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4565A - 제모기 - Google Patents

제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4565A
KR20240004565A KR1020237039950A KR20237039950A KR20240004565A KR 20240004565 A KR20240004565 A KR 20240004565A KR 1020237039950 A KR1020237039950 A KR 1020237039950A KR 20237039950 A KR20237039950 A KR 20237039950A KR 20240004565 A KR20240004565 A KR 20240004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heat dissipation
light source
transmitting body
ligh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핑 판
Original Assignee
셴젠 유라이크 스마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셴젠 유라이크 스마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셴젠 유라이크 스마트 일렉트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CN2022/113783 external-priority patent/WO2023082753A1/zh
Publication of KR20240004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45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6/0009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by singe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61B18/203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applying laser energy to the outside of the bod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02B7/1815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with cooling or heating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6/00Hair-singe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e.g. tweezers
    • A45D2026/008Details of apparatus for removing superfluous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17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with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11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 A61B2018/00029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with fluids op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05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 A61B2018/00047Cooling or heating of the probe or tissue immediately surrounding the probe using Peltier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6Hair foll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2018/180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ight other than laser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 개시하는 제모기에 있어서, 반사컵, 광원, 제1 광 투과체, 방열(dissipate heat) 베이스, 냉각 부재를 포함하고; 광원이 반사컵 내부에 조립되면서 광선을 방출할 수 있고, 반사컵이 광선을 반사시키고, 제모기가 광을 방출할 수 있도록하여 피부에 있는 털을 제거하여 제모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광 투과체와 반사컵이 광원을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캐비티를 형성하고, 광원 본체가 이 캐비티 내부에 매달려있고, 방열 베이스의 양측 각각이 반사컵 및 냉각 부재와 열적 결합(Thermalcoupling)됨으로써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빠르게 캐비티 내부에서 밖으로 전달되어, 즉,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방열 베이스와 냉각 부재로 전달되고, 캐비티를 냉각하여 제모기의 열 방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광원을 고르게 냉각시킬 수 있어, 광원의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양호한 열 방산으로 인해 제모기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모기
본 출원은 제모기 분야, 특히 제모기에 관한 것이다.
제모기는 작동 과정에서 쉽게 열량이 대량으로 생성되고, 이 열량은 주로 램프 튜브가 작동될 때 생성된다. 램프 튜브는 제모기의 주요 부품으로서, 작동 시 대량의 열량을 생성시키며, 즉각적으로 열방산이 되지 않을 경우, 램프 튜브의 사용 수명이 단축되는 동시에, 램프 튜브에서 생성되는 열량이 예를 들어, 인체 피부에 접촉되는 부위와 같은 제모기 기타 부위로 복사될 수 있으며, 이 부위에 온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사용자가 사용 시에 열감을 느낄 수 있다. 동시에, 시중에 출시된 제모기는 작동 과정에서 광 방출이 고르지 않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실제 제모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트리거 와이어와 램프 튜브가 밀접한 접촉을 유지하기 어려워 트리거 와이어와 램프 튜브 사이가 느슨해질 수 있어, 트리거 와이어가 램프 튜브를 트리거링하여 발광할 시의 난이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트리거 와이어를 통한 램프 튜브를 발광시킬 경우의 비용이 증가될 수 있다.
본 출원은 제모기 작동 시 방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모기를 제공한다.
본 출원에서 상술한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모기에 있어서, 본 제모기는 반사컵, 광원, 광 투과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컵이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고; 상기 광원이 상기 반사컵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광선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광 투과체는 상기 광선에 입사되는 입광면 및 상기 광선이 출사되는 출광면을 구비하고; 상기 방열 베이스가 상기 반사컵의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반사컵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반사컵의 일측에 설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방열 베이스와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 베이스가 상기 반사컵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반사컵을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며, 상기 방열 베이스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반사컵과 상기 방열 베이스 사이 및/또는 상기 방열 베이스의 노출 표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광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반사컵과 상기 광 투과체 사이에 설치되며; 여기에서, 상기 방열 베이스의 일측에는 홈 바디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컵이 상기 홈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광 필터는 상기 방열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광 투과체가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광 투과체는 상기 램프 튜브를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탄성 실링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적어도 내부 링 부분이 상기 광 필터와 상기 광 투과체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 설치되고, 상기 광 필터와 상기 광 투과체는 모두 상기 탄성 실링 링과 실링 매칭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내부 링과 외부 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링의 직경이 상기 외부 링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외부 링이 상기 내부 링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광 투과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링을 초과하여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 필터를 향하는 상기 광 투과체의 일단 둘레측이 상기 장착 홈 내부에 안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광 필터를 향하는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일측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광 필터의 단면에 밀착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는 테이퍼링형 돌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항레이저 및 항고저온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형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방열 어셈블리와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상기 광 투과체와 연결되고, 상기 광 투과체의 열량을 흡수시키는 데 사용되고, 상기 탄소 함유층은 상기 광 투과체와 상기 방열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방열판과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의 하나의 표면에는 병렬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컵이 상기 방열판의 상기 제1 영역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핀이 상기 제2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가 상기 반사컵을 등지고 있는 상기 방열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는 기류가 상기 방열핀, 상기 광원, 및/또는 상기 반사컵을 향해 불도록 구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의 설치 방식은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의 중심이 상기 반사컵의 초점과 상기 반사컵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 투과체의 상기 입광면이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반사컵의 초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컵에서 반사된 상기 광선이 모이는 위치가 상기 광 투과체의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반사컵의 초점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컵이 제1 반사 영역과 제2 반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사 영역은 상기 반사컵 바닥부를 포함하는 한 세그먼트의 아치형 영역이고, 상기 제2 반사 영역은 상기 아치형 영역의 양단이 외부로 연장되는 평면 영역이고, 상기 평면 영역과 상기 아치형 영역이 접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은 5 내지 20도 사이이며, 상기 기준선은 상기 광원 중심과 상기 광 투과체 중심의 연결선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협각은 8 내지 15도 사이이다.
본 출원에서 상술한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모기에 있어서, 본 제모기는 반사컵, 광원, 제1 광 투과체, 방열 베이스, 냉각 부재,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컵은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고;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컵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광선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제1 광 투과체가 상기 반사컵의 출광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반사컵과 함께 상기 광원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방열 베이스는 일측이 상기 반사컵과 열적 결합(Thermalcoupling)되고; 상기 냉각 부재는 이의 냉각측과 상기 방열 베이스의 다른 일측, 및/또는 상기 반사컵의 일측이 열적 결합되고; 상기 제1 광 투과체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여기에서, 상기 광원 본체는 상기 캐비티 내부에 매달려있고, 상기 냉각 부재는 상기 캐비티를 냉각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반사컵 및/또는 상기 냉각 부재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반사컵의 일측, 상기 방열 베이스를 향하는 상기 냉각 부재의 일측 또는 상기 냉각 부재의 노출 표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반사컵과 상기 방열 베이스 사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제2 광 투과체와 광 필터를 포함하고, 광 필터가 상기 광원과 상기 제2 광 투과체 사이에 설치되며; 여기에서, 상기 방열 베이스의 일측에는 홈 바디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컵이 상기 홈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광 필터는 상기 방열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광 투과체가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광 투과체는 상기 램프 튜브를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제2 광 투과체, 방열 어셈블리,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가 상기 광원의 출광측에 위치하고; 방열 어셈블리와 상기 제2 광 투과체가 연결되고,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열량을 흡수시키는 데 사용되고;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제2 광 투과체와 상기 방열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방열판과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의 하나의 표면에는 병렬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컵이 상기 방열판의 상기 제1 영역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핀이 상기 제2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가 상기 반사컵을 등지고 있는 상기 방열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는 기류가 상기 방열핀, 상기 광원, 및/또는 상기 반사컵을 향해 불도록 구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탄성 실링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적어도 내부 링 부분이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모두 상기 탄성 실링 링과 실링 매칭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내부 링과 외부 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링의 직경이 상기 외부 링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외부 링이 상기 내부 링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링을 초과하여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 필터를 향하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일단 둘레측이 상기 장착 홈 내부에 안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 투과체를 향하는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일측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광 투과체의 단면에 밀착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는 테이퍼링형 돌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항레이저 및 항고저온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형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방식으로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열 베이스는 세라믹 베이스로, 이의 일측에는 홈 바디가 설치되며, 상기 반사컵이 상기 홈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제1 광 투과체는 상기 광 필터이면서 상기 방열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을 향하는 입광면과 상기 광원을 등지는 출광면을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하고; 선택적으로, 본 제모기는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을 향하는 입광면과 상기 광원을 등지는 출광면을 구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의 중심이 상기 반사컵의 초점과 상기 반사컵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상기 입광면이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반사컵의 초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컵에서 반사된 상기 광선이 모이는 위치가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반사컵의 초점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컵이 제1 반사 영역과 제2 반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사 영역은 상기 반사컵 바닥부를 포함하는 한 세그먼트의 아치형 영역이고, 상기 제2 반사 영역은 상기 아치형 영역의 양단이 외부로 연장되는 평면 영역이고, 상기 평면 영역과 상기 아치형 영역이 접촉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은 5 내지 20도 사이에 있으며, 상기 기준선은 상기 광원 중심과 상기 제2 광 투과체 중심의 연결선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광원은 바(bar)형의 램프 튜브이며, 상기 반사컵이 반 아치형 반사컵이고, 상기 제모기는 측면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이는 길이 방향에 있는 상기 반사컵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컵 양단에서 누출된 상기 광선이 상기 반사컵의 출광측으로 반사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컵은 일체 성형되고, 상기 측면 반사 부재에 스루홀이 설치되고, 상기 램프 튜브 단부가 상기 스루홀에 관통된다.
본 출원에서 상술한 기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채택한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제모기에 있어서, 본 제모기는 반사컵, 광원,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컵은 도체이고, 상기 반사컵은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고; 상기 광원은 바형의 가스 여기광 광원으로 상기 반사컵과 대향 설치되어 상기 반사컵에 전기가 통한 후 상기 반사컵에 의해 여기되어 광선이 방출되고; 상기 반사컵이 상기 브라켓에 대향되어 고정되고; 여기에서, 상기 광원의 본체와 상기 반사컵의 간격이 0보다 크면서, 0.3mm보다 작거나 같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반사컵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반사컵의 일측에 설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방열 베이스와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방열 베이스는 상기 반사컵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컵을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며; 상기 탄소 함유층은 상기 반사컵과 상기 방열 베이스 사이, 또는 상기 방열 베이스의 노출 표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모기는 제2 광 투과체와 제1 광 투과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투과체는 광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과 상기 제2 광 투과체 사이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방열 베이스의 일측에는 홈 바디가 설치되며, 상기 반사컵이 상기 홈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방열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은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광 투과체가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탄성 실링 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적어도 내부 링 부분이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모두 상기 탄성 실링 링과 실링 매칭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내부 링과 외부 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링의 직경이 상기 외부 링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외부 링이 상기 내부 링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링을 초과하여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 필터를 향하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일단 둘레측이 상기 장착 홈 내부에 안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 투과체를 향하는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일측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광 투과체의 단면에 밀착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돌기는 테이퍼링형 돌기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항레이저 및 항고저온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형체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냉각 부재를 더 포함하고, 이의 냉각측과 상기 방열 베이스의 일측이 열적 결합되고; 여기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방열 베이스를 향하는 상기 냉각 부재의 일측 또는 상기 냉각 부재의 노출 표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제2 광 투과체, 방열 어셈블리,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광원의 출광측에 위치하고;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와 연결되고,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열량을 흡수시키는 데 사용되고;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제2 광 투과체와 상기 방열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제모기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를 더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방열판과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의 하나의 표면에는 병렬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컵이 상기 방열판의 상기 제1 영역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핀이 상기 제2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가 상기 반사컵을 등지고 있는 방열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는 기류가 상기 방열핀, 상기 광원, 및/또는 상기 반사컵을 향해 불도록 구동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방식으로 설치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모기는 방열 베이스, 탄성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베이스는 일측이 상기 반사컵과 열적 결합(Thermalcoupling)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광원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광원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탄성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컵 또는 상기 방열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방열 베이스는 세라믹 베이스이며, 상기 세라믹 베이스에는 제1 홈 바디가 설치되며, 상기 반사컵이 상기 제1 홈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브라켓이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컵을 상기 방열 베이스에 고정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라믹 베이스에는 제2 홈 바디가 각각 설치된 제1 홈 바디의 양단이 설치된다. 상기 제2 홈 바디와 상기 제1 홈 바디가 연통되고, 상기 제2 홈 바디의 깊이가 상기 제1 홈 바디의 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2 홈 바디는 상기 광원의 양단 및 상기 탄성체를 수용시키는 데 사용되고, 상기 탄성체가 탄성 변형될 때의 대피 공간으로 사용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세라믹 베이스의 측변에는 제1 버클부가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제2 버클부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2 버클부를 통해 상기 제1 버클부의 버클과 매칭되고, 상기 세라믹 베이스에 고정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에는 윈도우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버클부에 대응되는 상기 윈도우의 일부 크기가 상기 제1 버클부가 설치된 상기 세라믹 베이스의 크기보다 크므로, 상기 제1 버클부가 설치된 상기 세라믹 베이스의 일부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윈도우에 내장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광선이 통과되는 윈도우가 설치되고, 본 제모기는 상기 반사컵의 출광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반사컵과 함께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광 투과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광 투과체는 광 필터이고, 상기 제모기는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을 향하는 입광면과 상기 광원을 등지는 출광면을 구비하는 제2 광 투과체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반사컵은 반 아치형의 반사컵이고, 상기 제모기는 길이 방향에 있는 상기 반사컵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컵 양단에서 누출된 상기 광선을 상기 반사컵의 출광측으로 반사시키는 측면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측면 반사 부재에는 스루홀이 설치되고, 상기 램프 튜브 단부가 상기 스루홀에 관통되고, 상기 스루홀의 직경이 상기 광원 양단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탄성체가 탄성적으로 상기 반사컵 바닥부와 가까운 상기 스루홀의 일측에 상기 광원을 단단히 접합시킨다.
본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출원에서 개시하는 제모기에 있어서, 이는 제모기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구비한다. 광원이 반사컵 내부에 조립되면서 광선을 방출할 수 있고, 반사컵이 광선을 반사시키고, 제모기의 광 방출을 구현시켜 피부에 있는 털을 제거하여 제모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광 투과체와 반사컵이 광원을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캐비티를 형성하고, 광원 본체가 이 캐비티 내부에 매달려있고, 방열 베이스의 양측 각각이 반사컵 및 냉각 부재와 열적 결합(Thermalcoupling)됨으로써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빠르게 캐비티 내부에서 밖으로 전달되어, 즉,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방열 베이스와 냉각 부재로 전달되고, 캐비티를 냉각하여 제모기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광원에 대해 균일한 방열을 진행하여, 광원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양호한 방열로 인해 제모기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실시예의 기술 방안을 더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아래는 실시예 서술에 사용할 도면에 대하여 간단하게 소개하였고, 아래 서술에서 도면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일 뿐인 것을 파악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창의적인 노동을 하지 않았다는 전제 하에 제시된 도면에 근거하여 기타 도면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출원에서 전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분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에서 전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조립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탄소 함유층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에서 전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단면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출원에서 광선 반사 경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7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탄소 함유층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에서 팬 하우징의 에어 출구 지점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단면 개략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 실링 링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D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6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분해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조립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탄소 함유층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19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단면 개략도이다.
도 20는 본 출원에서 광선 반사 경로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개략도이다.
도 21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22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도 23은 도 22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도 24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탄소 함유층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실시예에서 팬 하우징의 에어 출구 지점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26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단면 개략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B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8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 실링 링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29는 도 28에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D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모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분해 개략도이다.
도 3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모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조립 개략도이다.
도 3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탄소 함유층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3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제모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단면 개략도이다.
도 35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36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도 37은 도 36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도 38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탄소 함유층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실시예에서 팬 하우징의 에어 출구 지점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40은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전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단면 개략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B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42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서 탄성 실링 링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도 43은 도 42에서 C-C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D부분의 부분 확대도이다.
본 출원의 상기 목적, 특징 및 장점을 보다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는 도면을 결합하여 본 출원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서술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출원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뿐, 본 출원에 한정되지 않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면에서는 전체 구조가 도시된 것이 아닌 본 출원과 관련된 일부만이 도시됨을 설명해야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기반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창의적인 노동을 하지 않았다는 전제 하에 획득한 모든 기타 실시예는 본 출원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본 출원에서 "제1", "제2" 등은 특정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 아닌, 서로 다른 대상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포함하다", "설치된다", 이들의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함하는 의도이다. 예를 들어, 일련의 단계 또는 단위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설비는 이미 나열된 단계 또는 단위에 한정되지 않고, 선택적으로는, 나열되지 않은 단계 또는 단위를 더 포함하거나, 선택적으로 이러한 과정, 방법, 제품 또는 설비 고유의 기타 단계 또는 단위를 더 포함한다.
본 출원에 기재된 "실시예"란 실시예와 결합하여 서술한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출원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각 위치에 이 문구가 등장해도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하거나, 다른 실시예와 상호 배타적으로 독립되거나 대안적인 실시예를 의미하지 않는다. 각 부품, 구조 등의 명칭, 부호는각 실시예에서 도면을 대조하여 이의 특징, 구조 또는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며, 이의 실질적인 의미에 영향을 끼치지 않으며, 상이한 실시예의 명칭, 부호는 독립적으로 취급해야 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가 다른 실시예와 서로 결합할 수 있음을 명시적 및 암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각 부품, 구조 등의 명칭은 예시적인 명칭이며, 이의 실질적인 의미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기능 및 실질적인 의미가 변하지 않거나 동등한 효과로 변형된다는 바탕에서는 기타 명칭을 채택할 수도 있다. 이처럼 어떤 명칭을 사용하더라도 이는 본 실시예의 특징과 동등하며 본 출원의 출원 정신 범위 내에 포함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개시하는 제모기에 있어서, 상기 제모기는 반사컵(1), 광원(2), 광 투과체(3)를 포함한다. 광원(2)이 반사컵(1) 내부에 조립되고, 광원(2)이 광선을 방출할 수 있고, 반사컵(1)은 광원(2)이 방출한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으며, 광 투과체(3)는 광선에 입사되는 입광면(31) 및 광선에 출사되는 출광면(32)을 구비한다. 광원(2)이 방출한 광선이 반사컵(1)을 통해 반사된 후 고르게 광 투과체(3)의 출광면(32)에서 출사될 수 있어, 본 제모기의 출광 균일도가 향상되어, 본 제모기의 제모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원(2), 반사컵(1), 광 투과체(3)의 구조와 상대적 위치 관계에 있어서, 출광면(32)의 출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거나, 출광면(32)에 있는 광반은 출광면(32)의 적어도 95%을 차지하는 조건을 충족한다. 출광면(32)의 출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제모기의 제모 효과가 향상될 수 있어 제모할 피부 부위에 있는 털이 고르게 제거될 수 있다. 출광면(32)의 광점은 출광면(32)의 적어도 95% 이상을 차지하므로, 마찬가지로 제모할 피부 부위에 있는 털이 고르게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선의 이용률이 향상될 수 있다.
