을 H&E(x 200)로 염색하여 간 지질 함량을 관찰, n = 그룹당 10개.
도 4는 10주 동안 정상군(Normal), 고지방식이군(HFD/control) 및 고지방식이 및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HFD/MC-LE) 처리한 마우스의 중성지방인 트리글리세리드(Triglyceride, TG)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데이터는 세 가지 개별 실험의 평균 ± SD, n = 그룹당 10 (p<0.0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지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 실시예 1. 표고버섯균사체 배양물 제조>
표고버섯균사체의 배양조건을 확립하고 표고버섯균사체 배양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먼저 표고버섯균사체 배양에 사용되는 보리와 쌀겨(Ilbanseong Nonghep, Jinju, Korea)의 최적비율을 확인하였다. 보리와 쌀겨를 1:1 5:1, 10:1 및 20:1 w/w로 혼합하여 1L의 배지를 각각 조제하고, 고압멸균기 이용하여 (121℃, 10 min) 멸균하고 실온에서 냉각시킨 다음, 표고버섯균(ATCC 64275)을 접종하여 37℃ incubator에서 150 RPM으로 7일 현탁배양하였다. 각 시료의 고형물 함량이 1.2 g/100 ㎖가 되도록 조정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시료 MC-LE(1:1), MC-LE(5:1), MC-LE(10:1)를 MC-LE(20:1)를 제조하였다(MF-LE). 표고버섯 자실체 4 kg에 물 4ℓ를 가하고 121 ℃에서 1 시간 동안 고압 가열하여 추출한 것을 고형물 함량이 1.2 g/100 ㎖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후, 고지방 사료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이 체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 (HFD) 1 주 7 주 체중 증가
D.W 20.4±0.5 40.6±0.8 20.2
MC-LE(1:1) (n=4) 20.6±0.4 35.4±1.9 14.8
MC-LE(5:1) (n=4) 20.5±0.4 35.5±1.6 15.0
MC-LE(10:1) (n=4) 19.8±0.6 32.4±1.2 12.6
MC-LE(20:1) (n=4) 20.3±0.5 30.7±0.8 10.4
MC-LE(40:1) (n=4) 20.2±0.4 34.4±3.1 14.2
MF-LE (n=3) 20.4±0.5 38.2±1.1 17.8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7주의 고지방식이는 마우스의 체중을 약 2배 증가시켰으며, 표고버섯균사체 배양물 및 표고버섯 자실체 추출물은 고지방식이 마우스의 체중 증가를 모두 억제하였다. 그러나 표고버섯균사체 배양물은 표고버섯 자실체 추출물과 비교하여 고지방식이 마우스의 체중 증가를 현저히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다. 특히, 보리와 쌀겨의 비율을 20:1 w/w로 혼합한 배지에서 표고버섯균을 배양하는 경우, 고지방식이 마우스의 체중 증가를 가장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상기 결과에 따라 보리와 쌀겨(Ilbanseong Nonghep, Jinju, Korea)를 20:1 w/w로 혼합하여 1L의 배지를 조제하였다. 고압멸균기 이용하여 (121℃, 10 min) 멸균하고 실온에서 냉각시킨 배지에 표고버섯균(ATCC 64275)을 5ml 접종하여 37℃ incubator에서150 RPM에서 7일 현탁배양하였다.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 (Lentinus edodes mycelial culture) 강압 농축기로 농축하고 각 시료의 고형물 함량이 1.2 g/100 ㎖가 되도록 조정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시료를 제조하였다(MC-LE).
< 실시예 2.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체중에 미치는 효과 확인>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먼저 고지방 사료 유도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이 체중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수컷 C57bl/6 마우스는 대한바이오링크 (대한민국)로부터 입수하였으며, 분양 받은 실험동물은 2주간 기본사료(AIN-76A diet)와 물을 자유롭게 공급하면서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건강상태가 양호한 10 주령의 마우스를 항온(25±2℃), 항습(50±5%) 및 12시간 간격의 광주기(light on 07:00~19:00)로 명암이 조절되는 특정병원체 부재(Specific Pathogen Free, SPF) 환경에서 유지시켰다.
