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4838A -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4838A
KR20100024838A KR1020080083578A KR20080083578A KR20100024838A KR 20100024838 A KR20100024838 A KR 20100024838A KR 1020080083578 A KR1020080083578 A KR 1020080083578A KR 20080083578 A KR20080083578 A KR 20080083578A KR 20100024838 A KR20100024838 A KR 20100024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urnace
circulation
circulation pipe
door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4838A/ko
Publication of KR20100024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을 제공한다. 개시된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은 건조로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로 고온의 습공기를 방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한 습공기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습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순환배관, 상기 순환배관의 내부 및 상기 건조로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순환팬, 상기 순환배관 내부 및 상기 건조로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히터부, 상기 순환배관 내부를 외부 공기와 연통하거나 격리할 수 있도록 개폐 기능을 갖는 도어, 및 상기 도어, 순환팬, 및 가열히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로에서의 분쇄건조가 마무리되는 때에는 상기 도어와 순환팬 및 가열히터부에 정지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음식물 처리가 끝나고 순환팬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도 상기 순환배관은 외부와 자동으로 격리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악취의 누출이 없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순환팬과 도어 및 가열히터부를 통제하므로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게 된다.
음식물 처리기, 도어, 순환배관, 가열히터부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Circulating type path system of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순환식 유로 시스템에서 순환 배관의 구조 개선을 통해 상기 음식물 처리기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의 악취를 외부와 격리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는 매일 일정량의 잔반(폐기 음식물)이 배출되며, 이러한 잔반은 그대로 가축사료로 이용하거나 단순한 거름망을 통하여 섞여 있는 물기 만을 걸러낸 후 폐기시키고 있다. 이러한 잔반처리 방법은 쓰레기 수량을 증대시키고, 쓰레기를 자주 버리지 않을 경우 악취를 발생시켜 주변의 공기를 오염시키므로 음식물 처리기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을 내부의 교반 스크류로 분쇄한 후에 건조로 내부의 열풍 또는 열판에 의해서 상기의 분쇄된 음식물을 건조하게 된다.
상기의 건조 과정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음식물이 건조로 내부로 투입되면 순환팬이 동작하고 개방된 통로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이 시작된다. 그와 동시에 열풍을 이용하여 투입된 음식물 상으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거나 건조로 하부에 열판을 장착하여 음식물이 담겨져 있는 트레이를 직접 가열하는 방식을 추가할 수 있다. 상기의 건조 과정에서 배출된 악취를 포함한 습공기는 배관을 통해서 외부로 방출된다.
음식물 처리기의 내부로 투입된 음식물의 건조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순환팬은 동작을 멈추게 되는데 이럴경우 상기 개방된 통로를 통해 외부 공기의 유입구 쪽으로 악취의 배출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의 악취 배출을 방지하기 위해서 팬을 강제로 구동하게 되면 필요없는 전력 낭비 요인이 발생한다.
또한, 기존의 전자 밸브를 사용한 악취 배출 시스템을 상기 음식물 처리기에 채용함은 제조 비용 상승과 제품의 내구성 결여 및 유지 보수 비용의 상승을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음식물 처리기 내의 순환 배관상에 자동도어를 장착하여 음식물 처리가 끝나고 난 후에도 악취의 외부 누출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은 건조로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로 고온의 습공기를 방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한 습공기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습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순환배관, 상기 순환배관의 내부 및 상기 건조로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순환팬, 상기 순환배관 내부 및 상기 건조로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히터부, 상기 순환배관 내부를 외부 공기와 연통하거나 격리할 수 있도록 개폐 기능을 갖는 도어 및, 상기 도어, 순환팬, 및 가열히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로로 음식이 투입됨과 동시에 상기 도어와 순환팬 및 가열히터부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건조로에서의 분쇄건조가 마무리되는 때에는 상기 도어와 순환팬 및 가열히터부에 정지 신호를 전달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조로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로 내부에 투입된 음식 물의 수분 포화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분 포화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건조로 상부의 순환팬과 건조로 하부의 가열히터부의 작동 강도를 높이고, 상기 수분 포화도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건조로 상부의 순환팬과 건조로 하부의 가열히터부의 작동 강도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순환배관의 유입구 측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버퍼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버퍼유닛은 상기 건조로를 통과한 습공기의 수분을 흡수, 응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순환 배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버퍼 유닛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탈취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 처리가 끝나고 순환팬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에도 상기 순환배관은 자동도어에 의해 외부와 자동으로 격리된 상태로 유지되므로 악취의 누출이 없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게 된다. 또한, 탈취 필터를 통과한 습공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다시 순환배관을 통해 재순환하므로 미세한 악취의 배출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상기 순환팬과 도어 및 가열히터부를 통제하므로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 개폐식 도어, 순환팬, 및 가열히터부 등과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100)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유입홀(102)을 구비한 몸체(101), 몸체(10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랍형 하우징(110), 및 몸체(101) 내부에서 습공기를 순환하게 하는 순환배관(120,150)을 구비한다.
