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0356A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0356A
KR20060120356A KR20050042159A KR20050042159A KR20060120356A KR 20060120356 A KR20060120356 A KR 20060120356A KR 20050042159 A KR20050042159 A KR 20050042159A KR 20050042159 A KR20050042159 A KR 20050042159A KR 20060120356 A KR20060120356 A KR 20060120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ace
heater
air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42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734B1 (ko
Inventor
김용호
전세균
장기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50042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734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몸체 내측으로는 상부의 구획판(11)을 통해 하부로는 수납용기(20)가 수용되는 소정 용적을 갖는 공간부(12)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부로는 공간부(12)를 외측에서 마감시키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출입도어(15)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상부 전,후로는 흡기부(18)와 배기부(19)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구획판(11) 상부 타측부에서 공간부(12) 내측으로 공기의 흡입 및 처리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몸체 저면부로는 흡입구(31)가 형성되는 송풍팬(30)과;
송풍팬(30)의 몸체 타측 배출구(32) 저면부로 설치되어, 송풍팬(30)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부(4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송풍팬(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측으로는 작동중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콘트롤부(50)를 통해 히터부(40)를 제어할 수 있는 온도감지수단(60)이 형성되므로, 케이싱 변형 방지 및 이로인한 각 전장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Overheat Prevention System for Food Garbage Dehydrator}
도 1 은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과열방지장치의 설치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과열방지장치의 설치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본체 11 - 구획판
12 - 공간부 13 - 인출수단
14 - 안착부 15 - 출입도어
17 - 연통홀 18 - 흡기부
19 - 배기부 20 - 수납용기
30 - 송풍팬 31 - 흡입구
32 - 배출구 40 - 히터부
50 - 콘트롤부 55 - 여과망
60 - 온도감지수단 61 - 써미스터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정 및 업소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공기순환건조 방식에 의해 물기와 음식물 악취를 제거하면서 부피를 축소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본체 케이싱 내부 전장품의 작동으로 인한 온도상승시 이를 검지하여 히터부의 작동을 제어토록 하여 케이싱의 변형 방지 및 전장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잔반(음식물 쓰레기폐기)이 배출되며, 이러한 잔반은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되거나,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섞여 있는 물기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증대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처리하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송풍팬 조립구 조의 구성은 크게 건조처리방식과,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기간 보관 발효시킨 후 처리하는 발효처리방식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상기 건조처리방식의 경우는 비교적 소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가정이나 소규모 식당 등에서 주로사용되는 방식으로 단시간내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물기만을 제거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처리하는 방식은 비교적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이 많은 대규모 식당 등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조 내부에서 일정기간 수납시키면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섞어가면서 발효온도가 유지되는 발효조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화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많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에서 본체의 케이싱 상부측으로 위치되는 전장품( 송풍팬, 히터부, 콘트롤부 등)은 작동시 급격히 내부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본체 케이싱 내부로 위치되는 전장품의 구동시 발생되는 온도 상승으로 인하여 케이싱의 변형 및 이로 인하여 배기 효율이 저하되고, 전장품 전체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 있었으며, 온도상승으로 인한 과열방지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사용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 및 업소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공기순환건조 방식에 의해 물기와 음식물 악취를 제거하면서 부피를 축소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본체 케이싱 내부 전장품의 작동으로 인한 온도상승시 이를 검지하여 히터부의 작동을 제어토록 하여 케이싱의 변형 방지 및 전장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몸체 내측으로는 상부의 구획판(11)을 통해 하부로는 수납용기(20)가 수용되는 소정 용적을 갖는 공간부(12)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부로는 공간부(12)를 외측에서 마감시키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출입도어(15)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상부 전,후로는 흡기부(18)와 배기부(19)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구획판(11) 상부 타측부에서 공간부(12) 내측으로 공기의 흡입 및 처리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몸체 저면부로는 흡입구(31)가 형성되는 송풍팬(30)과;
송풍팬(30)의 몸체 타측 배출구(32) 저면부로 설치되어, 송풍팬(30)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부(4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송풍팬(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 부(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측으로는 작동중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콘트롤부(50)를 통해 히터부(40)를 제어할 수 있는 온도감지수단(60)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는 본체(10)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송풍팬(30), 히터부(40), 콘트롤부(50) 등의 작동중 온도상승으로 인한 과열방지를 위하여 본체(10) 상부 내측으로는 온도감지수단(60)이 형성되므로, 케이싱 변형 방지 및 이로인한 각 전장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 및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과열방지장치의 설치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과열방지장치의 설치구성을 요부 확대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는 본체(10) 내측 상부로 형성되는 전장품(송풍팬, 히터부, 콘트롤부 등)의 작동중 발생되는 온도상승으로 인한 과열을 감지하여 콘트롤부를 통해 히터부를 차단시켜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본체(10)의 구성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으며, 몸체 내측으로는 소정 용적을 갖는 공간부(12)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부로는 공간부(12)를 외측에서 마감시키면서,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출입도어(15)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의 몸체 내측으로 구성되는 공간부(12)는 후술되는 수납용기(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공간부(12)의 크기는 수납용기(20)의 몸체보다 크게 형성하여, 공간부(12) 내측에서 열풍건조방식에 의한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몸체 내측 상부 전,후로는 흡기부(18)와 배기부(19)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몸체 내측 공간부(12)의 후측 상부 전면의 흡기부(18)는 외부공기를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며 후측의 배기부(19)는 처리시 발생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2) 내측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시키는 수납용기(2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 타측부에서 연통홀(17)과 연계되면서 조립되어 공간부(12) 내측으로 공기의 흡입 및 처리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30)이 위치되 고, 상기 송풍팬(30)의 몸체 타측 배출구(32) 저면부로 설치되어, 송풍팬(30)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부(40)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10)의 공간부(12) 내측으로 수납용기(2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는 히터부(40)가 구비된 송풍팬(30)을 이용해서 공간부(12) 내부에서 열풍건조 방식으로 물기 및 악취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며, 이 열풍 순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은 여과망(55)을 통해서 송풍팬(30)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체(10)의 내부 구성은 하부로는 수납용기(20)가 수용되어 열풍건조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12)가 형성되며, 본체(10)의 상부로는 하부와 구획되게 송풍팬(30)과, 히터부(40), 콘트롤부(50)가 본체(10)의 구획판(11)에 설치되는 것이다.
