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2442A -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2442A
KR20240002442A KR1020220079653A KR20220079653A KR20240002442A KR 20240002442 A KR20240002442 A KR 20240002442A KR 1020220079653 A KR1020220079653 A KR 1020220079653A KR 20220079653 A KR20220079653 A KR 20220079653A KR 20240002442 A KR20240002442 A KR 202400024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metal layer
branch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9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은지
이현행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9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2442A/ko
Priority to US18/206,641 priority patent/US20240005865A1/en
Priority to CN202310747829.7A priority patent/CN117320497A/zh
Publication of KR20240002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24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09G3/324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61Repair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04Matrix technologies
    • G09G2300/0413Details of dummy pixels or dummy lines in fla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3Compensation electrodes or other additional electrodes in matrix displays related to distortions or compensation signals, e.g. for modifying TFT threshold voltage in column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8Fault-tolerant or redundant circuits, or circuits in which repair of defects is prepar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0Dealing with defective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서브 픽셀; 상기 기판 상에 제1방향으로 배치된 레퍼런스라인;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된 전원라인;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된 스캔라인; 상기 레퍼런스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배치된 레퍼런스브랜치라인;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캔라인과 중첩하는 영역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과 중첩하는 영역을 갖는 더미 금속층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repair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발광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LED), 양자점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Device; QD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앞서 설명한 표시장치들은 서브 픽셀들을 포함하는 표시패널, 표시패널을 구동하는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부 및 표시패널 또는 구동부에 공급할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 공급부 등이 포함된다.
위와 같은 표시장치들은 표시패널에 형성된 서브 픽셀들에 구동 신호 예컨대, 스캔신호 및 데이터신호 등이 공급되면, 선택된 서브 픽셀이 빛을 투과시키거나 빛을 직접 발광을 하게 됨으로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캔라인의 단선이나 스캔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게이트금속층과 다른 금속층 간의 쇼트 발생시 개구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을 웰딩하여 개구영역을 확보함과 더불어 웰딩 횟수를 최소화여 리페어 공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서브 픽셀; 상기 기판 상에 제1방향으로 배치된 레퍼런스라인;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된 전원라인;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된 스캔라인; 상기 레퍼런스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배치된 레퍼런스브랜치라인;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캔라인과 중첩하는 영역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과 중첩하는 영역을 갖는 더미 금속층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금속층은 상기 기판 상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하부 금속층으로 선택되고, 상기 스캔라인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은 상기 하부 금속층보다 상층에 위치하는 게이트금속층으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더미 금속층은 상기 스캔라인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갖고,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미 금속층은 웰딩 공정에 의해 상기 스캔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미 금속층과 상기 스캔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라인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더미 금속층과 상기 스캔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레퍼런스라인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이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은 상기 스캔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스캔신호를 우회하여 전달하는 우회신호라인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더미 금속층은 상기 전원라인과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캔라인은 상기 전원라인과 교차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일자형(또는 I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은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된 레퍼런스연결라인에 의해 상기 레퍼런스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이 상기 우회신호라인으로 기능할 경우, 상기 레퍼런스연결라인은 라인커팅 공정에 의해 상기 레퍼런스라인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은 제1서브 픽셀에 접속되는 제1브랜치부분과, 상기 제1서브 픽셀에 인접하는 제2서브 픽셀에 접속되는 제2브랜치부분과, 상기 제2서브 픽셀에 인접하는 제3서브 픽셀에 접속되는 제3브랜치부분과, 상기 제3서브 픽셀에 인접하는 제4서브 픽셀에 접속되는 제4브랜치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랜치부분과 상기 제3브랜치부분은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브랜치부분은 상기 제2브랜치부분의 중간영역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선되고 상기 제1서브 픽셀이 위치하는 영역까지 수평방향으로 배선되고, 상기 제4브랜치부분은 상기 제3브랜치부분의 