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2052A -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2052A
KR20230172052A KR1020220071900A KR20220071900A KR20230172052A KR 20230172052 A KR20230172052 A KR 20230172052A KR 1020220071900 A KR1020220071900 A KR 1020220071900A KR 20220071900 A KR20220071900 A KR 20220071900A KR 20230172052 A KR20230172052 A KR 20230172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temperature
exhaust
processing chamber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1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홍순
Original Assignee
정도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도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도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1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2052A/ko
Publication of KR20230172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20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80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 B01D46/82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with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8Stirring or kne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60Biochemical treatment, e.g. by using enzy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10Temperatur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20/0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 G16Y20/10Information sensed or collected by the things relating to the environment, e.g. temperature; relating to loc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Y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SPECIALLY ADAPTED FOR THE INTERNET OF THINGS [IoT]
    • G16Y40/00IoT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f the information processing
    • G16Y40/30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류 폐기물을 메인 히터 및 교반기에 의해 발효 건조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는 처리챔버와, 처리챔버의 상부 순환관과 상부 회수관 사이에 연통되게 접속되며 다수의 제1열교환로들이 중간에 형성된 메인 순환관로와, 처리챔버의 배기관을 통해 접속되어 배출가스의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제1열교환로와 교차되게 결합된 제2열교환로들을 통해 배출하는 탈취챔버와, 제2열교환로들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토출경로를 형성하는 배출챔버와, 배출챔버에 장착되어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팬과, 탈취 챔버 내에 장착되어 악취성분을 가열에 의해 탄화처리하는 공기히터와, 탈취 챔버 내부에 장착된 탈취촉매와, 메인 순환관로상에 설치된 순환팬과, 처리챔버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센서와, 탈취챔버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온도센서와, 배기관 내에 설치되어 수분을 검출하는 수분센서와, 제1 및 제2온도센서와 수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메인 히터, 공기히터, 교반기, 순환팬, 배출팬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apparatus for drying and reduc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음식물쓰레기를 가열에 의해 건조 및 감량하는 과정에서 폐열을 활용하면서 탈취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처리장치란 식생활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식생활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 처리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하는 매립지 확보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를 매립지에 매립하게되면 음식물 쓰레기가 썩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 및 악취로 인해 매립지 주변이 심하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620078호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와 미생물을 교반하여 미생물로 인해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 및 분해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을 처리하지 못하여 여전히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음식물류 폐기물을 소멸처리하는 장치는 소멸조의 내부 가스를 탈취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소멸조의 내부 가스를 외부 공기로 교체하면서 원활하게 배출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위한 종래 기술로서 등록특허 제20-0437624호가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외부 공기를 회오리가 일도록 분사하고 있으나, 외기 온도가 매우 낮은 경우 소멸조 내부의 온도를 저하할 수 있어 반응 효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열이용 효율과 악취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투입도어에 의해 개방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메인 히터 및 교반기에 의해 발효 건조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부 순환관과, 상기 상부 순환관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처리챔버의 상부에 상부로 연장된 외기 유입관과, 상기 처리챔버의 상부에 상기 상부 순환관 및 상기 외기 유입관의 접속부분과 이격되는 위치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된 상부 회수관이 접속된 처리챔버와; 상기 처리챔버의 상기 상부 순환관과 상기 상부 회수관 사이에 연통되게 접속되며 상호 병렬상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다수의 제1열교환로들이 중간에 형성된 메인 순환관로와; 상기 처리챔버의 측면에 형성된 1차 배기구로부터 연장된 배기관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처리챔버로부터 발생되는 배출가스의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1열교환로와 교차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열교환로들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2열교환로들을 통해 배출하는 탈취챔버와; 상기 탈취챔버의 상기 제2열교환로들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토출경로를 형성하는 배출챔버와; 상기 배출챔버에 장착되어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팬과; 상기 탈취 챔버 내에 장착되어 유입된 배출가스의 악취성분을 가열에 의해 탄화처리하는 공기히터와; 상기 공기히터를 경유한 공기의 악취성분을 탈취하도록 상기 탈취 챔버 내부에 장착된 탈취촉매와; 상기 메인 순환관로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과; 상기 처리챔버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탈취챔버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온도센서와; 상기 배기관 내에 설치되어 수분을 검출하는 수분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와 상기 수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히터, 상기 공기히터, 상기 교반기, 상기 순환팬, 상기 배출팬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1열교환로를 거쳐 연장된 상기 상부 회수관에는 상기 외기유입관의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 선단부분이 내부를 일부 경유한 후 외부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외기를 열교환에 의해 가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챔버는 상기 탈취 챔버와, 상기 제1열교환로와 상기 제2열교환로를 포위하도록 에워싸게 형성되되 상기 제2열교환로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탈취챔버의 선단을 향해 진행하도록 상기 탈취챔버의 선단 부근에 제2배출구가 형성된 메인 배출챔버와,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 배출 챔버와 접속되어 있고 상부에 제3배출구가 형성된 서브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팬은 상기 서브 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3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기기류가 형성되게 상기 서브 챔버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니트는 작동조작을 지시하는 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건조 및 감량모드 수행 작동지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상기 메인히터와 상기 공기히터 및 상기 순환팬이 가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제1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외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제1댐퍼가 상기 외기공급관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1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2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배기팬이 작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수분센서에 검출된 신호가 설정된 건조 목표값에 도달되면 상기 배기팬과 상기 메인히터 및 상기 공기히터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순환팬만 가동을 유지하면서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1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3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순환팬의 가동이 중지되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히터의 가동시 상기 제2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탈취챔버의 내부 온도가 370 내지 390℃로 유지되게 제어하고,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1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3온도에 도달하여 상기 순환팬의 가동이 중지되게 처리한 후에는 상기 처리챔버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처리챔버에 형성된 배출도어가 개방되게 배출도어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에 의하면, 열이용 효율과 악취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의 제어 계통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100)는 처리챔버(110), 메인 순환관로(123), 탈취챔버(140), 배출챔버(150), 순환팬(161), 배출팬(162), 공기히터(143), 탈취촉매(145), 제1온도센서(171), 제2온도센서(172), 수분센서(175), 제어유니트(180)를 구비한다.
