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832B1 - 항비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비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832B1
KR100898832B1 KR1020070101889A KR20070101889A KR100898832B1 KR 100898832 B1 KR100898832 B1 KR 100898832B1 KR 1020070101889 A KR1020070101889 A KR 1020070101889A KR 20070101889 A KR20070101889 A KR 20070101889A KR 100898832 B1 KR100898832 B1 KR 10089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composition
group
fat
se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1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6710A (ko
Inventor
최면
김천안
김현숙
김태우
김대중
이현주
황하진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보리나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보리나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1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83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20Reducing nutritive value; Dietetic products with reduced nutritive valu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으름덩굴, 옥수수수염, 애기사과, 율무, 표고버섯 및 머위로 조성되는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체중과 피하 지방량, 지방 조직 내 세포크기, 혈청 중 총 지방(total lipids)량, 트라이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및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량을 감소시키고, 혈청 중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cholesterol)량을 증가시키며, 지방조직 및 간조직의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Hormone-sensitive lipase) 활성을 높이는 등의 항비만 효과를 발휘한다.
항비만, 조성물, 으름덩굴, 옥수수수염, 애기사과, 율무, 표고버섯

Description

항비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besity}
본 발명은 항비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으름덩굴, 옥수수수염, 애기사과, 율무, 표고버섯 및 머위로 조성됨으로써 항비만의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이란 과잉 체중의 상태가 아닌 신체에 과다한 체지방이 축적된 상태를 의미하며, 신체활동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보다 칼로리 섭취가 초과하여 잉여에너지가 중성지방의 형태로 지방조직에 과잉 축적되었을 때 유발된다.
비만으로 간주되는 경우는 전체 체중에서 체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남자의 경우 25%, 여자의 경우 30%이상일 때이며, 또한 체중(kg)을 신장의 제곱(m2)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되어지는 체질량 지수(BMI: body mass index)가 30 이상인 경우이다.
비만은 선진국을 대상으로 전체성인 중 30%를 차지하고, 비만인 사람은 평균 사망률이 일반인에 비해 남자의 경우 약 45%, 여자의 경우 약 40% 높아, 1996년 세계보건기구(WTO)는 비만을 치료가 필요한 병이라고 경고한바 있다.
비만은 비만 그 자체로 지방조직에 의한 복부 압박으로 인하여 변비와 소화불량, 위장장애 등을 일으키고 당뇨,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 암 등의 성인병과 그 합병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신체에 대한 불평, 불안, 인격장애, 우울증 등의 정신적인 병까지 유발하는 만병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화학 합성 화합물을 이용한 항비만 관련 조성물(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999-0036207)들이 개발되었으나, 합성화합물이라는 이유로 일반 소비자에게 거부감뿐만 아니라 복용시 불쾌감을 주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천연물 소재를 이용한 항비만 관련 조성물(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09208,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19395)들이 개발되었지만, 효능에 대한 검증이 불충분하여 실질적으로 항비만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의구점이 많은게 사실이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항비만 효과를 발휘하는 천연물 소재로부터 유래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으름덩굴, 옥수수수염, 애기사과, 율무, 표고버섯 및 머위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바람직하게 상기 항비만용 조성물은 그 조성비가 으름덩굴 3.08~5.72 중량%, 옥수수수염 6.23~11.57 중량%, 애기사과 60.03~73.37 중량%, 율무 3.08~3.72 중량%, 표고버섯 4.41~8.19 중량% 및 머위 6.51~12.09 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로 제시된 소재들 중 으름덩굴, 옥수수수염, 애기사과, 율무, 표고버섯은 하기 실험예 1-1 내지 1-3의 과정을 통해 선발한 것이고, 머위는 비만에 관해 수년간 연구해 온 본 발명자의 축적된 지식 및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선정한 것이다.
상기 소재들로 조성된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실험예 2-1 내지 2-8을 통해, 체중 및 피하지방량, 지방조직 내 세포크기, 혈중 총 지방(total lipids), 트라이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콜레스테롤(cholesterol)을 낮추고, 고밀도 지 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을 높이는 등의 종합적인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방조직 및 간조직에서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hormone-sensitive lipase)의 활성을 높이는 효과도 입증되었다.
이상,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체중과 피하 지방량, 지방 조직 내 세포크기, 혈청 중 총 지방량, 혈청 중 트라이글리세라이드,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량 감소시키고, 혈청 중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량을 증가시키며,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의 활성을 높인다.
