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606B1 -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78606B1 KR101178606B1 KR1020120062931A KR20120062931A KR101178606B1 KR 101178606 B1 KR101178606 B1 KR 101178606B1 KR 1020120062931 A KR1020120062931 A KR 1020120062931A KR 20120062931 A KR20120062931 A KR 20120062931A KR 101178606 B1 KR101178606 B1 KR 101178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space
- food waste
- unit
- compos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5—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18/009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for 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대의 하부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디스포저(disposer) 기능에 컴포스터(composter) 기능을 일체로 결합시켜 싱크대로부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후, 폐액과 분리되어 건조 폐기물로서 취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디스포저는 분쇄 유니트(20)와 컴포스터 유니트(30)를 구비하여,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폐액이 하수구(4)로 배출되도록 하여 건조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건조 폐기물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일체형 디스포저는 컴포스터 유니트(30)의 하부 커버(40)가 하방향으로 열리도록 하여 건조 폐기물이 수용되는 필터 스크린(50)이 자연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폐기물의 수거를 더욱 편리하게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싱크대의 하부 공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디스포저(disposer) 기능에 컴포스터(composter) 기능을 일체로 결합시켜 싱크대로부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 후, 폐액과 분리되어 건조 폐기물로서 취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정 또는 음식점의 싱크대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이 가능하도록 하며, 사용자가 편리하게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 관한 것이다.
식품의 생산?유통?가공?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농?수?축산물 쓰레기와 먹고 남은 음식 찌꺼기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쓰레기는 인구의 증가, 생활여건의 향상, 식생활의 고급화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환경오염문제의 대표적인 요인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음식물 쓰레기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3902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록번호 제10-0838717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처리기의 미생물 공급방법 및 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0491호 "미생물을 사용하는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분쇄장치" 및 등록번호 제20-0440511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등을 제안하여, 디스포저(disposer)를 통해 싱크대에서 바로 분쇄하여 오수와 함께 배출하도록 허용하고 있는 선진국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방법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디스포저는 배수관, 오수관 및 하수관 등의 관로(pipe conduit) 시스템과 하폐수 처리 시스템이 뒷받침되어야 하므로, 현재 음식물 쓰레기는 발생량을 줄이고 처리의 안정성 및 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지역 단위로 수집(대표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수집방법은 사용자들이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서 배출하게 되고, 음식물은 수분 함량이 높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가정 또는 사업장내, 수집장소 및 이송시에 악취발생의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일정량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집 및 관리하는 과정에서 오염으로 인한 질병 발생의 위험이 있으며, 수집 및 관리에 따른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쓰레기 양을 줄여 배출시키도록 하는 다양한 건조 기술이 제안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건조방법은 사용자가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로 수거한 후, 건조기에 넣어 건조과정을 진행해야 하고, 비교적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 부가적인 운영비용이 높아지고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은 건조기는 싱크대 하측의 수납공간에 설치됨으로써 싱크대의 배수구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가 바로 분쇄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이 높은 디스포저와 달리 별도의 장소에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건조기는 사용자가 싱크대로부터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여 넣은 후, 건조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되는 폐액의 악취 기체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고, 사용자는 건조공정이 완료된 건조 폐기물을 다시 수거하여 처리해야 하는 부담이 따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유럽특허 특허번호 제EP1360013호(공고 2008년08월20일) "GRINDING