출광 균일도가 비교적 적거나 출광면(32)에 있는 광반이 출광면(32)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적은 제모기에 있어서, 사용 시 고르게 제모하기 위해 제모기를 동일한 위치에 여러번 조사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제모가 고르게 되지 않아 미관상 좋지 않다. 본 출원의 방안에서 광원(2), 반사컵(1), 광 투과체(3)의 구조와 상대적 위치 관계가 출광면(32)의 출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은 또는 출광면(32)에 있는 광반이 출광면(32)의 적어도 95%을 차지하는 조건을 충족할 경우, 제모기는 여러번 동일한 위치를 조사할 필요가 없다. 광원(2)의 품질 및 제모기의 출력이 충분하면서 인체에 건강한 조건을 충족할 경우, 제모기는 한번의 조사로 효율적이고 균일하게 제모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에도 동일한 피부 부위를 반복적으로 조사시키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 광원(2), 광 투과체(3)의 중심이 하나의 직선상에 있을 수 있으며, 직선 상에 있는 이 셋의 상호 간의 거리를 통해 출광면(32)의 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거나, 출광면(32)에 있는 광반은 출광면(32)의 적어도 95%을 차지한다. 선택적으로, 위 셋의 자체적인 구조를 통해 제모기는 하기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 광원(2), 광 투과체(3) 자체의 구조 설계로 제모기는 상술한 조건에 부합할 수 있다. 또한, 이 셋의 자체적인 구조 및 이 셋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종합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제모기는 상술한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제모기는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5)을 더 포함하고, 방열 베이스(4)를 이용해 브라켓(5)과 함께 반사컵(1), 광 투과체(3)를 함께 조립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본 제모기는 탄소 함유층(91)을 더 포함하고, 반사컵(1)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탄소 함유층(91)이 광원(2)을 등지는 반사컵(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2)은 사용 중 열량을 생성하고 반사컵(1)에 모으고, 탄소 함유층(91)이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구비하여 반사컵(1)의 열전도 속도가 가속화되고 반사컵(1)의 열 방사 성능이 강화될 수 있다. 제모기의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인한 자체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피부에 자극 또는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91)이 방열 베이스(4)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탄소 함유층(91)이 방열 베이스(4)와 반사컵(1) 사이에 더 설치되어 방열 베이스(4)와 반사컵(1) 사이의 열전도 속도가 가속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91)이 방열 베이스(4)의 노출 표면에 설치될 수 있어 방열 베이스(4)의 방열 성능이 강화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탄소 함유층(91)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 등 재료일 수 있고,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등의 방식으로 본 출원의 탄소 함유층(91)이 설치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4)가 세라믹 베이스일 수 있고, 세라믹 베이스는 반사컵(1) 내부의 온도를 냉각하고, 반사컵(1)의 온도를 제어하여, 반사컵(1)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반사컵(1)은 광선을 더 우수하게 반사시킬 수 있다. 반사컵(1) 내부의 온도가 냉각되지 않으면, 일 측면에서, 고온으로 인해 광원(2) 자체가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줄어들고, 다른 일 측면에서, 열량이 제모기의 기타 부위, 특히 제모기와 피부 부위가 접촉되는 부위에 복사되고, 고온일 때 사용자가 열감을 느껴 사용이 불편하다. 본 출원의 방안에서, 세라믹 베이스가 반사컵(1) 내부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고, 반사컵(1) 내부의 열량을 열량 전달 방식, 열대류(thermal convection) 방식 또는 열 복사 방식이거나, 상술한 세가지 방식의 임의의 조합으로 열 전달을 구현할 수 있고, 반사컵(1) 내부의 온도가 냉각되어, 광원(2)에 대해 균일한 방열을 진행하고 제모기의 방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4)의 일측에는 홈 바디(41)가 설치되고, 홈 바디(41)는 바(bar)형을 나타내고, 반사컵(1)이 홈 바디(41)에 내장되고; 브라켓(5)은 윈도우(51)를 구비하며, 윈도우(51)가 사각형을 나타내고, 광 투과체(3) 형상에 일치하는 기타 형상일 수 있고, 광 투과체(3)가 상기 윈도우(51)에 내장되고, 광 투과체(3)가 반사컵(1) 개구의 일측에 위치한다.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5)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모기의 조립과 탈부착이 비교적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4)의 양측에는 모두 제1 버클부(42)가 일체 성형되고, 브라켓(5)의 양측에는 모두 제2 버클부(52)가 일체 성형되며, 제1 버클부(42)와 제2 버클부(52)가 대응 설치된다.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5)이 함께 연결되는 과정에서, 제1 버클부(42)와 제2 버클부(52)가 단단히 버클 연결되어,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5)이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본 제모기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버클부(42)가 고정 블록(fixtureblock) 또는 캔틸레버 후크(cantilever hook)일 수 있고, 제2 버클부(52)는 장착 홀일 수 있다. 캔틸레버 후크가 장착 홀에 내장된 후, 장착 홀을 통해 캔틸레버 후크가 장착 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어, 제1 버클부(42)와 제2 버클부(52)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즉,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5)이 상대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5) 사이가 느슨해지거나 탈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 투과체(3)는 결정체일 수 있다.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반사컵(1)이 제1 반사 영역(11)과 제2 반사 영역(12)을 구비하고, 제1 반사 영역(11)은 반사컵(1) 바닥부를 포함하는 한 세그먼트의 아치형 영역이고, 제2 반사 영역(12)은 아치형 영역 양단이 외부로 연장되는 평면 영역이고, 평면 영역과 아치형 영역이 접촉된다. 광원(2)이 광선을 방출한 후, 반사컵(1)은 광선을 광 투과체(3)에 반사시킨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은 반 아치형의 반사컵(1)일 수 있고, 광원(2)이 바형의 램프 튜브이며, 바형의 램프 튜브가 광선을 방출하고, 반사컵(1)의 아치형 영역이 우수하게 광선을 광 투과체(3)로 반사시킬 수 있고, 동시에, 반사컵(1)의 평면 영역 또한 광선을 광 투과체(3)로 반사시킬 수 있고, 아치형 영역과 평면 영역이 충분히 광선을 반사시킴으로써, 광선의 출사율 및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은 바형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광원(2)의 중심이 반사컵(1)의 초점과 반사컵(1)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고, 광 투과체(3)의 입광면(31)이 출광면(32)과 반사컵(1)의 초점 사이에 위치하고, 반사컵(1)에 반사된 광선이 모이는 위치가 광 투과체(3)의 출광면(32)과 반사컵(1)의 초점 사이에 있다. 광원(2), 반사컵(1), 광 투과체(3) 간의 위치를 한정함으로써 출광면(32)의 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아지게 하고, 또는 출광면(32)에 있는 광반이 출광면(32)의 적어도 95%을 차지하게 하며, 광원(2)에서 방출되는 광선이 반사컵(1)에 의해 충분히 광 투과체(3)에 반사되어 광 투과체(3)의 출광 균일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제모기가 작동될 때, 광원(2)에서 광선이 방출되고, 반사컵(1)의 제1 반사 영역(11)과 제2 반사 영역(12)이 광선을 충분하게 광 투과체(3)로 반사시키고, 광선이 광 투과체(3)의 입사면에서 입사된 후, 광선이 광 투과체(3)의 출사면에서 출사되어, 출광면(32)의 출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거나, 출광면(32)에 있는 광반은 출광면(32)의 적어도 95%을 차지하면, 본 제모기에서 출광 균일도가 향상되어, 본 제모기의 사용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이 5 내지 20도 사이에 있으며, 기준선은 광원(2) 중심과 광 투과체(3)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다. 평면 영역과 기준선의 각도를 한정시킴으로써 광선이 충분하게 광 투과체(3)에 반사될 수 있다. 일 측면에서, 광선의 낭비를 줄여 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른 일 측면에서, 광 투과체(3)의 출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모기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광원(2)이 반사컵(1) 바닥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고, 반사컵(1)에는 기준선과의 협각이 5 내지 20도 사이에 있는 평면 영역이 설치되지 않는다. 이때 광선이 다중 반사될 확률이 높아진다. 입사각의 영향으로 광선에서 다중 반사될 확률이 높아지며, 출사 각도가 무질서하고 제어하기 어렵다.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를 한정하는 협각을 제한함으로써, 반사컵(1)에 있는 광선이 출사될 때 우수한 출사 각도를 구비할 수 있는 동시에, 광선을 수렴할 수 있어 광선의 출사율이 향상되어 광선 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배광(light distribution)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이 8 내지 15도 사이이고,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이 8도일 수도 있고,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은 15도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 범위 내에서 초점 거리가 근접하여, 광 균일도 및 광선 이용률을 충족시키는 조건 하에서, 광 투과체(3) 또한 광원(2)과 더 가까워질 수 있어, 제모기의 구조가 더욱 콤팩트해지는 한편, 가공 측면에서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이 8 내지 15 사이일 때 초점의 거리가 더 가까워지고, 광 투과체(3)가 광원(2)과 더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 더 높은 출광 균일도를 보장할 수 있다. 광 강도 등을 높이는 등 기타 방식으로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필요없이 구조 방식으로 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설치 조건 하에서 광 투과체(3)와 광원(2) 사이 거리가 더 가깝고, 전체 제모기는 더 작고 더 콤팩트하게 설계될 수 있어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을 참조하면, 길이 방향에 있는 반사컵(1)의 양단에는 모두 측면 반사 부재(13)가 일체 성형되고, 측면 반사 부재(13)가 편형을 나타내며, 반사컵(1) 양단에 누출된 광선이 광 투과체(3)로 반사된다. 여기에서, 측면 반사 부재(13)에는 스루홀(131)이 설치되고, 스루홀(131)은 두 개가 설치되며, 두 개의 스루홀(131)은 동일한 중심선을 구비하고, 광원(2)의 단부가 스루홀(131)에 관통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원(2) 양단에는 모두 고정 부재(6)가 연결되어 광원(2)이 반사컵(1)에 이동 고정되어, 예를 들어, 고정 부재(6)가 실리콘 연성 슬리브일 수 있고, 고정 부재(6)는 또한 고무 슬리브일 수 있다. 고정 부재(6)가 원통체를 나타내고, 고정 부재(6)에는 장착 홈(61)이 구비되고, 램프 튜브 양단은 모두 내부에 내장 및 장착되고, 고정 부재(6)는 축선 위치에 따라 고정 홀(62)이 설치되고, 고정 홀(62)이 장착 홈(61)에 연통되고, 램프 튜브 양단에는 모두 장착 기둥이 연장되고, 장착 기둥이 장착 홀(62)에 관통되며, 고정 부재(6)가 반사컵(1) 외측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4) 양단에는 받침 블록(43)이 일체 성형되고, 받침 블록(43)은 갭을 구비하고, 상기 갭이 광원(2) 양단 및 고정 부재(6)를 수용할 수 있고,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5)이 버클 연결된 상태에서, 브라켓(5)과 받침 블록(43)이 고정 부재(6)를 고정하고, 광원(2)이 반사컵(1)에 고정되며, 고정 부재(6) 자체가 탄성을 구비하고, 브라켓(5)과 받침 블록(43)이 고정 부재(6)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만약 고정 부재(6)가 압착될 경우, 고정 부재(6)는 자체 형태를 상응하게 변경하여 갭의 형상에 적용시킬 수 있는 한편, 램프 튜브가 압착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 램프 튜브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고정 부재(6)에 가까운 브라켓(5)의 측벽에 위치제한부(53)가 설치되고, 위치제한부(53)는 고정 부재(6)의 위치를 한정시키는 데 사용되고, 이 위치제한부(53)는 하나의 갭 또는 이격 설치되는 돌출 블록일 수 있고, 여기에서, 이 갭의 형상이 아치형을 나타낼 수 있다. 위치제한부(53)를 통해 받침 블록(43)과 브라켓(5)이 안정적으로 고정 부재(6)를 고정시켜, 느슨해지는 것을 최대한 줄이면 본 제모기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광 투과체(3)와 반사컵(1) 사이에는 광 필터(7)가 설치되고, 광 필터(7)는 광선을 필터링하는 데 사용되고, 광 필터(7)가 브라켓(5)에 고정되면서 윈도우(51)를 커버하는 한편, 광 필터(7)가 브라켓(5)을 향하는 반사컵(1)의 개구를 커버하고, 광 필터(7)가 방열 베이스(4)에 대향되어 고정된다.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5)이 버클 연결된 상태에서, 반사컵(1)에 가까운 브라켓(5)의 측벽이 광 필터(7)의 일측에 가압되고, 광 필터(7)의 다른 일측과 반사컵(1)이 밀착 연결된다. 광 필터(7)를 통해 자외선에 있는 유해한 광선을 걸러낼 수 있어 인체 손상을 줄일 수 있어, 제모기는 안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브라켓(5)과 필터 광 필터(7) 사이에는 패드(8)가 서치되고, 패드(8) 형상과 광 필터(7) 형상이 유사하고, 패드(8)가 시트형을 나타내면서 광선이 관통될 수 있는 대피구(81)를 구비하고, 상기 대피구(81)의 크기는 패드(8)를 향하는 광 투과체(3)의 측벽의 크기보다 작다.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5)이 버클 연결된 상태에서, 광 투과체(3)가 패드(8)의 일측에 가압되고, 패드(8)의 다른 일측이 광 필터(7)에 가압되며, 패드(8)를 통해 광 필터(7)에 대한 광 투과체(3)의 압력을 완화시킬 수 있어, 광 투과체(3)와 광 필터(7) 사이의 충돌을 줄일 수 있고, 일 측면에서, 생산 비용을 최대한 낮출 수 있고, 다른 일 측면에서, 광 필터(7)의 사용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모기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탄성 실링 링(16)이 광 필터(7)와 광 투과체(3)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 실링 링(16)이 링 형이며, 광 필터(7)와 광 투과체(3)는 모두 탄성 실링 링(16)과 실링 매칭되어, 광 투과체(3)와 광 필터(7) 간에 수증기 응결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노폐물 또한 광 투과체(3)와 광 필터(7)가 결합되는 지점에 침투되지 않아, 바람직하게는, 탄성 실링 링(16)이 링 형으로 설치된 실링 링이다.
물론, 부주의로 인해 제모기가 바닥에 떨어질 경우, 광 투과체(3)와 바닥면 사이에 강한 충돌이 발생되어, 종래의 광 투과체(3)의 충격력이 광 필터(7)로 전달되고, 광 필터(7), 반사컵(1), 광원(2)이 충격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제모기가 광 투과체(3)에서 충돌이 발생한 경우, 탄성 실링 링(16)을 통해 충격력을 상쇄시킬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이 자체 탄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탄성 실링 링(16)이 외력으로 인해 압착될 때 탄성 변형이 생성될 수 있어, 광 필터(7)와 광 투과체(3) 사이의 충격을 감소시키거나 상쇄시킬 수 있어, 광 필터(7), 반사컵(1), 광원(2)이 충격을 받아 분쇄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 본 제모기의 충격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탄성 실링 링(16)에는 광선을 통과시킬 수 있는 내부 링(161)이 설치되고, 광 필터(7)에 의해 필터링된 광선이 내부 링(161)을 통해 광 투과체(3)로 유도되어 인체 피부에 조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광 필터(7)와 광 투과체(3)가 모두 직접적으로 브라켓(5)에 고정되고, 광 필터(7)와 광 투과체(3)는 브라켓(5)과 달리 이동될 수 없어, 사용 과정에서 인체 골격 또는 뾰족한 물체가 광 투과체(3)를 가압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광 투과체(3)가 브라켓(5)에 대향되어 뒤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광 필터(7) 또는 제모 어셈블리(100)에 복구 불가능한 압착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은 여러번 압착된 후 복구 불가능한 압착 변형으로 제모기의 도광 효과에 영향을 끼쳐 광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실링 링(16)에 내부 링(161)에 연통되는 장착 홈(162)이 더 설치되고, 장착 홈(162)은 제모 어셈블리(100)에서 멀리 떨어진 탄성 실링 링(16)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내부 링(161)은 장착 홈(162)의 홈 바닥 벽에서 광 필터(7) 일측으로 관통 및 연장되고, 광 투과체(3) 일부가 장착 홈(162) 내부에 장착되어, 광 투과체(3)와 탄성 실링 링(16) 간의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탄성 실링 링(16)이 광 투과체(3)에 고정되어 둘 사이를 고정 연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실링 링(16)은 외부 링(163) 및 외부 링(163)의 일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돌기(164)를 포함하고, 돌기(164)와 광 필터(7)는 서로 밀착 연결되고, 돌기(164)에서 멀리 떨어진 외부 링(163)의 일측면에는 장착 홈(162)이 설치되고, 내부 링(161)은 장착 홈(162)의 홈 바닥 벽에서 돌기(164) 일측으로 관통 및 연장되고, 외부 링(163)과 돌기(164)는 완전한 폐쇄 루프 구조이고, 내부 링(161) 내부의 광은 광 투과체(3)에서만 투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164)의 횡단면이 횡방향으로 설치된 삼각형 구조이고, 돌기(164)와 광 필터(7)가 접촉되는 면적이 돌기(164)와 외부 링(163)이 접촉되는 면적보다 작으므로, 탄성 실링 링(16)이 장착된 후, 외부 링(163)에서 멀리 떨어진 돌기(164)의 일단이 압출된 후 일부가 굽혀질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이 탄성을 구비하므로, 탄성 실링 링(16)에 의해 굽혀진 일부가 광 필터(7)에 긴밀하게 지지될 수 있어, 즉, 만약에 광 투과체(3)와 광 필터(7) 간의 거리에 미세한 변화가 발생할 경우, 탄성 실링 링(16) 또한 굽혀진 부분에 의해 이러한 간격의 변화를 적응 및 조정할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과 광 투과체(3) 사이 및 탄성 실링 링(16)과 광 필터(7) 사이가 항시 긴밀하게 유지되고, 심지어는 억지끼움되어, 실링성이 더 우수해진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돌기(164)의 횡단면 또한 사다리꼴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실링 링(16)은 항레이저 및 항고저온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형체이므로, 탄소 실링 링(16)이 사용 과정에서 고온 또는 저온 또는 레이저 조사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실링 링(16)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상황과 달리, 제모기를 개시한다. 본 제모기는 반사컵(1), 광원(2), 광 투과체(3)를 포함하고, 광원(2)에서 광선이 방출되고, 반사컵(1)을 통해 광원(2)에서 방출되는 광선을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광선이 광 투과체(3)의 입사면(31)에서 입사되고, 광 투과체(3)의 출광면(32)에서 출사될 수 있고, 광원(2), 반사컵(1), 광 투과체(3)의 구조와 상대적 위치 관계에 있어서, 출광면(32)의 출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거나, 출광면(32)에 있는 광반은 출광면(32)의 적어도 95%을 차지하는 조건을 충족한다. 광원(2), 반사컵(1), 광 투과체(3)의 구조와 상대적 위치를 한정시킴으로써, 광선은 고르게 광 투과체(3)의 출광면(32)에서 출사되어, 본 제모기에서 출광 균일도가 향상되고, 본 제모기의 사용 효과가 증대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는 본 출원 일 실시예의 구조 개략도이다. 여기에서, 제모 장치는 헤드부(111) 및 헤드부(111)와 연결되는 홀딩부(112)를 포함한다. 헤드부(111)에는 피부에 접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냉찜질부(1111)가 설치되고, 냉찜질부(1111)에서 출사된 광선이 사용자 피부의 모낭까지 조사되며, 광선을 이용해 피부에 투과해 모낭에 조사됨으로써 제모될 수 있다. 동시에 냉찜질부(1111)가 빠르게 냉각되어 광선이 피부에 끼치는 열감을 줄여, 사용자가 사용 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냉찜질부(1111)는 피부 미용에 사용되는 약간의 광선을 출사할 수 있어 제모기는 제모 기능과 피부 미용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홀딩부(112)는 하나의 중공의 하우징(미도시)를 포함하고, 하우징의 표면에는 에어투과 홀(1211)이 설치되고, 에어투과 홀(1211)에 하우징 내부와 하우징 외부가 연통되어, 제모 장치는 에어투과 홀(1211)과 외부를 통해 기류를 교환할 수 있어 내부의 온도가 낮춰질 수 있다. 하우징은 인터페이스(1212)를 더 포함하고, 인터페이스(1212)는 외부 전원을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는 제모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 내부에 있는 인터페이스(1212)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도 7은 본 출원 일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고, 여기에서, 도 7에 표시된 화살표가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의 구동 하에 제모 장치 내부에 있는 기류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고, 직선은 냉기류를, 물결선은 열기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모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개구에 설치되는 라이트 커버판(113),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제모 기구(14), 바닥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제1 하우징(121)과 제2 하우징(122)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121)과 제2 하우징(122)이 서로 스냅 결합되어 양단에 개구가 구비된 하나의 하우징이 형성되고, 제모 기구(14)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라이트 커버판(113)과 바닥 커버(15) 각각이 두 개의 개구에 커버 설치되어 제1 하우징(121)과 제2 하우징(122)이 연결되어 캐비티가 형성된 후의 개구를 실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하우징(121), 제2 하우징(122), 라이트 커버판(113), 바닥 커버(15)는 버클 방식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나사, 접합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모 기구(14)는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방열 베이스(300) 및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라이트 커버판(113)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되고, 라이트 커버판(113)에는 스루홀(미도시)이 설치되고, 일부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하우징 내부에서 라이트 커버판(113)의 스루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직접적으로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게는, 일부 냉찜질 어셈블리(200)와 라이트 커버판(113)이 제모 장치의 헤드부(111)를 결성한다.
제모 어셈블리(100)가 라이트 커버판(113)에서 멀리 떨어진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찜질 어셈블리(200)에 광선을 방출시키는 데 사용된다. 광선은 적색광일 수 있고, 녹색광일 수도 있고, 황색광 등의 가시광선일 수도 있다. 광선이 냉찜질 어셈블리(200)에 들어간 후, 냉찜질 어셈블리(200)에서 피부 아래의 모낭으로 유입되어 제모가 구현될 수 있다.
방열 베이스(300)가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냉찜질 어셈블리(200)와 연결된다.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피부에 접합될 때 피부의 열량을 흡수할 수 있어 피부의 온도를 낮추고 열감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장시간 사용 시 온도가 상승되어 냉각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방열 베이스(300)는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열량을 흡수할 수 있어,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저온의 작업 환경에 유지되어,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피부에 대한 냉각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모 장치는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상황 하에서 몸체의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제모 어셈블리(100)를 등지는 방열 베이스(300)의 적어도 일부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를 방열시키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냉매를 흡입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제모 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냉매는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를 거쳐 열량을 가져간 후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출된다.