이와 같은 사실들을 종합할 때,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은 실질적인 항비만 효과를 발휘한다고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험예 1> 본 발명 조성물에 있어 첨가되는 조성물 결정
본 발명에 첨가되는 조성물은 KFDA가 인증하는 항비만 효능 검증 생체지표(biomarker)와 관련있는 효소로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Hormone-sensitive lipase), 아실 코에이 합성효소(Acyl-CoA synthetase), 카르니틴 아실 트랜스퍼나제(Carnitin acyl transferase)의 활성을 측정하여 조성될 구성요소(소재)를 선발하였다.
비만 유도로 형질전환된 Zucker fa/fa rats와 자연상태(wild type)인 lean rats로부터 지방 조직과 간조직을 채취하여 세포 분획물을 제조한 후, 그에 존재하는 상기 효소들의 활성을 율무, 양파, 표고버섯, 옥수수수염, 해당화열매, 고추, 애기사과, 질경이, 으름덩굴에 대해 측정하였다.
이때, 세포 분획물은 채취한 Zucker fa/fa, lean rats 지방 조직 및 간조직으로부터 수득(참고문헌: 생화학, 고문사, 강윤세 외 14인, 1996)하였는데, 지방 조직은 수컷의 경우, 부고환 지질, 복부 지방 및 내장 지방으로, 암컷의 경우, 복부 지방 및 내장 지방에서 채취하였고, 간 조직은 복부 절개 후 간으로 들어가는 정맥을 절단하고 간을 들어냄으로써 채취하였다.
< 실험예 1-1> 선발 소재별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 활성 조절 정도의 조사
율무, 양파, 표고 버섯, 옥수수수염, 해당화열매, 고추, 애기사과, 질경이, 으름덩굴에 대한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Hormone-sensitive lipase)의 활성 정도( 참고문헌: Chul Jin Kim, Hong Sik Cheigh, 'A Simple and Modifide Photometric Method for Measuring Lipase Activity' KOREAN J. FOOD SCI. TECHNOL. vol. 16, No.2(1984), Wills, E.D. In "The enzyme of lipid metabolism" P.Desnuelle, ed., Pergamon, Oxford p.13 (1961), Parry, R.M., Chandan, R.C., and Shabani, K.M.: J.Dairy Sci, 49, 356 (1966), Duncombe, W.G.: Biochem J., 88, 7 (1963), Schmidt, F.H., Stork, H and Dahl, K,V.: in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Vol.2, Bergmeyer, ed.Academic, New York.p.819 (1971), Hirayama, O. and Matsuda, H.: Agr . Biol . Chem., 36, 1831 (1972), Noda, M and Kobayashi, K.: Jap.J.Agr.Chem., 42, 574 (1968))를 Zucker fa/fa rats와 Zucker lean rats 의 지방 조직으로부터 회수한 세포 분획물로부터 측정하였다.
선발한 소재별로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 활성 조절 정도를 측정한 결과(도 1), fa/fa rats 경우 애기사과가 3840%, 양파 2640%, 표고버섯 2080% 등으로 애기사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lean rats경우(도 2), 표고버섯 3467%, 애기사과 3333%, 옥수수수염 3133%로 표고버섯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애기사과, 표고버섯 및 옥수수염을 선정하였고, 그 후 추가될 다른 성분들은 하기의 실험예를 통해 추가 선발하였다. 한편, 양파는 제품화 시 보존성의 문제 및 특유의 강한 냄새 때문에 배제하였다.
< 실험예 1-2> 선발 소재별 아실 코에이 합성효소 활성 조절 정도 조사
율무, 양파, 표고 버섯, 옥수수수염, 해당화열매, 고추, 애기사과, 질경이, 으름덩굴의 아실 코에이 합성효소(Acyl-CoA synthetase) 활성 조절 정도(참고문헌: Miyazawa S., T. hashimoto and S. Yokota, 1985, Identity of long-chain acyl-CoA synthetase of microsomes, mitochondria and peroxisomes in rat liver. J. Biochem. 98)를 Zucker fa/fa rats과 lean rats 간조직 세포 분획물로부터 측정하 였다.
선발 소재별 fa/fa rats의 간세포 분획물에서 아실 코에이 합성효소 활성 조절 정도를 측정한 결과(도 3), 고추 114750%, 양파 31250%, 표고버섯 84750% 등으로 나타났고, lean rats의 경우(도 4), 고추 1352%, 양파 1331%, 질경이 1051% 등으로 측정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으름덩굴 및 율무를 선정하였다. 한편, 본 실험예 1-2에 의하면 고추 및 양파의 아실 코에이 합성효소 활성 조절 효능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고추 및 양파는 제품화 시 보존성시 문제가 유발되고, 특히 냄새가 강한 문제가 있어 배제하였다.
