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945B1 -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945B1
KR101782945B1 KR1020170028483A KR20170028483A KR101782945B1 KR 101782945 B1 KR101782945 B1 KR 101782945B1 KR 1020170028483 A KR1020170028483 A KR 1020170028483A KR 20170028483 A KR20170028483 A KR 20170028483A KR 101782945 B1 KR101782945 B1 KR 101782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ransfer
heater
uni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계수
Original Assignee
(주)단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단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단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028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스크린망에 의해 분리,제거하는 한편,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건조된 상태의 슬러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TREATMENT APPARATUS OF SEWAGE SLUDGE}
본 발명은 하수처리 기술 분야 중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생활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스크린망에 의해 분리, 제거하는 한편,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건조된 상태의 슬러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하수는 다양한 슬러지가 포함되어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하수를 한 곳으로 모아 하수처리를 함으로써, 상기 하수를 강물로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하수처리장치는 슬러지 중 부피가 큰 것들은 1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나, 부피가 작은 슬러지는 하수에 포함되어 하수처리장치에 유입됨으로 하수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슬러지는 정화가 되지 않은 상태로 바닥에 쌓이게 됨으로 하수처리장치를 오염시키는 것은 물론, 하수처리장치에 유입되면서 각 장치들의 고장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6035호(2007.04.20.)에는 '생활하수의 슬러지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생활하수의 슬러지 처리장치는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슬러지배출부에 상당량의 슬러지가 적체되는 경우에도 외부로 쉽게 배출하지 못하고 일정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36035호(2007.04.20.) '생활하수의 슬러지 처리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생활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스크린망에 의해 분리,제거하는 한편,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건조된 상태의 슬러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서 제거하는 스크린망(10); 상기 스크린망(10)에 의해 제거된 슬러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크린망(10)의 상단과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외형을 이루는 제1이송몸체(210)와,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다공이 형성된 이송밸트(220) 및 상기 이송밸트(22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스크래이퍼(230)를 갖는 제1이송부(20); 상기 제1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된 슬러지를 수평,회전 이송시켜 상기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슬러지유입부(312)와 하측에 수분배출부(314)가 형성된 제2이송몸체(310)와, 상기 제2이송몸체(310)의 공간부에 형성된 원통스크린(320) 및 상기 원통스크린(320)의 중심선을 따라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330)를 갖는 제2이송부(30); 상기 제1이송부(20)의 상측에 위치하여 이송된 슬러지를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2이송부(30)로 강제 이송시키는 와이퍼부(40); 및 상기 제2이송부(30)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슬러지를 적재,배출시키도록 테이퍼진 슬러지배출몸체(510)와,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의 일단을 개폐하는 슬러지배출뚜껑(520)을 갖는 슬러지배출부(50)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로써, 상기 제1이송부(20)에서 이송되는 슬러지를 가열 건조하여 그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60)는, 상기 제2이송몸체(310)에 연결되며, 상기 제1이송부(20)에서 이송되는 슬러지가 상기 제2이송부(30)로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이송관(61); 상기 이송관(61)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이송부(20)에서 상기 제2이송부(30)로 투입되는 슬러지를 가열하는 제1히터(62); 상기 제2이송몸체(31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흡입관(63); 상기 흡입관(63)에 구비되며, 상기 제2이송몸체(310)로 바람을 공급하여 슬러지의 원활한 진행을 유도하는 동시에 바람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한편, 슬러지를 이루는 알갱이 간의 충돌이나, 떨어짐에 의해 공극이 증가되면서 열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팬(64); 상기 흡입관(63)에 구비되며, 상기 팬(64)의 구동에 따라 흡입되는 바람이 가열되면서 상기 제2이송몸체(310)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히터(65); 상기 제2이송몸체(3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바람에 의해 회전되면서 슬러지가 분산되도록 하는 회전체(66)를 포함하며, 상기 원통스크린(320)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이송부(30)를 통과하는 슬러지를 가열하는 제3히터(67); 및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슬러지배출부(50)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가열하는 제4히터(6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생활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스크린망에 의해 분리,제거하는 한편,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빠르게 제거하여 건조된 상태의 슬러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의 처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에서 스크린망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에서 와이퍼부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에서 제2이송부를 나타낸 종단면도 및 작동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에서 건조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에서 건조부가 구비된 상태의 제2이송부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실용신안 제0436035호를 그대로 이용하므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의 특징들은 모두 등록실용신안 제0436035호에 기재된 사항들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436035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생활하수의 슬러지 처리장치는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로 대체하고, 제1이송부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가열하여 그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구조 및 그 작용설명이 더 포함되며 이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실용신안 제0436035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는 슬러지가 포함된 하수가 하수관(1)을 따라 이동되어 하수로(2)로 유입되는 부분에 스크린망(10)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망(10)의 상측으로 제1이송부(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이송부(20)의 상단 일측에는 제2이송부(3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송부(30)에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와이퍼부(40)가 상기 제1이송부(20)의 상단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이송부(30)의 일측에는 슬러지배출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스크린망(10)은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가 걸려 제거되는 것으로, 제1스크린망(110)과 제2스크린망(1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스크망(120)은 다공이 상기 제1스크린망(110)의 다공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상기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 중 큰 것은 상기 제1스크린망(110)에 의해 걸림으로써 제거되고, 작은 것은 상기 제2스크린망(120)에 의해 걸려 제거된다.