선택적으로, 외부 냉매가 공기일 수 있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는 공기를 흡입한 후,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로 공기를 불어 넣고,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의 열량은 기류가 가져간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투과 홀(1211)이 제1 하우징(121)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의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에어투과 홀(1211)은 대향되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냉매를 우수하게 흡수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입될 수 있어 방열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에어투과 홀(1211) 역시 제2 하우징(122)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은 도 7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고, 여기에서 도 8에 표시된 화살표가 팬의 에어 출구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제모 장치는 브라켓(500), 회로기판(600), 프로세서(700), 커패시턴스(800)를 더 포함하고, 제모 어셈블리(100)와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브라켓(500)에 장착되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브라켓(500)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회로기판(600)에 장착되면서, 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프로세서(700) 및 커패시턴스(800)가 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회로기판(600)에 설치된다. 외부 전원에 연결될 때, 외부 전원이 커패시턴스(800)를 충전하여 커패시턴스(800)가 제모 장치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커패시턴스(800)가 외부 전원에 연결될 때,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제모 장치가 외부 전원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700)는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제모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제모 장치의 스위치, 열 보호 또는 출력 조절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기판(600)이 제2 하우징(122)에 고정될 수 있고, 회로기판(600)으로 PCBA 회로기판이 선택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제모 장치의 몸체 내부 열량이 사용 중 계속하여 증대되고, 제모 장치의 내부 회로 및 소자는 고온 환경에서 폭발, 소실, 단락 등의 위험 상황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는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에 대해 방열을 진행하고, 방열 베이스(300)가 냉찜질 어셈블리(200)에 대해 방열을 진행할 수 있어,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피부를 냉찜질하여 피부의 편안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인한 폭발, 소실, 단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모 어셈블리(100)는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 두 개의 전극(104)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가 브라켓(500) 내부에 장착되어, 즉 브라켓(500) 내에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의 장착 위치가 설치되고,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가 브라켓(500)의 장착 위치에 끼워진다.
여기에서, 광원(101)과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대향 설치되고, 광원(101)에서 출사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들어갈 수 있다. 반사컵(102)이 냉찜질 어셈블리(200)에서 멀리 떨어진 광원(101)의 일측에 설치되고, 광원(101)의 광선을 반사시킨 후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들어가면 광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광 필터(103)가 광원(101)과 냉찜질 어셈블리(200) 사이에 위치하어, 즉 광원(101), 광 필터(103),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순서대로 광선이 전파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광 필터(103)는 광원(101)에서 방출되는 일부 유해한 광을 필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광선이 피부에 끼치는 손상을 줄여 제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 개의 전극(104) 각각이 광원(101)의 양측에 연결되면서, 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송시키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광원(101)이 램프 튜브일 수 있고, 램프 튜브에서 방출되는 광선의 색상이 한정되지 않아 색광, 복합광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파장 및 주파수는 사용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램프 튜브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아 반도체 크세논 램프 튜브, 석영 램프 튜브, 레이저 램프 튜브 등일 수 있으며, 광자 종류에는 IPL(Intense Pulse Lightm, 강한 펄스 광), DPL(Delicate Pulse Light, 섬세한 펄스 광), OPT(Optimal Pulse Technology, 최적의 펄스 기술), AOPT(Advanced Optimal Pulse Technology, 업그레이드된 최적의 펄스 기술), BBL(BroadBand Light, BB광)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종류는 미리 설정된 효과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02)이 U형 반사판이고, U형 반사판이 광원(101)에 둘러싸이게 설치되고, U형 반사판의 개구가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향하고,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입사되지 않는 광선이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반사된다. 동시에, 반사컵(102)은 광원(101)에서 생성되는 열량이 제모 장치의 기타 소자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500)은 고정 프레임(550)과 파이프(56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정 프레임(550)의 내부에는 제1 수용 공간(510)과 제2 수용 공간(520)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1 수용 공간(510)은 제모 어셈블리(100)가 장착되고, 제2 수용 공간(520)은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장착시키는 데 사용되고, 제1 수용 공간(510)과 제2 수용 공간(520)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모 어셈블리(100)와 냉찜질 어셈블리(200) 사이의 거리가 축소되고, 제모 어셈블리(100)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학거리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제2 수용 공간(520)이 제1 수용 공간(510)에 비해 도 6에 도시된 제모 장치의 헤드부(111)에 더 근접하다.
제모 장치가 작동될 때, 광원(101)은 대량의 열량이 생성될 수 있고, 반사컵(102)과 광 필터(103) 또한 광선이 조사되어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에 대해 방열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500)은 고정 프레임(550)과 파이프(560)를 포함하고, 파이프(560)의 일단이 고정 프레임(550)의 일측에 연결되고, 파이프(560)의 다른 일단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향해 연장된다. 여기에서, 고정 브라켓(550) 내부에는 제1 수용 공간(510)이 연통된 에어 출구(540)가 설치되고, 파이프(560)에는 제1 수용 공간(510)이 연통된 에어 유입구(530)가 설치되며, 에어 유입구(530), 제1 수용 공간(510), 에어 출구(540)가 순서대로 연통된다.
에어 유입구(530)에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연통되고, 에어 출구(540)에는 에어투과 홀(1211)이 연통된다.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입되면서 에어 출구(540)로 불어 넣는다. 공기가 에어 출구(540)에서 제1 수용 공간(510)으로 유입된 후, 제1 수용 공간(510) 내부에 있는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의 열량을 가져가고, 에어 출구(540) 및 에어투과 홀(1211)에서 외부로 흘러, 외부로 열 에너지를 방열시킨다.
선택적으로, 고정 브라켓(550)과 파이프(560)의 각 일부분이 제 1 브라켓(501)을 형성하고, 고정 브라켓과 파이프 각각의 남는 부분이 제2 브라켓(502)을 형성하고, 기타 실시예에서, 고정 브라켓(550) 또한 일체 성형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501)과 제2 브라켓(502)이 버클 방식을 통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501)이 제1 하우징(121)에 근접하고, 제2 브라켓(502)이 제2 하우징(122)에 근접하며, 에어 출구(540)가 제1 브라켓(501)에 설치되면서, 제1 하우징(121)의 에어투과 홀(1211)과 대향 설치되어 에어 출구(540)의 방열 효율이 가속화될 수 있다. 제1 수용 공간(510)이 제1 브라켓(501), 제2 브라켓(502) 각각의 고정 브라켓(550)에 대응되는 부분이 스냅 결합되는 부분 내부에 설치되고, 에어 유입구(530)가 제1 브라켓(501), 제2 브라켓(502) 각각의 파이프(560)에 대응되는 일부가 스냅 결합되는 부분 내부에 설치되면서, 제1 수용 공간(510)과 연통되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연통되며, 브라켓(5)의 내부에는 에어 가이드에 사용되는 통로가 설치될 수 있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의 기류가 제1 수용 공간(510) 내부로 유도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모 어셈블리(100)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통해 방열을 진행하고 제모 장치의 사용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실시예에서,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광 투과체(202)와 냉각 부재(201)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체(202)는 피부에 접합시키는 데 사용되고, 광 투과체(202)와 광원(101)이 대향 설치되고, 광 투과체(3)는 광 투과 소자이며, 광원(101)에서 방출된 광선이 광 투과체(202)에 유입된 후, 광 투과체(202)에서 방출되어 피부로 들어간다.
선택적으로, 광 투과체(202)는 도광 결정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사파이어, K9 유리 또는 크리스탈 유리가 선택될 수 있다. 광 투과체(202)가 사파이어 재질일 경우, 광 투과체(202)는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광 투과체(202)가 원통체 또는 사각체일 수 있고, 광원(101)에서 멀리 떨어진 광 투과체(202)의 하나의 면은 피부와 접합되는 데 사용된다.
냉각 부재(201)와 광 투과체(202)가 연결되고, 광 투과체(202)의 열량을 흡수시키는 데 사용된다. 광 투과체(202)와 피부가 접촉된 후 높아지므로, 냉각 부재(201)는 광 투과체(202) 온도가 높아진 후 광 투과체(202)의 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광 투과체(202)는 저온이 유지되고, 장기간 광 투과체(202)를 사용해 피부에 접합된 상황 하에, 광 투과체(202)는 피부를 냉찜질할 수 있어 피부 통증이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냉각 부재(201)가 반도체 냉각 방식의 냉각 소자일 수 있으며, 냉각 부재(201)가 열을 흡수한 일단이 광 투과체(202)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열을 방출한다.
냉각 부재(201)의 열 방출단에 대해 방열을 진행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방열 베이스(300)와 냉각 부재(201)의 열 방출단이 연결되어 냉각 부재(201)의 열량이 흡수된다.
구체적으로, 방열 베이스(300)는 방열판(301)과 방열핀(302)을 포함한다. 방열판(301)의 하나의 표면에는 병렬된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11)이 설치되고, 제모 어셈블리(100)가 제1 영역(310)에 설치되고, 방열핀(302)이 제2 영역(311)에 장착된다. 제2 영역(311)이 파이프(560)가 연결된 고정 프레임(550)의 일측에 위치하고, 방열핀(302)과 파이프(560)가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병렬되고, 고정 프레임(550)이 제1 영역(310)에 설치되며, 방열판(301)이 회로기판(600)에 장착되면서, 냉찜질 어셈블리(200)와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냉각 부재(201)가 열전도 실리콘 그리스(thermally conductive silicone grease)를 통해 방열판(301)에 접착될 수 있다.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열전도 실리콘 그리스를 통해 열량을 빠르게 방열판(301)으로 유도하고, 방열핀(302)은 방열판(301)에 대해 방열을 진행하여, 방열판(301)의 열량 손실에 협조하므로, 방열판(301)이 냉각 부재(201)의 열량을 지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열핀(302)의 수량은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방열핀(302) 사이가 서로 평행이며, 방열핀(302)은 용접 방식으로 방열판(301)에 장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열핀(302)의 표면에는 열전도성 페인트가 분무될 수 있고, 열전도성 페인트는 방열핀(302)의 열량을 복사시킬 뿐만 아니라 방열핀(302)이 수증기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부식 및 마모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판(301)이 베이퍼 챔버(Vapor Chamber)일 수 있고, 베이퍼 챔버는 내부의 액체 작동 유체에 열이 증발되어 열을 흡수하고, 냉각된 후 방열 및 액화하며, 증발, 응축 순환을 통해 베이퍼 챔버의 포면 온도가 일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판(301) 표면의 일부분과 냉각 부재(201)가 연결되고, 다른 일부분과 방열핀(302)이 연결되며, 냉각 부재(201)에서 생성되는 열량이 방열판(301)과 방열핀(302)을 거쳐 소실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 투과체(202)와 방열 베이스(300) 사이에는 탄소 함유층이 설치될 수 있어, 예를 들어, 방열판(301)과 광 투과체(202)의 열적 결합(Thermalcoupling)된 일측의 표면에 설치되고, 탄소 함유층이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구비하므로, 방열판(301)의 열전도 속도가 가속화되고, 방열 베이스(300)의 방열 성능이 강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이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은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방식으로 설치된다.
방열 베이스(300)의 방열 성능을 가속화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방열 베이스(300)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더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방열 베이스(300)의 방열핀(302)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연결되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입되면서, 공기가 방열핀(302) 방향으로 불어지도록 구동하여, 공기가 방열핀(302)을 거쳐 방열핀(302)에 대해 방열을 진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열핀(302)과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에서 제공하는 기류가 사각형으로 평행 설치되어 방열핀(302)과 기류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방열핀(302)의 방열 효율이 가속화될 수 있다.
방열핀(302)과 제1 하우징(121)에 있는 에어투과 홀(1211)이 대향 설치되고, 기류는 방열핀(302)을 거친 후, 빠르게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는 냉매가 제모 어셈블리(100)를 방열시키도록 구동할 뿐만 아니라, 방열 베이스(300)에 대해 방열을 진행할 수 있다. 안전 성능이 향상된 상황 하에서 조사된 피부에 냉찜질을 진행해 온도를 낮춰 조사된 피부에 생성된 열감 통증을 줄이고,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방열 베이스(300)와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의 작용 하에서 0도에 가까운 저온일 수 있고, 출광구 근처에 있는 피부가 어는점에 무한히 근접해질 수 있어 피부에 열감 통증을 줄이고, 단시간 접촉으로 피부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도 7, 도 8,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도 10은 도 8의 실시예에서 팬 하우징의 에어 출구 지점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냉각 구동 어셈블리(400)는 팬 하우징(401)과 팬(402)을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401)이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등지는 방열 베이스(300)의 일측에 설치되고, 팬(402)이 팬 하우징(401)에 수용된다.
에어가 유입되는 팬(402)의 일단이 제1 하우징(121)에 있는 에어투과 홀(1211)과 대향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시키고, 팬 하우징(401)에는 에어를 배출시키는 데 사용되는에어 출구(410)가 설치되고, 에어가 배출되는 팬(402)의 일단이 에어 출구(410)와 연결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시킨 후, 에어 출구(410)에서 유출된다.
선택적으로, 팬(402)은 원심형 팬, 축류식(axial flow type) 팬, 혼류식 팬 또는 직교류(crossflow) 팬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에어 출구(410)는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를 포함하고, 에어 출구(410)에 있는 팬(402)의 에어 배출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일부분은 제1 에어 출구(411)에서 유출되고, 다른 일부분이 제2 에어 출구(412)에서 유출된다.
선택적으로, 에어 출구(410)는 제3 에어 출구 또는 더 많은 에어 출구를 포함할 수도 있고, 여기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에어 출구(411)에 브라켓(500)의 에어 유입구(530)가 연통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시키고, 팬(402)은 기류가 제1 에어 출구(411)와 에어 유입구(530)로부터 제1 수용 공간(510)으로 유입되도록 구동시키고, 제1 수용 공간(510)이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의 열량을 가져가고, 마지막으로 에어 출구(540) 및 에어투과 홀(1211)에서 외부로 흘러, 외부로 열 에너지를 방열시키므로, 제모 어셈블리(100)의 방열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에어 출구(412)에 방열 베이스(300)의 방열핀(302)이 연결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시키고, 팬(402)은 기류가 제2 에어 출구(412)에서 방열 베이스(300)의 복수 개의 방열핀(302) 사이로 유입되도록 구동시키고, 기류는 방열핀(302)을 거쳐 방열핀(302)의 열량을 가져가고,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출된다. 방열핀(302)의 온도가 하락한 후, 방열판(301)의 열량 또한 하락하여 방열판(301)이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방열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의 에어 유동량은 한정되지 않고, 실제 상황에 따라 설치된다.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의 크기를 설정함으로써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의 에어 유동량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2 에어 출구(412)의 에어 배출 면적이 제1 에어 출구(411)의 에어 배출 면적보다 크므로, 더 많은 기류가 제2 에어 출구(412)에서 유출되어, 방열판(301)의 방열 효율이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모기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통해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방열 베이스(300)에 대해 방열을 진행할 수 있고, 제모 어셈블리(100)와 냉찜질 어셈블리(200)에 대한 방열 진행이 동시에 구현될 수 있어, 제모기의 방열 능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모기의 안전 계수가 강화되는 동시에, 지속적으로 피부를 냉찜질하여 어는점에 무한히 근접해질 수 있어 피부에 열감 통증을 줄이고, 제모 시 피부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본 출원에서 개시하는 제모기에 있어서, 본 제모기는 반사컵(1), 광원(2), 제1 광 투과체(3), 방열 베이스(4), 냉각 부재(5)를 포함한다. 광원(2)이 반사컵(1) 내부에 조립되어 광선을 내보낼 수 있고, 반사컵(1)은 상기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광 투과체(3)가 반사컵(1)의 출광측에 설치되면서 반사컵(1)의 출광측을 커버하고, 반사컵(1)과 광원(2)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를 형성하고, 반사컵(1)이 방열 베이스(4)에 내장되고, 방열 베이스(4)와 반사컵(1)이 접촉된 일측과 반사컵(1)이 열적 결합되고, 냉각 부재(5)가 방열 베이스(4)에 장착되고, 냉각 부재(5)의 냉각측과 방열 베이스(4)는 냉각 부재(5)와 접촉되는 일측과 열적 결합된다. 여기에서, 광원(2) 본체는 캐비티 내부에 매달릴 수 있고, 냉각 부재(5)는 캐비티의 온도를 낮추는 데 사용된다.
제모기가 작동될 때, 반사컵(1) 내부에 있는 광원(2)이 대량의 광선을 내보내고, 광선에서 생성하는 열량이 캐비티 내부에 모이는 한편, 반사컵(1)의 온도는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모이면서 상승된다. 여기에서, 방열 베이스(4)의 일측과 반사컵(1)이 열적 결합되고, 냉각 부재(5)와 방열 베이스(4)의 다른 일측이 열적 결합되며, 열적 결합은 열 전달 방식, 열대류 방식 또는 열 복사 방식 또는 상술한 세가지 방식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 열 전달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방열 베이스(4)를 통해 반사컵(1)에 있는 열량이 전달되어 나가는 한편,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발산될 수 있어 반사컵(1)과 캐비티의 온도가 낮아져, 광원(2)의 방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광원(2) 본체가 캐비티에 매달리는 방식을 이용해 광원(2)의 방열이 더 균일해지므로, 광원(2)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기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광원(2)이 작동될 때 생성되는 열량은 복사 형식으로 사방으로 방열되고, 동시에 공기 매개체가 광원(2)의 주변으로 균일하게 감싸지며, 광원(2)과 충분하게 접촉되는 한편, 광원(2)에서 생성되는 열량을 균일하게 방열시킬 수 있다. 열량은 광원(2)에 의해 생성되고, 캐비티를 거쳐 반사컵(1) 및 제1 광 투과체(3)로 전달된 후 발산된다.
또한, 더 나아가 냉각 부재(5)를 통해 방열 베이스(4)의 열량을 전달해 내보내 빠른 방열 목적을 달성하고, 제모기의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으며,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제모기의 기타 부위로 복사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제모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모 피부 지점에 있는 열감을 낮출 수 있어 제모기의 사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제모기는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반사컵(1)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을 참조하면, 탄소 함유층(91)이 광원(2)을 등지고 있는 반사컵(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2)은 사용 중 생성된 열량이 반사컵(1)에 모여지고, 탄소 함유층(91)은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구비하여 이에 위치한 반사컵(1)의 열전도 속도가 가속화되고 반사컵(1)의 방열 성능이 강화될 수 있어, 제모기 온도가 과도하게 높아져 자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피부에 자극 또는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은 방열 베이스(4)에 설치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방열 베이스(4)와 반사컵(1) 사이에 설치되어 방열 베이스(4)와 반사컵(1) 사이의 열전도 속도가 가속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은 방열 베이스(4)를 향하는 냉각 부재(5)의 일측 또는 냉각 부재(5)의 노출 표면에 설치될 수 있어, 냉각 부재(5)의 냉각 효과를 강화시킬 수 있으므로, 방열 베이스(4)의 열량을 즉각적이면서 신속하게 가져갈 수 있어 빠르게 반사컵(1)을 방열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일 수 있고,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등의 방식으로 본 출원에서 탄소 함유층이 설치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4)가 세라믹 베이스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베이스일 수 있고, 방열 베이스(4)는 반사컵(1)을 빠르게 방열시켜 반사컵(1)의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라믹 자체가 내부식성, 열팽창 및 냉수축이 적고, 빠른 열 흡수 속도 등과 같은 안정적인 물리적 특성을 구비하므로, 세라믹 베이스가 빠르게 열을 흡수할 수 있고, 세라믹 베이스를 통해 반사컵(1) 및 캐비티의 온도를 낮춰 본 제모기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세라믹은 절연체이며, 세라믹이 반사컵(1)과 접촉될 때 단락이 발생되지 않는다. 세라믹 베이스가 반사컵(1)의 외측 표면을 커버하여 제모기가 반사컵(1) 지점에서 누전될 위험이 감소되고, 제모기의 안전성이 향상된다. 광원(2) 본체가 캐비티 내부에 매달리가 설치되면서, 도체와 함께 결성된 반사컵(1) 사이에는 간격이 구비된다. 전기가 통한 후, 광원(2)과 반사컵(1)사이에는 강한 전기장이 형성되어 광원(2)이 광을 방출하도록 여기시킨다.
