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642Y1 -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 Google Patents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642Y1
KR200209642Y1 KR2019980009431U KR19980009431U KR200209642Y1 KR 200209642 Y1 KR200209642 Y1 KR 200209642Y1 KR 2019980009431 U KR2019980009431 U KR 2019980009431U KR 19980009431 U KR19980009431 U KR 19980009431U KR 200209642 Y1 KR200209642 Y1 KR 2002096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drying
washing
unit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5684U (ko
Inventor
배근수
Original Assignee
배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근수 filed Critical 배근수
Priority to KR2019980009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642Y1/ko
Publication of KR19980055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56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6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642Y1/ko

Links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이 잘 분리되어 양호하게 건조되게 함으로써, 곡물이 습기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곡물건조장치의 건조부(200)를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의해 회전하며 내부에 곡물을 담아 회전시키는 원통형의 그물망(18)을 갖는 건조틀(10)과, 상기 건조틀(10)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덮개(40) 및 지지체(50)와, 상기 지지체(50)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기(60)와, 상기 건조틀(10)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취출하는 취출구(70)로 구성함으로써, 세정 탈수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건조틀(10)에서 회전시키켜 뭉치지 않고 낱알이 흐트러지게 하며, 자외선 램프(42)로 곡물을 살균 건조시키는 동시에 집진기(60)로 공기를 흡입하여 곡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킴으로써, 곡물을 보관하는 도중 세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본 고안은 곡물 세척 장치의 건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1996년 특허출원 제 32550호(곡물 세척 장치)'의 건조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곡물의 건조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곡물 세척 장치의 건조구조에 관한 것이다.
먼저 상기의 '1996년 특허출원 제 32550호'에 기재된 발명의 실시예를 '[….]' 내에서 인용한다. 이 인용내용중 제 1도는 도 1에 도시하고, 제 2도는 도 2에 도시하며, 제 3도는 도 3에 도시한다.
[본 실시 예는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 공급통(112)에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 스크류(118)로 일정한 양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곡물 공급부(110)와, 상기 곡물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에 물을 주입하고 세척 스크류(136)를 회전시켜 곡물에 묻은 이물질이나 미생물을 세척하는 세척부(130)와, 상기 세척부(130)로부터 세척된 곡물에 물을 주입하여 세정하면서 회전시켜 곡물에 섞인 물을 원심력으로 탈수시키는 세정 탈수부(160)와, 상기 세정 탈수부(160)로부터 공급되는 탈수된 곡물에 열을 가하여 건조시키는 건조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곡물 공급부(110)는 내부에 곡물을 담으며 곡물을 하방으로 배출시키는 도어(114)가 형성된 곡물 공급통(112)과, 이 곡물 공급통(112)에 연결 설치되어 도어(114)로 배출되는 곡물을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118)와, 이 이송 스크류(118)를 회전시키는 제 1 모터(1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부(130)는 곡물 공급부(110)의 이송 스크류(118)에 의해 이동되는 곡물이 지나가는 세척통(132)과, 상기 세척통(132)의 입구에서 곡물에 일차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보조 물공급 호스(134)와, 상기 세척통(132) 내로 이송된 곡물에 세척하는 물을 공급하는 주 물공급 호스(138)와, 상기 세척통(132) 내에 설치되어 이송된 곡물과 물을 혼합 회전시켜 세척하는 세척 스크류(136)와, 상기 세척 스크류(136)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146)와, 상기 세척통(132)의 저면 개방부에 설치되어 곡물에 혼합된 물이 배출되는 투과망(140)과, 상기 투과망(140)으로부터 빠져나온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수관(144)과, 상기 세척통(132)의 출구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곡물의 양을 스프링력으로 조절하는 압력 조절기(1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 탈수부(160)는 제 1도 및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130)의 세척통(132)의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세척된 곡물이 투입되는 안내관(162)과, 