AND DEWATERING DEVICE FOR ORGANIC WASTE PRODUCTS"는 분쇄기와 탈수기가 구성되고, 폐기물의 분리이동 및 탈수를 위한 수단과, 구동모터장치가 구성되며, 상기 분쇄기와 상기 탈수기는 단일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탈수기의 바닥이 개방될 수 있게 구성되며, 탈수기 하부에 상기 분리 및 탈수된 폐기물이 수용되는 용기가 구성되어 가정에서 홈통을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유기폐기물의 분쇄 및 탈수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디스포저와 탈수기를 함께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기에서 분쇄된 후 바로 탈수기를 이송되어 탈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48744호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제10-0852510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4-0027646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특1999-025318호 "음식물 쓰레기 분쇄 처리장치" 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그 크기를 소형화시키는데 한계가 있어 일반 가정의 싱크대에 효과적으로 설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특히, 유럽특허 특허번호 제EP1360013호}은 디스포저와 탈수기의 동력을 하나의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그 부피를 줄이고자 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그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와 관련된 법적 규제에 맞게 분쇄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의 폐액을 분리하여 감량된 건조 폐기물을 취출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되, 싱크대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일반 가정에서 싱크대의 제한된 하부 수납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디스포저(disposer)에 컴포스터(composter) 기능을 일체로 결합시켜 싱크대로부터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가 디스포저를 통해 분쇄된 후, 컴포스터 기능을 통해 폐액과 분리되도록 하여 건조 폐기물로서 취출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가정 또는 음식점의 싱크대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건조 폐기물을 편리하게 취출하도록 함으로써, 하수관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와 관련된 법적 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디스포저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서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제 1 공간(21)을 형성하고, 모터(26)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28)에 의해 상기 제 1 공간(21)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제 1 공간(21)으로부터 외부로 흐르도록 하는 유출로(24')가 형성되는 분쇄 유니트(20) 및; 상기 유출로(24')와 접속되는 유입구(34)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로(24') 및 유입구(34)를 통해 상기 분쇄 유니트(20)의 제 1 공간(21)과 연통되는 제 2 공간(31)을 형성하여 상기 분쇄 유니트(2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도록 하고, 폐액이 배수관(5)을 통해 바닥면(3)에 형성된 하수구(4)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폐액이 분리된 건조 폐기물을 분리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컴포스터 유니트(30)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 유니트(20)는 측면방향으로 상기 유출로(24')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출구 플랜지(24)를 구비하고,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30)는 상기 분쇄 유니트(20)의 측면에 위치되어 결합되되, 상기 유출구 플랜지(24)의 유출구(24')와 대응되는 중심홀(36)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36)을 구비하여, 상기 유출구 플랜지(24)에 가스켓(25)을 넣고,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20)의 유입구(34)가 상기 유출구 플랜지(24)의 유출로(24')와 평행한 위치가 되도록 맞춘 후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20)의 제 2 공간(31)내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 플랜지(24)에 상기 고정 브라켓(36)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30)가 상기 분쇄 유니트(20)의 측면에 위치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30)는 상기 유출로(24')와 접속되는 유입로(3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로(34)와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제 2 공간(31)을 형성하는 케이스(32)와, 상기 제 2 공간(31)이 닫히도록 상기 케이스(32)의 하측에 결합되고, 폐액이 상기 배수관(5)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출구(42')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2)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커버(40) 및, 정해진 크기의 타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커버(4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 2 공간(31)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유입로(34)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31)내로 유입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하부 커버(40)의 상측에서 받침으로써 폐액이 분리되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50)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 