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828B1 -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828B1
KR102212828B1 KR1020200055898A KR20200055898A KR102212828B1 KR 102212828 B1 KR102212828 B1 KR 102212828B1 KR 1020200055898 A KR1020200055898 A KR 1020200055898A KR 20200055898 A KR20200055898 A KR 20200055898A KR 102212828 B1 KR102212828 B1 KR 102212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processor
support
moving rail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수
김민호
Original Assignee
임영수
김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수, 김민호 filed Critical 임영수
Priority to KR1020200055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0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with members movable outwards to a position of use, e.g. tables, iron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13Drawers slidable into a space provided between furniture body and floor, e.g. plinth drawer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일측에 처리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바닥판에 결합되고, 바닥에는 봉받침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절곡되어 걸림편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레일; 상기 걸림편과 걸림편 사이의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심에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편에 걸리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걸림편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부에는 걸림판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축의 상단에는 받침판이 형성된 한 쌍의 이동레일;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의 받침판과 받침판 사이에 연결되어 한 쌍의 이동레일이 일체로 움직이도록 하면서 처리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바닥이 평평한 처리기받침대; 상기 고정레일의 봉받침대와 상기 이동레일의 걸림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내부에는 서로 밀착되도록 연속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공기볼이 충전된 공기볼봉; 상기 이동레일의 걸림판과 상기 공기볼봉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볼봉 상면을 감싸며 양측단은 연장되어 상기 고정레일의 바닥에 결합되는 슬립필름; 상기 수납함의 전면을 개폐하고 이동레일의 단부에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전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이동레일이 끌려 나오면서 상기 이동레일의 받침판에 올려면 처리기가 수납함 밖으로 노출되고, 밀어 넣으면 이동레일이 후진하면서 처리기가 수납함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수납함이 닫히는 수납함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FOOD REFUSE DISPOSAL APPARATUS FOR RECEIVING IN A SINK}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싱크대의 일측에 설치한 후 음식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시켜 중량을 99% 이상 감소시켜 공기중으로 방출시키는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는 음식물을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시켜 처리하는 장치로서, 수 시간내에 투입된 음식물 중량의 99% 이상을 감소시키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는 싱크대의 내부 비어 있는 공간에 수납 시스템을 설치하고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를 그 위에 올려놓고 요리를 하거나 설겆이를 하면서 나오는 음식물을 바로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에 투입한다.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는 온도나 습도등 미생물의 서식 조건을 최적화 하고 분해된 것을 공기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각종 기계장치와 전기장치들이 내장되어 있고, 연결호스를 등을 통해 실외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은 한 번 설치되면 위치 이동 없이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를 그 위에 올려 놓고 계속사용한다.
지금까지 음식물 미생물 처리의 수납 시스템은 음식물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책상의 서랍과 같이 싱크대에 레일을 설치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넣고 빼고 하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레일도 고정레일과 그 위에 결합되는 이동레일로 이루어져 있고,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는 이동레일로 올려진 상태로 이동한다.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는 자체 무게도 있지만 물기가 많은 음식물을 투입되면 무거워져 장시간 사용하면 이동레일이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변형되기도 하고 슬라이딩이 원활하지 못하여 이동중 덜덜거리거나 소음도 커진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8511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8372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69374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120352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34221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45015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레일이 슬라이딩 할 때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하중을 탄성적으로 흡수하여 소음을 방지하고, 하중을 분산시켜 고정레일이나 이동레일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며 특히 이동레일이 고정레일에서 최대한으로 빠져 나와 있을 때 이동레일의 특정 부분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이동레일의 과도한 탄성변형을 방지하고 소성변형도 방지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싱크대의 일측에 처리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바닥판에 결합되고, 바닥에는 