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565A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565A
KR20230170565A KR1020230068181A KR20230068181A KR20230170565A KR 20230170565 A KR20230170565 A KR 20230170565A KR 1020230068181 A KR1020230068181 A KR 1020230068181A KR 20230068181 A KR20230068181 A KR 20230068181A KR 20230170565 A KR20230170565 A KR 20230170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shoe
missing
user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8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테츠야 이토
Original Assignee
테츠야 이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츠야 이토 filed Critical 테츠야 이토
Publication of KR2023017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56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2Sandals; Strap guides thereon
    • A43B3/128Sandals; Strap guides thereon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5Recesses or holes, traversing partially or completely the thickness of the pa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에 좋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30)과, 이 끈(30)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20)를 구비한 신발(1)로서, 족대(20)는 전서부(31)에 대해서 외측에서 그리고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얹히는 영역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결락부(20c)를 갖고, 사용자가 신발(1)을 신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과, 단소지굴근에서의 아치의 측방의 부분에 결락부(20c)가 대향한다.

Description

신발{FOOTWEAR}
본 발명은 짚신이나 샌들과 같이 발목으로부터 하방이 개방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짚신이나 샌들과 같이 발목으로부터 하방이 개방된 개방식 신발은 일반적으로 발바닥 모양을 한 평판 형상의 족저(足底)에 벨트나 끈을 부착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 족저에 돌기를 설치하여, 보행하면서 발바닥(足裏)의 혈을 자극하거나, 족저를 횡방향으로 경사시켜 O다리나 X다리를 보정하거나 하는 등 건강에 좋은 기능을 갖는 짚신이나 샌들이 보급되고 있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기술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검지를 중심으로 엄지 대 중지·약지·새끼발가락의 3개가 1:3이 되도록 끈의 전평(前坪)을 부착하는 위치를 검지를 끼우도록 2개소로 설정하고, 또한 검지가 실리는 천(天) 부분을 2~5mm 정도 높게 한 건강 샌들에 대해서 개시하고 있다.
일본 실용신안 등록 제3232282호 공보
그런데, 근년, 비치 샌들과 같은 저렴한 신발에서도 건강에 좋은 기능을 갖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해변과 같이 수영복을 착용하고 있을 때 O 다리가 눈에 띄지 않게 하기 위해 O 다리를 보정하는 기능을 갖는 비치 샌들의 출현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요망에 부응하여 건강에 좋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에 기재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1)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前緖部)(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橫緖部)(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鼻緖)(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足台)(예를 들면, 족대(20))를 구비한 신발(예를 들면, 신발(1))로서,
상기 족대는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얹는 종부(踵部)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종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결락부(欠落部)(예를 들어, 결락부(20c))를 갖고,
상기 결락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母趾內轉筋) 횡두(橫頭)의 부분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20))를 구비한 신발(예를 들어, 신발(3))로서,
상기 족대는,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얹는 종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종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의 두께를 얇게 한 박육부(예를 들어, 족대(25)에서의 결락부(26a)의 부위)를 갖고,
상기 박육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엄지측에 대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1)의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발뒤꿈치 결락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2)의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은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은,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얹는 종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발뒤꿈치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결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2)의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하층은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상층은,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얹는 종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종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결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4) 또는 (5)의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발뒤꿈치 결락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6)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신발을 신고 보행했을 경우,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에서 또한 외측의 부위가 지면으로부터 이간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은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이면,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건강에 좋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7)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면, 족대 4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이면에 요부(예를 들어, 요부(40c))를 갖고,
상기 요부는 상기 요부의 저부를 통해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저부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5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예를 들면, 제1 층(51))은,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를 결락시킨 제1 결락부(예를 들면, 결락부(51a))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제1 결락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제2 결락부(예를 들면, 결락부(51c))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예를 들어, 제2 층(52))은 상기 상층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에서 상기 제1 결락부 및 상기 제2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며,
상기 제2 결락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제2 결락부에서의 상기 상층의 상면과 상기 하층의 상면에 의한 단차 부분에 경사면(예를 들어, 경사면(51d))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9)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6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예를 들면, 제1 층(61))은,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를 결락시킨 제1 결락부(예를 들면, 결락부(61a))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제1 결락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제2 결락부(예를 들면, 결락부(61c))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예를 들어, 제2 층(62))은 상기 상층에서 상기 제1 결락부 및 상기 제2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며,
상기 제2 결락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제2 결락부에서의 상기 상층의 상면과 상기 하층의 상면에 의한 단차 부분 및 상기 족대의 이면에서의 발끝측의 단부에 경사면(예를 들어, 경사면(61d, 61e))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신발.
(10)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7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에서의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는 영역(예를 들어, 결락부(70c))이 타 영역(예를 들어, 유연대(71))보다 유연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1)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8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제1 요부(예를 들어, 종요부(80a))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제1 요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에 대향하는 제2 요부(예를 들면, 외측 요부(80c))를 갖고,
상기 제2 요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족대의 발끝측의 단부의 이면에는, 사용자의 엄지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예를 들면, 경사면(80d))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2)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와(예를 들어, 족대 9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이면에 요부(예를 들어, 요부(90a))를 갖고,
상기 요부는 상기 요부의 저부를 통해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엄지, 검지 및 이들의 루트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저부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100))와, 상기 족대에 아치 형상으로 부착되고 발의 엄지가 삽입 가능한 제1 띠 형상 부재(예를 들면, 엄지 스트랩(33))와, 상기 족대에 상기 제1 띠 형상 부재보다 발뒤꿈치측으로 아치 형상으로 부착되고 발등이 삽입 가능한 제2 띠 형상 부재(예를 들어, 앵클 스트랩(34))를 구비하고,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예를 들어, 제1 층(101))은,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를 결락시킨 제1 결락부(예를 들어, 결락부(101a))와, 상기 제1 띠 형상 부재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제1 결락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제2 결락부(예를 들면, 결락부(101c))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은 상기 상층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에서 상기 제1 결락부 및 상기 제2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며,
상기 제2 결락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4)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11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이면에 제1 요부(예를 들어, 요부(110a)) 및 제2 요부(예를 들어, 요부(110b))를 갖고,
상기 제1 요부는, 상기 제1 요부의 저부를 통해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고,
상기 제2 요부는 상기 제2 요부의 저부를 통해 사용자의 발의 엄지, 검지 및 이들의 루트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요부 및 제2 요부의 저부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5)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12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의 측면에서의 두께방향 중앙부로부터 엄지측으로 연장되는 간극부(예를 들어, 요부(121c))를 갖고,
