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956B1 -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 Google Patents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956B1
KR102253956B1 KR1020200101781A KR20200101781A KR102253956B1 KR 102253956 B1 KR102253956 B1 KR 102253956B1 KR 1020200101781 A KR1020200101781 A KR 1020200101781A KR 20200101781 A KR20200101781 A KR 20200101781A KR 102253956 B1 KR102253956 B1 KR 102253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food waste
container
dewater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1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성열
Original Assignee
황성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열 filed Critical 황성열
Priority to KR1020200101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27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rigidly mounted in or on tanks or reservoirs
    • B01D35/0276Filtering elements with a vertical rotation or symmetry axis mounted on tanks or reservo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9B3/008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2Fan arrangements for providing forced d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2Biomass, e.g. waste vegetative matter, stra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를 탈수하여 분리된 수분을 배출하면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FOOD WASTE DEHYDRATION AND DRYING EQUIPMENT}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를 탈수하여 분리된 수분을 배출하면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음식점, 식품처리공장 등에서 다량으로 발생되는 음식쓰레기를 쉽게 처리하기 위한 방안과 이로 인한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음식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되고 있다.
음식쓰레기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프레스와 같은 가압장치로 가압하여 음식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줄인 상태로 배출하여 음식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음식물 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에 관한 종래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726976호(등록일자 2017년04월07일)의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건조기'가 공지된 바에 있으며, 이미 공지 된 바에 따라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선행기술은 음식물 쓰레기가 담기는 거름망과 개방형 수용챔버의 구성상, 전기히터에 의한 열전달 및 열손실이 증가하여 건조효율이 저하되고 에너지소비가 가중되어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식쓰레기를 탈수하여 분리된 수분을 배출하면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를 포함하고, 탈수통(500)은 바닥에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531)이 형성되는 돌출부(530)와, 돌출부(530)의 관통홀(531)을 관통하는 회전부재(600)에 결합되는 회전결합부(540)와, 돌출부(530)의 관통홀(531)에 결합되어 폐쇄하는 폐쇄부(550)를 포함하고, 회전부재(600)는 건조통(300)을 관통하여서 탈수통(500)에 연결되는 모터축(610)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고, 관통홀(531)은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532)이 형성되고, 회전결합부(540)는 걸림턱(532)에 걸리는 걸림판(541)과, 걸림판(541)을 관통하여서 모터축(610)에 결합되는 볼트부(542)를 포함하고, 모터축(610)의 단부에는 볼트부(542)가 결합되는 나사탭이 형성되며, 관통홀(531)은 상부에서 내주면에 걸림홈(533)이 형성되고, 폐쇄부(550)는 외측에 걸림홈(533)에 삽입되어서 걸리는 걸림돌기(5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체(100)는 탈수통(50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110)가 구비되고, 회전지지부(110)는 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내향턱(111)과, 내향턱(11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회전베어링(112)을 포함하고, 탈수통(500)은 음식쓰레기가 채워지도록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면서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지지부(110)의 내향턱(111)에 걸리는 외향턱(5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 덮개(200)는 본체(100)를 폐쇄하는 하판(210)과, 하판(210)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상판(220)과, 하판(210) 및 상판(220)의 외측을 마감하는 외측판(230)과, 하판(210) 및 상판(220)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이동하는 악취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덮개격벽(240)을 포함하고, 상부필터부재(800)는 하판(210)에에 형성되어 악취가 유입되는 악취유입구(810)와, 상판(220)이나 외측판(230)에 형성되어 악취가 배출되는 악취배출구(820)와, 악취이동통로에 구비되어 악취유입구(810)에서 악취배출구(820)로 악취를 이동시키는 악취이동팬(830)과, 악취이동통로에 구비되어 이동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악취필터(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를 포함하고, 하부필터부재(900)는 건조통(3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악취가 유입되는 악취유입관(910)과, 악취유입관(910)의 상단을 커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악취의 유입을 허용하는 악취커버(920)와, 악취유입관(910)의 하단이 일측으로 연통되는 필터케이스(930)와, 필터케이스(930)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유입된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배출관(940)과, 필터케이스(930)에 내장된 상태로 악취를 이동시키는 악취이동팬(950)과, 필터케이스(930)에 내장된 상태로 이동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악취필터(9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악취커버(920)는 이물질이 외부로 흘러내리도록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면서 악취유입관(91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는 커버판(921)과, 커버판(921)의 하부에 형성되어서 악취유입관(910)의 상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커버다리(9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와, 탈수통(50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활성화시키는 건조순환부(1000)를 포함하고, 덮개(200)는 본체(100)를 폐쇄하는 하판(210)과, 하판(210)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상판(220)과, 하판(210) 및 상판(220)의 외측을 마감하는 외측판(230)과, 하판(210) 및 상판(220)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이동하는 악취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덮개격벽(240)을 포함하고,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의 상판(220)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1100)과, 공기유입관(1100)에 구비된 상태로 유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공기역류방지부(1200)와, 공기역류방지부(1200)의 