처리챔버(110)는 투입도어(111)에 의해 개방된 투입구(111a)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메인 히터(118) 및 교반기(119)에 의해 발효 건조하는 내부 수용공간(113)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 112는 내부 수용공간(113)에 처리완료된 음식물 쓰레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도어이다.
여기서 교반기(119)는 교반기 구동부(183)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83a)로부터 동력절단부재를 통해 처리챔버(110) 내에서 회전되게 설치된 회전축(119a)에 상호 이격되게 형성된 교반아암(119b)의 종단에 임펠러(119c)가 장착되어 회전에 의해 교반이 이루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처리챔버(110)의 상부에는 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순환 또는 배기 및 외기의 유입을 수행할 수 있게 상부 순환관(121), 외기 유입관(125), 상부 회수관(127)이 접속되어 있다.
상부 순환관(121)은 처리챔버(110)의 투입도어(111)에 인접한 상부에서 일단이 접속되어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술되는 메인 순환관로(123)의 일측과 타단이 연통되게 접속되어 있다.
외기 유입관(125)은 상부 순환관(121)의 접속부분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의 처리챔버(110)의 상부에 일단이 접속되어 상부로 연장된 후 수평상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 외기유입구가 형성된 외기 유입 선단부분(125a)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제1댐퍼(126)는 외기 유입 선단부분(125a)에 형성된 외기 유입구를 개폐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다.
상부 회수관(127)은 처리챔버(110)의 상부에 일단이 상부 순환관(121) 및 외기 유입관(125)과 이격되는 위치에서 접속되어 수평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메인 순환관로(123)는 처리챔버(110)에 접속된 상부 순환관(121)의 타탄과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타단은 상부 회수관(127)과 접속되어 상부 순환관(121)과 상부 회수관(127)사이에 연통되어 가스의 순환경로를 제공하며 중간에 상호 병렬상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다수의 제1열교환로(124)들이 중간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열교환로(124)들은 후술되는 제2열교환로(147)와 열교환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순환되는 가스의 가열을 지원한다.
또한, 제1열교환로(124)를 거쳐 연장된 상부 회수관(127)에는 외기유입관(125)의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 선단부분(125a)이 내부를 일부 경유한 후 외부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외기를 열교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외기 유입 선단부분(125a)이 외부에서 상부 회수관(127) 내부로 진입하여 일정길이 수평상으로 연장된 후 상부 회수관(127) 외부로 노출되게 연장된 후 처리챔버(110)와 접속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1댐퍼(126)가 개방된 상태에서 외기 유입 선단부분(125a)을 통해 유입되는 외기는 상부 회수관(127) 내부를 경유하는 과정에서 가열되어 처리챔버(11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순환팬(161)은 메인 순환관로(123)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킨다. 순환팬(161)은 제1열교환로(124)로를 향해 공기를 송풍시킬 수 제1열교환로(124)와 대향되게 송풍날개가 설치되어 있다.
탈취 챔버(140)는 처리챔버(110)의 측면에 형성된 1차 배기구(110a)로부터 연장된 배기관(132)을 통해 접속되어 처리챔버(110)로부터 발생되는 배출가스의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제1열교환로(124)와 교차되게 결합되어 제1열교환로(124)들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2열교환로(147)들을 통해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기히터(143)는 탈취 챔버(140) 내에 장착되어 유입된 배출가스의 악취성분을 가열에 의해 탄화처리한다.
