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36108A -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 Google Patents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36108A
KR20190036108A KR1020170124947A KR20170124947A KR20190036108A KR 20190036108 A KR20190036108 A KR 20190036108A KR 1020170124947 A KR1020170124947 A KR 1020170124947A KR 20170124947 A KR20170124947 A KR 20170124947A KR 20190036108 A KR20190036108 A KR 20190036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air inlet
flow rate
rate control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덕남
Original Assignee
홍덕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덕남 filed Critical 홍덕남
Priority to KR1020170124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36108A/ko
Publication of KR2019003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간에 설치되는 악취 감지 센서와, 상기 처리 공간과 연결되는 내부 공기 유입구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 유입구와, 상기 내부 공기 유입구와 외부 공기 유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상기 내부 공기 유입구와 외부 공기 유입구가 각각 연결되며, 플라즈마 상태에서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 발생부와, 상기 오존 발생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반응 공간부와, 상기 반응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의 오존 농도을 측정하는 오존 감지 센서와, 상기 반응 공간부와 연결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출 유량 제어 팬과, 상기 배출 유량 제어 팬에 연동해서 작동되도록 상기 반응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 날개와,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오존 제거를 위한 필터부와, 상기 악취 감지 센서를 통해서 상기 유량 제어 밸브, 배출 유량 제어 팬 및 오존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apparatus of food waste teating with eliminating a bad ga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는 수집, 운반된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하여 사용, 또는 매립하는 건조방식과, 퇴비화 방식으로 파쇄, 이물질 선별, 탈수 또는 수분조절제 혼합, 가열, 부숙, 등의 공정을 거쳐 퇴비로 가공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의하면,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고약한 악취에 대한 처리 과정이 없어서, 사용자에게 그러한 악취로 인한 불편함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등록특허 제 10-0993347호(등록일자: 2010.11.03., 발명의 명칭: 음식물쓰레기처리기에 구비되는 제습 및 탈취장치), 등록실용신안 제 20-0308537호(등록일자: 2003.03.11, 고안의 명칭: 음식물쓰레기처리기의 악취유출방지구조) 등이다.
또한, 공개번호 제10-2016-0097481호에서는 플라즈마 발생기를 이용한 악취 제거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위 특허문헌들에 의해서도, 악취가 사용자가 만족할만큼 제대로 처리되지 못하여 왔고, 그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간에 설치되는 악취 감지 센서와, 상기 처리 공간과 연결되는 내부 공기 유입구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 유입구와, 상기 내부 공기 유입구와 외부 공기 유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상기 내부 공기 유입구와 외부 공기 유입구가 각각 연결되며, 플라즈마 상태에서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 발생부와, 상기 오존 발생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반응 공간부와, 상기 반응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의 오존 농도을 측정하는 오존 감지 센서와, 상기 반응 공간부와 연결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출 유량 제어 팬과, 상기 배출 유량 제어 팬에 연동해서 작동되도록 상기 반응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 날개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오존 제거를 위한 필터부와, 상기 악취 감지 센서를 통해서 상기 유량 제어 밸브, 배출 유량 제어 팬 및 오존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에 악취 제거용 미생물 투입시키는 악취 제거용 미생물 투입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미생물 투입부는 상기 악취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 발생부를 통해서 악취를 제거시키되, 외부 공기 및 내부 공기의 유입량을 제어부에서 조절하여 악취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어부를 통하여 미생물 투입부처리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하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제거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는 본체(10), 악취 감지 센서(20), 내부 공기 유입구(30), 외부 공기 유입구(40), 유량 제어 밸브(32, 42), 오존 발생부(50), 반응 공간부(60), 배출구(70), 필터부(74) 및 제어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기 위한 교반 날개(12)가 구동 모터를 통해서 회전되면서, 가열 수단을 통한 건조 방식이나 미생물에 의한 처리 방식 등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악취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악취로 인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의 설치 및 유지 보수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것이 악취 제거 장치이며, 본 발명에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상측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서 발생된 악취를 흡입시키고, 이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고, 내부 공기 유입구(30)를 통해서 배출되면서 악취가 제거된다.