상기 몸체(101)의 내부에는 지면과 평행한 제1 격벽(104)과 지면과 수직한 방향의 제2 격벽(106)이 설치된다. 제1 격벽(104)은 몸체(101) 내부를 상부(107), 하부로 나누게 된다. 상부(107)에는 제1 순환배관(120)이 배치된다. 제1 순환배관(120)은 제1격벽(104)에 형성된 홀(104a)을 통해 몸체(101)의 하부 측으로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하부에는 몸체(101)로부터 착탈 가능한 서랍형 하우징(110)이 배치된다. 서랍형 하우징(110)에는 음식물 보관 용기(112)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2격벽(106)은 상기의 하부 공간을 서랍형 하우징(110)이 배치된 공 간(108,이하 '건조로'로 칭한다)과 제2 순환배관(150)이 배치되는 공간(109)으로 분리한다. 제2 순환배관(150)은 제1 격벽(104)에 형성된 관통홀(104b)을 통해서 제1 순환배관(120)과 연결된다.
상기 제1 순환배관(120)에는 자동개폐장치(130)가 장착되어 외부 공기를 차단 또는 유입할 수 있게 한다. 외부 공기의 원활한 유입을 위하여 몸체(101)에 형성된 유입홀(102) 인근에 자동개폐장치(13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개폐장치(130)는 도어(132) 및 구동부(134)로 구성되고, 구동부(134)는 제어부(1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도어(132)를 자동으로 개폐한다.
제1 순환배관(120)이 제1 격벽(104)에 연결되는 일 측단에는 토출구(105)가 형성이 되고, 토출구(105) 측에 제1송풍팬(128)이 장착된다. 제1송풍팬(128)은 제1모터(129)에 의해 구동된다. 제1송풍팬(128)으로부터 제1 순환배관(120) 내부로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제1 가열히터(125)가 장착된다. 상기 자동개폐장치(130)로부터 제1 순환배관(120)의 내부를 따라 토출구(105) 측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제2 송풍팬(122)이 장착된다. 제2 송풍팬(122)은 제2 모터(123)에 의해 구동된다.
제2 순환배관(150)은 제2격벽(106)에 형성된 홀(106a)을 통해 몸체(101)의 건조로(108) 측으로부터의 습공기를 흡입한다. 즉, 음식물 보관 용기(112)에서 건조시에 발생하는 악취입자가 섞여있는 습한 공기를 받아들여 후속 단계를 진행한다.
상기 제2 순환배관(150)이 제2 격벽(106)에 연결되는 일 측단에는 유입구(151)가 형성이 되고, 유입구(151)로부터 제2 순환배관(150)의 내부를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곳에 차례로 버퍼유닛(154), 건조유닛(160), 및 탈취유닛(170)이 배치된다. 버퍼유닛(154)은 상기 건조로(108)를 통과한 습공기의 수분을 흡수, 응축하게 된다. 따라서, 악취입자가 섞여있는 습한 공기의 습도를 낮춰주며 온도를 저하시키는 기능을 한다. 버퍼유닛(154)에는 냉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핀 형태의 형상으로 냉각구조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건조유닛(160)은 버퍼유닛(154)을 통과한 습공기의 2차 제습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버퍼유닛(154)과 건조유닛(160) 사이에는 제1 습도감지센서(155)가 장착될 수 있다. 제1 습도감지센서(155)는 상기 버퍼유닛(154)을 통과한 습공기의 수분 포화도가 최초에 설정한 기준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 온도 차이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신호를 받아 수분 포화도를 원하는 목표에 다다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탈취유닛(170)은 내부에 악취 입자를 산화시키고 체류시간 및 접촉 면적을 확대하는 필터부를 구비하여 상기 음식물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탈취유닛(170)은 AC 필터부, 촉매 필터부, 상기 촉매 필터부로부터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공기 배출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형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가열판(140)이 배치된다. 가열판(140)은 음식물 저장용기(112)를 직접 가열하도록 고안될 수 있고, 별도의 회전 구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면서 저장용기(112)에 담긴 음식물을 고르게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1㎏을 처리하고 나면 200~300g만 남게 된다. 이때 줄어드는 700~800g 은 대부분 수분과 악취 가스이다. 이 중 상대적으로 수분(수증기)의 양이 악취성분에 비하여 월등히 많다. 건조로(100)는 별도의 분쇄스크류를 구비하는 교반장치가 구비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음식믈의 수분 제거 및 교반 작업을 수행하게 한다.
