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022B1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4022B1 KR100634022B1 KR1020060015541A KR20060015541A KR100634022B1 KR 100634022 B1 KR100634022 B1 KR 100634022B1 KR 1020060015541 A KR1020060015541 A KR 1020060015541A KR 20060015541 A KR20060015541 A KR 20060015541A KR 100634022 B1 KR100634022 B1 KR 1006340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nk
- food waste
- garbage
- filter member
- process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4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0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8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55 soli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1450 an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68 cat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2 ultra-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씽크대에 형성된 투입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오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한 후 건조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에 있어서, 상기 씽크볼에 삽입되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의 오수가 통과될 수 있는 배수공이 상측으로부터 형성되되, 전체 높이 중 일부 구간까지만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원심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수공으로만 오수가 배수되게 한 후,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장치 쪽으로 배출되게 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처리기통, 탈취통, 씽크볼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씽크볼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분리도이고, 도 3b는 결합된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처리기통의 내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내통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씽크볼에서 회전브라켓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씽크볼에서 회전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0 : 씽크볼 1113 : 환턱
1114 : 리미트스위치 1115 : 개구부
1117 : 환형테두리부 1118 : 걸림돌기
1200 : 필터부재 1210 : 플랜지부
1212 : 걸림홈 1222 : 배수공
1224 : 유출구 1130 : 배출구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입구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오수와 고형물로 분리할 수 있는 씽크볼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관리하는 방법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켜 퇴비화하거나 분해하여 처리하는 방법과, 물리적으로 압축 또는 분쇄하여 건조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에서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은 음식물의 성상에 대한 제약 및 미생물의 구입, 보관, 유지조건 등의 별도 구입 및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더욱이 염분이 많이 포함된 우리나라 음식에는 비현실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건조 처리하는 방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다양한 형태의 개발 및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근래 들어서는 가정에서 곧바로 음식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음식쓰레기를 분쇄.압축.탈수하는 처리장치가 많이 개발되었다.
상기한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의 선행기술로써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77243호가 개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 1은 상기한 선행기술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써, 이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한 선행기술에 따른 음식쓰레기 처리장치는, 전체적으로 수평으로 설치된 실린더 형태의 본체를 갖는다.
상부에는 씽크볼의 투입구로부터 음식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102')가 개방된다. 사용자가 통상의 씽크볼 사용과 동일하게 음식쓰레기(11')를 투입구에 버리면 상기 투입구(102')를 통해 본체 내에 쌓이게 된다.
상기 투입구(102')와 대향하는 본체 하부에는 음식쓰레기(11')에 함유된 수분이 떨어지는 배수망(104')이 설치되며, 이 배수망(104') 아래로는 배수드레인(120')과 호스가 연결되어 하수구와 연결된다.
상기 배수망(104')은 일방향으로 그릴을 형성한 형태로 제작하였다. 한편, 상기 배수망(104')에 찌꺼기가 껴서 배수가 원활치 않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 청소수단을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배수망(104')의 그릴을 청소하는 청소브러시를 각 그릴 사이에 삽입되는 핑거 형태로 상기 가동벽(106')에 부착하여 상기 가동벽(106')의 이동시에 함께 움직여 그릴을 청소하도록 하였다.