< 실험예 1-3> 선발 소재별 카르니틴 아실 트랜스퍼라제 활성 조절 정도 조사
애기사과, 고추, 해당화열매 대한 카르니틴 아실 트랜스퍼라제(Carnitin acyl transferase)활성 정도(참고문헌: W. Buckel and H. Eaggerer, Biochem. Z. 343, 29 (1965), S. Friedmann and G. Fraenkel, Arch. Biochem . Biophys. 59, 491 (1955), I. B. Fritz and S. K. Schultz, J. Biol . Chem. 240, 2188 (1965), R. E. McCaman, M. W. McCaman, and M. L. Stafford, J. Biol . Chem . 241, 930(1966), J. F. A. Chase. carnitine acetyltransferase from pigeon breast muscle. methods in enzymology)를 Zucker fa/fa rats, lean rats 간조직 세포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분획물로부터 측정하였다.
선발 소재별에 대해 fa/fa rats의 간조직 미토콘드리아 세포 분획물에서 카 르니틴 아실 트랜스퍼나제 활성 조절 정도를 측정한 결과(도 5), 애기사과 3038%, 고추 2346%, 해당화 열매 2269%로 애기사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lean rats는(도 6) 애기사과 2412%, 고추 2176%, 해당화 열매 1882%로 Zucker fa/fa rats와 같이 애기사과에서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본 실험예 1-3의 결과 애기사과 외에 고추 및 해당화 열매의 카르니틴 아실 트랜스퍼나제 활성 조절 정도도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고추는 제품화 시 보존성 문제 및 특유의 강한 냄새 때문에 배제하였으며, 해당화 열매는 원료 수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배제하였다.
< 실시예 1> 항비만용 조성물 제조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 성분들의 선발 기준은 조성물의 각 부분별 효능 정도, 조성물과의 식품과학상 조화, 조성물 중 첨가시 예상되는 문제점 등을 고려하였고, 최종적으로 으름덩굴, 옥수수염, 애기사과, 율무, 표고버섯, 머위로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으름덩굴 4.4 중량%, 옥수수수염 8.9 중량%, 애기사과 66.7 중량%, 율무 4.4 중량%, 표고버섯 6.3 중량%, 머위 9.3 중량%를 혼합하여 항비만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상의 성분으로 조성된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항비만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하기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 실험예 2> 항비만용 조성물의 동물 섭취 실험
본 발명의 항비만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상기의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Sprague-Dawley rat'에 투여하여 KFDA가 인증하는 항비만 생체지표(biomarker)인 체중 증가 정도, 복부지방(부고환 지질)의 감소량 측정, 지방조직 내 세포 변화, 혈액 내 트라이 글리세라이드, 총 지방,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를 측정하였다. 또한, 간조직과 지방조직 세포 분획물 내에서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 활성도 측정하였다.
'Sprague-Dawley rat'을 사용하여 정상식이, 고지방식이 조성물(하기 표1) 투여군과 정상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 고지방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으로 나누어 각 군당 수컷 6마리씩 배정하여 사육구역 내에서 1주간의 적응훈련 후 사육온도 22.0±1℃, 습도 50±10%, 조도 120Lux에서 사육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식이는 AIN-76A 식이(diet)를 기본으로 정상식이는 AIN-76A 식이 #100000, 고지방식이는 AIN-76A 식이 #100496 (Dyets Inc., Bethlehem, PA, USA)을 사용하였으며, 항비만용 조성물은 성인 권장 일일 섭취량을 쥐의 무게로 환산하여 증류수 40㎖에 항비만용 조성물 0.8g을 넣어 음수시켰다.
성분 정상식이 고지방식이
카제인 DL-메티오닌 콘스타치 수크로스 셀룰로스 콘 오일 라드 염 혼합물 비타민 혼합물 콜린 비타르트레이트 200.0 3.0 150.0 500.0 50.0 50.0 - 35.0 10.0 2.0 200.0 3.0 150.0 345.0 50.0 50.0 205.0 35.0 10.0 2.0
지방% (calorise) 11.7 40.0
< 실험예 2-1> 실험군별 체중 및 피하지방량의 변화 조사
4주 동안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항비만용 조성물을 군별에 투여하여 체중 및 피하지방량을 측정하였다.