상기 간극은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6)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13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예를 들면, 제1 층(131))은 상기 전서부가 배치되는 제1 블록(예를 들면, 제1 블록(131a))과, 상기 횡서부가 배치되는 제2 블록(예를 들어, 제2 블록(131b))을 구비하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예를 들어, 제2 층(132))은 상기 상층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제1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에 대해서 발뒤꿈치측에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대향하는 제2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요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한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7)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실리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14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예를 들면, 제1 층(141))은,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를 결락시킨 제1 결락부(예를 들면, 결락부(141a))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제1 결락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제2 결락부(예를 들어, 결락부(141c))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예를 들어, 제2 층(142))은 상기 상층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에서 상기 제1 결락부 및 상기 제2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며,
상기 제2 결락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족대의 이면에서의 발끝측의 단부 및 발뒤꿈치측의 단부에 각각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11), (13), (15)~(17)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신발을 신고 보행했을 경우,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에서 그리고 외측의 부위(사용자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이 지면으로부터 이간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은,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라면,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건강에 좋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2), (14)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신발을 신고 보행했을 경우,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에서 그리고 내측의 부위(사용자의 발의 엄지, 검지 및 이들의 루트 부분의 부분, 더하여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한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이 요부에 대향한다. 이 때문에, 보행시에, 사용자의 엄지와 중지 및 그 루트가 내측 측부로 기울어지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라면,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건강에 좋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8)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 15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평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를 결락시킨 결락부(예를 들면, 결락부(150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9)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예를 들면, 전서부(31))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예를 들면, 횡서부(32))로 이루어지는 끈(예를 들면, 끈(30))과, 이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예를 들어, 족대(160))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평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에 요부(예를 들어, 결락부(161a))를 갖고,
상기 족대의 이면에서의 발끝측의 단부에 경사면(예를 들면, 경사면(161b, 162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8), (19)에 의하면, 발뒤꿈치의 하부가 공간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발끝으로 걷는 모습이 되어, 신발을 신고 걸음으로써 자연스럽게 종아리, 허벅지의 뒤로부터 엉덩이에 걸쳐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건강에 좋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8), (9), (17), (19)에 의하면, 족대의 이면에서의 발끝측의 단부 및 발뒤꿈치측의 단부 중 어느 하나에 경사면을 갖기 때문에, 보행시에 발끝부의 이측(裏側)에 경사면이 땅에 맞닿음(當接)으로써 보행시의 중심 이동이 원활 해져 사용자의 보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11)에 의하면, 족대의 발끝측의 단부의 이면에, 사용자의 엄지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예를 들면, 경사면(80d))을 갖기 때문에, 사용자의 엄지와 중지 및 그 루트가 내측 측부로 기울어지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라면,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건강에 좋은 기능을 갖는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신발(2)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신발(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4)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7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5)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d는 도 8a의 정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6)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c는 도 9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d는 도 9a의 정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7)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8)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c는 도 11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1d는 도 11a의 정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9)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d는 도 12a의 정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0)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a의 정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1)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4d는 도 14a의 정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2)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3)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6d는 도 16a의 정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4)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7d는 도 17a의 정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5)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c는 도 18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6)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c는 도 19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9d는 도 19a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신발(1)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20)와 끈(30)을 구비한다. 또한, 도 1, 도 2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족대(2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에 의해 구성되고, 발의 외주를 본떠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얹히는 종부(20a)와, 사용자의 발끝이 얹히는 발끝부(20b)를 구비한다.
끈(30)은 천이나 합성수지로 구성되고, 전서부(31)와 횡서부(32)로 구성된다. 전서부(31)는, 족대(20)의 판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이며, 족대(20)의 발끝부(20b)에 배치되어 있다. 횡서부(32)는, 천이나 합성 수지제의 끈 형상 혹은 띠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전서부(31)를 기단으로 하여 족대(20)에서의 엄지측의 측부(이하, 내측 측부라고 칭함)를 향해 연장되는 내횡서부(32a)와 새끼발가락측의 측부(이하, 외측 측부라고 칭함)를 향하여 연장되는 외횡서부(32b)의 2 개로 나누어져 있다. 내횡서부(32a) 및 외횡서부(32b)의 종단부는 족대(20)의 아치 영역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된다.
족대(20)는 전서부(31)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 결락부(20c)를 더 구비한다. 결락부(20c)는 족대(20)에서의 발끝측의 단부로부터 족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사이로 들어갈 수 있고, 전서부(31)에 대해서 약간 새끼발가락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고, 외측 횡서부(32b)의 종단부분에 대해서 약간 발끝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족대(20)에서의 외측 측부까지 완만한 아치형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신발(1)을 신은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발(1)은, 사용자가 끈(30)에 발을 통과하고, 사용자의 발의 엄지와 검지 사이에 전서부(31)를 끼우는 것에 의해 신을 수 있다. 이 때, 내횡서부(32a)는 사용자의 엄지의 루트를 통과하고, 외횡서부(32b)는 사용자의 발등을 통과하여 신발(1)이 사용자의 발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진다.
사용자가 신발(1)을 신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과, 단소지굴근에서의 아치의 측방의 부분에 결락부(20c)가 대향한다. 즉, 발바닥을 아치 부근에서 발끝측과 발뒤꿈치측으로 2분할하고, 이 중 발끝측을 더 엄지측(내측)과 새끼발가락측(외측)으로 분할한 경우에, 발끝측의 외측 반의 부위가 결락부(20c)에 대체로 대향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신발(1)을 신고 보행했을 경우,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의 외측 반의 부위가 지면으로부터 이간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은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된다. 또한, 사용자는, 직립이나 보행시에, 결락부(20c)가 대향하고 있는 발바닥의 외측 부분이 지면에 붙지 않도록 의식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인 경우,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신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체중이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의 무릎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해변에서 수영복으로 갈아 입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는 O 다리를 너무 신경 쓰지 않고 걷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발바닥의 외측에 생긴 티눈에 스필고를 점착한 경우, 신발(1)을 신는 것에 의해, 스필고를 점착한 부위를 지면으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행시에 스필고가 어긋나거나 벗겨지는 것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신발(2)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의 신발(2)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의 족대(20)에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결락부(20d)를 더 형성한 것이다. 이 결락부(20d)는 발뒤꿈치 결락부라고 부를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의하면, 신발(2)은 결락부(20d)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발끝으로 걷는 모습이 되어, 신발(2)을 신고 걸음으로써, 자연적으로 종아리, 허벅지의 뒤로부터 엉덩이에 걸쳐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신발(2)은 결락부(20c)를 가짐으로써, 상술한,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다리이면,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3)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정면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발(3)은, 족대(25)와, 끈(30)을 구비한다. 신발(3)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족대(20)가 족대(25)인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다르다.
