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4971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4971B1
KR100744971B1 KR1020060094619A KR20060094619A KR100744971B1 KR 100744971 B1 KR100744971 B1 KR 100744971B1 KR 1020060094619 A KR1020060094619 A KR 1020060094619A KR 20060094619 A KR20060094619 A KR 20060094619A KR 100744971 B1 KR100744971 B1 KR 100744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deodorizing
unit
processing unit
treatmen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남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세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세코
Priority to KR1020060094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49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4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4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후 탈수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통하도록 연결되며 이송부에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건조시키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와 통하도록 연결되며 처리부에서 발생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부로 구성되며, 상기 처리부는, 일측면이 개방되고 내측에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가열장치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구동수단이 설치된 외부케이스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결합부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수납부에 삽입되는 내부케이스와; 내부에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커터가 설치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내통체로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 탈취, 분쇄, 건조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Food Garbage Crusher}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필터부재"와 "싱크볼"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결합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에 대한 결합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를 저면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의 내부케이스에 대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에 대한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0 : 처리장치 1000a : 이송부
1000b : 처리부 1000c : 탈취부
1110 : 싱크볼 1114 : 리미트스위치
1116 : 덮개 1118 : 걸림돌기
1120 : 배수구 1130 : 배출구
1200 : 필터부재 1210 : 플랜지부
1212 : 걸림공 1220 : 지지부
1222 : 배수공 1224 : 배출구
1300 : 이송부재 1310 : 이송날개
1320 : 모터 1322 : 축
1400 : 이송관 1410 : 역류방지부
1420 : 개폐밸브 1500 : 외부케이스
1502 : 수납부 1504 : 가열장치
1509 : 구동수단 1511 ; 모터
1530 : 내부케이스 1531 : 경계턱
1532 : 결합부 1533 : 안착홈
1534 : 배수구 1535 : 단턱
1536 : 샤프트 1537 : 절개구
5138 : 홈 1539 : 테두리부재
1550 : 내통체 1551 : 배수공
1552 : 커터 1554 : 리브
1580 : 배기관 1600 : 마이컴
1700 : 탈취통 1710 : 정화수
1720 : 펌프 1730 : 공급관
1740 : 분무노즐 1750 : 배기구
1760 : 순환관 1770 : 3방향 밸브
1780 : 배수구 1790 : 급수관
1792 : 급수밸브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씽크대에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 및 건조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을 절감할 수 있고, 악취발생을 예방할 수 있어 쾌적한 주방 환경을 도모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조리하여 먹고 난 후 발생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씽크대의 배수구에 마련된 거름망에 걸러서 물과 고형물을 분리시킨 다음 고형물은 별도로 처리한다.
그러나, 고형의 음식물쓰레기는 상당한 양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이 불가능하여 그대로 버리거나 매립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때 침출수의 발생으로 심한 악취를 발생하게 되어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를 완전히 탈수시킨 후 분쇄하고, 탈취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을 예방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345258호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345258호에 대한 구성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기세척대의 하부공간에 내장되는 몸체(10)와, 상기 식기세척대의 배수구와 연결되도록 몸체(10)에 설치되어 관통공(21a)을 통하여 연결되는 분기관(21) 및 배수관(22)을 구비하는 유입관(20)과, 상기 유입관(20)에 내장되어 개폐기(31)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되는 차단판(30)과, 상기 유입관(20)의 일측 하부에 경사지게 연결되어 유입구(41)와 여과분리망(42)을 구비하는 탈수통(40)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탈수통(40) 상부에 조립되어 배출구(51)를 구비하는 캡(50)과, 상기 캡(50)에 지지되어 여과분리망(42)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이송스크류(60)와, 상기 이송스크류(60)를 구동시키는 모터(70)를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배출구(51)와 연결되도록 캡(50)의 측부에 설치되어 배출공(81)과 히터(82)를 구비하는 건조통(80)과, 상기 건조통(80)의 상부를 밀폐시키는 커버(90)와, 상기 커버(90)에 지지되어 건조통(80)의 내측으로 끼워지면서 고정바(91)와 대응되는 교반부재(100)와, 상기 교반부재(100)를 구동시키는 정역모터(200)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건조통(80)의 하부에 