실험동물을 정상군(Normal), 고지방식이 대조군(High fat diet: HFD/Control) 및 표고버섯 균사체 실험군 MC-LE(HFD/MC-LE)의 군으로 10마리씩 나누어 식이와 식수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여 몸무게가 28g이 될 때까지 안정화시켰다. 실험동물의 몸무게가 28g으로 안정화되었을때, 대조군과 MC-LE군에는 고지방 사료(HFD)를 자유식으로 투여하여 비만을 유도하였다. 이와 함께 정상군과 고지방식이 대조군은 증류수를, 실험군은 표고버섯 균사체 추출물을 예비실험을 통해 효능을 나타내는 농도인 360 mg/0.2ml/kg의 농도로 물에 희석하여 10주간 매일 경구 투여하였다.
실험기간동안 실험동물의 체중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모든 동물실험은 대전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 승인 (DJUARB2018-029)을 받아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동물을 10주간, 정상군(Normal), 고지방식이군(HFD/Control)은 증류수를, 고지방식이+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 처리군(HFD/MC-LE)에는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360 mg/0.2ml/kg을 투여하였고 매주 각 군의 체중을 측정하여 도 1A에 나타내었다.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지방식이(HFD/Control) 마우스는 정상(Normal) 마우스와 비교하여 급이 10주 후에는 전체 체중(body weight)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그러나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포함하는 식이를 투여한 마우스(HFD/MC-LE)는 고지방식이(HFD/Control) 마우스와 같은 급격한 체중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오히려 정상(Normal) 마우스와 유사한 체중 변화를 나타내었다. 이후 식이 10주 후의 체중 증가 현황을 도 1B에 나타내었다. 보통의 식이를 섭취한 정상(Normal) 마우스의 10주 후 체중 증가분은 8.7 g, 고지방 식이 마우스(HFD/Control)는 23.2 g 증가하였으며, 고지방식이에 본 발명에 따른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추가한 실험군(HFD/MC-LE)은 15.3 g의 체중 증가를 나타내었다. 즉 정상군(Normal)과 비교하여 고지방식이(HFD/Control)군은 14.5g 증가하였고,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처치한 고지방식이군(HFD/MC-LE군)은 HFD/Control과 비교하여 7.9 g로 45.52%의 현저한 체중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추가로 급이하는 것 만으로 현저한 항비만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항비만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3.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간의 무게에 미치는 효과 확인>
비만 환자의 80% 이상이 지방이 간에 축적되는 지방간 증상을 나타내며, 지방간이 진행되면 간의 무게가 증가한다. 먼저 고지방식이가 마우스의 간 무게를 증가시키는지 확인하고, 이에 본 발명의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의 실험 후, 각 군의 마우스를 희생시켜 간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간의 무게는 Normal은 0.803±0.05 g, HFD/Control은 1.12±0.04 g으로 약 1.3배의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이에 반하여 HFD/MC-LE군의 간 무게는 0.78±0.02 g으로 HFD/Control에 비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상기 결과를 통해 고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첨가한 식이섭취로 간에 지방이 침착되어 무게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이 이러한 간 무게의 증가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4.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간의 무게에 미치는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무게가 증가된 간의 조직을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 (Hematoxylin and Eosin, H&E) 염색을 통해 분석하였다. 상기 상기 실시예 3의 적출된 마우스를 공지의 방법으로 H&E 염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HFD/Control에서 모든 간조직 세포가 지방축적에 의한 지방방울이 확인되었으며, 지방세포의 축척으로 간굴모세혈관(hepatic sinusoids)이 폐쇄된 상태가 확인되고, 염증성 세포들이 부분적으로 침윤으로 간 조직 손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HFD/MC-LE군에서는 Normal과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며 지방방울도 보이지 않고, 간 손상이 경미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HFD/MC-LE의 간조직의 지방 축척억제와 함께 간손상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 실시예 5. 비만 마우스 모델에서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의 혈중 중성지방 함량에 미치는 효과 확인>
혈중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은 대부분 지단백질(lipoprotein)을 구성하며, 동백경화증 유발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Gordeon et al., 1981). 특히 비만의 경우 중성지방의 함량이 정상인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으며, 체내 높은 중성지방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로서 관상동맥질환 및 뇌혈관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김명아, 2013).