상기 본체의 일측단에는 이 일측단을 막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실린더형 본체의 내부공간을 따라 직선 왕복운동을 하는 가동벽(106')이 설치된다. 이 가동벽(106')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전동식 또는 수동식 활차(미도시)에 의하여 수동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가동벽(106')은 본체의 길이 방향 즉, 중심축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설치된 스크류(114')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스크류(114')의 일단(115')에는 회전수단(전동구동모터 또는 수동 활차)이 연결되고, 이에 의해 스크류(114')가 회전하면 가동벽(106')이 수평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중간부에는 중간벽(108')이 설치된다. 상기 중간벽(108')은 본체의 내부 공간을, 상기 가동벽(106')과 대향하여 투입구(102')를 통해 들어 온 음식쓰레기(11')가 모이는 제1공간(도1에서 현재 가동벽과 중간벽이 이루고 있는 공간) 및 이에 인접한 제2공간(도1의 우측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동벽과 중간벽이 쇄선으로 표현된 공간)으로 나누는 역할을 하며, 가동벽(106')과 함게 작용하여 음식쓰레기(11')를 압축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음식물 처리장치는, 배수망(104')이 자주 막혀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거나 가동벽(106')을 이동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배출한 경우에도 여전히 음식물 쓰레기가 배수망(104')에 잔존하는 등의 문제점과 더불어, 음식물 처리장치를 작동시키는 도중에는 씽크볼을 사용하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의 오수를 배수시킨 후 고형화 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장치로 이송시켜 건조 처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를 방지하여 악취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씽크대에 형성된 투입구에 설치되어 오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한 후 건조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에 있어서, 상기 씽크볼에 삽입되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의 오수가 통과될 수 있는 배수공이 상측으로부터 형성되되, 전체 높이 중 일부 구간까지만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원심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수공으로만 오수가 배수되게 한 후,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장치 쪽으로 배출되게 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씽크대에 형성된 투입구에 설치되어 오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한 후 건조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에 있어서, 상기 씽크볼에 삽입되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의 오수가 통과될 수 있는 배수공이 상측으로부터 형성되되, 전체 높이 중 일부 구간까지만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부재와, 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원심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수공으로만 오수가 배수되게 한 후,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장치 쪽으로 배출되게 하는 이송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에 있어서, 상기 씽크볼은, 그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에는 상부에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된 환형테두리부가 형성되고, 내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플랜지부가 결합되도록 상면에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환턱이 구비되며, 일측벽의 하부에 오수의 배수구가 형성되고, 타측벽의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장치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씽크볼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씽크볼의 외측벽보다 돌출된 가이드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재는 지지측벽과 상기 지지측벽의 상단에 복수개의 걸림홈을 갖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지지측벽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세로방향으로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에 있어서, 상기 배수공은 수직으로 절개된 슬롯형상이며, 상기 지지측벽의 단면에서 보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확개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하부면에 다수의 이송날개가 형성되는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기 필터부재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라켓은 상면에 복수개의 통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크게 이송부(1000a)와 처리부(1000b), 탈취부(1000c)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상기 이송부(1000a)는 씽크대의 하부에 설치된 투입구(1112)와, 상기 투입구(1112)에 연결된 씽크볼로 구성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분리도이고, 도 3b는 결합된 단면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씽크대의 배출구와 통하도록 설치되며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씽크볼(1110)과; 상기 씽크볼(1110)에 삽입되어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의 오수가 통과될 수 있는 배수공이 상측으로부터 형성되되, 전체 높이 중 일부구간까지만 상기 배수공이 형서어되었는 필터부재와(1200); 상기 필터부재(1200)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원심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수공으로만 오수가 배수되게 한 후,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장치 쪽으로 배출되게 하는 이송장치(1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씽크볼(1110)은, 그 상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112)가 형성되고, 씽크대의 배출구 내에 설치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 씽크볼(1110)의 개구부의 외주에는 소정의 환형테두리부(1117)가 형성되며, 상기 환형테두리부(1117)의 상부에 개폐를 위한 덮개(1116)가 설치될 때 온/오프를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1114)가 설치된다.
따라서, 덮개(1116)의 개폐시 상기 리미트스위치(1114)가 온/오프 작동되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114)의 작동에 의해 후술하는 마이컴(1600)이 처리장치(10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도2 참조).
즉,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1116)를 덮으면 상기 리미트스위치(1114)가 눌려지게 되므로, 접점이 온(on)상태가 되어 마이컴(1600)이 처리장치(1000)를 정상 작동시키게 되고, 반대로 상기 덮개(1116)를 열면, 눌려있던 접점이 오프(off)되면서 마이컴(1600)에 의해 처리장치(1000)가 작동되지 않고 경고발생부(미도시)가 작동된다(도2 참조).