족대(25)는 제1 층(26)과 제2 층(27)의 2층 구조이다. 제1 층(26)은 결락부(26a)를 갖는다. 또한, 제1 층(26)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에 따른 족대(20)의 발끝의 모서리 부분에 모따기를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하거나 두께가 다른 형상이며, 결락부(26a)는 신발(1)에 따른 족대(20)의 결락부(20c)와 동일한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층(27)은 제1 층(26)에서 결락부(26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다. 족대(25)는 제1 층(26)의 하면과 제2 층(27)의 상면을 접착하여 구성되며, 결락부(26a)의 부위에 단차가 형성된다.
신발(3)은, 족대(25)에,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로 끈(30)을 부착함으로써 완성된다.
사용자가 신발(3)을 신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의 외측 부분이 결락부(26a)에 의한 단차분만큼 이간하여 제2 층(27)의 상면에 대향한다.
따라서, 제2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3)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신발(1)을 신고 직립한 경우, 사용자의 체중이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인 경우,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결락부(26a)의 하방이 제2 층(27)으로 덮여 있기 때문에, 신발(3)을 모래 사장에서 사용하는 경우, 모래 사장에 발바닥이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
제2 실시 형태의 신발(3)은 족대(25)의 제1 층(26)과 제2 층(27)의 상하를 바꿔서 제2 층(27)을 상층으로 하고, 제1 층(26)을 하층으로 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서도, 제2 실시 형태의 신발(3)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신발(3)에서도,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의 신발(2)과 마찬가지로, 족대(25)에서의 발뒤꿈치의 부위를 결락시켜도 좋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발끝으로 걷는 모습이 되어 자연스럽게 종아리와 허벅지의 뒤로부터 엉덩이에 걸친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예에서는, 발뒤꿈치의 부위를 원호 형상으로 결락시키고 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 상에 결락시켜도 좋다.
또한, 도 3,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뒤꿈치의 부위를 원호 형상으로 결락시킨 신발의 하면에, 제2 실시 형태의 신발(3)에서의 제2 층(27)을 접착하여, 2층으로 구성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모래 사장에 발뒤꿈치가 직접 닿지 않는다.
제2 실시 형태 및 그 변형예에서는 족대(25)가 2층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족대에서의 사용자의 발바닥의 외측 부분이 대향하는 부위에 판 두께를 얇게 한 박육부를 형성한 1층(단판)이라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도 7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4)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c는 도 7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신발(4)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40)와, 끈(30)을 구비한다. 또한, 도 7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4)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4)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4)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족대(4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에 의해 구성되고, 발의 외주를 본떠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얹히는 종부(40a)와, 사용자의 발끝이 얹히는 발끝부(40b)를 구비한다.
끈(30)의 전서부(31)는, 족대(40)의 판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이며, 족대(40)의 발끝부(40b)에 배치되어 있다. 횡서부(32)는, 전서부(31)를 기단으로 하여 족대(40)에서의 엄지측의 측부(이하, 내측 측부라고 칭함)를 향해 연장되는 내횡서부(32a)와, 새끼발가락측의 측부(이하, 외측 측부라고 칭함)을 향해 연장되는 외횡서부(32b)의 2 개로 나누어진다. 내횡서부(32a) 및 외횡서부(32b)의 종단부는 족대(40)의 아치 영역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된다.
족대(40)는 이면에, 도 7b,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서부(31)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 요부(40c)를 더 구비한다. 요부(40c)의 벽면은 족대(40)에서의 발끝측의 단부로부터 족대(40)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고, 전서부(31)에 대해서 약간 새끼발가락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고, 외측 횡서부(32b)의 종단부에 대해서 약간 발끝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족대(40)에서의 외측 측부에 도달하는 완만한 아치형으로 연장된다. 요부(40c)에서의 외주부는 개방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3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4)은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신발(1)에서 결락부(20c)의 상부로부터 외측 측부에 판 형상으로 연장되고, 이 연장 부분에 의해 결락부(20c)의 상부를 덮는 구성이다. 요부(40c)의 저부는 얇은 두께이기 때문에, 상하 방향의 가요성을 갖는다.
사용자가 신발(4)를 신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과, 요부(40c)는 단소지굴근에서의 아치의 측방 부분에 대향한다. 즉, 발바닥을 아치 부근에서 발끝측과 발뒤꿈치측으로 2분할하고, 이 중 발끝측을 더욱 내측(엄지측)과 외측(새끼발가락측)으로 분할한 경우에, 발끝측의 외측 반의 부위가 요부(40c)의 저부를 통해 요부(40c)에 대략 대향한다.
사용자가 신발(4)을 신고 보행했을 경우,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의 외측 반의 분위의 이면, 즉 요부(40c)의 저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간된다. 이 때문에, 보행이 불안정해진다. 사용자는 보행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서 체중을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직립이나 보행시에 요부(40c)의 저면이 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의식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인 경우,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3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신발(4)을 사용했을 때에 발바닥이 더러워지거나, 돌기물을 직접 밟아 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8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5)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8d는 도 8a의 정면도이다. 신발(5)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50)와, 끈(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8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5)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5)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5)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발(5)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족대(20)가 족대(50)인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다르다.
족대(5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으로 구성되고, 도 8c, 8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층(51)과 제2 층(52)의 2층 구조이다. 제1 층(51)은,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결락부(51a)와, 사용자의 발끝이 얹히는 발끝부(51b)와,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근을 결락시킨 결락부(51c)를 갖는다. 또한, 도 8a,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층(51)에서의 결락부(51c)의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하는 경사면(51d)이 형성되어 있다.
결락부(51c)는 제1 층(51)에서의 발끝측의 단부로부터 족대 (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틈을 뚫고, 전서부(31)에 대해서 약간 새끼발가락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고, 외횡서부(32b)의 종단부에 대해서 약간 발끝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족대(40)에서의 외측 측부까지 완만한 아치형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 층(52)은 제1 층(51)에서 결락부(51a, 51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다. 족대(50)는 제1 층(51)의 하면과 제2 층(52)의 상면을 접착함으로써 구성되며, 결락부(51a, 51c)의 부위에 제1 층(51)의 상면과 제2 층(52)의 상면에 의해 단차가 형성된다. 이 단차 부분에는 경사면(51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층(52)은 제1 층(51)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다.
신발(5)은 족대(50)에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로 끈(30)을 부착함으로써 완성된다.