여기에서, 세라믹 베이스의 일측에는 홈 바디(41)가 설치되고, 상기 홈 바디(41)는 바형을 이루고, 선택적으로, 반사컵(1)이 반 아치형의 반사컵일 수 있고, 반사컵(1)이 홈 바디(41)에 내장된다. 제1 광 투과체(3)는 광 필터 또는 투명 형태의 유리 슬라이드일 수 있고, 제1 광 투과체(3)가 세라믹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된다. 제1 광 투과체(3)와 반사컵(1)을 통해 광원(2)에서 생성된 열량을 캐비티 내부에 제한시켜, 제모기의 기타 부위로 열량이 복사되는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세라믹 베이스를 통해 홈 바디(41)가 설치되고, 반사컵(1)이 상기 홈 바디(41)에 내장되어 세라믹 베이스와 반사컵(1)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반사컵(1)에 대한 세라믹 베이스의 열 흡수 능력이 향상되어 반사컵(1) 및 캐비티의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이 긴 바형의 반사컵일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냉각 부재(5)가 TEC 냉각 시트 또는 냉각 블록일 수 있고, 냉각 부재(5)는 방열 베이스(4)를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며, 방열 베이스(4)의 열량을 즉각적이면서 신속하게 가져갈 수 있으면서 빠르게 반사컵(1)을 방열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채택된 냉각 부재(5)는 TEC 냉각 시트이고, 이는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냉각 부재(5)를 한정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4)가 긴 바형을 이룰 수 있고, TEC 냉각 시트가 긴 바형을 이루며, 방열 베이스(4)에는 하나의 장착 홈이 설치되고, 장착 홈이 반사컵(1) 개구에서 멀리 떨어진 방열 베이스(4)의 일측에 위치하고, TEC 냉각 시트가 장착 홈 내부에 배치되고, TEC 냉각 시트와 방열 베이스(4)가 충분히 접촉된다. TEC 냉각 시트를 통해 캐비티와 반사컵(1)에서 방열 베이스(4)로 전달시킨 열량을 빠르게 전이시켜 방열 베이스(4)를 냉각시킬 수 있고, 일 측면에서, 제모기가 작동될 때, 광원(2)을 우수하게 보호할 수 있고, 고온이 광원(2)에 끼치는 손상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어 광원(2)의 사용 수명이 향상될 수 있고, 다른 일 측면에서, 제모기 외표면의 온도가 낮아져 사용자가 편안하게 제모기를 잡을 수 있으므로, 제모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 도 17, 도 19를 참조하면, 제모기는 브라켓(6)을 포함하고, 브라켓(6)은 방열 베이스(4)에 매칭되어 반사컵(1)과 제1 광 투과체(3)를 함께 조립시키고, 브라켓(6)은 윈도우(61)를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61)는 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이루고, 제1 광 투과체(3)가 브라켓(6)에 고정되면서 윈도우(61)를 커버한다.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6)이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모기의 조립과 분해가 비교적 편리해지고, 브라켓(6)과 방열 베이스(4)를 통해 반사컵(1)과 제1 광 투과체(3)가 함께 고정되면, 제모기 내부 사이의 구조가 더욱 콤팩트해지고, 제모기 내부 공간을 절약하여, 합리적으로 설계되는 한편, 본 제모기를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4)의 양측에는 모두 제1 버클부(42)가 일체로 성형되고, 브라켓(6)의 양측에는 제2 버클부(62)가 일체 성형되며, 제1 버클부(42)와 제2 버클부(62)가 대응 설치된다.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6)이 함께 연결되는 과정에서, 제1 버클부(42)와 제2 버클부(62)가 단단히 버클 연결되어,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6)이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본 제모기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버클부(42)가 고정 블록 또는 캔틸레버 후크일 수 있고, 제2 버클부(62)는 고정홀일 수 있다. 캔틸레버 후크를 통해 고정 홀 내부에 내장되고, 캔틸레버 후크가 고정 홀에 내장된 후, 고정 홀을 통해 캔틸레버 후크가 고정 홀 내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어, 제1 버클부(42)와 제2 버클부(62)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즉,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6)이 상대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6) 사이가 느슨해지거나 탈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본 제모기의 전체적인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6, 도 17, 도 19를 참조하면, 브라켓(6)에는 제2 광 투과체(7)가 고정되고, 제2 광 투과체(7)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이루고, 제2 광 투과체(7)가 상기 윈도우(61)에 내장된다. 제2 광 투과체(7)가 광원(2)을 등지는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광원(2)을 향하는 입광면(71) 및 광원(2)을 등지는 출광면(72)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제2 광 투과체(7)는 결정체일 수 있고, 제2 광 투과체(7)는 다이아몬드일 수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결정체를 예시로 든다.
제모기가 작동될 때, 광원(2)이 광선을 방출하고, 반사컵(1)이 광선을 반사시키고, 광선이 광 필터에 관통되면서 결정체로 반사되고, 광선이 입광면(71)에서 입사되고, 결정체 본체를 거쳐 반사된 후 출광면(72)에서 출사되고, 출광면(72)에서 출사된 광선이 제모될 피부 부위에 조사되어 피부에 있는 털이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TEC 냉각 시트의 수량은 두 개 또는 세 개이다. 예를 들어, TEC 냉각 시트의 수량이 두 개일 수 있고, 두 개의 TEC 냉각 시트가 이격 설치되고, 여기에서, 하나의 TEC 냉각 시트가 방열 베이스(4)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TEC 냉각 시트가 브라켓(6)에 장착된다. 브라켓(6)에는 장착 개구가 설치되고, 장착 개구가 윈도우(61)에 연통되고, 제2 광 투과체(7)가 윈도우(61)에 내장될 때, TEC 냉각 시트가 장착 개구에 내장되고, TEC 냉각 시트와 제2 광 투과체(7)가 서로 밀착 연결된다. TEC 냉각 시트로 제2 광 투과체(7)를 냉각함으로써 제2 광 투과체(7)가 빠르게 방열되어, 제2 광 투과체(7)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낮추면 출광면(72)이 뜨거워지는 것을 최대한 막을 수 있으므로, 제모기와 제모할 피부 부위가 안전하게 접촉될 수 있어 제모기 사용 시 편안함이 증대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를 들어, TEC 냉각 시트의 수량이 세 개일 수 있고, 여기에서, 하나의 TEC 냉각 시트가 방열 베이스(4)에 고정되고, 나머지 두 개의 TEC 냉각 시트가 각각 브라켓에 내장되고, 두 개의 TEC 냉각 시트 각각이 제2 광 투과체(7) 양측에 위치하고, 이 양측은 광선이 출사되는 방향을 향하는 제2 광 투과체(7)의 상하 양측이거나 좌우 양측일 수 있다. 제2 광 투과체(7) 양측의 TEC 냉각 시트를 통해 제2 광 투과체(7)의 강온 효율이 향상될 수 있으므로, 제2 광 투과체(7)는 빠르게 방열되어 강온 목적을 이루어 본 제모기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광원(2), 반사컵(1), 제2 광 투과체(7)의 구조와 상대적 위치 관계가 출광면(72)에 충족되는 출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거나, 출광면(72)에 있는 광반은 출광면(72)의 적어도 95%를 차지하는 조건을 충족한다. 출광면(72)의 출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제모기의 제모 효과가 향상될 수 있어 제모할 피부 부위에 있는 털이 고르게 제거될 수 있다. 출광면(72)의 광점은 출광면(72)의 적어도 95%를 차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제모할 피부 부위에 있는 털이 고르게 제거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선의 이용률이 향상될 수도 있다.
출광 균일도가 비교적 적거나 출광면(72)에 있는 광반이 출광면(72)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작은 제모기에 있어서, 사용 시 고르게 제모하기 위해 제모기를 동일한 위치에 여러번 조사해야 할 수도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제모가 고르게 되지 않아 미관상 좋지 않다. 본 출원의 방안에서 광원(2), 반사컵(1), 제2 광 투과체(7)의 구조와 상대적 위치 관계가 출광면(72)에 충족되는 출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고 또는 출광면(72)에 있는 광반이 출광면(72)의 적어도 95%을 차지하는 조건으로 인해 제모기는 여러번 동일한 위치를 조사할 필요가 없다. 광원(2)의 품질 및 제모기의 출력이 충분하면서 인체가 건강한 조건을 충족할 경우, 제모기는 한번의 조사로 효율적이고 균일하게 제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 광원(2), 제2 광 투과체(7)의 중심이 같은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직선 상에 있는 이 셋의 상호 간의 거리를 통해 출광면(72)의 광 균일도를 90%보다 크거나 같아지게 하고, 또는 출광면(72)에 있는 광반은 출광면(72)의 적어도 95%을 차지한다. 선택적으로, 위 셋의 자체적인 구조를 조정함으로써 제모기는 위와 같은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원(2)의 중심이 반사컵(1)의 초점(도면에서 도시된 1a)과 반사컵(1)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고, 제2 광 투과체(7)의 입광면(71)이 출광면(72)과 반사컵(1)의 초점 사이에 위치하고, 반사컵(1)에 반사된 광선이 모이는 위치가 제2 광 투과체(7)의 출광면(72)과 반사컵(1)의 초점 사이에 있다. 광원(2), 반사컵(1), 제2 광 투과체(7) 간의 위치를 한정함으로써 출광면(72)의 출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아지게 하고, 또는 출광면(72)에 있는 광반이 출광면(72)의 적어도 95%를 차지하면, 광원(2)에서 내보낸 광선이 반사컵(1)에 의해 충분히 제2 광 투과체(7)에 반사되어 제2 광 투과체(7)의 출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반사컵(1)이 제1 반사 영역(11)과 제2 반사 영역(12)을 구비하고, 제1 반사 영역(11)은 반사컵(1) 바닥부를 포함하는 한 세그먼트의 아치형 영역이고, 제2 반사 영역(12)은 아치형 영역 양단이 외부로 연장되는 평면 영역이고, 평면 영역과 아치형 영역은 서로 접한다. 선택적으로, 광원(2)이 바형의 램프 튜브일 수 있고, 바형의 램프 튜브가 광선을 내보내고, 반사컵(1)의 아치형 영역이 우수하게 광선을 제2 광 투과체(7)로 반사시킬 수 있고, 동시에, 반사컵(1)의 평면 영역 또한 광선을 제2 광 투과체(7)로 반사시킬 수 있고, 아치형 영역과 평면 영역이 충분히 광선을 반사시킴으로써, 광선의 출사율 및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모기가 작동될 때, 광원(2)에서 광선을 내보내고, 반사컵(1)의 제1 반사 영역(11)과 제2 반사 영역(12)이 광선을 충분하게 제2 광 투과체(7)로 반사시키고, 광선이 제2 광 투과체(7)의 입사면에서 입사된 후, 광선이 제2 광 투과체(7)의 출사면에서 출사되어, 출광면(72)의 출광 균일도가 90%보다 크거나 같아지고, 또는 출광면(72)에 있는 광반이 출광면(72)의 적어도 95%을 차지하면, 본 제모기의 출광 균일도가 향상되어, 본 제모기의 사용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이 5 내지 20도 사이에 있으며, 기준선은 광원(2) 중심과 제2 광 투과체(7)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다. 예를 들어,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이 5도 또는 8도일 경우,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은 15도이다. 평면 영역과 기준선의 각도를 한정시킴으로써 광선이 충분하게 제2 광 투과체(7)에 반사될 수 있고, 일 측면에서, 광선의 낭비를 줄여 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다른 일 측면에서, 제2 광 투과체(7)의 출광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범위 내에서 초점 거리가 근접하여, 광 균일도 및 광선 이용률을 충족시키는 조건 하에서, 제2 광 투과체(7) 또한 광원(2)과 더 가까워질 수 있어, 제모기의 구조가 더욱 콤팩트해지는 한편, 가공 측면에서 재료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6, 도 17, 도 19를 참조하면, 제모기는 측면 반사 부재(13)를 포함하고, 이는 길이 방향에 있는 반사컵(1)의 양단에 설치되고, 반사컵(1) 양단에서 누출된 광선이 반사컵(1)의 출광측으로 반사된다. 측면 반사 부재(13)를 통해 광원(2)에서 내보낸 광선이 충분하게 반사되어 광선의 이용률을 높이기 용이하여, 제모기가 고효율적으로 제모할 수 있는 한편, 측면 반사 부재(13)를 통해 편리하게 광원(2)을 장착하여 장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면 반사 부재(13)와 반사컵(1)이 일체로 성형되어, 가공 측면에서 장착 난이도를 낮출 수 있고, 또한, 측면 반사 부재(13)와 반사컵(1)이 일체로 성형되어 견고해지므로 측면 반사 부재(13)와 반사컵(1)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어 반사컵(1)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광원(2)은 바형의 램프 튜브이고, 반사컵(1) 양측에 위치한 측면 반사 부재(13)에는 모두 스루홀(131)이 설치되고, 램프 튜브 단부가 스루홀(131)에 관통된다. 램프 튜브 양단에는 모두 고정 부재(8)가 연결되어 광원(2)을 반사컵(1)에서 이동 고정시키는 데 사용되고, 예를 들어, 고정 부재(8)가 실리콘 연성 슬리브일 수 있고, 고정 부재(8)는 또한 고무 슬리브일 수 있다. 고정 부재(8)는 원통형을 이룰 수 있고, 고정 부재(8)에는 수용 홈(81)이 구비되고, 램프 튜브 양단은 모두 내부에 내장 및 장착되고, 고정 부재(8)는 축선 위치를 따라 장착 홀(82)이 설치되고, 장착 홀(82)이 수용 홈(81)에 연통되고, 램프 튜브 양단에는 모두 장착 기둥(21)이 연장되고, 장착 기둥(21)이 장착 홀(82)에 관통되며, 고정 부재(8)가 반사컵(1) 외측에 설치된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4) 양단에는 모두 받침 블록(43)이 일체로 성형되고, 받침 블록(43)은 갭을 구비하고, 상기 갭이 광원(2) 양단 및 고정 부재(8)를 수용할 수 있고, 방열 베이스(4)와 브라켓(6)이 버클 연결된 상태에서, 브라켓(6)과 받침 블록(43)이 고정 부재(8)를 고정하고, 램프 튜브가 반사컵(1)에 고정되며, 고정 부재(8) 자체가 탄성을 구비하고, 브라켓(6)과 받침 블록(43)이 고정 부재(8)를 고정시키는 과정에서, 만약 고정 부재(8)가 압착될 경우, 고정 부재(8)는 갭의 형상에 맞춰 자체 형태를 상응하게 변경시킬 수 있는 한편, 램프 튜브가 압착되는 것을 최대한 줄여 램프 튜브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개시하는 제모기는 제모기의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다. 광원(2)이 반사컵(1) 내부에 조립되면서 광선을 내보낼 수 있고, 반사컵(1)이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어, 본 제모기의 출광을 구현하고, 피부에 있는 털을 제거하여 제모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제1 광 투과체(3)와 반사컵(1)이 광원(2)을 수용할 수 있는 하나의 캐비티를 형성하고, 광원(2) 본체는 이 캐비티 내부에 매달리고, 방열 베이스(4)의 양측 각각이 반사컵(1) 및 냉각 부재(5)와 열적 결합됨으로써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빠르게 캐비티 내부에서 밖으로 전달되어, 즉,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방열 베이스(4)와 냉각 부재(5)로 전달되고, 캐비티를 강온시켜 제모기의 방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광원(2)을 고르게 방열시킬 수 있어, 광원(2)의 사용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양호한 방열로 인해 본 제모기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7를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모기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탄성 실링 링(16)이 제1 광 투과체(3)와 제2 광 투과체(7)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 실링 링(16)은 링 형이며, 제1 광 투과체(3)와 제2 광 투과체(7)는 모두 탄성 실링 링(16)과 실링 매칭되어, 제2 광 투과체(7)와 제1 광 투과체(3) 간에 수증기 응결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노폐물 또한 제2 광 투과체(7)와 제1 광 투과체(3)가 결합되는 지점에 침투되지 않아, 바람직하게는, 탄성 실링 링(16)이 링 형으로 설치된 실링 링이다.
물론, 부주의로 인해 제모기가 바닥에 떨어질 경우, 제2 광 투과체(7)와 바닥면 사이에 강한 충돌이 발생되어, 종래의 제2 광 투과체(7)의 충격력이 제1 광 투과체(3)로 전달되고, 제1 광 투과체(3), 반사컵(1), 광원(2)이 충격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실시예의 제모기가 제2 광 투과체(7)에서 충돌이 발생한 경우, 탄성 실링 링(16)을 통해 충격력을 상쇄시킬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이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탄성 실링 링(16)이 외력으로 인해 압착될 때 탄성 형태 변형이 생성될 수 있고, 제1 광 투과체(3)와 제2 광 투과체(7) 사이의 충격을 감소시키거나 상쇄시킬 수 있어, 제1 광 투과체(3), 반사컵(1) 및 광원(2)이 충격을 받아 분쇄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 본 제모기의 충격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0을 더 참조하면, 탄성 실링 링(16)에는 광선을 통과시키는 데 사용되는 내부 링(161)이 설치되고, 제1 광 투과체(3)에서 필터링된 광선은 내부 링(161)을 거쳐 제2 광 투과체(7)로 유도되어 인체 피부에 조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광 투과체(3)와 제2 광 투과체(7)가 모두 직접적으로 브라켓(6)에 고정되고, 제1 광 투과체(3)와 제2 광 투과체(7)는 브라켓(6)에 상대되게 이동될 수 없어, 사용 과정에서 인체 골격 또는 뾰족한 물체가 제2 광 투과체(7)를 가압하여 제2 광 투과체(7)가 브라켓(6)에 상대되게 뒤로 이동하는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제1 광 투과체(3) 또는 제모 어셈블리(100)에 복구 불가능한 압착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은 여러번 압착된 후 복구 불가능한 압착 변형으로 제모기의 도광 효과에 영향을 끼쳐 광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실링 링(16)에는 내부 링(161)에 연통되는 장착 홈(162)이 더 설치되고, 장착 홈(162)은 제모 어셈블리(100)에서 멀리 떨어진 탄성 실링 링(16)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내부 링(161)은 장착 홈(162)의 홈 바닥 벽에서 제1 광 투과체(3) 일측으로 관통 및 연장되고, 제2 광 투과체(7) 일부가 장착 홈(162) 내부에 장착되고, 제2 광 투과체(7)와 탄성 실링 링(16) 간의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탄성 실링 링(16)이 제2 광 투과체(7)에 고정되어 둘 사이를 고정 연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실링 링(16)은 외부 링(163) 및 외부 링(163)의 일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돌기(164)를 포함하고, 돌기(164)와 제1 광 투과체(3)는 서로 밀착 연결되고, 돌기(164)에서 멀리 떨어진 외부 링(163)의 일측면에는 장착 홈(162)이 설치되고, 내부 링(161)은 장착 홈(162)의 홈 바닥 벽에서 돌기(164) 일측으로 관통 및 연장되고, 외부 링(163)과 돌기(164)는 완전한 폐쇄 루프 구조이고, 내부 링(161) 내부의 광은 제2 광 투과체(7)에서만 투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164)의 횡단면이 횡방향으로 설치된 삼각형 구조이고, 돌기(164)와 제1 광 투과체(3)가 접촉되는 면적이 돌기(164)와 외부 링(163)이 접촉되는 면적보다 작으므로, 탄성 실링 링(16)이 장착된 후, 외부 링(163)에서 멀리 떨어진 돌기(164)의 일단이 압출된 후 일부가 굽혀질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이 탄성을 구비하므로, 탄성 실링 링(16)의 굽혀진 일부가 긴밀하게 제1 광 투과체(3)에 지지될 수 있어, 즉, 만약에 제2 광 투과체(7)와 제1 광 투과체(3) 간의 거리에 미세한 변화가 발생할 경우, 탄성 실링 링(16) 또한 굽혀진 부분에 의해 이 간격의 변화를 적응 및 조정할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과 제2 광 투과체(7) 사이 및 탄성 실링 링(16)과 제1 광 투과체(3) 사이가 항시 긴밀하게 유지되고, 심지어는 억지끼움되어, 실링성이 더 우수해진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돌기(164)의 횡단면 또한 사다리꼴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실링 링(16)은 항레이저 및 항고저온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형체이므로, 탄소 실링 링(16)이 사용 과정에서 고온 또는 저온 또는 레이저 조사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실링 링(16)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도 21은 본 출원 다른 일 실시예의 구조 개략도이다. 여기에서, 제모 장치는 헤드부(111) 및 헤드부(111)와 연결되는 홀딩부(112)를 포함한다. 헤드부(111)에는 피부에 접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냉찜질부(1111)가 설치되고, 냉찜질부(1111)에서 출사된 광선이 사용자 피부의 모낭까지 조사되며, 광선을 이용해 피부에 투과해 모낭에 조사됨으로써 제모될 수 있다. 동시에 냉찜질부(1111)가 빠르게 강온되어 광선이 피부에 끼치는 열감을 줄여, 사용자가 사용 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냉찜질부(1111)는 피부 미용에 사용되는 일부 광선을 출사할 수 있어 제모기는 제모 기능과 피부 미용 기능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홀딩부(112)는 하나의 중공의 하우징(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의 표면에는 에어투과 홀(1211)이 설치되고, 에어투과 홀(1211)에 하우징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어, 제모 장치는 에어투과 홀(1211)과 외부를 통해 기류를 교환할 수 있어 내부의 온도가 낮춘다. 하우징은 인터페이스(1212)를 더 포함하고, 인터페이스(1212)는 외부 전원을 연결시키는 데 사용되어 제모 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 내부에 있는 인터페이스(1212)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21과 도 22을 참조하면, 도 22는 본 출원에서 다른 일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여기에서, 도 22에 표시된 화살표가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의 구동 하에 제모 장치 내부에 있는 기류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고, 직선은 냉기류를, 물결선은 열기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모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개구에 설치되는 라이트 커버판(113),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제모 기구(14), 바닥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제1 하우징(121)과 제2 하우징(122)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121)과 제2 하우징(122)이 서로 스냅 결합되어 양단에 개구가 구비된 하나의 캐비티가 형성되고, 제모 기구(14)가 캐비티 내부에 수용되고, 라이트 커버판(113)과 바닥 커버(15) 각각이 두 개의 개구에 커버 설치되어 제1 하우징(121)과 제2 하우징(122)이 연결되어 캐비티를 형성한 후의 개구를 실링시키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하우징(121), 제2 하우징(122), 라이트 커버판(113), 바닥 커버(15)는 버클 방식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나사, 접합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모 기구(14)는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방열 베이스(300),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라이트 커버판(113)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되고, 라이트 커버판(113)에는 스루홀(미도시)이 설치되고, 일부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하우징 내부에서 라이트 커버판(113)의 스루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직접적으로 피부와 접촉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게는, 일부 냉찜질 어셈블리(200)와 라이트 커버판(113)이 제모 장치의 헤드부(111)를 결성한다.
