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0819B1 -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0819B1
KR100400819B1 KR10-2001-0057212A KR20010057212A KR100400819B1 KR 100400819 B1 KR100400819 B1 KR 100400819B1 KR 20010057212 A KR20010057212 A KR 20010057212A KR 100400819 B1 KR100400819 B1 KR 10040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pe
grain
pipe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183A (ko
Inventor
배근수
Original Assignee
배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근수 filed Critical 배근수
Priority to KR10-2001-005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0819B1/ko
Publication of KR2003002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0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3/04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using agitated containers in which the liquid and articles or material are plac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996년 특허출원 제 32550호(곡물 세척 장치)의 세정 탈수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곡물의 탈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의 본 발명은, 투입구(312)를 갖는 공급관(310)과, 투출구(322)를 갖는 배출관(320)과, 공급관(310)과 상기 배출관(32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타공망(330)과, 타공망(330)을 회전시키는 제 1구동모터(340)와, 타공망(330)의 주위를 감싸고 흡기관(352)을 갖는 하우징(350)과, 흡기관(352)에 연결된 흡기팬(360)과, 공급관(310) 및 배출관(320)에 지지되어 회전되고 외주면에 이송스크류(372) 및 분사공(374)이 형성된 급기관(370)과, 급기관(370) 내에서 공급관(310) 내로 분사되는 분사노즐(382)을 가진 급수관(380)과, 급기관(370) 및 급수관(380)을 회전시키는 제 2구동모터(410)로 이루어진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로서, 이송스크류(372)에 의해 곡물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곡물의 손상을 줄이고, 곡물의 수평이송과 함께 흡기팬(360)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곡물에 혼합된 곡물을 강제로 탈수시키므로 탈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GRAIN DEHYDRATION MACHINE AND GRAIN WASHING MACHINE HAVING THE GRAIN DEHYDRATION MACHINE}
본 발명은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1996년 특허출원 제 32550호(곡물 세척 장치)'의 세정 탈수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곡물의 탈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의 '1996년 특허출원 제 32550호'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예를 '[….]' 내에서 인용한다. 상기 인용발명의 기재내용중 제 1도는 도 1에 도시하고, 제 2도는 도 2에 도시하며, 제 3도는 도 3에 도시한다.
[ 본 실시 예는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 공급통(112)에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 스크류(118)로 일정한 양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곡물 공급부(110)와, 상기 곡물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에 물을 주입하고 세척 스크류(136)를 회전시켜 곡물에 묻은 이물질이나 미생물을 세척하는 세척부(130)와, 상기 세척부(130)로부터 세척된 곡물에 물을 주입하여 세정하면서 회전시켜 곡물에 섞인 물을 원심력으로 탈수시키는 세정 탈수부(160)와, 상기 세정 탈수부(160)로부터 공급되는 탈수된 곡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곡물 공급부(110)는 내부에 곡물을 담으며 곡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도어(114)가 형성된 곡물 공급통(112)과, 이 곡물 공급통(112)에 연결 설치되어 도어(114)로 배출되는 곡물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118)와, 이 이송 스크류(118)를 회전시키는 제 1 모터(1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부(130)는 곡물 공급부(110)의 이송 스크류(118)에 의해 이동되는곡물이 지나는 세척통(132)과, 상기 세척통(132)의 입구에서 곡물에 일차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보조 물공급 호스(134)와, 상기 세척통(132) 