이러한 본체(10)의 내부에는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간의 악취 농도를 감지하는 악취 감지 센서(12)가 설치된다.
이러한 악취 감지 센서(12)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간에서 발생된 악취의 원인이 되는 기체의 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80)측으로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신호에 의해서 제어부는 내부 공기 유입구(30)에 설치되는 유량 제어 밸브(32)를 통해서 처리하고자 하는 내부 공기를 흡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내부 공기 유입구(30)를 통해서 유입되는 공기는 오존 발생부(50)로 유입되고, 상기 오존 발생부(50)에서는 고온의 플라즈마 상태에서 오존을 생성시키는 과정에서 악취를 제거하게 되고, 오존 발생부(50)에서 제거되지 못한 악취 원인기체는 반응 공간부(60)에서 제거된다.
이러한 반응 공간부(60)에서 처리가 완료는 공기는 배출구(70)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배출구(70)에는 배출 유량 제어 팬(72) 및 배오존 제거를 위한 필터부(74)가 설치된다.
이러한 배출 유량 제어 팬(72)는 단순히 배출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것뿐만아니라 반응 공간부(60) 내부에서 오존을 통한 악취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회전 날개(73)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회전 날개(73)는 팬 형태로 설치되는 배출 유량 제어 팬의 구동축에서 연장형성되며, 이러한 회전 날개(73)를 통해서 반응 공간부 내부에서 악취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부(74)는 불필요한 잉여 오존(배오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탄소 탈취 블럭을 이용하여 필터부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음식물 처리 공간에서 발생된 악취 가스의 농도가 심한 경우에는 플라즈마를 통한 오존 발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서는 오존 발생부(50)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있는 외부 공기 유입구(40)가 설치되고, 상기 외부 공기 유입구(40)에는 유량 제어 밸브(42)가 설치된다.
이러한 유량 제어 밸브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어부에 의해서 제어되면, 구체적으로는, 상기 악취 감지 센서를 통해서 악취 농도를 감지하여 제어부는 상기 유량 제어 밸브 및 배출 유량 제어 팬 및 오존 발생부를 제어하여 악취 제거가 효율적으로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오존 발생부를 통해서 완전히 내부 악취가 제거되기 힘든 경우를 대비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에 악취 제거용 미생물 투입시키는 악취 제거용 미생물 투입부(90)가 더 포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는 악취 제거용 미생물 투입부(90)를 제어하여 되고, 배출되는 처리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미생물을 처리수에 투입시켜서 악취를 제거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악취 제거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세히 살펴보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악취 제거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 제거 장치는 내부 공기 유입구(30)를 통해서 유입되는 내부 공기와 외부 공기 유입구(40)를 통해서 유입되는 외부 공기는 오존 발생부(50)를 거치면서 플라즈마 상태에서 생성된 오존과 반응하여 1차 제거되고, 1차 반응이 완료된 공기는 일정 크기 이상의 공간이 확보된 반응 공간부(60)로 배출되어 2차 반응을 통해서 완전히 악취 가스를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공간 반응부(60)에는 오존의 생성량을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즉, 오존 감지 센서(62)가 반응 공간부(60) 내부에 설치되어 오존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오존이 악취를 처리할 수 있도록 처리되는지 확인하게 된다.