상기 제2스크린망(120)에 걸린 슬러지는 제1이송부(2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이송부(20)는 내부가 통공되고 상측으로 형성된 제1이송몸체(210)와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내부에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밸트(22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밸트(220)의 외측에는 일정간격으로 스크래이퍼(230)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스크래이퍼(230)는 상기 제2스크린망(120)의 전면과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내측면과 밀착되도록 단부가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송밸트(220)는 하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아야 됨으로 다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이송밸트(220)의 다공이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제거하는 역할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1이송부(20)에 의해 상측으로 이송된 슬러지는 와이퍼부(40)에 의해 제2이송부(30)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퍼부(40)는 일단이 상기 제1이송부(20)의 제1이송몸체(210) 상단 내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일측으로 절곡된 와이퍼(410)와 상기 와이퍼(410)를 지지해주는 와이퍼지지대(420)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퍼(410)는 상기 이송밸트(220)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는 스크래이퍼(230)의 슬러지를 상기 제2이송부(30) 방향으로 탄성에 의해 이동시키도록 단부가 제2이송부(30) 방향으로 돌출,절곡되어 상기 스크래이퍼(230)의 상면과 닿아 상측으로 절곡되다가 상기 스크래이퍼(230)가 상기 이송밸트(220)를 따라 회전되면 다시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면서 슬러지를 상기 제2이송부(30)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와이퍼(410)는 상기 와이퍼지지대(420)에 의해 상측으로 과도하게 절곡되는 것을 방지하고, 탄성을 유지시킴으로 슬러지를 상기 제2이송부(30)로 용이하게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이송부(3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슬러지유입부(312)와 하측에 수분배출부(314)가 형성된 제2이송몸체(3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이송몸체(310)의 내부에는 원통스크린(320)과 이송스크류(330)가 설치된다.
상기 이송스크류(330)는 상기 원통스크린(320)의 중심축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30)의 외주면이 상기 원통스크류(320)의 내주면과 닿아 슬러지를 축방향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제2이송몸체(310)의 슬러지유입부(312)로 슬러지가 유입되면, 상기 원통스크린(320)으로 유입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30)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송되어 슬러지배출부(50)로 이송되는 것으로, 상기 슬러지는 이송 중 포함된 물기가 하측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330)와 상기 이송밸트(220)는 하나의 구동모터에 의해 동일하게 작동되는 것으로, 작동비용을 절감시킴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구동모터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여 각각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슬러지배출부(50)는 내부가 통공된 슬러지배출몸체(510)과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의 일단부를 단속하는 슬러지배출뚜껑(520)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은 상기 원통스크류(320)의 일단부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되는 단부가 절단된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타단부는 상기 슬러지배출뚜껑(520)이 설치된다.
상기 슬러지배출뚜껑(520)은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의 타단부 상측에 힌지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개폐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스크류(330)에 의해 이송된 슬러지가 적정량 쌓이면 상기 슬러지배출뚜껑(520)을 개방하여 슬러지를 별도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러지는 상기 이송스크류(330)를 따라 상기 슬러지배출부(50)로 이송되면서 물기를 하측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에 이송된 슬러지는 연속하여 이송되는 다른 슬러지에 의해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의 타단부에 쌓이면서 이송력에 의해 포함된 물기가 배출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정시간 동안 쌓인 슬러지는 쌓인 시간에 비례하여 물기가 제거되는 것이고, 일정시간 후, 작업자가 상기 슬러지배출뚜껑(520)을 개방하여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 슬러지 제거작업이 마무리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에서 배출된 하수는 상기 제2이송부(30)의 수분배출부(314)를 통하여 하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하수로(2)로 이동되어 별도의 하수처리장(미도시)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송부(20)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가열 건조하여 그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한 건조부(60)의 구성이 추가로 구현된다.