봉받침대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절곡되어 걸림편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레일; 상기 걸림편과 걸림편 사이의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심에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편에 걸리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걸림편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부에는 걸림판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축의 상단에는 받침판이 형성된 한 쌍의 이동레일;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의 받침판과 받침판 사이에 연결되어 한 쌍의 이동레일이 일체로 움직이도록 하면서 처리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바닥이 평평한 처리기받침대; 상기 고정레일의 봉받침대와 상기 이동레일의 걸림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내부에는 서로 밀착되도록 연속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공기볼이 충전된 공기볼봉; 상기 이동레일의 걸림판과 상기 공기볼봉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볼봉 상면을 감싸며 양측단은 연장되어 상기 고정레일의 바닥에 결합되는 슬립필름; 상기 수납함의 전면을 개폐하고 이동레일의 단부에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전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이동레일이 끌려 나오면서 상기 처리기받침대에 올려진 처리기가 수납함 밖으로 노출되고, 밀어 넣으면 이동레일이 후진하면서 처리기가 수납함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수납함이 닫히는 수납함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싱크대의 일측에 처리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납함; 상기 수납함의 양측 측벽에 결합되고, 측면에는 봉받침대가 형성되고, 양측단이 절곡되어 걸림편이 형성된 고정레일; 상기 걸림편과 걸림편 사이의 슬라이딩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심에 가이드축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편에 걸리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걸림편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부에는 걸림판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축의 상단에는 받침판이 형성되는 이동레일; 상기 이동레일 사이를 연결하며 바닥이 처리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평하며 상기 이동레일이 전후진 할 때 일체로 연동하는 절곡처리기받침대; 상기 고정레일의 봉받침대와 상기 이동레일의 걸림판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내부에는 서로 밀착되도록 연속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공기볼이 충전된 공기볼봉; 상기 이동레일의 걸림판과 상기 공기볼봉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볼봉 상면을 감싸며 양측단은 연장되어 상기 고정레일의 측벽에 결합되는 슬립필름; 상기 절곡처리기받침대의 저면에 설치되어 절곡처리기받침대를 지지하면서 절곡처리기받침대가 전후진 할 때 구름이동하도록 하는 구름바퀴; 및 상기 수납함의 전면을 개폐하고 절곡처리기받침대와 결합된 이동레일의 단부와 결합되며 전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이동레일이 끌려 나오면서 상기 이동레일과 결합된 절곡처리기받침대에 올려진 처리기가 수납함 밖으로 노출되고, 밀어 넣으면 이동레일이 후진하면서 처리기가 수납함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수납함이 닫히는 수납함도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기를 싱크대의 일측에 마련된 수납함에 넣어 보관하다가 음식물을 투입할 때만 싱크대의 수납함에서 밖으로 노출시키므로 음식물 처리기를 매우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인테리어 측면에서도 미감이 우수하고, 처리기를 실질적으로 전후진 시키는 슬라이딩 방식의 이동레일이 설치되어 있어, 처리기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해서 수납함 밖으로 꺼내거나 안으로 집어 넣을 때 힘들이지 않고 할 수 있으며, 이동레일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공기볼봉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동레일이 슬라이딩 할 때 발생되는 덜거덕 거리는 진동이나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고, 이동레일이 전진하여 하중이 한곳에 집중되더라도 그 하중을 분산할 수 있도록하는 공기볼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레일이나 이동레일의 탄성변형을 줄이고 소성변형을 방지하여 슬라이딩시 움직이지 못하는 고착을 방지함으로써 이동식 수납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고정레일과 이동레일을 벽면에 설치하고, 처리기기 올려진 받침판의 하중을 구름바퀴를 통해 지지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무거운 처리기를 사용하더라도 용이하게 처리기를 수납함에서 빼내거나 넣을 수 있고, 처리기의 하중 때문에 발생하는 이동식 수납 시스템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기 수납시스템이 설치되는 싱크대 및 수납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기 수납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기 수납시스템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기 수납시스템의 요부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기 수납시스템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볼봉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기 수납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리기 수납 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처리시 수납 시스템의 결합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일측에 처리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납함(110)이 형성된다. 싱크대는 거실이나 방의 구조에 따라 크기가 다양하지만 바닥에서 상면 까지의 높이가 대략 60 ~ 80cm이고, 폭이 대략 50 ~ 70cm 정도인데, 내부에 식기 도구 등을 넣는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공간이 수개의 격실로 나누어져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처리기는 수납함의 크기 보다는 작으므로 싱크대의 일측에 별도의 수납 공간을 갖는 수납함을 형성하여 여기에 처리기를 넣어 놓고, 수납함 일측에 전원코드를 마련하여 처리기와 연결하고, 실외와 처리기를 연결호스를 통해 연결 시킨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기 내부에는 음식물을 분쇄하고 온도나 습도 등 미생물이 서식하는데 최적의 조건이 부여되도록 구비된 각종 기계장치와 전기장치 및 음식물이 미생물에 발효면서 분해되면 실외의 공기 중에 방출할 수 있는 연결호스가 처리기에 연결되어 있어서 수납함(110)이 한 번 마련되면 처리기의 수납 위치(격실)는 이동하기 어렵다.