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저장용기(300)와 상기 건조통(80)에 관로(410)를 통하여 연결 설치되는 배기팬(400)및 해충퇴치기(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부재(100)는 수직부재(130)와 수평부재(120) 및 그 중앙에 연결되는 배출스크류(110)로 이루어지며, 상기 건조통(80)의 저부에는 배출판(80a)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씽크대와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필요로 하고, 신속한 건조가 힘들며, 음식물쓰레기의 압축시 음식물이 파쇄되어 장시간 사용시 하수관로의 유체 흐름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크류의 날개나 축 등에 남아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부패함으로써 음식물 처리장치에서 심한 악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저장통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탈수시킨 후 건조 및 분쇄 처리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발생을 막을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음식물을 분쇄하는 분쇄장치를 탈착이 용이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분쇄 후 수시로 탈거하여 청소할 수 있어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후 탈수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통하도록 연결되며 이송부에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건조시키는 처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처리부는,
일측면이 도어에 의해 개방되고 내측에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가열장치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구동수단이 설치된 외부케이스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결합부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수납부에 삽입되는 내부케이스와; 내부에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커터가 설치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내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필터부재"와 "싱크볼"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3b는 결합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과 탈수가 수행되는 이송부(1000a)와,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시키는 처리부(1000b)와,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부(1000c)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음식물 쓰레기가 처리되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이송부(1000a)"에 대해 설명한다.
이송부(1000a)는, 도 2 내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싱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투입구에 설치되며, 싱크대 하부에 설치된 싱크볼(1110)과, 싱크볼(1110) 내면에 설치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를 싱크볼(1110) 외부로 배수시키는 필터부재(1200)와, 필터부재(1200)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면서 처리부(1000b)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1300)로 구성된다.
상기 싱크볼(1110)은 싱크대의 하면에 설치되고, 그 상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된 투입구(1112)가 형성된 통체형상이며, 내측에는 필터부재(1200)와 이송장치(130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구동모터(1320)에 의해 구동되는 이송장치(13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싱크볼(1110)의 투입구(1112)에는 싱크볼(1110)을 개폐시키는 덮개(1116)가 설치된다.
여기서, 덮개(1116)에는 전술한 이송부, 처리부, 탈취부의 ON/OFF 작동을 모두 제어할 수 있는 리미트스위치(1114)를 설치하여 리미트스위치(1114)의 접점 상태에 따라 후술하는 마이컴(1600)이 처리장치(1000)의 작동을 제어할 수도 있다.
즉,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1116)에 의해 리미트스위치(1114)가 눌려 접점이 온(on)되면 마이컴(1600)이 처리장치(1000)를 정상 작동시키게 되고, 접점이 오프(off)되면 마이컴(1600)에 의해 처리장치(1000)가 작동되지 않고 경고발생부(미도시)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싱크볼(1110)에는 그 일측에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오수가 배수되는 배수구(112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30)가 형성되는데, 배출구(1130)는 음식물 쓰레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후술하는 이송장치(1300)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싱크볼(1110)에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와 오수를 분리시키기 위한 필터부재(120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재(120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볼(111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1220)와, 상기 지지부(1220)에 돌출 형성되어 싱크볼(1110)의 상면에 걸림되게 안착되는 플랜지부(12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220)의 측면에는 오수가 싱크볼(1110)의 배수구(1120)측으로 배수되도록 배수공(1222)이 상하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222) 하부의 지지부(1220)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볼(1110)의 배출구(1130)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224)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1222)은 지지부(1220)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길게 절개된 슬롯형상으로서, 상기 배수공(1222)은 지지부(1220)의 단면에서 볼 때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은 방지하면서 오수는 신속하게 싱크볼(1110)내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하였다(도 3c 참조).
