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114Y1 -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114Y1
KR200385114Y1 KR20-2005-0004602U KR20050004602U KR200385114Y1 KR 200385114 Y1 KR200385114 Y1 KR 200385114Y1 KR 20050004602 U KR20050004602 U KR 20050004602U KR 200385114 Y1 KR200385114 Y1 KR 2003851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food waste
inlet
casing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46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석
Original Assignee
임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희석 filed Critical 임희석
Priority to KR20-2005-00046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1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1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1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르면,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수거할 수 있는 장치가 구성되고, 일 측에는 싱크대 상부의 싱크볼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투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싱크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싱크볼의 배출구에 밀착되어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는 유입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주방 싱크대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케이싱의 투입구에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편하게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FOOD REFUSE DISPOSAL APPARATUS FOR RECEIVING IN A SINK}
본 고안은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방 싱크대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로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편하게 설치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주방의 싱크대의 상부에 배치되는 싱크볼에 버려진 음식물쓰레기는 배출구에 결합된 수납통에 의해서 수납되고, 이러한 수납통에 수납된 음식물쓰레기를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통에 옮겨 놓는 것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고 있었다.
그런데, 음식물쓰레기통에 옮겨진 음식물쓰레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독한 악취를 발생시키게 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개발되어지게 되었다. 본 고안의 출원인도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68232호(고안의 명칭 : 음식물 쓰레기 자동처리기,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개발한 바 있었다.
선행기술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될 수 있는 외부함체(이하 '케이싱'이라 함)를 구비하고, 케이싱의 내부에는 분쇄통과 수거함을 나란히 배치하는 등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싱크대 상부의 싱크볼의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분쇄통으로 투입된 후, 탈수 및 분쇄되어 수거함에 이송된 후 건조되는 것이다.
그런데, 선행기술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싱크볼의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분쇄통에 적절히 투입되도록 설치되어야 하는데, 각 싱크대의 수납공간의 높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획일적으로 생산하는 경우, 수납공간의 높이가 상이한 각 싱크대에 적절히 설치될 수 없었다. 따라서 설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저면에 받침부재를 고인다거나 하는 번잡한 작업이 따르게 되지만, 받침부재를 고여 설치 높이를 조절한다고 하더라고 그 설치된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안정적으로 설치되는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싱크볼의 배출구를 통해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통상적으로 설거지물과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음식물쓰레기 및 설겆이물이 싱크볼의 배출구에서 분쇄통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 상으로 오투입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즉,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배치가 흔들려 싱크볼의 배출구의 위치와 틀어지게 되면 싱크볼의 배출구를 통해서 하방향으로 쏟아지는 과다한 설거지물과 음식물쓰레기의 일부가 분쇄통으로 투입되지 못하고 새어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 상으로 오투입될 수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싱크대 상부의 싱크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 상으로 오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간편한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는,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수거할 수 있는 장치가 구성되고, 일 측에는 싱크대 상부의 싱크볼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투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싱크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싱크볼의 배출구에 밀착되어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는 유입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싱의 투입구의 내경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 하단의 외경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의 하단이 상기 케이싱의 투입구에 나사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또 하나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가 싱크대(200) 하부의 수납공간(21) 상에 양호하게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측단면도이고, 도2는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에 대한 상단면도이다.
도1 및 도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는, 케이싱(11), 유입관(12) 및 고정부재(1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싱(11)의 외형은 싱크대(200) 하부의 수납공간(21)에 적절히 수납설치 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싱크대(200) 하부의 수납공간은 사각형상을 가지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대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도시되었다. 또, 상기 케이싱(11)의 상부 일 측에는 싱크볼(22)의 배출구(22a)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1a)가 형성되어 있으며, 투입구(11a)의 내경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투입구(11a)는 상기 싱크볼(22)의 배출구(22a)와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해야 한다.
한편, 상기 케이싱(11)의 내부에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수거할 수 있는 구성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배치된다.
케이싱(11)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분쇄할 수 있는 분쇄통(14)이 상기 투입구(11a)의 하측에 배치되고, 이 분쇄통(14)에서 잘게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거되는 수거함(15)이 분쇄통(14)과 나란히 구성된다. 또, 상기 분쇄통(14)의 일 측에는 분쇄모터(16)가 구성된다.
