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3741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3741B1
KR100693741B1 KR1020050042157A KR20050042157A KR100693741B1 KR 100693741 B1 KR100693741 B1 KR 100693741B1 KR 1020050042157 A KR1020050042157 A KR 1020050042157A KR 20050042157 A KR20050042157 A KR 20050042157A KR 100693741 B1 KR100693741 B1 KR 100693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food waste
air
seating por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354A (ko
Inventor
김용호
전세균
장기현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2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374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0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에 관한 것으로, 몸체 내측으로는 소정 용적을 갖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부로는 공간부(11)를 외측에서 마감시키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안착부(13)가 구비되는 출입도어(14)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 상부 전,후로는 흡기부(17)와 배기부(18)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공간부(11) 내측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시키는 수납용기(20)와;
본체(10)의 내측 상부로 구성되면서 송풍팬(30)을 통해 흡입 및 처리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부(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 및 수납용기(20)의 저면으로는 설치시 상호 일정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는 공기연통수단(70)이 형성되므로,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는 수납용기(20) 저면 및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에 공기연통수단(70)을 형성하여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 바닥면과 수납용기(20)가 일정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히터부(40)를 통한 열풍건조시 수납용기(20)의 저면으로도 열풍이 접촉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건조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Structure for Drying Receptacle Food Garbage Dehydrator}
도 1 은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출입도어의 안착부로 본 발명이 적용된 수납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출입도어의 안착부로 수납용기가 설치되어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요부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본체 11 - 공간부
13 - 안착부 14 - 출입도어
16 - 배기부 17 - 흡기부
18 - 경사면 19 - 안내편
30 - 송풍팬 40 - 히터부
60 - 여과망 70 - 공기연통수단
71 - 돌기부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가정 및 업소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공기순환건조 방식에 의해 물기와 음식물 악취를 제거하면서 부피를 축소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출입도어의 몸체에 안착되는 수납용기가 출입도어의 안착부에서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잔반(음식물 쓰레 기폐기)이 배출되며, 이러한 잔반은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되거나,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섞여 있는 물기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증대시키고, 음식물 쓰레기를 바로 처리하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송풍팬 조립구조의 구성은 크게 건조처리방식과, 음식물 쓰레기를 일정기간 보관 발효시킨 후 처리하는 발효처리방식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상기 건조처리방식의 경우는 비교적 소량의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가정이나 소규모 식당 등에서 주로사용되는 방식으로 단시간내에 음식물 쓰레기에서 물기만을 제거하여 처리하는 방식이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처리하는 방식은 비교적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이 많은 대규모 식당 등에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조 내부에서 일정기간 수납시키면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섞어가면서 발효온도가 유지되는 발효조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소형화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많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구성에서 송풍팬과 여과망의 조립구성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에 수납용기(20)가 안착되는 구성에 의해서 본체(10) 내부로 수납된 후 히터부(40)를 통한 송풍팬(30)의 열풍 건조 방식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여 사용하는 방식인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에서 출입도어의 안착부에 설치되는 수납용기는 단순히 안착부에 수납용기가 상호 면접촉 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이므로, 수납용기 내측으로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수납용기 내부로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상부로 위치되는 부분은 열풍과 쉽게 접촉되면서 건조가 빠르게 진행되지만 하부로 적층된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열풍과 접촉되지 못하여 건조효율이 저하되어 처리시간이 증대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처리시간의 증대로 인하여 전력소비가 많아지고 이로 인하여 처리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 및 업소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공기순환건조 방식에 의해 물기와 음식물 악취를 제거하면서 부피를 축소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출입도어의 몸체에 안착되는 수납용기가 출입도어의 안착부에서 공기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 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을 제공하는 데 있다.
몸체 내측으로는 소정 용적을 갖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부로는 공간부(11)를 외측에서 마감시키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안착부(13)가 구비되는 출입도어(14)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 상부 전,후로는 흡기부(17)와 배기부(18)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공간부(11) 내측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시키는 수납용기(20)와;
본체(10)의 내측 상부로 구성되면서 송풍팬(30)을 통해 흡입 및 처리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부(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 및 수납용기(20)의 저면으로는 설치시 상호 일정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는 공기연통수단(70)이 형성되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는 수납용기(20) 저면 및 및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에 공기연통수단(70)을 형성하여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 바닥면과 수납용기(20)가 일정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히터부(40)를 통한 열풍건조시 수납용기(20)의 저면으로도 열풍이 접촉되면서 음식물 쓰레기 건조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설치상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출입도어의 안착부로 본 발명이 적용된 수납용기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출입도어의 안착부로 수납용기가 설치되어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상태를 요부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요부확대 단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 ∼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는 수납용기의 몸체 저면부로 공기연통수단을 형성하여 히터를 통한 열풍이 수납용기의 저면으로 유입되면서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본체(10)의 구성은 소정의 폭과 크기를 갖으며, 몸체 내측으로는 소정 용적을 갖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부로는 공간부(11)를 외측에서 마감시키면서,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출입도어(14)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의 몸체 내측으로 구성되는 공간부(11)는 후술되는 수납용기(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며, 공간부(11)의 크기는 수납용기(20)의 몸체보다 크게 형성하여, 공간부(11) 내측에서 열풍건조방식에 의한 순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몸체 내측 상부 전,후부로는 흡기부(17)와 배기부(18)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의 몸체 상부 전후부로의 흡기부(17)는 외부공기는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하며 배기부(18)는 처리시 발생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내측으로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시키는 수납용기(20)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 타측부에서 연통홀(16)과 연계되면서 조립되어 공간부(11) 내측으로 공기의 흡입 및 처리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30)이 위치되고, 상기 송풍팬(30)의 몸체 타측 배출구(32) 저면부로 설치되어, 송풍팬(30)을 통해 이동되는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부(40)가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10)의 공간부(11) 내측으로 수납용기(20)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는 히터부(40)가 구비된 송풍팬(30)을 이용해서 공간부(11) 내부에서 열풍건조 방식으로 물기 및 악취를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며, 이 열풍 순환 과정에서 발생되는 이물질은 여과망(60)을 통해서 송풍팬(30)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에 설치되는 수납용기(20)의 저면으로 는 안착부(13)에 설치시 안착부(13)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는 공기연통수단(70)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용기(20)의 공기연통수단(7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용기(20)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소정간격 돌출되면서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돌기부재(71)로 구성된다.
즉, 상기 수납용기(20) 저면부로 형성되는 공기연통수단(70)인 돌기부재(71)는 수납용기(20)의 저면부에서 외측으로 소정간격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에 설치시 소정간격(L1)을 형성하여 히터부(40)와 송풍팬(30)을 통해 열풍건조시 열풍이 공기연통수단(70)인 돌기부재(71)를 통한 사이로 유입되면서 수납용기(20) 저면부의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수납용기(20)의 구성상 음식물 쓰레기가 적층되는 과정에서 상부보다는 하부로 적층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열풍과 접촉되는 효율이 적으므로, 건조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수납용기(20)의 저면으로 공기연통수단(70)인 돌기부재(71)가 형성되므로, 열풍의 공기가 이동될 수 있는 통로를 확보하여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수납용기(20)의 저면으로 형성되는 공기연통수단(70)인 돌기부재(71)의 설정 높이와 갯수, 그리고 그 형상은 제품의 성격과 특징에 따라 가변 가능한 것이며, 이러한 구성 또한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한편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연통수단(70)인 돌기부재(71)는 수납용기(20)의 저면이 아닌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에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 돌기부재(71)를 형성하여 수납용기(20)의 안착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열풍이 유입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양측으로는 하부 중앙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면(18)이 구비된 안내편(19)이 형성된다.
이는, 송풍팬(30)과 히터부(40)를 통해 이동되는 열풍의 공기가 공간부(11)의 양측에서 경사면(18)을 구비한 안내편(19)에 의해 하부 중앙으로 가이드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 건조효율 및 처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서 가장 중요한 특징은 종래 수납용기(20)가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에 설치시 면접촉에 의해 공기통로가 형성되지 못하므로 인해 발생되던 건조효율 저하를 본 발명 구성에서는 공기연통수단(70)인 돌기부재(71)가 수납용기(20)의 저면으로 형성되면서,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와 일정간격을 이격 유지 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출입도어의 안착부에 설치되는 수납용기의 저면으로 공기연통수단인 돌기부재가 형성되어 안착부와 일정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열풍이 보다 원할하게 수납용기의 저면부로 유입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전체적인 건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4)