중간영역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선되고 상기 제4서브 픽셀이 위치하는 영역까지 수평방향으로 배선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랜치부분과 상기 제2브랜치부분 그리고 상기 제3브랜치부분과 상기 제4브랜치부분은 상기 레퍼런스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작된 발광표시장치의 리페어 방법으로서, 상기 스캔라인의 일측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의 일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캔라인의 타측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의 타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캔라인의 단선 구간 주변에 위치하는 일측 서브 픽셀의 더미 금속층과 상기 일측 서브 픽셀로부터 이격된 타측 서브 픽셀의 더미 금속층을 웰딩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라인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이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캔라인의 단선이나 스캔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게이트금속층과 다른 금속층 간의 쇼트 발생시 개구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을 웰딩하여 개구영역을 확보함과 더불어 웰딩 횟수를 최소화여 리페어 공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캔라인들의 전반(거의 모든 구간)을 일자형(또는 I자형)으로 배치 가능하므로 배선이나 전극 등의 밀집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개구영역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대비 단순화된 포인트 리페어 방식을 기반으로 스캔라인의 단선을 리페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을 나타낸 등가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을 기반으로 구현된 픽셀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구조 및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이용시 제1스캔라인에 형성된 우회 신호 패스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서브 픽셀의 일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A1-A2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의 구조 그리고 그에 따른 리페어 마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캔라인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텔레비전, 영상 플레이어, 개인용 컴퓨터(PC), 홈시어터, 자동차 전기장치,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발광표시장치(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LED), 양자점표시장치(Quantum Dot Display Apparatus; QDD),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L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빛을 직접 발광하는 방식으로 영상을 표현하는 발광표시장치를 일례로 한다. 발광표시장치는 무기 발광다이오드를 기반으로 구현되거나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기 발광다이오드를 기반으로 구현된 것을 일례로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에서 설명되는 서브 픽셀은 n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지만 이는 p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n 타입과 p 타입이 함께 존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gate), 소스(source) 및 드레인(drain)을 포함한 3 전극 소자이다. 소스는 캐리어(carrier)를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전극이다. 박막 트랜지스터 내에서 캐리어는 소스로부터 흐르기 시작한다. 드레인은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캐리어가 외부로 나가는 전극이다. 즉,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캐리어의 흐름은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흐른다.
n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캐리어가 전자(electron)이기 때문에 소스에서 드레인으로 전자가 흐를 수 있도록 소스 전압이 드레인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가진다. n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전자가 소스로부터 드레인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류의 방향은 드레인으로부터 소스 쪽으로 흐른다. 이와 달리, p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의 경우, 캐리어가 정공(hole)이기 때문에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정공이 흐를 수 있도록 소스 전압이 드레인 전압보다 높다. p 타입 박막 트랜지스터에서 정공이 소스로부터 드레인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류가 소스로부터 드레인 쪽으로 흐른다. 그러나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은 인가된 전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이하의 설명에서는 소스와 드레인 중 어느 하나를 제1전극, 소스와 드레인 중 나머지 하나를 제2전극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에는 영상 공급부(110), 타이밍 제어부(120), 스캔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표시패널(150) 및 전원 공급부(18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영상 공급부(110)(또는 호스트시스템)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영상 데이터신호 또는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신호와 더불어 각종 구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영상 공급부(110)는 데이터신호와 각종 구동신호를 타이밍 제어부(120)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스캔 구동부(13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 데이터 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 및 각종 동기신호(수직 동기신호인 Vsync, 수평 동기신호인 Hsync) 등을 출력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함께 영상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 구동부(140)에 공급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부(12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캔 구동부(13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 등에 응답하여 스캔신호(또는 스캔전압)를 출력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30)는 스캔라인들(SL1~SLm)을 통해 표시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에 스캔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스캔 구동부(130)는 IC 형태로 형성되거나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표시패널(150)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타이밍 제어부(12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 등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 