하부에서 덮개(200)의 하판(210)에 연결되어 탈수통(500)의 공기가 회수되는 회수관(1300)과, 덮개(200)의 하판(210)에 형성되면서 회수관(1300)에 연결되는 공기확산관(1400)과, 공기확산관(1400)에 구비된 상태로 공기유입관(11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확산관(1400)에서 확산시켜서 탈수통(500)으로 공급하고, 탈수통(500)의 공기를 회수관(1300)으로 회수하여서 다시 공기확산관(1400)으로 공급하여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1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와, 탈수통(50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활성화시키는 건조순환부(1000)를 포함하고,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를 관통하는 회전축(1600)과, 회전축(16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음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700)와, 덮개(200)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와, 덮개(200)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축(16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축승강안내부(1900)를 포함하고, 회전축(1600)은 하부에서 중간까지 나사산(1610)이 형성되고, 중간에서 상부까지 평탄한 외측안내면(1620)이 형성되고, 축회전부(1800)는 회전축(1600)이 관통되는 안내홀(1811)이 형성되고 외측안내면(1620)이 접촉되어서 안내되는 내측안내면(1812)이 안내홀(1811)에 형성되는 피동베벨기어(1810)와, 피동베벨기어(1810)에 교합되는 구동베벨기어(1820)와, 구동베벨기어(18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830)를 포함하고, 축승강안내부(1900)는 회전축(1600)의 나사산(1610)이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와, 탈수통(50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활성화시키는 건조순환부(1000)를 포함하고,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를 관통하고 나사산(1610)이 형성되는 회전축(1600)과, 회전축(16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음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7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된 상태로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와, 덮개(200)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축(16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축승강안내부(19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2000)를 포함하고, 축승강안내부(1900)는 회전축(1600)의 나사산(1610)이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고, 승강가이드(2000)는 덮개(200)에 일단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2100)와, 가이드샤프트(2100)가 관통된 상태로 축회전부(1800)가 설치되는 가이드판(2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와, 탈수통(50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활성화시키는 건조순환부(1000)를 포함하고,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를 관통하는 회전축(1600)과, 회전축(16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음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7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된 상태로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2000)와, 승강가이드(200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000)를 포함하고, 승강가이드(2000)는 덮개(200)에 일단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2100)와, 가이드샤프트(2100)가 관통된 상태로 축회전부(1800)가 설치되는 가이드판(2200)을 포함하고, 승강구동부(3000)는 승강가이드(2000)의 가이드판(2200)에 연결되는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덮개(200)에 구비된 상태로 탈수통(500)의 내부에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50)와, 덮개(200)에 구비된 상태로 탈수통(500)의 내부에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60)와, 습도센서(250)에서 감지되는 감지습도 및 온도센서(260)에서 감지되는 감지온도를 근거로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를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포함하고, 제어부(270)는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71)와, 습도센서(250)에서 감지되는 감지습도를 인식하면서 및 온도센서(260)에서 감지되는 감지온도를 인식하는 온습도인식부(272)와, 최저기준습도, 중간기준습도, 최고기준습도, 최저기준온도, 최고기준온도를 설정하는 기준온습도설정부(273)와, 인식된 감지습도를 기준습도들에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인식된 감지온도를 기준온도들에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온습도판단부(274)와,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습도가 중간기준습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건조순환부(1000)가 작동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고,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온도가 최저기준온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가 작동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면서, 감지온도가 최고기준온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를 정지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고,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습도가 최고기준습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부필터부재(800) 및 하부필터부재(900)가 작동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고,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습도가 최저기준습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가 정지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는 조작부(2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를 탈수하여 분리된 수분을 배출하면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어서, 건조효율이 상승되고 에너지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탈수통에 적용되는 손잡이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습도센서, 온도센서, 제어부를 보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7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조순환부의 일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도 7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조순환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건조순환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하부에 칸막이(101)를 형성하여 내부공간이 상하로 분리하므로 칸막이(101)의 상부에 건조통(300)이 내장되고 칸막이(101)의 하부에 저장통(700)과 탈수부재(600)와 상부필터부재(800)가 구비된다. 이러한 칸막이(101)에 의해 히터부재(400)의 열기가 저장통(700)과 탈수부재(600)와 상부필터부재(800)에 전달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를 밀거나 끌어서 이동시키도록 본체(100)의 하부에 바퀴가 구비된다.
또한, 본체(100)는 탈수통(50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110)가 구비된다.
회전지지부(110)는 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내향턱(111)과, 내향턱(11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회전베어링(112)을 포함한다.