상기 씽크볼(1110)의 내측벽 상부에는 후술될 필터부재(1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환턱(1113)이 형성되며, 상기 환턱(1113)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걸림돌기(111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씽크볼(1110)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오수가 배수될 수 있도록 비교적 소경의 배수구(1120)가 일측벽의 하부에 형성되고, 타측벽의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대경의 배출구(1130)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구(1120)는 씽크볼(1110)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배출구(1130)에는 씽크볼(1110)의 외측벽보다 돌출된 가이드부(1131)가 더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1131)에는 후술될 처리부(1000b)와 통하는 개폐밸브(142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씽크볼(1110)의 하부에는 후술될 이송장치(1300)의 구동모터(1320)가 내장될 수 있도록 케이스(1330)가 결합되며, 상기 케이스(1330)의 내측에 구동모터(1320)가 설치된 후 지지리브(1333)에 볼트체결로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씽크볼(1110)과 케이스(1330)는 탈착가능하게 볼트체결로써 결합될 수도 있고, 또는 씽크볼(1110)과 케이스(1330)를 일체로 사출성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구동모터(1320)의 교체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씽크볼(1110)의 내측 상부에는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오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필터부재(1200)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재(120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씽크볼(1110) 내에 삽입되도록 대략 통형으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씽크볼(1110)의 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측벽(1220)과, 상기 지지측벽(1220)의 상단에 형성되어 씽크볼(1110)의 상면에 걸려져 안착되는 플랜지부(121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측벽(1220)에는 오수가 씽크볼(1110)의 배수구(1120)측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세로로 절개시켜 된 배수공(1222)이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갖게 세로로 다수 형성되고, 상기 지지측벽(1220)의 하부측 즉, 상기 배수공(1222)의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씽크볼(1110)의 배출구(1130)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유출구(1224)가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1222)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측벽(1220)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수직으로 절개된 슬롯형상으로서, 특히 상기 배수공(1222)은 도 3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지측벽(1220)의 단면에서 보아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적으로 확개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고형의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은 방지하면서 오수는 신속하게 씽크볼(1110)내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수공(1222)은 상기 지지측벽(1220)의 상부에서부터 형성되는데 최하단부까지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필터부재의 전체 높이 중 대략 1/2 내지 2/3 정도의 위치까지만 상기 배수공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공이 필터부재의 일부구간에만 형성되므로 후술할 이송장치에 의한 음식물쓰레기가 회전되면 원심력으로 오수만이 배수공으로 배출된다. 이런 구조로 종래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압착에 의한 음식물쓰레기가 배수공을 막게 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수공(1222)은 상기 지지측벽(1220)의 상부에서부터 형성되는데 최하단부까지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필터부재의 전체 높이 중 대략 1/2 내지 2/3 정도의 위치까지만 상기 배수공이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배수공이 필터부재의 일부구간에만 형성되므로 후술할 이송장치에 의한 음식물쓰레기가 회전되면 원심력으로 오수만이 배수공으로 배출된다. 이런 구조로 종래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압착에 의한 음식물쓰레기가 배수공을 막게 되는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부재(1200)의 플랜지부(1210)에는 필터부재(1200)와 씽크볼(1110)의 결합시 정확한 결합을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씽크볼(1110)의 걸림돌기(1118)와 결합되는 걸림홈(1212)이 다수 형성된다.
즉, 상기 씽크볼(1110)과 필터부재(1200)의 결합시 상기 필터부재(1200)의 유출구(1224)가 씽크볼(1110)의 배출구(1130)와 일치되어야 하는데, 상기 필터부재(1200)의 걸림홈(1212)을 상기 씽크볼(1110)의 걸림돌기(1118)와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유출구(1224)와 배출구(1130)가 항상 일치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씽크볼(1110)의 내측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1300)가 더 설치된다.
