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6578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6578A
KR20070096578A KR1020060027327A KR20060027327A KR20070096578A KR 20070096578 A KR20070096578 A KR 20070096578A KR 1020060027327 A KR1020060027327 A KR 1020060027327A KR 20060027327 A KR20060027327 A KR 20060027327A KR 20070096578 A KR20070096578 A KR 20070096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air
sensor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호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7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96578A/ko
Publication of KR20070096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6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오염정도에 따라 외기흡입보상을 하여 필터를 통해 탈취시키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센서, 오염도, 음식물 쓰레기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어방법{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Food garbage processing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우징 110 : 수거부
120 : 투입구 130 : 조작부
141 : 히터 142 : 이송관
143 : 순환팬 150 : 공기흡입구
151 : 밸브 161 : 필터
162 : 센서 163 : 팬
164 : 배출구
한국등록특허 제249231호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오염정도에 따라 외기흡입보상을 하여 필터를 통해 탈취시키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발생되는 생활쓰레기 중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31%로서, 그 비중이 날로 늘어만 가고 있는데, 이와 더불어 쓰레기 종량제의 전격적인 실시와 함께 매립지에서의 음식물 쓰레기 반입 금지 결정으로 인하여 주부들 사이에서는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최대한 줄여보고자 하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고, 이에 발맞추어 여러 제조업체에서는 음식물 쓰레기만을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시판하고 있다.
지금까지 유통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여러가지 타입이 있는데, 특이할 점은 거의 모든 제품이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에 의해 처리하고 있다는 점이고, 이로인해 기본적인 구성은 모두 유사하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한국등록특허 제249231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그럼 여기서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어느 특정한 하나의 음식물 쓰레기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뚜껑(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 내 부에는 발효보조제 및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발효조(3)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발효조 내에는 모터(4)의 구동력을 벨트(5)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발효보조제와 음식물 쓰레기를 섞어주도록 교반날개(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발효조(3)의 외측 하부면에는 발효조를 가열하도록 히터(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전면 일측 상부모서리부에는 발효조(3)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에 필요한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구(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전면 타측 상부모서리부에는 발효조(3)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본체(1)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출구(9)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구(9)에는 발효모드 선택시 회전하면서 흡입구(8)를 통한 공기의 흡입력과 배출구(9)를 통한 흡입된 공기의 배출력을 동시에 제공하도록 팬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에 설치된 뚜껑(2)을 열어 발효조(3) 내로 발효균이 함유된 발효보조제와 함께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다음 다시 뚜껑(2)를 닫고 발효모드를 선택하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모터(4)가 구동하므로 상기 발효조(3) 내에 설치된 교반날개(6)가 상기 모터(4)의 구동력을 벨트(5)를 통해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발효조(3) 내로 투입되어 있는 발효보조제와 음식물 쓰레기를 혼합시켜 주는데, 이와 동시에 발효조(3)의 외측 하부에 설치된 히터(7)가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하여 열을 발생시키므로 이 발생된 열에 의해 발효조(3)가 가열되고, 본체(1)의 전면 타측 상부모서리부에 형성된 배출구(9) 내의 팬이 콘트롤러의 제어신호를 받아 회전하므로 이 회전력에 의해 외부 공기가 상기 본체(1)의 전면 일측 상부모서리부에 형성된 흡입구(8)를 통해 발효조(3) 내부로 흡입됨과 동시에 상기 발효조 내로 흡입된 공기는 배출구(9)를 통해 본체(1)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하여 발효조(3)가 가열되고, 외부 공기가 흡입구(8)를 통해 상기 발효조(3) 내부로 계속해서 흡입된 다음 배출구(9)를 통해 다시 본체(1) 외부로 배출되면 발효조(3) 내부는 설정 발효온도를 유지하게 됨과 함께 산소가 존재하게 되므로 발효균의 성장이 왕성해 지면서 발효보조제와 혼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되기 시작하는데, 상기 발효가 일정시간 계속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감량화 되면서 퇴비로 변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작용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되는 과정에서는 발효가스가 발생되고, 이 발효가스는 배출구(9) 내에 설치된 팬의 회전에 따라 배출되는 공기에 실려 본체(1) 외부로 빠져나간다.
