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750B1 -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82750B1 KR100882750B1 KR1020080105405A KR20080105405A KR100882750B1 KR 100882750 B1 KR100882750 B1 KR 100882750B1 KR 1020080105405 A KR1020080105405 A KR 1020080105405A KR 20080105405 A KR20080105405 A KR 20080105405A KR 100882750 B1 KR100882750 B1 KR 1008827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servoir
- food waste
- deodorizing
- condenser
- blow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332 deodoriza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1877 deodoriz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2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5943 smell Effects 0.000 abstract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101700031500 TECR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HGUFODBRKLSHSI-UHFFFAOYSA-N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Chemical compound O1C2=CC(Cl)=C(Cl)C=C2OC2=C1C=C(Cl)C(Cl)=C2 HGUFODBRKLSHS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9 air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4 preserv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10—Heating arrangements using tubes or passages containing heated fluids, e.g. acting as radiative elements; Closed-loop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건조되는 악취로 가득찬 저장통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탈취시킴으로써 저장통을 개방시킨다 하더라도 악취가 저장통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내부에 교반수단이 설치된 저장통; 저장통의 저면부에 설치된 히터; 저장통과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응축수단; 및 응축수단의 일측 끝단부와 저장통 사이에 설치되는 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전방에 위치하도록 응축수단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되어 블로워에 의해 저장통 내부로 흡출되는 공기에 탈취가스를 공급하는 탈취가스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식물 쓰레기, 탈취, 건조, 탈취가스 공급수단, 오존
Description
본 발명은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건조되는 악취로 가득찬 저장통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탈취시킴으로써 저장통을 개방시킨다 하더라도 악취가 저장통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가축 사료로 이용되거나 단순히 걸음망 등을 통해 물기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으며, 상기와 같이 폐기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양은 점점 더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는 식수원 또는 공기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 함수율이 90% 이상을 차지하므로 수집, 운반, 처리 및 매립 과정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써 소각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음식물 쓰레기는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각하는데 많은 양의 연료가 소모되어 처리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의 불완전한 연소로 인하여 다이옥신 등과 같은 인체에 유해한 대기 오염물질이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시킴으로써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쓰레기 양을 감소시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93588호(이하 '종래기술1'이라 함)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기술1은 음식물 쓰레기에 함유된 수분을 탈수하는 탈수수단(10), 상기 탈수수단(10)에서 일정량의 수분이 제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탈수수단(10)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며,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생성된 응축수와 침출수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교반수단(1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교반수단(15) 내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를 발효시키기 위해 상기 교반수단(15)에 열원을 공급하는 열원공급수단(20), 상기 교반수단(15)과 배관을 매개로 연결되고, 상기 교반수단(15)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수증기를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배출시켜 상기 응축수가 형성되도록 응축시키는 응축수단(25)이 마련된다.
아울러 종래기술1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는 상기 응축수단(25)에서 생성된 응축수를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배출시켜 상기 교반수단(15) 내로 바이패스시키는 바이패스 배관(30), 상기 교반수단(15) 내로 미생물을 주입하여 상기 교반수단(15) 내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되도록 하는 미생물 주입수단(35), 상기 교반수단(15)과 연결되어 상기 교반수단(15)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는 건조 상태의 음식물 쓰레기 중에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수단(40)이 포함된다.
상기 응축수단(25)은 상기 교반수단(15)과 배관(26)을 매개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교반수단(15)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긴 수증기는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배출시켜 상기 응축수가 형성되도록 응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응축수단(25)은 상기 배관(26)과 연결되어 수증기가 인입되는 수증기 인입구(26a), 하단에 응축수가 배출되는 응축수 배출구(26b)를 갖는 응축기 본체(27), 상기 응축기 본체(27)의 내부에 설치되는 방열판(28), 상기 방열판(28)을 관통하여 응축기 본체(27)의 외부로부터 냉각수가 배출되게 설치되는 냉각수관(29)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수증기는 응축기 본체(27)의 내부로 유입된 후 냉각수관(29)을 통과하는 냉각수에 의해 방열판(28) 주위가 저온 상태이기 때문에 열교환되어 저온, 다습한 공기로 된다.