및 래치하고 감마 기준전압을 기반으로 디지털 형태의 데이터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데이터라인들(DL1~DLn)을 통해 표시패널(15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에 데이터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 구동부(140)는 IC 형태로 형성되어 표시패널(150) 상에 실장되거나 인쇄회로기판 상에 실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원 공급부(18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외부 입력전압을 기반으로 고전위의 제1전원(EVDD)과 저전위의 제2전원(EVSS)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80)는 제1전원 및 제2전원(EVDD, EVSS)뿐만아니라 스캔 구동부(13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예: 스캔하이전압, 스캔로우전압)이나 데이터 구동부(140)의 구동에 필요한 전압(드레인전압, 하프드레인전압) 등을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표시패널(150)은 스캔 구동부(130)와 데이터 구동부(140)를 포함하는 구동부로부터 출력된 스캔신호와 데이터전압을 포함하는 구동신호 그리고 전원 공급부(180)로부터 출력된 전원(EVDD, EVSS)을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패널(150)은 다수의 서브 픽셀(SP)로 이루어진 픽셀을 기반으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픽셀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 픽셀을 포함하거나 적색, 녹색, 청색 및 백색 서브 픽셀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타이밍 제어부(120), 스캔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등을 각각 개별적인 구성인 것처럼 설명하였다. 그러나 발광표시장치의 구현 방식에 따라 타이밍 제어부(120), 스캔 구동부(130), 데이터 구동부(140) 중 하나 이상은 하나의 IC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 픽셀을 나타낸 등가 회로도이고, 도 4는 도 3을 기반으로 구현된 픽셀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픽셀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 센싱 트랜지스터(ST),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ST), 및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트랜지스터(DT)는 커패시터(CST)의 제1전극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고 제1전원라인(EVDD)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는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2전극에 애노드전극이 연결되고 제2전원라인(EVSS)에 캐소드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는 제1스캔라인(SL1)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고 제1데이터라인(DL1)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구동 트랜지스터(DT)의 게이트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제1스캔라인(SL1)에 게이트전극이 연결되고 제1레퍼런스라인(REF1)에 제1전극이 연결되고 센싱노드인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애노드전극에 제2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의 열화나 문턱전압 등을 보상하기 위해 추가된 보상회로일 수 있다. 센싱 트랜지스터(ST)는 구동 트랜지스터(DT)와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사이에 정의된 센싱노드를 통해 센싱값을 취득할 수 있다. 센싱 트랜지스터(ST)로부터 취득된 센싱값은 제1레퍼런스라인(REF1)을 통해 서브 픽셀의 외부에 마련된 외부 보상 회로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픽셀은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서브 픽셀(SP1)은 적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고, 제2서브 픽셀(SP2)은 백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고, 제3서브 픽셀(SP3)은 청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고, 제4서브 픽셀(SP4)은 녹색의 빛을 발광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서브 픽셀(SP1)에 포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제1전극은 제1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될 수 있고, 제2서브 픽셀(SP2)에 포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제1전극은 제2데이터라인(DL2)에 연결될 수 있고, 제3서브 픽셀(SP3)에 포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제1전극은 제3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될 수 있고, 제4서브 픽셀(SP4)에 포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제1전극은 제4데이터라인(DL4)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전극은 제1전원라인(EVDD)에 공통으로 접속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에 포함된 구동 트랜지스터(DT)의 제1전극은 제1전원라인(EVDD)의 제1전원브래치라인(EB)에 공통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에 포함된 스위칭 트랜지스터(SW)와 센싱 트랜지스터(ST)의 게이트전극은 제1스캔라인(SL1)에 공통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스캔라인(SL1)의 다음 라인에는 제2스캔라인(SL2)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제1전극은 제1레퍼런스라인(REF1)에 공통으로 접속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제1전극은 제1레퍼런스라인(REF1)의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에 공통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레퍼런스라인(REF1)은 제3데이터라인(DL3)과 제4데이터라인(DL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레퍼런스라인(REF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제1레퍼런스연결라인(CN)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구조 및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이용시 제1스캔라인에 형성된 우회 신호 패스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캔라인(SL1) 및 제2스캔라인(SL2) 등은 박막 공정에 이용되는 게이트금속층을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박막 공정을 진행하다보면, 다양한 원인에 의해 스캔라인의 일부가 단선 되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처럼, 스캔라인의 일부가 단선되면 단선된 지점의 이후로 스캔신호의 전달이 불가한 상태가 되므로 표시패널의 표시불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 제작시 이를 수리하기 위한 리페어 구조 및 리페어 방법이 필요하다.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구조 및 리페어 방법은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과 제1레퍼런스연결라인(CN) 등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제2서브 픽셀(SP2)을 지나는 제1스캔라인(SL1)의 일부가 단선된 게이트 오픈(Gate Open) 불량을 일례로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구조 및 방법을 설명한다.
