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5005A -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5005A
KR20230175005A KR1020220076345A KR20220076345A KR20230175005A KR 20230175005 A KR20230175005 A KR 20230175005A KR 1020220076345 A KR1020220076345 A KR 1020220076345A KR 20220076345 A KR20220076345 A KR 20220076345A KR 20230175005 A KR20230175005 A KR 20230175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eamer
lid
flange
microwav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6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욱
민제원
Original Assignee
신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욱 filed Critical 신동욱
Priority to KR1020220076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5005A/ko
Publication of KR20230175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500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에 관한 것으로, 전자기파에 의한 가열을 통해 찜기 내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찜기 내 각종 음식물을 증숙할 수 있고 찜기 내 여분의 증기는 응결시켜 환수한 후 재사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 개방형으로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차구조의 제1플랜지가 형성되는 본체, 상단 개방형으로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본체 내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라운드 구조의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내부 찜기, 및 본체의 제1플랜지 단차구조 내측으로 가장자리가 안착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본체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며 본체에서 발생되어 내부 찜기의 상부 공간으로 상승된 증기를 내벽에서 응결시켜 본체의 하부로 환수되게 유도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음식물의 품질 저하 방지 및 전자레인지의 수명 단축 문제 또는 청결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A rice cake steamer for microwave}
본 발명은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쌀이나 설기가루 또는 호빵 등의 각종 음식물을 증숙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로서 찜기 내 여분의 증기로 인해 응결된 수분이 찜기 내 조리된 음식물로 직접 낙하하지 않도록 하여 고슬고슬하게 이미 잘 쪄진 음식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찜기 내 여분의 증기가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내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전자레인지의 수명 단축 문제 또는 청결을 위한 빈번한 청소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게 하는 전자렌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이나 설기, 호빵 등은 전용 떡시루나 찜기 등을 이용하여 수증기로 쪄냄으로서 조리가 가능하게 되며, 최근에는 이와 같은 떡이나 설기를 간단하게 증숙하여 조리할 수 있는 소형 또는 간이형 찜기 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02135호(2009.06.03.등록, 명칭 : 다용도 찜기, 이하, '특허문헌1'이라 약칭함)에는 상향 개방형 내부공간을 가진 찜기 본체의 내부에 판상의 찜판, 상향 개방형 내부공간을 가진 용기형 내부찜기를 삽입 결합할 수 있도록 하여 내부찜기를 찜기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찐 음식물이나 세척된 음식물의 표면에 있는 물기를 바닥으로 떨어뜨려 자연 건조되도록 하는 물기 제거용 용기로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8430호(2015.08.24.등록, 명칭 : 소형 떡찜기, 이하, '특허문헌2'라 약칭함)에는 히팅부를 통해 발생되는 스팀을 떡 성형 용기 내부로 공급하여 신속하고 간편하게 떡을 찔 수 있으며, 용기를 소형화하여 보관 및 이동이 용이하고 떡성형 저장부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의 떡을 성형할 수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1-0132985호(2021.11.05.공개, 명칭 : 떡찜기, 이하, '특허문헌3'이라 약칭함)에는 떡이 제조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떡찜기 본체부, 본체부 내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시루, 시루 하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시루판, 시루 하부에 설치되며 물이 저장되고 가열되는 물저장부, 및 물 저장부와 연결되어 물을 가열시키는 가열부를 포함하여 짧은 시간안에 소량의 떡가루만을 사용하여 빠르게 떡을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특허문헌1의 경우 본체의 하부를 열원으로 직접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고 2개 이상의 찜판이 사용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아울러 본체 및 내부 용기의 형틀이 복잡하게 구현될 수 밖에 없으므로 그 형틀의 구현 및 제작 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2 및 특허문헌3의 경우는 용기 또는 본체 내부에 히팅부 또는 가열부를 일체로 구비하게 되므로 본체 또는 용기 자체가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밖에 없으며, 따라서 그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있고 별도의 외부 열원을 사용하는 냄비 등과 같은 간단한 조리도구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KR 10-0902135 B1 2009.06.03. 등록 KR 10-1548430 B1 2015.08.24. 등록 KR 10-2021-0132985 A 2021.11.05.