내향턱(111)의 상부에는 탈수통(500)의 상단이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회전베어링(112)들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므로 탈수통(500)의 외주면을 고르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탈수통(500)의 외측이 회전지지부(110)에 지지되는 상태로 회전되므로 탈수통(500)이 회전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진동발생이 억제되어 탈수통(500)의 안정적인 회전이 보장될 수 있다. 즉, 탈수통(500)이 고속으로 회전되어도 회전되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00)의 일측에는 덮개(200)의 일측에 연결된 힌지(120)가 형성되고, 본체(100)의 타측에는 덮개(200)의 타측에 잠금되는 클램프(130)가 형성된다. 즉, 클램프(130)가 개방되면 덮개(200)가 힌지(120)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 및 덮개(200)에는 서로 맞물리는 요철이 형성되고 패킹이 설치되므로, 덮개(200)가 본체(100)에 결합되면 패킹이 가압되므로 본체(100) 및 덮개(200)의 사이를 통해 음식쓰레기의 악취가 새어나오지 않는다.
건조통(30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제조되면서 상단이 본체(100)의 상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므로, 상단을 통해 악취 등이 유실됨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건조통(300) 및 본체(100)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채워져서 히터부재(400)의 열이 본체(100)의 외부로 유실됨을 방지할 수 있다.
덮개(200)가 본체(100)를 폐쇄하면 음식쓰레기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그리고, 덮개(200)는 본체(100)를 폐쇄하는 하판(210)과, 하판(210)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상판(220)과, 하판(210) 및 상판(220)의 외측을 마감하는 외측판(230)과, 하판(210) 및 상판(220)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이동하는 악취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덮개격벽(240)을 포함한다.
덮개격벽(240)은 하판(210) 및 상판(220)의 사이를 분할하기 위해 수직되게 형성되거나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건조통(300)은 하부에서 일측에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된 수분이 모이도록 오목하게 구배(310)가 형성된다.
히터부재(400)는 건조통(300)을 감싸는 상태로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열을 발산하는 열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열선에서 열이 발생됨에 따라 건조통(300)이 가열될 수 있다.
탈수통(500)은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제조되고,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지지부(110)의 내향턱(111)에 걸리는 외향턱(510)이 형성되고, 음식쓰레기의 수분이 탈수되는 탈수홀(520)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탈수통(500)은 바닥에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531)이 형성되는 돌출부(530)와, 돌출부(530)의 관통홀(531)을 관통하는 회전부재(600)에 결합되는 회전결합부(540)와, 돌출부(530)의 관통홀(531)에 결합되어 폐쇄하는 폐쇄부(550)를 포함한다.
돌출부(530)는 탈수통(500)의 바닥에 상부로 볼록하므로 음식쓰레기의 수분이 넘어서 관통홀(531)로 유입되지 못한다.
관통홀(531)은 회전부재(600)의 모터축(610)이 관통되고,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532)이 형성되고, 상부에서 내주면에 걸림홈(533)이 형성된다.
회전결합부(540)는 걸림턱(532)에 걸리는 걸림판(541)과, 걸림판(541)을 관통하여서 모터축(610)에 결합되는 볼트부(542)를 포함한다.
폐쇄부(550)는 외측에 걸림홈(533)에 삽입되어서 걸리는 걸림돌기(551)가 형성된다. 이러한, 폐쇄부(550)는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고무재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탈수통(500)은 양단이 양측에 걸려서 고정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손잡이(56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560)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휘어지고, 양단이 외측으로 절곡되어 탈수통(500)의 탈수홀(520)들에 삽입되어서 걸리는 샤프트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잡이(560)를 이용하여 탈수통(500)에 손을 대지 않으면서 건조통(300)에 수용시킬 수 있다. 더욱이, 손잡이(560)를 이용하면 뜨거워진 탈수통(500)을 건조통(300)에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600)는 건조통(300)을 관통하여서 탈수통(500)에 연결되는 모터축(610)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된다.
모터축(610)의 단부에는 나사탭(611)이 형성된다.
따라서, 회전부재(600)에 의해 모터축(610)이 연결된 탈수통(500)이 회전되므로 탈수통(500)에 채워진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어 탈수통(500)의 외측으로 배출되어서 건조통(300)에 모여진다.
저장통(700)은 건조통(300)의 구배(310)에 저장호스(710)가 연통되어 건조통(300)에서 배출되는 수분이 저장된다.
상부필터부재(800)는 하판(210)에에 형성되어 악취가 유입되는 악취유입구(810)와, 상판(220)이나 외측판(230)에 형성되어 악취가 배출되는 악취배출구(820)와, 악취이동통로에 구비되어 악취유입구(810)에서 악취배출구(820)로 악취를 이동시키는 악취이동팬(830)과, 악취이동통로에 구비되어 이동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악취필터(840)를 포함한다.
악취유입구(810)에는 음식찌꺼기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스크린(850)이 구비될 수 있다.
악취필터(840)는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수분, 악취, 미생물, 유해물질 등을 여과하여 정화하도록 제습필터, 탈취필터, 항균필터(해파필터) 중에서 선택된 것으로 구성되므로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악취이동팬(830)이 회전되면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악취이동통로로 이동되어서 악취필터(840)를 통해 정화되어서 악취배출구(820)로 배출된다.