물론, 과도한 오존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앞서 살펴본 외부 공기 유입구에 설치되는 유량 제어 밸브를 폐쇄하여 외부 공기 유입을 차단하여 오존 발생부에서 생선되는 오존량이 감소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서 악취 제거가 완료되면, 제어부는 배출 유량 제어 팬을 제어하여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악취 제거 과정에서 악취 농도가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앞서 살ㅍ본 미생물 투입부를 통해서 처리수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미생물을 통하여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본체
12: 교반 날개
14: 처리수 배출구
20: 악취 감지 센서
30: 내부 공기 유입구
32: 유량 제어 밸브
40: 외부 공기 유입구
42: 유량 제어 밸브
50: 오존 발생부
60: 반응 공간부
62: 오존 감지 센서
70: 배출구
72: 배출 유량 제어 팬
73: 회전 날개
74: 필터부
80: 제어부
90: 미생물 투입부

Claims (2)

  1.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간에 설치되는 악취 감지 센서와;
    상기 처리 공간과 연결되는 내부 공기 유입구와;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공기 유입구와;
    상기 내부 공기 유입구와 외부 공기 유입구에 각각 설치되는 유량 제어 밸브와;
    상기 내부 공기 유입구와 외부 공기 유입구가 각각 연결되며, 플라즈마 상태에서 오존을 생성시키는 오존 발생부와;
    상기 오존 발생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반응 공간부와;
    상기 반응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의 오존 농도을 측정하는 오존 감지 센서와;
    상기 반응 공간부와 연결되는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출 유량 제어 팬과;
    상기 배출 유량 제어 팬에 연동해서 작동되도록 상기 반응 공간부 내부에 설치되는 회전 날개와;
    상기 배출구에 설치되는 배오존 제거를 위한 필터부와;
    상기 악취 감지 센서를 통해서 상기 유량 제어 밸브, 배출 유량 제어 팬 및 오존 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 공간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에 악취 제거용 미생물 투입시키는 악취 제거용 미생물 투입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미생물 투입부는 상기 악취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서 상기 제어부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20170124947A 2017-09-27 2017-09-27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190036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947A KR20190036108A (ko) 2017-09-27 2017-09-27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947A KR20190036108A (ko) 2017-09-27 2017-09-27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108A true KR20190036108A (ko) 2019-04-04

Family

ID=66105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947A KR20190036108A (ko) 2017-09-27 2017-09-27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3610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889B1 (ko) * 2020-05-11 2020-11-04 (주)태림이엔티 자외선 배오존설비를 활용한 간접 플라즈마방식의 악취저감장치
KR102253956B1 (ko) * 2020-08-13 2021-05-18 황성열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2283732B1 (ko) * 2021-04-02 2021-07-30 배도춘 악취 제거용 플라즈마 발생 유닛, 플라즈마 발생 모듈을 포함한 악취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계장 악취 제거 장치
WO2024063256A1 (ko) * 2022-09-20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3889B1 (ko) * 2020-05-11 2020-11-04 (주)태림이엔티 자외선 배오존설비를 활용한 간접 플라즈마방식의 악취저감장치
KR102253956B1 (ko) * 2020-08-13 2021-05-18 황성열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2283732B1 (ko) * 2021-04-02 2021-07-30 배도춘 악취 제거용 플라즈마 발생 유닛, 플라즈마 발생 모듈을 포함한 악취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양계장 악취 제거 장치
WO2024063256A1 (ko) * 2022-09-20 202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36108A (ko)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09957909B (zh) 用洗衣机对衣物除菌的方法及可实施该方法的洗衣机
KR20170138557A (ko) 오존 살균 세탁기 및 방법
KR201301071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43045A (ko) 변기 장치
JP2007006956A (ja) 除菌及び脱臭機能を備えた空気清浄機
JP2003311239A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0859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살균 및 소취장치
KR102014708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01239239A (ja) 脱臭装置、生ゴミ処理機および脱臭方法
JP2005131448A (ja) 乾燥装置
WO2009142418A3 (ko) 하이브리드형 악취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포터블 음식물 처리장치와 그의 제어방법
JP5103327B2 (ja) 排オゾンの処理方法及び排オゾン処理システム
JP2003340409A (ja) 生ゴミ処理機
KR20150000884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22682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발효조 내부 수분 조절장치 및 방법
KR102373192B1 (ko) 음식물쓰레기 분해처리시스템
KR20120076195A (ko) 이오나이저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JP2008020080A (ja) 乾燥処理方法と装置
KR200393351Y1 (ko) 침출수 및 악취 제거를 위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3252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9990016959A (ko) 오존반응통로가 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
JP2005058877A (ja) 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廃棄物処理方法
JPH09215969A (ja) 生ゴミ処理機
KR20230113699A (ko) 음식물처리기의 탈취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