사용자가 신발(5)을 신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에서의 발뒤꿈치 부분이 결락부(51a)에 대향하고,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과, 단소지굴근에서의 아치의 측방의 부분에 결락부(51c)가 대향한다. 사용자의 발바닥에서의 발뒤꿈치 및 발끝측의 외측 부분이 결락부(51a, 51c)에 의한 단차분만큼 이간하여 제2 층(52)의 상면에 대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5)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결락부(51a)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발끝으로 걷는 모습이 되어, 신발(5)을 신고 걸음에 따라 자연스럽게 종아리, 허벅지의 뒤로부터 엉덩이에 걸쳐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결락부(51c)의 가장자리에는 제2 층(52)의 상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하는 경사면(51d)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사람에 부딪친 경우와 같이, 사용자에게 횡방향으로의 충격이 가해질 때, 경사면(51d)에 사용자의 발바닥이 맞닿는다. 이렇게 하면 사용자는 밸런스를 잡기 쉬워진다. 또한, 제2 층(52)이 유연성이 높은 재질이기 때문에, 발바닥이 제2 층(52)에 닿으면 제2 층(52)이 크게 탄성 변형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밸런스가 불안정해지므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중을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시킨다. 또한, 지면과 발바닥 사이에 적어도 제2 층(52)이 개재되기 때문에, 신발(5)을 사용했을 때 발바닥이 더러워지거나, 돌기물을 직접 밟아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9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6)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c는 도 9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d는 도 9a의 정면도이다. 신발(6)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60)와, 끈(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9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6)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6)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6)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발(6)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족대(20)가 족대(60)인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다르다.
족대(60)는 도 9c,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층(61)과 제2 층(62)의 2층 구조이다. 제1 층(61)은,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결락부(61a)와, 사용자의 발끝이 얹히는 발끝부(61b)와, 사용자의 발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근을 결락시킨 결락부(61c)를 갖는다. 제1 층(61)에서의 결락부(61c)의 가장자리에 하향 경사하는 경사면(6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층(61)에서의 발끝부의 이측에는 발끝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하는 경사면(61e)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층(62)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층(61)에서 결락부(61a, 61c)가 형성되지 않은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다. 제2 층(62)은 제1 층(61)과 동등한 경도를 갖는다. 제2 층(62)에서의 발끝부의 이측에 발끝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하는 경사면(62a)이 형성되어 있다. 족대(60)는 제1 층(61)의 하면과 제2 층(62)의 상면을 접착함으로써 구성된다. 이에 의해, 결락부(61a, 61c)의 부위에 제1 층(61)의 상면과 제2 층(62)의 상면에 의한 단차가 형성된다. 이 단차 부분에는 경사면(61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층(61)의 경사면(61e)의 부위와 제2 층(62)의 경사면(62a)의 부위가 중첩됨으로써, 족대(60)에서의 발끝부의 이측에 발끝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신발(6)은 족대(60)에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로 끈(30)을 부착함으로써 완성된다.
사용자가 신발(6)을 신었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에서의 발뒤꿈치 부분 및 발끝측의 외측 부분이 결락부(61a, 61c)에 의한 단차분만큼 이간하여 제2 층(62)의 상면에 대향한다. 환언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6)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5)에서 발끝부의 이측에 발끝측을 향해 상향 경사하는 경사면을 형성하고, 제1 층(51)과 제2 층(52)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한 경도를 갖는 부재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6)은 제4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4)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발끝부의 이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시 발끝부의 이측에 경사면이 지면에 맞닿음으로써 보행시의 중심 이동이 원활해져 사용자의 보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6 실시 형태]
도 10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7)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c는 도 10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신발(7)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70)와, 유연대(71)와, 끈(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7)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7)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7)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7)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족대(7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에 의해 구성되고, 발의 외주를 본떠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얹히는 종부(70a)와, 사용자의 발끝이 얹히는 발끝부(70b)를 구비한다.
족대(70)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서부(31)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 결락부(70c)를 더 구비한다. 결락부(70c)는 족대(70)에서의 발끝측의 단부로부터 족대(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틈을 뚫고, 전서부(31)에 대해서 약간 새끼발가락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고, 외횡서부(32b)의 종단부에 대해서 약간 발끝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족대(70)에서의 외측 측부까지 완만한 아치형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유연대(71)는, 족대(70)보다 유연성이 높은 유연 부재에 의해 구성되고, 족대(70)의 결락부(70c)에 배치, 고정된다. 족대(70)에 가요성 유연대(71)를 고정함으로써, 1개의 발 형상의 판재가 구성된다. 유연대(71)가 족대(70)의 결락부(70c)에 배치됨으로써, 발 형상의 판 형상 부재가 구성된다.
그리고, 족대(70)의 결락부(70c)에 유연대(71)가 고정되고, 족대(70)에,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의 족대(20)와 마찬가지로 끈(30)이 부착됨으로써, 신발(7)이 구성된다.
사용자가 신발(7)을 신었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에서의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과, 단소지굴근에서의 아치의 측방의 부분에 유연대(71)가 대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6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사용자가 신발(7)을 신고 보행했을 경우,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의 외측 반의 부위가 유연대(71)에 얹혔을 때에 유연대(71)가 크게 가라앉는다. 이 때문에, 보행이 불안정해진다. 사용자는 보행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체중을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직립이나 보행시에 유연대(71)에 얹히지 않도록 의식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인 경우,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결락부(51a)에 유연대(71)가 고정됨으로써, 신발(7)을 사용했을 때에 발바닥이 오염되거나 돌기물을 직접 밟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7 실시 형태]
도 11a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8)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c는 도 11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1d는 도 11a의 정면도이다. 신발(8)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80)와 끈(30)을 구비한다. 도 11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8)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8)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8)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8)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족대(8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발의 외주를 본떠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대향하는 종요부(80a)와, 사용자의 발끝이 얹히는 발끝부(80b), 사용자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그 루트 부분이 대향하는 외측 요부(80c)와, 도 11b 내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면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80d)을 구비한다.
끈(30)은 발끝부(80b)에 고정된다. 족대(80)의 종요부(80a), 외측 요부(80c) 및 경사면(80d)은 하나의 판 형상 부재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종요부(80a) 및 외측 요부(80c)의 저면은 발끝부(80b)의 상면보다 낮고, 발끝부(80b)의 상면과 종요부(80a) 및 외측 요부(80c)의 저면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요부(80a)의 벽면은 발끝측으로 팽창하는 아치형으로 형성되고, 종요부(80a)에서의 외주부는 개방되어 있다. 외측 요부(80c)의 벽면은 족대(80)에서의 발끝측의 단부로부터 족대(80)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고, 전서부(31)에 대해서 약간 새끼발가락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외횡서부(32b)의 종단부에 대해서 약간 발끝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고 족대(80)에서의 외측 측부에 도달하는 약간의 발끝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완만한 아치형으로 연장된다. 외측 요부(80c)에서의 외주부는 개방되어 있다. 또한, 도 11b 내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80d)은 발끝부(80b)와 외측 요부(80c)의 경계 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엄지측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하고 있다.