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자기파에 의한 가열을 통해 찜기 내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찜기 내 각종 음식물을 증숙할 수 있고 찜기 내 여분의 증기에 의해 찜기 상부의 뚜껑에서 응결되는 수분은 뚜껑과 용기의 내벽을 통해 용기 내 하부로 환수된 후 전자기파에 의한 가열에 의해 다시 증기로 환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밥이나 떡, 설기 또는 호빵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증숙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전자기파에 의한 조리시 찜기 내 여분의 증기로 인해 뚜껑 상부에서 응결된 수분이 찜기 내 조리된 음식물로 직접 낙하하지 않도록 하여 고슬고슬하게 이미 잘 쪄진 음식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찜기 내 여분의 증기가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내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자레인지 가열실 내 수분 잔존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레인지의 수명 단축 문제 또는 청결을 위한 빈번한 청소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게 하는 전자렌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상단 개방형으로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차구조의 제1플랜지가 형성되는 본체, 상단 개방형으로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본체 내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라운드 구조의 제2플랜지가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내부 찜기, 및 본체의 제1플랜지 단차구조 내측으로 가장자리가 안착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본체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며 본체에서 발생되어 내부 찜기의 상부 공간으로 상승된 증기를 내벽에서 응결시켜 본체의 하부로 환수되게 유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이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기파에 의한 가열을 통해 찜기 내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찜기 내 각종 음식물을 증숙할 수 있고 찜기 내 여분의 증기에 의해 찜기 상부의 뚜껑에서 응결되는 수분은 뚜껑과 용기의 내벽을 통해 용기 내 하부로 환수시켜 전자기파에 의한 가열에 의해 다시 증기로 환원될 수 있게 하므로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밥이나 떡, 설기 또는 호빵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증숙시 찜기 내 여분의 증기로 인해 뚜껑 상부에서 응결된 수분이 찜기 내 조리된 음식물로 직접 낙하하지 않게 되어 고슬고슬하게 잘 쪄진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찜기 내 여분의 증기가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내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자레인지 가열실 내 수분 잔존량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전자레인지의 수명 단축 문제 또는 청결을 위한 빈번한 청소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의 주요부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는, 전자기파를 사용하여 쌀이나 설기가루 또는 호빵 등의 각종 음식물을 증숙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로서 본체(110), 내부 찜기(120), 및 뚜껑(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손잡이(140) 및/또는 잠금장치(150)를 더 포함하여 각각 다른 실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체(110)는 전자레인지 사용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단 개방형으로서 내측에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차구조의 제1플랜지(111)가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10)에는 제1플랜지(111)의 일측에 뚜껑의 정위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뚜껑 결합돌기(11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본체(11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내주연에 중심부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찜기 걸림편(112)이 형성되되 본체(110) 측벽의 내주면을 따라 균등 간격 이격되면서 동시에 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찜기(120)는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재질로서 본체(110) 내측의 열을 용이하게 전달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단 개방형으로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10) 내부에 삽입되거나 분리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라운드 구조의 제2플랜지(121)가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122)이 바닥면에 형성된다. 이러한 내부 찜기(120)는 다수 개의 찜기 걸림편(112)에 의해 몸체의 외측벽이 거치 및 지지되어 본체(110)의 측면과 바닥면으로부터 각각 일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뚜껑(130)은 본체(110)의 제1플랜지(111)에 형성된 단차구조의 내측으로 가장자리가 안착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본체(11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로서,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뚜껑(130)은 본체(110)에서 발생되어 내부 찜기(120)의 상부 공간으로 상승된 증기를 그 내벽에서 응결시켜 내벽면을 타고 본체(110)의 하부로 환수되게 유도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아치형의 구조를 갖게 형성한다. 이러한 뚜껑(130)의 가장자리에는 본체(110)의 각 뚜껑 결합돌기(113)에 대응하여 각각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3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뚜껑(130)은 아치형을 이루는 외측의 커버 부재(131)와, 내측의 보온 부재(132)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본체(110)에서 발생되어 내부 찜기(120)의 상부 공간으로 상승된 증기를 보온 부재(132)의 내벽에서 응결시켜 그 내벽을 따라 본체(110)의 하부로 환수 유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측의 커버 부재(131)는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본체(11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고 제1플랜지(111)의 단차구조 내측으로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내측의 보온 부재(132)는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커버 부재(131)의 내측에 형성되고 내부 찜기(120)의 상단 개방부를 밀착하여 감싸거나 개방한다.