상기 안내관(162)에 투입되는 곡물이 원활하게 이동 및 세척되게 하는 물을 공급하는 2차 물공급 호스(164)와, 상기 안내관(16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과 곡물을 내부에 담는 원통관(170)의 측면에 곡물과 물이 빠져나가는 다수 개의 통과공(172)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선형의 날개(174)가 형성된 세정 스크류(168)와, 상기 세정 스크류(168)의 내부에 곡물을 세정하는 물을 공급하는 3차 물공급 호스(166)와, 상기 세정 스크류(168)의 외부에 설치되어 세정 스크류(168)의 통과공(172)으로 빠져 나온 물과 곡물에서 물을 탈수시키는 탈수통(176)과, 상기 세정 스크류(168)와 탈수통(176)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는 제 3 모터(180)와, 상기 탈수통(176)의 내부벽에 달라붙은 곡물이 세정스크류의 날개(174)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할 때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포(178)와, 상기 탈수통(176)으로부터 빠져나온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 개의 제 2 배수관(182)과, 상기 탈수통(176)의 상측으로 넘어온 곡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84)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부(200)는 제 1도 및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 탈수부(160)의 배출구(184)로부터 배출되는 세정 탈수된 곡물이 담겨지는 원통형의 건조통(202)과, 상기 건조통(202)의 저면에 원판형으로 설치되어 공기 투과망(214)이 있는 회전판(212)과, 상기 건조통(202)에 설치되어 회전판(212)을 회전바퀴(210)로 회전시키는 다수 개의 제 4 모터(208)와, 상기 회전판(212)을 저면에서 통풍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관(216)과, 상기 지지관(216)을 안착시키는 안착부(222) 및 안착부(222)의 일측에 통풍구(224)가 형성된 설치대(220)와, 상기 설치대(220)의 통풍구(224) 외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226)과, 상기 흡입팬(226)에 연결 설치되어 흡입팬(226)을 회전시키는 제 5 모터(228)와, 상기 건조통(202)의 근처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건조통(202)에는 저면 일측에 형성된 제 2 배출구(206)로 곡물이 모이게 하는 가름대(204)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관(216)의 상측에는 회전판(212)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하는 다수개의 로울러(218)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 1도의 하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 공급부(110)의 제 1 모터(116)와, 세척부(130)의 제 2 모터(146) 및 세정 탈수부(160)의 제 3 모터(180)와, 건조부(200)의 제 4 모터(208)와 제 5 모터(228) 및 히터(2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어장치(240)를 별도로 구비한다. 이에 따른 상세한 배선 구조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탈곡 및 도정을 마친 쌀이나 기타 탈곡 또는 도정을 마친 곡물을 곡물 공급부(110)의 곡물 공급통(112)에 넣는다.
그 다음, 제어장치(240)의 스위치를 조작하에 제 1 모터(116) 내지 제 5 모터(228)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에 따라 곡물 공급부(110)의 이송 스크류(118)와 세척부(130)의 세척 스크류(136) 및 세정 탈수부(160)의 세정 스크류(168)와 탈수통(176), 그리고 건조부(200)의 회전바퀴(210)와 흡입팬(226)이 회전한다. 그리고 건조부(200)의 히터(230)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그 다음, 곡물 공급통(112)에 설치된 도어(114)를 열어 곡물이 일정량씩 빠져 나오게 한다. 그러면 곡물 공급통(112)으로부터 나온 곡물이 이송 스크류(118)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어 세척부(130)의 세척통(132)으로 투입된다.
이때 세척부(130)의 세척통(132) 입구에ㅔ 설치된 보조 물공급 호스(134)로 물을 공급하면 곡물이 물과 혼합되면서 세척통(132) 속으로 이동한다. 세척통(132) 속으로 이동한 곡물은 세척 스크류(136)에 의해 물과 섞이면서 출구 쪽으로 이동하는데, 주 물공급 호스(138)로 물을 공급하면 곡물이 물과 혼합되면서 세척되어 곡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과 미생물이 제거된다. 곡물에 혼합된 물은 세척통(132)의 저면에 설치된 투과망(140)으로 빠져나와 배수관(1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세척통(132)의 출구에 설치된 압력 조절기(142)는 세척통(132)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곡물의 양을 일정하게 조절한다.
그 다음, 세척부(130)의 세척통(132) 출구로부터 배출된 곡물은 세정 탈수부(160)의 안내관(162)으로 투입되는데, 2차 물공급 호스(164)로 물을 공급하면 곡물이 안내관(162)의 저부로 원활하게 이동하면서 세척된다. 안내관(162)의 저부로 이동한 곡물은 세정 스크류(168)의 원통관(170) 내부에 떨어지는데, 3차 물공급 호스(166)로 물을 공급하면 원통관(170) 내부에서 곡물이 씻겨 진다.
이때 세정 스크류(168)는 제 3 모터(18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원통관(170) 내의 곡물과 물은 통과공(172)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세정 스크류(168)의 통과공(172)을 빠져나온 곡물과 물은 제 3 모터(180)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고 있는 탈수통(176)의 표면에 접촉하는데, 이곳에서 원심력에 의해 물은 탈수되고 곡물은 탈수통(176)의 표면에 달라붙게 된다.