상기 분쇄통(14)은, 잘게 분쇄된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수검함(15)의 상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배출관(14a)과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유입된 물이 배수될 수 있는 배수관(14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상기 분쇄모터(16)로 구동되며 상호 치합된 한 쌍의 압착기어(17) 및 이 한 쌍의 압착기어(17)를 감싸고 있는 보호망(18)이 배치되고, 또, 이 보호망(18)의 유입구(18a)와 연하여 유입구(18a)로 음식물쓰레기를 안내하는 안내망(19)이 일 측 내벽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수거함(15)의 내부 하측으로는 상기 분쇄통에서 잘게 분쇄되어 이동되어온 음식물쓰레기를 받칠 수 있는 망체(31)가 구성되고, 상기 망체(31)의 하측이면서 수거함(15)의 일 측은 송풍공(15a)이 형성되어 있으며, 송풍공(15a)의 외측으로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32)가 구비되고, 히터(32)의 외측으로 송풍모터(34)에 의해 회전하는 송풍팬(33)이 배치된다.
또, 상기 수거함(15)의 상부 일 측에는 음이온 살균기(41)가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유입관(13)은 상기 케이싱(11)의 투입구(11a)에 결합되어 상기 싱크볼(22)의 배출구(22a)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투입구(11a)로 적절히 투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투입구(11a)에 고정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싱크볼(22)의 배출구(22a)에 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유입관(12)의 하부는 상기 투입구(11a)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도록, 그 외경에 상기 투입구(11a)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상호 치합될 수 있도록 수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부(12a)로 구성된다. 따라서 유입관(12)의 하부와 케이싱(11)의 투입구(11a)는 나사 풀림이나 감김에 의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유입관(12)의 높이조절부(12a)의 외경에 수나사산이 형성되고, 케이싱(11)의 투입구(11a) 내경에 암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유입관(12)이 투입구(11a)에 탈착가능하면서도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하한 응용에 따르더라도 유입관(12)이 투입구(11a)에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탈착되는 구조이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 유입관(12) 상단의 내경에는 후술될 고정부재(13)와의 결합을 위해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싱(11)과 분쇄통(14)을 구분한 상태에서 케이싱(11)에 투입구(11a)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지만, 응용에 따라서는 분쇄통에 투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러한 응용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그대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재(13)는, 상기 유입관(12)의 상단이 상기 싱크볼(22)의 배출구(22a)에 접하는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부재(13)를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출구(22a)에 대응하는 중공(1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싱크볼(22)의 배출구(22a)를 사이에 두고 상기 유입관(12)의 상단과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주연에 수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에 대한 설치에 대하여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설치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2)을 케이싱(11)의 투입구(11a)에 나사 결합시킨다. 즉, 유입관(12)의 높이조절부(12a)를 투입구(11a)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이며, 싱크대(200)의 수납공간(21)으로의 수납이 원활할 수 있도록, 될 수 있는 한 설치 높이를 낮게 하기 위하여 유입관(12)의 하단을 투입구(11a)에 최대한 나사 감김 상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치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12)이 결합된 케이싱(11)을 싱크대(200) 하부의 수납공간(21)에 배치시킨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도4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유입관(12)의 상단이 싱크볼(22)의 배출구(22a)와 접하지는 아니할 것이다.
따라서 설치자는 도5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유입관(12)을 투입구(11a)로부터 나사풀림하여 설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유입관(12)의 상단이 싱크볼(22)의 배출구(22a)에 적절히 밀착하여 접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하여 설치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22)의 상측에서, 고정부재(13)의 결합부(13b)에 형성된 수나사산과 유입관(12) 상단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산을 이용한 나사결합을 통해 유입관(12)의 상단이 싱크볼(22)의 배출구(22a)에 적절히 접한 상태에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과정을 거쳐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가 싱크대(200)에 적절히 설치되면, 싱크볼(22)에 버려진 음식물쓰레기가 싱크대(200)의 수납공간(21) 등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유입관(12)을 통해 분쇄통(14)으로 적절히 투입된 후, 온전히 분쇄 및 건조처리 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바와 같이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100)가 싱크대(200)에 적절히 설치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과정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설거지 등에 의해 음식물쓰레기가 싱크볼(22)에 버려지면, 버려진 음식물쓰레기는 물과 함께 유입관(12) 및 투입구(11a)를 통해 안정적으로 분쇄통(14)으로 투입된다.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는 분쇄통(14) 내의 일 측에 경사지게 설치된 안내망(19)에 의해 안내되면서 한 쌍의 압착기어(17)를 감싸고 있는 보호망(18)의 유입구(18a) 쪽으로 유입된다.