커버(40)를 아래 방향으로 열었을 때 상기 필터 스크린(50)이 상기 케이스(32)로부터 취출되도록 하여 폐액이 분리된 건조 폐기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상기 케이스(32)의 제 2 공간(31)내에서 상기 유입로(34)에 위치되도록 결합되는 역류 방지구(8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30)는 상기 제 2 공간(31)에 수용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강제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 모듈(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 따르면,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다양하게 제안한 분쇄기능을 갖는 분쇄 유니트(20)와 폐액이 분리된 건조 폐기물을 분리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컴포스터 유니트(3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므로, 가정 또는 음식점의 싱크대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건조 폐기물을 편리하게 취출하도록 함으로써, 하수관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와 관련된 법적 규제를 만족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는 컴포스터 유니트(30)의 하부 커버(40)가 하방향으로 열리도록 하여 건조 폐기물이 수용되는 필터 스크린(50)이 자연 낙하되도록 함으로써, 건조 폐기물의 수거를 더욱 편리하도록 한다. 또한, 분쇄 유니트(20)와 컴포스터 유니트(30) 사이에 설치되는 역류 방지구(80)와 건조 모듈(70)에 설치되는 역류 방지구(72)를 통해 컴포스터 유니트(30)내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사용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도 1에서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컴포스터 유니트로부터 건조 폐기물을 취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스레기의 분쇄 및 건조 페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컴포스터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스레기의 분쇄 및 건조 페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컴포스터 유니트의 주요부를 단면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역류 방지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보인 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컴포스터 유니트로부터 건조 폐기물을 취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스레기의 분쇄 및 건조 페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컴포스터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스레기의 분쇄 및 건조 페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컴포스터 유니트의 주요부를 단면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역류 방지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보인 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도 1에서 보인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컴포스터 유니트로부터 건조 폐기물을 취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10)는 분쇄 유니트(20)와 컴포스터 유니트(30; composter unit)를 구비하여,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폐액이 하수구(4)로 배출되도록 하여 건조 상태(다량의 폐액이 분리됨으로써 부피와 무게가 축소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건조 폐기물을 사용자가 편리하게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10)에서 분쇄 유니트(20)는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서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제 1 공간(21)을 형성하고, 모터(26)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28)에 의해 제 1 공간(21)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제 1 공간(21)으로부터 외부로 흐르도록 하는 유출로(24')가 형성된다. 이 분쇄 유니트(20)는 하우징(22)에 상술한 구성들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서 싱크대(1)에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물론, 이와 같은 분쇄 유니트(20)는 본 발명자가 제안한 선출원들과 이 분야에서 이미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10)에서 컴포스터 유니트(30)는 유출로(24')를 통해 분쇄 유니트(20)의 제 1 공간(21)과 연통되는 제 2 공간(31)을 형성하여 분쇄 유니트(2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도록 하고, 폐액이 배수관(5)을 통해 바닥면(3)에 형성된 하수구(4)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폐액이 분리된 건조 폐기물을 분리취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컴포스터 유니트(30)는 분쇄 유니트(20)의 하우징(22)에 결합되는 케이스(32)에 상술한 구성들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분쇄 유니트(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전체 장치의 부피를 줄여 설치공간이 비교적 협소한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10)에서 컴포스터 유니트(30)는 분쇄 유니트(2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고, 폐액이 분리되도록 한 후, 건조 폐기물을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함에 있어서, 케이스(32)의 하측에 하부 커버(40)를 결합시키고, 케이스(32)내에 형성되는 제 2 공간(31)내에서 분쇄 유니트(20)로부터 유입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필터 스크린(50)에 놓여 폐액이 분리되도록 하며,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커버(40)의 