손잡이(140)는 뚜껑 개폐를 위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뚜껑(130)의 상부 또는 일측에 돌출되게 부착되어 형성되며, 전후 또는 좌우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잠금장치(150)는 걸이부(151)와 잠금부(152)로 이루어지며, 본체(110)와 뚜껑(13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본체(110)의 제1플랜지(111)와 뚜껑(1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잠금장치(150)는 예를 들면 매미 고리 등의 형태로서 걸이부(151)와 잠금부(152) 중 어느 하나는 단지 걸림쇠 또는 후크 형태로 구성되고 다른 하나는 절첩 구조에 의해 걸림쇠 또는 후크와 맞물려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본체(110)의 제1플랜지(111) 일측에 잠금부(152)가 형성되고 뚜껑(130)의 가장자리 일측에 걸이부(151)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 및 설명되나 서로 반대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은 본체(110)와 뚜껑(13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설치되되 본체(110)와 뚜껑(130)의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뚜껑(130)이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의 사용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10)의 내부 공간에 증숙용 수증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물을 넣고, 본체(110)의 내부에 내부 찜기(120)를 삽입한다. 이때 내부 찜기(120)는 본체(110) 측벽의 내주면을 따라 균등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다수 개의 찜기 걸림편(112)에 의해 그 내부 찜기(120)의 외측벽이 걸리도록 지지시킨다. 이로써 내부 찜기(120)는 라운드구조의 제2플랜지(121) 가장자리가 본체(110)의 제1플랜지(111)에 형성된 단차구조의 내측으로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내부 찜기(120)는 찜기 걸림편(112)의 돌출폭 만큼 본체(110)의 내측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동시에 찜기 걸림편(112)의 형성높이 만큼 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상태로 지지 및 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내부 찜기(120)가 본체(110) 내측면의 찜기 걸림편(112)에 의해 거치되면 내부 찜기(120)의 수용공간에 증숙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담는다. 이때 내부 찜기(120)에는 다수의 통공(122)이 바닥면에 형성되므로 이 통공(122)을 통해 하부에서 발생된 증기가 상부로 상승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후 본체(110) 상단의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제1플랜지(111)의 단차구조에 뚜껑(130)의 가장자리가 대응 위치되도록 뚜껑(130)을 덮어 본체(110)의 상단 개방부를 폐쇄하게 되면, 이때 본체(110) 내부에 이미 삽입되어 있는 내부 찜기(120)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라운드구조의 제2플랜지(121)가 형성되어 있게 되므로 뚜껑(130)으로 본체(11)의 상단 개방부를 폐쇄하게 될 때 뚜껑(130) 내측의 보온 커버(132)가 제2플랜지(121)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면서 내부 찜기(120)의 상단 개방부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게 된다.