내로 이송된 곡물에 세척하는 물을 공급하는 주 물공급 호스(138)와, 상기 세척통(132) 내에 설치되어 이송된 곡물과 물을 혼합 회전시켜 세척하는 세척 스크류(136)와, 상기 세척 스크류(136)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146)와, 상기 세척통(132)의 저면 개방부에 설치되어 곡물에 혼합된 물이 배출되는 투과망(140)과, 상기 투과망(140)으로부터 빠져나온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관(144)과, 상기 세척통(132)의 출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곡물의 양을 스프링력으로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 탈수부(160)는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부(130)의 세척통(132)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세척된 곡물이 투입되는 안내관(162)과, 상기 안내관(162)에 투입되는 곡물이 원활하게 이동 및 세척되게 하는 물을 공급하는 2차 물공급 호스(164)와, 상기 안내관(16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곡물을 내부에 담는 원통관(170)의 측면에 곡물과 물이 빠져나가는 다수 개의 통과공(17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날개(174)가 형성된 세정 스크류(168)와, 상기 세정 스크류(168)의 내부에 곡물을 세정하는 물을 공급하는 3차 물공급 호스(166)와, 상기 세정 스크류(168)의 외부에 설치되어 세정 스크류(168)의 통과공(172)으로 빠져 나온 물과 곡물에서 물을 탈수시키는 탈수통(176)과, 상기 세정 스크류(168)와 탈수통(176)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제 3 모터(180)와, 상기 탈수통(176)의 내부벽에 달라붙은 곡물이 세정스크류의 날개(174)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할 때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포(178)와, 상기탈수통(176)으로부터 빠져나온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 개의 제 2 배수관(182)과, 상기 탈수통(176)의 상측으로 넘어온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84)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부(200)는 제 1도 및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 탈수부(160)의 배출구(184)로부터 배출되는 세정 탈수된 곡물이 담겨지는 원통형의 건조통(202)과, 상기 건조통(202)의 저면에 원판형으로 설치되어 공기 투과망(214)이 있는 회전판(212)과, 상기 건조통(202)에 설치되어 회전판(212)을 회전바퀴(210)로 회전시키는 다수 개의 제 4 모터(208)와, 상기 회전판(212)을 저면에서 통풍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관(216)과, 상기 지지관(216)을 안착시키는 안착부(222) 및 안착부(222)의 일측에 통풍구(224)가 형성된 설치대(220)와, 상기 설치대(220)의 통풍구(224) 외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226)과, 상기 흡입팬(226)에 연결 설치되어 흡입팬(226)을 회전시키는 제 5 모터(228)와, 상기 건조통(202)의 근처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통(202)에는 저면 일측에 형성된 제 2 배출구(206)로 곡물이 모이게 하는 가름대(204)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관(216)의 상측에는 회전판(212)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하는 다수 개의 로울러(218)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도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 공급부(110)의 제 1 모터(116)와, 세척부(130)의 제 2 모터(146) 및 세정 탈수부(160)의 제 3 모터(180)와, 건조부(200)의 제 4 모터(208)와 제 5 모터(228) 및 히터(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장치(240)를 별도로 구비한다. 이에 따른 상세한 배선 구조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탈곡 및 도정을 마친 쌀이나 기타 탈곡 또는 도정을 마친 곡물을 곡물 공급부(110)의 곡물 공급통(112)에 넣는다.
그 다음, 제어장치(24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 1 모터(116) 내지 제 5 모터(228)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곡물 공급부(110)의 이송 스크류(118)와 세척부(130)의 세척 스크류(136) 및 세정 탈수부(160)의 세정 스크류(168)와 탈수통(176), 그리고 건조부(200)의 회전바퀴(210)와 흡입팬(226)이 회전한다. 그리고 건조부(200)의 히터(2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그 다음, 곡물 공급통(112)에 설치된 도어(114)를 열어 곡물이 일정량씩 빠져 나오게 한다. 그러면 곡물 공급통(112)으로부터 나온 곡물이 이송 스크류(118)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 세척부(130)의 세척통(132)으로 투입된다.