열림(또는 분리)시 필터 스크린(50)이 하방으로 자유낙하되는 방식으로 분리되어 수거통(9)에 떨어트려 건조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건조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수거 방법은 본 발명(하방향 취출)과 달리 상방향 취출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지만, 이 경우 협소한 싱크대의 하부 공간의 특성상 사용자가 건조 폐기물을 수거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 복잡해지고, 컴포서트 유니트(30)의 케이스(32) 내부를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10)는 하부 커버(40)를 아래 방향으로 열었을 때 필터 스크린(50)이 케이스(32)로부터 취출되도록 하여 폐액이 분리된 건조 폐기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컴포스터 유니트(30)의 케이스(32)는 유출로(24')와 접속되는 유입로(34)가 형성되고, 유입로(34)와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제 2 공간(3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커버(40)는 제 2 공간(31)이 닫히도록 케이스(32)의 하측에 결합되고, 폐액이 배수관(5)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출구(42')가 형성되어 케이스(32)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필터 스크린(50)은 정해진 크기의 타공이 형성되고, 하부 커버(40)에 의해 지지되어 제 2 공간(31)내에 위치됨으로써, 유입로(34)를 통해 제 2 공간(31)내로 유입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하부 커버(40)의 상측에서 받침으로써 폐액이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 커버(40)가 하방향으로 열리도록 하는 구조는 일측에 힌지(44)를 구성하고, 타측에 잠금쇠(46)를 설치하여 잠금쇠(46)를 열었을 때 힌지(44)를 기준으로 회동됨으로써, 건조 폐기물이 놓인 필터 스크린(50)이 수거통(9)으로 낙하되어 건조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잠금쇠(46)는 케이스(32)에 고정되는 걸쇠(46a)와 하부 커버(40)에 고정되는 걸림돌기(46b)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은 잠금쇠(46)는 설계자 등이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기계요소{오링 등의 방수 요소,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 요소 등}의 적용 및 작용,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기술과 관련된 디스포저(disposer)의 구성 및 작용 등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하였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10)는 분쇄 유니트(20)와 컴포스터 유니트(30; composter unit)를 구비하여,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고,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의 폐액이 하수구(4)로 배출되도록 하여 건조 상태가 되도록 한 후, 건조 폐기물을 사용자가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분쇄 유니트(20)는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서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하우징(22)의 측면방향으로 유출구 플랜지(24)가 형성되어 컴포스터 유니트(30)를 결합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분쇄 유니트(20)의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기능과 연계되어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컴포스터 유니트(30)에서 폐액과 분리되어 건조 폐기물로서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컴포스터 유니트(30)는 분쇄 유니트(2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도록 하고, 폐액이 배수관(5)을 통해 바닥면{3; 본 발명에서 바닥면(3)은 싱크대의 바닥면과 건물의 바닥면일 수 있는 것이다}에 형성된 하수구(4)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폐액이 분리된 건조 폐기물을 취출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컴포스터 유니트(30)는 분쇄 유니트(20)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전체 장치의 부피를 줄여 설치공간이 비교적 협소한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컴포스터 유니트(30)는 건조 폐기물을 하방향으로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하부 커버(40)와 함께 상부 커버(60)를 구비하여 오버 플로우관(8)을 접속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60)에는 배수관(5)과 오버 플로우관(8)을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플랜지(42, 62; 도 4 및 도 5 참조)가 설치되어 배수관(5)과 오버 플로우관(8)을 고정하는 캡(43, 64)이 결합되도록 한다. 물론, 오버 플로우관(8)을 연결시키지 않는 경우, 상부 커버(60)의 고정 플랜지(62)에는 상부가 막힌 캡(도시 않음)이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60)는 잠금쇠(46, 66)가 설치되어 케이스(32)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10)는 컴포스터 유니트(30)에 건조 모듈(70)을 설치하여 제 2 공간(31, 도 5 참조)에 수용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강제 건조시켜 건조 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이와 같은 건조 모듈(7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필터 스크린(50; 도 5 참조)에 놓이는 건조 폐기물을 압착시켜 폐액의 함량을 낮추는 방식{이 경우 상부 커버(60)에는 스프링에 의해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 압착판이 설치되고, 상부 커버(60)를 통해 외부에서 압착판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압시킬 수 있는 구성이 추가될 것이다}을 적용하거나, 도 4 및 도 5에서 보인 바와 같이, 송풍기(70a)와 히터(70b)가 적용되는 소형 온풍 송풍기를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스레기의 분쇄 및 건조 페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컴포스터 유니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스레기의 분쇄 및 건조 페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서 컴포스터 유니트의 주요부를 단면하여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10)에서 컴포스터 유니트(30)는 상단(32a)과 하단(32b) 방향으로 개구되는 제 2 공간(31)이 형성되도록 하는 케이스(32)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결합시켜 이루어진다. 