하부필터부재(900)는 건조통(3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악취가 유입되는 악취유입관(910)과, 악취유입관(910)의 상단을 커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악취의 유입을 허용하는 악취커버(920)와, 악취유입관(910)의 하단이 일측으로 연통되는 필터케이스(930)와, 필터케이스(930)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유입된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배출관(940)과, 필터케이스(930)에 내장된 상태로 악취를 이동시키는 악취이동팬(950)과, 필터케이스(930)에 내장된 상태로 이동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악취필터(960)를 포함한다.
악취유입관(910)은 전술한 본체(100)의 칸막이(101)를 관통하면서 건조통(300)의 하부를 관통하여 내부로 돌출된다.
악취커버(920)는 이물질이 외부로 흘러내리도록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면서 악취유입관(91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는 커버판(921)과, 커버판(921)의 하부에 형성되어서 악취유입관(910)의 상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커버다리(922)를 포함한다.
따라서, 탈수통(500)에서 배수되는 수분은 악취유입관(910)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건조통(300)의 구배(310)로 이동된다. 이때, 악취이동팬(950)이 회전되면 탈수통(500)에 채워진 음식쓰레기 및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는 커버다리(922)들의 사이를 통과하여서 악취유입관(910)으로 유입되어 악취필터(960)에서 정화된 후에 악취배출관(940)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본 발명은 탈수통(50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활성화시키는 건조순환부(100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의 상판(220)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1100)과, 공기유입관(1100)에 구비된 상태로 유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공기역류방지부(1200)와, 공기역류방지부(1200)의 하부에서 덮개(200)의 하판(210)에 연결되어 탈수통(500)의 공기가 회수되는 회수관(1300)과, 덮개(200)의 하판(210)에 형성되면서 회수관(1300)에 연결되는 공기확산관(1400)과, 공기확산관(1400)에 구비된 상태로 공기유입관(11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확산관(1400)에서 확산시켜서 탈수통(500)으로 공급하고, 탈수통(500)의 공기를 회수관(1300)으로 회수하여서 다시 공기확산관(1400)으로 공급하여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1500)을 포함한다.
공기확산관(1400)의 직경은 공기유입관(1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상협하광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공기역류방지부(120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체크밸브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순환팬(1500)이 회전되면 공기유입관(11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공기확산관(1400)에서 확산되면서 회전되는 상태로 탈수통(500)의 내부공간에 공급되므로 탈수통(500)의 내부공기가 회전되면서 순환될 수 있다. 즉, 공기가 순환되어서 음식쓰레기에 공급되므로 음식쓰레기의 건조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때, 탈수통(500)의 내부공기가 순환되면서 탈수통(500)의 탈수홀(520)들을 통과하여서 건조통(300)으로도 이동되므로, 건조통(300)의 뜨거운 공기가 탈수통(500)의 다른 탈수홀(520)들을 통과하여서 탈수통(500)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다. 즉, 음식쓰레기의 건조가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덮개(200)에 구비된 상태로 탈수통(500)의 내부에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50)와, 덮개(200)에 구비된 상태로 탈수통(500)의 내부에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60)와, 습도센서(250)에서 감지되는 감지습도 및 온도센서(260)에서 감지되는 감지온도를 근거로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를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포함한다.
제어부(270)는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71)와, 습도센서(250)에서 감지되는 감지습도를 인식하면서 및 온도센서(260)에서 감지되는 감지온도를 인식하는 온습도인식부(272)와, 최저기준습도, 중간기준습도, 최고기준습도, 최저기준온도, 최고기준온도를 설정하는 기준온습도설정부(273)와, 인식된 감지습도를 기준습도들에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인식된 감지온도를 기준온도들에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온습도판단부(274)와,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습도가 중간기준습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건조순환부(1000)가 작동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고,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온도가 최저기준온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가 작동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면서, 감지온도가 최고기준온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를 정지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고,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습도가 최고기준습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부필터부재(800) 및 하부필터부재(900)가 작동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고,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습도가 최저기준습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가 정지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는 조작부(275)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식쓰레기가 채워진 탈수통(500)을 건조통(300)에 수용시킨 후에 본체(100)에 덮개(200)를 덮어서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어부(270)의 작동부(271)를 작동시켜서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가 작동되게 하여 음식쓰레기의 탈수시키면서 건조시킬 수 있다. 물론, 건조가 완료된 후에는 작동부(271)를 정지시켜서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가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음식쓰레기가 채워진 탈수통(500)을 건조통(300)에 수용시킨 후에 본체(100)에 덮개(200)를 덮어서 폐쇄시킨 후에 제어부(270)의 작동부(271)를 작동시키지 않고 그대로 두면, 습도센서(250)가 습도를 감지한다. 여기서, 습도센서(250)에서 감지되는 감지습도가 최저기준습도에 일치되면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가 작동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0)가 폐쇄된 상태이므로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습도가 발생되어 습도센서(250)에서 감지되는 감지습도가 중간기준습도에 일치되면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건조순환부(1000)가 작동된다. 즉, 회전부재(600)에 의해 탈수통(500)이 회전되므로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어 저장통(700)에 저장되고, 작동되는 히터부재(400)의 고온에 의해 음식쓰레기가 건조된다. 아울러, 건조순환부(1000)의 작동에 의해 탈수통(500)의 내부공기가 순환되므로 히터부재(400)의 고온이 음식쓰레기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어서 음식쓰레기의 건조속도가 가속화될 수 있다.