  1. 몸체 내측으로는 소정 용적을 갖는 공간부(11)가 형성되고, 몸체 전면부로는 공간부(11)를 외측에서 마감시키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며 안착부(13)가 구비되는 출입도어(14)가 형성되며, 몸체 내측 상부 전,후로는 흡기부(17)와 배기부(18)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공간부(11) 내측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시키는 수납용기(20)와;
    본체(10)의 내측 상부로 구성되면서 송풍팬(30)을 통해 흡입 및 처리된 공기를 가열시키는 히터부(4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 및 수납용기(20)의 저면으로는 설치시 상호 일정간격을 이격시킬 수 있는 공기연통수단(7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통수단(70)은 수납용기(20)의 저면에서 외측으로 소정간격 돌출되면서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 바닥면과 일정간격을 유지시킬 수 있는 돌기부재(71)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3.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연통수단(70)은 출입도어(14)의 안착부(13) 바닥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면서 수납용기(20)의 안착시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돌기부재(7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4.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공간부(11) 양측으로는 하부 중앙방향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면(18)이 구비된 안내편(19)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KR1020050042157A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KR100693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157A KR100693741B1 (ko)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2157A KR100693741B1 (ko)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354A KR20060120354A (ko) 2006-11-27
KR100693741B1 true KR100693741B1 (ko) 2007-03-12

Family

ID=3770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157A KR100693741B1 (ko) 2005-05-19 2005-05-19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3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828B1 (ko) 2020-05-11 2021-02-05 임영수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554A (ja) * 1995-10-02 1997-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ごみ処理装置
JPH09122625A (ja) * 1995-11-02 1997-05-13 Sharp Corp 生ゴミ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4554A (ja) * 1995-10-02 1997-04-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生ごみ処理装置
JPH09122625A (ja) * 1995-11-02 1997-05-13 Sharp Corp 生ゴミ処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828B1 (ko) 2020-05-11 2021-02-05 임영수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354A (ko) 2006-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2551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9374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JPH08299943A (ja) 生ごみ処理機
KR100905176B1 (ko) 보일러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
KR10088078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4221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납용기 건조구조
KR2006012035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KR2006012035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안착판
KR1006937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여과망
KR10069373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KR20034221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투입구 받침구조
KR101035477B1 (ko)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가 구비된 보일러
KR2006012035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흡기구조
KR2003422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출입도어 가이드구조
KR10045690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62234B1 (ko) 탈취장치가 부착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CN215947652U (zh) 洗衣盆及使用该洗衣盆的衣物处理装置
KR10111209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640167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057043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기제어장치
KR012496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43473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CN114052464A (zh) 烹饪器具、控制方法、控制装置和计算机存储介质
KR200314233Y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KR100736165B1 (ko) 주방용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