상기 이송장치(1300)는, 도 2 내지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면에 다수의 이송날개(1310)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도 작은 날개(1312)가 형성된 회전브라켓(1311)과, 상기 회전브라켓(131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320)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브라켓(1311)은 상기 필터부재(120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필터부재(1200)의 내벽과 회전브라켓(1311)의 외주 사이에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될 수 있는 틈새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전브라켓(1311)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1320)가 결합되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펀칭가공하여 복수개의 절개부 또는 통공(1313, 1314)을 상면에 더 형성함으로써 상기 절개부(1313) 또는 통공(1314)을 통해 음식물 쓰레기 및 오수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브라켓(1311)의 중심부에는 구동모터(1320)의 축(1322)이 결합되는데, 상기 구동모터(1320)의 축(1322)이 상기 회전브라켓(1311)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통상의 스플라인(spline) 결합이나 세레이션(serration) 결합 또는 측면으로부터 키(key)볼트가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장치(1300)는 음식물 쓰레기를 필터부재(1200)내에서 교반시킴으로써 발생된 원심력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의 오수는 상기 배수공(1222) 및 배수구(1120)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게 되고, 탈수된 고형의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이송날개(1310)에 의해 상기 배출구(1130)를 통해 후술될 이송관(1400)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씽크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씽크대의 배출구 내에 씽크볼(1110)을 설치하되, 씽크볼(1110)의 환형테두리부(1117)가 씽크대의 바닥면과 같은 위치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리미트스위치(1114)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씽크대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씽크볼(1110)의 하부에는 이송장치(1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이송장치(1300)의 구동모터(1320)를 상기 씽크볼(1110)의 하부에 연결되는 케이스(1330)의 지지리브(1333)에 설치한 구동모터(1320)의 축(1322)에 상기 회전브라켓(1311)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브라켓(1311)의 이송날개(1310)가 상기 씽크볼(1110)의 배출구(1130)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이후, 상기 씽크볼(1110)의 상부로부터 필터부재(1200)를 삽입시키는데, 상기 필터부재(1200)의 플랜지부(1210)에 형성된 걸림홈(1212)이 상기 씽크볼(1110) 내부의 걸림돌기(1118)와 일치되도록 삽입함으로써 상기 필터부재(1200)의 유출구(1224)와 상기 씽크볼(1110)의 배출구(1130)가 일치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씽크볼(1110)의 내측으로 물기가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덮개(1116)를 덮으면, 상기 리미트스위치(1114)의 ON 작동에 의해 상기 이송장치(1300)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씽크볼(1110) 및 필터부재(1200) 내에서 탈수작용이 발생되어, 오수는 배수공(1222)을 통해 배출되고 고형물인 음식물 쓰레기만 배출구(1130)를 통해 처리부(1000b)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전술한 발명에 따른 씽크볼을 거치면서 탈수된 고형의 음식물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의해 건조 및 탈취처리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예를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의 씽크볼은 이러한 실시예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전술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일실시예는 상기 씽크볼과 연결되는 처리부(1000b) 및 탈취부(1000c)로 구성되며,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처리부(1000b)는 처리기통(150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처리기통(1500)은 씽크대에 빌트인(Built-In) 타입으로 내장되게 설치되고, 그 전면이 회전되어 개폐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처리기통(1500)은 중공의 이송관(1400)을 통해서 씽크볼(1110)과 연결된다.
상기 이송관(1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씽크볼(1110)의 배출구(1130)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처리기통(150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씽크볼(1110)의 배출구(1130)에 결합된 이송관(1400)은 이송장치(1300)의 회전방향을 따라 씽크볼(1110)에 접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1400)에는 이송관(1400)을 개폐시키는 개폐밸브(1420)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밸브(1420)와 이격된 이송관(1400)의 일측에는 하부로 돌출되게 절곡되어 처리기통(1500)내의 악취가 씽크볼(1110)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141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처리기통(1500)의 내부에는 그 상면에 개구된 내통(1510)이 설치되고, 상기 내통(1510)으로 이송관(1400)을 통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된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적용되는 처리기통의 내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a는 내통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통(1510)은, 일측면에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길게 절개된 슬롯형상의 다수의 배수공(1512)이 형성된다.
상기 배수공(1512)은 내통(1510)의 단면에서 보아 내측에서 외측으로 점차적으로 확개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은 방지하면서 오수는 신속하게 처리기통(1500)으로 배수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처리기통(150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처리기통(1500)의 하면 일측에는 음식물 쓰레기에 섞인 오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통(1510)의 내측 하부에는 이송장치(1300)에 의해서 내통(1510)내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1520)가 설치되고, 상기 교반날개(1520)는 구동모터(1530)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한, 상기 내통(1510)의 내측면에는 대략 "ㄷ"자 단면을 갖는 브라켓(1570)이 설치되어, 회전되는 교반날개(1520)가 브라켓(1570)의 내.외측부를 지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교반한다.