이때 세척부(130)의 세척통(132) 입구에 설치된 보조 물공급 호스(134)로 물을 공급하면 곡물이 물과 혼합되면서 세척통(132) 속으로 이동한다. 세척통(132) 속으로 이동한 곡물은 세척 스크류(136)에 의해 물과 섞이면서 출구 쪽으로 이동하는데, 주 물공급 호스(138)로 물을 공급하면 곡물이 물과 혼합되면서 세척되어 곡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과 미생물이 제거된다. 곡물에 혼합된 물은 세척통(132)의 저면에 설치된 투과망(140)으로 빠져나와 배수관(1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척통(132)의 출구에 설치된 압력 조절기(142)는 세척통(132)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곡물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그 다음, 세척부(130)의 세척통(132) 출구로부터 배출된 곡물은 세정 탈수부(160)의 안내관(162)으로 투입되는데, 2차 물공급 호스(164)로 물을 공급하면 곡물이 안내관(162)의 저부로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세척된다. 안내관(162)의 저부로 이동한 곡물은 세정 스크류(168)의 원통관(170) 내부에 떨어지는데, 3차 물공급 호스(166)로 물을 공급하면 원통관(170) 내부에서 곡물이 씻겨 진다.
이때 세정 스크류(168)는 제 3 모터(18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원통관(170) 내의 곡물과 물은 통과공(17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세정 스크류(168)의 통과공(172)을 빠져나온 곡물과 물은 제 3 모터(18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탈수통(176)의 표면에 접촉하는데, 이곳에서 원심력에 의해 물은 탈수되고 곡물은 탈수통(176)의 표면에 달라붙게 된다.
그런데, 세정 스크류(168)는 탈수통(176) 보다 더 빨리 회전하므로 세정 스크류(168)의 표면에 형성된 날개(174)가 탈수통(176)의 표면에 달라붙은 곡물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곡물은 원심력에 의해 탈수통(176)의 상측으로 뿌려지게 되는데, 탈수통(176)의 외측에 설치된 이탈 방지포(178)에 의해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탈수통(176)에서 탈수된 물은 제 2 배수관(18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탈수통(176)의 상측으로 넘어온 곡물은 곡물 배출구(184)로 배출된다.
그 다음, 세정 탈수부(160)의 곡물 배출구(184)로 배출된 곡물은 건조부(200)의 건조통(202)에 담겨진다. 이때 건조통(202)의 저면에 설치된회전판(212)의 상면에 곡물이 얹혀지게 되는데, 회전판(212)이 제 4 모터(208)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판(212)의 저면에 설치된 지지관(216)의 로울러(218)는 회전판(212)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저면에서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관(216)을 안착시킨 설치대(220)의 통풍구(224)에 설치된 흡입팬(226)은 제 5 모터(228)에 의해 회전하므로 건조통(202)으로부터 회전판(212)과 지지관(216)을 지나 설치대(220)의 통풍구(22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따라서 건조통(202)의 주위에 설치된 히터(230)의 열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곡물을 지나 흡입팬(226)으로 빠져 나가므로 곡물이 빨리 건조된다.
한편, 곡물은 회전판(212)에 얹혀 회전하다가 건조통(202)의 가름대(204)에 의해 모아지면서 제 2 배출구(206)로 빠져 나가게 된다. 제 2 배출구(206)로 배출되는 곡물은 건조된 것으로서 바로 포장하여 보관한다.