사용자가 신발(8)을 신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과, 단소지굴근에서의 아치의 측방 부분에 외측 요부(80c)가 대향한다. 즉, 발바닥을 아치 부근에서 발끝측과 발뒤꿈치측으로 2분할하고, 이 중 발끝측을 더욱 내측(엄지측)과 외측(새끼발가락측)으로 분할한 경우에, 발끝측의 외측 반의 부위가 외측 요부(80c)에 대략 대향한다. 또한, 사용자의 발뒤꿈치는 종요부(80a)에 대향한다.
사용자가 신발(8)을 신고 보행할 경우,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의 외측 반의 부위의 이면, 즉 외측 요부(80c)의 저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간된다. 이 때문에, 보행이 불안정해진다. 사용자는 보행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체중을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직립이나 보행시에 외측 요부(80c)의 저면이 지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의식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인 경우,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요부(80a)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발끝으로 걷는 모습이 되어, 신발(7)을 신고 걸음에 따라 자연스럽게 종아리, 허벅지의 뒤로부터 엉덩이에 걸쳐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가능 된다. 또한, 경사면(80d)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시에 사용자의 엄지가 내측으로 기울어지기 쉬워져,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7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신발(8)을 사용했을 때 발바닥이 더러워지거나 돌기물을 직접 밟아 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발(8)의 족대(80)는 1장의 판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5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6)과 같이 2층 구조로 하여 단차를 형성해도 된다.
[제8 실시 형태]
도 12a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9)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d는 도 12a의 정면도이다. 신발(9)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90)와, 끈(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2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9)를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9)는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9)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9)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족대(9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에 의해 구성되어, 발의 외주를 본떠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이면에서의 사용자의 엄지와 중지 및 그 루트에 대향하는 영역의 반대측이 되는 부위에, 도 12b~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90a)를 구비하고 있다.
끈(30)은 족대(90)에,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신발(1)과 동일한 위치에 고정된다. 족대(90)의 요부(90a)는, 1장의 판상 부재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전서부(31)의 단부는 요부(90a)가 형성된 영역에 고정되어 있다.
요부(90a)의 벽면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족대(90)에서의 발끝측 단부로부터 족대(90)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고, 전서부(31)에 대해서 약간 새끼발가락 근처의 부분을 통과하여 내횡서부(32a)의 종단부에 대해서 약간 발끝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족대(90)에서의 내측 측부에 도달하는 완만한 아치형으로 연장된다. 도 12c,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90a)에서의 외주부는 개방된다. 요부(90a)의 저부는 얇은 두께이기 때문에 가요성을 갖는다.
사용자가 신발(9)을 신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의 엄지, 검지 및 이들의 루트 부분의 부분, 더하여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은 요부(90a)의 저부를 통해 요부(90a)에 대향한다. 요부(90a)의 저부는 얇은 두께이기 때문에 가요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발(9)을 사용자가 신고 보행했을 경우,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의 내측 반의 부위의 이면, 즉 요부(90a)의 저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간된다. 요부(90a)가 형성되어 있는 저부는 얇은 두께가 되므로, 다른 부위보다 유연성이 커진다. 이 때문에, 보행시에, 사용자의 엄지와 중지 및 그 루트가 내측부로 기울어지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인 경우,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9 실시 형태]
도 13a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0)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c는 도 13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3d는 도 13a의 정면도이다. 신발(10)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신발(10)은 족대(100)와, 엄지 스트랩(33)과, 앵클 스트랩(34)을 구비한다. 도 13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0)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0)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0)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족대(10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으로 구성되며, 제1 층(101)과 제2 층(102)의 2층 구조이다. 제1 층(101)은,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결락부(101a)와, 사용자의 발끝이 얹히는 발끝부(101b)와,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근을 결락시킨 결락부(101c)를 갖는다.
제2 층(102)은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층(101)에서 결락부(101a, 101c)가 형성되지 않은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다. 족대(100)는 제1 층(101)의 하면과 제2 층(102)의 상면을 접착함으로써 구성되며, 결락부(101a, 101c)의 부위에 제1 층(101)의 상면과 제2 층(102)의 상면에 의해 단차가 형성된다. 제2 층(102)은 제1 층(101)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다. 족대(100)는 제2 층(102) 상에 제1 층(101)을 중첩하고, 접착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일체화된 것이다.
엄지 스트랩(33)은 도 13c,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띠 형상 부재로 구성되고, 제1 층(101)의 발끝부(101b)에서 사용자의 엄지가 위치되는 부위에 아치형으로 부착된다. 앵클 스트랩(34)은 띠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고, 양단부가 제1 층(101)의 발끝부(101b)의 발뒤꿈치측의 양단부에 부착된다. 따라서, 앵클 스트랩(34)은 아치를 그리도록 족대(100)에 부착된다.
사용자는 앵클 스트랩(34)에 발등을 삽입하고 엄지를 엄지 스트랩(33)에 삽입함으로써 신발(10)을 신을 수 있다. 이 때, 앵클 스트랩(34)은 발목 주위에 배치된다. 사용자가 신발(10)을 신었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에서의 발뒤꿈치는 결락부(101a)에 의한 단차분만큼 이간하여 제2 층(102)의 상면에 대향한다. 또한,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 횡두의 부분이 결락부(101c)에 의한 단차분만큼 이간하여 제2 층(102)의 상면에 대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9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0)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결락부(101a)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발끝으로 걷는 모습이 되어, 신발(10)을 신고 걸음에 따라 자연적으로 종아리, 허벅지의 뒤로부터 엉덩이에 걸쳐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층(102)이 유연성이 높은 재질이기 때문에, 발바닥이 제2 층(102)에 닿으면 제2 층(102)이 크게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밸런스가 불안정해지므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중을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시킨다. 또한, 지면과 발바닥 사이에 적어도 제2 층(102)이 개재되기 때문에, 신발(10)을 사용했을 때 발바닥이 더러워지거나, 돌기물을 직접 밟아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3a에 도시된 신발(10)에 따르면, 사용자의 발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은 결락부(101c)에서의 제2 층(102)의 상면에 대향하지만, 그곳에 검지 및 그 루트 부분이 포함되어도 좋다.
[제10 실시 형태]
도 14a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1)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c는 도 14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4d는 도 14a의 정면도이다. 신발(11)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110)와, 끈(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4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1)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1)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1)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족대(11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으로 구성되고, 발의 외주를 본떠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며, 이면에서의 사용자의 발뒤꿈치의 반대측이 되는 부위에 요부(110a)를 갖고 있다. 또한, 이면에서의 사용자의 엄지와 중지 및 그 루트에 대향하는 영역의 반대측이 되는 부위에는 요부(110b)를 갖고 있다.
끈(30)은 족대(110)에,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신발(1)과 같은 위치에 고정된다. 족대(110)의 요부(110a, 110b)는, 1장의 판 형상 부재에 절삭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전서부(31)의 단부는 요부(110b)가 형성된 영역에 고정되어 있다.