이때, 히터부재(400)의 온도가 상승되어 최고기준온도에 일치하면 히터부재(400)가 정지되어 과열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히터부재(400)가 정지되어 온도가 하강되어 최저기준온도에 일치하면 히터부재(400)가 다시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음식쓰레기가 가열됨에 따라 수분증발이 더욱 가속화되어 습도가 상승됨에 따라 최고기준습도에 일치하면 상부필터부재(800) 및 하부필터부재(900)가 작동되어 탈수통(500)의 내부공기가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에 포함된 악취 및 습기는 상부필터부재(800) 및 하부필터부재(900)에서 필터링되므로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악취 및 습기가 제거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탈수통(500)의 내부공기가 배출되어 습도가 저하되어 감지습도가 최저기준습도에 일치되면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가 정지된다. 즉, 음식쓰레기의 건조가 완료된 것이다.
한편, 제어부(270)는 본체(100)나 덮개(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음식쓰레기의 건조가 진행 중임을 표시하고, 음식쓰레기의 건조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순환부(1000)를 설명한다.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를 관통하는 회전축(1600)과, 회전축(16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음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700)와, 덮개(200)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와, 덮개(200)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축(16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축승강안내부(1900)를 포함한다.
회전축(1600)은 하부에서 중간까지 나사산(1610)이 형성되고, 중간에서 상부까지 평탄한 외측안내면(1620)이 형성된다.
블레이드(1700)는 회전축(1600)의 하부에서 양측이나 사방으로 돌출되어 회전축(1600)과 함께 회전되면 바람을 일으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쓰레기를 교반시킬 수 있다.
축회전부(1800)는 회전축(1600)이 관통되는 안내홀(1811)이 형성되고 외측안내면(1620)이 접촉되어서 안내되는 내측안내면(1812)이 안내홀(1811)에 형성되는 피동베벨기어(1810)와, 피동베벨기어(1810)에 교합되는 구동베벨기어(1820)와, 구동베벨기어(18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830)를 포함한다.
피동베벨기어(1810) 및 구동베벨기어(1820)가 직교되게 교합됨에 따라 구동모터(1830)가 덮개(20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어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축승강안내부(1900)는 회전축(1600)의 나사산(1610)이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피동베벨기어(1810)의 안내홀(1811)을 관통한 회전축(1600)의 안내면(1620)이 안내홀(1811)의 내측안내면(1812)에 접촉된 상태에서, 구동모터(1830)의 구동에 의해 구동베벨기어(1820)가 회전되면 피동베벨기어(1810)가 회전되면, 피동베벨기어(1810)와 함께 회전축(1600)이 회전된다. 이에 의해, 회전축(1600)과 함께 블레이드(1700)가 회전되므로 탈수통(500)의 내부공기가 회전되어서 순환될 수 있다. 그리고, 축승강안내부(1900)에 의해 회전축(1600)이 하강되므로 회전축(1600)과 함께 블레이드(1700)가 회전되어서 탈수통(500)의 하부로 하강된다. 이때, 회전되면서 하강되는 블레이드(1700)가 탈수통(500)에 채워진 음식쓰레기를 교반하므로 음식쓰레기의 건조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순환부(1000)를 설명한다.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를 관통하고 나사산(1610)이 형성되는 회전축(1600)과, 회전축(16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음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7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된 상태로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와, 덮개(200)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축(16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축승강안내부(19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2000)를 포함한다.
회전축(1600)은 전체적으로 나사산(1610)이 형성되고, 블레이드(17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고, 축회전부(1800)는 모터로 구성되고, 축승강안내부(1900)도 전술한 바와 같이 너트로 구성된다.
승강가이드(2000)는 덮개(200)에 일단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2100)와, 가이드샤프트(2100)가 관통된 상태로 축회전부(1800)가 설치되는 가이드판(2200)을 포함한다.
따라서, 축회전부(1800)인 모터가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면 회전축(1600)이 축승강안내부(1900)에서 하강된다. 즉, 블레이드(1700)가 회전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하강된다. 이때, 축회전부(1800)와 함께 가이드판(2200)이 가이드샤프트(2100)를 따라 하강된다. 물론, 축회전부(1800)가 회전축(1600)을 역회전시키면 회전축(1600)이 축승강안내부(1900)에서 상승된다. 즉, 블레이드(1700)가 역회전되어 공기를 역방향으로 순환시키면서 상승된다. 이때, 축회전부(1800)와 함께 가이드판(2200)이 가이드샤프트(2100)를 따라 상승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1700)가 승강되면서 회전되면 공기를 연속적으로 순환시키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조순환부(1000)를 설명한다.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를 관통하는 회전축(1600)과, 회전축(16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음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7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된 상태로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2000)와, 승강가이드(200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000)를 포함한다.