그리고, 상기 내통(1510)의 상부에는 히터(1540)가 설치되고, 상기 히터(1540)의 상부에는 구동모터(1560)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팬(155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처리기통(1500)의 외측 상면에는 처리장치(10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마이컴(1600)이 설치되되, 처리장치(10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스위치(미도시)는 마이컴(1600)에 설치됨이 바람직하지만, 씽크대에 별도로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처리기통(150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탈취통(1700)과 연통되게 연결된 배기관(1580)이 설치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탈취부(1000c)는 탈취통(1700)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탈취통(1700)은 그 상부 일측에 처리기통(1500)과 연통되게 연결된 배기관(1580)이 설치되어, 처리기통(1500)내의 악취가 탈취통(1700)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1580) 반대편의 탈취통(1700)에는 후술하는 정화수(171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1750)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탈취통(1700)의 내부에는 정화수(1710)가 충전되어 있고, 상기 탈취통(1700)의 내측 상부에는 정화수(1710)를 탈취통(1700)의 내측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분무하는 분무노즐(1740)이 설치되어, 분무된 물입자가 탈취통(1700)내의 공기 중의 각종 먼지, 세균, 냄새, 가스 등을 포집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탈취통(1700)에는 정화수(1710)를 분무노즐(1740)로 공급하는 공급관(1730)이 설치되고, 상기 공급관(1730)에는 정화수(1710)를 분무노즐(1740)로 압송하여 공급하는 펌프(1720) 즉 워터펌프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탈취통(1700)의 하부에는 펌프(1720)에 의해서 탈취통(1700)내의 오염된 정화수(1710)가 순환되는 순환관(1760)이 설치되고, 상기 순환관(1760)에는 3방향 밸브(1770)가 설치되며, 상기 3방향 밸브(1770)에는 오염된 정화수내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투입구(178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취통(1700)의 상부 즉 상면에는 정화수(1710)를 충전하기 위한 급수관(1790)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관(1790)에는 급수관(1790)을 개폐시키는 급수밸브(1792)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분무된 정화수(1710)에 의한 탈취통(1700)의 탈취원리를 설명하면, 자연 폭포수의 청정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밀폐된 영역안에 있는 여러개의 분무노즐(1740)에서 압력을 일정하게 조절한 물을 분무하여 실내의 오염공기와 효과적으로 기액접촉을 시켜서 부유분진, 세균, 냄새, 가스를 제거한다.
물을 강력한 힘으로 분사하여 초미세입자로 분열시키면, 이때에 물보라 주위는 "레너드 효과(Lenard Effect)"에 의해 공기는 음이온으로 바뀌고, 물입자는 양이온으로 바뀌면서 수많은 그물망을 펼치는데, 이 물입자들이 공기중의 각종 먼지, 세균, 냄새, 가스 들을 포집(흡착)한다.
이와 같이 한번 물입자에 흡착된 세균, 냄새 등은 그 물이 증발하지 않는 한, 스스로 그 물입자속에서 두번 다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여기에서, 물방울의 분열(이 현상을 레너드 효과/심슨 효과라고 함)에 의한 물과 산소로 이루어진 음이온과 마이크로 기체상태의 초미세 물입자가 상기 처리장치의 탈취통내에서 계속 생성됨으로써 탈취작용을 하게 된다.
참고로, 레너드효과와 심슨효과를 부연 설명하면,
1. 레너드 효과(Lenard Effect)
20세기초 독일의 노벨 물리학자 P.Lenard 박사는 <물방울에 외압을 가하여 금속판 등에 충돌시켜 분리될 때, 부근의 공기중에 음이온이 발생하며, 분리된 작은 물방울은 양이온이 된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밝혔다.
2. 심슨 효과(Simpson Effect)
레너드 효과를 보다 정밀한 장치를 이용하여 반복 측정한 결과 <물방울이 공기중에서 분열하는 것만으로도 레너드 효과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는 물방울 분열설을 보고하였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씽크볼이 적용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씽크볼(1110)을 닫고 있는 덮개(1116)를 열어 투입구(111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씽크볼(1110)내의 필터부재(1200)로 투입한다.
이때, 씽크볼(1110) 내의 필터부재(1200)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대부분 입자가 작은 음식물 쓰레기이고, 입자가 큰 음식물 쓰레기는 씽크볼이 아닌 처리기통으로 직접 투입하여 처리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와 같이 씽크볼(1110)의 필터부재(1200)내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부재(1200)의 배수공(1222)을 통하지 못하므로 필터부재(1200)내에 그대로 잔존하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에 포함된 오수의 대부분은 필터부재(1200)의 배수공(1222)을 통해 씽크볼(1110)의 배수구(1120)로 신속하게 배수된다.
그리고, 이때 이송관(1400)상의 개폐밸브(1420)는 닫힌 상태로서, 필터부재(1200)의 배수공(1222)으로부터 다량의 오수가 이송관(1400)을 통해 처리기통(1500)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필터부재(1200)내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후, 덮개(1116)를 닫고 마이컴(1600)에 구성된 전원스위치를 눌러 전원을 인가시킨다.