싱크대의 수납함(110)은 거실의 바닥에서 대략 10cm 이격되어 바닥판이 형성된다. 수납함(110)의 바닥은 평평하다. 수납함(110)의 바닥에는 한 쌍의 고정레일(120)이 형성된다. 각각의 고정레일(120)의 바닥에 한 쌍의 봉받침대(122)가 고정레일(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봉받침대(122)는 바닥에서 상향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상면이 포물선을 그리면서 오목하게 되도록 둥글게 형성되어 있다. 둥글게 형성된 부분은 후술하는 공기볼봉(140)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한 것이다. 고정레일(120)의 양측 상단은 수직으로 연장되다가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되어 걸림편(124)이 형성된다. 걸림편(124)과 걸림편(124) 사이의 이격공간은 슬라이딩홈(126)이 된다.
각각의 고정레일(120)에는 이동레일(130)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조립된다. 이동레일(130)은 걸림편(124)에 걸린 상태로 걸림편(124)과 걸림편(124) 사이의 슬라이딩홈(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심에 형성되는 가이드축(132)과, 가이드축(132)의 하단에 걸림편(124)에 걸리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걸림편(124)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걸림판(134(과, 가이드축(132)의 상단에 형성된 받침판(136)으로 이루어진다. 한쪽의 이동레일의 받침판(136)과 다른 한쪽의 이동레일의 받침판(136)를 서로 연결하는 처리기받침대(138)가 형성되고, 처리기받침대(138)는 처리기가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된다. 처리기받침대(138)는 한 쌍의 이동레일이 연동할 수 있도록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고정레일(120)의 봉받침대(122)와 이동레일(130)의 걸림판(124) 사이에는 이동레일(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공기볼봉(140)이 설치된다. 즉 공기볼봉(140)의 저부는 봉받침대(122)에 올려지고, 공기볼봉(140)의 상부에는 이동레일(130)의 걸림판(134)이 올려진 상태가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볼봉(140)은 원통형으로써 그 안에 수십개의 공기볼(142)이 일렬로 연속적으로 채워져 있다. 공기볼(142)은 풍선처럼 신축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 것으로써, 외력을 받으면 풍선처럼 압축되면서 그 외력을 탄성적으로 흡수하고, 외력이 없어지거나 외력의 크기가 변화면 그 크기에 따라 순간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이 압축되거나 복원되면서 그 외력 변화를 탄성적으로 완충시킨다. 따라서 이동레일(130)이 전후로 슬라이딩 될 때 이동레일의 상하 진동을 흡수하여 이동레일(130)이 덜거덕거리는 소음도 없이 부드럽게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한다.
공기볼봉(140)에 채워지는 공기볼 중에 가장 앞에서 3 ~ 5개는 그 뒤의 다른 공기볼(142) 보다 공기압이 상대적으로 더 높게 한다. 공기볼봉(140)에는 이동레일 (130)뿐만 아니라 이동레일(130)에 올려지는 처리기의 하중도 더해지기 때문에 이동레일(130)이 전진하여 수납함 밖으로 가장 많이 빠져나왔을 때 걸림편(124)에 걸린 부분의 걸림판(134)의 국소적인 부분(앞 부분)에 집중되므로 공기볼봉(140)의 선단에 상대적으로 더 강한 공기압을 갖는 공기볼(142)을 배치함으로써 그 하중에 공기볼(142)이 과도하게 눌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동레일(130)이 수납함(110) 밖으로 가장 많이 빠져나왔을 때 응력이 한 곳에 집중되어 이동레일(130)이 쳐지면서 걸림판(134) 및 걸림편(124)을 탄성 변형을 넘어 소성 변형 시킬 수 있는데, 공기볼봉(140)의 선단에 상대적으로 공기압이 높은 공기볼(142)이 지지하고 있으면 응력(하중)이 더 잘 분산되어 소성 변형을 더 잘 방지할 수 있다.