또한, 상기 필터부재(1200)의 플랜지부(1210)에는 싱크볼(1110)에 삽입되는 필터부재(1200)의 배출구(1224)가 싱크볼(1110)의 배출구(1130)에 일치되게 삽입되게 하기 위한 걸림홈(1212)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1212)은 그 크기가 다른 복수 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1210)가 안착되는 싱크볼(1110) 상부에는 걸림홈(1212)에 삽입되어 걸림되는 걸림돌기(1118)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118) 역시 걸림홈(1212)에 대응되는 복수개로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부재(1200)의 걸림홈(1212)은 싱크볼(1110)의 걸림돌기(1118)에 결합되므로, 필터부재(1200)의 배출구(1224)는 항상 싱크볼(1110)의 배출구(1130)와 일치되게 결합된다.
한편, 싱크볼(1110)의 내측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필터부재(1200)내에서 교반시키면서, 일부 탈수시켜 처리부(100b)에 연결된 이송관(1400)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130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장치(1300)는, 저면에 다수개의 이송날개(1310)가 형성되고, 상면에 작은 날개(1312)가 형성된 원판형의 회전브라켓(1311)과, 상기 회전브라켓(1311)을 회전시키는 모터(132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브라켓(1311)은 필터부재(120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필터부재(1200)의 내벽과 회전브라켓(1311)의 외주연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통과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브라켓(1311)은 구동모터(1320)의 축(1322)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동모터(1320)는 싱크볼(1110) 하부에 결합되는 케이스(1330) 내측에 설치되며, 지지리브(1333)에 볼트체결로 고정된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1000b)"에 대해 설명한다.
첨부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에 대한 결합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에 대한 분해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를 저면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의 내부케이스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처리부"에 대한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처리부(1000b)는 도 4a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면이 도어(미도시됨)에 의해 개방되는 한편, 그 내측에는 수납부(1502)가 형성되며, 상부에 가열장치(1504)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구동수단(1509)이 설치된 외부케이스(1500)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결합부(1532)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1500)의 수납부(1502)에 삽입되는 내부케이스(1530)와; 상기 구동수단(1509)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커터(1552)가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배수공(1551)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1530)의 결합부(1532)에 삽입되는 내통체(15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부케이스(1500)는 전면이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대략 박스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후술될 내부케이스(1530)가 수납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된 수납부(1502)가 형성되며, 외부케이스(1500) 상부에는 가열장치(1504)가 설치되고, 외부케이스(1500) 하부에는 구동수단(1509)이 설치된 것으로, 싱크대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가열장치(1504)는 외부케이스 내에 고온의 열을 가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가열장치(1504)의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히터(1505)와, 히터(1505) 하부에 설치되어 히터(1505)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케이스(1500) 내로 이송하는 팬(1507)으로 구성된 것을 들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1509)은 제어부에 연결되어 작동되는 모터(1511)와, 모터(1511)의 축에 결합된 구동기어(1540)로 구성된다. 구동기어(1540)는 원형체의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되며, 구동기어(1540)는 종동기어(1900)가 내부케이스(1530)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500) 측면에 형성된 통공(1506)에는 이송관(1400)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송관(1400)의 타단은 싱크볼(1110)과 통하도록 연결된다.
여기서, 이송관(1400)에는 개폐밸브(1420)가 설치되고, " U "자형 트랩을 형성하여 처리부(1000b)의 악취가 싱크볼(1110)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술한 트랩의 형상은 " U "자형 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 및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케이스(1500) 측면에 형성된 또 다른 통공(1508)에는 후술하는 탈취부(1000c)의 탈취통(1700)과 통하도록 연결되는 배기관(1580)이 설치된다.
또한, 외부케이스(1500) 저면에는 후술될 내통체(1550)의 위치감지센서(1553)와 대응되는 위치감지부(1501)가 설치됨으로써 내부케이스(1530) 및 내통체(1550)가 정위치에 놓여졌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제어부에 송신하고, 신호를 받은 제어부는 내부케이스(1530) 및 내통체(1550)가 정위치라면 정상작동을 명령하나, 정위치되지 않았다면 작동정지를 명령한다.