상기 건조부(60)는 상기 제2이송몸체(310)에 연결되며 상기 제1이송부(20)에서 이송되는 슬러지가 상기 제2이송부(30)로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이송관(61) 및 상기 이송관(61)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이송부(20)에서 상기 제2이송부(30)로 투입되는 슬러지를 가열하는 제1히터(62)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관(61)은 상기 제2이송몸체(31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양단부가 개방되면서 상기 제1이송부(20)를 통과하는 슬러지가 상기 제2이송부(30)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송관(61)은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이송관(61)을 통과하는 슬러지가 선회하며 배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이송부(30)로 인입되는 슬러지가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선회에 따른 상기 제1히터(62)와의 열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히터(6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열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히터(62)는 상기 제1,2이송부(20,30)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이송관(61)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이송부(20)에서 상기 제2이송부(30)로 이송되는 슬러지를 1차 가열 건조한다.
상기 건조부(60)는 상기 제2이송몸체(31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흡입관(63), 상기 흡입관(63)에 구비되며 상기 제2이송몸체(310)로 바람을 공급하여 슬러지가 바람에 의해 자연건조되도록 하는 한편, 슬러지를 이루는 알갱이 간의 충돌이나, 떨어짐에 의해 공극이 증가되면서 열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팬(64) 및 상기 흡입관(63)에 구비되며, 상기 팬(64)의 구동에 따라 흡입되는 바람이 가열되면서 상기 제2이송몸체(310)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히터(65)를 더 포함한다.
상기 흡입관(63)은 양단부가 개방되는 원형 또는 사각 관 형태를 이루며,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팬(64)을 보호하는 한편, 상기 팬(64)의 구동에 따라 외부의 바람이 상기 제2이송몸체(310)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흡입관(63)은 내주면에 나선홈(미도시)이 형성되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과 함께 슬러지가 선회하며 상기 제2이송몸체(3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슬러지가 사방으로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2히터(65)를 통한 열풍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팬(64)은 상기 슬러지유입부(312)로 유입되는 슬러지로 바람을 공급하여 바람에 의해 자연건조와 함께 슬러지를 이루는 알갱이 간 공극이 커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팬(64)은 바람을 통해 슬러지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히터(65)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는 열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흡입관(63)의 외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팬(64)의 구동에 따라 유입되는 바람이 상기 흡입관(63)을 통과하면서 열풍으로 가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제2히터(65)는 상기 이송관(61)을 통과하며 1차 가열된 슬러지를 2차 가열 건조할 수 있다.
상기 건조부(60)는 상기 제2이송몸체(3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팬(64)에 의해 공급되는 바람 다시 말하면, 열풍에 의해 회전되면서 슬러지가 분산되도록 하는 회전체(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체(66)는 회전축(66a) 및 상기 회전축(66a)에 구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66b)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66a)은 양단부가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이송몸체(3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축(66a)은 베어링 등에 의해 상기 제2이송몸체(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회전체(66)는 상기 팬(64)의 구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63)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슬러지유입부(312)로 유입되는 슬러지가 분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슬러지의 공극이 증가되면서 상기 제2히터(65)를 통한 열풍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팬(64)의 구동에 따른 상기 회전체(66)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상기 회전축(66a)에 모터(미도시)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체(66)의 회전을 유도할 수도 있다.
상기 건조부(60)는 상기 원통스크린(320)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이송부(30)를 통과하는 슬러지를 가열하는 제3히터(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히터(67)는 상기 원통스크린(320)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면서 상기 원통스크린(320)을 통과하는 슬러지를 3차 가열 건조한다.