종래의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발효조(3) 내부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구(9)를 통해 바로 토출되기 때문에 외부에 오염을 유발하며, 쓰레기 냄새와 같은 악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부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히터와,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팬과, 가열시 발생된 수증기와 가스를 배기덕트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팬과 , 그 배기팬에 의해 배출되는 수증기와 가스로부터 악취를 흡착, 탈취하도록 그 배기덕트에 탈취장치를 지니며, 상기 배기덕트내의 유로가 부분적으로 제1 및 제2 유로로 분리되는 확대부가 형성되고, 그 확대부의 전방에 상기 제1 및 제2 유로의 어느 하나만을 개방시키도록 개폐회동하는 도어가 설치되며, 상 기 탈취장치는 그 제1 및 제2 유로에 각각 설치되는 저온 탈취 장치와, 고온탈취장치로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발효조 내의 수증기 및 가스가 오염도가 클 경우에는 탈취장치를 통해 탈취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채로 외부로 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오염정도에 따라 외기흡입보상을 하여 필터를 통해 탈취시키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외기유입구와, 상기 외기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와, 상기 하우징에 있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토출시키는 팬과,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오염정도에 따라 외 기흡입보상을 하여 필터를 통해 탈취시키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센서와 상기 필터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필터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필터의 탈취효율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밸브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탈취되지 않은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구는 상기 필터 전단에 오도록 배치되어, 외기로 인해 하우징 내부에 열손실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어방법은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외기의 유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판단되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외기유입구와, 상기 외기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151)와, 상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배출구(164)와, 상기 배출구(16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161)와, 상기 하우징(100)에 있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164)로 토출시키는 팬(163)과, 상기 배출구(16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162)와, 상기 센서(16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밸브(151)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우징(100) 음식물 쓰레기가 넣어지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측면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될 수 있는 수거부(110) 형성되고, 측면 상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하우징(100) 내부에는 하우징(10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를 저어주는 교반기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 상부에는 장치를 작동 또는 조작할 수 있는 스위치 등으로 구비되는 조작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건조장치는 하우징(100)의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이송관(142), 상기 이송관(142)에 설치되는 히터(141)와, 상기 히터(141)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이송하며 상기 이송관(142)에 설치되는 순환팬(143)을 포함하여, 하우징(100) 내부의 음식물을 건조시킨다.
히터(141)는 이송관(142) 내부에 설치되고 순환팬(143)은 히터(141) 하류측인 아래쪽에 오도록 설치된다.
한편, 이송관(142)에는 외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50)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외기는 공기흡입구(150)를 통해 유입되어 이송관(142)으로 이송된 후 히터(141)에서 가열되어 순환팬(143)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건조장치는 하우징(100)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장치에 의해 형성된 열풍이 하우징(100)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기유입구는 필터(161) 전단에 오도록 배치되며, 하우징(100)의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기유입구로 유입된 외기가 필터(161) 전단에서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와 바로 섞여서 필터(161)를 통과하게 됨으로써, 상기 외기유입구로 유입된 외기가 하우징(100) 내부 전체로 이송되어 열손실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밸브(151)는 상기 외기유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외기유입구를 개폐한다.
나아가, 밸브(151)는 하우징(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출구(164)는 상기 하우징(100)에 상부에 형성되며, 하류측에는 절곡부를 형성하여 배출된 공기가 하우징(100) 하부를 향하여 토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터(161)는 탈취효과가 큰 활성탄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배출구(16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한다.
팬(163)은 배출구(164)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에 있는 공기를 상기 배 출구(164)로 토출시킨다.