제2서브 픽셀(SP2)을 지나는 제1스캔라인(SL1)의 일부가 단선된 경우, 제1스캔라인(SL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웰딩(Welding)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웰딩(Welding) 공정은 제1스캔라인(SL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한 제1서브 픽셀(SP1)의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주변과 제4서브 픽셀(SP4)의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주변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는 제1서브 픽셀(SP1)의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주변과 제4서브 픽셀(SP4)의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주변 이상 2 곳만 웰딩하면 제2서브 픽셀(SP2)을 지나는 제1스캔라인(SL1)의 일부가 단선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실시예는 개구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을 웰딩하므로 개구영역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웰딩 횟수를 최소화여 리페어 공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음, 제1레퍼런스라인(REF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이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라인커팅(Line Cutting)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라인커팅(Line Cutting) 공정은 제1레퍼런스라인(REF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련된 제1레퍼런스연결라인(CN)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웰딩(Welding) 공정과 라인커팅(Line Cutting) 공정을 완료하면, 제1스캔라인(SL1)에 연결된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은 제1레퍼런스라인(REF1)과 비접속된 상태(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대신, 제1스캔라인(SL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이 새롭게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도 6과 같이 새로운 신호 패스(Path)가 구성될 수 있다. 새로운 신호 패스(Path)는 제1스캔라인(SL1)의 일부 구간의 단선을 리페어할 수 있는 우회 신호 패스(우회신호라인)로 정의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구조 및 리페어 방법과 관련된 부분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셀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서브 픽셀의 일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일부를 더욱 상세히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A1-A2 영역의 단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리페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은 수직방향(제1방향)으로 배치된 두 개의 제1전원라인(EVDD), 네 개의 데이터라인(DL1~DL4), 한 개의 제1레퍼런스라인(REF1) 그리고 수평방향(제2방향)으로 배치된 한 개의 제1스캔라인(SL1)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은 발광영역(EMA)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발광영역(EMA)은 빛을 발광하는 영역으로서, 유기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발광영역(EMA)의 크기가 각기 다름에 따라 제1전원라인(EVDD), 제1데이터라인(DL1) 및 제2데이터라인(DL2)이 직선형을 갖지 않고 발광영역(EMA)의 주변에서 좌측으로 일부 돌출된 구조를 갖는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은 각기 다른 크기의 발광영역(EMA)을 가지며, 이에 따라 일부 라인들이 비직선형을 갖는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발광영역(EMA)의 하측(평면 상의 아래)에는 회로영역(또는 비발광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회로영역에는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ST), 스위칭 트랜지스터(SW), 센싱 트랜지스터(ST)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회로영역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제1전원브래치라인(EB), 제1스캔라인(SL1),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제1레퍼런스연결라인(CN)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제1서브 픽셀(SP1), 제2서브 픽셀(SP2), 제3서브 픽셀(SP3) 및 제4서브 픽셀(SP4)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ST)와 전기적인 접속점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수평방향으로만 배치되지 않고, 센싱 트랜지스터(ST)와 인접한 영역에서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주변 전극 또는 라인의 배치를 고려하여 일부 구간에 사선방향으로 배치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영역에 위치하는 구동 트랜지스터(DT), 커패시터(CST), 스위칭 트랜지스터(SW), 센싱 트랜지스터(ST), 제1전원브래치라인(EB), 제1스캔라인(SL1) 및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 등은 하부 금속층(LSM), 반도체층(ACT), 게이트금속층(GAT), 픽셀전극층(PXL) 등을 기반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로영역에 위치하는 전극과 전극 또는 라인과 전극은 콘택홀들(GH, PH, BH)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GH는 게이트금속층(GAT)과 반도체층(ACT)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로 정의될 수 있고, PH는 게이트금속층(GAT)과 픽셀전극층(PXL)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로 정의될 수 있고, BH는 하부 금속층(LSM)과 게이트금속층(GAT)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콘택홀로 정의될 수 있다.