유입구(18a)쪽으로 유입된 음식물쓰레기는 한 쌍의 압착기어(17)에 의해 분쇄되면서, 한 쌍의 압착기어(17)의 이송력에 의해 보호망(18) 내부를 이동하여 상측의 배출관(14a)을 향하여 이송된다. 물론,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투입된 물과, 음식물쓰레기의 압착 분쇄에 의해 탈수된 물은 배수관(14b)을 통해 배수되게 된다.
한편, 배출관(14a)을 통해 배출된 잘게 분쇄된 음식물쓰레기는, 수거함(15)으로 유입되며, 히터(32) 및 송풍팬(33)의 가동에 의해 건조되는 한편, 음이온 살균기(41)의 작동에 따라 악취가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궁극적으로 잘게 분쇄되어 건조되면서도, 악취가 제거된 음식물쓰레기 처리물이 수거함(15)에 남게 되고, 사용자는 추후 수거함(15)을 탈거한 후, 수거함(15)에 수거된 건조된 음식물쓰레기를 버린 다음, 다시 수거함(15)을 장착하면 되기 때문에, 주방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고안이 상기의 실시 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싱크대 상부의 싱크볼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분쇄통으로 안정적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설치 높이의 조절이 간편한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가 싱크대에 적절히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표현한 측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에 대한 상단면도이다.
도3 내지 도6은, 도1의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싱크대에 수납 설치하는 과정을 순서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11 : 케이싱
11a : 투입구
12 : 유입관
12a : 높이조절부
13 : 고정부재

Claims (2)

  1. 내부에 음식물쓰레기를 분쇄하여 수거할 수 있는 장치가 구성되고, 일 측에는 싱크대 상부의 싱크볼에 형성된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며, 싱크대 하부의 수납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투입구에 결합되어 상기 싱크볼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투입구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단이 상기 투입구에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싱크볼의 배출구에 밀착되어 접할 수 있도록 상기 투입구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될 수는 유입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투입구의 내경에는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유입관 하단의 외경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관의 하단이 상기 케이싱의 투입구에 나사감김 또는 풀림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2005-0004602U 2005-02-21 2005-02-21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2003851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02U KR200385114Y1 (ko) 2005-02-21 2005-02-21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4602U KR200385114Y1 (ko) 2005-02-21 2005-02-21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114Y1 true KR200385114Y1 (ko) 2005-05-24

Family

ID=4368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4602U KR200385114Y1 (ko) 2005-02-21 2005-02-21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11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857A (ko) * 2009-06-23 2010-12-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접속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씽크볼 타입 음식물 처리기에서의 체결구조
KR102212828B1 (ko) 2020-05-11 2021-02-05 임영수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7857A (ko) * 2009-06-23 2010-12-31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접속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씽크볼 타입 음식물 처리기에서의 체결구조
KR101628363B1 (ko) * 2009-06-23 2016-06-08 코웨이 주식회사 접속 연결구 및 이를 이용한 씽크볼 타입 음식물 처리기에서의 체결구조
KR102212828B1 (ko) 2020-05-11 2021-02-05 임영수 싱크대용 음식물 미생물 처리기의 수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40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70064946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81905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111894090B (zh) 一种厨余垃圾自动回收设备
KR1014456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17851B1 (ko) 음식물 처리장치
KR101466079B1 (ko) 싱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85114Y1 (ko)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79211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CN112081194B (zh) 一种集成橱柜、橱柜集成系统、橱柜集成方法
KR200399097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냉장고
KR200383724Y1 (ko)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1178606B1 (ko)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KR100723358B1 (ko) 싱크대에 적합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장치
KR101074349B1 (ko) 발효 미생물 접종 분해식 싱크대 부착용 일체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KR1007449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7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6328396B2 (ja) 流し台用生ごみ脱水装置
KR100425758B1 (ko)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KR200397920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91237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5994B1 (ko) 음식물 처리기의 누름 부재
KR102561575B1 (ko)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509591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착탈식 쓰레기통
KR20150124749A (ko) 음식물 처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