그룹 몸무게 (g) 피하지방 (g)
정상식이 투여군 정상식이+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 고지방식이 투여군 고지방식이+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 67.6 ± 5.2 58.0 ± 5.9 129.8 ± 6.3 99.7 ± 6.2 17.0 ± 1.6 15.7 ± 1.3 23.9 ± 1.2 19.0 ± 1.9
'정상식이 투여군'에 대해 '정상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의 체중이 14.3%, 피하지방량이 7.7% 감소하였고, '고지방식이 투여군'에 비해 '고지방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의 체중이 23.2%, 피하지방량이 20.6% 감소하는 항비만 효과가 나타냈다.
또한, 지방 조직의 변화 정도를 복부와 부고환 부위별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도 7), '고지방식이 투여군'과 같이 비만과 유사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항비만 조성물을 투여하였을 경우, 복부지방이 20.6%, 부고환 지방이 20.2% 감소하여 본 발명의 뛰어난 항비만 효능이 입증되었다.
< 실험예 2-2> 실험군 별 지방 조직 내 세포 변화 조사
실험군 별로 지방 조직을 자른 후, 염색(참고문헌 : 세포 병리 시험, 병리검사에 관한 표준작업지침서-특수염색(지방) p.28 Oil r ed O 지방 염색)을 하여 광학 현미경으로 지방구를 관찰하면서 지방세포의 크기 감소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룹 부고환조직(%) 복부지방조직(%)
정상식이 투여군 정상식이+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 고지방식이 투여군 고지방식이+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 100 75.5 ± 7.9 100 78.7 ± 5.6 100 87.6 ± 10.3 100 82.0 ± 8.1
실험군별 지방세포의 크기 감소 정도를 측정한 결과(상기 표3), '정상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과 '고지방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 모두에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특히, '정상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이 '고지방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보다 많이 그 크기가 많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지방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지방조직의 세포밀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도 8), 이로부터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이 지방조직에 영향을 주어 항비만 효과를 발휘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3> 혈청 중 총 지방 변화 조사
혈액 내 지질의 생화학 분석을 위해 총 지방(Total Lipid)의 함량을 아산제약의 커머셜 킷(commercial kit)을 사용하여 kit 계산법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정상식이군' 및 '고지방식이군'에 항비만용 조성물을 투여한 결과(도 9), 혈청 중 총 지방(total lipids)이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만과 유사한 '고지방식이'의 경우, '고지방식이 투여군'은 333.98 mg/dl에 반해, '고지방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258.19mg/dl 로 22.7% 감소를 나타냈는데, 이로부터 본 발명 항비만용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가 입증되었다.
< 실험예 2-4> 혈청 중 트라이글리세라이드 변화 조사
혈청 중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변화에 대해 측정하였다(참고문헌 : Parrish C.C, Pathy D.A, Parkers J.G., Angel A., 1991, Dietary fish oil modify adipocytes structure and function. J. Cell Physiol, 148(2)).
트라이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는 섭취된 음식에 함유된 지방이 장에서 흡수되어 혈액으로 들어가거나 간의 과잉열량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혈액으로 들어감으로써 생성된다. 한편, 혈중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농도가 높은 경우, 고지혈증을 일으키며, 심혈관계질환의 발생 빈도도 높아진다.
혈청 중 상기 트라이글리세라이드를 측정하기 위해 각각의 실험군 별로 혈청 20㎕을 시험관에 넣고 효소시액 3.0㎖를 넣은 후, 37℃ 수조(water bath) 에서 11분 동안 믹싱하였고,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을 투여한 '정상식이' 및 '고지방식이군' 모두 혈청 중 트라이글리세라이드의 감소 경향이 나타났다(도 10).
'정상식이 투여군'의 혈청 중 트라이글리세라이드가 63.74 mg/dl임에 비해 '정상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56.21mg/dl로 11.9%의 감소 효과가 나타났고, '고지방식이 투여군'은 107.83mg/dl임에 비해 '고지방식이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89.50mg/dl로 17%의 감소를 보였는데, 이로서 본 발명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5>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 조사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에 대해 측정하였다(참고문헌 : Parrish C.C, Pathy D.A, Parkers J.G., Angel A., 1991, Dietary fish oil modify adipocytes structure and function. J. Cell Physiol, 148(2)).