기판(SUB) 상의 회로영역에는 더미 금속층(WM)이 위치할 수 있다. 더미 금속층(WM)은 제1전원라인(EVDD) 및 하부 금속층(LSM)과 동일한 층 및 동일한 재료로 선택될 수 있다. 하부 금속층(LSM)은 구동 트랜지스터(DT)의 반도체층(ACT)으로 외부광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형성됨은 물론이고 전극과 전극 또는 라인과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기판(SUB)의 바로 위에 형성되는 층일 수 있다.
기판(SUB) 상에는 더미 금속층(WM)을 덮는 버퍼층(BUF)이 위치할 수 있다. 버퍼층(BUF)은 단층으로 형성된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이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버퍼층(BUF) 상에는 반도체층(ACT)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과 반도체층(ACT)이 위치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ACT)이 위치하지 않는 영역은 제1스캔라인(SL1)과 더미 금속층(WM)의 일단이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고, 반도체층(ACT)이 위치하는 영역은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제1전극과 더미 금속층(WM)의 타단이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버퍼층(BUF) 및 센싱 트랜지스터(ST)의 반도체층(ACT) 상에는 게이트절연층(GI)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절연층(GI) 상에는 제1스캔라인(SL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이 위치할 수 있다. 제1스캔라인(SL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게이트금속층(GAT)에 의해 형성되지만, 패턴 공정에 의해 서로 이격됨은 물론이고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버퍼층(BUF) 상에는 게이트금속층(GAT)으로 이루어진 제1스캔라인(SL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을 덮는 보호층(PAS)이 위치할 수 있다. 보호층(PAS) 상에는 오버코트층(또는 유기층)(OC)이 위치할 수 있다.
더미 금속층(WM)의 일단은 제1스캔라인(SL1)과 중첩할 수 있지만, 더미 금속층(WM)의 일단과 제1스캔라인(SL1)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반면, 더미 금속층(WM)의 타단은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과 중첩할 수 있지만, 더미 금속층(WM)의 타단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더미 금속층(WM)의 타단은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에 의해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제1전극이 되는 반도체층(ACT)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더미 금속층(WM)은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주변에 위치하며, 이는 웰딩(Welding) 공정에 이용되는 금속층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더미 금속층(WM)의 일단을 통해 웰딩(Welding) 공정을 수행할 경우, 버퍼층(BUF), 게이트절연층(GI) 및 제1스캔라인(SL1)은 도 11과 같이, 용융되어 녹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스캔라인(SL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더미 금속층(WM)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더미 금속층(WM)은 제1서브 픽셀(SP1)뿐만 아니라 이와 대칭하고 있는 제4서브 픽셀(SP4)에도 위치할 수 있다. 