이때 상기 수증기의 열교환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하는데, 이 응축수는 응축기 본체(27) 하부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구(26b)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75878호(이하 '종래기술2'라 함)에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기술2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51)를 형성한 본체(50), 상기 투입구(51)를 개폐시키는 투입 도어(52), 상기 본체(50)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51)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처리조(53), 상기 처리조(53)의 일측 벽면에 위치하여 상기 투입구(51)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송풍부(54), 상기 송풍부(54)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처리조(53) 내부에 공기를 상기 처리조(53)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5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부(55)와 상기 배기부(55)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외부로 유도하는 안내관(56), 상기 안내관(56)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안내관(56)을 통해 유도되는 공기의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기(57)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2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투입 도어(52)를 개방시키면 송풍구(54)에서 투입구(51) 쪽으로 형성되는 에어 커튼에 의해 처리조(53)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가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아울러 처리조(53)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된 악취는 탈취기(57)가 설치된 안내관(56)을 따라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1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은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는 음식물 쓰레기로부터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장치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종래기술2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처리조 내부에 가득 찬 악취가 송풍부의 에어 커튼에 의해 차단된다 하더라도 악취의 일부가 처리조 외부로 누출되는 현상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되며, 탈취기가 설치된 안내관의 직경이 작아 탈취 용량이 매우 작음으로써 악취가 제대로 탈취되지 못하므로 종래기술 2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또한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건조되는 악취로 가득찬 저장통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탈취시킴으로써 저장통을 개방시킨다 하더라도 악취가 저장통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교반수단이 설치된 저장통; 저장통의 저면부에 설치된 히터; 저장통과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응축수단; 및 응축수단의 일측 끝단부와 저장통 사이에 설치되는 블로워를 포함하여 구성된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 전방에 위치하도록 응축수단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되어 블로워에 의해 저장통 내부로 흡출되는 공기에 탈취가스를 공급하는 탈취가스 공급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탈취가스 공급수단은, 상기 응축수단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되는 가스 공급펌프; 및 상기 가스 공급 펌프와 연결되는 내부에 탈취가스가 저장되어 있는 탈취가스 탱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취 가스로는 오존(O3) 가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킴과 동시에 블로워에 의해 저장통 내부로 공급되는 공기 중에 탈취 가스를 포함시켜 저장통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저장통 내의 악취로 가득찬 오염된 공기를 근본적으로 정화시켜 탈취시킴으로써 저장통이 개방된다 하더라도 외부로 악취가 배출되지 않아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어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좌측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응축수단을 설 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사용되는 교반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본체 케이스(10), 저장통(11), 교반수단(12), 히터(13), 열매체유 탱크(14), 응축수단(15), 블로워(16) 및 탈취가스 공급수단(1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본체 케이스(10)는, 적정 크기를 갖는 상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저면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10)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캐스터(10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부면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본체 케이스(10) 내부에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01)가 형성되되, 상기 투입구(101)는 개폐 가능하도록 힌지 또는 경첩에 의해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상부면과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투입구(101)는 본체 케이스(10)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투입구(101)의 일측에는 손잡이(102)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 케이스(10)는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내측면에 다수개의 프레임(103)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저장통(11)은 상기 본체 케이스(10)의 내부 전방부 측에 설치되며, 상기 저장통(11)의 저면부는 이중벽(111)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저장통(11)은 본체 케이스(10)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된 한 쌍의 고정 패널(104)에 안정되게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저장통(11)의 소정 위치에는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를 꺼내는 배출구(112)가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저장통(11)의 저면부는 내부에 열매체유를 충진시킬 수 있도록 이중벽(111)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수단(12)은, 상기 저장통(11)의 하부에 설치되어 저장통(11)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킨다.
