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99198A -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99198A
KR20230099198A KR1020210188362A KR20210188362A KR20230099198A KR 20230099198 A KR20230099198 A KR 20230099198A KR 1020210188362 A KR1020210188362 A KR 1020210188362A KR 20210188362 A KR20210188362 A KR 20210188362A KR 20230099198 A KR20230099198 A KR 20230099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unit
food waste
main body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대석
배문순
Original Assignee
우대석
배문순
주식회사 제로티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대석, 배문순, 주식회사 제로티아 filed Critical 우대석
Priority to KR102021018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99198A/ko
Publication of KR20230099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91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B01D39/2058Carbonaceous material the material being particulate
    • B01D39/2062Bonded, e.g. activated carbon b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68Other inorganic materials, e.g. ceram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with means for influencing the odor, e.g. deodorizing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3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mechanical treatment
    • B09B3/38Stirring or knea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70Kitchen refuse; Food was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본체와, 개방부를 갖는 처리조를 구비하고 이 처리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 처리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의 처리조 개방부 측을 밀폐 상태로 개폐하기 위한 덮개 및 밀폐부재를 구비한 개폐부와, 상기 개폐부 측과 연계하여 상기 건조부의 처리조 내의 공기를 상기 본체 내에서 밀폐 상태로 외부 배기가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기부와, 상기 배기부 측과 연계하여 배기 중에 공기를 1차로 제습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측에 형성되는 제1 필터부, 그리고 상기 제1 필터부에 의해 1차로 제습 및 탈취 처리된 공기를 2차로 제습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측에 형성되는 제2 필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HOUSEHOLD FOOD WAST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가정에서 발생하는 잔반과 같은 각종 음식물 쓰레기들을 처리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나 악취 등을 최대한 제거할 수 있는 상태로 처리가 가능하므로, 분리 수거 배출시 불편함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예용 거름 등으로 재활용이 가능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내측에 처리조를 구비하여 이 처리조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시키고, 건조 처리와 연계하여 처리조 내의 공기가 필터링 처리(제습, 탈취)된 상태로 외부로 배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들은 가열 건조 처리시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의 제습력 및 탈취력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는 필터링 구조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배기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 및 악취에 의해 실내 대기 환경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 상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특허 0001) 등록특허공보 제10-1682100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잔반과 같은 각종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가열 건조 처리와 연계하여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실내 대기질 환경이 저하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체;
개방부를 갖는 처리조를 구비하고, 이 처리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 처리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의 처리조 개방부 측을 밀폐 상태로 개폐하기 위한 덮개 및 밀폐부재를 구비한 개폐부;
상기 개폐부 측과 연계하여 상기 건조부의 처리조 내의 공기를 상기 본체 내에서 밀폐 상태로 외부 배기가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기부;
상기 배기부 측과 연계하여 배기 중에 공기를 1차로 제습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측에 형성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에 의해 1차로 제습 및 탈취 처리된 공기를 2차로 제습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측에 형성되는 제2 필터부;
를 포함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가정에서 발생하는 잔반과 같은 각종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 방식에 의해 일반 종량제 봉투 배출 또는 재사용(퇴비)이 가능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건조부에 의한 가열 건조 처리시 내부 공기를 1차 및 2차로 제습 및 탈취 가능하게 필터링한 상태로 장치 외부로 배기 처리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장치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에 의해 실내 대기 환경(예: 공기질, 습도, 악취)이 저하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장치의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8은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본체(10), 건조부(20), 개폐부(30), 배기부(40),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조작을 위한 버튼(12) 및 표시창(14)을 구비하고, 음식물 쓰레기(F)의 가열 건조 처리를 위한 내부 공간이 확보될 수 있는 외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체(10)는 예를 들어, 전면 측에 버튼(12)과 표시창(14)이 형성된 사각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과 부합하는 다양한 외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또는 금속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조부(20)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처리조(22) 및 교반 블레이드(24)를 구비하고, 처리조(22)의 개방부 측이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본체(10) 내측에 형성된다.
처리조(22)는 윗면이 개방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히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F)의 가열 건조 분위기와 부합하는 상태로 발열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교반 블레이드(24)는 처리조(22) 내측에 배치되되, 교반용 구동원(26)에 의해 가열 건조 분위기와 부합하는 상태로 회전 동작되도록 형성된다.