콜레스테롤은 고등동물 세포성분에 존재하는 스테로이드의 일종으로 약 80%는 간에서 자체적으로 합성되고, 20%는 음식으로 흡수되며, 콜레스테롤의 수치가 높을 경우, 동맥경화, 비만,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의 각종 성인병의 발생 확률이 높아진다.
혈청 중 콜레스테롤 측정결과 (도 11), '정상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의 총 콜레스테롤은 98.45mg/dl로 '정상식이 투여군'의 110.50 mg/dl에 비해 11% 감소 효과가 있었고, '고지방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145.20mg/dl로 '고지방식이 투여군' 195.80mg/dl에 비해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의 25.8%의 감소를 보였는데, 이로부터 본 발명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6> 혈청 중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변화 조사
혈청 중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변화에 대해 측정하였다(참고문헌 : Parrish C.C, Pathy D.A, Parkers J.G., Angel A., 1991, Dietary fish oil modify adipocytes structure and function. J. Cell Physiol, 148(2)).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holesterol)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간으로 이동시켜 콜레스테롤을 분해한 후 담즙을 통해 체외로 배설을 촉진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 함량을 낮춘다.
혈청 중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를 측정한 결과(도 12), 항비만용 조성물을 투여한 '정상식이군'과 '고지방식이군'에서 다른 결과가 나타났다. 즉, '정상식이 투여군'의 혈청 중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66.40mg/dl임에 비해 '정상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56.60mg/dl로 14.8% 감소한 반면, '고지방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92.2mg/dl로 '고지방식이 투여군' 85.3mg/dl에 비해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이 8.1%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고지방식이군', 즉 비만에 가까운 경우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를 증가시키는 항비만 효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7> 간조직 세포 분획물 내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 활성 변화 조사
항비만용 조성물을 투여한 '정상식이' 및 '고지방 식이군'의 간조직 세포 분획물에서 세포 내에 축적된 지방을 분해하는 조절 효소인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간조직 세포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실험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도 13), '정상식이 투여군'의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의 활성이 1.214 unit/mg단백질임에 비해 '정상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1.368 unit/mg단백질로 12.7%증가하였고, '고지방식이 투여군'의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의 활성은 1.112 unit/mg단백질임에 비해 '고지방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1.332 unit/mg단백질로 19.8%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은 간세포분획물 내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의 활성을 증가시켜 지방 분해를 촉진하는 항비만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비만에 가까운 고지방식이군에서 그 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2-8> 지방조직 세포 분획물 내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 활성 변화 조사
항비만 조성물을 투여한 '정상식이' 및 '고지방 식이군'의 지방조직 세포 분획물에서 세포 내에 축적된 지방을 분해하는 조절 효소인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지방조직 세포 분획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실험예 1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도 14), '정상식이 투여군'이 0.29 unit/mg단백질임에 비해 '정상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0.34 unit/mg단백질로 17.2% 높은 활성을 보였고, '고지방식이 투여군'이 0.4 unit/mg단백질임에 반해 '고지방식이와 항비만용 조성물 투여군'은 0.45 unit/mg단백질로 12.5% 증가를 나타내어, 본 발명 항비만용 조성물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Zucker fa/fa rats의 지방조직 세포 분획물에서 선발 소재에 대한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Hormone-sensitive lipase) 활성 조절 정도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Zucker lean rats의 지방조직 세포 분획물에서 선발 소재에 대한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 활성 조절 정도에 관한 것이다.
도 3은 Zucker fa/fa rats의 간조직 세포 분획물에서 선발 소재에 대한 아실 코에이 합성효소(Acyl-CoA synthetase) 활성 조절 정도에 관한 것이다.
도 4는 Zucker lean rats의 간조직 세포 분획물에서 선발 소재에 대한 아실 코에이 합성효소 활성 조절 정도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Zucker fa/fa rats의 간조직 미토콘드리아 분획물에서 선발 소재에 대한 카르니틴 아실 트랜스퍼나제(Carnitin acyl transferase) 활성 조절 정도에 관한 것이다.
도 6은 Zucker lean rats의 간조직 미토콘드리 분획물에서 선발 소재에 대한 카르니틴 아실 트랜스퍼나제 활성 조절 정도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Sprague-Dawley rat의 복부와 부고환 부위별 지방조직의 변화 정도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Sprague-Dawley rat의 지방조직 내 세포의 변화 정도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Sprague-Dawley rat의 혈청 중 총 지방(total lipids) 변화에 관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Sprague-Dawley rat의 혈청 중 트라이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변화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Sprague-Dawley rat의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변화에 관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Sprague-Dawley rat의 혈청 중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cholesterol) 변화에 관한 것이다.