센서(162)는 가스센서로 구비되어, 배출구(164)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악취와 같은 오염도를 감지한다.
한편, 센서(162)와 필터(161)는 배출구(164)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162)는 상기 필터(161)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162)는 배출구(164) 내부에서 상측에 설치된다.
또한, 팬(163)은 센서(162)와 근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센서(16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밸브(151)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는 센서(162)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오염도가 높을 때에는 외기가 유입되도록 밸브(151)를 열어서 하우징(100) 내부로 외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공기의 오염도가 낮을 때에는 밸브(151)를 닫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00) 내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습기 및 가스를 포함한 공기는 팬(163)에 의해 배출구(164)로 이송되며, 배출구(164) 내부에 설치된 필터(161)를 통해 탈취 및 필터링 되며, 필터링된 공기는 센서(162)에 의해 오염도가 감지된다.
오염도가 높게 감지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밸브(151)를 작동시켜 외기를 하우징(100) 내부로 유입시킨다. 이와 같이 외기가 유입되면 하우징(100) 내부에 있는 공기는 중화되어 오염도가 낮아지게 되며 필터(161)를 통해 탈취 및 필터링하는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어방법은 하우징(10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외기의 유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판단되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구(164)에 설치된 필터(161)를 통과한 공기를 센서(162)를 통해 오염도를 감지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센서(162)는 필터(161)를 통해 필터링되기 전의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외기의 유입여부를 판단한다. 오염도가 낮으면 외기를 유입시키지 않도록 판단하고 오염도가 높으면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판단한다.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판단되면 밸브(151)를 열어 상기 하우징(100)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의 오염정도에 따라 외기흡입보상을 하여 필터를 통해 탈취시키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센서와 상기 필터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필터보다 하류측에 배치되어, 필터의 탈취효율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밸브를 적합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여, 탈취되지 않은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외기유입구는 상기 필터 전단에 오도록 배치되어, 외기로 인해 하우징 내부에 열손실이 생기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Claims (5)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외기유입구;
    상기 외기유입구를 개폐하는 밸브;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배출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
    상기 하우징에 있는 공기를 상기 배출구로 토출시키는 팬;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 상기 필터는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며,
    상기 센서는 상기 필터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하우징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유입구는 상기 필터 전단에 오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오염도에 따라 외기의 유입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외기를 유입시키도록 판단되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외기를 유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제어방법.
KR1020060027327A 2006-03-27 2006-03-27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96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327A KR20070096578A (ko) 2006-03-27 2006-03-27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327A KR20070096578A (ko) 2006-03-27 2006-03-27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6578A true KR20070096578A (ko) 2007-10-02

Family

ID=38803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327A KR20070096578A (ko) 2006-03-27 2006-03-27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965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368A (zh) * 2018-08-16 2018-12-11 苏州仁益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稻谷烘干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81368A (zh) * 2018-08-16 2018-12-11 苏州仁益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稻谷烘干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6108A (ko)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7009657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120340A (ko) 하이브리드형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터블 음식물처리장치와 그의 제어방법
KR10022682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발효조 내부 수분 조절장치 및 방법
KR20014400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공기 공급장치
JP2003340409A (ja) 生ゴミ処理機
KR100714063B1 (ko) 음식물쓰레기 미생물발효기의 투입장치
KR19990054177A (ko) 에어커튼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57043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흡기제어장치
KR20030088958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249231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기
KR1002268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216185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수분제어시스템
JP4191026B2 (ja) 生ゴミ処理機
KR10020963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처리방법
KR20100024838A (ko)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JP3587108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230172052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 및 감량장치
KR10057043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기제어장치
JP3298293B2 (ja) 厨芥処理機
KR2006012035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JP2002361210A (ja) 生ごみ処理装置
JPH09215969A (ja) 生ゴミ処理機
KR2006012035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흡기구조
KR19990054200A (ko) 용량가변형 탈취장치를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