교반 블레이드(24)는 예를 들어,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처리조(22)의 바닥면 상에 돌출 상태로 배치되고, 처리조(22) 하측에 배치된 교반용 구동원(26)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처리조(22)의 둘레부 중앙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교반용 구동원(26)은 기어드(GEARED)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체(10) 측의 버튼(12) 조작에 의해 예를 들어, 온,오프 및 회전 속도 등의 제어가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세팅될 수 있다.
처리조(22) 및 교반 블레이드(24)의 재질은 내구성 및 내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부(30)는 건조부(20) 측을 밀폐 가능하게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개폐부(30)는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덮개(32) 및 밀폐부재(34)를 구비하고, 본체(10) 상부 측에서 건조부(20)의 처리조(22) 개방부 측을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덮개(32)는 본체(10) 상부 측에서 처리조(22)의 개방부 측을 덮는 상태로 배치되되, 둘레부 일측이 본체(10) 일측과 힌지부(H)로 연결되어 이 힌지부(H)를 중심으로 처리조(22)의 개방부 측을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상태로 개폐 조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재(34)는 덮개(32)의 저면 측에 부착되되, 이 덮개(32)의 차단 동작시 처리조(22)의 개방부 둘레부 측에 밀착되면서 접촉 틈새 전체를 밀폐 상태로 차단 가능하게 형성된다.
밀폐부재(34)는 링 타입의 패킹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을 만족하는 밀폐용 부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배기부(40)는 건조부(20)의 작동 중에 처리조(22) 내측의 공기(A)를 본체(10) 외측으로 배기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배기부(4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처리조(22) 측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배기구(42)와, 이 배기구(42) 측과 연결 형성되는 배기통로(44)와, 이 배기통로(44) 내에 일방향 배기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용 구동원(4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배기부(40)는 처리조(22) 내측의 공기(A)를 본체(10) 내에서 밀폐 상태로 외부 배기가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기구(42)는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개폐부(30)의 덮개(32) 저면 측에 형성된다.
배기구(42)는 덮개(32)의 저면 측에 형성되되, 이 덮개(32) 측의 링 타입의 밀폐부재(34)의 둘레부 안쪽에서 처리조(22)의 개방부 측과 서로 연통될 수 있는 홀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42)는 음식물 쓰레기(F)의 유입 억제가 가능한 상태로 배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은 그레이팅 모양의 홀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기통로(44)는 덮개(32) 측의 배기구(42) 측과 연결된 상태로 본체(10) 내측에 연장 형성된다.
즉, 배기통로(44)의 일단은 배기구(42) 측과 서로 연통된 상태로 덮개(32)의 저면 측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제1 필터부(50) 측에 연결 가능한 상태로 연장 형성된다.
배기통로(44)는 덮개(32)의 저면 측에 연결되되, 통로 구간이 도 3에서와 같이 밀폐부재(34)의 링 둘레부 외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배기통로(44)는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통로 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본체(10) 측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외에도 별도의 주름관 형태의 관체를 배관 처리하는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배기통로(44)는 통로 구간 내에서 비정상적인 공기(A) 유출의 억제가 가능하도록 통로 구간의 둘레부 측이 밀폐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배기용 구동원(46)은 배기통로(44) 내부에 일방향 배기 분위기를 발생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배기용 구동원(46)은 전동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3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본체(10) 내측에서 배기통로(44) 구간 일측에 연결 설치되어 팬 회전에 의해 배기구(42) 측에서 배기통로(44)의 타측을 향하여 일방향 배기 분위기 발생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배기용 구동원(46)은 본체(10) 측의 버튼(12) 조작에 의해 예를 들어, 팬의 온,오프 및 회전 속도 등의 제어가 가능하게 세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배기부(40)는 도 4에서와 같이 개폐부(30) 측이 차단 동작된 상태로 처리조(22) 내에서 음식물 쓰레기(F)를 가열 건조 처리할 때, 이와 연계하여 처리조(22) 내부의 공기(A)를 배기통로(44) 구간을 따라 외부 배기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배기부(40)는 덮개(32)의 밀폐 차단 동작과 연계하여 밀폐가 유지되는 상태로 배기 유도되도록 형성되므로, 예를 들어 배기되는 공기(A) 중에 포함된 수증기나 악취가 덮개(32)의 차단 틈새를 통해서 비정상적으로 배출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는 배기부(40)에 의해 배기되는 공기(A)를 제습 및 탈취 처리가 가능하게 필터링할 수 있는 상태로 본체(10) 측에 형성된다.