이상의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물은 곡물 공급부(110)로부터 세척부(130)로 이동하여 물로 세척되어 곡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과 미생물이 제거된 다음, 세정 탈수부(160)로 이동하여 씻겨지면서 탈수되고, 건조부(200)로 이동하여 히터(230)의 열에 의해 건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곡물세척장치를 인용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곡물세척장치에 있어서, 세정 탈수부(160)는 세정 스크류(168)가 제 3 모터(18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여 세정 스크류(168)의 표면에 형성된 날개(174)가 탈수통(176)의 표면에 달라붙은 곡물을 상측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곡물의 입자가 날개(174)에 부??혀 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세척된 곡물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식의 세정 탈수부(160)의 구조에 있어서는 곡물을 소량씩밖에 탈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정 탈수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곡물의 손상을 방지하여 세척된 곡물의 품질을 높이고, 다량의 곡물을 탈수할 수 있도록 하여 곡물세척장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곡물세척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곡물세척장치의 세정탈수부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종래 곡물세척장치의 건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탈수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곡물탈수기가 적용된 곡물세척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건조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건조부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건조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건조부 210: 건조틀
212: 기어띠 214: 투입구
216,220: 레일홈 218: 그물망
230: 모터 232: 피니언
240: 덮개 242: 자외선 램프
244: 덮개 246: 볼트
248: 너트 250: 지지체
252: 배출구 254: 타공망
256: 통기공 258: 배기관
260: 집진기 270: 취출구
272: 배출관 280: 수납통
310: 공급관 312: 투입구
320: 배출관 322: 투출구
330: 타공망 332: 제 1베어링
340: 제 1구동모터 342: 제 1타임벨트
350: 하우징 352: 흡기관
360: 흡기팬 370: 급기관
372: 이송스크류 374: 분사공
376: 구획벽 380: 급수관
382: 분사노즐 390: 제 2베어링
400: 제 3베어링 410: 제 2구동모터
412: 제 2타임벨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입구를 갖는 공급관; 투출구를 갖는 배출관; 상기 공급관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에 각각 지지된 제 1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타공망; 상기 타공망을 회전시키는 제 1구동모터; 상기 타공망의 주위를 감싸고, 흡기관을 갖는 하우징; 상기 흡기관에 연결된 흡기팬; 상기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에 지지된 제 2베어링에 의해 상기 공급관과 상기 타공망 및 상기 배출관의 중심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이송스크류가 형성되며, 상기 타공망의 내부 영역에 분사공이 형성된 급기관; 상기 급기관 내에서 상기 공급관 내로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가지며, 외부에 지지되는 제 3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급수관; 및 상기 급기관 및 상기 급수관을 회전시키는 제 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곡물탈수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곡물 공급통에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 스크류로 일정한 양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곡물 공급부;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에 물을 주입하고 세척 스크류를 회전시켜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로부터 세척된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구를 갖는 공급관; 투출구를 갖는 배출관; 상기 공급관과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에 각각 지지된 제 1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타공망; 상기 타공망을 회전시키는 제 1모터; 상기 타공망의 주위를 감싸고, 흡기관을 갖는 하우징; 상기 흡기관에 연결된 흡기팬; 상기 공급관 및 상기 배출관에 지지된 제 2베어링에 의해 상기 공급관과 상기 타공망 및 상기 배출관의 중심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이송스크류가 형성되며, 상기 타공망의 내부 영역에 분사공이 형성된 급기관; 상기 급기관 내에서 상기 공급관 내로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가지며, 외부에 지지되는 제 3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급수관; 및 상기 급기관 및 상기 급수관을 회전시키는 제 2모터; 상기 투출구로부터 공급되는 탈수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곡물탈수기를 포함하는 곡물세척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곡물탈수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곡물탈수기가 적용된 곡물세척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건조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건조부의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한 건조부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곡물세척장치는, 