제모 어셈블리(100)는 라이트 커버판(113)에서 멀리 떨어진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찜질 어셈블리(200)에 광선을 발사하는 데 사용된다. 광선은 적색광일 수 있고, 녹색광일 수도 있고, 황색광 등의 가시광선일 수도 있다. 광선이 냉찜질 어셈블리(200)에 들어간 후, 냉찜질 어셈블리(200)에서 피부 아래의 모낭으로 유입되어 제모를 구현할 수 있다.
방열 베이스(300)가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냉찜질 어셈블리(200)와 연결된다.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피부에 접합될 때 피부의 열량을 흡수할 수 있어 피부의 온도를 낮추고 열감을 줄일 수 있어,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장시간 사용 시 온도가 상승되어 냉각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방열 베이스(300)는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열량을 흡수할 수 있어,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저온의 작업 환경에서 유지되어,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피부에 대한 강온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제모 장치가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상황 하에서 여전히 몸체의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는 제모 어셈블리(100)를 등지는 방열 베이스(300)의 적어도 일부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에 대한 방열에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냉매를 흡입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제모 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냉매는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를 거쳐 열량을 가져간 후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출된다.
선택적으로, 외부 냉매가 공기일 수 있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는 공기를 흡입한 후,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로 에어를 불어 넣고,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의 열량은 기류가 가져간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투과 홀(1211)이 제1 하우징(121)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의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에어투과 홀(1211)은 대향되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냉매를 우수하게 흡수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입될 수 있어 방열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에어투과 홀(1211)이 제2 하우징(12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22와 도 23을 참조하면, 도 23은 도 22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고, 여기에서 도 23에 표시된 화살표가 팬의 에어 출구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제모 장치는 브라켓(500), 회로기판(600), 프로세서(700), 커패시턴스(800)를 더 포함하고, 제모 어셈블리(100)와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브라켓(500)에 장착되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브라켓(500)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회로기판(600)에 장착되면서, 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프로세서(700) 및 커패시턴스(800)가 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회로기판(600)에 설치된다. 외부 전원에 연결될 때, 외부 전원이 커패시턴스(800)를 충전하여 커패시턴스(800)가 제모 장치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커패시턴스(800)가 외부 전원에 연결될 때,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제모 장치가 외부 전원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700)는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제모 장치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모 장치의 스위치, 열 보호 또는 출력 조절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기판(600)이 제2 하우징(122)에 고정될 수 있고, 회로기판(600)으로 PCBA 회로기판이 선택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제모 장치의 몸체 내부 열량이 사용 중 계속하여 증대되고, 제모 장치의 내부 회로 및 소자는 고온 환경에서 폭발, 소실, 단락 등의 위험 상황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는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에 대해 방열을 진행하고, 방열 베이스(300)가 냉찜질 어셈블리(200)에 대해 방열을 진행할 수 있어,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피부를 냉찜질하여 피부의 편안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인한 폭발, 소실, 단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모 어셈블리(100)는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 두 개의 전극(104)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가 브라켓(500) 내부에 장착되고, 즉 브라켓(500) 내에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의 장착 위치가 설치되고,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가 브라켓(500)의 장착 위치에 끼워진다.
여기에서, 광원(101)과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대향 설치되고, 광원(101)에서 출사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들어갈 수 있다. 반사컵(102)이 냉찜질 어셈블리(200)에서 멀리 떨어진 광원(101)의 일측에 설치되고, 광원(101)의 광선을 반사시킨 후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들어가면 광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광 필터(103)가 광원(101)과 냉찜질 어셈블리(200) 사이에 위치하여, 즉 광원(101), 광 필터(103),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순서대로 광선이 전파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광 필터(103)는 광원(101)에서 내보낸 일부 유해한 광을 필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광선이 피부에 끼치는 손상을 줄여 제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 개의 전극(104) 각각이 광원(101)의 양측에 연결되면서, 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송시키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광원(101)이 램프 튜브일 수 있고, 램프 튜브에서 방출되는 광선의 색상은 한정되지 않아 색광, 복합광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파장 및 주파수는 사용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램프 튜브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아 반도체 크세논 램프 튜브, 석영 램프 튜브, 레이저 램프 튜브 등일 수 있으며, 광자 종류에는 IPL(Intense Pulse Light, 강한 펄스 광), DPL(Delicate Pulse Light, 섬세한 펄스 광), OPT(Optimal Pulse Technology, 최적의 펄스 기술), AOPT(Advanced Optimal Pulse Technology, 업데이트된 최적의 펄스 기술), BBL(BroadBand Light, BB광)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종류는 미리 설정된 효과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02)이 U형 반사판일 수 있고, U형 반사판이 광원(101)에 둘러싸이게 설치되고, U형 반사판의 개구가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향하고,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입사되지 않는 광선이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반사된다. 동시에, 반사컵(102)은 광원(101)에서 생성되는 열량이 제모 장치의 기타 소자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500)은 고정 프레임(550)과 파이프(56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정 프레임(550)의 내부에는 제1 수용 공간(510)과 제2 수용 공간(520)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1 수용 공간(510)에는 제모 어셈블리(100)가 설치되며, 제2 수용 공간(520)은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장착시키는 데 사용되며, 제1 수용 공간(510)과 제2 수용 공간(520)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므로, 제모 어셈블리(100)와 냉찜질 어셈블리(200) 사이의 거리를 축소시키고, 제모 어셈블리(100)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학거리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제2 수용 공간(520)이 제1 수용 공간(510)에 비해 도 21에 도시된 제모 장치의 헤드부(111)에 더 근접하다.
제모 장치가 작동될 때, 광원(101)은 대량의 열량을 생성할 수 있고, 반사컵(102)과 광 필터(103) 또한 광선의 조사로 인해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에 대한 방열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500)은 고정 프레임(550)과 파이프(560)를 포함하고, 파이프(560)의 일단이 고정 프레임(550)의 일측에 연결되고, 파이프(560)의 다른 일단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향해 연장된다. 여기에서, 고정 브라켓(550) 내부에는 제1 수용 공간(510)이 연통된 에어 출구(540)가 설치되고, 파이프(560)에는 제1 수용 공간(510)이 연통된 에어 유입구(530)가 설치되며, 에어 유입구(530), 제1 수용 공간(510), 에어 출구(540)가 순서대로 연통된다.
에어 유입구(530)에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연통되고, 에어 출구(540)에는 에어투과 홀(1211)이 연통된다.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입되면서 에어 출구(540)로 불어 넣는다. 공기가 에어 출구(540)에서 제1 수용 공간(510)으로 유입된 후, 제1 수용 공간(510) 내부에 있는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의 열량을 가져가고, 에어 출구(540) 및 에어투과 홀(1211)에서 외부로 흘러, 외부로 열 에너지를 발산시킨다.
선택적으로, 고정 브라켓(550)과 파이프(560)의 각 일부분이 제 1 브라켓(501)을 형성하고, 고정 브라켓과 파이프 각각의 남는 부분이 제2 브라켓(502)을 형성하고, 기타 실시예에서, 고정 브라켓(550) 또한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501)과 제2 브라켓(502)이 버클 방식을 통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501)이 제1 하우징(121)에 근접하고, 제2 브라켓(502)이 제2 하우징(122)에 근접하며, 에어 출구(540)가 제1 브라켓(501)에 설치되면서, 제1 하우징(121)의 에어투과 홀(1211)과 대향 설치되어 에어 출구(540)의 방열 효율이 가속화될 수 있다. 제1 수용 공간(510)이 제1 브라켓(501), 제2 브라켓(502) 각각이 고정 브라켓(550)에 대응되는 일부가 스냅 결합되는 부분 내부에 설치되고, 에어 유입구(530)가 제1 브라켓(501), 제2 브라켓(502) 각각이 파이프(560)에 대응되는 일부가 스냅 결합되는 부분 내부에 설치되면서, 제1 수용 공간(510)과 연통되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연통되며, 브라켓(6)의 내부에는 에어 가이드에 사용되는 통로가 설치될 수 있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의 기류가 제1 수용 공간(510) 내부로 유도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모 어셈블리(100)가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통해 방열을 진행하고 제모 장치의 사용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실시예에서,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제2 광 투과체(201)와 냉각 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 투과체(201)는 피부에 접합시키는 데 사용되고, 제2 광 투과체(201)와 광원(101)이 대향 설치되고, 제2 광 투과체(201)는 광 투과 소자이며, 광원(101)에서 방출된 광선이 제2 광 투과체(201)에 유입된 후, 제2 광 투과체(201)에서 방출되어 피부로 들어간다.
선택적으로, 제2 광 투과체(201)가 도광 결정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사파이어, K9 유리 또는 크리스탈 유리가 선택될 수 있다. 제2 광 투과체(201)가 사파이어 재질일 경우, 제2 광 투과체(201)는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제2 광 투과체(201)가 원통체 또는 사각체일 수 있고, 광원(101)에서 멀리 떨어진 제2 광 투과체(201)의 하나의 면은 피부와 접합되는 데 사용된다.
냉각 부재(202)와 제2 광 투과체(201)가 연결되어, 제2 광 투과체(201)의 열량을 흡수시키는 데 사용된다. 제2 광 투과체(201)와 피부가 접촉된 후 높아지므로, 냉각 부재(202)는 제2 광 투과체(201) 온도가 높아진 후 제2 광 투과체(201)의 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제2 광 투과체(201)는 저온이 유지되고, 장기간 제2 광 투과체(201)를 사용해 피부에 접합된 상황 하에, 제2 광 투과체(201)는 피부를 냉찜질할 수 있어 피부 통증이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냉각 부재(202)가 반도체 냉각 방식의 냉각 소자일 수 있으며, 냉각 부재(202)가 열을 흡수한 일단이 제2 광 투과체(201)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열을 방출한다.
냉각 부재(202)의 열 방출단을 방열시키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 방열 베이스(300)와 냉각 부재(202)의 열 방출단이 연결되어 냉각 부재(202)의 열량이 흡수된다.
구체적으로, 방열 베이스(300)는 방열판(301)과 방열핀(302)을 포함한다. 방열판(301)의 하나의 표면에는 병렬된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11)이 설치되고, 제모 어셈블리(100)가 제1 영역(310)에 설치되고, 방열핀(302)이 제2 영역(311)에 장착된다. 제2 영역(311)이 파이프(560)가 연결된 고정 프레임(550)의 일측에 위치하고, 방열핀(302)과 파이프(560)가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병렬되고, 고정 프레임(550)이 제1 영역(310)에 설치되며, 방열판(301)이 회로기판(600)에 장착되면서, 냉찜질 어셈블리(200)와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냉각 부재(5)가 열전도 실리콘 그리스를 통해 방열판(301)에 접착될 수 있다.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열전도 실리콘 그리스를 통해 열량을 빠르게 방열판(301)으로 유도하고, 방열핀(302)은 방열판(301)에 대해 방열을 진행하여, 방열판(301)의 열량 손실에 협조하므로, 방열판(301)이 지속적으로 냉각 부재(202)의 열량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열핀(302)의 수량이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방열핀(302) 사이가 서로 평행이며, 방열핀(302)은 용접 방식으로 방열판(301)에 장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열핀(302)의 표면에는 열전도성 페인트가 분무될 수 있고, 열전도성 페인트는 방열핀(302)의 열량을 복사할 뿐만 아니라 방열핀(302)이 수증기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부식 및 마모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판(301)이 베이퍼 챔버일 수 있고, 베이퍼 챔버는 내부의 액체 작동 유체에 열이 증발되어 열을 흡수하고, 냉각된 후 방열 및 액화하며, 증발, 응축 순환을 통해 베이퍼 챔버의 표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방열판(301) 표면의 일부분과 냉각 부재(5)가 연결되고, 방열판(301) 표면의 다른 일부분과 방열핀(302)이 연결되며, 냉각 부재(202)에서 생성되는 열량이 방열판(301)과 방열핀(302)을 거쳐 소실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24를 참조하면, 제2 광 투과체(201)와 방열 베이스(300) 사이에는 탄소 함유층(92)이 설치될 수 있어, 예를 들어, 방열판(301)과 제2 광 투과체(201)가 열적 결합된 일측의 표면에 설치되고, 탄소 함유층(92)이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구비하므로, 방열판(301)의 열전도 속도가 가속화되고, 방열 베이스(300)의 방열 성능이 강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이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은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방식으로 설치된다.
방열 베이스(300)의 방열 성능을 가속화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방열 베이스(300)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더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방열 베이스(300)의 방열핀(302)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연결되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입되면서, 공기가 방열핀(302) 방향으로 불어지도록 구동하여, 공기가 방열핀(302)을 거쳐 방열핀(302)을 방열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열핀(302)과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에서 제공하는 기류가 사각형으로 평행 설치되어 방열핀(302)과 기류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방열핀(302)의 방열 효율이 가속화될 수 있다.
방열핀(302)과 제1 하우징(121)에 있는 에어투과 홀(1211)이 대향 설치되고, 기류는 방열핀(302)을 거친 후, 빠르게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는 냉매가 제모 어셈블리(100)를 방열시키도록 구동할 뿐만 아니라, 방열 베이스(300)에 대해 방열을 진행할 수도 있다. 안전 성능이 향상된 상황 하에서 조사된 피부에 냉찜질 및 강온을 진행하여, 조사된 피부에 생성된 열감 통증을 완화하고,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방열 베이스(300)와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의 작용 하에서 0도에 가까운 저온일 수 있고, 출광구 근처에 있는 피부가 어는점에 무한히 근접해질 수 있어 피부에 열감 통증을 완화하고, 단시간 접촉으로 피부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도 22, 도 23, 도 25를 함께 참조하면, 도 25는 도 23의 실시예에서 팬 하우징의 에어 출구 지점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냉각 구동 어셈블리(400)는 팬 하우징(401)과 팬(402)을 포함한다. 팬 하우징(401)이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등지는 방열 베이스(300)의 일측에 설치되고, 팬(402)이 팬 하우징(401)에 수용된다.
에어가 유입되는 팬(402)의 일단이 제1 하우징(121)에 있는 에어투과 홀(1211)과 대향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한다. 팬 하우징(401)에는 에어를 배출시키는 데 사용되는 에어 출구(410)가 설치되고, 에어가 배출되는 팬(402)의 일단이 에어 출구(410)와 연결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시킨 후, 에어 출구(410)에서 유출되도록 구동한다.
선택적으로, 팬(402)은 원심형 팬, 축류식(axial flow type) 팬, 혼류식 팬 또는 직교류(crossflow) 팬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에어 출구(410)는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를 포함하고, 에어 출구(410)에 있는 팬(402)의 에어 배출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일부분은 제1 에어 출구(411)에서 유출되고, 다른 일부분은 제2 에어 출구(412)에서 유출된다.
선택적으로, 에어 출구(410)는 제3 에어 출구 또는 더 많은 에어 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에어 출구(411)에 브라켓(500)의 에어 출구(530)가 연통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하고, 팬(402)은 기류가 제1 에어 출구(411)와 에어 유입구(530)로부터 제1 수용 공간(510)으로 유입되도록 구동하고, 제1 수용 공간(510)이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의 열량을 가져가고, 마지막으로 에어 출구(540) 및 에어투과 홀(1211)에서 외부로 흘러, 외부로 열 에너지를 발산하므로, 제모 어셈블리(100)의 방열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에어 출구(412)에 방열 베이스(300)의 방열핀(302)이 연결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하고, 팬(402)은 기류가 제2 에어 출구(412)에서 방열 베이스(300)의 복수 개의 방열핀(302) 사이로 유입되도록 구동하고, 기류는 방열핀(302)을 거쳐 방열핀(302)의 열량을 가져가고,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출된다. 방열핀(302)의 온도가 하락한 후, 방열판(301)의 열량 또한 하락하여 방열판(301)이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방열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의 에어 유동량이 한정되지 않아, 실제 상황에 따라 설치된다.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의 크기를 설정함으로써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의 에어 유동량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2 에어 출구(412)의 에어 배출 면적이 제1 에어 출구(411)의 에어 배출 면적보다 크므로, 더 많은 기류가 제2 에어 출구(412)에서 유출되어, 방열판(301)의 방열 효율이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모기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통해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방열 베이스(300)를 방열시킬 수 있고, 제모 어셈블리(100)와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동시에 방열시킬 수 있어 제모기의 방열 능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모기의 안전 계수가 강화될 수 있는 한편, 지속적으로 냉찜질 피부가 어는점에 무한히 근접해질 수 있어 피부에 열감 통증을 줄이고, 제모 시 피부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제모기는 반사컵(1)과 광원(2)을 포함한다. 반사컵(1)이 도체이고, 이는 전기가 통한 후 비교적 높은 전기장을 생성할 수 있다. 광원(2)이 반사컵(1) 내부에 조립되면서, 반사컵(1)과 대향 설치되고, 광원(2)은 바형의 가스 여기광 광원으로 반사컵(1)에 전기가 통한 후 반사컵(1)에 의해 여기되어 광선을 내보내고, 반사컵(1)이 출광측을 구비하고, 반사컵(1)은 광선을 반사시켜 반사컵(1)의 출광측에서 출사될 수 있다. 여기에서, 광원(2)의 본체와 반사컵(1)의 간격이 0보다 크면서, 0.3mm보다 작거나 같아, 예를 들어, 실제로 광원(2)이 장착되는 과정에서, 광원(2)의 본체와 반사컵(1) 사이의 거리가 0.3mm일 수 있다. 광원(2) 본체와 반사컵(1) 사이의 거리 또한 0.15mm일 수 있어, 마찬가지로, 반사컵(1)과 광원(2) 자체의 구조에 근거하여 광원(2)과 반사컵(1) 사이의 거리를 한정할 수 있으므로, 광원(2) 본체와 반사컵(1) 사이의 거리가 0.3mm 이내로 보장될 수 있다.
제모기가 작동될 때, 반사컵(1)에 전기가 통한 후, 반사컵(1) 내부에 하나의 비교적 높은 전기장이 생성될 수 있고, 반사컵(1)에는 비교적 높은 전압이 생성되어 광원(2) 내부의 가스 이온화(gas ionization)로 아크가 생성되고 방전될 수 있으며, 즉 광원(2)이 광선을 내보낼 수 있다. 광원(2)과 반사컵(1) 사이의 거리를 한정함으로써 반사컵(1) 내부의 전압이 광원(2)을 여기시켜 발광하도록 한다. 트리거 와이어를 통해 램프 튜브를 트리거링하여 발광하는 방식을 비교하면, 반사컵(1)은 트리거 와이어로 램프 튜브를 트리거링하여 발광하지 않아, 램프 튜브를 트리거링하여 발광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램프 튜브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재료를 절약하여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은 반 아치형 반사컵(1)이고, 광원(2)은 바형의 램프 튜브이며, 램프 튜브는 반사컵(1) 내부에 매달려있는 방식으로 반사컵(1)에 장착되어, 램프 튜브 본체와 반사컵(1)의 내벽이 하나의 여기 공간을 형성하고, 반사컵(1) 내부의 전압이 트리거 와이어가 없는 방식으로 램프 튜브를 여기할 수 있고, 램프 튜브 내부의 가스가 이온화되어, 램프 튜브가 발광하는 목적을 이룰 수 있다. 반사컵(1)은 비교적 높은 전압으로 램프 튜브를 트리거링하여 발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사컵(1)이 광원(2)의 장착 운반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어, 본 제모기는 트리거 와이어 또는 기타 부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램프 튜브를 여기하여 발광시킬 수 있어 재료가 절약되므로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반사컵(1) 내부에 있는 부품의 배열이 줄어 공간이 밀집되는 것이 감소되므로, 반사컵(1)이 광원(2)에서 내보내는 광선을 충분히 반사시키기 유리하여 광선의 출사율을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이 바형일 수 있다.