제1 필터부(50)는 도 3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제1 필터 하우징(52)과, 이 제1 필터 하우징(52) 내측에 채워지는 제1 필터재(54)를 구비하고, 배기부(40)의 배기통로(44) 끝단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본체(10) 측에 형성된다.
제1 필터 하우징(52)은 내측에 제1 필터링 공간(B1)을 구비하고, 이 제1 필터링 공간(B1)과 연통된 상태로 제1 유입구(B2) 및 제1 배출구(B3)가 형성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유입구(B2)는 제1 필터 하우징(52)의 박스 하부면 측에 형성되고, 제1 배출구(B3)는 박스 상부(측부) 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공기(A)의 일방향 배기 흐름과 부합하는 홀부 형태를 갖도록 각각 형성된다.
제1 유입구(B2) 및 제1 배출구(B3)는 홀부 형태를 갖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1 필터재(54)가 걸러질 수 있는 그레이팅 모양의 홀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필터재(54)는 배기되는 공기(A) 중에 포함된 수증기 및 악취 제거와 부합하는 제습 및 탈취 기능을 갖는 고체형 필터재 중에서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1 필터재(54)는 예를 들어 볼 타입의 활성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제1 필터 하우징(52)의 제1 필터링 공간(B1) 측에 담겨진 상태로 제공된다.
그리고, 제1 필터 하우징(52) 측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제1 배출구(B3)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가이드관(56)을 설치할 수 있다.
가이드관(56)은 제1 배출구(B3) 측과 연통된 상태로 제1 필터 하우징(52) 측에 연결 설치되되, 이 제1 필터 하우징(52) 외측에서 아래쪽을 향하여 연장된 가이드 구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관(56)은 제1 필터 하우징(52)의 제1 배출구(B3)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A)가 제2 필터부(60) 내에서 더욱 원활하게 필터링될 수 있는 상태로 공급되도록 배기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제1 필터부(50)는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버퍼 하우징(58)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버퍼 하우징(58)은 내측에 밀폐된 형태의 버퍼 공간(B4)을 구비하고, 본체(10) 내측에서 제1 필터 하우징(52)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배치된다.
버퍼 하우징(58)은 예를 들어,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체(10) 내측에서 제1 필터 하우징(52)의 하측에 배치되고, 버퍼 공간(B4)이 배기통로(44)의 끝단 및 제1 필터 하우징(52)의 제1 유입구(B2) 측과 서로 연통된 상태를 이루도록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버퍼 하우징(58)은 배기통로(44)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A)가 버퍼 공간(B4) 내에 담겨진 상태에서 제1 필터 하우징(52) 내측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배기통로(44)를 통해 배기되는 공기(A)는 버퍼 하우징(58)의 버퍼 공간(B4)에 담겨진 후, 이 공간 내부 압력에 의해 제1 필터 하우징(52)의 제1 유입구(B2)를 통해서 점차 위로 떠오르는 상태로 제1 필터링 공간(B1) 측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필터링 공간(B1)으로 공기(A)가 공급되되, 이 공간 내에 균일하게 분포 공급되는 흐름을 유도하여 제1 필터재(54) 측에 공기(A)가 더욱 균일하게 접촉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1차 필터재(54)에 의한 제습 및 탈취 효율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제2 필터부(60)는 제2 필터 하우징(62)과, 이 제2 필터 하우징(62) 내측에 채워지는 제2 필터재(64)를 구비하고, 본체(10) 내측에서 제1 필터부(50) 측과 연계 설치된다.
제2 필터 하우징(62)은 도 5에서와 같이 내측에 제2 필터링 공간(C1)을 구비하고, 이 제2 필터링 공간(C1)과 연통된 상태로 제2 유입구(C2) 및 제2 배출구(C3)가 각각 형성된 박스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유입구(C2) 및 제2 배출구(C3)는 제2 필터 하우징(62)의 박스 외부면 중에서 서로 대향하는 측벽면 측에 공기(A) 배기 흐름과 부합하는 홀부 형태를 갖도록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입구(C2) 및 제2 배출구(C3)는 홀부 형태를 갖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제2 필터재(64)가 걸러질 수 있는 그레이팅 모양의 홀부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필터 하우징(62)은 도 5에서와 같이 제1 필터 하우징(52) 측에 인접 배치되는 상태로 연계 설치되되, 이 제1 필터 하우징(52) 측의 가이드관(56)의 끝단 측이 제2 필터링 공간(C1)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된다.