상기 제3히터(67)는 내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스크린(320)의 외측 하부를 감싸는 챔버(67a), 상기 챔버(67a)의 내측에 수용되는 열매체유(67b) 및 상기 챔버(67a)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기 열매체유(67b)를 가열하는 열선봉(67c)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원통스크린(320)과의 열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일정한 온도로의 유지가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건조부(60)는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슬러지배출부(50)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가열하는 제4히터(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히터(68)는 상기 슬러지배출부(50)에 저장되는 슬러지를 4차 가열 건조하여 슬러지에 남은 수분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2,3,4히터(62,65,67,68)는 처리되는 슬러지의 양 등에 따라 슬러지를 가열하는 가열온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2,3,4히터(62,65,67,68)는 상기 제1히터(62)로부터 상기 제4히터(68)로 갈수록 슬러지를 가열하는 가열온도가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히터를 가열하는 에너지의 소모를 최소로 하면서 슬러지의 건조가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슬러지배출뚜껑(520)에는 투명으로 이루어지는 가시창(53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시창(530)은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햇빛 등에 의해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에 수용되는 슬러지가 자연건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그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
1 : 하수관 2 : 하수로
10 : 스크린망 20 : 제1이송부
30 : 제2이송부 40 : 와이퍼부
50 : 슬러지배출부 60 : 건조부
61 : 이송관 62 : 제1히터
63 : 흡입관 64 : 팬
65 : 제2히터 66 : 회전체
67 : 제3히터 68 : 제4히터
110 : 제1스크린망 120 : 제2스크린망
210 : 제1이송몸체 220 : 이송밸트
230 : 스크래이퍼 310 : 제2이송몸체
312 : 슬러지유입부 314 : 수분배출부
320 : 원통스크린 330 : 이송스크류
410 : 와이퍼 420 : 와이퍼지지대
510 : 슬러지배출몸체 520 : 슬러지배출뚜껑
530 : 가시창

Claims (1)

  1.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걸러서 제거하는 스크린망(10);
    상기 스크린망(10)에 의해 제거된 슬러지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크린망(10)의 상단과 상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외형을 이루는 제1이송몸체(210)와, 상기 제1이송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다공이 형성된 이송밸트(220) 및 상기 이송밸트(220)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스크래이퍼(230)를 갖는 제1이송부(20);
    상기 제1이송부(20)에 의해 이송된 슬러지를 수평,회전 이송시켜 상기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도록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측에 슬러지유입부(312)와 하측에 수분배출부(314)가 형성된 제2이송몸체(310)와, 상기 제2이송몸체(310)의 공간부에 형성된 원통스크린(320) 및 상기 원통스크린(320)의 중심선을 따라 설치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스크류(330)를 갖는 제2이송부(30);
    상기 제1이송부(20)의 상측에 위치하여 이송된 슬러지를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제2이송부(30)로 강제 이송시키는 와이퍼부(40); 및
    상기 제2이송부(30)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슬러지를 적재,배출시키도록 테이퍼진 슬러지배출몸체(510)와,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의 일단을 개폐하는 슬러지배출뚜껑(520)을 갖는 슬러지배출부(50)를 포함하는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로써,
    상기 제1이송부(20)에서 이송되는 슬러지를 가열 건조하여 그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부(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건조부(60)는,
    상기 제2이송몸체(310)에 연결되며, 상기 제1이송부(20)에서 이송되는 슬러지가 상기 제2이송부(30)로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이송관(61);
    열선으로 이루어져 상기 이송관(61)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1이송부(20)에서 상기 제2이송부(30)로 투입되는 슬러지를 가열하는 제1히터(62);
    상기 제2이송몸체(31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흡입관(63);
    상기 흡입관(63)에 구비되며, 상기 제2이송몸체(310)로 바람을 공급하여 슬러지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동시에 바람에 의해 건조되도록 하는 한편, 슬러지를 이루는 알갱이 간의 충돌이나, 떨어짐에 의해 공극이 증가되면서 열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팬(64);
    상기 흡입관(63)에 구비되며, 상기 팬(64)의 구동에 따라 흡입되는 바람이 가열되면서 상기 제2이송몸체(310)로 열풍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2히터(65);
    상기 제2이송몸체(3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팬(64)의 구동에 따라 상기 흡입관(63)을 통해 유입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슬러지유입부(312)로 유입되는 슬러지가 분산되도록 하여 상기 제2히터(65)를 통한 열풍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회전체(66);
    상기 원통스크린(320)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제2이송부(30)를 통과하는 슬러지를 가열하는 제3히터(67); 및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의 외측에 구비되면서 상기 슬러지배출부(50)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가열하는 제4히터(68)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61)은,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2이송부(30)로 인입되는 슬러지가 선회하며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1히터(62)와의 열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흡입관(63)은,