상기 교반수단(12)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교반수단(12)은, 교반기(120)와 구동모터(121)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교반수단(12)의 교반기(120)는, 상기 저장통(11)의 양측면 하부에 양측 끝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120a)과, 상기 회전축(120a)의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봉(120b)과, 상기 고정봉(120b)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회전축(120a)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중간봉(120c)과, 상기 중간 봉(120c)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양측 끝단부는 회전축(120a)의 양단에 설치된 고정 봉(120b)의 끝단에 연결되며 중앙부는 중간 봉(120c)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교반 날개(120d)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교반기(120)는, 상기 고정 봉(120b)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축(120a)의 양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보조 교반 날개(120e)와, 상기 중간봉(120c)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축(120a)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중간 보조 교반 날개(120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보조 교반 날개(120e)는 저장통(11)의 양측 끝단부에 있는 음식 물 쓰레기를 저장통(11)의 중앙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며, 상기 중간 보조 교반 날개(120f)는 저장통(11)의 중앙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통(11)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게 됨으로써 저장통(11)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보다 더 골고루 섞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21)는, 상기 회전축(120a)의 일측 끝단부와 동력 전달부재(122)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교반기(1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121)는 음식물 쓰레기가 골고루 섞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축(120a)을 5.5 내지 6rpm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히터(13)는, 상기 저장통(11) 저면부의 이중벽(111)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통(11) 내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열매체유 탱크(14)는, 상기 저장통(11)의 저면부에 형성된 이중벽(111)과 연결되어 상기 이중벽(111) 내부에 열매체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응축수단(15)은, 상기 저장통(11)과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도록 저장통(11)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통(11) 내부의 수증기를 순환시켜 응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응축수단(15)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응축수단(15)은, 상기 저장통(11)과 양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응축기(150)와, 상기 응축기(150)와 연결되는 냉각기(151), 상기 냉각기(151)와 연결되는 물탱크(152), 상기 물탱크(152)와 일측 끝단부가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응축기(150)와 연결되는 순환펌프(153), 및 상기 응축기(150)와 연결되어 수증기가 응축되어 발생되는 응축수를 정화시키는 응축수 정화장치(15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응축수단(15)은 하나의 응축기(150)만으로도 구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개 이상의 응축기(150)가 연결관(155)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응축기(150)의 처리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냉각기(151)의 일측에는 고온으로 가열된 냉각수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팬(156)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로워(16)는, 상기 응축수단(15)의 일측 끝단부, 즉 응축기(150)의 일측 끝단부와 저장통(11)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통(11) 내부로 응축수단(15)의 응축기(150) 내부의 공기를 흡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탈취가스 공급수단(17)은, 상기 블로워(16) 전방에 위치하도록 응축수단(15)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되어 블로워(16)에 의해 저장통(11) 내부로 흡출되는 공기에 탈취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탈취가스 공급수단(17)은 상기 응축수단(15)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되는 가스 공급펌프(170)와, 상기 가스 공급 펌프(170)와 연결되는 탈취가스 탱크(171)로 구성되며, 상기 탈취가스 공급수단(17)에 의해 응축수단(15)의 일측 끝단부에 공급되는 탈취 가스로는 오존(O3) 가스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통(11)의 내부면 일측에는 상기 블로워(16)로부터 저장통(11) 내부로 흡출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통(11)의 내부면 타측에는 저장통(11) 내부의 음식물이 응축 수단으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집진 필터(19)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는, 음식점이나 일반 가정에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키기 위해 본체 케이스(10)의 투입구(101)를 개방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통(11) 내부로 투입시킨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통(11) 내부로 투입시킨 다음, 제어 패널(도시되지 않음)의 스위치(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함에 따라 본체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121)가 저속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구동모터(121)는 2 내지 8rpm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음식물 쓰레기가 골고루 섞여지도록 3 내지 5 rpm으로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동 모터(121)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121)의 회전력이 동력 전달부재(122)에 의해 교반기(120)의 회전축(120a)에 전달됨으로써 상기 교반기(120)가 회전을 하게 되며, 상기 교반기(120)가 회전됨에 따라 저장통(11)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천천히 섞여지게 된다.
즉, 교반기(120)가 회전됨에 따라 교반날개(120d)에 의해 저장통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가 천천히 섞여지게 됨과 동시에 보조 교반 날개(120e)는 저장통(11)의 양측 끝단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통(11)의 중앙부 방향으로 이동시기케 되며, 중간 보조 교반 날개(120f)는 저장통(11)의 중앙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통(11)의 양측 끝단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됨으로써 저장통(11)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천천히 골고루 섞이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저장통(11)의 이중벽(111) 내부에 설치된 히터(13)가 가열되어 열매체유를 가열함으로써 저장통(11) 내부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터(13)는 열매체유를 130℃ 내지 140℃의 온도로 가열을 하게 되며, 상기 히터(13)에 의해 가열된 열매체유는 상기 저장통(11)을 85℃ 내지 95℃로 가열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저장통(11)의 온도가 고온으로 가열된 상태에서 교반기(120)의 회전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섞이면서 가열되어 신속하게 건조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고온으로 가열된 저장통(11)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가열됨에 따라 수분을 많이 함유한 음식물 쓰레기의 특성상 다량의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되는 수증기와 저장통(11) 내부의 공기는 블로워(16)의 작동으로 응축수단(15)으로 유입된다.