건조로(108) 내의 상측단 즉, 제1 격벽(104)의 하단부에는 제2 습도감지센서(145)가 장착된다. 제2 습도감지센서(145)는 상기 음식물 보관 용기(112)가 위치하는 건조로(108)의 수분 포화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80)에 그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전송된 신호를 받아 최초 제어부(180)에 설정된 기준치에 미치지 못할 경우에는 송풍팬(122,128), 가열판(140)의 작동을 조절한다.
즉, 감지센서(145)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180)는 수분 포화도가 제어부(180)에 미리 설정된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건조로(108) 상부의 순환팬(128)과 건조로(108) 하부의 가열히터부(140)의 작동 강도를 높이고, 수분 포화도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순환팬(128)과 가열히터부(140)의 작동 강도를 줄임으로써 상황에 맞게 조절한다.
이하, 다시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환식 유로 시스템을 구비한 음식물 처리기(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몸체(101) 내부의 서랍형 하우징(110)에 음식물을 투입한다. 사용자는 미도시된 작동 버튼을 누르게 되면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작동과 동시에 제어부(180)는 모터(123,129,134)를 구동하여 송풍팬(122,128), 개페도어(132)을 작동시키고, 가열장치(125,140,160)를 구동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습도감지센 서(145,155)를 통해 습공기의 습도치를 실시간으로 입력받는다.
먼저, 제어부(180)는 모터(134)를 구동하여 도어(132)를 개방하고 외부의 공기는 유입홀(102)을 통해 상기 제1 순환배관(12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의 유입된 공기는 제1가열히터(125)에서 먼저 가열된 후 제2송풍팬(128)에 의해 건조로(108)로 토출된다. 건조로(108)로 토출된 고온의 습공기는 서랍형 하우징(110)에 투입된 음식물을 건조하게 한다
건조로(108)에서 음식물의 건조 작업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상부에 장착된 제2 습도감지센서(145)는 수시로 수분포화도를 체크하게 되는데, 체크된 수치를 제어부(180)에 전기적으로 송부한다. 제어부(180)는 저장된 기준 습도치와 제2 습도감지센서(145)에서 보내온 수치를 비교해서 제2송풍팬(128) 및 가열판(140)의 작동을 조절한다.
건조로(108)에서 발생한 악취를 포함하고 있는 습공기는 유입구(151)를 통해 제2 순환배관(150) 내부로 공급된다. 습공기는 버퍼유닛(154), 건조유닛(160), 및 탈취유닛(170)을 거쳐 다시 제1 순환배관(120) 내부로 재공급된다.
도어(132)는 건조로(108)에서 음식물에 대한 분쇄, 건조 작업이 계속되고 있는 중에는 계속 개방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 상태에서 제1 송풍팬(122)은 연속 구동하고 있으므로 제2 순환배관(150)으로부터 오는 습공기가 도어(132)를 통해 음식물 처리기(100)의 외부로 유출될 가능성은 없다. 제어부(180)는 도어(132), 제1 송풍팬(122) 및 가열히터(125)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므로 건조 과정이 진행되는 중에는 제1 순환배관(120)을 통해서 계속적으로 습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음식물의 건조가 완료되고 난 후에 서랍식 하우징(110)을 제거하게 되는 과정에서 제어부(180)는 자동으로 작동을 멈추도록 제어한다. 즉, 개폐장치(130)를 제어하여 도어(132)가 제1 순환배관(120)의 개방홀(126)을 덮는 위치(도면부호 135 참조)에 올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건조로(108) 내에서 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에 도어(132)가 제1 순환배관(120)을 음식물 처리기(100) 외부로부터 폐쇄하는 구조를 만들게 되므로 음식물 처리기(100)가 미작동중일 경우에는 건조로(108) 내의 악취가 외부로 방출될 가능성을 미연에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탈취 필터(170)를 통과한 습공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다시 순환배관(120,150)을 통해 재순환하므로 미세한 악취의 배출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 의해 내부 장치들을 통제하므로 소비전력 측면에서 유리한 효과가 있다.