도 13는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Sprague-Dawley rat의 간조직 세포 분획물 내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활성 변화에 관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항비만용 조성물에 대해 Sprague-Dawley rat의 지방조직 세포 분획물 내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 활성 변화에 관한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으름덩굴 3.08~5.72 중량%, 옥수수수염 6.23~11.57 중량%, 애기사과 60.03~73.37 중량%, 율무 3.08~3.72 중량%, 표고버섯 4.41~8.19 중량%, 머위 6.51~12.09 중량%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비만용 조성물.
KR1020070101889A 2007-10-10 2007-10-10 항비만용 조성물 KR10089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889A KR100898832B1 (ko) 2007-10-10 2007-10-10 항비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1889A KR100898832B1 (ko) 2007-10-10 2007-10-10 항비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710A KR20090036710A (ko) 2009-04-15
KR100898832B1 true KR100898832B1 (ko) 2009-05-22

Family

ID=40761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1889A KR100898832B1 (ko) 2007-10-10 2007-10-10 항비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8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279A (ko) 2022-07-15 2024-01-23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127A (ko) * 2002-01-26 2002-03-29 손영석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음료
KR20020077581A (ko) * 2001-04-02 2002-10-12 (학)배영학숙 체중조절용 특수영양식품의 제조방법
KR100510239B1 (ko) * 2005-07-26 2005-08-29 (주)엔돌핀에프앤비 옥수수 수염과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581A (ko) * 2001-04-02 2002-10-12 (학)배영학숙 체중조절용 특수영양식품의 제조방법
KR100448260B1 (ko) 2001-04-02 2004-09-10 (주)명세당 체중조절용 특수영양식품의 제조방법
KR20020024127A (ko) * 2002-01-26 2002-03-29 손영석 약이되는 물질을 함유한 음료
KR100510239B1 (ko) * 2005-07-26 2005-08-29 (주)엔돌핀에프앤비 옥수수 수염과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0279A (ko) 2022-07-15 2024-01-23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표고버섯 균사체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710A (ko)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ue et al. Medium-, long-and medium-chain-type structured lipids ameliorate high-fat diet-induced atherosclerosis by regulating inflammation, adipogenesis, and gut microbiota in ApoE−/− mice
CN102630161A (zh) 通过用岩藻黄质和石榴油酸的组合激活去乙酰化酶Sirtuin来延缓衰老过程的方法
AU2007203186B2 (en) The healthy and functional foods for the obesity patients using purple-colored potato
BRPI0709962A2 (pt) licopeno para o tratamento de disfunção metabólica
Jang et al. The effect of dietary α-lipoic acid, betaine, l-carnitine, and swimming on the obesity of mice induced by a high-fat diet
WO2020252005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altering senescence associated secretory phenotype
Ramel et al. Consumption of cod and weight loss in young overweight and obese adults on an energy reduced diet for 8-weeks
Kang et al. Peanut sprouts extract (Arachis hypogaea L.) has anti-obesity effects by controlling the protein expressions of PPARγ and adiponectin of adipose tissue in rats fed high-fat diet
CA2902248A1 (en) Activated soy pod fiber
JP2008543901A (ja) グルコース代謝障害の処置のための医薬品
JP2006131512A (ja) アディポネクチン分泌促進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飲食品
JP5799082B2 (ja) 眞黄精又は黄精抽出物の新規な用途
KR100898832B1 (ko)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000143A (ko) 오스모틴 단백질 또는 오스모틴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기능 및 신장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19243A (ko) 비자가면역 제 2 형 진성당뇨병 및/또는 신드롬 x의치료용 화합물
Walrand et al. Nutrition, protein turnover and muscle mass
CN105451732B (zh) 脂质代谢促进剂
KR20070044198A (ko) 푸마르산 및 푸마르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대사증후군 치료제
TWI607755B (zh) 麥角固醇之應用
KR100672902B1 (ko) 헛개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레스테롤 저하제 조성물
Kiran et al. Antiobesity effect of Phytolacca berry in rats
KR101356398B1 (ko) 대두가공 부산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ang et al.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resveratrol on adipocytokines in rats with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hmed et al. Supplementations dietary of quinoa seeds powder and their effect on hypercholesteremia & oxidation in albino rats
Yonei et al. Effect and safety of Echigoshirayukidake (Basidiomycetes-X) on fatty liver: Stratified randomized, double-blind, parallel-group comparison study and safety evaluation stu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