이때, 씽크볼(1110)의 투입구(1112)를 닫는 덮개(1116)에 의해 리미트스위치(1114)는 접점 온(on)상태가 되어, 마이컴(1600)이 처리장치(1000)를 정상작동시키게 되지만, 만약 덮개(1116)가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마이컴(1600)이 처리장치(1000)를 작동시키지 않고 덮개(1116)가 열려 있음을 알리는 경고음이나 경고등의 경고발생부(미도시)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처리장치(1000)의 정상 작동시에는 마이컴(1600)에 의해 이송장치(1300)와 연결된 구동모터(1320)가 작동되고, 이 구동모터(1320)의 작동으로 인해 이송장치(1300)가 회전 구동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탈수시키게 된다.
삭제
그리고, 상기와 같은 이송장치(1300)의 회전 구동과 동시에 마이컴(1600)이 이송관(1400)상의 개폐밸브(1420)를 개방시킬 수도 있고, 또는 이송장치(1300)가 일정시간 동안 작동된 후에 이송관(1400)상의 개폐밸브(1420)를 개방시킬 수도 있다.
한편, 개폐밸브(1420)에 의해 이송관(1400)의 유로가 확보되면, 이송장치(1300)에 의해서 교반되면서 탈수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이송장치(1300)의 이송날개(1310)에 의해 필터부재(1200)의 유출구(1224)와 씽크볼(1110)의 배출구(1130)를 통해 이송관(1400)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소량의 오수와 함께 이송관(1400)을 통해 처리기통(1500)의 내통(1510)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내통(1510)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유입되면, 마이컴(1600)이 처리부(1000b)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내통(1510)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모두 유입되면, 마이컴(1600)이 이송관(1400)상의 개폐밸브(1420)를 폐쇄시키게 된다.
이때, 내통(1510)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내통(1510)의 배수공(1512)을 통하지 못하므로 인해 내통(1510)에 그대로 잔존하게 되고,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유입된 오수는 내통(1510)의 배수공(1512)을 통해 처리기통(1500)으로 신속하게 배수되어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내통(1510)내로 유입되어 잔존된 음식물 쓰레기는, 마이컴(1600)에 의해 작동된 히터(1540)와, 히터(1540) 상부의 팬(1550)에 의해, 더운 공기가 음식물 쓰레기측으로 공급되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내통(1510) 하부의 교반날개(1520)가 마이컴(1600)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서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계속해서 뒤섞어 줌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는 신속 하면서도 고루 건조된다.
더욱이, 회전되는 교반날개(1520)가 내통(1510)의 내측면에 설치된 브라켓(1570)의 내부를 통과하면서 교반날개(1520)와 브라켓(1570) 사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재차 분쇄하여 줌으로써 건조를 가속화하게 된다.
이후, 건조가 완료되면, 처리기통(1500)의 전면부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내통(1510)을 꺼내 음식물 쓰레기를 깨끗이 비워낸 후, 내통(1510)을 다시 처리기통(1500)내로 삽입시켜 결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처리기통(1500)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할 시는, 마이컴(1600)이 탈취부(1000c)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처리기통(1500)의 건조 처리작동시는 처리기통(1500)에서 발생된 악취가 배기관(1580)을 통해 탈취통(1700)으로 유입되어 정화된 상태로 배기구(1750)를 통해서 배기된다.
이와 같이 탈취통(1700)내로 유입된 악취는, 마이컴(1600)에 의해 펌프(1720)가 작동되면서 탈취통(1700)내의 정화수를 압송시켜 공급관(1730)을 통해 분무노즐(1740)로 공급한다.
이때, 펌프(1720)에 의해 압송되는 정화수 중 일부는 공급관(1730)으로 공급되지만, 나머지는 순환관(1760)으로 유입되고 다시 탈취통(1700)으로 유입되면서 순환된다.
한편, 분무노즐(1740)로 공급된 정화수(1710)는 소정의 압력으로 탈취통 (1700)의 공기 중으로 분무되어, 물입자가 공기중의 악취 즉 냄새나 가스를 포집하여 탈취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탈취작동이 음식물 쓰레기가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계속해서 이루어짐으로써 결국에는 처리기통(1500)내의 모든 악취는 모두 탈취되어 정화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반복되는 탈취작동으로 인해 정화수(1710)의 오염정도가 심각하게 되면, 탈취통(1700)의 순환관(1760)에 설치된 3방향 밸브(1770)를 조정하여 투입구(1780)를 개방시켜서 오염된 정화수(1710) 및 이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시킨다.