공기볼(142)이 없이 공기볼봉(140) 내부 전체를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하여 공기를 충전하여도 이동레일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지만, 공기볼봉(140)의 일부라도 손상되면 충전된 공기가 빠져나가 탄성 지지력이 크게 약해지고, 외력 변화에 공기볼봉(140) 전체가 반응하기 때문에 탄성 복원력이 공기볼(142)이 채워진 것 보다 약해질 수 밖에 없다. 공기볼(142) 대신에 고무나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사용할 수 있지만, 기체가 아닌 재료의 탄성력에 의한 탄성복원력은 하중 변화에 반응하는 민감도도 떨어지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 탄성 복원력 마져도 감쇄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기능성과 안정성이 크게 떨어진다. 즉 공기볼(142)은 공기볼이 손상되지 않아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으면 동일한 탄성 복원력을 항구적으로 얻을 수 있고, 공기볼중 몇 개가 손상되어 공기가 빠져나가도 공기볼봉(14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동레일(130)의 걸림판(134)과 공기볼봉(140) 사이에는 슬립필름(150)이 형성된다. 슬립필름(150)은 공기볼봉(140) 상면을 감싸며 양측단은 연장되어 고정레일(120)의 바닥에 고정된다. 슬립필름(150)은 유연성이 있는 표면이 매끄러운 합성수지재 필름으로써 구조적 강도는 있지만, 하중을 받으면 순간적으로 약간 쳐지면서 하중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고, 이동레일(130)이 슬라이딩 할 때 잘 미끄러지도록 하여 이동레일(130)이 슬라이딩시 발생하는 소음도 방지한다.
이동레일(130)은 전진하면(수납함에서 빠져 나오면) 고정레일(120)에 걸쳐진 부분에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공기볼봉(140)에 가해지는 하중은 슬라이딩중에 계속 변화게 되고, 하중 변화 및 이동중 움직임 때문에 덜거덕거릴 수 있는데, 구조적 강도도 있으면서 하중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형태가 변화는 슬립필름(150)에 의해 하중이 능동적으로 분산되어 덜거덕거림도 방지된다.
슬립필름(150)의 양측단은 고정레일(120)의 바닥에 고정되는데, 고정레일(120)의 바닥에 고정된 상태에서 변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름접착부재(152)를 통해 고정된다. 필름접착부재(152)는 접착테이프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절반은 고정레일(120)의 바닥에 접착되고, 나머지 절반은 슬립필름(150)에 접착되어 슬립필름(150)이 고정레일(120)의 바닥에 고정된 상태로 각도 변형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필름(150)은 위에서 하중이 가해지면 쳐지면서 변형되는데, 이때 슬립필름(150)의 전체가 변형되어야 하중 분산이 슬립필름(150) 전체에 골고루 일어나면서 고정레일(120)의 슬라이딩을 부드럽게 안내할 수 있다. 슬립필름(150)의 양단이 고정레일(120)의 바닥에 고정되어 각도 변형이 일어나지 않으면 그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피로 피괴가 쉽게 일어나므로 슬립필름(150)의 손상도 빨라지고, 하중 분산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수납함(110)의 전면에는 수납함도어(160)가 형성된다. 수납함도어(160)는 수납함(110)을 개폐하고 이동레일(130)의 단부에 브라켓과 같은 연결 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전면에는 손잡이(162)를 형성시켜 손잡이(162)를 잡아당기면 이동레일이 끌려 나오면서 상기 이동레일(130)의 받침판(136)에 올려진 처리기가 수납함 밖으로 노출되고, 밀어 넣으면 이동레일(130)이 후진하면서 처리기가 수납함 안으로 들어가면서 완전히 닫힌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처리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162)를 잡아당겨 닫혀 있던 수납함도어(160)를 열면 수납함도어(160)와 연결된 이동레일(130)이 전진하면서 수납함(110) 밖으로 빠져나온다. 수납함(110) 밖으로 빠져나온 이동레일(130)의 처리기받침대(138)에 올려져 있는 처리기의 뚜껑을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뚜껑을 닫은 후 다시 수납함도어(160)를 닫으면 후진되어 수납함이 완전히 닫히고 처리기에서 음식물이 수 시간 후 미생물에 의해 완전히 분해되어 기화되고, 그 처리물은 처리기와 외부로 연결된 연결호스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방출시킨다.