요부(110b)의 벽면은, 도 14b 내지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족대(110)에서의 발끝측의 단부로부터 족대(110)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고, 전서부(31)에 대해서 약간 새끼발가락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발바닥에서의 「용천(湧泉)」이라 불리는 혈 부근으로부터 직각 방향으로 구부러져, 족대(110)에서의 내측 측부에 도달하는 L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요부(110a), 요부(110b)에서의 외주부는 개방되어 있다.
사용자가 신발(11)을 신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요부(110a)의 저부를 통해 요부(110a)에 대향한다. 또한, 사용자의 발의 엄지, 검지 및 이들의 루트 부분의 부분, 또한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이 요부(110b)의 저부를 통해 요부(110b)에 대향한다. 요부(110b)의 저부는 얇은 두께이기 때문에 가요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신발(11)을 사용자가 신고 보행했을 경우,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의 내측 반의 부위의 이면, 즉 요부(110b)의 저면이 지면으로부터 이간된다. 여기서, 요부(110b)가 형성되어 있는 저부는 얇은 두께가 되므로 유연성이 커진다. 이 때문에, 보행시에, 사용자의 엄지와 중지 및 그 루트가 내측으로 기울어지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인 경우,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요부(110a)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발끝으로 걷는 모습이 되어, 신발(11)을 신고 걸음에 따라 자연스럽게 종아리, 허벅지의 뒤로부터 엉덩이에 걸쳐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1 실시 형태]
도 15a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2)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c는 도 15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신발(12)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120)와, 끈(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5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2)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2)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2)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족대(12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으로 구성되어, 제1 층(121)과 제2 층(122)의 2층 구조이다. 제1 층(121)은, 도 15b, 도 1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얹히는 종부(121a)와, 사용자의 발끝이 얹히는 발끝부(121b)를 갖는다. 제1 층(121)은 이면에 전서부(31)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 요부(121c)를 더 구비한다. 요부(121c)의 벽면은 제1 층(121)에서의 발끝측의 단부로부터 제1 층(121)의 길이 방향으로 향하고, 전서부(31)에 대해서 약간 새끼발가락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고, 외횡서부(32b)의 종단부에 대해서 약간 발끝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제1 층(121)에서의 외측 측부에 도달하는 완만한 아치형으로 연장된다. 요부(121c)에서의 외주부는 개방되어 있다.
제2 층(122)은 발의 외주를 본떠서 이루어지는 평판 형상의 부재이다. 족대(120)는 제2 층(122) 상에 제1 층(121)을 중첩하고, 접착 등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일체화된 것이다. 이에 의해, 요부(121c)의 하부가 제2 층(122)의 상면에 의해 덮인다. 환언하면, 족대(120)은 제1 층(121)이 요부(121c)를 가짐으로써 제1 층(121)과 제2 층(122)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끈(30)은 족대(120)에서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 형태의 신발(1)과 같은 위치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신발(12)을 신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과, 단소지굴근에서의 아치의 측방 부분에 요부(121c)가 대향한다. 즉, 발바닥을 아치 부근에서 발끝측과 발뒤꿈치측으로 2분할하고, 이 중 발끝측을 더욱 내측(엄지측)과 외측(새끼발가락측)으로 분할한 경우에, 발끝측의 외측 반의 부위가 요부(121c)에 대략 대향한다.
사용자가 신발(12)을 신고 보행했을 경우, 발바닥에서의 발끝측의 외측 반의 부위의 이면, 즉 요부(121c)의 저면이 제2 층(122)의 상면으로부터 이간된다. 따라서, 제1 층(121)에서의 요부(121c)의 상부가 얇고 상하로 휘어지기 때문에 보행이 불안정해진다. 사용자는 보행 밸런스를 유지하기 위해 체중을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시킨다. 또한, 사용자는 직립이나 보행시에 요부(121c)의 저면이 제2 층(122)의 상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의식을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다리의 중심을 내측으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가 O 다리인 경우, 사용자의 무릎의 간격을 좁히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1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신발(12)을 사용했을 때에 발바닥이 더러워지거나, 돌기물을 직접 밟아 버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신발(12)의 족대(120)는 2층 구조이지만, 3층 구조로 하여 중층에 결락부를 형성함으로써 족대(120)의 외측 측부에 요부(121c)를 설치해도 좋다. 혹은, 두꺼운 1매 판의 두께 방향 중앙부에 절삭 가공에 의해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족대(120)의 외측부에 요부(121c)를 설치해도 좋다.
[제12 실시 형태]
도 16a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3)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6d는 도 16a의 정면도이다. 신발(13)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130)와, 끈(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6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3)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3)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3)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발(13)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족대(20)가 족대(130)인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다르다.
족대(13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으로 구성되어, 제1 층(131)과 제2 층(132)의 2층 구조이다. 제1 층(131)은, 끈(30)의 내횡서부(32a) 및 외횡서부(32b)의 종단부가 고정되는 제1 블록(131a)과, 끈(30)의 전서부(31)가 고정되는 제2 블록(131b)으로 구성된다. 제1 블록(131a)은 발뒤꿈치측이 결락되어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얹는 것이 곤란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2 블록(131b)은 외측 부분이 결락되어 사용자의 엄지와 중지 및 그 루트의 일부를 얹을 수 있지만, 사용자의 중지와 약지와 새끼발가락 및 그 루트를 얹을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층(132)은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다. 족대(130)는 제1 층(131)의 하면과 제2 층(132)의 상면을 접착함으로써 구성된다. 제1 블록(131a)은 제2 층(132)의 발뒤꿈치측에 고정되고, 제2 블록(131b)은 제2 층(132)의 발끝측에 고정된다.
제2 층(132) 상에 제1 층(131)이 고정됨으로써 족대(130)를 구성한다. 족대(130)에서, 제1 블록(131a)과 제2 블록(131b) 사이에 L자 형상의 요부(133a)가 형성되고, 제2 블록(131b)의 발뒤꿈치측에 요부(133b)가 형성된다.
신발(13)은, 족대(130)에,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로 끈(30)을 부착함으로써 완성된다.
