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969Y1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969Y1
KR0124969Y1 KR2019960000025U KR19960000025U KR0124969Y1 KR 0124969 Y1 KR0124969 Y1 KR 0124969Y1 KR 2019960000025 U KR2019960000025 U KR 2019960000025U KR 19960000025 U KR19960000025 U KR 19960000025U KR 0124969 Y1 KR0124969 Y1 KR 01249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food waste
fermenter
ferment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00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9192U (ko
Inventor
장호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20199600000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969Y1/ko
Publication of KR9700491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91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9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9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발효시 흡입팬의 작동에 의한 발효조 내의 냄새성분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져 도어를 열을 경우 발효조에서 직접 유출되는 냄새성분 량이 적어지도록 함에 따라 실내의 오염요인을 미연에 방지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발효조 내로 투입할 때 본체와 발효조 사이의 효입홈 간격부분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거나 본체의 상단부 및 발효조의 상단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에 따라 사용시 청결상태가 항상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안은 본체에 형성된 요입홈 내의 발효조 높이를 줄여 상기 발효조의 상단이 본체의 상단 도어 접촉면보다 낮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 도어 접촉면에는 중심부에 투입구가 형성된 덮개를 지지시켜 상기 덮개가 본체와 발효조 사이의 요입홈 간격부분 및 발효조의 상단부를 가려주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제1도는 종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제2도는 본고안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 요부 종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확대도
제4도는 본고안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구성하는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요입홈
3:발효조 6:도어
14:투입구 15:덮개
16:삽입홈 17:삽입핀
18:걸림홈 19:걸림돌기
20:닦기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도어를 열었을 때 냄새성분의 외부 유출이 억제되도록 함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용기 내로 투입할때 본체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발생되는 생활쓰레기는 여러 가지로 분류되고 그중에서도 음식물 쓰레기가 가장 많은 약 31%를 차지하고 있는데, 근래에 들어서면서 쓰레기 종량제가 실시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부피를 줄이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요구되고 있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조만간 가정의 주방 생활용품중 매우 중요한 품목으로 자리잡을 예정이다.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의 영양구성을 살펴보면 85%가 수분이고 나머지 15%만이 유기성분인데, 이를 화학적 구성비로 살펴보면 여러 가지의 다양한 화합물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종래 처리기를 첨부도면 제1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내에 상부가 개방되게 요입홈(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 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발효조(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발효조 내에는 모터(4)의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교반날개(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1)의 상단에는 요입홈(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주도록 도어(6)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의 안쪽면에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도록 히터(7)가 설치됨과 함께 히터의 열을 발효조(3)내로 불어주도록 팬(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본체 내의 하부에는 연결관(9)에 의해 요입홈(2)과 연통되도록 배수용기(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결관(9)에는 끝단이 본체(1) 외부로 노출되게 배기관(11)이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에는 발효조(3)내의 냄새성분 및 수증기를 흡입하도록 흡입팬(12)이 설치됨과 함께 냄새분자를 제거하여 주도록 탈취촉매(1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6)를 열어 본체(1)에 형성된 요임홈(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발효조(3) 내부로 음식물 쓰레기와 발효보조제를 넣은 다음 다시 도어(6)를 닫아 요입홈(2)을 폐쇄시키고 계속해서 동작시작모드를 선택하면 모터(4)가 마이콤의 제어신호를 받아 구동되므로 상기 발효조(3)내에 설치된 교반날개(5)가 모터(4)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고 이에 따라 발효조(3)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와 발효보조제가 혼합되는데, 이때 도어(6)의 안쪽면에 부착된 히터(7)가 작동하여 열을 발생시킴과 함께 팬(8)이 작동하여 히터(7)에서 발생된 열을 발효조(3)내로 불어주므로 발효보조제와 혼합되어 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설정 발효온도를 유지하면서 발효가 진행되고 상기 발효가 일정시간 계속되면 퇴비화가 된다.