다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기에 투입하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162)를 잡아당겨 고정레일(120)을 수납함(110) 밖으로 돌출시켜야 하는데, 그 과정에서 고정레일(120)과 이동레일(130)의 작동 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162)를 잡아당기면 수납함도어(160)와 연결된 이동레일(130)이 고정레일(120)을 따라 전진한다. 이동레일(130)의 가이드축(132)이 슬라이딩홈(126) 사이에 끼워져 슬라이딩홈(126)을 따라 전진하고, 걸림판(134)과 받침판(136)이 걸림편(124)에 걸린 상태로 이동하므로 이탈하지 않고 전진한다.
걸림판(134)과 걸림편(124) 사이의 간격(유격공간)과 걸림편(124)과 받침판 (136) 사이의 간격(유격공간)이 좁을수록 이동레일(130)의 요동 없이 직진성은 좋아지지만, 그 간격이 좁을수록 걸림판(134), 받침판(136), 걸림편(124) 중에 하나라도 변형(과도한 탄성변형, 약간의 소성변형)이라도 생기면 이동레일(130)이 슬라이딩하지 못하고 고착(움직이지 못하는 상태)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형을 고려하면 직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간격(유격공간)을 과도하게 좁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동레일(130)이 전진할 때, 걸림판(134)이 슬림필름(150) 위를 미끄러지면서 이동하고, 슬림필름(150) 저면에는 공기볼(142)이 채워진 공기볼봉(14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136)과 처리기받침대(138) 및 처리기받침대(138)에 올려진 처리기의 하중이 탄성적으로 흡수되면서 부드럽게 이동하여 덜컹거리거나 소음이 나지 않는다. 또한, 공기볼(142)과 공기볼(142) 사이를 걸림판(134)이 지나갈 때 단차가 있으므로 상하로 진동할 수 있지만, 구조적 강도가 있는 슬립필름(150)이 미세하게 쳐지면서 하중을 분산시켜 이동레일(130) 슬라이딩 중에 상하 유동도 최소화 된다. 슬립필름(150)은 하중에 의해 탄성 변형할 때, 양측 단부가 필름접착부재(152)에 의해 고정레일(120)의 바닥에 결합 되어 있어서, 각도 변형이 슬립필름(150)의 변형과 자유로이 연동되어 슬립필름(150) 양측 단부의 피로 파괴가 최소화 된다.
이동레일(130)이 전진할수록 이동레일(130)이 고정레일(120)에 걸려 있는 길이가 짧아지므로 이동레일(130)이 고정레일(120)에서 빠져나간 길이에 비례하여 하중은 고정레일(120)에 걸쳐진 상태로 남아 있는 이동레일(130)에 집중된다. 이동레일(130)이 수납함(110) 밖으로 최대 돌출되면 이동레일(130)은 일부만 고정레일(120)에 걸려 있고, 걸려 있는 이동레일(130)에 하중이 집중되므로 걸림판(134)과 받침판(136)이 탄성변형을 넘어 소성변형을 일으킬 수 있는데, 이동레일(130)의 걸림판(134)을 탄성 지지하고 있는 공기볼봉(140) 선단에 채워진 공기볼(142)이 압축되면서 그 뒤로 하중을 분산시켜 응력집중을 분산시킨다. 이와 같이 응력집중이 분산되므로 받침판(136)에 상대적으로 무거운 처리기가 올려줘도 이동레일(130)의 탄성변형이 적어지고 소성변형도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공기볼봉(140)의 선단에는 그 뒤의 공기볼(142) 보다 더 높은 공기압을 가지므로 응력집중을 고정레일(120)의 뒷쪽으로 더 잘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일측에 처리기가 들어갈 수 있는 수납함(110)이 형성된다. 수납함의 하부는 개방시켜 싱크대가 설치되는 거실이나 방의 바닥이 그대로 노출되도록 한다.