달리 설명하면, 더미 금속층(WM)은 일측 제1전원라인(EVDD)과 제1서브 픽셀(SP1)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사이(또는 일측 제1전원라인과 인접하는 영역) 그리고 타측 제1전원라인(EVDD)과 제4서브 픽셀(SP4)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사이(또는 타측 제1전원라인과 인접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서브 픽셀(SP1)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주변에 위치하는 더미 금속층(WM)은 물론이고 제4서브 픽셀(SP4)의 센싱 트랜지스터(ST)의 주변에 위치하는 더미 금속층(WM)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웰딩(Welding)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웰딩(Welding) 공정을 수행한 후, 도 12와 같이, 제1레퍼런스라인(REF1)과 비중첩하는 제1레퍼런스연결라인(CN) 상에 라인커팅(Line Cutting) 공정을 수행할 경우, 제1레퍼런스라인(REF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전기적으로 완전히 분리될 수 있다. 그 결과, 도 13 및 도 14와 같이, 제1스캔라인(SL1)과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새롭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스캔라인(SL1)의 일부 구간의 단선을 리페어할 수 있는 우회 신호 패스(우회신호라인)(Path)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의 구조 그리고 그에 따른 리페어 마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제1레퍼런스연결라인(CN)을 기반으로 제1레퍼런스라인(REF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제1서브 픽셀(SP1)에 접속되는 제1브랜치부분(SP1A), 제2서브 픽셀(SP2)에 접속되는 제2브랜치부분(SP2A), 제3서브 픽셀(SP3)에 접속되는 제3브랜치부분(SP3A), 제4서브 픽셀(SP4)에 접속되는 제4브랜치부분(SP4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브랜치부분(SP2A)과 제3브랜치부분(SP3A)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각 말단에는 센싱 트랜지스터(ST)와 전기적인 접속점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영역 대비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2브랜치부분(SP2A)과 제3브랜치부분(SP3A)은 상호 인접하는 제2서브 픽셀(SP2)과 제3서브 픽셀(SP3)에 포함된 센싱 트랜지스터(ST)에 연결되므로 제1브랜치부분(SP1A) 및 제4브랜치부분(SP4A) 대비 짧은 배선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브랜치부분(SP1A)은 제2브랜치부분(SP2A)의 중간영역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선되고 제1서브 픽셀(SP1)이 위치하는 영역까지 수평방향으로 배선될 수 있다. 제4브랜치부분(SP4A)은 제3브랜치부분(SP3A)의 중간영역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선되고 제4서브 픽셀(SP4)이 위치하는 영역까지 수평방향으로 배선될 수 있다. 제1브랜치부분(SP1A)과 제2브랜치부분(SP2A) 그리고 제3브랜치부분(SP3A)과 제4브랜치부분(SP4A)은 제1레퍼런스라인(REF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은 총 4개의 브랜치부분(SP1A~SP4A)을 가지고 있고, 제1레퍼런스라인(REF1)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형태로 4개의 서브커팅라인(CL1~CL4)을 형성할 수 있다. 4개의 서브커팅라인(CL1~CL4)은 4개의 서브 픽셀(SP1~SP4)에 대한 개별적인 리페어 진행시 이용될 수 있다.
제1브랜치부분(SP1A)은 제1스캔라인(SL1)이 지나는 영역과의 사이에 제1서브커팅라인(CL1)에 대한 제1리페어 마진(RM1)을 가질 수 있다. 제2브랜치부분(SP2A)은 제1레퍼런스라인(REF1)이 지나는 영역과의 사이에 제2서브커팅라인(CL2)에 대한 제2리페어 마진(RM2)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브랜치부분(SP1A)과 제2브랜치부분(SP2A)은 제1서브커팅라인(CL1)과 제2서브커팅라인(CL2)에 의한 공유 마진(RMC)을 가질 수 있다.
제3브랜치부분(SP3A)은 제1레퍼런스라인(REF1)이 지나는 영역과의 사이에 제3서브커팅라인(CL3)에 대한 제3리페어 마진(RM3)을 가질 수 있다. 제4브랜치부분(SP4A)은 제1스캔라인(SL1)이 지나는 영역과의 사이에 제4서브커팅라인(CL4)에 대한 제4리페어 마진(RM4)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3브랜치부분(SP3A)과 제4브랜치부분(SP4A)은 제3서브커팅라인(CL3)과 제4서브커팅라인(CL4)에 의한 공유 마진(RMC)을 가질 수 있다.