이와같이 발효가 진행될때는 배기관(11)상에 설치된 흡입팬(12)이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므로 발효조(3)내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생된 냄새성분 및 수증기가 본체(1)와 발효조(3) 사이의 요입홈(2) 부분을 통해 배수용기(10)을 연결하는 연결관(9)으로 들어간 다음 냄새성분은 상기 연결관(9)에 일체화된 배기관(11)으로 안내되고 무거운 수증기는 배수용기(10)내로 안내되어 고이게 되는데, 이때 배기관(11)으로 안내된 냄새성분의 냄새분자는 탈취촉매(13)에서 탈취되므로 순수한 무취의 공기만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본체의 상단 도어 접촉면과 발효조의 상단이 동일수평선상에 있으므로 상기 도어를 닫아 요입홈을 폐쇄시킨 상태에서는 발효조 내의 냄새성분이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부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해 발효시 흡입팬이 작동하더라도 발효조 내의 냄새성분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함에 따라 도어를 열을 경우 상기 발효조에서 직접 유출되는 냄새성분량이 많아져 실내가 심하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본체와 발효조 사이의 요입홈 부분을 커버할 수 있는 부재가 없으므로 인해 발효조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가 본체와 발효조 사이의 요입홈 간격부분으로 흘러들어가 상기 간격부분을 막게 되거나 본체의 상단부 및 발효조의 상단부에 떨어져 상기 본체와 발효조를 더럽히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구조를 일부 변경하여 발효시 흡입팬의 작동에 의한 발효조 내의 냄새성분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져 도어를 열을 경우 발효조에서 직접 유출되는 냄새성분량이 적어지도록 함에 따라 실내의 오염을 방지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위해 발효조 내로 투입할 때 본체와 발효조 사이의 요입홈 간격부분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거나 본체의 상단부 및 발효조의 상단부에 떨어지지 않도록 함에 따라 사용시 청결상태가 항상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고안 형태에 따르면, 본체에 형성된 요입홈 내의 발효조 높이를 줄여 상기 발효조의 상단이 본체의 상단 도어 접촉면보다 낮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 도어 접촉면에는 중심부에 투입구가 형성된 덮개를 지지시켜 상기 덮개가 본체와 발효조 사이의 요입홈 간격부분 및 발효조의 상단부를 가려주도록 한 본발명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4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는 본고안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나타낸부 요부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A부분 확대도이며 제4도는 본고안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구성하는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고안 구성중 기 설명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의 설명은 생략하고 다만 도면상에 종래에서 부여한 번호를 그대로 표기한다.
이하 본고안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에 형성된 요입홈(2)내의 발효조(3) 높이를 줄여 상기 발효조의 상단이 본체(1)의 상단 도어(6) 접촉면 보다 낮도록 하고, 상기 본체(1)의 상단 도어(6) 접촉면에는 중심부에 상광하협 형태의 투입구(14)가 형성된 덮개(15)를 지지시켜 상덮개가 본체(1)와 발효조(3)사이의 요입홈(2) 간격부분 및 발효조(3)의 상단부를 가려주도록 함과 함께 상기 발효조(3)의 상단과 덮개(15)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도록한다.
또한 본체(1)의 상단 도어(6) 접촉부에 복수개의 삽입홈(16)을 형성하고 덮개(15)의 본체 지지부에는 복수개의 삽입핀(17)을 형성하여 상기 덮개(15)를 본체(1)에 지지시킬 때 각 삽입핀(17)이 삽입홈(16)으로 삽입됨에 따라 덮개(15)가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화 되도록 하고, 상기 덮개(15)에 형성된 투입구(14)의 안쪽면에 걸림홈(18)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14)에는 걸림홈(18)에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돌기(19)가 일체화된 닦기(20)를 설치하여 상기 닦기에 의해 투입구(14)를 깨끗이 닦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퇴비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조(3)내에 넣을때는 종래와 같이 도어(6)를 열은 다음 본체(1)의 도어 접촉면에 지지된 덮개(15)의 투입구(14)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시키면 되는데, 이때 덮개(15)가 본체(1)와 발효조(3)사이의 요입홈(2) 간격부분 및 상기 발효조의 상단을 가려주므로 덮개(15)의 투입구(14)로 투입되는 음식물이 상기 본체(1)와 발효조(3) 사이의 요입홈(2) 간격부분으로 흘러들어가지 않음과 함께 상기 발효조(3)의 상단에 떨어지지 않게되고, 상기 투입구(14)는 상광하협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 진다.