물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건조 모듈(70)의 작동은 분쇄 유니트(20; 도 3 참조)의 컨트롤러(도시 않음)과 연계되어 제어되도록 구성될 것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32)는 분쇄 유니트(20)의 하우징(22)의 유출구 플랜지(24)에 고정 브라켓(36)을 통해 고정된다. 이 고정 브라켓(26)은 유출구 플랜지(24)의 유출구(24')와 대응되는 중심홀(36)이 형성되어 케이스(32)에 형성된 유입구(34)가 유출구(24')와 평행한 위치가 되도록 케이스(32)를 유출구 플랜지(24)에 고정하게 된다. 이때, 유출구 플랜지(24)와 케이스(22) 사이는 가스켓(25) 등을 통해 수밀구조를 갖도록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32)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잠금쇠(46, 66)의 걸쇠(46a, 66a)가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22)의 일측면에는 소형 온풍 송풍기가 적용되는 건조 모듈(70)의 온풍이 유입되는 홀(35)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32)는 상단(32a)과 하단(32b)에 결합되는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60)를 갖는다. 이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60)에는 상술한 케이스(32)의 하단(32b)과 상단(32a)을 덮어 제 2 공간(31)이 형성되도록 하면서 제 2 공간(31)이 외부와 밀폐되도록 하는 수밀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60)에 케이스(32)의 하단(32b)과 상단(32a)이 끼워지는 수밀홈(41, 61)이 형성된다. 물론, 이와 같은 수밀구조는 필요에 따라 추가적인 오링, 가스켓 등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6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면에는 전술한 케이스(22)에 결합된 걸쇠(46a, 66a)에 걸리는 걸림돌기(46b, 66b)가 설치된다. 그리고,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60)에는 배수관(5)과 오버 플로우관(8)을 결합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플랜지(42, 62)가 설치되고, 하부 커버(40)의 고정 플랜지(42)상에는 유출구(42')가 형성되며, 상부 커버(60)의 고정 플랜지(62)상에도 오버 플로우관(8)과의 연통을 위한 홀(6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케이스(32)의 상단(32a)과 하단(32b)은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60)가 결합되고, 이 하부 커버(40)와 상부 커버(60)는 잠금쇠(46, 66)가 설치되어 케이스(32)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디스포저(10)에서 컴포스터 유니트(30)에 설치되는 필터 스크린(50)은 타공판을 절곡하여 형성함으로써 제조의 편리함을 높이고, 사용의 편리함을 높이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필터 스크린(50)은 타공(41)이 형성된 판재가 "W"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양측면(54)이 하방향으로 폭이 감소되도록 기울어지고, 양측면(54) 사이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융기부(52)가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필터 스크린(50)은 케이스(22)내에 위치되었을 때 양측면(54)이 케이스(22)의 내측면에 밀착되지 않고, 하부 커버(40)의 유출구(42')에 필터 스크린(50)이 밀착되지 않아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필터 스크린(50)상에 놓였을 때 폐액의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필터 스크린(50)은 하부 커버(40)의 열림(분리)시 하방으로 자유낙하하는 방식으로 분리되어 건조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건조 폐기물을 수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디스포저(10)의 컴포스터 유니트(30)에서 건조 모듈(70)은 송풍기(70a)와 히터(70b)가 적용되는 소형 온풍 송풍기와 함께 내부의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거나,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시 오수나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구(72)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디스포저(10)에서 컴포스터 유니트(20)의 건조 모듈(70)은 오수가 흐르지 않을 때 타이머에 의해 1분 또는 2분 정도 송풍기(70a)와 히터(70b)가 작동하여 내부에 있는 분쇄된 유기물(음식물 쓰레기)을 건조시키게 된다. 이때, 발생되는 열기는 하측 커버(40)의 유출구(42')를 통해 하수구(4; 도 3 참조)로 나가게 되고, 역류 방지구(72)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건조 모듈(70)을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악취의 누출을 안정적으로 방지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건조 모듈(70)의 작동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물흐름 감지 센서를 적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시 오수가 나오는 경우 작동하지 않도록 하고, 오수가 내려오지 않으면 물흐름 감지 센스에 의해 컨트롤러(PCB)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하여 일정시간 정해진 만큼 작동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건조 모듈(70)에서 역류 방지구(72)는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한 형태를 적용하거나, 도 6 및 도 7에서 보인 바와 같이, 실리콘 막(88)이 역류 방지기능을 갖도록 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파이프를 절곡하여 형성한 형태는 온풍 송풍기가 결합되는 홀(35)의 내측에서 결합되는 일단(73)과 유자관(75)으로 형성되는 타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역류 방지구(72)는 건조 모듈(70)이 작동되지 않을 때 케이스(32)내의 악취가 외부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10)의 작용을 도 1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피면, 사용자는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대(1)의 배출구(2)를 통해 투입시키면서 수도물을 함께 공급한다. 