그런데, 세정 스크류(168)는 탈수통(176) 보다 더 빨리 회전하므로 세정 스크류(168)의 표면에 형성된 날개(174)가 탈수통(176)의 표면에 달라붙은 곡물을 상측으로 밀어 올린다. 이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곡물은 원심력에 의해 탈수통(176)의 상측으로 뿌려지게 되는데, 탈수통(176)의 외측에 설치된 이탈 방지포(178)에 의해 외부로 튕겨 나가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탈수통(176)에서 탈수된 물은 제 2 배수관(18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탈수통(176)의 상측으로 넘어온 곡물은 곡물 배출구(184)로 배출된다.
그 다음, 세정 탈수부(160)의 곡물 배출구(184)로 배출된 곡물은 건조부(200)의 건조통(202)에 담겨진다. 이때 건조통(202)의 저면에 설치된 회전판(212)의 상면에 곡물이 얹혀지게 되는데, 회전판(212)이 제 4 모터(208)에 의해 회전하고, 회전판(212)의 저면에 설치된 지지관(216)의 로울러(218)는 회전판(212)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저면에서 지지한다.
그리고 지지관(216)을 안착시킨 설치대(220)의 통풍구(224)에 설치된 흡입팬(226)은 제 5 모터(228)에 의해 회전하므로 건조통(202)으로부터 회전판(212)과 지지관(216)을 지나 설치대(220)의 통풍구(224)를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따라서 건조통(202)의 주위에 설치된 히터(230)의 열에 의해 따뜻해진 공기가 곡물을 지나 흡입팬(226)으로 빠져 나가므로 곡물이 빨리 건조된다.
한편, 곡물은 회전판(212)에 얹혀 회전하다가 건조통(202)의 가름대(204)에 의해 모라지면서 제 2 배출구(206)로 빠져 나가게 된다. 제 2 배출구(206)로 배출되는 곡물은 건조된 것으로서 바로 포장하여 보관한다.
이상의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물은 곡물 공급부(110)로부터 세척부(130)로 이동하여 물로 세척되어 곡물의 표면에 묻은 이물질과 미생물이 제거된 다음, 세정 탈수부(160)로 이동하여 씻겨지면서 탈수되고, 건조부(200)로 이동하여 히터(230)의 열에 의해 건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출원인이 특허출원한 곡물세정장치를 인용하였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곡물세척장치에 있어서는 세정 탈수부(160)의 제 2 배출구(162)로부터 배출되어 건조통(202)의 회전판(212)에 얹혀지는 곡물은 수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쉽게 덩어리로 엉켜지게 된다. 이와 같이 엉켜진 곡물은 회전판(212)에 얹혀져 회전하는 동안 부서져 낱알로 분리되지만, 일부는 엉켜져 건조되지 않은 채로 건조통(202)의 가름대(204)에 의해 모아지면서 제 2 배출구(206)로 빠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곡물세척장치는 곡물의 일부가 미건조된 상태로 제 2 배출구 (206)로 빠져나오게 되는데, 이 곡물을 그대로 포장하면 습기에서 발생하는 세균에 의해 곡물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곡물이 잘 분리되어 양호하게 건조되게 함으로써, 곡물이 습기에 의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곡물세정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종래 곡물세척장치의 세정탈수부의 주요부분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제3도는 종래 곡물세척장치의 건조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곡물세척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부를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
제7도는 본 고안에 따른 건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건조부 210 : 건조틀
212 : 기어띠 214 : 투입구
216, 220 : 레일홈 218 : 그물망
230 : 모터 232 : 피니언
240 : 덮개 242 : 자외선 램프
244 : 덮개 246 : 볼트
248 : 너트 250 : 지지체
252 : 배출구 254 : 타공망
256 : 통기공 258 : 배기관
260 : 집진기 270 : 취출구
272 : 배출관 280 : 수납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곡물 공급통에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 스크류로 일정한 양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곡물 공급부와, 상기 곡물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에 물을 주입하고 세척 스크류를 회전시켜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로부터 세척된 곡물에 물을 주입하여 세정하면서 회전시켜 곡물에 섞인 물을 원심력으로 탈수시키는 세정 탈수부와, 상기 세정 탈수부로부터 공급되는 탈수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로 구성된 곡물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를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고 내부에 