상기한 작용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덮개(15)의 투입구(14)에 떨어지게 되면 상기 투입구에 설치된 닦기(20)를 원주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깨끗이 닦아주면 되는데, 상기 닦기(20)의 원주방향 이동은 투입구(14)의 안쪽면에 걸림홈(18)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닦기(20)에는 상기 걸림홈(18)에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돌기(19)가 일체화되어 있으므로 가능하다.
이와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조(3)내로 넣은 상태에서 도어(6)를 닫으면 상기 발효조(3)의 상단이 본체(1)의 상단 도어(6) 접촉부보다 아래에 위치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발효조(3)의 상단과 덮개(15)사이에 간격이 발생되므로 동작시작모드의 선택에 따라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배기관(11)상에 설치된 흡입팬(12)이 작동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킬 때 발효조(3)내에서 발효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냄새성분 및 수증기가 원활하게 발효조(3)를 빠져나간다.
한편 덮개(15)가 본체(1)의 상단 도어(6) 접촉부분에 지지된 상태에서는 상기 덮개(15)에 형성된 각 삽입핀(17)이 본체(1)의 상단도어(1) 접촉면에 형성된 각 삽입홈(16)으로 삽입되어 있는데, 이는 덮개(15)가 지지된 상태에서 유동됨이 없이 안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고안은 발효시 흡입팬의 작동에 의한 발효조 내의 냄새성분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므로 도어를 열을 경우 발효조에서 직접 유출되는 냄새성분이 상대적으로 적어짐에 따라 냄새성분 유출에 따른 실내의 오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발효조 내로 투입할 때 본체와 발효조 사이의 요입홈 간격부분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흘러들어가지 않음과 함게 본체의 상단부 및 발효조의 상단부에도 음식물 쓰레기가 떨어지지 않음에 따라 사용시 청결상태가 항상 깨끗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본체에 형성된 요입홈 내의 발효조 높이를 줄여 상기 발효조의 상단이 본체의 상단도어 접촉면보다 낮도록 하고, 상기 본체의 상단 도어 접촉면에는 중심부에 투입구가 형성된 덮개를 지지시켜 상기 덮개가 본체와 발효조 사이의 요입홈 간격부분 및 발효조의 상단부를 가려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덮개에 형성된 투입구를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의 상단 도어 접촉면에 복수개의 삽입홈을 형성하고 덮개의 본체 지지부에는 복수개의 삽입핀을 형성하여 상기 덮개를 본체에 지지시킬 때 각 삽입핀이 삽입홈으로 삽입됨에 따라 덮개가 지지된 상태에서 안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덮개에 형성된 투입구의 안쪽면에 원주방향으로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구에는 걸림홈에 끼워져 걸리도록 걸림돌기가 일체화된 닦기를 설치하여 상기 닦기에 의해 투입구부분에 떨어진 음식물 쓰레기를 깨끗이 닦을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9960000025U 1996-01-04 1996-01-04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01249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025U KR0124969Y1 (ko) 1996-01-04 1996-01-04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0025U KR0124969Y1 (ko) 1996-01-04 1996-01-04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192U KR970049192U (ko) 1997-08-12
KR0124969Y1 true KR0124969Y1 (ko) 1998-08-17

Family

ID=19448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0025U KR0124969Y1 (ko) 1996-01-04 1996-01-04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9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9192U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4969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0175794B1 (ko) 킷친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278840B1 (ko) 잔반 처리장치
KR10022681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01729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098367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198405B1 (ko) 탈착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탈취장치
KR100216185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수분제어시스템
KR2002007895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공기 공급장치
KR10019227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수탈취장치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KR0175774B1 (ko) 대형 음식물처리기 탈취장치
KR200146613Y1 (ko) 실내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16188B1 (ko) 분말 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086085A (ko) 음식물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9980063951U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013483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0155149Y1 (ko) 분말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19227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수탈취장치
KR017292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06937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여과망
KR2003422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출입도어 가이드구조
KR19980029700A (ko) 투입조 개폐장치를 지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45914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57043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기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