상기 내부케이스(1530)는 외부 케이스(1500)의 수납부(1502)에 서랍과 같이 넣고 빼기가 가능하게 한 것으로,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는 후술될 내통체(1550)가 결합되도록 원통형상의 결합부(1532)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결합부(1532)의 내측벽 상부에는 내통체(1550)가 걸려지는 단턱(1535)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심부에는 샤프트(1536)가 수직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샤프트(1536)는 일단이 내부 케이스(1530)의 저면 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종동기어(1900)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종동기어(1900)는 원형체의 외주면에 치차가 형성된 것으로, 전술한 구동수단(1509)에 마련된 구동기어(1540)와 치합되는데, 구동수단(1509)의 회전에 연동되어 샤프트(1536)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전술한 종동기어(1900)와 구동기어(1540)는 통상의 외접기어 치합구조가 적당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도 2 및 도 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부(1532)의 바닥면 일측에는 잔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관(100)과 연결된 배수구(1534)를 형성하고, 배수구(1534) 앞쪽에는 찌꺼기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경계턱(1531)을 형성하되, 경계턱(1531)에는 잔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절개구(1537)가 복수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경계턱(1531) 대신에 망(미도시)을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배수구(1534)에는 개폐디스크 및 이를 제어하는 개폐밸브(미도시)를 설치하여 내부케이스(1530)가 외부케이스(1500)에 수납되었을 때에는 개방되고, 내부케이스(1530)가 외부로 빼냈을 때에는 폐쇄된다.
또한,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케이스(1530)의 바닥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1500)의 위치감지부(1501)에 대응되는 위치에 후술될 내통체(1550)의 위치감지센서(1553)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하방으로 요입된 홈(1538)을 형성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532) 상단에는 테두리부재(1539)를 형성하고, 테두리부재(1539)의 전방 하부에는 손잡이(1910)를 형성하여, 내부케이스(1530)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하였고, 테두리부재(1539) 상면에는 후술될 내통체(1550)의 리브(1554)가 안착되는 안착홈(1533)이 형성된다.
상기 내통체(155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막혀있는 원통형상으로써 전술한 내부케이스(1530)의 결합부(1532)에 삽입되는 것이며, 상단 외주연에 리브(1554)를 형성하여, 전술한 내부케이스(1530)의 결합부(1532)에 마련된 안착홈(1533)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내통체(1550)가 내부케이스(153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도 4b 및 도 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통체(1550) 측벽에는 수직의 슬릿형상으로 된 배수공(1551)이 다수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전술한 내부케이스(1530)의 샤프트(1536)가 결합되는 결합홈(1556)이 형성되며, 바닥면의 외측에는 위치감지센서(1553)가 설치된다.
아울러 결합홈(1556)에는 샤프트(1536)가 탈착되게 결합되는데,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536)는 종동기어(1900)와 결합되어 내부케이스(1530)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케이스(1530)의 결합부(1532)에 내통체(1550)를 수직 방향으로 분리시키거나 끼워 넣음에 따라 결합홈(1556)이 샤프트(1536)에 분리/결합된다.
전술한 외부케이스(1500)의 위치감지부(1501)와 내통체(1550)의 위치감지센서(1553)는 자력을 이용하는 마그네틱센서를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광부 및 수광부로 이루어진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외 다양한 예로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내통체(1510)의 내측면에는 다단으로 절곡되며 비대칭형으로 형성된 커터(1552)가 설치되는데, 커터(1552)는 전술한 내통체(1550)의 결합홈(1556)에 수직으로 회전되게 설치되며, 결합홈(1556)은 내통체(1550)가 내부케이스(1530)에 탈착됨에 따라 샤프트(1536)에 분리/결합되어 샤프트(1536)가 회전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교반시킨다.
여기서, 커터(1552)는 일측 끝단이 회전방향을 향해 비틀리게 형성됨으로써 보다 절단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 "탈취부(1000c)"에 대해 설명한다.