곡물을 담아 회전시키는 원통형의 그물망을 가지며 후방의 반경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된 건조틀과, 상기 건조틀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덮개 및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집긴기와, 상기 건조틀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취출하는 취출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세정 탈수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은 건조틀에서 회전하여 낱알이 흐트러지면서 집진기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양호하게 건조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예의 구성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물 공급통(112)에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 스크류(118)로 일정한 양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곡물 공급부(110)와, 상기 곡물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에 물을 주입하고 세척 스크류(136)를 회전시켜 세척하는 세척부(130)와, 상기 세척부(130)로부터 세척된 곡물에 물을 주입하여 세정하면서 회전시켜 곡물에 섞인 물을 원심력으로 탈수시키는 세정 탈수부(160)와, 상기 세정 탈수부(160)로부터 공급되는 탈수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200)로 구성된 곡물세척장치의 건조부(200)를 개선한 것으로서, 상기 건조부(200)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의해 회전하며 내부에 곡물을 담아 회전시키는 원통형의 그물망(18)을 갖는 건조틀(10)과, 상기 건조틀(10)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덮개(40) 및 지지체(50)와, 상기 지지체(50)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기(60)와, 상기 건조틀(10)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취출하는 취출구(7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모터(30)의 회전축에는 피니언(32)을 고정하고, 상기 건조틀(10)의 일측 외주면에는 기어띠(12)를 형성하여 서로 치합되게 하여 모터(30)의 회전에 의해 건조틀(10)이 회전되게 한다. 이와 함께 건조틀(10)의 전후에 적어도 2개의 레일홈(16)을 환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덮개(40) 및 지지체(50)에 각각의 레일홈(16)을 상하좌우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로울러(44)를 부착하여 건조틀(10)이 로울러(44)에 의해 부상된 상태에서 최소한의 마찰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건조틀(10)은 후방이 반경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제조함으로써, 건조틀(10)의 전방에 형성된 투입구(14)로 곡물이 투입되어 후방으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덮개(40)의 내부에는 다수의 자외선 램프(42)를 구비하여 건조틀(10) 내부의 곡물을 살균소독하는 한편, 열을 발생시켜 곡물이 양호하게 건조되도록 한다. 또 덮개(40)는 볼트(46)와 너트(48) 등의 결합수단으로 지지체(50)에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50)는 배기관(58)을 통하여 집진기(60)에 연결하고, 지지체(50) 내부에 일정한 크기의 통기공(56)을 균일하게 형성한 타공망(54)을 배출구(52)에 설치함으로써, 건조틀(10)의 그물망(18) 내부의 곡물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고르게 한다.
한편, 건조틀(10)의 후단에 설치되는 취출구(70)에는 배출관(72)을 형성하고, 이 배출관(72)의 후단에 수납통(80)을 구비하여 건조되어 배출되는 곡물을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건조부(200)의 작용을 설명한다.
세정 탈수부로부터 탈수되어 공급되는 곡물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틀(10)의 투입구(14)로 투입된다. 이때 모터(30)가 회전하면 모터(30)의 피니언(32)에 맞물린 기어띠(12)가 회전하여 건조틀(10) 전체가 로울러(44)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한다.
이에 따라 곡물은 그물망(18)을 따라 회전하며 서서히 건조틀(10)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곡물은 그물망(18)을 따라 이동하는 사이에 뭉쳐진 덩어리가 부서져 낱알로 된다. 이때 덮개(40)에 설치된 다수의 자외선 램프(42)에서 자외선이 방사되어 곡물을 멸균소독하고, 열이 발생되어 곡물을 건조시킨다. 이와 함께 집진기(60)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그물망(18) 내의 곡물을 지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켜 곡물이 더욱 빠르게 건조되게 한다.