회전축(1600)에는 나사산(1610)이 형성되지 않고, 승강가이드(20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된다.
승강구동부(3000)는 승강가이드(2000)의 가이드판(2200)에 연결되는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따라서, 축회전부(1800)가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면 회전축(1600)과 함께 블레이드(1700)가 회전된다. 이때, 승강구동부(3000)인 실린더가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면 가이드판(2200)과 함께 축회전부(1800)가 가이드샤프트(2100)를 따라 승강되므로 블레이드(1700)도 회전면서 승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를 탈수하여 분리된 수분을 배출하면서 음식쓰레기에 열을 가하여 음식쓰레기를 건조시킬 수 있는 편리함이 있어서, 해당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의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본체 101 : 칸막이
110 : 회전지지부 111 : 내향턱
112 : 회전베어링 120 : 힌지
130 : 클램프 200 : 덮개
210 : 하판 220 : 상판
230 : 외측판 240 : 덮개격벽
250 : 습도센서 260 : 온도센서
270 : 제어부 271 : 작동부
272 : 온습도인식부 273 : 기준온습도설정부
274 : 온습도판단부 275 : 조작부
300 : 건조통 400 : 히터부재
500 : 탈수통 510 : 외향턱
520 : 탈수홀 530 : 돌출부
531 : 관통홀 532 : 걸림턱
533 : 걸림홈 540 : 회전결합부
541 : 걸림판 542 : 볼트부
550 : 폐쇄부 551 : 걸림돌기
600 : 회전부재 610 : 모터축
611 : 나사탭 700 : 저장통
800 : 상부필터부재 810 : 악취유입구
820 : 악취배출구 830 : 악취이동팬
840 : 악취필터 900 : 하부필터부재
910 : 악취유입관 920 : 악취커버
921 : 커버판 922 : 커버다리
930 : 필터케이스 940 : 악취배출관
950 : 악취이동팬 960 : 악취필터
1000 : 건조순환부 1100 : 공기유입관
1200 : 공기역류방지부 1300 : 회수관
1400 : 공기확산관 1500 : 공기순환팬
1600 : 회전축 1620 : 외측안내면
1700 : 블레이드 1800 : 축회전부
1810 : 피동베벨기어 1811 : 안내홀
1812 : 내측안내면 1820 : 구동베벨기어
1830 : 구동모터 1900 : 축승강안내부
2000 : 승강가이드 2100 : 가이드샤프트
2200 : 가이드판 3000 : 승강구동부

Claims (12)

  1.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를 포함하고,
    탈수통(500)은
    바닥에 상부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는 관통홀(531)이 형성되는 돌출부(530)와,
    돌출부(530)의 관통홀(531)을 관통하는 회전부재(600)에 결합되는 회전결합부(540)와,
    돌출부(530)의 관통홀(531)에 결합되어 폐쇄하는 폐쇄부(550)를 포함하고,
    회전부재(600)는 건조통(300)을 관통하여서 탈수통(500)에 연결되는 모터축(610)을 회전시키는 모터로 구성되고,
    관통홀(531)은 하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턱(532)이 형성되고,
    회전결합부(540)는
    걸림턱(532)에 걸리는 걸림판(541)과,
    걸림판(541)을 관통하여서 모터축(610)에 결합되는 볼트부(542)를 포함하고,
    모터축(610)의 단부에는 볼트부(542)가 결합되는 나사탭이 형성되며,
    관통홀(531)은 상부에서 내주면에 걸림홈(533)이 형성되고,
    폐쇄부(550)는 외측에 걸림홈(533)에 삽입되어서 걸리는 걸림돌기(5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100)는 탈수통(50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지지부(110)가 구비되고,
    회전지지부(110)는
    본체(100)의 내부공간에서 상부에 형성되는 내향턱(111)과,
    내향턱(111)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외주면이 지지되는 회전베어링(112)을 포함하고,
    탈수통(500)은 음식쓰레기가 채워지도록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면서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지지부(110)의 내향턱(111)에 걸리는 외향턱(51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200)는
    본체(100)를 폐쇄하는 하판(210)과,
    하판(210)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상판(220)과,
    하판(210) 및 상판(220)의 외측을 마감하는 외측판(230)과,
    하판(210) 및 상판(220)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이동하는 악취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덮개격벽(240)을 포함하고,
    상부필터부재(800)는
    하판(210)에에 형성되어 악취가 유입되는 악취유입구(810)와,
    상판(220)이나 외측판(230)에 형성되어 악취가 배출되는 악취배출구(820)와,
    악취이동통로에 구비되어 악취유입구(810)에서 악취배출구(820)로 악취를 이동시키는 악취이동팬(830)과,
    악취이동통로에 구비되어 이동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악취필터(8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6.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를 포함하고,
    하부필터부재(900)는
    건조통(300)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악취가 유입되는 악취유입관(910)과,
    악취유입관(910)의 상단을 커버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악취의 유입을 허용하는 악취커버(920)와,
    악취유입관(910)의 하단이 일측으로 연통되는 필터케이스(930)와,
    필터케이스(930)의 타측으로 연통되어 유입된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는 악취배출관(940)과,
    필터케이스(930)에 내장된 상태로 악취를 이동시키는 악취이동팬(950)과,
    필터케이스(930)에 내장된 상태로 이동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악취필터(9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악취커버(920)는
    이물질이 외부로 흘러내리도록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면서 악취유입관(910)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는 커버판(921)과,
    커버판(921)의 하부에 형성되어서 악취유입관(910)의 상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커버다리(9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8.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와,
    탈수통(50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활성화시키는 건조순환부(1000)를 포함하고,
    덮개(200)는
    본체(100)를 폐쇄하는 하판(210)과,
    하판(210)에서 상부로 이격되는 상판(220)과,
    하판(210) 및 상판(220)의 외측을 마감하는 외측판(230)과,
    하판(210) 및 상판(220)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이동하는 악취이동통로를 형성하는 덮개격벽(240)을 포함하고,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의 상판(220)에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관(1100)과,
    공기유입관(1100)에 구비된 상태로 유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공기역류방지부(1200)와,
    공기역류방지부(1200)의 하부에서 덮개(200)의 하판(210)에 연결되어 탈수통(500)의 공기가 회수되는 회수관(1300)과,
    덮개(200)의 하판(210)에 형성되면서 회수관(1300)에 연결되는 공기확산관(1400)과,