탈취부(1000c)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술한 처리부(1000b)의 외부케이스(1500)와 통하게 연결된 배기관(1580)에 연결되며, 처리부(1000b) 내의 악취가 유입되는 탈취통(1700)과, 탈취통(1700) 내에 마련된 탈취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탈취통(1700)의 타측에는 배기관(1580)과 대향되며 정화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1750)가 설치된다.
탈취통(1700)의 내부에 마련된 탈취수단은, 소정 높이로 충전된 정화수(1710)와, 탈취통(17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정화수를 분무하는 분무노즐(1740)로 구성된다.
즉, 탈취통(1700) 내에 정화수(1710)가 충전되어 있고, 상기 탈취통(1700)의 내측 상부에는 정화수(1710)를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분무하는 분무노즐(1740)이 설치되어, 분무된 물입자가 탈취통(1700)내의 공기 중의 각종 먼지, 세균, 냄새, 가스 등을 포집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탈취통(1700)에는 정화수(1710)를 분무노즐(1740)로 공급하는 공급관(1730)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1730)에는 정화수(1710)를 분무노즐(1740)로 공급하는 펌프(172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탈취통(1700)의 하부에는 펌프(1720)에 의해서 탈취통(1700)내의 오염된 정화수(1710)가 순환되는 순환관(1760)이 설치되고, 상기 순환관(1760)에는 3방향 밸브(1770)가 설치되며, 상기 3방향 밸브(1770)에는 오염된 정화수내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178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취통(1700)의 상부에는 정화수(1710)를 충전하기 위한 급수관(1790)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1790)에는 급수관(1790)을 개폐시키는 급수밸브(1792)가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덮개(1116)를 열어 투입구(111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볼(1110)내의 필터부재(1200)로 투입한다.
이때, 싱크볼(1110) 내의 필터부재(120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입자가 작은 음식물 쓰레기이고, 입자가 큰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부(1000b)의 내통체(1550)에 직접 투입하여 처리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싱크볼(1110)의 필터부재(1200) 내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부재(1200)의 배수공(1222)을 통과하지 못하므로 필터부재(1200)내에 그대로 잔존하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는 필터부재(1200)의 배수공(1222)을 통해 싱크볼(1110)측으로 신속하게 배수되며, 싱크볼(1110)로 배수된 오수는 다시 싱크볼(1110)의 배수구(1120)를 통해 모두 배수된다.
그리고, 이때 이송관(1400)상의 개폐밸브(1420)는 닫힌 상태로서, 필터부재(1200)의 배수공(1222)을 통해 배출된 다량의 오수가 이송관(1400)을 통해 처리 부(1000b)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필터부재(1200)내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덮개(1116)를 닫고 전원스위치를 ON 시켜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싱크볼(1110)의 투입구(1112)를 닫는 덮개(1116)에 의해 리미트스위치(1114)를 작동시키거나 별도로 마련된 제어부의 스위치를 작동시켜 전원을 ON 또는 Off시킨다.
전원이 ON 되면, 마이컴(1600)이 이송부(1000a)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마이컴(1600)에 의해 이송장치(1300)와 연결된 모터(1320)가 작동되고, 이 모터(1320)의 작동으로 인해 이송장치(1300)가 회전 구동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탈수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이송장치(1300)의 회전 구동과 동시에 이송관(1400)상의 개폐밸브(1420)를 개방시키게 되는데, 이송장치(1300)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된 후에 이송관(1400)상의 개폐밸브(1420)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개폐밸브(1420)가 개방되면, 이송장치(1300)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탈수된 음식물 쓰레기가 소량의 물과 함께 이송날개(1310)에 의해 필터부재(1200)의 배출구(1224)와 싱크볼(1110)의 배출구(1130)를 통해 이송관(1400)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소량의 오수와 함께 이송관(1400)을 통해 처리부(1000b)의 내통체(151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내통체(1510)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면, 마이컴(1600)이 처리부(1000b)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내통체(1510)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면, 마이컴(1600)이 이송관(1400)상의 개폐밸브(1420)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내통체(1510)로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유입된 오수는 배수공(1551)을 통해 내부케이스(1530)로 유출된 후 배수구(1534)를 통해 배출관(100)으로 이송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내통체(1510)내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커터(1552) 에 의해 탈수 및 분쇄되며, 외부케이스(1500) 상부에 설치된 가열장치(1504)에 의해 건조된다.