곡물 공급통(112)에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 스크류(118)로 일정한 양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곡물 공급부(110); 곡물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에 물을 주입하고 세척 스크류(136)를 회전시켜 세척하는 세척부(130); 세척부(130)로부터 세척된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구(312)를 갖는 공급관(310); 투출구(322)를 갖는 배출관(320); 공급관(310)과 배출관(320)에 연결되고, 공급관(310) 및 배출관(320)에 각각 지지된 제 1베어링(3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타공망(330); 타공망(330)을 회전시키는 제 1구동모터(340); 타공망(330)의 주위를 감싸고, 흡기관(352)을 갖는 하우징(350); 흡기관(352)에 연결된 흡기팬(360); 공급관(310) 및 배출관(320)에 지지된 제 2베어링(390)에 의해 공급관(310)과 타공망(330) 및 배출관(320)의 중심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이송스크류(372)가 형성되며, 타공망(330)의 내부 영역에 분사공(374)이 형성된 급기관(370); 급기관(370) 내에서 공급관(310) 내로 분사되는 분사노즐(382)을 가지며, 외부에 지지되는 제 3베어링(4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급수관(380); 및 급기관(370) 및 급수관(380)을 회전시키는 제 2구동모터(410); 투출구(322)로부터 공급되는 탈수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곡물 공급부(110)는 내부에 곡물을 담으며 곡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도어(114)가 형성된 곡물 공급통(112)과, 이 곡물 공급통(112)에 연결 설치되어 도어(114)로 배출되는 곡물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118)와, 이 이송 스크류(118)를 회전시키는 제 1 모터(1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부(130)는 곡물 공급부(110)의 이송 스크류(118)에 의해 이동되는 곡물이 지나는 세척통(132)과, 상기 세척통(132)의 입구에서 곡물에 일차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보조 물공급 호스(134)와, 상기 세척통(132) 내로 이송된 곡물에 세척하는 물을 공급하는 주 물공급 호스(138)와, 상기 세척통(132) 내에 설치되어 이송된 곡물과 물을 혼합 회전시켜 세척하는 세척 스크류(136)와, 상기 세척 스크류(136)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146)와, 상기 세척통(132)의 저면 개방부에 설치되어 곡물에 혼합된 물이 배출되는 투과망(140)과, 상기 투과망(140)으로부터 빠져나온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관(144)과, 상기 세척통(132)의 출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곡물의 양을 스프링력으로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타공망(330)은, 곡물을 세척한 세척수가 탈수되는 구멍이 일정하게 형성된 원통체의 형상을 가지며, 제 1타임벨트(342)에 의해 제 1구동모터(340)에 연결되고, 급수관(380)은 제 2타임벨트(412)에 의해 제 2구동모터(410)에 연결된다. 급기관(370) 및 급수관(380)은 제 2구동모터(410)에 의해 일체로 회전하고, 타공망(330)과 급기관(37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급기관(370)으로는 공기가 공급되고, 급수관(380)으로는 곡물 세척수가 공급된다. 급기관(370)에는 타공망(330)과 공급관(310)의 경계영역에 구획벽(376)이 형성되어 급수관(380)의 물과 흡기관(352)으로 공급되는 공기가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흡기관(352)으로부터 흡기팬(360)으로 연결되는 호스에는 드레인호스(362)를 구비하고, 이 드레인 호스(362)에는 통상적인 역류방지 밸브를 설치하여 배수되는 물이 흡기팬(350)의 흡입력에 의해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건조부(200)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의해 회전하며 내부에 곡물을 담아 회전시키는 원통형의 그물망(18)을 갖는 건조틀(10)과, 상기 건조틀(10)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덮개(40) 및 지지체(50)와, 상기 지지체(50)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기(60)와, 상기 건조틀(10)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취출하는 취출구(7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모터(30)의 회전축에는 피니언(32)을 고정하고, 상기 건조틀(10)의 일측 외주면에는 기어띠(12)를 형성하여 서로 치합되게 하여 모터(30)의 회전에 의해 건조틀(10)이 회전되게 한다. 이와 함께 건조틀(10)의 전후에 적어도 2개의 레일홈(16)을 환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덮개(40) 및 지지체(50)에 각각의 레일홈(16)을 상하좌우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로울러(44)를 부착하여 건조틀(10)이 로울러(44)에 의해 부상된 상태에서 최소한의 마찰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건조틀(10)은 후방이 반경이 커지는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건조틀(10)의 전방에 형성된 투입구(14)로 곡물이 투입되어 후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40)의 내부에는 다수의 자외선 램프(42)를 구비하여 건조틀(10) 내부의 곡물을 살균소독하는 한편, 열을 발생시켜 곡물이 양호하게 건조되도록 한다. 또 덮개(40)는 볼트(46)와 너트(48) 등의 결합수단으로 지지체(50)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50)는 배기관(58)을 통하여 집진기(60)에 연결하고, 지지체(50)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통기공(56)을 균일하게 형성한 타공망(54)을 배출구(52)에 설치함으로써, 건조틀(10)의 그물망(18) 내부의 곡물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고르게 한다.
