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473Y1 - 자흡식 세정 탈취기 - Google Patents

자흡식 세정 탈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473Y1
KR200208473Y1 KR2020000020237U KR20000020237U KR200208473Y1 KR 200208473 Y1 KR200208473 Y1 KR 200208473Y1 KR 2020000020237 U KR2020000020237 U KR 2020000020237U KR 20000020237 U KR20000020237 U KR 20000020237U KR 200208473 Y1 KR200208473 Y1 KR 2002084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f
washing water
water
cleaning
deodo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2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수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수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수기
Priority to KR20200000202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4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4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473Y1/ko

Links

Landscapes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흡식(自吸式) 세정탈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세정형식의 탈취기는 세정탈취에 필요로하는 용해 청정수를 이용하며,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고, 메디아(media)를 탈취기 내부에 쌓아둠으로서, 노즐이 막히거나 메디아가 발생원 찌꺼기에 막히는 현상으로 노즐을 자주 교체하거나 주기적인 내부점검으로 메디아 교체를 연속적으로 해야하는 등 운영상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요지는 몸체(1) 상부에는 유해가스 유입구(4')가 있고, 하부에는 청정공기 배출구(4)가 있으며, 세정 탈취된 세정수 배수 집수조(5)가 설치되고, 이 집수조(5)에는 개폐문(6)이 설치되며, 몸체(1)의 내부 공실에는 임펠러(14)(14')와 세정수를 분사하는 세정수 분사 회전판(13)이 회전축(2)에 조립되어 있는 구조로서, 모터(3)에 의해 회동되면서 세정수를 미립자로 분사시킬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를 자흡식 세정 탈취기로 사용할 시는 구동축 모터(3)와 세정수 공급펌프(7)의 가동으로 임펠러(14)(14')를 회동시켜 유해 악취가 자흡으로 탈취기 내부에 유입되며, 이때 세정수는 분사구(12)를 통해 분사하고 자흡된 악취 및 유해가스는 물분자와 혼합되어 와류, 충돌, 확산, 교반, 용해, 관성, 원심력으로 1차 임팰러(14)를 거쳐 2차로 다시 한번 임팰러(14')(14')로 처리시켜 물속에 포집된 악취 및 유해가스는 물속에 용해 응집되어 밑으로 낙하되어 집수조(5)에 침전되고, 청정된 공기는 배출구(4)를 통해 밖으로 배출되게 한 자흡식 세정탈취기이다.