이때, 음식물 쓰레기는 분쇄 유니트(20)의 제 1 공간(21)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도시 않음, 통상 발판 스위치)를 켜면, 분쇄 유니트(20)의 모터(26)가 작동되어 턴테이블(28)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된다. 분쇄 유니트(2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오수(분쇄된 음식물의 폐액 포함)와 함께 분쇄 유니트(20)의 유출로(24')와 컴포스터 유니트(30)의 유입로(34)를 통해 컴포스터 유니트(30)의 제 2 공간(31)으로 유입된다. 이때, 컴포스터 유니트(30)의 제 2 공간(31)으로 유입되는 오수 및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필터 스크린(50)으로 떨어지게 되고, 오수는 필터 스크린(50)을 통해 하부 커버(40)의 유출구(42')를 통해 배출관(5)을 통해 하수관(4)으로 배출되고, 건조 폐기물은 필터 스크린(50)상에 걸러진 상태로 남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수도물이 잠기면 분쇄 유니트(20)는 약 5초이상 공회전 작동되고, 오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물흐름 감지 센서가 검출하여 컨트롤러에 의해 건조 모듈(70)의 히터 온풍기를 작동시켜 열풍에 의해 건조 폐기물에 남아 있는 물기를 강제로 제거하여 수분 함량이 더욱 낮추어지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건조 모듈(70)의 작동은 컨트롤러에 미리 설정된 시간(분)에 의해 작동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일정한 주기로 하부 커버(40)를 분리하여 건조 폐기물을 추출하게 된다. 이때, 추출되는 건조 폐기물은 관련된 법적 규제에 따라 음식물 보관통에 수거 또는 화장실 분뇨관으로 처리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역류 방지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서 보인 역류 방지구가 설치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디스포저(10)는 컴포스터 유니트(30)의 내부 공간{제 2 공간(31)}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고, 내부를 흐르는 오수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32)의 제 2 공간(31)내에서 유입로(34)에 위치되도록 역류 방지구(8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역류 방지구(80)는 전술한 건조 모듈(70)의 역류 방지구(72)를 대체하여 적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역류 방지구(80)는 제 1 배럴(82)과 제 2 배럴(84)이 중공(81)을 통해 서로 연통되되, 그 사이에 허브(86)가 형성되어 체크 밸브의 기능을 갖는 실리콘 막(88)이 결합되어 형성된다. 실리콘 막(88)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2 배럴(84) 방향으로 휘어지고, 제 1 배럴(82) 방향으로는 허브(86)에 지지되어 막힘되므로써, 흐름이 제 1 배럴(82)에서 제 2 배럴(84) 방향으로만 가능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스레기의 분쇄 및 건조 페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싱크대 2 : (싱크대) 배수구
3 : 바닥면 4 : 하수구
5 : 배수관
10 : (음식물 스레기의 분쇄 및 건조 페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20 : 분쇄 유니트 21 : 제 1 공간
24' : 유출로 26 : 모터
28 : 턴테이블 30 : 컴포스터 유니트
31 : 제 2 공간 32 : 케이스
34 : 유입로 40 : 하부 커버
42' : 유출구 50 : 필터 스크린
70 : 건조 모듈 80 : 역류 방지구
3 : 바닥면 4 : 하수구
5 : 배수관
10 : (음식물 스레기의 분쇄 및 건조 페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20 : 분쇄 유니트 21 : 제 1 공간
24' : 유출로 26 : 모터
28 : 턴테이블 30 : 컴포스터 유니트
31 : 제 2 공간 32 : 케이스
34 : 유입로 40 : 하부 커버
42' : 유출구 50 : 필터 스크린
70 : 건조 모듈 80 : 역류 방지구
Claims (4)
-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디스포저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1)의 하부 공간에서 상기 싱크대(1)의 배수구(2)를 통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제 1 공간(21)을 형성하고, 모터(26)에 의해 회전되는 턴테이블(28)에 의해 상기 제 1 공간(21)에 수용된 음식물 쓰레기가 분쇄되도록 하며,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상기 제 1 공간(21)으로부터 외부로 흐르도록 하는 유출로(24')가 형성되는 분쇄 유니트(20) 및;
상기 유출로(24')와 접속되는 유입구(34)가 형성되고, 상기 유출로(24') 및 유입구(34)를 통해 상기 분쇄 유니트(20)의 제 1 공간(21)과 연통되는 제 2 공간(31)을 형성하여 상기 분쇄 유니트(2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도록 하고, 폐액이 배수관(5)을 통해 바닥면(3)에 형성된 하수구(4)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폐액이 분리된 건조 폐기물을 분리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컴포스터 유니트(30)를 포함하되;
상기 분쇄 유니트(20)는 측면방향으로 상기 유출로(24')가 형성되도록 하는 유출구 플랜지(24)를 구비하고,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30)는 상기 분쇄 유니트(20)의 측면에 위치되어 결합되되, 상기 유출구 플랜지(24)의 유출구(24')와 대응되는 중심홀(36)이 형성되는 고정 브라켓(36)을 구비하여,