한편, 건조틀(10)의 후단에 설치되는 취출구(70)에는 배출관(72)을 형성하고, 이 배출관(72)의 후단에 수납통(80)을 구비하여 건조되어 배출되는 곡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곡물세척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탈곡 및 도정을 마친 쌀이나 기타 탈곡 또는 도정을 마친 곡물을 곡물 공급부(110)의 곡물 공급통(112)에 넣는다.
그 다음, 제어장치(240)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제 1 모터(116) 내지 제 5 모터(228)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곡물 공급부(110)의 이송 스크류(118)와 세척부(130)의 세척 스크류(136) 및 세정 탈수부(160)의 세정 스크류(168)와 탈수통(176), 그리고 건조부(200)의 회전바퀴(210)와 흡입팬(226)이 회전한다. 그리고 건조부(200)의 히터(2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그 다음, 곡물 공급통(112)에 설치된 도어(114)를 열어 곡물이 일정량씩 빠져 나오게 한다. 그러면 곡물 공급통(112)으로부터 나온 곡물이 이송 스크류(118)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 세척부(130)의 세척통(132)으로 투입된다.
이때 세척부(130)의 세척통(132) 입구에 설치된 보조 물공급 호스(134)로 물을 공급하면 곡물이 물과 혼합되면서 세척통(132) 속으로 이동한다. 세척통(132)속으로 이동한 곡물은 세척 스크류(136)에 의해 물과 섞이면서 출구 쪽으로 이동하는데, 주 물공급 호스(138)로 물을 공급하면 곡물이 물과 혼합되면서 세척되어 곡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과 미생물이 제거된다. 곡물에 혼합된 물은 세척통(132)의 저면에 설치된 투과망(140)으로 빠져나와 배수관(1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척통(132)의 출구에 설치된 압력 조절기(142)는 세척통(132)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곡물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그 다음, 세척부(130)의 세척통(132) 출구로부터 배출된 곡물은 공급관(310)의 투입구(312)로 투입된다.
이와 함께 급수관(380)으로 물이 공급되고, 제 2구동모터(410)가 회전하여 제 2타임벨트(412)를 통해 급수관(38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급수관(380) 및 급기관(370)이 제 2베어링(390) 및 제 3베어링(400)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급기관(370)으로 공기가 공급되고, 제 1구동모터(340)가 회전하여 제 1타임벨트(342)를 통해 타공망(330)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타공망(330)이 제 1베어링(332)에 지지되어 회전하게 된다.
급수관(380)으로 공급된 물은 분사노즐(382)을 통해 분사되어 공급관(310)의 투입구(312)로 낙하되는 곡물에 혼합된다.
이어서 물에 혼합된 곡물은 급기관(370)의 주위에 형성된 이송스크류(372)에 의해 뒤섞이면서 타공망(330)의 내부로 이동하고, 타공망(330)의 내부에서는 분사공(374)으로 공기가 분사되어 곡물을 타공망(330)의 내주면으로 밀어 붙인다.
그리고 흡기팬(360)이 작동하여 흡기관(35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면, 곡물을 세척한 물이 타공망(330)의 구멍들을 통하여 하우징(350)으로 배출되고 흡기관(352)을 통해 드레인 호스(362)로 배출된다.
이러한 탈수 과정에서 급기관(370)에 형성된 이송스크류(372)는 계속하여 곡물을 배출관(320) 측으로 이동시키고, 타공망(330)은 급기관(370)과 반대로 회전하여 곡물을 뒤섞는 효율을 높인다.
타공망(330)을 통과하면서 탈수가 이루어진 곡물은 배출관(320)으로 이동하여 투출구(322)를 따라 건조틀(10)의 투입구(14)로 투입된다. 이때 모터(30)가 회전하면 모터(30)의 피니언(32)에 맞물린 기어띠(12)가 회전하여 건조틀(10) 전체가 로울러(44)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한다.