또한 본체(110)에는 제1플랜지(111)의 일측에 뚜껑(130)의 정위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뚜껑 결합돌기(113)이 형성되어 있고, 뚜껑(130)의 가장자리에도 본체(110)의 각 뚜껑 결합돌기(113)에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133)가 형성되어 있게 되므로, 이들 각 뚜껑 결합돌기(113)가 각 결합홈(133)에 삽입되도록 하여 본체(110) 위에 뚜껑(130)을 닫음으로써 본체(110)의 상단 개방부에 뚜껑(130)이 정위치되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10)의 상단 개방부에 뚜껑(130)이 정위치되어 결합되면, 매미 고리 형태로 구성되는 본체(110) 제1플랜지(111)의 잠금부(152)와 뚜껑(130)의 걸이부(151)가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정위치로 대응될 수 있게 되므로 이들 걸이부(151)와 잠금부(150)를 이용하여 잠금장치(150)를 폐쇄시킴으로써 뚜껑(130)이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잠금장치(150)를 폐쇄한 후 뚜껑(130)이 결합된 본체(110)를 전자레인지에 넣어 가열하게 되면 음식물을 증숙으로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자레인지의 전자기파에 의해 본체(110) 내부의 물이 가열되어 발생되는 증기는 내부 찜기(120)의 통공(122)을 통해 찜기 내부로 유입되어 내부 찜기(120) 내에 수용된 음식물을 증숙으로 익힐 수 있게 되며, 증숙에 이용되고 남는 여분의 증기는 내부 찜기(120)의 상부 공간으로 상승하면서 뚜껑(130)의 보온 부재(132) 내벽까지 상승하게 된다. 여기서 뚜껑(130)은 아치형의 구조를 이루게 되므로 뚜껑 측으로 상승한 여분의 증기는 보온 부재(132)의 내벽에서 응결되어 물로 환원된 후 아치형의 보온 부재(132) 내벽을 따라 흘러내리게 된다. 이때 뚜껑(130)은 본체(110)의 제1플랜지(111)의 단차구조 내측으로 그 가장자리가 안착되게 결합되어 있고, 내부 찜기(120)는 상단 개방부가 라운드구조의 제2플랜지(121)를 형성하게 되므로 아치형의 보온 부재(132) 내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라운드구조의 제2플랜지(121)에 의해 내부 찜기(120)의 내부로는 유입되지 못하고 내부 찜기(120)의 외측에서 곧 바로 본체(110)의 내벽을 따라 하부로 환수되도록 유도될 수 있게 된다. 이후 본체(110)로 환수된 물은 다시 증숙을 위해 재사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열을 통해 증숙이 완료되면, 이후 본체(110)와 뚜껑(130)을 잠그고 있던 잠금장치(150)를 풀고 전후 또는 좌우의 일측 또는 양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손잡이(140)를 사용하여 뚜껑(130)을 개방함으로써 전자레인지의 전자기파에 의해 증숙된 음식물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의 전자기파에 의한 가열을 통해 찜기 내에서 증기를 발생시켜 찜기 내 각종 음식물을 증숙할 수 있고 찜기 내 여분의 증기에 의해 찜기 상부의 뚜껑에서 응결되는 수분은 뚜껑과 용기의 내벽을 통해 용기 내 하부로 환수된 후 다시 증기로 환원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밥이나 떡, 설기 또는 호빵 등의 다양한 음식물을 증숙할 수 있으면서도 동시에 전자기파에 의한 조리시 찜기 내 여분의 증기로 인해 뚜껑 상부에서 응결된 수분이 찜기 내 조리된 음식물로 직접 낙하하지 않도록 하여 고슬고슬하게 이미 잘 쪄진 음식물의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찜기 내 여분의 증기가 전자레인지의 가열실 내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므로 전자레인지 가열실 내 수분 잔존량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전자레인지의 수명 단축 문제 또는 청결을 위한 빈번한 청소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게 한다.