수납함(110)의 양측 측벽에는 고정레일(120)이 결합된다. 고정레일의 측벽에는 한 쌍의 봉받침대(122)가 형성되고, 양측단은 절곡되어 걸림편(124)이 형성된다. 걸림편(124)과 걸림편(124)은 이격되어 슬라이딩홈(126)이 형성된다. 봉받침대(122)는 후술하는 공기볼봉(140)이 안착될 때 서로 들뜸 없이 밀착될 수 있도록 둥그럽게 형성된다.
고정레일(120)에는 이동레일(130)이 조립된다. 이동레일(130)은 슬라이딩홈(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심에 형성되는 가이드축(132)과 가이드축(132)의 하단에 걸림편(124)에 걸리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걸림편(1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부에 형성되는 걸림판(134) 및 상부에 형성되는 받침판(136)으로 이루어진다.
한쪽 측벽의 이동레일(130)과 다른 한쪽 측벽의 이동레일(130) 사이에는 서로 일체로 연결되며 양측이 절곡되어 바닥은 거실 바닥과 수평을 이루도록 평평한 절곡처리기받침대(138a)가 형성된다. 절곡처리기받침대(138a)에는 처리기가 올려 놓인다. 절곡처리기받침대(138a)의 저면에는 거실 바닥에 접촉되어 절곡처리기받침대(138a)와 함께 연동하면서 절곡처리기받침대(138a)를 지지하는 구름바퀴(170)가 형성된다. 절곡처리기받침대(138a)에 처리기가 올려지면 시간이 지나면서 하중 때문에 고정레일(120)이나 이동레일(130)이 변형될 수 있으므로 하중을 지지하면서 자유롭게 굴러가는 구름바퀴(170)에 의하여 용이하게 전후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정레일(120)의 봉받침대(122)와 이동레일(130)의 걸림판(134) 사이에는 이동레일(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내부에는 서로 밀착되도록 연속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공기볼(142)이 충전된 공기볼봉(140)이 형성된다. 이동레일(130)의 걸림판(134)과 공기볼봉(140) 사이에는 공기볼봉(140) 상면을 감싸며 양측단은 연장되어 고정레일(120)의 측벽에 결합되는 슬립필름(150)이 형성된다.
수납함(110)의 전면에는 수납함의 전면을 개폐하고 이동레일(130)의 단부에 브라켓과 같은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고 전면에는 손잡이(162)가 형성되어 손잡이를 잡아당기면 이동레일(130)이 끌려 나오면서 이와 결합된 절곡처리기받침대(138a) 및 절고처리기받침대(138a)에 올려진 처리기가 수납함(110) 밖으로 노출되고, 밀어 넣으면 이동레일(130)이 후진하면서 처리기가 수납함 안으로 들어가면서 수납함(110)이 닫히도록 하는 수납함도어(160)가 형성된다. 즉 절곡처리기받침대(138a)에 처리기를 올려놓고 이동레일(30)을 전후진 시키면서 처리기의 뚜껑을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뚜껑을 닫을 후 이동레일(130)을 후진시켜 처리기를 수납함 안으로 밀어 넣으면 처리기 내에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된 후 기화된 처리물을 연결호스를 통해 외부로 방출하는 일 실시예와 동일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110 : 수납함 120 : 고정레일
122 : 봉받침대 124 : 걸림편
126 : 슬라이딩홈 130 : 이동레일
132 : 가이드축 134 : 걸림판
136 : 받침판 138 : 처리기받침대
138a : 절곡처리기받침대
140 : 공기볼봉 142 : 공기볼
150 : 슬립필름 152 : 필름접착부재
160 : 수납함도어 162 : 손잡이
170 : 구름바퀴

Claims (5)

  1. 싱크대의 일측에 처리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납함(110);
    상기 수납함의 바닥판에 결합되고, 바닥에는 봉받침대(122)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절곡되어 걸림편(124)이 형성된 한 쌍의 고정레일(120);
    상기 걸림편(124)과 걸림편(124) 사이의 슬라이딩홈(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심에 가이드축(13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132)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편(124)에 걸리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걸림편(1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부에는 걸림판(134)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축(132)의 상단에는 받침판(136)이 형성된 한 쌍의 이동레일(130);
    상기 한 쌍의 이동레일의 받침판과 받침판 사이에 연결되어 한 쌍의 이동레일이 일체로 움직이도록 하면서 처리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바닥이 평평한 처리기받침대(138);
    상기 고정레일(120)의 봉받침대(122)와 상기 이동레일(130)의 걸림판(13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내부에는 서로 밀착되도록 연속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공기볼(142)이 충전된 공기볼봉(140);