이에 따라 곡물은 그물망(18)을 따라 회전하며 서서히 건조틀(1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곡물은 그물망(18)을 따라 이동하는 사이에 뭉쳐진 덩어리가 부서져 낱알로 된다. 이때 덮개(40)에 설치된 다수의 자외선 램프(42)에서 자외선이 방사되어 곡물을 멸균소독하고, 열이 발생되어 곡물을 건조시킨다. 이와 함께 집진기(60)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그물망(18) 내의 곡물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곡물이 더욱 빠르게 건조되게 한다.
상기에서 지지체(50)의 배출구(52)에 설치된 타공망(54)은 집진기(60)로 들어가는 공기가 균일한 통기공(56)을 지나도록 함으로써, 그물망(18)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균일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건조틀(10)의 후방으로 밀려나온 곡물은 취출구(70)로 낙하되고, 이 곡물은 배출관(72)을 타고 수납통(80)에 담겨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통(80)에 담겨지는 건조되고 살균된 곡물을 보관용 비닐봉지 등에 담아 처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투입구(312)를 갖는 공급관(310)과, 투출구(322)를 갖는 배출관(320)과, 공급관(310)과 상기 배출관(32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타공망(330)과, 타공망(330)을 회전시키는 제 1구동모터(340)와, 타공망(330)의 주위를 감싸고 흡기관(352)을 갖는 하우징(350)과, 흡기관(352)에 연결된 흡기팬(360)과, 공급관(310) 및 배출관(320)에 지지되어 회전되고 외주면에 이송스크류(372) 및 분사공(374)이 형성된 급기관(370)과, 급기관(370) 내에서 공급관(310) 내로 분사되는 분사노즐(382)을 가진 급수관(380)과, 급기관(370) 및 급수관(380)을 회전시키는 제 2구동모터(410)로 이루어진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로서, 이송스크류(372)에 의해 곡물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곡물의 손상을 줄이고, 곡물의 수평이송과 함께 흡기팬(360)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곡물에 혼합된 곡물을 강제로 탈수시키므로 탈수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투입구(312)를 갖는 공급관(310);
    투출구(322)를 갖는 배출관(320);
    상기 공급관(310)과 상기 배출관(320)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310) 및 상기 배출관(320)에 각각 지지된 제 1베어링(3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타공망(330);
    상기 타공망(330)을 회전시키는 제 1구동모터(340);
    상기 타공망(330)의 주위를 감싸고, 흡기관(352)을 갖는 하우징(350);
    상기 흡기관(352)에 연결된 흡기팬(360);
    상기 공급관(310) 및 상기 배출관(320)에 지지된 제 2베어링(390)에 의해 상기 공급관(310)과 상기 타공망(330) 및 상기 배출관(320)의 중심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이송스크류(372)가 형성되며, 상기 타공망(330)의 내부 영역에 분사공(374)이 형성된 급기관(370);
    상기 급기관(370) 내에서 상기 공급관(310) 내로 분사되는 분사노즐(382)을 가지며, 외부에 지지되는 제 3베어링(4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급수관(380); 및
    상기 급기관(370) 및 상기 급수관(380)을 회전시키는 제 2구동모터(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탈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망(330)은, 곡물을 세척한 세척수가 탈수되는 구멍이 일정하게 형성된 원통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고, 제 1타임벨트(342)에 의해 상기 제 1구동모터(340)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상기 급기관(370)과 상기 급수관(380)은 제 2타임벨트(412)에 의해 상기 제 2구동모터(410)에 연결되어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타공망(330)과 상기 급기관(370)은 그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탈수기.