즉, 상기 블로워(16)가 작동을 하게 되면, 응축기(150) 내부의 공기가 저장통(11) 내부로 흡출되며, 상기 응축기(150) 내부의 공기가 저장통(11) 내부로 흡출됨에 따라 저장통(11) 내부의 압력은 높아지게 되고, 응축기(150) 내부의 압력은 낮아지게 됨으로써 압력차에 따라 저장통(11) 내부의 공기 및 수증기가 응축 기(150)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 따라 저장통(11) 내부의 공기 및 수증기가 저장통(11)과 응축기(150)를 반복적으로 순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동시에 탈취 가스 공급수단(17)의 가스 공급펌프(170)가 작동되어 탈취가스 탱크(171)에 저장된 오존(O3)가스를 상기 블로워(16)에 의해 저장통(1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혼입시켜 저장통(11) 내부로 흡출시킨다.
상기와 같이 강력한 탈취 및 공기 정화 기능을 가진 오존(O3)가스가 블로워(16)에 의해 저장통(11)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저장통(11) 내부로 흡출되어 저장통(11) 내부의 악취로 가득찬 공기 및 수증기를 정화시켜 탈취시키게 됨으로써 투입구(101)를 개방하더라도 악취가 저장통(11)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쾌적한 환경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장통(11)의 내부면 일측에는 히터(18)가 더 설치됨으로써 상기 블로워(16)로부터 저장통(11) 내부로 흡출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승온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저장통(11)의 가열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저장통(11)의 내부면 타측에는 집진 필터(19)가 설치되어 상기 블로워(16)에 의해 응축기(150)로 유입되는 수증기 및 공기 중에 음식물이 섞여 응축기(150) 내부로 흡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블로워(16)에 의해 응축기(150)로 유입된 고온의 수증기는 저온의 냉각수가 흐르는 응축기(150)와 접촉됨에 따라 액화 현상에 의해 응축되어 응축 수 정화장치(154)로 보내어 지며, 상기 고온의 수증기와 열교환된 냉각수는 냉각기(151)를 거쳐 냉각된 후 물탱크(152)로 운송되며, 물탱크(152)로 운송된 냉각수는 순환펌프(153)에 의해 다시 응축기(150)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완전히 건조된 음식물 쓰레기는 상기 저장통(11)의 저면부 일측에 구비된 배출구(112)를 통해 저장통(11)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1b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에 사용되는 응축수단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좌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우측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의 응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의한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에 사용되는 교반 날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케이스 (11) : 저장통
(12) : 교반수단 (13)(18) : 히터
(14) : 열매체유 탱크 (15) : 응축수단
(16) : 블로워 (17) : 탈취가스 공급수단
(19) : 집진필터
Claims (3)
-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며, 저면부는 이중벽으로 형성되는 저장통;상기 저장통의 양측면 하부에 양측 끝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봉; 상기 고정봉과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중간 봉; 상기 중간 봉을 중심으로 'X'자 형태로 교차되도록 양측 끝단부는 회전축의 양단에 설치된 고정 봉의 끝단에 연결되며 중앙부는 중간 봉에 연결되는 다수개의 교반 날개와, 상기 고정 봉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축의 양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보조 교반 날개와, 상기 중간봉과 수직을 이루도록 회전축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중간 보조 교반 날개로 구성된 교반기; 및 상기 회전축의 일측 끝단부와 동력 전달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교반기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로 구성되어 저장통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는 교반수단;상기 저장통의 저면부에 형성된 이중벽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통 내에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시키는 히터;상기 저장통의 저면부에 형성된 이중벽과 연결되어 상기 이중벽 내부에 열매체유를 공급하는 열매체유 탱크;상기 저장통에 일측 끝단부가 연결되는 응축기와, 상기 응축기와 연결되는 냉각기와, 상기 냉각기와 연결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에 일측 끝단부가 연결되며, 타측 끝단부는 상기 응축기에 연결되는 순환펌프 및, 상기 응축기에 연결되어 수증기가 응축되어 발생되는 응축수를 정화시키는 응축수 정화 장치로 구성되어 저장통 내부의 수증기를 순환시켜 응축시키는 응축수단;상기 응축수단의 일측 끝단부와 저장통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통 내부로 응축수단 내부의 공기를 흡출시키는 블로워; 및상기 블로워 전방에 위치하도록 응축수단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되어 블로워에 의해 저장통 내부로 흡출되는 공기에 탈취가스를 공급하는 탈취가스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탈취가스 공급수단은, 상기 응축수단의 일측 끝단부와 연결되는 가스 공급펌프 및, 상기 가스공급 펌프와 연결되며, 내부에 탈취 가스가 저장되어 있는 탈취가스 탱크로 구성되며, 상기 탈취 가스로는 오존(O3)가스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405A KR100882750B1 (ko) | 2008-10-27 | 2008-10-27 |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5405A KR100882750B1 (ko) | 2008-10-27 | 2008-10-27 |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82750B1 true KR100882750B1 (ko) | 2009-02-09 |