    상기 이동레일(130)의 걸림판(134)과 상기 공기볼봉(14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볼봉(140) 상면을 감싸며 양측단은 연장되어 상기 고정레일(120)의 바닥에 결합되는 슬립필름(150); 및
    상기 수납함(110)의 전면을 개폐하고 이동레일(130)의 단부에 연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며 전면에는 손잡이(162)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62)를 잡아당기면 이동레일(130)이 끌려 나오면서 상기 처리기받침대(138)에 올려진 처리기가 수납함(110) 밖으로 노출되고, 밀어 넣으면 이동레일(130)이 후진하면서 처리기가 수납함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수납함(110)이 닫히는 수납함도어(1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볼봉의 충전되는 공기볼중에 앞 부분의 3 ~ 5개의 공기볼은 다른 공기볼 보다 상대적으로 공기압이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받침대는 상기 공기볼봉의 곡률과 동일하게 하여 공기볼봉이 봉받침대에 올려졌을 때 접촉면이 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4. 싱크대의 일측에 처리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 수납함(110);
    상기 수납함(110)의 양측 측벽에 결합되고, 측면에는 봉받침대(122)가 형성되고, 양측단이 절곡되어 걸림편(124)이 형성된 고정레일(120);
    상기 걸림편(124)과 걸림편(124) 사이의 슬라이딩홈(126)을 따라 이동하도록 중심에 가이드축(132)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축(132)의 하단에는 상기 걸림편(124)에 걸리어 이탈되지 않으면서 걸림편(12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부에는 걸림판(134)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축(132)의 상단에는 받침판(136)이 형성되는 이동레일(130);
    상기 이동레일(130) 사이를 연결하며 바닥이 처리기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평평하며 상기 이동레일(130)이 전후진 할 때 일체로 연동하는 절곡처리기받침대(138a);
    상기 고정레일(120)의 봉받침대(122)와 상기 이동레일(130)의 걸림판(134)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이동레일(130)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며, 내부에는 서로 밀착되도록 연속되어 일렬로 배열되어 있는 공기볼(142)이 충전된 공기볼봉(140);
    상기 이동레일(130)의 걸림판(134)과 상기 공기볼봉(140)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볼봉(140) 상면을 감싸며 양측단은 연장되어 상기 고정레일(120)의 측벽에 결합되는 슬립필름(150);
    상기 절곡처리기받침대(138a)의 저면에 설치되어 절곡처리기받침대(138a)를 지지하면서 절곡처리기받침대(138a)가 전후진 할 때 구름 이동하도록 하는 구름바퀴(170); 및
    상기 수납함(110)의 전면을 개폐하고 절곡처리기받침대(138a)와 결합된 이동레일(130)의 단부와 결합되며 전면에는 손잡이(162)가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62)를 잡아당기면 이동레일(130)이 끌려 나오면서 상기 이동레일(130)과 결합된 절곡처리기받침대(138a)에 올려진 처리기가 수납함 밖으로 노출되고, 밀어 넣으면 이동레일(130)이 후진하면서 처리기가 수납함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수납함(110)이 닫히는 수납함도어(16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필름의 양단은 슬립필름이 하중 변화에 의해서 변형될 때 고정레일의 바닥에서 자유로이 각도 변화할 수 있도록 필름접착부재에 의하여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KR1020200055898A 2020-05-11 2020-05-11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KR102212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898A KR102212828B1 (ko) 2020-05-11 2020-05-11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898A KR102212828B1 (ko) 2020-05-11 2020-05-11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828B1 true KR102212828B1 (ko) 2021-02-05

Family

ID=74558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898A KR102212828B1 (ko) 2020-05-11 2020-05-11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82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777Y1 (ko) * 2002-02-15 2002-05-27 주식회사 맥시멈 붙박이장의 수납선반
KR200342219Y1 (ko) 2003-11-28 2004-02-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납용기 건조구조