상기에서 지지체(50)의 배출구(52)에 설치된 타공망(54)은 집진기(60)로 들어가는 공기가 균일한 통기공(56)을 지나도록 함으로써, 그물망(18)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균일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건조틀(10)의 후방으로 밀려나온 곡물은 취출구(70)로 낙하되고, 이 곡물은 배출관(72)을 타고 수납통(80)에 담겨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통(80)에 담겨지는 건조되고 살균된 곡물을 보관용 비닐봉지 등에 담아 처리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곡물건조장치의 건조부(200)를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의해 회전하며 내부에 곡물을 담아 회전시키는 원통형의 그물망(18)을 갖는 건조틀(10)과, 상기 건조틀(10)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덮개(40) 및 지지체(50)와, 상기 지지체(50)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기(60)와, 상기 건조틀(10)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취출하는 취출구(70)로 구성함으로써, 세정 탈수부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을 건조틀(10)에서 회전시키켜 뭉치지 않고 낱알이 흐트러지게 하며, 자외선 램프(42)로 곡물을 살균 건조시키는 동시에 집진기(60)로 공기를 흡입하여 곡물을 양호하게 건조시킴으로써, 곡물을 보관하는 도중 세균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곡물 공급통(112)에 공급되는 곡물을 이송 스크류(118)로 일정한 양을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곡물 공급부(110)와, 상기 곡물 공급부(110)로부터 공급되는 곡물에 물을 주입하고 세척 스크류(136)를 회전시켜 세척하는 세척부(130)와, 상기 세척부(130)로부터 세척된 곡물에 물을 주입하여 세정하면서 회전시켜 곡물에 섞인 물을 원심력으로 탈수시키는 세정 탈수부(160)와, 상기 세정 탈수부(160)로부터 공급되는 탈수된 곡물을 건조시키는 건조부(200)로 구성된 곡물세정창지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200)는 모터(30)와, 상기 모터(30)에 의해 회전하고 내부에 곡물을 담아 회전시키는 원통형의 그물망(18)을 가지며 후방의 반경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된 건조틀(10)과, 상기 건조틀(10)을 상하에서 지지하는 덮개(40) 및 지지체(50)와, 상기 지지체(50)에 연결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집진기(60)와, 상기 건조틀(10)에서 배출되는 곡물을 취출하는 취출구(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30)의 회전축에는 피니언(32)을 고정하고 상기 건조틀(10)의 일측 외주면에는 기어띠(12)를 형성하여 서로 치합되게 하며, 상기 건조틀(10)의 전후에는 적어도 2개의 레일홈(16)을 환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덮개(40) 및 지지체(50)에는 각각의 레일홈(16)을 상하좌우에서 지지하는 다수의 로울러(44)를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40)의 내부에는 다수의 자외선 램프(4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50)에는 일정한 크기의 통기공(56)을 균일하게 형성한 타공망(54)을 배출구(52)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KR2019980009431U 1998-06-03 1998-06-03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KR2002096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431U KR200209642Y1 (ko) 1998-06-03 1998-06-03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431U KR200209642Y1 (ko) 1998-06-03 1998-06-03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684U KR19980055684U (ko) 1998-10-07
KR200209642Y1 true KR200209642Y1 (ko) 2001-01-15

Family

ID=69505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431U KR200209642Y1 (ko) 1998-06-03 1998-06-03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64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381B1 (ko) * 2000-12-07 2003-11-07 장명관 곡물살균장치
KR20180089322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푸드엔텍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
KR20180089321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푸드엔텍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242B1 (ko) * 2001-02-23 2004-04-08 남궁민 자외선 살균기
KR100400819B1 (ko) * 2001-09-17 2003-10-17 배근수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381B1 (ko) * 2000-12-07 2003-11-07 장명관 곡물살균장치
KR20180089322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푸드엔텍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
KR20180089321A (ko)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푸드엔텍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
KR102061959B1 (ko) * 2017-01-31 2020-03-02 주식회사 푸드엔텍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초음파 세척기
KR102115594B1 (ko) * 2017-01-31 2020-06-02 주식회사 푸드엔텍 정량의 커피원두 및 곡물용 스마트 팩토리형 정선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5684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06059B (zh) 一种颗粒物料干燥混合设备
US6938357B2 (en) Forced air circulation for centrifugal pellet dryer
JPH0926257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209642Y1 (ko) 곡물세척장치의 건조구조
KR101240760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00819B1 (ko)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US4106705A (en) Resin material reclaiming machine
KR200256263Y1 (ko)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WO2023020636A2 (zh) 一种易清理的卧式热循环谷物烘干机
KR1006340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KR20060029755A (ko) 세척 농산물의 건조기
US20050091868A1 (en) Machine with vibrating tank for drying and polishing cutlery
CN210128605U (zh) 一种粮食烘干机用上绞龙吸尘装置
JP2008070936A (ja) コイン洗浄装置
KR19980013870A (ko) 곡물 세척 장치(grain washer)
KR10150876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84095B1 (ko) 원심력식 슬러지 탈수장치
KR20090123375A (ko) 음식물 처리장치
KR200336449Y1 (ko) 쌀 세척 및 건조장치
CN219014902U (zh) 一种卸料方便的斜床式种子干燥设备
KR20090103453A (ko) 음식물 감량장치
KR19980063951U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1012868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이송부재 및 이를 이용한 멸균 건조장치
CN209893908U (zh) 一种丸粒干燥机用绞龙装置
JPH0724783B2 (ja) 竪軸精米機の白米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