즉, 히터(1505)에 의해 발열된 더운 공기가 팬(1507)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측으로 공급되어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내통체(1550) 하부의 커터(1552)가 회전하여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계속해서 분쇄 및 뒤섞어 줌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는 신속하면서도 고루 건조됨과 동시에 분쇄하여 줌으로써 건조를 가속화하게 된다.
이후, 건조가 완료되면, 외부케이스(1500)의 전면 개방부를 통해 내부케이스(1530)를 꺼내고, 내부케이스(1530) 내에서 내통체(1550)를 분리해낸 후 음식물 쓰레기를 비워낸 다음 내통체(1550)를 다시 내부케이스(1530)에 결합한다.
필요에 따라서는, 내부케이스(1530)의 내면을 물로 세척하여 오수 및 찌꺼기가 남아 있지 않도록 한다.
이때, 내통체(1550)의 위치감지센서(1553)가 내부케이스(1530)의 홈(1538)에 삽입되도록 하고, 리브(1554)는 안착홈(1533)에 안착되게 하여 안정적으로 결합시킨다.
이렇게 내통체(1550)가 결합된 내부케이스(1530)는 다시 외부케이스(1500) 내에 삽입하는데, 내통체(1550)의 위치감지센서(1553)가 외부케이스(1500)의 위치감지부(1501)와 일치되도록 한다. 위치감지센서(1553)와 위치감지부(1501)가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았다면, 경보음이 울리거나 작동이 불가능하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처리부(1000b)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할 경우에는, 마이컴(1600)이 탈취부(1000c)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처리부(1000b)의 건조 처리작동시 발생된 악취가 배기관(1580)을 통해 탈취통(1700)으로 유입되어 정화된 상태로 배기구(1750)를 통해서 배기된다.
이때, 마이컴(1600)에 의해 펌프(1720)가 작동되면서 탈취통(1700)내의 정화수를 압송시켜 공급관(1730)을 통해 분무노즐(1740)로 공급한다.
한편, 분무노즐(1740)로 공급된 정화수(1710)는 소정의 압력으로 탈취통(1700)의 공기 중으로 분무되어, 물입자가 공기중의 악취 즉 냄새나 가스를 포집 하여 탈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탈취작동이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이루어짐으로써 결국에는 처리부(1000b)내의 모든 악취는 모두 탈취되어 정화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반복되는 탈취작동으로 인해 정화수(1710)의 오염정도가 심각하게 되면, 탈취통(1700)의 순환관(1760)에 설치된 3방향 밸브(1770)를 조정하여 배수구(1780)를 개방시켜서 오염된 정화수(1710) 및 이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킨다.
그리고, 배출된 정화수(1710)의 양만큼 급수밸브(1792)가 개방된 급수관(1790)을 통해 새로운 정화수(1710)를 탈취통(1700)내로 충전한다.