따라서 고지방식이가 마우스의 중성지방 함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 본 발명의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이 고지방식이 마우스의 중성지방 함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10주후 실험동물의 간 및 혈청을 수득하고, 혈청 내 중성지방 함량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혈청 내 중성지방의 경우 HFD/Control은 487.7±35.1 mg/dL로 Normal의 2.5배가 되었으며, HFD/MC-LE는 341.30±47.9 mg/dL로 HFD/Control에 비해서 유의성 있는 감소효과를 나타내었다(p<0.01).
< 제제예 1. 약학적 제제>
본 발명의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 200㎎을 락토즈 175.9g, 감자전분 180g 및 콜로이드성 규산 32g과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젤라틴 용액을 첨가시킨 후, 분쇄하여 14 메쉬체를 통과시켰다. 이것을 건조시키고 여기에 감자전분 160g, 활성 50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5g을 첨가해서 얻은 혼합물을 정제로 만들었다.
< 제제예 2.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제제예 2-1.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 2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 비타민 B1 0.13㎎, 비타민 B2 0.15㎎, 비타민 B6 0.5㎎, 비타민 B12 0.2㎍, 비타민 C 10㎎, 비오틴 10㎍, 니코틴산아미드 1.7㎎, 엽산 50㎍, 판토텐산 칼슘 0.5㎎,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산화아연 0.82㎎, 탄산 마그네슘 25.3㎎, 제1인산칼륨 15㎎, 제2인산칼슘 55㎎, 구연산칼륨 90㎎, 탄산칼슘 100㎎, 염화마그네슘 24.8㎎을 섞어 과립으로 제조하였으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제형으로 변형시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제예 2-2. 건강기능성 음료의 제조
본 발명의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 1g, 구연산 0.1g, 프락토올리고당 100g, 정제수 900g을 섞어 통상의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교반, 가열, 여과, 살균, 냉장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Claims (7)

  1.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고버섯 균사체는 보리와 쌀겨를 중량비 1~40:1로 혼합한 배지에서 5~10일 배양한 배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고버섯 균사체는 보리와 쌀겨를 중량비 20:1로 혼합한 배지에서 5~10일 배양한 배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환제 및 액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표고버섯 균사체는 보리와 쌀겨를 중량비 20:1로 혼합한 배지에서 5~10일 배양한 배양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및 액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220087637A 2022-07-15 2022-07-15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102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37A KR20240010279A (ko) 2022-07-15 2022-07-15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637A KR20240010279A (ko) 2022-07-15 2022-07-15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279A true KR20240010279A (ko) 2024-01-23

Family

ID=89713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637A KR20240010279A (ko) 2022-07-15 2022-07-15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027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32B1 (ko) 2007-10-10 2009-05-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항비만용 조성물
KR101177380B1 (ko) 2010-05-19 2012-08-27 주식회사 엔자임바이오 옥수수염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청고추 추출물 및 팥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60026595A (ko) 2014-08-27 2016-03-09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율무, 표고버섯, 탱자 및 옥수수수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8832B1 (ko) 2007-10-10 2009-05-2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항비만용 조성물
KR101177380B1 (ko) 2010-05-19 2012-08-27 주식회사 엔자임바이오 옥수수염 추출물, 표고버섯 추출물, 청고추 추출물 및 팥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20160026595A (ko) 2014-08-27 2016-03-09 광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율무, 표고버섯, 탱자 및 옥수수수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및 비만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ae Myeong Lee, Bae Hwan Kim (2012). Research Paper : The Anti-obesity Effect of Cudrania Tricuspidata Ethanol Extract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Hepatic and Adipose Tissue in HFD-induced Obese M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3):677-687.
Chan Yoon Park(2019).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Vitamin D Metabolism and Adipose Tissue Inflammation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The Graduate School Seoul National University.
Chang, S.T.(2006). The world mushroom industry: trends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Int J Med Mushrooms. 8(4):297-314.
Chibata, I., Okumura, K., Takeyama, S., Kotera, K. (1969). Lentinacin: a new hypocholesterolemic substance in Lentinus edodes. Experientia. 25(12):1237-1238.
Ciriolo MR, Rossi L, Mavelli I, Rotilio G, Borzatta V, Cristofori M, Barbanti M. (1984). The effects of hypolipidemic agents derived from procetofenic acid on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nd on malonydialdehyde production of rat liver. Arzneimittelforschung 34: 456-457.
Fukada, S., Setoue, M., Morita, T., Sugiyama, K. (2006). Dietary eritadenine suppresses guanidinoacetic acid-induced hyperhomocysteinemia in rats. J Nutr. 136(11):2797-2802.