한편으로, 구조적으로 간단한 도어개폐장치(130)를 상기 음식물 처리기(100)에 채용함으로써 제조 비용 및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이는 반면 제품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의 구성도, 및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어부, 개폐식 도어, 순환팬, 및 가열히터부 등과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음식물 처리기 101 : 몸체
102 : 유입홀 104 : 제1 격벽
106: 제2 격벽 108 : 건조로
110 : 서랍식 하우징 112 : 음식물 저장 용기
120 : 제1 순환배관 122 : 제1 송풍팬
125 : 가열히터 130: 개폐 장치
132 : 도어도어 140 : 가열판
145 : 제2 습도감지센서 150 : 제2 순환배관
154 : 버퍼유닛 155 : 제2 습도감지센서
160 : 건조유닛 170 : 탈취유닛
180 : 제어부

Claims (5)

  1. 투입된 음식물을 분쇄 또는 건조 처리하기 위한 건조로와 상기 건조로 주위에 배치되며 상기 건조로 내부로 고온의 공기를 공급하는 순환배관을 갖춘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로 고온의 공기를 방출하는 토출구와 상기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한 습공기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상기 습공기를 흡입하는 유입구를 구비하는 순환배관;
    상기 순환배관의 내부 및 상기 건조로 상부에 설치되어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순환팬;
    상기 순환배관 내부 및 상기 건조로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히터부;
    상기 순환배관이 외부와 연통되거나 격리될 수 있도록 상기 순환배관의 경로상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 도어 및;
    상기 도어, 순환팬, 및 가열히터부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의 미작동시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조로로 음식이 투입됨과 동시에 상기 도어와 순환팬 및 가열히터부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건조로에서의 분쇄건조가 마무리되는 때에는 상기 도어와 순환팬 및 가열히터부에 정지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로 내부에 투입된 음식물의 수분 포화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받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분 포화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 상기 건조로 상부의 순환팬과 건조로 하부의 가열히터부의 작동 강도를 높이고, 상기 수분 포화도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 상기 건조로 상부의 순환팬과 건조로 하부의 가열히터부의 작동 강도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4. 제 2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배관의 유입구 측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하는 버퍼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버퍼유닛은 상기 건조로를 통과한 습공기의 수분을 흡수, 응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 배관 내에 배치되며 상기 버퍼 유닛으로부터 상기 토출구 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탈취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KR1020080083578A 2008-08-26 2008-08-26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KR20100024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78A KR20100024838A (ko) 2008-08-26 2008-08-26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578A KR20100024838A (ko) 2008-08-26 2008-08-26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838A true KR20100024838A (ko) 2010-03-08

Family

ID=4217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578A KR20100024838A (ko) 2008-08-26 2008-08-26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483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732A (ko) * 2015-01-02 2016-07-12 이태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냄새제거장치
KR20200097033A (ko) * 2019-02-07 2020-08-18 김순봉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732A (ko) * 2015-01-02 2016-07-12 이태건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냄새제거장치
KR20200097033A (ko) * 2019-02-07 2020-08-18 김순봉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US20190137112A1 (en) Household cooking appliance
KR2006008931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WO2008082228A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1072497A (ja) 洗濯乾燥機および乾燥機
KR20100024838A (ko) 음식물 처리기의 순환식 유로 시스템
KR20060004601A (ko)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KR200383472Y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060314B1 (ko) 마이크로파 가열수단과 온풍 가열수단을 겸하여 수용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952891B2 (ja) 生ごみ処理機
KR100703952B1 (ko) 감압식열풍건조기
KR1018828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의 보조 열풍 발생구조
KR102200979B1 (ko) 이오나이저를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
KR20100025778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JP4252437B2 (ja) 生ごみ処理機
KR200356444Y1 (ko)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KR20090024414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015137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4147644B2 (ja) 厨芥処理機
KR20200126508A (ko) 의류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복합 건조 처리 장치
KR20100119025A (ko) 음식물 처리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2320944A (ja) 厨芥処理機
JP4252401B2 (ja) 生ごみ処理機
KR20060120356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과열방지장치
CN116949742A (zh) 用于衣物处理设备的控制方法、控制器和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