Description

자흡식 세정 탈취기{Self-priming cleaner deodorizer}
본 고안은 세정방식의 유해성가스를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자흡식 세정탈취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세정형식의 유해가스 탈취기는 세정탈취에 필요로하는 청정수를 노즐을 통하여 분사하고, 메디아(media)를 탈취기 내부에 쌓아둠으로서 노즐이 막히거나 메디아에 찌꺼기가 포집 부착하여 잦은 노즐의 교체와 주기적인 내부 점검에 의한 메디아 교체를 연속적으로 실시해야하는 운영상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이의 고안 요지는 수처리장 및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유해성 악취 및 유해가스를 몸체에 설치된 구동축 모터와 세정수 공급펌프의 가동으로 내부 임펠라 회전에 의해 악취 및 유해가스가 자흡으로 탈취기 내부에 강제유입되며, 1차 세정수가 회전원판에 공급 분사되어 유해가스와 함께 혼합, 와류, 충돌, 확산, 교반, 용해되며, 2차로 임펠라 회전부에 의해 물분자와의 혼합, 와류, 충돌, 확산, 용해로 포집된 악취 및 유해가스의 세정수와 함께 집수조에 침강하고, 처리된 맑은 공기는 배출구를 통하여 대기권으로 배출되게 한 자흡식 세정탈취기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 표시도
도 2는 도1의 단면 표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세정수 분사회전원판의 평면 표시도
도 4는 도3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임팰러의 평면 표시도
도 6은 도5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베어링 케이스의 평면 표시도
도 8은 도7의 단면도
도 9는 도1의 별도실시예의 정면 표시도
도 10은 도1의 또다른 별도실시예의 정면 표시도
도 11은 도1의 모터 거치부가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었을 때 표시도
도 12는 도1의 모터 거리부가 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었을 때 표시도
*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 2-축관 3-모터
4-배출구 4'-유입구 5-집수조
6-개폐문 7-펌프 8-상부 베어링 케이스
9,9',9'-압축실 10,10',10'-확산실 11-세정수 배출구
12-세정수 분사구 13-회전원판 14,14'-임팰러
15-하부 베어링 케이스 16-벨트 17-냉각수 유입구
18-냉각수 배출구 19-베어링 케이스 외피 20-냉각수실
21-구리스 유입구 22-구리스 배출구 23,23'-베어링
24-구리스실 25-세정수 급수관
몸체(1)의 하부에는 배출구(4)와 펌프(7) 및 개폐문(6)과 세정수 배출구(11)가 있는 세정수 집수조(5)가 설치되고, 몸체(1)의 상부측에는 상부 및 하부 베어링 케이스(8)(15)를 조립한 축관(2)(2')이 설치되어 있으되, 이 축관(2)(2')에는 상하로 임팰러(14)(14') 및 분사구 회전원판(13)이 설치 조립되고, 몸체 내부에는 다수의 압축실(9)(9')(9') 및 확산실(10)(10')(10')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세정수 분사구를 개재한 유해가스 또는 악취 유입실(4)이 형성되고, 그 일측에는 모터(3)를 설치하여 이 모터(3)의 회전축에 조립된 임팰러는 벨트(16)에 의해 회동되게하고, 베어링 케이스 외피(19) 내에는 유입구(21)와 배출구(22)가 있는 구리스실(24)와 냉각수 유입구(17)와 냉각수 배출구(18)가 있는 냉각수실(20)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처리 현장인 위생 처리장, 오폐수처리장, 하수종말처리장, 쓰레기 처리장의 침출수 처리장이나, 산업 현장에서 발생되는 유해성 악취 및 유해가스를 자흡식으로 처리하는데 사용하는 세정탈취기인 바 이를 실시할 시는 구동축모터(3)와 세정수 공급펌프(7)의 가동으로 임팰러(14)(14')를 가동시켜 악취 및 유해가스가 자흡으로 탈취기 내부에 강제유입되며, 분사구(12)에서 분사되는 세정수는 유해가스 속에 함유된 악취등의 유해성분을 물분자와 혼합시켜 회전되는 임팰러(14)(14')가 자흡(自吸)하여 세정수 집수조(5)로 유입되게하고, 집수조(5) 내에는 용해 응집된 악취 및 유해가스를 분리 침전시켜 이때 생긴 청정공기는 배출구(4)를 통해 밖으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즉, 가스 유입구(4')로는 임팰러(14)(14')에 의해 자흡된 악취 및 유해가스가 세정수 분사구(12)를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가 회전원판(13)에서 분사된 물분자와 혼합되어 압축실(9')에서 압축되고, 확산실(10')에서 확산되면서 충돌 교반하여 다시 압축실(9)에서 압축시켜 임팰러(14)로 강제교반, 충돌, 마찰, 원심력등으로 악취 및 유해가스를 세정수에 용해시켜 다시 한번 압축실(9')에서 압축된 후 임팰러(14')에 의해 확산실(10')을 통과하면서 더욱더 탈취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그리고 포집된 악취 및 유해가스는 세정수 집수조(5)에서 물과 청정 공기로 분리되어 악취 및 유해가스는 물속에 침전되고, 분리된 청정공기는 배출구(4)를 통해 대기속으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고속회전의 기계적인 문제는 회전축(2)(2')이 세정수 분사구(13)와 임팰러(14)(14')를 함께 고속회전 시킴으로해서 구동부 회전축관(2) 상부 베어링 케이스(8)에는 마찰로 인한 고열과 유입된 유해가스의 고온으로 인해 운영상 회전축 상부 베어링 케이스(8)의 내부열을 내려줄 필요가 있다. 이때에는 회전축 상부 베어링 케이스(8)의 구조를 2중 구조로 만들어 베어링 케이스 외피(19)로 회전 축 상부 베어링 케이스(8)를 보호하고, 냉각수실(20)을 만들어주어 냉각수를 유입구(17)로 유입시켜 냉각수실(20)을 거쳐 냉각수 배출구(18)를 통해 배출시키므로서 온도를 하락시켜주는 장치를 하였기 때문에 안정성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용도와 악취농도에 따라 분사구 회전원판(13)을 생략하거나 두개의 임팰러(14)(14') 중 한개의 임팰러(14')를 생략할 수도 있고, 또는 모터(3)를 몸체(1)의 상부 또는 하부에 거치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유해가스를 자흡식으로 세정 탈취함에 있어 별도의 송풍기 도움없이도 임팰러(14)(14')에 의해 스스로 악취 및 유해가스를 탈취기에 자흡으로 유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진물이나 노즐이 없는 회전식 분사 방법을 사용함으로서 노즐의 막힘 현상으로 인한 탈취기능과 송풍 효율의 저하 염려가 없게하였으며, 또한 주기적인 청소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고, 내산, 내알칼리에 견딜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부식의 우려가 없고, 또한 고속 회전으로 고열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고장에 대한 예방 기능으로 2중 구조로된 베어링 케이스(15)가 내장되어 있어 기계적인 결함이 없고,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적어 설치 면적이 적고 부품이 규격화되어 있어 A/S가 신속하여 매우 실용적이다.