위에서 설명한 작동순서는 마이컴(1600)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진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100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건조시켜 처리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된 악취를 모두 탈취시켜 정화할 수 있으며, 특히 처리부를 분리한 후 세척할 수 있으므로 청결한 위생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싱크볼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의 오수를 배수시키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기통측으로 이송시켜 건조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및 건조하는 처리부의 내부케이스와 내통체를 탈착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분쇄/건조 작동 후 수시로 탈거하여 오물찌꺼기를 청소할 수 있으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0)

  1.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한 후 탈수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통하도록 연결되며 이송부에서 이송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건조시키는 처리부로 구성되며,
    상기 처리부는,
    일측면이 도어에 의해 개방되고 내측에 수납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가열장치가 설치되고, 하부에는 구동수단이 설치된 외부케이스와;
    상부가 개구되고 내측에 결합부가 소정 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케이스의 수납부에 삽입되는 내부케이스와;
    내부에 상기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커터가 설치되고, 측면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의 결합부에 삽입되는 내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구동수단은 모터와 외부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는 구동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케이스 바닥면에는 샤프트가 수직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일단 즉,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의 끝부분에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결합되고, 상기 내통체에는 커터의 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 며, 상기 커터의 축이 샤프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면 외측에는 위치감지부가 설치되고, 상기 내통체 하부에는 상기 위치감지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위치감지부와 위치감지센서 간의 일치여부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와 내통체의 결합상태가 정상적으로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결합부 바닥면에는 잔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찌꺼기의 유입을 막을 수 있는 경계턱이 앞쪽에 형성되되, 상기 경계턱에는 잔수가 이동될 수 있도록 소정의 절개구가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통체의 내부에는 다단으로 절곡된 커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싱크볼과;
    상기 싱크볼 내면에 설치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를 싱크볼 외부로 배수시키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면서 처리기통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상기 싱크볼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돌출 형성되어 싱크볼의 상면에 걸림되게 안착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절개되어 형성되고 오수가 싱크볼의 배수구측으로 배수되는 배수공과;
    상기 배수공 하부의 지지부에 개구되게 형성되고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볼의 배출구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에는 처리부에서 발생된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부가 연결되되,
    상기 탈취부는, 상기 처리부의 외부케이스와 통하도록 배기관이 일측에 설치되고, 타측에는 배기구가 설치되며, 상기 처리부 내의 악취가 유입되는 탈취통과;
    상기 탈취통 내에 마련된 탈취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수단은,
    탈취통에 소정 높이로 충전된 정화수와;
    상기 탈취통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정화수를 분무하는 분무노즐과;
    상기 분무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60094619A 2006-09-28 2006-09-2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4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619A KR100744971B1 (ko) 2006-09-28 2006-09-2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619A KR100744971B1 (ko) 2006-09-28 2006-09-2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4971B1 true KR100744971B1 (ko) 2007-08-02

Family

ID=3860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619A KR100744971B1 (ko) 2006-09-28 2006-09-28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49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16B1 (ko) 2010-08-27 2011-03-17 아이앤비에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513570B1 (ko) * 2014-07-23 2015-04-20 (주)솔루션아이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2242A (ko) * 2014-11-04 2016-05-12 권지영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0660A (en) 1977-11-16 1979-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arbage disposal instrument
KR100204249B1 (ko) 1995-12-21 1999-06-15 김광모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KR200233545Y1 (ko) 2001-03-23 2001-10-10 최상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634022B1 (ko) 2006-02-17 2006-10-16 주식회사 파세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KR100634026B1 (ko) 2006-02-17 2006-10-16 주식회사 파세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0660A (en) 1977-11-16 1979-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arbage disposal instrument
KR100204249B1 (ko) 1995-12-21 1999-06-15 김광모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KR200233545Y1 (ko) 2001-03-23 2001-10-10 최상영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634022B1 (ko) 2006-02-17 2006-10-16 주식회사 파세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KR100634026B1 (ko) 2006-02-17 2006-10-16 주식회사 파세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1616B1 (ko) 2010-08-27 2011-03-17 아이앤비에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513570B1 (ko) * 2014-07-23 2015-04-20 (주)솔루션아이티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2242A (ko) * 2014-11-04 2016-05-12 권지영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627427B1 (ko) * 2014-11-04 2016-06-03 권지영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5533B2 (ja) 台所用食べ物残り生屑処理装置
KR100879400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14451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827452B1 (ko) 소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음식물 쓰레기내에함유된 수분 및 염분의 제거방법
KR100204249B1 (ko)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KR1014456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106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885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KR1007449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340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KR10063402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49642B1 (ko) 미생물 분해 방식을 이용한 싱크대 직결 부착형 음식물 처리기
KR20038322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45258Y1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370478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JPH09264041A (ja) 塵芥処理装置を有する流し台
KR200312537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047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KR20220112919A (ko)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JP4107866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KR100434731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1015087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663702B1 (ko) 음식물쓰레기 자동 건조 장치
JP3108273B2 (ja) 生ゴ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