도 31과 도 32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제모기는 방열 베이스(3), 탄성체(4), 브라켓(5)을 포함한다. 방열 베이스(3)가 긴 바형을 이루고, 반사컵(1)이 방열 베이스(3)에 장착되고, 반사컵(1)의 출광측이 방열 베이스(3)에 역행된다. 여기에서, 방열 베이스(3)와 반사컵(1)이 접촉된 일측과 반사컵(1)이 열적 결합된다. 탄성체(4)가 광원(2) 단부에 고정되어 광원(2)이 반사컵(1)에 이동 고정되도록 사용되고, 탄성체(4)는 이의 자체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반사컵(1)의 양측에 위치한다. 브라켓(5)과 방열 베이스(3)가 끼움 연결 방식으로 고정 연결되고, 탄성체(4)가 방열 베이스(3)와 브라켓(5) 사이에 위치하고, 브라켓(5)은 광원(2)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탄성체(4)를 가압함으로써 광원(2)은 반사컵(1) 또는 방열 베이스(3)에 대향적으로 고정된다. 방열 베이스(3)와 브라켓(5)이 공동으로 반사컵(1)을 고정시키면 광원(2)이 반사판(1)에 안정적으로 장착되고, 방열 베이스(3)와 브라켓(5)을 통해 제모기 전체 기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탄성체(4)는 자체로 우수한 탄성을 지니며, 브라켓(5)이 탄성체(4)를 가압할 때, 탄성체(4) 자체 구조는 쉽게 변형되어, 일 측면에서, 광원(2)과 반사컵(1) 사이가 흔들리지 않아 광선의 출사 효과가 향상될 수 있고, 다른 일 측면에서, 탄성체(4)는 광원(2) 단부에 대한 브라켓(5)의 압력을 우수하게 완충할 수 있어, 탄성체(4)와 광원(2) 단부가 부드럽게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광원(2)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한편, 광원(2)의 사용 수명을 연장하는 데 유용하다.
선택적으로, 도 33을 참조하면, 본 제모기는 탄소 함유층(91)을 더 포함할 수 있고, 반사컵(1)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탄소 함유층(91)이 광원(2)을 등지는 반사컵(1)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광원(2)은 사용 중 생성된 열량이 반사컵(1)에 모여지고, 탄소 함유층(91)이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구비하여 반사컵(1)의 열전도 속도가 가속화되고, 반사컵(1)의 방열 성능이 강화될 수 있으며, 제모기의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인한 자체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피부에 자극 또는 손상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3을 참조하면, 탄소 함유층(91)이 방열 베이스(3)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방열 베이스(3)와 반사컵(1) 사이에 설치되어 방열 베이스(3)와 반사컵(1) 사이의 열전도 속도가 가속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이 방열 베이스(3)의 노출 표면에 설치될 수 있어 방열 베이스(3)의 방열 성능이 강화된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91)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 등 재료일 수 있고,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등의 방식으로 본 출원에 기재된 탄소 함유층(91)이 설치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3)는 세라믹 베이스일 수 있으며, 세라믹 베이스에는 제1 홈 바디(31)가 설치되고, 반사컵(1)이 제1 홈 바디(31)에 내장된다. 제1 홈 바디(31)가 긴 바형을 이루면서, 이의 바닥부는 아치형 세그먼트를 구비하고, 반사컵(1)이 제1 홈 바디(31)에 내장되어, 일 측면에서 반사컵(1)과 방열 베이스(3)의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고, 방열 베이스(3) 자체는 우수한 열전도성을 구비하므로 반사컵(1)을 방열시키고 제모기 전체 기기의 열량 복사를 줄일 수 있고, 다른 일 측면에서, 제1 홈 바디(31)가 방열 베이스(3)에 설치되어 방열 베이스(3)의 공간 이용률이 향상되어, 제모기 내부 간의 구조가 더욱 콤팩트해질 수 있다. 또한, 세라믹은 절연체이며, 세라믹이 반사컵(1)과 접촉될 때 단락이 발생되지 않는다. 광원(2) 본체가 캐비티 내부에 매달릴 수 있는 이유는 반사컵(1)이 도체이면서 광원(2)과 이격되어, 전기가 통한 후, 강한 전기장을 이용해 광원(2)이 발광되도록 여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3)의 양측에는 모두 제1 버클부(32)가 일체 성형되고, 브라켓(5)의 양측에는 모두 제2 버클부(51)가 일체 성형되며, 제1 버클부(32)와 제2 버클부(51)가 대응 설치된다. 방열 베이스(3)와 브라켓(5)이 함께 연결되는 과정에서, 제1 버클부(32)와 제2 버클부(51)가 단단히 버클 연결되어, 방열 베이스(3)와 브라켓(5)이 안정적으로 연결되어 본 제모기 사용 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버클부(32)는 고정 블록 또는 캔틸레버 후크일 수 있고, 제2 버클부(51)는 고정 홀일 수 있다. 캔틸레버 후크를 통해 고정 홀 내부에 내장되고, 캔틸레버 후크가 고정 홀에 내장된 후, 고정 홀을 통해 캔틸레버 후크가 고정 홀 내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어, 제1 버클부(32)와 제2 버클부(51)가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는 즉, 방열 베이스(3)와 브라켓(5)이 상대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방열 베이스(3)와 브라켓(5) 사이가 느슨해지거나 탈락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본 제모기의 전체적인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브라켓(5)에는 광선이 통과되는 윈도우(52)가 설치되고, 제2 버클부(51)에 대응되는 윈도우(52)의 일부 크기가 제1 버클부(32)가 설치된 세라믹 베이스의 크기보다 크므로, 상기 제1 버클부(32)가 설치된 세라믹 베이스의 일부가 브라켓(5)의 윈도우(52)에 내장된다. 실제로 세라믹 베이스와 브라켓(5)이 조립되는 과정에서, 세라믹 베이스와 가까운 브라켓(5)의 일측이 윈도우(52) 내부에 내장되어, 세라믹 베이스와 브라켓(5) 사이가 더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한편, 세라믹 베이스와 브라켓(5) 사이의 틈새를 줄이고, 반사컵(1) 내부의 열량이 반사컵(1) 외부로 복사되어 제모기 전체 기기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1, 도 32, 도 34를 참조하면, 제모기는 측면 반사 부재(6)를 포함하고, 이는 길이 방향에 있는 반사컵(1)의 양단에 설치되고, 반사컵(1) 양단에서 누출된 광선이 반사컵(1)의 출광측으로 반사된다. 측면 반사 부재(6)를 통해 광원(2)이 내보낸 광선을 충분히 반사시켜 광선의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면 반사 부재(6)에는 스루홀(61)이 설치되고, 스루홀(61)의 직경이 램프 튜브 단부의 직경보다 크고, 램프 튜브 단부가 스루홀(61)에 관통될 수 있고, 램프 튜브가 장착되는 과정에서, 램프 튜브는 임의의 하나의 스루홀(61)에서 관통되고, 또한 반사컵(1) 내부에서 스루홀(61)에 관통될 수 있어, 램프 튜브를 편리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성체(4)는 실리콘 슬리브 또는 연질 고무 슬리브일 수 있고,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실리콘 슬리브를 예시로 들며, 이는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탄성체(4)를 한정하지 않는다. 광원(2)이 램프 튜브일 수 있고, 램프 튜브는 원통형을 이루는 긴 바 형상일 수 있고, 램프 튜브 양단에는 모두 장착 기둥(21)이 연장되고, 장착 기둥(21)의 반경 크기가 램프 튜브의 반경 크기보다 작다. 구체적으로, 실리콘 슬리브가 원통형을 이루고, 실리콘 슬리브에는 장착 홈(41)이 구비되고, 램프 튜브 양단 각각이 모두 장착 홈(41) 내부에 내장되고, 실리콘 슬리브는 축선 위치에 따라 고정 홀(42)이 설치되고, 고정 홀(42)이 장착 홈(41)에 연통되고, 장착 기둥(21)이 고정 홀(42)에 관통될 수 있다.
스루홀(61)을 통해 램프 튜브가 반사컵(1)에 정확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어, 장착 과정에서 장착 시간을 줄여 장착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반사컵(1)과 램프 튜브가 조립 상태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장착 홈(41)의 홈 개구가 반사컵(1)을 향하고, 램프 튜브 양단 각각이 스루홀(61)에 관통되어 장착 홈(41) 내부에 삽입되며, 실리콘 슬리브는 탄성적으로 램프 튜브를 반사컵(1) 바닥부와 가까운 스루홀(61)의 일측에 단단히 접합시켜, 램프 튜브와 측면 반사 부재(6)의 완고한 접촉을 줄여 측면 반사 부재(6)와 램프 튜브 간의 충돌을 최대한 낮출 수 있어,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실리콘 슬리브를 통해 완충할 수 있어 램프 튜브의 사용 수명이 연장되어 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1, 도 32, 도 34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제1 홈 바디(31)가 설치된 세라믹 베이스의 양단 각각에는 제2 홈 바디(33)가 설치되고, 제2 홈 바디(33)는 광원(2)의 단부 및 탄성체(4)를 수용시키는 데 사용되고, 일 측면에서, 공간을 절약하여 세라믹 베이스의 공간 이용률을 향상시키고, 다른 일 측면에서, 제2 홈 바디(33)를 통해 광원(2) 단부와 탄성체(4)가 외부 물체의 충격을 받는 것을 줄일 수 있고, 광원(2)의 단부와 탄성체(4)에 상대적으로 안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홈 바디(33)와 제1 홈 바디(31)가 연통되고, 제2 홈 바디(33)의 깊이가 제1 홈 바디(31)의 깊이보다 깊다. 제2 홈 바디(33)는 탄성체(4)가 탄성 형태 변형될 때의 대피 공간으로 사용되어, 탄성체(4)는 제2 홈 바디(33)의 홈벽에 압착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탄성체(4) 자체체가 탄성 형태 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제 상황에 따라 상응하게 변형되고, 탄성체(4)가 형태 변화되는 과정에서, 탄성체(4)는 외력을 완충함으로써 장착 기둥(21)이 손상되거나 부서지기 어려워져, 광원(2)이 변경되는 횟수가 감소되고 사용 비용이 절감되어 본 제모기의 실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1, 도 32, 도 34를 참조하면, 선택적으로, 제모기는 제1 광 투과체(7)를 포함하고, 반사컵(1)의 출광측에 설치되면서 브라켓(5)에 고정되고, 제1 광 투과체(7)와 반사컵(1)이 광원(2)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한다. 제1 광 투과체(7)가 광 필터일 수 있고, 광 필터를 통해 광선을 선별함으로써 피부 부위의 털을 제거하는데 적합한 파장을 선택할 수 있어, 제모기가 작동될 때, 광원(2)이 내보내는 광선이 피부에 조사될 경우, 광선이 피부에 끼치는 손상을 줄일 수 있어 제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모기는 제2 광 투과체(8)를 포함하고, 제2 광 투과체(8)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이루고, 제2 광 투과체(8)가 윈도우(52)에 내장되고, 제2 광 투과체(8)가 광원(2)을 등지는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면서, 광원(2)을 향하는 입광면(81) 및 광원(2)을 등지는 출광면(82)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제2 광 투과체(8)는 결정체일 수 있고, 제2 광 투과체(8)는 다이아몬드일 수도 있으며, 본 출원 실시예에서는 결정체를 예시로 든다. 제모기가 작동될 때, 광원(2)이 광선을 방출하고, 반사컵(1)이 광선을 반사시키고, 광선이 광 필터에 관통되면서 결정체로 반사되고, 광선이 입광면(81)에서 입사되고, 결정체 본체를 거쳐 반사된 후 출광면(82)에서 출사되고, 출광면(82)에서 출사된 광선이 제모될 피부 부위에 조사되어 피부에 있는 털이 제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모기는 냉각 부재(9)를 포함하고, 이의 냉각측과 방열 베이스(3)의 다른 일측이 열적 결합되며, 반사컵(1) 내부 공간을 강온시킨다. 예를 들어, 냉각 부재(9)가 TEC 냉각 시트 또는 냉각 블록이고, 냉각 부재(9)로 방열 베이스(3)를 냉각시킬 수 있고, 방열 베이스(3)의 열량을 즉각적이면서 신속하게 가져갈 수 있어 빠르게 반사컵(1)을 방열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채택된 냉각 부재(9)가 TEC 냉각 시트이고, 이는 예시적인 설명일 뿐이며, 냉각 부재(9)를 한정하지 않는다.
제모기가 작동될 때, 반사컵(1) 내부에 있는 광원(2)에서 대량의 광선을 내보내고, 광선에서 생성하는 열량이 캐비티 내부에 모이는 한편, 반사컵(1)의 온도는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모이면서 상승될 수 있다. 여기에서, 방열 베이스(3)의 일측과 반사컵(1)이 열적 결합되고, 냉각 부재(9)와 방열 베이스(3)의 다른 일측이 열적 결합되며, 열적 결합은 열 전달 방식, 열대류 방식 또는 열 복사 방식이거나, 또는 상술한 세 가지 방식의 임의의 조합으로 열 전달을 구현할 수 있다. 즉, 방열 베이스(3)를 통해 반사컵(1)에 있는 열량이 전달되어 나가고,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발산될 수 있어 반사컵(1)과 캐비티가 강온되면 광원(2)의 방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광원(2) 본체가 캐비티에 매달리는 방식을 이용해 광원(2)의 방열이 더 균일해지므로, 광원(2)의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기에 유리하다. 구체적으로, 광원(2)이 작동될 때 생성되는 열량이 복사 형식으로 사방으로 열을 발산하고, 동시에 공기 매개체가 광원(2)의 주변으로 균일하게 감싸지며, 광원(2)과 충분하게 접촉되는 한편, 광원(2)에서 생성되는 열량을 균일하게 방열시킬 수 있다. 열량은 광원(2)에 의해 생성되고, 캐비티를 거쳐 반사컵(1) 및 제1 광 투과체(7)로 전달된 후 발산된다. 또한, 냉각 부재(9)를 통해 더 나아가서 방열 베이스(3)의 열량이 밖으로 전달되어 빠르게 방열될 수 있고, 제모기의 방열 효과가 향상될 수 있는 동시에, 캐비티 내부의 열량이 제모기의 기타 부위로 복사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제모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제모 피부에 열감을 낮출 수 있어 제모기의 사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열 베이스(3)를 향하는 냉각 부재(9)의 일측 또는 냉각 부재(9) 노출 표면에 탄소 함유층이 설치될 수 있고, 탄소 함유층이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구비하고 냉각 부재(9)의 냉각 효과를 강화할 수 있어, 방열 베이스(4)의 열량을 즉각적이면서 신속하게 가져갈 수 있어 빠르게 반사컵(1)을 방열시키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유익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과 달리, 본 출원에서 개시하는 제모기에 있어서, 본 제모기는 반사컵(1)과 광원(2)을 포함한다. 광원(2)은 바형의 가스 여기광 광원으로 반사컵(1)에 조립되고, 광원(2)의 본체와 반사컵(1)의 거리가 0.3mm보다 작거나 같고, 반사컵(1)에 전기가 통한 후, 반사컵(1)에는 비교적 높은 전압이 생성되어 광원(2) 내부의 가스 이온화로 아크가 생성되고 방전될 수 있으며, 광원(2)이 광선을 내보낼 수 있다. 반사컵(1)이 도체이므로 전기 전도에 용이하고, 더 높은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 장소를 제공할 수 있으며, 광원(2)과 반사컵(1) 사이의 거리를 한정함으로써 반사컵(1) 내부의 전압은 광원(2)이 발광하도록 여기시킬 수 있다. 트리거 와이어를 통해 램프 튜브를 트리거링하여 발광하는 방식과 비교하면, 반사컵(1)은 트리거 와이어로 램프 튜브를 트리거링하여 발광하지 않아, 램프 튜브를 트리거링하여 발광하는 방식을 개선하여 램프 튜브의 발광 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재료를 절약하여 생산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도 35를 참조하면, 도 35는 본 출원 일 실시예의 구조 개략도이다. 여기에서, 제모 장치는 헤드부(111) 및 헤드부(111)와 연결되는 홀딩부(112)를 포함한다. 헤드부(111)에는 피부에 접합시키는 데 사용되는 냉찜질부(1111)가 설치되고, 냉찜질부(1111)에서 출사된 광선이 사용자 피부의 모낭까지 조사되며, 광선을 이용해 피부에 투과해 모낭에 조사됨으로써 제모될 수 있다. 동시에 냉찜질부(1111)가 빠르게 강온되어 광선이 피부에 끼치는 열감을 낮추어, 사용자가 사용 시 불편함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냉찜질부(1111)는 피부 미용에 사용되는 약간의 광선을 출사할 수도 있어 제모기는 제모 기능과 피부 미용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도 40 내지 도 41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제모기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 탄성 실링 링(16)이 제1 광 투과체(7)와 제2 광 투과체(3)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 실링 링(16)은 링 형이며, 제1 광 투과체(7)와 제2 광 투과체(3)는 모두 탄성 실링 링(16)과 실링 매칭되어, 제2 광 투과체(3)와 제1 광 투과체(7) 간에 수증기 응결 현상이 발생되지 않으며, 노폐물 또한 제2 광 투과체(3)와 제1 광 투과체(7)가 결합되는 지점에 침투되지 않아, 바람직하게는, 탄성 실링 링(16)은 바람직하게 링 형으로 설치된 실링 링이다.
물론, 부주의로 인해 제모기가 바닥에 떨어질 경우, 제2 광 투과체(3)와 바닥면 사이에 강한 충돌이 발생할 수 있는데, 종래의 제2 광 투과체(3)의 충격력은 제1 광 투과체(7)로 전달되고, 제1 광 투과체(7), 반사컵(1), 광원(2)이 충격으로 인해 손상될 수 있다. 실시예의 제모기가 제2 광 투과체(3)에서 충돌이 발생한 경우, 탄성 실링 링(16)을 통해 충격력을 상쇄시킬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이 자체 탄성을 이용할 수 있다. 탄성 실링 링(16)은 외력으로 인해 압착될 때 탄성 형태 변형이 생성될 수 있어, 제1 광 투과체(7)와 제2 광 투과체(3) 사이의 충격을 감소시키거나 상쇄시킬 수 있어, 제1 광 투과체(7), 반사컵(1), 광원(2)이 충격을 받아 분쇄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어, 본 제모기의 충격 방지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2 내지 도 44를 더 참조하면, 탄성 실링 링(16)에는 광선을 통과시키는 데 사용되는 내부 링(161)이 설치되고, 제1 광 투과체(7)에서 필터링된 광선은 내부 링(161)을 통해 제2 광 투과체(3)로 유도되어 인체 피부에 조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광 투과체(7)와 제2 광 투과체(3)가 모두 직접적으로 브라켓(6)에 고정되고, 제1 광 투과체(7)와 제2 광 투과체(3)는 모두 브라켓(6)에 상대되게 이동될 수 없어, 사용 과정에서 인체 골격 또는 뾰족한 물체가 제2 광 투과체(3)를 가압하여, 제2 광 투과체(3)가 브라켓(6)에 대향되어 뒤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되어 제1 광 투과체(7) 또는 제모 어셈블리(100)에 복구 불가능한 압착 변형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은 여러번 압착된 후 복구 불가능한 압착 변형으로 제모기의 도광 효과에 영향을 끼쳐 광 에너지를 낭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탄성 실링 링(16)에는 내부 링(161)과 연통되는 장착 홈(162)이 더 설치되고, 장착 홈(162)은 제모 어셈블리(100)에서 멀리 떨어진 탄성 실링 링(16)의 일측면에 설치되고, 내부 링(161)은 장착 홈(162)의 홈 바닥 벽에서 제1 광 투과체(7) 일측으로 관통 및 연장되고, 제2 광 투과체(3) 일부가 장착 홈(162) 내부에 장착되어, 제2 광 투과체(3)와 탄성 실링 링(16) 간의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시에 탄성 실링 링(16)이 제2 광 투과체(3)에 고정되어 둘 사이를 고정 연결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실링 링(16)은 외부 링(163) 및 외부 링(163)의 일측면에 돌출 설치되는 돌기(164)를 포함하고, 돌기(164)와 제1 광 투과체(7)는 서로 밀착 연결되고, 돌기(164)에서 멀리 떨어진 외부 링(163)의 일측면에는 장착 홈(162)이 설치되고, 내부 링(161)은 장착 홈(162)의 홈 바닥 벽에서 돌기(164) 일측으로 관통 및 연장되고, 외부 링(163)과 돌기(164)는 모두 완전한 폐쇄 루프 구조이고, 내부 링(161) 내부의 광은 제2 광 투과체(3)에서만 투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기(164)의 횡단면이 횡방향으로 설치된 삼각형 구조이고, 돌기(164)와 제1 광 투과체(7)가 접촉되는 면적이 돌기(164)와 외부 링(163)이 접촉되는 면적보다 작으므로, 탄성 실링 링(16)이 장착된 후, 외부 링(163)에서 멀리 떨어진 돌기(164)의 일단이 압출된 후 일부가 굽혀질 수 있고, 탄성 실링 링(16)이 탄성을 구비하므로, 탄성 실링 링(16)의 굽혀진 일부가 긴밀하게 제1 광 투과체(7)에 지지될 수 있어, 즉, 만약에 제2 광 투과체(7)와 제1 광 투과체(3) 간의 거리에 미세한 변화가 발생할 경우, 탄성 실링 링(16) 또한 굽혀진 부분에 의해 이 간격의 변화를 적응 및 조정할 수 있어, 탄성 실링 링(16)과 제2 광 투과체(3) 사이 및 탄성 실링 링(16)과 제1 광 투과체(7) 사이가 항시 긴밀하게 유지되고, 심지어는 억지끼움되어, 실링성이 더 우수해진다. 물론, 기타 실시예에서, 돌기(164)의 횡단면 또한 사다리꼴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 실링 링(16)은 항레이저 및 항고저온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형체이므로, 탄성 실링 링(16)이 사용 과정에서 고온 또는 저온 또는 레이저 조사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성 실링 링(16)의 사용 수명을 늘릴 수 있다.