Gordon T, Kannel WB, Castelli WP, Thomase R and Dawber TR. (1981). Lipoprotein,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Arth. Intern. Med., 141(9), 1128-1131.
Hae Jeong Ryu, Min Young Um, Ji Yun Ahn, Chang Hwa Jung, Dam Huh, Tae Wan Kim, Tae Youl Ha. (2011). Anti-obesity Effect of Hypsizigus marmoreus in High Fat-fed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2), 1708-1714.
Jin Gi Shin, Jung Sook Choi, Gyung Yun Beik (2019). Effect of Mahangbokhap Extract Lipid Profile and Tissue in HFD-induced Obese Mi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1):51-59.
Lee, Kyung-Suk (2009). Effects of the Sarcodon aspratus on the obesity induced by high fat-diet and the atopic dermatitis. Department of Biology. The Graduate School,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Salgado Junior W, Santos JS, Sankarankutty AK, de Castro e Silva O. (2006).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obesity. Acta Cir Bras. 21(1): 72-78.
Sugiyama, K., Akachi, T., Yamakawa, A. (1995). Hypocholesterolemic action of eritadenine is mediated by a modification of hepatic phospholipid metabolism in rats. J Nutr. 125(8):2134-2144.
Tae Jin Kim(2022) The improvement effects of Patchouli alcohol on wound healing in high fat diet-fed mice through AMPK-mediated suppression of inflammation and TGFb1 signaling. Major in Pharmacology, Department of Medicine. The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Wasser, S.P., Weis, A.L. (1999). Medicinal properties of substances occurring in higher Basidiomycetes mushrooms: current perspectives. Int J Med Mushrooms. 1: 31-62.
Yamamoto, Y., H. Shirono, K. Kono, and Y. Ohashi. (1997). Immunopotentiating activity of the water-soluble lignin rich fraction prepared from LEM: The extract of the solid culture medium of Lentinus edodes mycelia. Biosci. Biotech. Biochem. 61. 1909~1912.
Yoon, K.N., Alam, N., Lee, J.S., Cho, H.J., Kim, H.Y., Shim, M.J., Lee, M.W., Lee, T.S. (2011).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dietary Lentinus edodes on plasma, feces and hepatic tissue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Mycobiology. 39(2):96-102.
김명아, 중성지방과 심혈관질환, J Lipid Atheroscler 2013;2(1):1-8.
김수민, 김은주, 표고버섯 균사체의 생리활성과 기능성식품 소재 개발, Kor. J. Herbology 2011;26(2):25-30.
남상명, 하은회, 서영주, 박혜숙, 장문회, 서주희, 김병미, 40세 이상 성인에서 비만지표가 혈중지질수준과 고지혈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제17 권 제1 호 2008. 2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eft Buckwheat phenolic metabolites in health and disease
CA2520207C (en) Composition comprising bamboo extract and the compounds isolated therefrom showing treating and preventing activity for inflammatory and blood circulation disease
CN109628358A (zh) 一种复合益生菌及其应用
KR101651907B1 (ko) 갈색거저리 유충의 추출물 또는 갈색거저리 유충의 현탁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13693B1 (ko) 괭생이 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20997B1 (ko) 노각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시력 보호용 또는 망막 질환의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20002131A (ko) 울금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1062172B1 (ko) 버섯 발효인삼 분말을 함유하는 항암용 건강식품
KR20140017932A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KR101830048B1 (ko) 가자나무열매추출물 및 암라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1184349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tc 11454 bp로 발효시킨 녹용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강 및 조혈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82249A (ko) 참옻나무 목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치료 부작용에 따른 소화기능장애, 백혈구 감소증 및 골수부전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20240010279A (ko)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68892B1 (ko) 약난 및 진득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113603B1 (ko) 간기능 개선 및 숙취해소 증진 기능을 가지는 한방복합제재 조성물(dts20, dts21)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00022660A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 고지혈증 또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101744061B1 (ko) 당뇨 및 혈류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03305A (ko) 벼메뚜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01103933A (ja) 霊芝胞子を入れた混合食品と飼料添加物
KR20140104090A (ko) 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방간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210079828A (ko) 개똥쑥 추출물, 후박 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비만 및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JP2007031314A (ja) アレルギー症状の改善作用を有する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