    공기확산관(1400)에 구비된 상태로 공기유입관(110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확산관(1400)에서 확산시켜서 탈수통(500)으로 공급하고, 탈수통(500)의 공기를 회수관(1300)으로 회수하여서 다시 공기확산관(1400)으로 공급하여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공기순환팬(1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9.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와,
    탈수통(50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활성화시키는 건조순환부(1000)를 포함하고,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를 관통하는 회전축(1600)과,
    회전축(16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음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700)와,
    덮개(200)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와,
    덮개(200)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회전축(16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축승강안내부(1900)를 포함하고,
    회전축(1600)은 하부에서 중간까지 나사산(1610)이 형성되고, 중간에서 상부까지 평탄한 외측안내면(1620)이 형성되고,
    축회전부(1800)는
    회전축(1600)이 관통되는 안내홀(1811)이 형성되고 외측안내면(1620)이 접촉되어서 안내되는 내측안내면(1812)이 안내홀(1811)에 형성되는 피동베벨기어(1810)와,
    피동베벨기어(1810)에 교합되는 구동베벨기어(1820)와,
    구동베벨기어(18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830)를 포함하고,
    축승강안내부(1900)는 회전축(1600)의 나사산(1610)이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10.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와,
    탈수통(50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활성화시키는 건조순환부(1000)를 포함하고,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를 관통하고 나사산(1610)이 형성되는 회전축(1600)과,
    회전축(16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음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7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된 상태로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와,
    덮개(200)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에 결합된 상태로 회전축(16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축승강안내부(19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2000)를 포함하고,
    축승강안내부(1900)는 회전축(1600)의 나사산(1610)이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고,
    승강가이드(2000)는
    덮개(200)에 일단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2100)와,
    가이드샤프트(2100)가 관통된 상태로 축회전부(1800)가 설치되는 가이드판(2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11.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200)와,
    본체(100)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음식쓰레기가 건조되기 위한 건조공간이 상부로 개방되며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건조공간에 전달하는 건조통(300)과,
    건조통(300)에 열을 가하는 히터부재(400)와,
    건조통(300)에 수용된 상태로 음식쓰레기가 채워지고, 건조통(300)에서 제공되는 열을 채워진 음식쓰레기에 전달하며,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건조통(300)으로 배출시키는 탈수통(500)와,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수분이 배출되도록 탈수통(500)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600)와,
    건조통(30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음식쓰레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저장통(700)과,
    탈수통(500)의 음식쓰레기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상부필터부재(800)와,
    건조통(300)으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의 수분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필터링하는 하부필터부재(900)와,
    탈수통(500)의 내부공기를 순환시켜서 음식쓰레기의 건조를 활성화시키는 건조순환부(1000)를 포함하고,
    건조순환부(1000)는
    덮개(200)를 관통하는 회전축(1600)과,
    회전축(1600)의 하부에 형성되어 탈수통(500)의 공기를 순환시키고 음식쓰레기를 교반시키는 블레이드(17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된 상태로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와,
    덮개(200)의 외측에 구비되어 회전축(160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부(1800)의 승강을 안내하는 승강가이드(2000)와,
    승강가이드(2000)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3000)를 포함하고,
    승강가이드(2000)는
    덮개(200)에 일단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2100)와,
    가이드샤프트(2100)가 관통된 상태로 축회전부(1800)가 설치되는 가이드판(2200)을 포함하고,
    승강구동부(3000)는 승강가이드(2000)의 가이드판(2200)에 연결되는 실린더축을 신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12.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덮개(200)에 구비된 상태로 탈수통(500)의 내부에서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250)와,
    덮개(200)에 구비된 상태로 탈수통(500)의 내부에서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260)와,
    습도센서(250)에서 감지되는 감지습도 및 온도센서(260)에서 감지되는 감지온도를 근거로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를 제어하는 제어부(270)를 포함하고,
    제어부(270)는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71)와,
    습도센서(250)에서 감지되는 감지습도를 인식하면서 및 온도센서(260)에서 감지되는 감지온도를 인식하는 온습도인식부(272)와,
    최저기준습도, 중간기준습도, 최고기준습도, 최저기준온도, 최고기준온도를 설정하는 기준온습도설정부(273)와,