선택적으로, 홀딩부(112)는 하나의 중공의 하우징(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하우징의 표면에는 에어투과 홀(1211)이 설치되고, 에어투과 홀(1211)은 하우징 내부 및 외부와 연통되어, 제모 장치는 에어투과 홀(1211)과 외부를 통해 기류를 교환할 수 있어 내부의 온도가 낮춰질 수 있다. 하우징은 인터페이스(1212)를 더 포함하고, 인터페이스(1212)는 외부 전원을 연결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어 제모장치를 충전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하우징 내부에 있는 인터페이스(1212)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도 35와 도 36을 참조하면, 도 36은 본 출원 일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다. 여기에서, 도 36에 표시된 화살표가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의 구동 하에 제모 장치 내부에 있는 기류의 유동 방향을 나타내고, 직선은 냉기류를, 물결선은 열기류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모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개구에 설치되는 라이트 커버판(113),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제모 기구(14) 및 바닥 커버(15)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제1 하우징(121)과 제2 하우징(122)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121)과 제2 하우징(122)이 서로 스냅 결합되어 양단에 개구가 구비된 하나의 하우징을 형성하고, 제모 기구(14)가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라이트 커버판(113)과 바닥 커버(15) 각각이 두 개의 개구에 커버 설치되어 제1 하우징(121)과 제2 하우징(122)이 연결되어 캐비티가 형성된 후의 개구를 실링시키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제1 하우징(121), 제2 하우징(122), 라이트 커버판(113), 바닥 커버(15)는 버클 방식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나사, 접합 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모 기구(14)는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방열 어셈블리(300),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포함한다.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라이트 커버판(113)에 가까운 일측에 설치되고, 라이트 커버판(113)에는 스루홀(미도시)이 설치되고, 일부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하우징 내부에서 라이트 커버판(113)의 스루홀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직접적으로 피부와 접촉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게는, 일부 냉찜질 어셈블리(200)와 라이트 커버판(113)이 제모 장치의 헤드부(111)를 결성한다.
제모 어셈블리(100)가 라이트 커버판(113)에서 멀리 떨어진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냉찜질 어셈블리(200)에 광선을 방출시키는 데 사용된다. 광선은 적색광이거나, 녹색광, 황색광 등의 가시광선일 수 있다. 광선이 냉찜질 어셈블리(200)에 들어간 후, 냉찜질 어셈블리(200)에서 피부 아래의 모낭으로 유입되어 제모될 수 있다.
방열 어셈블리(300)가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냉찜질 어셈블리(200)와 연결된다.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피부에 접합될 때 피부의 열량을 흡수하여 피부의 온도를 낮추고 열감을 줄일 수 있으므로,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장시간 사용 시 온도가 상승되어 강온 효과가 감소될 수 있다. 방열 어셈블리(300)는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열량을 흡수할 수 있어,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저온의 작업 환경에 유지되어,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피부에 대한 강온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모 장치는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상황 하에서 몸체의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제모 어셈블리(100)를 등지는 방열 어셈블리(300)의 적어도 일부분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를 방열하는 데 사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냉매를 흡입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제모 장치 내부로 유입되고, 냉매는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어셈블리(300)를 거쳐 열량을 가져간 후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출된다.
선택적으로, 외부 냉매가 공기일 수 있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는 공기를 흡입한 후,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로 에어를 불어 넣고,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베이스(300)의 열량은 기류가 가져간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투과 홀(1211)이 제1 하우징(121)에 설치되고, 적어도 일부의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에어투과 홀(1211)은 대향되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냉매를 우수하게 흡수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입될 수 있어 방열 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에서, 에어투과 홀(1211)이 제2 하우징(122)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6과 도 37을 참조하면, 도 37은 도 36 실시예의 분해 구조 개략도이고, 여기에서, 도 37에 표시된 화살표는 팬의 에어 출구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제모 장치는 브라켓(500), 회로기판(600), 프로세서(700), 커패시턴스(800)를 더 포함하고, 제모 어셈블리(100)와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브라켓(500)에 장착되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브라켓(500)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회로기판(600)에 장착되면서, 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프로세서(700) 및 커패시턴스(800)가 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회로기판(600)에 설치된다. 외부 전원에 연결될 때, 외부 전원이 커패시턴스(800)를 충전하여 커패시턴스(800)가 제모 장치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커패시턴스(800)가 외부 전원에 연결될 때,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여 제모 장치가 외부 전원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도 사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700)는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에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제모 장치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모 장치의 스위치, 열 보호 또는 출력 조절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기판(600)이 제2 하우징(122)에 고정될 수 있고, 회로기판(600)으로 PCBA 회로기판이 선택될 수 있다.
관련 기술에서, 제모 장치의 몸체 내부 열량이 사용 중 계속하여 증대되고, 제모 장치의 내부 회로 및 소자는 고온 환경에서 폭발, 소실, 단락 등의 위험 상황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는 제모 어셈블리(100)와 방열 어셈블리(300)에 대해 방열을 진행하고, 방열 어셈블리(300)가 냉찜질 어셈블리(200)에 대해 방열을 진행할 수 있어,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피부를 냉찜질하여 피부의 편안함을 높일 뿐만 아니라, 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인한 폭발, 소실, 단락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모 어셈블리(100)는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 두 개의 전극(104)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가 브라켓(500) 내부에 장착되어, 즉 브라켓(500) 내에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의 장착 위치가 설치되고,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가 브라켓(500)의 장착 위치에 끼워진다.
여기에서, 광원(101)과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대향 설치되고, 광원(101)에서 출사되는 광이 직접적으로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들어갈 수 있다. 반사컵(102)이 냉찜질 어셈블리(200)에서 멀리 떨어진 광원(101)의 일측에 설치되고, 광원(101)의 광선을 반사시킨 후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들어가면 광 에너지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광 필터(103)가 광원(101)과 냉찜질 어셈블리(200) 사이에 위치하며, 즉 광원(101), 광 필터(103), 냉찜질 어셈블리(200)가 순서대로 광선이 전파되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광 필터(103)는 광원(101)에서 방출되는 일부 유해한 광을 필터링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광선이 피부에 끼치는 손상을 줄여 제모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두 개의 전극(104) 각각이 광원(101)의 양측에 연결되면서, 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기 신호를 전송시키는 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광원(101)이 램프 튜브일 수 있고, 램프 튜브에서 방출되는 광선의 색상은 한정하지 않고, 색광, 복합광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파장 및 주파수는 사용 상황에 따라 결정된다. 램프 튜브의 종류 역시 한정하지 않고, 반도체 크세논 램프 튜브, 석영 램프 튜브, 레이저 램프 튜브 등일 수 있으며, 광자 종류에는 IPL(Intense Pulse Light, 강한 펄스 광), DPL(Delicate Pulse Light, 섬세한 펄스 광), OPT(Optimal Pulse Technology, 최적의 펄스 기술), AOPT(Advanced Optimal Pulse Technology, 업데이트된 최적의 펄스 기술), BBL(BroadBand Light, BB광)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종류는 미리 설정된 효과에 따라 결정된다.
선택적으로, 반사컵(102)은 U형 반사판일 수 있고, U형 반사판이 광원(101)에 둘러싸이게 설치되고, U형 반사판의 개구가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향하고,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입사되지 않는 광선이 냉찜질 어셈블리(200)로 반사된다. 동시에, 반사컵(102)은 광원(101)에서 생성되는 열량이 제모 장치의 기타 소자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500)은 고정 프레임(550)과 파이프(560)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고정 프레임(550)의 내부에는 제1 수용 공간(510)과 제2 수용 공간(520)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제1 수용 공간(510)에는 제모 어셈블리(100)가 설치되므로, 제2 수용 공간(520)은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장착시키는 데 사용되고, 제1 수용 공간(510)과 제2 수용 공간(520)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된다. 제모 어셈블리(100)와 냉찜질 어셈블리(200) 사이의 거리를 축소시키고, 제모 어셈블리(100)에서 출사되는 광의 광학거리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제2 수용 공간(520)이 제1 수용 공간(510)에 상대되게 도 35에 도시된 제모 장치의 헤드부(111)에 더 근접하다.
제모 장치가 작동될 때, 광원(101)은 대량의 열량이 생성될 수 있고, 반사컵(102)과 광 필터(103) 또한 광선이 조사되어 온도가 높아질 수 있으므로,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를 방열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 브라켓(500)은 고정 프레임(550)과 파이프(560)를 포함하고, 파이프(560)의 일단이 고정 프레임(550)의 일측에 연결되고, 파이프(560)의 다른 일단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향해 연장된다. 여기에서, 고정 브라켓(550) 내부에는 제1 수용 공간(510)이 연통된 에어 출구(540)가 설치되고, 파이프(560)에는 제1 수용 공간(510)이 연통된 에어 유입구(530)가 설치되며, 에어 유입구(530), 제1 수용 공간(510), 에어 출구(540)가 순서대로 연통된다.
에어 유입구(530)에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연통되고, 에어 출구(540)에는 에어투과 홀(1211)이 연통된다.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입되면서 에어 출구(540)로 불어 넣는다. 공기가 에어 출구(540)에서 제1 수용 공간(510)으로 유입된 후, 제1 수용 공간(510) 내부에 있는 광원(101), 반사컵(102), 광 필터(103)의 열량을 가져가고, 에어 출구(540) 및 에어투과 홀(1211)에서 외부로 흘러, 외부로 열 에너지가 발산된다.
선택적으로, 고정 브라켓(550)과 파이프(560)의 각 일부분이 제 1 브라켓(501)을 형성하고, 고정 브라켓과 파이프 각각의 남는 부분이 제2 브라켓(502)을 형성하고, 기타 실시예에서, 고정 브라켓(550) 또한 일체 성형될 수 있다.
제 1 브라켓(501)과 제2 브라켓(502)이 버클 방식을 통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501)이 제1 하우징(121)에 근접하고, 제2 브라켓(502)이 제2 하우징(122)에 근접하며, 에어 출구(540)가 제1 브라켓(501)에 설치되면서, 제1 하우징(121)의 에어투과 홀(1211)과 대향 설치되어 에어 출구(540)의 방열 효율이 가속화될 수 있다. 제1 수용 공간(510)이 제1 브라켓(501), 제2 브라켓(502) 각각의 고정 브라켓(550)에 대응되는 일부가 스냅 결합되는 부분 내부에 설치되고, 에어 유입구(530)가 제1 브라켓(501), 제2 브라켓(502) 각각의 파이프(560)에 대응되는 일부가 스냅 결합되는 부분 내부에 설치되면서, 제1 수용 공간(510)과 연통되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연통되며, 브라켓(500)의 내부에는 에어 가이드에 사용되는 통로가 설치될 수 있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의 기류가 제1 수용 공간(510) 내부로 유도되기에 용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모 어셈블리(100)가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통해 방열되어 제모 장치의 사용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실시예에서,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제2 광 투과체(201)와 냉각 부재(2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광 투과체(201)는 피부에 접합시키는 데 사용되고, 제2 광 투과체(201)와 광원(2)이 대향 설치되고, 제2 광 투과체(201)가 광 투과 소자이며, 광원(101)에서 방출된 광선이 제2 광 투과체(201)에 유입된 후, 제2 광 투과체(201)에서 방출되어 피부로 들어간다.
선택적으로, 제2 광 투과체(201)가 도광 결정체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사파이어, K9 유리 또는 크리스탈 유리가 선택될 수 있다. 제2 광 투과체(201)가 사파이어 재질일 경우, 제2 광 투과체(201)는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구비한다.
선택적으로, 제2 광 투과체(201)가 원통체 또는 사각체일 수 있고, 광원(2)에서 멀리 떨어진 제2 광 투과체(201)의 하나의 면은 피부와 접합되는 데 사용된다.
냉각 부재(202)와 제2 광 투과체(201)가 연결되고, 제2 광 투과체(201)의 열량을 흡수시키는 데 사용된다. 제2 광 투과체(201)와 피부가 접촉된 후 높아지므로, 냉각 부재(202)는 제2 광 투과체(201) 온도가 높아진 후 제2 광 투과체(201)의 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제2 광 투과체(201)는 저온이 유지되고, 장기간 제2 광 투과체(201)를 사용해 피부에 접합된 상황 하에, 제2 광 투과체(201)는 피부를 냉찜질할 수 있어 피부 통증이 감소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냉각 부재(202)가 반도체 냉각 방식의 냉각 소자일 수 있으며, 냉각 부재(202)의 열을 흡수하는 일단이 제2 광 투과체(201)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열을 방출한다.
냉각 부재(202)의 열 방출단을 방열하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 방열 어셈블리(300)와 냉각 부재(202)의 열 방출단이 연결되어 냉각 부재(202)의 열량이 흡수된다.
구체적으로, 방열 어셈블리(300)는 방열판(301)과 방열핀(302)을 포함한다. 방열판(301)의 하나의 표면에는 병렬된 제1 영역(310)과 제2 영역(311)이 설치되고, 제모 어셈블리(100)가 제1 영역(310)에 설치되고, 방열핀(302)이 제2 영역(311)에 장착된다. 제2 영역(311)이 파이프(560)가 연결된 고정 프레임(550)의 일측에 위치하고, 방열핀(302)과 파이프(560)가 고정 프레임의 일측에 병렬되고, 고정 프레임(550)이 제1 영역(310)에 설치되며, 방열판(301)이 회로기판(600)에 장착되면서, 냉찜질 어셈블리(200)와 연결되고, 구체적으로, 냉각 부재(202)가 열전도 실리콘 그리스를 통해 방열판(301)에 접착될 수 있다.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열전도 실리콘 그리스를 통해 열량을 빠르게 방열판(301)으로 내보내고, 방열핀(302)은 방열판(301)을 방열시켜, 방열판(301)의 열량 손실에 협조하므로, 방열판(301)이 지속적으로 냉각 부재(202)의 열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방열핀(302)의 수량이 복수 개이고, 복수 개의 방열핀(302) 사이가 서로 평행이며, 방열핀(302)은 용접 방식으로 방열판(301)에 장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방열핀(302)의 표면에는 열전도성 페인트가 분무될 수 있고, 열전도성 페인트는 방열핀(302)의 열량을 복사할 뿐만 아니라 방열핀(302)이 수증기의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고, 부식 및 마모 또한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방열판(301)이 베이퍼 챔버일 수 있고, 베이퍼 챔버는 내부의 액체 작동 유체에 열이 증발되어 열을 흡수하고, 냉각된 후 방열 및 액화하며, 증발, 응축 순환을 통해 베이퍼 챔버의 포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방열판(301) 표면의 일부분과 냉각 부재(202)가 연결되고, 다른 일부분과 방열핀(302)이 연결되며, 냉각 부재(202)에서 생성되는 열량이 방열판(301)과 방열핀(302)을 거쳐 소실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38을 참조하면, 제2 광 투과체(201)와 방열 어셈블리(300) 사이에는 탄소 함유층(92)이 설치될 수 있어, 예를 들어, 방열판(301)과 제2 광 투과체(201)가 열적 결합된 일측의 표면에 설치되고, 탄소 함유층(92)이 우수한 열전도 성능을 구비하므로, 방열판(301)의 열전도 속도가 가속화되고, 방열 어셈블리(300)의 방열 성능이 강화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92)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이다.
선택적으로, 탄소 함유층(92)은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방식으로 설치된다.
방열 어셈블리(300)의 방열 성능을 가속화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방열 어셈블리(300)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방열 어셈블리(300)의 방열핀(302)이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와 연결되고,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가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입되면서, 공기가 방열핀(302) 방향으로 불어지도록 구동하여, 공기가 방열핀(302)을 거쳐 방열핀(302)을 방열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방열핀(302)과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에서 제공하는 기류가 사각형으로 평행 설치되어 방열핀(302)과 기류가 접촉하는 면적을 증가시켜 방열핀(302)의 열 방사 효율이 가속화될 수 있다.
방열핀(302)과 제1 하우징(121)에 있는 에어투과 홀(1211)이 대향 설치되고, 기류는 방열핀(302)을 거친 후, 빠르게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출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는 냉매가 제모 어셈블리(100)를 방열하도록 구동시킬 뿐만 아니라, 방열 어셈블리(300)를 방열시킬 수 있다. 안전 성능이 향상된 상황 하에서 조사된 피부에 냉찜질 및 강온을 진행할 수 있어 조사된 피부에 생성된 열감 통증을 완화하고, 냉찜질 어셈블리(200)는 방열 어셈블리(300)와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의 작용 하에서 0도에 가까운 저온일 수 있어, 출광구 근처에 있는 피부가 어는점에 무한히 근접해질 수 있어 피부에 열감 통증을 줄이고, 단시간 접촉으로 피부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도 36, 도 37, 도 39를 함께 참조하면, 도 39는 도 37의 실시예에서 팬 하우징의 에어 출구 지점을 나타내는 구조 개략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냉각 구동 어셈블리(400)는 팬 하우징(401)과 팬(402)을 포함할 수 있다. 팬 하우징(401)이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등지는 방열 베이스(300)의 일측에 설치되고, 팬(402)이 팬 하우징(401)에 수용된다.
에어가 유입되는 팬(402)의 일단이 제1 하우징(121)에 있는 에어투과 홀(1211)과 대향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하고, 팬 하우징(401)에는 에어를 배출시키는 데 사용되는 에어 출구(410)가 설치되고, 에어가 배출되는 팬(402)의 일단이 에어 출구(410)와 연결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한 후, 에어 출구(410)에서 유출된다.
선택적으로, 팬(402)은 원심형 팬, 축류식(axial flow type) 팬, 혼류식 팬 또는 직교류(crossflow) 팬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에어 출구(410)는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를 포함하고, 에어 출구(410)에 있는 팬(402)의 에어 배출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일부분은 제1 에어 출구(411)에서 유출되고, 다른 일부분은 제2 에어 출구(412)에서 유출된다.