상기 유출구 플랜지(24)에 가스켓(25)을 넣고,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20)의 유입구(34)가 상기 유출구 플랜지(24)의 유출로(24')와 평행한 위치가 되도록 맞춘 후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20)의 제 2 공간(31)내에 위치되어 상기 유출구 플랜지(24)에 상기 고정 브라켓(36)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30)가 상기 분쇄 유니트(20)의 측면에 위치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포스터 유니트(30)는 상기 유출로(24')와 접속되는 유입로(34)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로(34)와 연통되어 하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상기 제 2 공간(31)을 형성하는 케이스(32)와,
상기 제 2 공간(31)이 닫히도록 상기 케이스(32)의 하측에 결합되고, 폐액이 상기 배수관(5)으로 흐르도록 하는 유출구(42')가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32)에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커버(40) 및,
정해진 크기의 타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커버(4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 2 공간(31)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유입로(34)를 통해 상기 제 2 공간(31)내로 유입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상기 하부 커버(40)의 상측에서 받침으로써 폐액이 분리되도록 하는 필터 스크린(50)을 구비하여,
상기 하부 커버(40)를 아래 방향으로 열었을 때 상기 필터 스크린(50)이 상기 케이스(32)로부터 취출되도록 하여 폐액이 분리된 건조 폐기물을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2931A KR101178606B1 (ko) | 2012-06-13 | 2012-06-13 |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62931A KR101178606B1 (ko) | 2012-06-13 | 2012-06-13 |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78606B1 true KR101178606B1 (ko) | 2012-08-30 |
Family
ID=4688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62931A KR101178606B1 (ko) | 2012-06-13 | 2012-06-13 |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78606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4274B1 (ko) * | 2015-10-06 | 2016-01-11 | (주)콘포테크 | 음식물쓰레기 종량 및 감량 처리기의 저장탱크 밀폐장치 |
KR101685306B1 (ko) | 2015-10-20 | 2016-12-09 | 황보기만 | 음식물 슬러지의 건조장치 |
KR102079541B1 (ko) * | 2019-04-04 | 2020-02-20 | 양영애 |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
KR20200117551A (ko) * | 2019-04-04 | 2020-10-14 | 양영애 |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
-
2012
- 2012-06-13 KR KR1020120062931A patent/KR10117860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4274B1 (ko) * | 2015-10-06 | 2016-01-11 | (주)콘포테크 | 음식물쓰레기 종량 및 감량 처리기의 저장탱크 밀폐장치 |
KR101685306B1 (ko) | 2015-10-20 | 2016-12-09 | 황보기만 | 음식물 슬러지의 건조장치 |
KR102079541B1 (ko) * | 2019-04-04 | 2020-02-20 | 양영애 |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
KR20200117551A (ko) * | 2019-04-04 | 2020-10-14 | 양영애 |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
KR102173987B1 (ko) | 2019-04-04 | 2020-11-04 | (주)젠풀코리아 | 음식물 분쇄처리장치용 감량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1571B1 (ko) |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원 집중처리 자원화 시스템 | |
KR101178606B1 (ko) | 음식물 쓰레기의 분쇄 및 건조 폐기물 상태로 취출이 가능한 일체형 디스포저 | |
KR101718609B1 (ko) |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집중처리기 | |
KR20130025936A (ko) | 개수대에 구비된 음식쓰레기 절단 및 탈수장치 | |
KR101291524B1 (ko) | 분쇄 및 탈수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US5901385A (en) | Dry type toilet system | |
JP3282431B2 (ja) | 生ごみ脱水回収装置及び流しにおける生ごみ回収処理装置 | |
KR20110002603U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
WO2019039622A2 (ko) | 음식물류 폐기물 발생원 집중처리 자원화 시스템 | |
KR102530299B1 (ko) | 합체 구성하는 씽크대 분리형 음식물 자동분쇄처리장치 | |
KR100821554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30112595A (ko) | 외장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180085296A (ko) | 음식물 처리 장치 | |
JP4341850B1 (ja) | 集合住宅用生ごみ処理活用システム | |
KR20140004299U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분쇄 감량기 | |
KR19980043079A (ko) | 씽크대 오물(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 |
KR200356431Y1 (ko) |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184297B1 (ko)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40029353A (ko) | 음식물쓰레기 파쇄 및 압축·탈수-건조장치 | |
KR200285087Y1 (ko) | 공동주택 음식물 쓰레기 분리처리시스템 | |
KR102201037B1 (ko) | 부상식 음식물 쓰레기 배출장치 | |
KR200265952Y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383724Y1 (ko) | 싱크대 수납형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 |
KR20060007993A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366488Y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