브랜치부분들(SP1A~SP4A)이 기역자(ㄱ) 형상을 이루는 영역에 형성된 공유 마진(RMC)은 제1서브커팅라인(CL1)과 제2서브커팅라인(CL2) 또는 제3서브커팅라인(CL3)과 제4서브커팅라인(CL4)을 통한 커팅 공정시 공통적으로 점유 및 공유할 수 있는 마진을 의미한다.
이처럼, 브랜치부분들(SP1A~SP4A)이 공유 마진(RMC)을 갖는 경우, 다른 영역으로 리페어 마진이 확장되거나 넓은 영역을 차지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리페어 마진 설정에 의해 상하 인접하는 서브 픽셀들의 개구영역(또는 발광영역)이 축소되지 않고 기 설정된 개구영역을 확보(유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레퍼런스라인(REF1)과 제1레퍼런스연결라인(CN)이 중첩하는 영역은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도모하기 위한 콘택홀(BH)이 형성됨에 따라 도면의 우측으로 돌출된 영역을 갖는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캔라인의 배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캔라인(SL1)은 기판(SUB) 상에 위치하는 데이터라인들(DL3, DL4)을 덮고 있는 버퍼층(BUF) 그리고 버퍼층(BUF) 상의 게이트절연층(GI)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스캔라인(SL1)은 보호층(PAS)과 오버코트층(OC)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스캔라인들은 제1전원라인(EVDD)과 교차하는 브랜치 영역을 제외하고 모두 동일한 선폭을 갖도록 일자형(또는 I자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스캔라인(SL1)을 참고하면 알 수 있다.
이처럼, 스캔라인들의 전반(거의 모든 구간)을 일자형(또는 I자형)으로 배치할 수 있는 이유는 스캔라인의 단선이나 스캔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게이트금속층(GAT)과 다른 금속층 간의 쇼트 발생시 제1레퍼런스브랜치라인(BR) 등을 기반으로 리페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스캔라인들의 전반(거의 모든 구간)을 일자형(또는 I자형)으로 배치할 경우, 배선이나 전극 등의 밀집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어 개구영역을 넓힐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스캔라인의 단선이나 스캔라인을 형성하기 위한 게이트금속층과 다른 금속층 간의 쇼트 발생시 개구영역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을 웰딩하여 개구영역을 확보함과 더불어 웰딩 횟수를 최소화여 리페어 공정에 소비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캔라인들의 전반(거의 모든 구간)을 일자형(또는 I자형)으로 배치 가능하므로 배선이나 전극 등의 밀집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개구영역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대비 단순화된 포인트 리페어 방식을 기반으로 스캔라인의 단선을 리페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UB: 기판 SP1~SP4: 제1 내지 제4서브 픽셀
EVDD: 제1전원라인 ST: 센싱 트랜지스터
SL1: 스캔라인 REF1: 제1레퍼런스라인
WM: 더미 금속층 BR: 레퍼런스브랜치라인
BUF: 버퍼층 GI: 게이트절연층
GAT: 게이트금속층 PAS: 보호층

Claims (13)

  1. 기판 상에 위치하는 다수의 서브 픽셀;
    상기 기판 상에 제1방향으로 배치된 레퍼런스라인;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된 전원라인;
    상기 기판 상에 상기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으로 배치된 스캔라인;
    상기 레퍼런스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2방향으로 배치된 레퍼런스브랜치라인; 및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스캔라인과 중첩하는 영역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과 중첩하는 영역을 갖는 더미 금속층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층은 상기 기판 상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하부 금속층으로 선택되고,
    상기 스캔라인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은 상기 하부 금속층보다 상층에 위치하는 게이트금속층으로 선택되는 발광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층은
    상기 스캔라인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갖고,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발광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층은
    웰딩 공정에 의해 상기 스캔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발광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층과 상기 스캔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라인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은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갖는 발광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층과 상기 스캔라인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레퍼런스라인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이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갖는 경우,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은 상기 스캔라인을 통해 인가되는 스캔신호를 우회하여 전달하는 우회신호라인으로 기능하는 발광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금속층은
    상기 전원라인과 인접하는 영역에 배치된 발광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라인은