선택적으로, 에어 출구(410)는 제3 에어 출구 또는 더 많은 에어 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에어 출구(411)에는 브라켓(5)의 에어 출구(530)가 연통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하고, 팬(402)은 기류가 제1 에어 출구(411)와 에어 유입구(530)로부터 제1 수용 공간(510)으로 유입되도록 구동시키고, 제1 수용 공간(510)이 광원(2), 반사컵(1), 광 필터(103)의 열량을 가져가고, 마지막으로 에어 출구(540) 및 에어투과 홀(1211)에서 외부로 흘러, 외부로 열 에너지를 방열시키므로, 제모 어셈블리(100)의 방열을 구현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에어 출구(412)에는 방열 베이스(300)의 방열핀(302)이 연결되고, 팬(402)은 외부 공기가 에어투과 홀(1211)에서 팬(40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구동시키고, 팬(402)은 기류가 제2 에어 출구(412)에서 방열 어셈블리(300)의 복수 개의 방열핀(302) 사이로 유입되도록 구동시키고, 기류는 방열핀(302)을 거쳐 방열핀(302)의 열량을 가져가고, 에어투과 홀(1211)에서 유출된다. 방열핀(302)의 온도가 하락한 후, 방열판(301)의 열량 또한 하락하여 방열판(301)이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열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어 냉찜질 어셈블리(200)의 방열을 구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의 에어 유동량은 한정하지 않고, 실제 상황에 따라 설치된다.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의 크기를 설정함으로써 제1 에어 출구(411)와 제2 에어 출구(412)의 에어 유동량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제2 에어 출구(412)의 에어 배출 면적이 제1 에어 출구(411)의 에어 배출 면적보다 크므로, 더 많은 기류가 제2 에어 출구(412)에서 유출되어, 방열판(301)의 방열 효율이 강화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모기는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400)를 통해 제모 어셈블리(100), 냉찜질 어셈블리(200), 방열 어셈블리(300)를 방열시킬 수 있고, 제모 어셈블리(100)와 냉찜질 어셈블리(200)를 동시에 방열시킬 수 있어 제모기의 방열 능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제모기의 안전 계수가 강화될 수 있는 한편, 지속적으로 냉찜질 피부가 어는점에 무한히 근접해질 수 있어 피부에 열감 통증을 줄이고, 제모 시 피부 손상을 유발하지 않는다.
상술한 내용은 단지 본 출원의 실시예일 뿐 이로써 본 출원의 특허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이용하여 진행한 등가 구조 또는 등가 절차 변환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기타 관련 기술 분야에 적용되며, 모두 동일한 이치로 본 출원의 특허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71)

  1. 제모기에 있어서,
    반사컵, 광원, 광 투과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컵이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고;
    상기 광원이 상기 반사컵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광선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광 투과체는 상기 광선에 입사되는 입광면 및 상기 광선이 출사되는 출광면을 구비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광 투과체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컵에 설치되는 탄소 함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반사컵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 제1항에 있어서,
    방열 베이스와 탄소 함유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베이스가 상기 반사컵의 일측에 설치되고, 반사컵을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며,
    상기 탄소 함유층은 상기 방열 베이스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반사컵과 상기 방열 베이스 사이 및/또는 상기 방열 베이스의 노출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컵과 상기 광 투과체 사이에 설치되는 광 필터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방열 베이스의 일측에는 홈 바디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컵이 상기 홈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광 필터는 상기 방열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체가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광 투과체는 램프 튜브를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9. 제6항에 있어서,
    탄성 실링 링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적어도 내부 링 부분이 상기 광 필터와 상기 광 투과체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 설치되고, 상기 광 필터와 상기 광 투과체는 모두 상기 탄성 실링 링과 실링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내부 링과 외부 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링의 직경이 상기 외부 링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외부 링이 상기 내부 링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광 투과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링을 초과하여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 필터를 향하는 상기 광 투과체의 일단 둘레측이 상기 장착 홈 내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 필터를 향하는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일측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광 필터의 단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테이퍼링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항레이저 및 항고저온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14. 제1항에 있어서,
    방열 어셈블리와 탄소 함유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상기 광 투과체와 연결되고, 상기 광 투과체의 열량을 흡수시키는 데 사용되고,
    상기 탄소 함유층은 상기 광 투과체와 상기 방열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15. 제14항에 있어서,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방열판과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의 하나의 표면에는 병렬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컵이 상기 방열판의 상기 제1 영역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핀이 상기 제2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가 상기 반사컵을 등지고 있는 상기 방열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는 기류가 상기 방열핀, 상기 광원, 및/또는 상기 반사컵을 향해 불도록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16. 제2항, 제4항,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중심이 상기 반사컵의 초점과 상기 반사컵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광 투과체의 상기 입광면이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반사컵의 초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컵에서 반사된 상기 광선이 모이는 위치가 상기 광 투과체의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반사컵의 초점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컵이 제1 반사 영역과 제2 반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사 영역은 상기 반사컵 바닥부를 포함하는 한 세그먼트의 아치형 영역이고, 상기 제2 반사 영역은 상기 아치형 영역의 양단이 외부로 연장되는 평면 영역이고, 상기 평면 영역과 상기 아치형 영역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은 5 내지 20도 사이이며, 상기 기준선은 상기 광원 중심과 상기 광 투과체 중심의 연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협각은 8 내지 15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2. 제모기에 있어서,
    반사컵, 광원, 제1 광 투과체, 방열 베이스, 냉각 부재,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컵은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고;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컵 내부에 조립되어 상기 광선을 내보낼 수 있고;
    상기 제1 광 투과체가 상기 반사컵의 출광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반사컵과 함께 상기 광원을 수용할 수 있는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방열 베이스는 일측이 상기 반사컵과 열적 결합(Thermalcoupling)되고;
    상기 냉각 부재는 이의 냉각측과 상기 방열 베이스의 다른 일측, 및/또는 상기 반사컵의 일측이 열적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제1 광 투과체가 고정되고;
    여기에서, 상기 광원 본체는 상기 캐비티 내부에 매달려있고, 상기 냉각 부재는 상기 캐비티를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컵 및/또는 상기 냉각 부재에 설치되는 탄소 함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반사컵의 일측, 상기 방열 베이스를 향하는 상기 냉각 부재의 일측 또는 상기 냉각 부재의 노출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컵과 상기 방열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탄소 함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6. 제25항에 있어서,
    제2 광 투과체와 광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광 필터는 상기 광원과 상기 제2 광 투과체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광 필터는 상기 제1 광 투과체에 속하고;
    여기에서, 상기 방열 베이스의 일측에는 홈 바디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컵이 상기 홈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광 필터는 상기 방열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투과체가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램프 튜브를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29. 제22항에 있어서,
    제2 광 투과체, 방열 베이스, 탄소 함유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광원의 출광측에 위치하고;
    상기 방열 베이스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와 연결되고, 상기 방열 베이스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열량을 흡수시키는 데 사용되고;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제2 광 투과체와 상기 방열 베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0. 제29항에 있어서,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방열 베이스는 방열판과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의 하나의 표면에는 병렬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컵이 상기 방열판의 상기 제1 영역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핀이 상기 제2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가 상기 반사컵을 등지고 있는 상기 방열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는 기류가 상기 방열핀, 상기 광원, 및/또는 상기 반사컵을 향해 불도록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1. 제26항 또는 제29항에 있어서,
    탄성 실링 링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적어도 내부 링 부분이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모두 상기 탄성 실링 링과 실링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내부 링과 외부 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링의 직경이 상기 외부 링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외부 링이 상기 내부 링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링을 초과하여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 필터를 향하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일단 둘레측이 상기 장착 홈 내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체를 향하는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일측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광 투과체의 단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테이퍼링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항레이저 및 항고저온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6. 제23항, 제25항,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베이스는 세라믹 베이스로, 이의 일측에는 홈 바디가 설치되며, 상기 반사컵이 상기 홈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제1 광 투과체는 광 필터이면서 상기 방열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39. 제38항에 있어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투과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을 향하는 입광면과 상기 광원을 등지는 출광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1. 제22항에 있어서,
    브라켓과 제2 광 투과체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을 향하는 입광면과 상기 광원을 등지는 출광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의 중심이 상기 반사컵의 초점과 상기 반사컵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상기 입광면이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반사컵의 초점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컵에서 반사된 상기 광선이 모이는 위치가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상기 출광면과 상기 반사컵의 초점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컵이 제1 반사 영역과 제2 반사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사 영역은 상기 반사컵 바닥부를 포함하는 한 세그먼트의 아치형 영역이고, 상기 제2 반사 영역은 상기 아치형 영역의 양단이 외부로 연장되는 평면 영역이고, 상기 평면 영역과 상기 아치형 영역이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 영역과 기준선 사이의 협각은 5 내지 20도 사이에 있으며, 상기 기준선은 상기 광원 중심과 상기 제2 광 투과체 중심의 연결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바(bar)형의 램프 튜브이며, 상기 반사컵이 반 아치형 반사컵이고, 상기 제모기는 길이 방향에 있는 상기 반사컵의 양단에 설치되면서, 상기 반사컵 양단에서 누출된 상기 광선을 상기 반사컵의 출광측으로 반사시키는 측면 반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반사 부재와 상기 반사컵은 일체 성형되고, 상기 측면 반사 부재에 스루홀이 설치되고, 상기 램프 튜브 단부가 상기 스루홀에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7. 제모기에 있어서,
    반사컵, 광원,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컵은 도체이고, 상기 반사컵은 광선을 반사시킬 수 있고;
    상기 광원은 바형의 가스 여기광 광원으로 상기 반사컵과 대향 설치되어 상기 반사컵에 전기가 통한 후 상기 반사컵에 의해 여기되어 광선이 방출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반사컵이 대향되어 고정되고;
    여기에서, 상기 광원의 본체와 상기 반사컵의 간격이 0보다 크면서, 0.3mm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컵에 설치되는 탄소 함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반사컵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0. 제47항에 있어서,
    방열 베이스와 탄소 함유층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베이스는 상기 반사컵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사컵을 냉각시키는 데 사용되며;
    상기 탄소 함유층은 상기 반사컵과 상기 방열 베이스 사이, 또는 상기 방열 베이스의 노출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1. 제50항에 있어서,
    제2 광 투과체와 제1 광 투과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 투과체는 광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과 상기 제2 광 투과체 사이에 설치되고; 여기에서, 상기 방열 베이스의 일측에는 홈 바디가 설치되며, 상기 반사컵이 상기 홈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방열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윈도우를 구비하며, 상기 광 필터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면서 상기 윈도우를 커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 투과체가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4. 제51항에 있어서,
    탄성 실링 링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적어도 내부 링 부분이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 사이에 탄성적으로 밀착 설치되고, 상기 제1 광 투과체와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모두 상기 탄성 실링 링과 실링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내부 링과 외부 링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링의 직경이 상기 외부 링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외부 링이 상기 내부 링 둘레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내부 링을 초과하여 장착 홈이 형성되고, 상기 광 필터를 향하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일단 둘레측이 상기 장착 홈 내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체를 향하는 상기 탄성 실링 링의 일측에는 돌기가 설치되고, 상기 돌기가 상기 제1 광 투과체의 단면에 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테이퍼링형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실링 링은 항레이저 및 항고저온성 재질로 만들어진 링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59. 제50항에 있어서,
    냉각측과 상기 방열 베이스의 일측이 열적 결합되는 냉각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방열 베이스를 향하는 상기 냉각 부재의 일측 또는 상기 냉각 부재의 노출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0. 제47항에 있어서,
    제2 광 투과체, 방열 어셈블리, 탄소 함유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광 투과체는 상기 광원의 출광측에 위치하고;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와 연결되고,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상기 제2 광 투과체의 열량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고;
    상기 탄소 함유층이 상기 제2 광 투과체와 상기 방열 어셈블리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1. 제60항에 있어서,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방열 어셈블리는 방열판과 방열핀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판의 하나의 표면에는 병렬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이 설치되고,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컵이 상기 방열판의 상기 제1 영역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방열핀이 상기 제2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가 상기 반사컵을 등지고 있는 방열핀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냉각 드라이브 어셈블리는 기류가 상기 방열핀, 상기 광원, 및/또는 상기 반사컵을 향해 불도록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2. 제48항, 제50항,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그래핀 재료, 그라파이트 분말, 편상 그라파이트 또는 그래파이트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함유층은 도금, 스프레이 코팅 또는 접합 방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4. 제47항에 있어서,
    방열 베이스, 탄성체,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방열 베이스는 일측이 상기 반사컵과 열적 결합(Thermalcoupling)되고;
    상기 탄성체는 상기 광원 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광원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상기 탄성체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광원은 상기 반사컵 또는 상기 방열 베이스에 대향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베이스는 세라믹 베이스이며, 상기 세라믹 베이스에는 제1 홈 바디가 설치되며, 상기 반사컵이 상기 제1 홈 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브라켓이 상기 탄성체를 통해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컵을 상기 방열 베이스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6.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베이스에는 제2 홈 바디가 각각 설치된 제1 홈 바디의 양단이 설치된다. 상기 제2 홈 바디와 상기 제1 홈 바디가 연통되고, 상기 제2 홈 바디의 깊이가 상기 제1 홈 바디의 깊이보다 깊고, 상기 제2 홈 바디는 상기 광원의 양단 및 상기 탄성체를 수용시키는 데 사용되고, 상기 탄성체가 탄성 변형될 때의 대피 공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7.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베이스의 측변에는 제1 버클부가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에는 제2 버클부가 대응되게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이 상기 제2 버클부를 통해 상기 제1 버클부의 버클과 매칭되고, 상기 세라믹 베이스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윈도우가 설치되고, 상기 제2 버클부에 대응되는 상기 윈도우의 일부 크기가 상기 제1 버클부가 설치된 상기 세라믹 베이스의 크기보다 크므로, 상기 제1 버클부가 설치된 상기 세라믹 베이스의 일부가 상기 브라켓의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에는 상기 광선이 통과되는 윈도우가 설치되고, 상기 반사컵의 출광측에 설치되면서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고, 상기 반사컵과 함께 상기 광원을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제1 광 투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투과체는 광 필터이고, 상기 제모기는 상기 윈도우에 내장되고, 상기 광원을 등지고 있는 상기 광 필터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광원을 향하는 입광면과 상기 광원을 등지는 출광면을 구비하는 제2 광 투과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71.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컵은 반 아치형의 반사컵이고, 상기 제모기는,
    길이 방향에 있는 상기 반사컵의 양단에 설치되고, 상기 반사컵 양단에서 누출된 상기 광선을 상기 반사컵의 출광측으로 반사시키는 측면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측면 반사 부재에는 스루홀이 설치되고, 상기 램프 튜브 단부가 상기 스루홀에 관통되고, 상기 스루홀의 직경이 상기 광원 양단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탄성체가 탄성적으로 상기 반사컵 바닥부와 가까운 상기 스루홀의 일측에 상기 광원을 단단히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모기.
KR1020237039950A 2021-11-15 2022-08-19 제모기 KR202400045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22792654 2021-11-15
CN202122797614 2021-11-15
CN202122813851 2021-11-15
CN202122797614.5 2021-11-15
CN202122813851.6 2021-11-15
CN202122792654.0 2021-11-15
PCT/CN2022/113783 WO2023082753A1 (zh) 2021-11-15 2022-08-19 脱毛仪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4565A true KR20240004565A (ko) 2024-01-11

Family

ID=8632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9950A KR20240004565A (ko) 2021-11-15 2022-08-19 제모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1969207B2 (ko)
EP (1) EP4331430A1 (ko)
JP (1) JP2024519961A (ko)
KR (1) KR20240004565A (ko)
AU (1) AU2022386115A1 (ko)
CA (1) CA3222518A1 (ko)
IL (1) IL309229A (ko)
TW (2) TWI8236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69742B (zh) * 2023-05-23 2023-09-08 可孚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脱毛仪冷敷结构及制作方法
CN117462240B (zh) * 2023-12-25 2024-03-01 深圳诺铂智造技术有限公司 一种防水脱毛仪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94958A (en) * 1936-06-22 1937-10-05 Maurice P Parker Shield for arc lamp reflectors
SE9202494D0 (sv) 1992-08-31 1992-08-31 Morgan Gustavsson Anordning foer emission av ljus eller laserljus
US8182473B2 (en) * 1999-01-08 2012-05-22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Cooling system for a photocosmetic device
US7204832B2 (en) * 1996-12-02 2007-04-17 Pá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Cooling system for a photo cosmetic device
US20060149343A1 (en) * 1996-12-02 2006-07-06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Cooling system for a photocosmetic device
US20080294152A1 (en) * 1996-12-02 2008-11-27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Cooling System For A Photocosmetic Device
IL122840A (en) * 1997-12-31 2002-04-21 Radiancy Inc Hair removal device and methods
AU2003284972B2 (en) * 2002-10-23 2009-09-10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Phototreatment device for use with coolants and topical substances
EP1700358A4 (en) * 2003-12-04 2008-07-16 John R Essig Jr MODULAR INFLATABLE, FIELD-APPLICABLE DEVICE WITH MULTIPLE FUNCTIONS AND MANUFACTURING METHOD
US7309335B2 (en) * 2003-12-31 2007-12-18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Dermatological treatment with visualization
JP2006058686A (ja) 2004-08-20 2006-03-02 Sony Corp フラッシュ装置及び撮像装置
US20060253176A1 (en) * 2005-02-18 2006-11-09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Dermatological treatment device with deflector optic
CA2597719A1 (en) * 2005-02-18 2006-08-24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Dermatological treatment device
EP2767308B1 (en) 2007-04-19 2016-04-13 Miramar Labs, Inc. Devices, and systems for non-invasive delivery of microwave therapy
MX2011002987A (es) 2008-09-21 2011-07-20 Syneron Medical Ltd Un metodo y aparato para el tratamiento personal de la piel.
US8900138B2 (en) * 2009-11-05 2014-12-02 James P. Horvath Headlight apparatus and method
US10786693B1 (en) * 2012-04-06 2020-09-29 Orbital Research Inc. Biometric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20160106506A1 (en) * 2013-06-14 2016-04-21 Illuminage LTD Hair removal apparatus
CN208610984U (zh) 2017-12-06 2019-03-19 广东罗曼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拆式脱毛仪
US10236174B1 (en) * 2017-12-28 2019-03-19 Lucidity Lights, Inc. Lumen maintenance in fluorescent lamps
CN109027958A (zh) 2018-07-04 2018-12-18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用于矩阵式led车灯的散热装置
CN211534779U (zh) 2019-07-07 2020-09-22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便携式脱毛仪
CN110464453A (zh) * 2019-09-24 2019-11-19 木马电器科技(东莞)有限责任公司 一种手持式智能光脱毛设备及智能光脱毛方法
KR102347530B1 (ko) * 2020-02-28 2022-01-07 (주)라메디텍 레이저 조사 장치
WO2021196506A1 (zh) * 2020-04-02 2021-10-07 深圳市予一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脱毛仪以及半导体制冷片
CN112055799B (zh) * 2020-04-02 2023-02-17 深圳市予一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半导体制冷片及脱毛仪
CN215384556U (zh) 2020-07-09 2022-01-04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便携式脱毛仪
CN111973884A (zh) 2020-08-19 2020-11-24 深圳市洋沃电子有限公司 一种脱毛仪
CN213489243U (zh) 2020-09-08 2021-06-22 广州星际悦动股份有限公司 脱毛仪光路系统及脱毛仪
CN213883463U (zh) 2020-11-05 2021-08-06 珠海橙熙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脱毛仪
CN215534977U (zh) 2021-08-05 2022-01-18 深圳市嘉宇康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散热装置以及美容仪
CN217488844U (zh) 2021-11-15 2022-09-27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脱毛仪
CN216571230U (zh) 2021-11-15 2022-05-24 深圳由莱智能电子有限公司 一种脱毛仪
CN217310568U (zh) 2021-12-20 2022-08-30 广州星际悦动股份有限公司 脱毛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69207B2 (en) 2024-04-30
AU2022386115A1 (en) 2023-12-21
US20230148727A1 (en) 2023-05-18
TW202327524A (zh) 2023-07-16
CA3222518A1 (en) 2023-05-19
US20230149079A1 (en) 2023-05-18
TW202325233A (zh) 2023-07-01
TWI823677B (zh) 2023-11-21
IL309229A (en) 2024-02-01
JP2024519961A (ja) 2024-05-21
EP4331430A1 (en) 2024-03-06
TWI823676B (zh) 2023-11-21
US11937875B2 (en) 2024-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04565A (ko) 제모기
JP3226132U (ja) 携帯式脱毛装置
JP3246181U (ja) 脱毛器
CN220530111U (zh) 脱毛仪及皮肤处理设备
CN111743622A (zh) 便携的脱毛仪
WO2023082753A1 (zh) 脱毛仪
CN214908023U (zh) 家用脱毛仪
EP3925561A1 (en) Depilator
CN215384556U (zh) 便携式脱毛仪
CN218552433U (zh) 脱毛仪
CN216136023U (zh) 脱毛仪
CN220530510U (zh) 脱毛仪及皮肤处理设备
CN216566016U (zh) 脱毛仪
CN213789643U (zh) 脱毛仪
CN113729930A (zh) 一种脱毛仪
CN210901827U (zh) 一种脱毛仪手柄
RU2136332C1 (ru) Излучающая поляризованный свет лечебная лампа для руч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CN219461384U (zh) 脱毛装置
CN219461386U (zh) 一种美容装置
CN216532299U (zh) 脱毛仪
CN217793317U (zh) 脱毛装置
CN219070617U (zh) 美容装置
CN218793579U (zh) 一种脱毛仪
CN211633559U (zh) 脱毛仪
CN219070618U (zh) 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