즉, 음식물 쓰레기의 구동시 각각의 전장품을 통해 본체(10) 내부의 온도가 상승되면, 본체(10)의 상부 내측 구획판(11)에 설치된 온도감지수단(60)이 과열된 온도를 검지하여 콘트롤부(50)를 통해 히터부(4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상기와 같이 본체(10) 내부 전장품의 작동으로 인한 과열시 온도감지수단(60)을 통해 고온을 발생시키는 히터부(40)의 작동을 콘트롤부(50)를 통해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각각 전장품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제품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각각의 전장품은 물론 본체(10)의 상,하부로 위치되는 케이싱이 내 부온도 상승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 상부 내측 구획판(11)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수단(60)은 열원을 감지하는 써미스터(61)이며, 이외에 온도를 검지하여 콘트롤부(50)를 제어할 수 있는 센서종류는 모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상기 본체(10) 상부 내측의 구획판(11)에 설치된 온도감지수단(60)은 본체(10)의 공간부(12) 내측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구(31) 전면부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흡입구(31)의 전면위치로 온도감지수단(60)을 형성하므로 써, 열풍건조를 위한 외부공기 흡입시 과열된 내부 온도를 보다 명확히 센싱할 수 있는 것이며, 이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배기를 포함하는 공기순환 효율 역시 보다 원할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본체(10)의 내측 상부로 공간부(12)와 구획판(11)에 의해 분리되게 설치되는 전장품( 히터부(40), 송풍팬(30). 콘트롤부(50) 등)의 작동시 발생되는 온도상승은 온도감지수단(60)을 통해 검지하여 콘트롤부(50)를 거쳐 히터부(40)를 제어하므로 써, 본체(10) 내부 전장품 작동시 과부하로 인한 오동작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작동시 본체 내측 전장품을 통해 발생되는 온도상승으로 인한 과부하를 온도감지수단을 통해서 히터 부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전장품을 비롯한 본체 케이싱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전체적인 처리효율 상승은 물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몸체 내측으로는 상부의 구획판(11)을 통해 하부로는 수납용기(20)가 수용되는 소정 용적을 갖는 공간부(12)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부로는 공간부(12)를 외측에서 마감시키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출입도어(15)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으로는 상부 전,후로는 흡기부(18)와 배기부(19)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구획판(11) 상부 타측부에서 공간부(12) 내측으로 공기의 흡입 및 처리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몸체 저면부로는 흡입구(31)가 형성되는 송풍팬(30)과;
    송풍팬(30)의 몸체 타측 배출구(32) 저면부로 설치되어, 송풍팬(30)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부(40)와;
    상기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되어, 송풍팬(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5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상부 내측으로는 작동중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여 콘트롤부(50)를 통해 히터부(40)를 제어할 수 있는 온도감지수단(6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수단(60)은 본체(10)의 공간부(12) 내측으로 외부공기를 유입시키는 흡입구(31) 전면부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 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KR20050042159A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KR100693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2159A KR100693734B1 (ko)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42159A KR100693734B1 (ko)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356A true KR20060120356A (ko) 2006-11-27
KR100693734B1 KR100693734B1 (ko) 2007-03-12

Family

ID=3770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42159A KR100693734B1 (ko)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45B1 (ko) * 2006-12-29 2007-10-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전면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2930B1 (ko) * 1996-11-29 1999-06-15 전주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온도 다단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342219Y1 (ko) * 2003-11-28 2004-02-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납용기 건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045B1 (ko) * 2006-12-29 2007-10-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전면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3734B1 (ko) 2007-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36393A1 (en) Device for heating cooking goods
KR1006937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KR20080079407A (ko) 음식물쓰레기 진공 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75907B1 (ko) 음식물 쓰레기용 탈취장치
KR20034221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납용기 건조구조
KR200476804Y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035477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KR10069374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KR102200979B1 (ko)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JP2001019970A (ja) 炭化装置
KR2009004497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6937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여과망
KR20034221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공기순환구조
KR2006012035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흡기구조
KR100694173B1 (ko) 폐음식물 건조기의 건조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057043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기제어장치
KR20034221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외부공기 유입구조
CN215211335U (zh) 一种垃圾处理器
KR20060110243A (ko) 탈취기능을 갖는 쿠킹오븐
KR19990054177A (ko) 에어커튼을 구비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00024838A (ko)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KR2009006578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30875B1 (ko) 저온 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035842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6012035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