제2 필터재(64)는 배기되는 공기(A) 중에 포함된 수증기나 악취 제거와 부합하는 제습 및 탈취 기능을 갖는 고체형 필터재 중에서 사용하되, 제1 필터재(54)와 서로 다른 이종(異種) 재질의 필터재를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필터재(64)는 예를 들어 볼 타입의 제올라이트(ZEOLITE)를 사용할 수 있으며, 도 5에서와 같이 제2 필터 하우징(62)의 제2 필터링 공간(C1) 측에 담겨진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제2 필터재(64)는 제2 필터링 공간(C1) 측에 담겨지되, 제1 필터 하우징(52) 측의 가이드관(56) 끝단이 필터재에 의해 잠길 수 있는 상태로 담겨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필터 하우징(62)의 제2 배출구(C3) 측에는 도 5에서와 같이 보조 필터(66)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보조 필터(66)는 예를 들어, 탈취 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배출구(C3)의 홀부 측에 덧대어지는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는 건조부(20) 내의 공기(A)가 배기부(40)에 의해 배기될 때, 이와 연계하여 배기 공기(A)를 제습 및 탈취 가능하게 필터링 처리할 수 있다.
특히,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는 건조부(20) 내의 공기(A)가 본체(10) 외부로 배기되기 전에, 제습 및 탈취 가능하게 1차로 필터링한 다음, 다시 2차로 필터링 처리할 수 있도록 형성되므로, 음식물 쓰레기(F) 처리시 본체(10)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A)에 의해 실내 대기 환경이 저하되는 문제를 적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순환 배기부(70)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순환 배기부(70)는 배기시 공기(A)의 필터링 효율성 향상과 부합하는 상태로 제1 필터부(50) 및 제2 필터부(60) 간의 공기(A) 순환을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순환 배기부(70)는 도 7에서와 같이 유도관(72), 순환관(74) 및 순환용 구동원(7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유도관(72)은 도 7에서와 같이 관 둘레부 측에 유도홀(G)들이 형성되며, 제2 필터 하우징(62)의 제2 필터링 공간(C1) 바닥면 측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순환관(74)은 제2 필터 하우징(62)의 바닥면 측에서 유도관(72)의 하측 단부 측과 서로 연통된 상태로 연결되고, 타단은 제1 필터부(50) 측의 버퍼 하우징(58)의 버퍼 공간(B4) 측에 연통된 상태로 연결 형성될 수 있다.
순환용 구동원(76)은 전동팬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7에서와 같이 순환관(74)의 연장 구간 일측에 연결 형성된다.
순환용 구동원(76)은 순환관(74) 측에 연결 형성되되, 이 순환관(74) 및 유도관(72) 내부에 공기(A)의 순환 배기 분위기를 발생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즉, 순환용 구동원(76)은 제2 필터부(60) 내측의 공기(A)를 제1 필터부(50) 측으로 순환 유도할 수 있는 상태로 세팅될 수 있다.
순환용 구동원(76)은 본체(10) 측의 버튼(12) 조작에 의해 예를 들어 온,오프 및 회전 속도 등의 제어가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 세팅될 수 있다.