그리고, 배출된 정화수(1710)의 양만큼 급수밸브(1792)가 개방된 급수관(1790)을 통해 새로운 정화수(1710)를 탈취통(1700)내로 충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처리장치(1000)의 작동은 마이컴(1600)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의 처리장치(100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신속하게 건조시켜 처리할 수 있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된 악취를 모두 탈취시켜 정화함으로써 처리장치(1000)를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에 따르면,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신속하게 탈수시킴과 동시에 잔존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후처리공정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로 원활하게 이송하여 처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 씽크대에 형성된 투입구에 설치되어 오수와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한 후 건조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에 있어서,상기 씽크볼에 삽입되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중의 오수가 통과될 수 있는 배수공이 상측으로부터 형성되되, 전체 높이 중 일부 구간까지만 상기 배수공이 형성되어 있는 필터부재와;상기 필터부재의 내부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원심력을 발생시켜 상기 배수공으로만 오수가 배수되게 한 후, 음식물 쓰레기는 처리장치 쪽으로 배출되게 하는 이송장치;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씽크볼은,그 상면에 형성된 개구부의 외주에는 상부에 리미트스위치가 구비된 환형테두리부가 형성되고,내측벽의 상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의 플랜지부가 결합되도록 상면에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형성된 환턱이 구비되며,일측벽의 하부에 오수를 배출시키는 배수구가 형성되고, 타측벽의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장치로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제2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구는 씽크볼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는 씽크볼의 외측벽보다 돌출된 가이드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필터부재는, 지지측벽과 상기 지지측벽의 상단에 복수개의 걸림홈을 갖는 플랜지부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지지측벽에는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세로방향으로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유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배수공은, 수직으로 절개된 슬롯형상이며, 상기 지지측벽의 단면에서 보아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확개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이송장치는, 하부면에 다수의 이송날개가 형성되는 회전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제6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브라켓은, 상기 필터부재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제7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브라켓은 상면에 복수개의 통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541A KR100634022B1 (ko) | 2006-02-17 | 2006-02-17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15541A KR100634022B1 (ko) | 2006-02-17 | 2006-02-17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634022B1 true KR100634022B1 (ko) | 2006-10-16 |
Family
ID=37626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5541A KR100634022B1 (ko) | 2006-02-17 | 2006-02-17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4022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4971B1 (ko) | 2006-09-28 | 2007-08-02 | 주식회사 파세코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100748853B1 (ko) | 2006-09-28 | 2007-08-13 | 주식회사 파세코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
KR20110031805A (ko) * | 2009-09-21 | 2011-03-2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
KR20110031806A (ko) * | 2009-09-21 | 2011-03-2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
-
2006
- 2006-02-17 KR KR1020060015541A patent/KR1006340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4971B1 (ko) | 2006-09-28 | 2007-08-02 | 주식회사 파세코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KR100748853B1 (ko) | 2006-09-28 | 2007-08-13 | 주식회사 파세코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
KR20110031805A (ko) * | 2009-09-21 | 2011-03-2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
KR20110031806A (ko) * | 2009-09-21 | 2011-03-29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
KR101655318B1 (ko) | 2009-09-21 | 2016-09-08 | 코웨이 주식회사 |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
KR101655322B1 (ko) | 2009-09-21 | 2016-09-22 | 코웨이 주식회사 | 음식물 처리기용 이송 유닛 및 음식물 처리기의 이송 제어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04249B1 (ko) |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 |
KR102156548B1 (ko) |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 |
CN111405948B (zh) | 食物垃圾处理装置 | |
KR100634022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 |
KR101118714B1 (ko) |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 |
KR100792851B1 (ko) |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 |
KR200159338Y1 (ko) | 주방쓰레기처리장치 | |
KR100634026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748853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 |
KR101927466B1 (ko) | 선별적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321340B1 (ko) | 수증기와 악취제거를 위한 다단 정화 필터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 |
KR100744971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210102536A (ko) | 사이클론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 |
KR200258700Y1 (ko) | 회전날개형 악취 제거장치 | |
KR102283859B1 (ko) | 하수와 슬러지 분리기 | |
KR20090122579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 |
KR100400819B1 (ko) |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 |
KR200256263Y1 (ko) |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 |
KR200399090Y1 (ko) |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 |
KR101508767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40041110A (ko)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208473Y1 (ko) | 자흡식 세정 탈취기 | |
KR200366030Y1 (ko) |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2167093B1 (ko) | 분뇨 처리 장치 | |
KR19980055684U (ko) |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