  3. 곡물 공급통(112)에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 스크류(118)로 일정한 양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곡물 공급부(110);
    상기 곡물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에 물을 주입하고 세척 스크류(136)를 회전시켜 세척하는 세척부(130);
    상기 세척부(130)로부터 세척된 곡물이 투입되는 투입구(312)를 갖는 공급관(310);
    투출구(322)를 갖는 배출관(320);
    상기 공급관(310)과 상기 배출관(320)에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310) 및 상기 배출관(320)에 각각 지지된 제 1베어링(3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타공망(330);
    상기 타공망(330)을 회전시키는 제 1구동모터(340);
    상기 타공망(330)의 주위를 감싸고, 흡기관(352)을 갖는 하우징(350);
    상기 흡기관(352)에 연결된 흡기팬(360);
    상기 공급관(310) 및 상기 배출관(320)에 지지된 제 2베어링(390)에 의해 상기 공급관(310)과 상기 타공망(330) 및 상기 배출관(320)의 중심영역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 이송스크류(372)가 형성되며, 상기 타공망(330)의 내부 영역에 분사공(374)이 형성된 급기관(370);
    상기 급기관(370) 내에서 상기 공급관(310) 내로 분사되는 분사노즐(382)을 가지며, 외부에 지지되는 제 3베어링(40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급수관(380); 및
    상기 급기관(370) 및 상기 급수관(380)을 회전시키는 제 2구동모터(410);
    상기 투출구(322)로부터 공급되는 탈수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
KR10-2001-0057212A 2001-09-17 2001-09-17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KR10040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212A KR100400819B1 (ko) 2001-09-17 2001-09-17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212A KR100400819B1 (ko) 2001-09-17 2001-09-17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8667U Division KR200256263Y1 (ko) 2001-09-18 2001-09-18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183A KR20030024183A (ko) 2003-03-26
KR100400819B1 true KR100400819B1 (ko) 2003-10-17

Family

ID=27724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212A KR100400819B1 (ko) 2001-09-17 2001-09-17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0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107A (ko) 2021-05-03 2022-11-10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동천 차 생엽의 세척 및 물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3981B1 (ko) * 2006-12-08 2008-04-22 경상남도 김해시 딸기 세척시스템
KR101950143B1 (ko) * 2018-08-13 2019-05-21 마영모 곡물 탈수 장치를 이용한 볶음밥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177U (ko) * 1994-04-13 1995-11-17 권세환 곡물 세척기
KR960000098A (ko) * 1994-06-17 1996-01-25 홍의중 해조류의 세척장치
KR19980013870A (ko) * 1996-08-05 1998-05-15 윤종락 곡물 세척 장치(grain washer)
KR19980055684U (ko) * 1998-06-03 1998-10-07 배근수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KR200259784Y1 (ko) * 2001-09-06 2002-01-05 이상협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9177U (ko) * 1994-04-13 1995-11-17 권세환 곡물 세척기
KR960000098A (ko) * 1994-06-17 1996-01-25 홍의중 해조류의 세척장치
KR19980013870A (ko) * 1996-08-05 1998-05-15 윤종락 곡물 세척 장치(grain washer)
KR19980055684U (ko) * 1998-06-03 1998-10-07 배근수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KR200259784Y1 (ko) * 2001-09-06 2002-01-05 이상협 기능성 부가와 편의성 향상을 위한 곡물의 세정 탈수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0107A (ko) 2021-05-03 2022-11-10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동천 차 생엽의 세척 및 물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183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06059B (zh) 一种颗粒物料干燥混合设备
KR20010082962A (ko) 곡물 자동 발아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발아방법
JPH0926257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1782945B1 (ko)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
KR100668533B1 (ko) 곡물세척기
KR100400819B1 (ko)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KR10124076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56263Y1 (ko)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KR200209642Y1 (ko)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KR1006340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KR100425957B1 (ko) 오존을 이용한 곡물가공장치
KR100284095B1 (ko)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KR19980013870A (ko) 곡물 세척 장치(grain washer)
KR20180026015A (ko)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KR1015087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806542B2 (ja) 衣類乾燥機
CN209893908U (zh) 一种丸粒干燥机用绞龙装置
KR200439936Y1 (ko) 폐비닐 건조 및 이물질제거장치
CN211389707U (zh) 一种泡沫塑料回收用干燥装置
CN211926376U (zh) 垃圾分类房用祛味干燥机构
KR20090103453A (ko) 음식물 감량장치
KR19980063951U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0426220B1 (ko) 젖은 쓰레기 건조 처리기
KR200368246Y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N112262952A (zh) 一种用于脱除颗粒食品黄曲霉素的高效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