    내측에 구비되는 상기 팬(64)을 보호하는 한편, 상기 팬(64)의 구동에 따라 외부의 바람이 상기 제2이송몸체(310)로 원활하게 인입되도록 하고,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되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바람과 함께 슬러지가 선회하며 상기 제2이송몸체(31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제2히터(65)를 통한 열풍과의 접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3히터(67)는,
    내측으로 빈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원통스크린(320)의 외측 하부를 감싸는 챔버(67a);
    상기 챔버(67a)의 내측에 수용되는 열매체유(67b); 및
    상기 챔버(67a)에 수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면서 상기 열매체유(67b)를 가열하는 열선봉(67c)을 포함하고,
    상기 제1,2,3,4히터(62,65,67,68)는,
    상기 제1히터(62)로부터 상기 제4히터(68)로 갈수록 슬러지를 가열하는 가열온도가 순차적으로 낮아지게 설정되며,
    상기 슬러지배출뚜껑(520)에는,
    투명으로 이루어지는 가시창(530)이 구비되면서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의 내부에 대한 육안으로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햇빛에 의해 상기 슬러지배출몸체(510)에 수용되는 슬러지가 자연건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
KR1020170028483A 2017-03-06 2017-03-06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 KR101782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83A KR101782945B1 (ko) 2017-03-06 2017-03-06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483A KR101782945B1 (ko) 2017-03-06 2017-03-06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945B1 true KR101782945B1 (ko) 2017-09-29

Family

ID=6003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483A KR101782945B1 (ko) 2017-03-06 2017-03-06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94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356B1 (ko) * 2018-07-02 2019-07-24 (주)명성기기 경사 썩션스크린 방식 고액분리장치
CN113417859A (zh) * 2021-07-30 2021-09-21 江苏凯泉泵业制造有限公司 带通风道的分离杂物型污水泵
KR20240040826A (ko) 2022-09-21 2024-03-29 주식회사 에이치앤엠바이오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저감처리 방법 및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저감처리 설비
KR20240077508A (ko) 2022-11-22 2024-06-03 주식회사 에이치앤엠바이오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농축처리 방법 및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농축처리 설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035Y1 (ko) * 2006-10-23 2007-04-20 제천시 생활하수의 슬러지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6035Y1 (ko) * 2006-10-23 2007-04-20 제천시 생활하수의 슬러지 처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356B1 (ko) * 2018-07-02 2019-07-24 (주)명성기기 경사 썩션스크린 방식 고액분리장치
CN113417859A (zh) * 2021-07-30 2021-09-21 江苏凯泉泵业制造有限公司 带通风道的分离杂物型污水泵
CN113417859B (zh) * 2021-07-30 2024-01-02 江苏凯泉泵业制造有限公司 带通风道的分离杂物型污水泵
KR20240040826A (ko) 2022-09-21 2024-03-29 주식회사 에이치앤엠바이오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저감처리 방법 및 소규모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저감처리 설비
KR20240077508A (ko) 2022-11-22 2024-06-03 주식회사 에이치앤엠바이오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농축처리 방법 및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농축처리 설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945B1 (ko) 하수처리시 발생되는 슬러지의 처리장치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N101058932B (zh) 洗衣机
KR2010002551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962998A (zh) 滚筒洗衣机
KR100928559B1 (ko) 분뇨와 축산폐수 및 하수 처리용 다단 스크린장치
CN107265820A (zh) 一种智能环保厕所用的模块化污物分离干燥处理系统
KR10151728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US20230381693A1 (en) A microparticle filter, a textile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of filtering microparticles
JP2000015636A (ja) 切断したペットボトル細片の多段洗浄脱水乾燥方法とその多段洗浄脱水装置
CN105150406A (zh) 立式摩擦脱水机
KR200436035Y1 (ko) 생활하수의 슬러지 처리장치
KR100368042B1 (ko) 음식쓰레기의 처리장치
KR2015001721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1814105U (zh) 电镀污泥烘干装置
CN102631961A (zh) 一种冲洗着水机
CN204912172U (zh) 一种立式摩擦脱水机
KR200209642Y1 (ko)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KR20220020134A (ko) 유분센서에 의한 가열세척수 공급방식의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170079908A (ko) 연속처리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09012257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400819B1 (ko)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JP4587906B2 (ja) 乾燥洗濯機
KR20110115853A (ko) 무축 스크류 컨베이어형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