Claims (3)

  1. 회전축관(2)에 연결된 모터(3)에 의해 회전하는 임팰러(14)(14')의 회전으로 유해가스 및 악취가 자흡에 의해 유입되고, 세정수가 노즐 없이 분사구(12)에서 분사되어 회전원판(13)에 의해 확산되고, 흡입구(4')를 통해 유입된 유해가스가 확산 세정수와 함께 물분자속에 혼합되어 확산실(10)(10')(10') 및 압축실(9)(9')(9')에서 반복 탈취된 후 임팰러(14)(14')(14')에 의해 충돌, 교반, 마찰, 응집, 용해, 관성력으로 포집하여 별도의 송풍기와 분사노즐의 개재없이 자흡 기능을 보유함을 특징으로 한 자흡식 세정 탈취기.
  2. 제 1항에 있어 탈취기능의 완벽한 효과와 운영상 고장을 예방하기 위하여 도 27,8과 같이 회전축관(2)의 상부에 상부 베어링 케이스(8)를 보호하는 베어링 케이스 외피(19)를 부착하여 이에 냉각수 유입구(17), 냉각수실(20), 냉각수 배출구(18)로 구성하여 베어링 케이스의 온도의 감소 및 베어링의 교체등 사후 관리에 용이하도록 2중 구조의 베어링 케이스(8)가 장착됨을 특징으로 한 자흡식 세정 탈취기.
  3. 제 1항에 있어서 현장조건 및 탈취 농도와 처리 목적에 따라 도 9, 10과 같이 세정수 분사원판(13)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또한 탈취효율 목적에 따라 임팰러(14)을 1개 또는 2개 이상의 구조로 구성이 가능케하고, 현장조건에 따라서 도 11, 12와 같이 구동 모터(3)를 몸체(1) 상부에 직결 또는 몸체(1) 하부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한 자흡식 세정 탈취기.
KR2020000020237U 2000-07-14 2000-07-14 자흡식 세정 탈취기 KR2002084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37U KR200208473Y1 (ko) 2000-07-14 2000-07-14 자흡식 세정 탈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237U KR200208473Y1 (ko) 2000-07-14 2000-07-14 자흡식 세정 탈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473Y1 true KR200208473Y1 (ko) 2001-01-15

Family

ID=73086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237U KR200208473Y1 (ko) 2000-07-14 2000-07-14 자흡식 세정 탈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47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20B1 (ko) * 2007-06-08 2007-12-28 김연하 쓰레기 냄새 정화장치
KR20210026914A (ko) * 2019-09-02 2021-03-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임펠러 회전형 스크러버
KR20210026922A (ko) * 2019-09-02 2021-03-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디스크 회전형 스크러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320B1 (ko) * 2007-06-08 2007-12-28 김연하 쓰레기 냄새 정화장치
KR20210026914A (ko) * 2019-09-02 2021-03-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임펠러 회전형 스크러버
KR20210026922A (ko) * 2019-09-02 2021-03-1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디스크 회전형 스크러버
KR102259902B1 (ko) * 2019-09-02 2021-06-0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임펠러 회전형 스크러버
KR102292834B1 (ko) * 2019-09-02 2021-08-26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디스크 회전형 스크러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735B1 (ko)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습식 공기 청정기
KR100663635B1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KR101754474B1 (ko) 가습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200208473Y1 (ko) 자흡식 세정 탈취기
KR101586187B1 (ko) 습식 스크러빙 장치
KR100589791B1 (ko) 습식 공기정청기용 정화장치
JPH08323255A (ja) 塗装ブース浄化装置
JP2000033216A (ja) ミスト発生装置
KR10063402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씽크볼
CN111330965A (zh) 一种污染土壤清洗装置
KR100538784B1 (ko) 연기나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집진정화장치
KR100356237B1 (ko) 응집제 용해장치
KR101633498B1 (ko) 음이온 발생 공기 청정기
JP2000042312A (ja) 濾過方法および濾過装置
KR200276493Y1 (ko) 자흡식 세정탈취장치
JP3650695B2 (ja) 空気清浄装置
KR100643888B1 (ko) 습식 음이온 발생장치가 구비된 공기청정기
KR200253229Y1 (ko) 물 회전 분사식 폐가스 세정기
KR101694035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워터펌프
KR200495014Y1 (ko) 싱크대 장착형 미생물 분해 소멸기
KR102547023B1 (ko) 공기 탈취 및 정화 장치
KR100356315B1 (ko) 공기정화시스템
KR200436943Y1 (ko) 음식물 찌꺼기의 분해 및 소멸 처리장치
KR200274646Y1 (ko) 회전식 세정탈취장치
JP2866643B1 (ja) 生ごみ水中分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