KR200383724Y1 (ko) 2005-02-21 2005-05-06 임희석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85114Y1 (ko) 2005-02-21 2005-05-24 임희석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60120352A (ko) 2005-05-19 2006-11-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KR100693741B1 (ko) 2005-05-19 2007-03-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KR20080062789A (ko) * 2006-12-29 2008-07-03 이광석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KR20090004500U (ko) * 2007-11-08 2009-05-13 (주)화인상사 쓰레기수거함 및 음식물쓰레기수거함이 부설된 요리대
KR200450159Y1 (ko) 2008-01-22 2010-09-08 이광용 주방용품 수납함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93119B1 (ko) * 2014-01-29 2014-05-08 (주)한성헬스피아 신발장에 구비되는 신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신발장
CN208235235U (zh) * 2018-04-03 2018-12-14 重庆建筑工程职业学院 一种轨道交通用减震装置
CN109098049A (zh) * 2018-08-31 2018-12-28 吴江市通宇电梯轨道有限公司 一种减震型钢轨扣件系统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6777Y1 (ko) * 2002-02-15 2002-05-27 주식회사 맥시멈 붙박이장의 수납선반
KR200342219Y1 (ko) 2003-11-28 2004-02-1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수납용기 건조구조
KR200383724Y1 (ko) 2005-02-21 2005-05-06 임희석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85114Y1 (ko) 2005-02-21 2005-05-24 임희석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60120352A (ko) 2005-05-19 2006-11-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KR100693741B1 (ko) 2005-05-19 2007-03-1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수납용기 건조구조
KR20080062789A (ko) * 2006-12-29 2008-07-03 이광석 미서기 창호 시스템의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KR20090004500U (ko) * 2007-11-08 2009-05-13 (주)화인상사 쓰레기수거함 및 음식물쓰레기수거함이 부설된 요리대
KR200450159Y1 (ko) 2008-01-22 2010-09-08 이광용 주방용품 수납함이 포함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93119B1 (ko) * 2014-01-29 2014-05-08 (주)한성헬스피아 신발장에 구비되는 신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신발장
CN208235235U (zh) * 2018-04-03 2018-12-14 重庆建筑工程职业学院 一种轨道交通用减震装置
CN109098049A (zh) * 2018-08-31 2018-12-28 吴江市通宇电梯轨道有限公司 一种减震型钢轨扣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3335B2 (en) Housekeeping cart with wall protectors
CA2809052C (en) Load adaptive roller carriage assembly
US10034594B2 (en) Cleaning trolley
KR101027077B1 (ko) 독서대를 구비하는 독서실용 책상
KR102212828B1 (ko)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JP2006305366A (ja) 家具の一部の引出し
GB2363565A (en) Storage system
US5624169A (en) Modular suspended media rack
US20040201338A1 (en) Self-opening waste bin manager
KR102109273B1 (ko) 신발 정리기구
US4673227A (en) Enclosure cabinet for outdoor-use devices
CN208785371U (zh) 升降机构和消毒设备
KR20130001160U (ko) 사다리 받침용 가이드가 구비된 2단 수납가구
KR102183691B1 (ko) 신발 정리기구
AU3272000A (en) Tool cabinet and/or material cabinet
CN220800439U (zh) 一种家政用品用便携式储存箱
CN210643146U (zh) 可调节立柜
CN215515157U (zh) 一种便携可携带小型垃圾桶棚架
CN215737655U (zh) 一种便于取物的衣柜
KR101733866B1 (ko) Tv장이 내설된 수납가구
CN111713897A (zh) 一种抽屉结构及客房服务车
CN218999849U (zh) 柜子、柜及镜柜
CN208756601U (zh) 升降机构和消毒设备
CN217744917U (zh) 一种便于物品拿取和存放的护理车
CN216083800U (zh) 一种超市用自动贩卖机器人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