사용자가 신발(13)을 신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에서의 발뒤꿈치 부분은 요부(133a)에 대향한다. 또한,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과, 단소지굴근에서의 아치의 측방 부분과, 아치의 일부가 요부(133b)에 대향한다. 이들 부분은 요부(133a, 133b)에 의해 형성된 제1 층(131)의 상면과 제2 층(132)의 상면에 단차만큼 이간되어 제2 층(132)의 상면에 대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2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3)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요부(133a)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발끝으로 걷는 모습이 된다. 이에 의해 신발(13)을 신고 걸음에 따라 자연적으로 종아리와 허벅지의 뒤로부터 엉덩이에 걸쳐 근육을 단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2 층(132)이 유연성이 높은 재질이기 때문에, 발바닥이 제2 층(132)에 닿았을 경우에 제2 층(132)이 크게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밸런스가 불안정해지므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중을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시킨다. 또한, 지면과 발바닥 사이에 적어도 제2 층(132)이 개재되기 때문에, 신발(13)을 사용했을 때 발바닥이 더러워지거나, 돌기물을 직접 밟아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3 실시 형태]
도 17a는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4)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c는 도 17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7d는 도 17a의 정면도이다. 신발(14)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140)와, 끈(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7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4)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4)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4)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발(14)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족대(20)가 족대(140)인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다르다.
족대(14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으로 구성되어, 제1 층(141)과 제2 층(142)의 2층 구조이다. 제1 층(141)은,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결락부(141a)와, 사용자의 발끝이 얹히는 발끝부(141b)와,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근을 결락시킨 결락부(141c)를 갖는다.
결락부(141c)는 제1 층(141)의 발끝측의 단부로부터 제1 층(141)에서의 길이 방향을 따라 틈을 뚫고, 전서부(31)에 대해서 약간 새끼발가락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외횡서부(32b)의 종단부에 대해서 약간 발끝 근처의 부위를 통과하여 족대(140)에서의 외측 측부까지 완만한 아치형으로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제2 층(142)은 제1 층(141)에서 결락부(141a, 141c)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다. 족대(140)는 제1 층(141)의 하면과 제2 층(142)의 상면을 접착함으로써 구성되며, 제2 층(142)의 상면에 의한 단차가 형성된다. 제2 층(142)은 제1 층(141)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구성된다. 제2 층(142)의 이면에서의 발끝측에 경사면(142a)이 형성되고, 발뒤꿈치측에 경사면(142b)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42a)은 발끝측을 향하여 제2 층(142)의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도록 상향 경사하고, 경사면(142b)은 발뒤꿈치측을 향하여 제2 층(142)의 두께가 서서히 얇아지도록 상향 경사하고 있다.
신발(14)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로 끈(30)을 족대(140)에 부착함으로써 완성된다.
사용자가 신발(14)을 신었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에서의 발뒤꿈치 부분은 결락부(141a)에 대향한다. 또한,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과 단소지굴근에서의 아치의 측방의 부분은 결락부(141c)에 대향한다. 이들 부분은, 결락부(141a, 141c)에 의해 형성되는 제1 층(141)의 상면과 제2 층(142)의 상면에 의한 단차분만큼 이간하여 제2 층(142)의 상면에 대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3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4)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결락부(141a)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발끝으로 걷는 모습이 되어, 신발(14)을 신고 걸음에 따라 자연적으로 종아리, 허벅지의 뒤로부터 엉덩이에 걸쳐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층(142)이 유연성이 높은 재질이기 때문에, 발바닥이 결락부(141a, 141c)를 통해 제2 층(142)에 닿으면, 제2 층(142)이 크게 탄성 변형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밸런스가 불안정해지므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체중을 사용자의 발바닥의 내측 측부에 집중시킨다. 또한, 지면과 발바닥 사이에 적어도 제2 층(142)이 개재되기 때문에, 신발(14)을 사용했을 때 발바닥이 더러워지거나, 돌기물을 직접 밟아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층(142)의 이면에 경사면(142a, 142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행할 때 체중 이동을 원활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걷기 쉬운 신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4 실시 형태]
도 18a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5)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c는 도 18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신발(15)은,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150)와, 끈(30)을 구비하고 있다. 도 18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5)을 나타내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5)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5)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5)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발(15)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족대(20)가 족대(150)라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다르다.
족대(150)는,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으로 구성되고, 발 모양에 따른 판상 부재이다. 족대(150)는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결락부(150a)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4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5)은 결락부(150a)를 가짐으로써 사용자가 발끝으로 걷는 모습이 되어 신발(15)을 신고 걷는 걸음에 따라 자연스럽게 종아리, 허벅지의 뒤로부터 엉덩이에 걸쳐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5 실시 형태]
도 19a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6)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b는 도 19a의 이측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c는 도 19a를 새끼발가락측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9d는 도 19a의 정면도이다. 신발(16)는, 소위, 비치 샌들이며, 족대(160)와, 끈(3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19a는 사용자의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6)을 나타내고 있고,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6)은 왼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6)에 대해서 좌우 대칭이기 때문에, 오른발에 신을 수 있는 신발(16)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 도 2에 도시된 신발(1)에서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 또는 동일 기능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신발(16)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족대(20)가 족대(160)라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다르다.
족대(160)은,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으로 구성되고, 제1 층(161)과 제2 층(162)의 2층 구조이다. 제1 층(161)은 사용자의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결락부(161a)를 갖는다. 제2 층(162)은 제1 층(161)에서 결락부(161a)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다. 제2 층(162)은 제1 층(161)과 동등한 경도를 갖는다.
제1 층(161)에서의 발끝측 가장자리의 이면에는 경사면(161b)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층(162)에서의 발끝측 가장자리의 이면에는 경사면(162a)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161b) 및 경사면(162a)은 발끝측을 향해 상향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1 층(161) 및 제2 층(162)의 발끝 부분은 판 두께가 서서히 얇아진다.
족대(160)는 제1 층(161)의 하면과 제2 층(162)의 상면을 접착하여 구성되며, 결락부(161a)의 부위에 제1 층(161)의 상면과 제2 층(162)의 상면에 의한 요부(단차)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층(161)의 경사면(161b)의 부위와 제2 층(162)의 경사면(162a)의 부위가 중첩됨으로써, 족대(160)에서의 발끝부의 이측에 발끝측을 향하여 상향 경사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신발(16)은 제1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과 마찬가지로 끈(30)을 족대(160)에 부착함으로써 완성된다.
사용자가 신발(16)을 신을 때, 사용자의 발바닥에서의 발뒤꿈치 부분은 결락부(161a)에 의한 단차만큼 이간하여 제2 층(162)의 상면에 대향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5 실시 형태에서의 신발(16)은 발끝부의 이측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행시 발끝부의 이측에 경사면이 지면에 맞닿음으로써 보행시 중심 이동이 원활해지고 사용자의 보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면과 발바닥 사이에 적어도 제2 층(162)이 개재되기 때문에, 신발(16)을 사용했을 때 발바닥이 더러워지거나, 돌기물을 직접 밟아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는 비치 샌들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짚신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족판은 고무재나 EVA 우레탄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족판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목재로 구성해도 좋다.