탈취촉매(145)는 공기히터(143)를 경유한 공기의 악취성분을 탈취하도록 탈취 챔버(140) 내부에 장착되어 있다. 탈취촉매(145)는 활성2산화망간, 구리이온담지제오라이트 및 구리산화물이 포함된 혼합물 등 공지된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배출챔버(150)는 탈취챔버(140)의 제2열교환로(147)들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토출경로를 형성한다.
배출챔버(150)는 메인 배출챔버(151)와 서브 배출챔버(152)로 형성되어 있다.
메인 배출챔버(151)는 탈취 챔버(140)와, 제1열교환로(124)와 제2열교환로(147)를 모두 포위하도록 에워싸게 형성되되 제2열교환로(147)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탈취챔버(140)의 배출관(132)의 타단과 접속된 선단을 향해 하방으로 진행하도록 탈취챔버(140)의 선단 부근에 제2배출구(151a)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서브 배출챔버(152)는 제2배출구(151a)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도록 메인 배출 챔버(151)와 접속되어 있고 상부에 제3배출구(152a)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팬(162)은 배출챔버(150)에 장착되어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한다.
배출팬(162)은 서브 챔버(152)의 바닥면에서 제3배출구(152a)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기기류가 형성되게 서브 챔버(152)에 설치되어 있다.
제1온도센서(171)는 처리챔버(110) 내부의 온도를 검출한다.
제2온도센서(172)는 탈취챔버(140) 내부의 온도를 검출한다.
수분센서(175)는 배기관(132) 내에 설치되어 수분량을 검출한다.
제어유니트(180)는 제1 및 제2온도센서(171)(12)와 수분센서(175)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메인 히터(118), 공기히터(143), 교반기(119), 순환팬(161), 배출팬(162)의 가동을 제어한다.
제어유니트(180)는 조작부(181), 교반기 구동부(183), 배출도어 구동부(185), 제1댐퍼 구동부(187) 및 제어부(188)를 구비한다.
조작부(181)는 작동조작을 지시하는 키가 마련되어 있다.
교반기 구동부(183)는 교반기(119)가 회전되게 모터(183a)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1댐퍼구동부(187)는 제1댐퍼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위치로 회전되게 제어한다.
배출도어 구동부(185)는 배출도어가 개방 또는 폐쇄되게 제어한다.
제어부(188)는 조작부(181)로부터 건조 및 감량모드 수행 작동지시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히터(118), 공기히터(143) 및 순환팬(161)이 가동되게 제어하고, 제1온도센서(171)로부터 검출된 처리챔버(110)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제1온도에 도달하면, 외기 유입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한다. 제어부(188)는 처리챔버(110)의 내부온도가 외기유입이 가능한 제1온도에 도달하면, 외기 공급관(125)을 개폐하는 제1댐퍼(126)가 외기공급관(125)을 개방하도록 제어한다. 이후 제어부(188)는 처리챔버(110)의 내부온도가 제1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2온도에 도달하면 배기가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고, 배기팬(162)이 작동되게 제어하고, 수분센서(175)에 검출된 신호가 설정된 건조 목표값에 도달되면 건조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배기팬(162)과 메인히터(118) 및 공기히터(143)의 가동을 중단하고 순환팬(161)만 가동을 유지하면서 처리챔버(110)의 내부온도가 제1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3온도에 도달하면 식힘과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순환팬(161)의 가동이 중지되게 처리한다.