110 : 본체 111 : 제1플랜지
112 : 찜기 결림편 113 : 뚜껑 결합돌기
120 : 내부찜기 121 : 제2플랜지
122 : 통공 130 : 뚜껑
131 : 커버부재 132 : 보온부재
133 : 결합홈 140 : 손잡이
150 : 잠금장치 151 : 걸이부
152 : 잠금부

Claims (7)

  1. 상단 개방형으로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단차구조의 제1플랜지(111)가 형성되는 본체(110);
    상단 개방형으로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110) 내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벽의 상단 외주연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라운드 구조의 제2플랜지(121)가 형성되고 다수의 통공(122)이 바닥면에 형성되는 내부 찜기(120); 및
    상기 본체(110)의 제1플랜지(111) 단차구조 내측으로 가장자리가 안착되게 결합되거나 분리되어 본체(11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며, 본체(110)에서 발생되어 내부 찜기(120)의 상부 공간으로 상승된 증기를 내벽에서 응결시켜 본체(110)의 하부로 환수되게 유도하는 뚜껑(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2. 제1항에 있어서,
    뚜껑 개폐를 위한 파지가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130)의 상부 또는 일측에 돌출되게 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손잡이(14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3. 제1항에 있어서,
    걸이부(151)와 잠금부(152)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10)와 뚜껑(130)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본체(110)의 제1플랜지(111)와 뚜껑(13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되 본체(110)와 뚜껑(130)의 서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본체(110)와 뚜껑(130)의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적어도 2개소 이상에 설치되어 뚜껑(130)이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15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제1플랜지(112)의 일측에 뚜껑의 정위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뚜껑 결합돌기(113)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130)은,
    상기 본체(110)의 각 뚜껑 결합돌기(113)에 대응하여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1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30)은,
    상기 본체(110)의 상단 개방부를 개폐하며 제1플랜지(111)의 단차구조 내측으로 안착되는 외측의 커버 부재(131); 및
    상기 커버 부재(131)의 내측에 형성되되 상기 내부 찜기(120)의 상단 개방부를 밀착하여 감싸거나 개방하는 내측의 보온 부재(132);로 형성되어,
    본체(110)에서 발생되어 내부 찜기(120)의 상부 공간으로 상승된 증기를 보온 부재(132)의 내벽에서 응결시켜 그 내벽을 따라 본체(110)의 하부로 환수 유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측벽의 내주연에 중심부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 개의 찜기 걸림편(112)이 형성되되, 본체(110) 측벽의 내주면을 따라 균등 간격 이격되면서 본체(11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찜기(120)는,
    상기 다수 개의 찜기 걸림편(112)에 의해 몸체의 외측벽이 거치 및 지지되어 상기 본체(110)의 측면과 바닥면으로부터 각각 일정 거리 이격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KR1020220076345A 2022-06-22 2022-06-22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KR202301750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345A KR20230175005A (ko) 2022-06-22 2022-06-22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6345A KR20230175005A (ko) 2022-06-22 2022-06-22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5005A true KR20230175005A (ko) 2023-12-29

Family

ID=8933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6345A KR20230175005A (ko) 2022-06-22 2022-06-22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500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135B1 (ko) 2009-03-06 2009-06-10 김선태 다용도 찜기
KR101548430B1 (ko) 2013-11-26 2015-08-28 이완희 소형 떡 찜기
KR20210132985A (ko) 2020-04-28 2021-11-05 임철준 떡찜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135B1 (ko) 2009-03-06 2009-06-10 김선태 다용도 찜기
KR101548430B1 (ko) 2013-11-26 2015-08-28 이완희 소형 떡 찜기
KR20210132985A (ko) 2020-04-28 2021-11-05 임철준 떡찜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097230A (en) Microwave cooking utensil
KR950005785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
KR20230175005A (ko) 전자레인지용 간이형 다용도 찜기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100812295B1 (ko) 조리장치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US11272803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with invertible insert basket and method of steam cooking using same
KR20130005355U (ko)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KR101605253B1 (ko) 뚝배기
JP3214351U (ja) 電子レンジ用炊飯器
KR200320853Y1 (ko) 조리용 용기
KR100818778B1 (ko) 가열통
CN115969218A (zh) 一种可在微波环境中使用的容器
KR200305018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골냄비겸용 찜솥
KR101227248B1 (ko) 다용도 압력 조리장치
JP3241254U (ja) 仕切り鍋
JP2006129911A (ja) 炊飯器
JP3141942U (ja) オーブン用蒸し器
JP3224380U (ja) 中蓋及び電子レンジ用調理器具
KR20110085840A (ko) 전자레인지용 계란 조리용기 및 그 제조방법
JP3919569B2 (ja) 電子レンジ用卵ゆで器
KR200255238Y1 (ko) 찜통
JP2557024Y2 (ja) 電子レンジ用蒸し器
JP2024058214A (ja) 電子レンジ用蒸し器
JPH0532014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