Family
ID=4068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5405A KR100882750B1 (ko) | 2008-10-27 | 2008-10-27 |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8275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1775A (ko) * | 2010-05-31 | 2011-12-07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복수 챔버를 구비한 버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 |
KR101630818B1 (ko) | 2014-12-22 | 2016-06-24 | (주)현대워터텍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3757A (ko) * | 1996-05-27 | 1997-12-10 | 와다 마사유키 | 탈취장치를 가진 쓰레기 처리장치 |
KR19990086346A (ko) * | 1998-05-27 | 1999-12-15 | 구자홍 |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JP2003230871A (ja) | 2002-12-10 | 2003-08-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厨芥処理装置 |
KR100772428B1 (ko) * | 2005-09-27 | 2007-11-01 | 정태용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2008
- 2008-10-27 KR KR1020080105405A patent/KR10088275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73757A (ko) * | 1996-05-27 | 1997-12-10 | 와다 마사유키 | 탈취장치를 가진 쓰레기 처리장치 |
KR19990086346A (ko) * | 1998-05-27 | 1999-12-15 | 구자홍 | 마이크로파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JP2003230871A (ja) | 2002-12-10 | 2003-08-1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厨芥処理装置 |
KR100772428B1 (ko) * | 2005-09-27 | 2007-11-01 | 정태용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131775A (ko) * | 2010-05-31 | 2011-12-07 | 웅진코웨이주식회사 | 복수 챔버를 구비한 버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 |
KR101642395B1 (ko) * | 2010-05-31 | 2016-07-28 | 코웨이 주식회사 | 복수 챔버를 구비한 버퍼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음식물처리기 |
KR101630818B1 (ko) | 2014-12-22 | 2016-06-24 | (주)현대워터텍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2474B1 (ko) | 연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00052236A (ko) |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화장치 | |
JP4405531B2 (ja) | 乾燥装置 | |
KR100893632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873306B1 (ko)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
KR101634741B1 (ko)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
KR100882750B1 (ko) |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 |
JP3954864B2 (ja) | 除湿発酵式有機廃棄物処理機 | |
CN111069252A (zh) | 一种卧式厨余处理设备 | |
KR101826974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 |
KR102004032B1 (ko) |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 |
KR100512256B1 (ko) |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JP2006142298A (ja) | 食べ物残り生ゴミの発酵分解消滅化処理方法および装置 | |
KR20180002399A (ko) | 탈취수단이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발효 처리기 | |
KR20170002828U (ko)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
KR101868479B1 (ko) | 응결 배수구조가 적용된 투입도어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217924Y1 (ko) | 음식물쓰레기의 수분 처리장치 | |
KR102551334B1 (ko) |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장치 및 건조탄화장치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방법 | |
KR100245300B1 (ko) | 음식물분해기의 개스처리장치 및 방법 | |
KR200358423Y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
KR20080008670A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JP2002186943A (ja) | 有機廃棄物処理設備及びコンポスト化方法 | |
KR100278840B1 (ko) | 잔반 처리장치 | |
KR0159355B1 (ko) | 음식물 찌꺼기 퇴비화장치의 악취제거방법 및 그 장치 | |
JP3740412B2 (ja) | 有機廃棄物処理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