여기서, 제1온도는 50℃, 제2온도는 60℃, 제3온도는 30℃ 등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8)는 공기히터(143)의 가동시 제2온도센서(172)로부터 검출된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탈취챔버(140)의 내부 온도가 370 내지 390℃로 유지되게 제어하고, 처리챔버(110)의 내부온도가 제1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3온도에 도달하여 순환팬(161)의 가동이 중지되게 처리한 후에는 처리챔버(110)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처리챔버(110)에 형성된 배출도어(112)가 개방되게 배출도어 구동부(185)를 제어한다. 이 과정에서 회전되는 교반기(119)의 임펠러(119c)의 간섭에 의해 처리챔버(110) 내부의 건조 및 감량 처리된 내용물이 배출도어(112)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는 다르게, 수동으로 배출도어(112)가 개방되게 구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에 의하면, 열이용 효율과 악취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처리챔버 121: 상부 순환관
123: 메인 순환관로 125: 외기 유입관
127: 상부 회수관 140: 탈취챔버
143: 공기히터 145: 탈취촉매
150: 배출챔버 161: 순환팬
162: 배출팬 171: 제1온도센서
172: 제2온도센서 175: 수분센서
180: 제어유니트

Claims (5)

  1. 투입도어에 의해 개방된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음식물류 폐기물을 메인 히터 및 교반기에 의해 발효 건조하는 내부 수용공간을 갖으며 상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상부 순환관과, 상기 상부 순환관에 대해 이격되는 위치의 상기 처리챔버의 상부에 상부로 연장된 외기 유입관과, 상기 처리챔버의 상부에 상기 상부 순환관 및 상기 외기 유입관의 접속부분과 이격되는 위치에서 수평상으로 연장된 상부 회수관이 접속된 처리챔버와;
    상기 처리챔버의 상기 상부 순환관과 상기 상부 회수관 사이에 연통되게 접속되며 상호 병렬상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다수의 제1열교환로들이 중간에 형성된 메인 순환관로와;
    상기 처리챔버의 측면에 형성된 1차 배기구로부터 연장된 배기관을 통해 접속되어 상기 처리챔버로부터 발생되는 배출가스의 악취성분을 제거하여 상기 제1열교환로와 교차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열교환로들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제2열교환로들을 통해 배출하는 탈취챔버와;
    상기 탈취챔버의 상기 제2열교환로들을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토출경로를 형성하는 배출챔버와;
    상기 배출챔버에 장착되어 배출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팬과;
    상기 탈취 챔버 내에 장착되어 유입된 배출가스의 악취성분을 가열에 의해 탄화처리하는 공기히터와;
    상기 공기히터를 경유한 공기의 악취성분을 탈취하도록 상기 탈취 챔버 내부에 장착된 탈취촉매와;
    상기 메인 순환관로상에 설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는 순환팬과;
    상기 처리챔버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탈취챔버 내부의 온도를 검출하는 제2온도센서와;
    상기 배기관 내에 설치되어 수분을 검출하는 수분센서와;
    상기 제1 및 제2온도센서와 상기 수분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센싱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메인 히터, 상기 공기히터, 상기 교반기, 상기 순환팬, 상기 배출팬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열교환로를 거쳐 연장된 상기 상부 회수관에는 상기 외기유입관의 외기를 유입하는 외기 유입 선단부분이 내부를 일부 경유한 후 외부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외기를 열교환에 의해 가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챔버는
    상기 탈취 챔버와, 상기 제1열교환로와 상기 제2열교환로를 포위하도록 에워싸게 형성되되 상기 제2열교환로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탈취챔버의 선단을 향해 진행하도록 상기 탈취챔버의 선단 부근에 제2배출구가 형성된 메인 배출챔버와, 상기 제2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 배출 챔버와 접속되어 있고 상부에 제3배출구가 형성된 서브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배출팬은 상기 서브 챔버의 바닥면에서 상기 제3배출구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기기류가 형성되게 상기 서브 챔버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작동조작을 지시하는 키가 마련된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로부터 건조 및 감량모드 수행 작동지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상기 메인히터와 상기 공기히터 및 상기 순환팬이 가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제1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온도가 설정된 제1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외기 공급관을 개폐하는 제1댐퍼가 상기 외기공급관을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1온도보다 높게 설정된 제2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배기팬이 작동되게 제어하고, 상기 수분센서에 검출된 신호가 설정된 건조 목표값에 도달되면 상기 배기팬과 상기 메인히터 및 상기 공기히터의 가동을 중단하고 상기 순환팬만 가동을 유지하면서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1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3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순환팬의 가동이 중지되게 처리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히터의 가동시 상기 제2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온도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탈취챔버의 내부 온도가 370 내지 390℃로 유지되게 제어하고, 상기 처리챔버의 내부온도가 상기 제1온도보다 낮게 설정된 제3온도에 도달하여 상기 순환팬의 가동이 중지되게 처리한 후에는 상기 처리챔버의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처리챔버에 형성된 배출도어가 개방되게 배출도어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KR1020220071900A 2022-06-14 2022-06-14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KR202301720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900A KR20230172052A (ko) 2022-06-14 2022-06-14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1900A KR20230172052A (ko) 2022-06-14 2022-06-14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2052A true KR20230172052A (ko) 2023-12-22

Family

ID=8930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900A KR20230172052A (ko) 2022-06-14 2022-06-14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7205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72052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KR97003309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발효/소멸방법
JP2000044372A (ja) 循環空気調和型堆肥化施設
JPH06292875A (ja) 生ゴミ処理装置
JP2002177928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H0889929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022682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발효조 내부 수분 조절장치 및 방법
JP2003103233A (ja) 厨芥処理機
JP3481022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2000126731A (ja) 生ゴミ生分解処理装置
JPH08252558A (ja) 厨芥処理装置
JPH05220463A (ja) 生ごみ処理炉
JP3454248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H07214037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2003008895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6289205A (ja) 有機性廃棄物処理装置
KR2003008895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조 공기 유입 및 배출장치
KR2007009657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341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JPH09124385A (ja) 固形有機質廃棄物の高温好気発酵処理装置
JPH06142634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H11290812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9980066477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H10156317A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2200473A (ja) 有機物処理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