    인식된 감지습도를 기준습도들에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고 인식된 감지온도를 기준온도들에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온습도판단부(274)와,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습도가 중간기준습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건조순환부(1000)가 작동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고,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온도가 최저기준온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가 작동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면서, 감지온도가 최고기준온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를 정지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고,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습도가 최고기준습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부필터부재(800) 및 하부필터부재(900)가 작동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고, 온습도판단부(274)에서 감지습도가 최저기준습도에 일치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히터부재(400), 회전부재(600), 상부필터부재(800), 하부필터부재(900), 건조순환부(1000)가 정지되도록 작동부(271)를 조작하는 조작부(27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20200101781A 2020-08-13 2020-08-13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2253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81A KR102253956B1 (ko) 2020-08-13 2020-08-13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1781A KR102253956B1 (ko) 2020-08-13 2020-08-13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956B1 true KR102253956B1 (ko) 2021-05-18

Family

ID=7615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1781A KR102253956B1 (ko) 2020-08-13 2020-08-13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9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000B1 (ko) * 2021-08-24 2022-07-28 황성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63497B1 (ko) * 2022-03-25 2022-11-03 장인환 차세대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기판 제조용 재료 혼합 및 예열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280A (ko) * 1997-09-23 1999-04-15 유명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60505B1 (ko) * 1998-03-25 2000-07-01 정재덕 음식물쓰레기의발효/건조장치
KR100516036B1 (ko) * 2005-06-22 2005-09-21 송택윤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200399110Y1 (ko) * 2005-08-01 2005-10-20 주식회사 해마루 커뮤니케이션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1321340B1 (ko) * 2013-06-07 2013-10-23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증기와 악취제거를 위한 다단 정화 필터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KR101726976B1 (ko) * 2016-04-01 2017-04-13 조승현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건조기
KR20190036108A (ko) * 2017-09-27 2019-04-04 홍덕남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200009709A (ko) * 2018-07-20 2020-01-30 오승훈 스크류 잭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6280A (ko) * 1997-09-23 1999-04-15 유명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60505B1 (ko) * 1998-03-25 2000-07-01 정재덕 음식물쓰레기의발효/건조장치
KR100516036B1 (ko) * 2005-06-22 2005-09-21 송택윤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200399110Y1 (ko) * 2005-08-01 2005-10-20 주식회사 해마루 커뮤니케이션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1321340B1 (ko) * 2013-06-07 2013-10-23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수증기와 악취제거를 위한 다단 정화 필터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 방법
KR101726976B1 (ko) * 2016-04-01 2017-04-13 조승현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탈수건조기
KR20190036108A (ko) * 2017-09-27 2019-04-04 홍덕남 악취 제거 장치가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20200009709A (ko) * 2018-07-20 2020-01-30 오승훈 스크류 잭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000B1 (ko) * 2021-08-24 2022-07-28 황성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WO2023027493A1 (ko) * 2021-08-24 2023-03-02 황성열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463497B1 (ko) * 2022-03-25 2022-11-03 장인환 차세대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리기판 제조용 재료 혼합 및 예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956B1 (ko)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1054352B1 (ko) 일체형 자동 천연 염색기
US9976805B2 (en) Processing system intended to dehydrate food waste
KR10068695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63474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08086424A (ja) 乾燥機
KR20200097033A (ko) 음식물쓰레기 건조기
KR10074885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KR1009981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86477B1 (ko) 탄소발열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KR100912379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828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서의 보조 열풍 발생구조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JP3243944B2 (ja) 厨芥処理装置
KR20230099198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99090Y1 (ko) 음식폐기물 처리기용 건조 장치
KR200356444Y1 (ko)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CN213865889U (zh) 一种浸渍蒸发干燥装置
KR200381187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자동운전장치
KR200308536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도어
KR20090024414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9980063951U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탈수장치
KR20040084342A (ko) 젖은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825360B1 (ko) 진공압을 이용한 소형 저온 건조 및 자동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