    상기 전원라인과 교차하는 영역을 제외하고 일자형(또는 I자형)으로 배치된 발광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은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된 레퍼런스연결라인에 의해 상기 레퍼런스라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이 상기 우회신호라인으로 기능할 경우, 상기 레퍼런스연결라인은 라인커팅 공정에 의해 상기 레퍼런스라인으로부터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갖는 발광표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은
    제1서브 픽셀에 접속되는 제1브랜치부분과,
    상기 제1서브 픽셀에 인접하는 제2서브 픽셀에 접속되는 제2브랜치부분과,
    상기 제2서브 픽셀에 인접하는 제3서브 픽셀에 접속되는 제3브랜치부분과,
    상기 제3서브 픽셀에 인접하는 제4서브 픽셀에 접속되는 제4브랜치부분을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랜치부분과 상기 제3브랜치부분은 상기 제1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브랜치부분은 상기 제2브랜치부분의 중간영역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선되고 상기 제1서브 픽셀이 위치하는 영역까지 수평방향으로 배선되고,
    상기 제4브랜치부분은 상기 제3브랜치부분의 중간영역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선되고 상기 제4서브 픽셀이 위치하는 영역까지 수평방향으로 배선된 발광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랜치부분과 상기 제2브랜치부분 그리고 상기 제3브랜치부분과 상기 제4브랜치부분은 상기 레퍼런스라인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하는 발광표시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작된 발광표시장치의 리페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캔라인의 일측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의 일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캔라인의 타측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의 타측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스캔라인의 단선 구간 주변에 위치하는 일측 서브 픽셀의 더미 금속층과 상기 일측 서브 픽셀로부터 이격된 타측 서브 픽셀의 더미 금속층을 웰딩하는 단계; 및
    상기 레퍼런스라인과 상기 레퍼런스브랜치라인이 전기적으로 분리되도록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의 리페어 방법.
KR1020220079653A 2022-06-29 2022-06-29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KR2024000244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653A KR20240002442A (ko) 2022-06-29 2022-06-29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US18/206,641 US20240005865A1 (en) 2022-06-29 2023-06-07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repairing the same
CN202310747829.7A CN117320497A (zh) 2022-06-29 2023-06-21 显示面板及其修复方法、包括显示面板的发光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9653A KR20240002442A (ko) 2022-06-29 2022-06-29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2442A true KR20240002442A (ko) 2024-01-05

Family

ID=8924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9653A KR20240002442A (ko) 2022-06-29 2022-06-29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05865A1 (ko)
KR (1) KR20240002442A (ko)
CN (1) CN117320497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320497A (zh) 2023-12-29
US20240005865A1 (en) 202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3979B1 (ko) 리페어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JP3608614B2 (ja) 表示装置
JP5971735B2 (ja) 有機発光表示装置のリペア方法
JP2008282029A (ja) 発光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592010B1 (ko) 표시 장치
KR20180035966A (ko) 표시장치
US20220069044A1 (en) Display device
CN113724651A (zh) 一种阵列基板及显示面板
CN110571238B (zh) 有机发光显示面板及包括其的有机发光显示装置
KR20240002442A (ko)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US11818929B2 (en) Display device with repair patterns
JP5209109B2 (ja) 表示装置
KR20160082768A (ko) 리페어 구조를 갖는 유기발광표시장치
KR20220095451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8933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240002447A (ko) 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리페어 방법
KR102670408B1 (ko) 표시장치
US11825719B2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US2024007428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same
KR102618594B1 (ko)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62575B1 (ko) 유기발광표시장치
JP2004355014A (ja) 表示装置
KR20220086860A (ko) 발광표시장치
KR20230101011A (ko) 표시 장치
JP5179806B2 (ja) 表示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