이러한 순환 배기부(70)는 도 8에서와 같이 제2 필터 하우징(62)의 제2 필터링 공간(C1) 측의 공기(A)가 유도관(72), 순환관(74) 및 버퍼 하우징(58)을 통해서 제1 필터 하우징(52) 측으로 순환 공급이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필터부(60) 측에서 2차로 필터링 처리된 공기(A) 일부가 제1 필터부(50) 측으로 순환 공급된 후, 다시 1차 및 2차로 필터링 처리된 상태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정에서 발생한 각종 음식물 쓰레기(F)를 본체(10) 내측의 건조부(20)에 의한 가열 건조 방식으로 처리하되, 특히 음식물 쓰레기(F) 처리와 연계하여 건조부(20) 내의 공기(A)를 본체(10) 외부로 배기할 때, 2회 이상의 필터링 단계를 거쳐서 제습 및 탈취 처리된 상태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F) 처리시 본체(10) 외부로 배기되는 공기(A)에 의해 실내 대기 환경이 저하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장치의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을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10: 본체 20: 건조부
30: 개폐부 40: 배기부
50: 제1 필터부 60: 제2 필터부
F: 음식물 쓰레기

Claims (10)

  1. 본체;
    개방부를 갖는 처리조를 구비하고, 이 처리조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 처리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는 건조부;
    상기 건조부의 처리조 개방부 측을 밀폐 상태로 개폐하기 위한 덮개 및 밀폐부재를 구비한 개폐부;
    상기 개폐부 측과 연계하여 상기 건조부의 처리조 내의 공기를 상기 본체 내에서 밀폐 상태로 외부 배기가 가능하게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배기부;
    상기 배기부 측과 연계하여 배기 중에 공기를 1차로 제습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측에 형성되는 제1 필터부: 및
    상기 제1 필터부에 의해 1차로 제습 및 탈취 처리된 공기를 2차로 제습 및 탈취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측에 형성되는 제2 필터부;
    를 포함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는,
    음식물 쓰레기를 가열 건조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 및 이 처리조 내측에 배치되는 교반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 내측에서 상기 처리조의 개방부 측이 위쪽을 향하는 상태로 배치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덮개에 의해 상기 건조부의 처리조 개방부 측을 밀폐 가능하게 개폐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본체 측에 형성되되, 상기 처리조의 개방부 둘레부 전체가 상기 밀폐부재에 의해 밀폐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상기 건조부의 처리조 측과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개폐부의 덮개 측에 형성되는 배기구와, 이 배기구 측과 연결되어 배기 구간을 이루는 상태로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는 배기통로와, 이 배기통로 내에 일방향 배기 분위기를 형성하기 위한 배기용 구동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제1 유입구와 제1 배출구가 형성된 제1 필터 하우징과, 이 제1 필터 하우징 내측에 채워지는 제1 필터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입구 측이 상기 배기부 측과 연결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형성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가이드관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관은,
    상기 제1 필터 하우징의 제1 배출구 측에서 공기의 배기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필터부는, 버퍼 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버퍼 하우징은,
    내측에 버퍼 공간을 구비하고, 이 버퍼 공간을 통해서 배기 공기가 상기 제1 필터 하우징의 제1 유입구 측으로 유입되도록 연결 형성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필터부는,
    제2 유입구와 제2 배출구가 형성된 제2 필터 하우징과, 이 제2 필터 하우징 내측에 채워지는 제2 필터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유입구 측이 상기 제1 필터부 측과 연결되는 상태로 상기 본체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 형성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순환 배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순환 배기부는,
    상기 제2 필터부 내측에 배치되는 유도관과, 이 유도관과 상기 제2 필터부 간을 공기 순환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순환관 및 이 순환관 내측에 일방향 순환 배기 분위기를 발생하기 위한 순환용 구동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순환용 구동원은,
    전동팬을 사용하고, 상기 순환관을 통해서 상기 제2 필터부 내측의 공기를 상기 제1 필터부 측으로 순환 유도할 수 있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10188362A 2021-12-27 2021-12-27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300991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362A KR20230099198A (ko) 2021-12-27 2021-12-27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8362A KR20230099198A (ko) 2021-12-27 2021-12-27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9198A true KR20230099198A (ko) 2023-07-04

Family

ID=8715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8362A KR20230099198A (ko) 2021-12-27 2021-12-27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991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100B1 (ko) 2009-11-20 2016-12-02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교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100B1 (ko) 2009-11-20 2016-12-02 코웨이 주식회사 음식물 쓰레기 교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65890A1 (en) Washing machine having deodorizing filter and deodorizing method thereof
KR100706919B1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20200109194A (ko) 탈취 성능을 향상한 세탁장치
KR10187330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WO2011036943A1 (ja) 洗濯機及び乾燥機
KR102253956B1 (ko) 음식쓰레기 탈수 및 건조 장치
KR20230099198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60004601A (ko)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JP5651373B2 (ja) 洗濯機
KR100859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살균 및 소취장치
JP4868943B2 (ja) 洗濯機
KR102502128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배기구조
JP2005058779A (ja) 洗濯機
KR200356444Y1 (ko) 음식물 쓰레기용 건조기
KR200487306Y1 (ko) 열풍 순환 건조구조를 갖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54270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CN108240655A (zh) 一种吸油烟机
KR20090118462A (ko) 음식물 쓰레기 건조기
CN207751036U (zh) 一种吸油烟机
JP2010188209A (ja) 洗濯機の槽乾燥方法
KR20032773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98647B1 (ko) 음식물 처리장치
JP3108273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0127272Y1 (ko) 온풍순환식 탈수겸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