1~16 신발
20, 25, 40, 50, 60, 70, 80, 90, 100, 110, 120, 130, 140, 150, 160 족대(足台)
20a, 40a, 70a, 121a 종부(踵部)
20b, 40b, 51b, 61b, 70b, 80b, 101b, 121b, 141b 발끝부
20c, 20d, 26a, 51a, 51c, 61a, 61c, 70c, 101a, 101c, 141a, 141c, 150a, 161a 결락부(欠落部)
26, 61, 101, 121, 131, 161 제1 층
27, 62, 102, 122, 132, 162 제2 층
30 끈(鼻緖)
31 전서부(前緖部)
32 횡서부(橫緖部)
32a 내횡서부
32b 외횡서부
33 엄지 스트랩
34 앵클 스트랩
40c, 90a, 90c, 110a, 110b, 121c, 133a, 133b 요부(凹部)
51d, 61d, 61e, 62a, 80d, 142a, 142b, 161b, 162a 경사면(斜面)
71 유연대(柔軟台)
80a 종요부(踵凹部)
80c 외측 요부
131a 제1 블록
131b 제2 블록

Claims (19)

  1.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얹는 종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종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결락부를 갖고,
    상기 결락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2.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얹는 종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종부에 대해서 발끝측 부위의 두께를 얇게 한 박육부를 갖고,
    상기 박육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엄지측에 대향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족대는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발뒤꿈치 결락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은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은,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얹는 종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종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결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하층은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상층은, 사용자의 발뒤꿈치를 얹는 종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종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결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족대는 발뒤꿈치 부분을 결락시킨 발뒤꿈치 결락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7.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이면에 요부를 갖고,
    상기 요부는 상기 요부의 저부를 통해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저부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8.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은,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를 결락시킨 제1 결락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제1 결락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제2 결락부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은 상기 상층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에서 상기 제1 결락부 및 상기 제2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며,
    상기 제2 결락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제2 결락부에서의 상기 상층의 상면과 상기 하층의 상면에 의한 단차 부분에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9.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은,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를 결락시킨 제1 결락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제1 결락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제2 결락부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은, 상기 상층에서 상기 제1 결락부 및 상기 제2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며,
    상기 제2 결락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제2 결락부에서의 상기 상층의 상면과 상기 하층의 상면에 의한 단차 부분 및 상기 족대의 이면에서의 발끝측의 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0.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에서의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는 영역이, 타 영역보다 유연성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1.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제1 요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제1 요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에 대향하는 제2 요부를 갖고,
    상기 제2 요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족대의 발끝측의 단부의 이면에, 사용자의 엄지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2.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이면에 요부를 갖고,
    상기 요부는 상기 요부의 저부를 통해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엄지, 검지 및 이들의 루트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저부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3. 발이 얹히는 족대와, 상기 족대에 아치형으로 부착되고 발의 엄지가 삽입 가능한 제1 띠 형상 부재와, 상기 족대에 상기 제1 띠 형상 부재보다 발뒤꿈치측으로 아치형으로 부착되고 발등이 삽입 가능한 제2 띠 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은,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를 결락시킨 제1 결락부와, 상기 제1 띠 형상 부재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제1 결락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제2 결락부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은 상기 상층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에서 상기 제1 결락부 및 상기 제2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며,
    상기 제2 결락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4.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이면에 제1 요부 및 제2 요부를 갖고,
    상기 제1 요부는, 상기 제1 요부의 저부를 통해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고,
    상기 제2 요부는 상기 제2 요부의 저부를 통해 사용자의 발의 엄지, 검지 및 이들의 루트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제1 요부 및 제2 요부의 저부는 가요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5.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의 측면에서의 두께방향 중앙부로부터 엄지측으로 연장되는 간극부를 갖고,
    상기 간극은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6.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은, 상기 전서부가 배치되는 제1 블록과, 상기 횡서부의 종단부가 배치되는 제2 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은 상기 상층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며,
    상기 제1 블록과 상기 제2 블록 사이에 제1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블록에 대해서 발뒤꿈치측에 사용자의 발뒤꿈치가 대향하는 제2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요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한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7.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상하의 2층 구조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일방인 상층은,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를 결락시킨 제1 결락부와, 상기 전서부에 대해서 새끼발가락측에서 그리고 상기 제1 결락부에 대해서 발끝측의 부위를 결락시킨 제2 결락부를 갖고,
    상기 2층 구조 중 타방인 하층은 상기 상층보다 유연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층에서 상기 제1 결락부 및 상기 제2 결락부를 설치하지 않고 발의 외주를 본뜬 형상이며,
    상기 제2 결락부는 적어도 사용자의 발의 중지, 약지, 새끼발가락 및 이들의 루트 부분과, 상기 루트 부분에 대해서 발뒤꿈치 근처에 위치하는 모지내전근 횡두의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족대의 이면에서의 발끝측의 단부 및 발뒤꿈치측의 단부에 각각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8.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평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를 결락시킨 결락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19. 발의 엄지와 검지에 의해 끼워지는 전서부 및 발등에 걸쳐지는 횡서부로 이루어지는 끈과, 상기 끈이 부착되고 발이 얹히는 족대를 구비한 신발로서,
    상기 족대는 평판 부재로 이루어지고, 사용자의 발뒤꿈치에 대향하는 부위에 요부를 갖고,
    상기 족대의 이면에서의 발끝측의 단부에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1020230068181A 2022-06-10 2023-05-26 신발 KR2023017056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2-094602 2022-06-10
JP2022094602A JP7166035B1 (ja) 2022-06-10 2022-06-10 履物の底板構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565A true KR20230170565A (ko) 2023-12-19

Family

ID=83931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181A KR20230170565A (ko) 2022-06-10 2023-05-26 신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97690A1 (ko)
EP (1) EP4311448A1 (ko)
JP (1) JP7166035B1 (ko)
KR (1) KR20230170565A (ko)
CN (1) CN11720464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54299B1 (ja) 2023-03-10 2024-03-22 哲也 伊藤 履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2282B2 (ja) 1999-03-01 2001-11-26 日華化学株式会社 可逆性感熱記録材料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106A (ja) 1999-07-16 2001-02-06 Keiko Kusaba 室内履き
KR200207647Y1 (ko) 2000-07-10 2000-12-15 최병훈 체형 교정용 경사 신발
JP3076557U (ja) 2000-09-26 2001-04-06 克己 田中 履 物
JP3093690U (ja) 2002-10-28 2003-05-16 寺岡 たみ子 履 物
JP3106354U (ja) 2004-06-17 2005-01-06 有限会社 アオヤギ 健康履物及び健康履物器具
JP2009189804A (ja) 2008-01-16 2009-08-27 Yoshinori Urushiyama 歩く度に足ゆびの運動をする草履と靴と靴の中敷きシート
JP4798409B1 (ja) 2010-09-29 2011-10-19 慎一朗 西野 母趾丘用履き物
JP3195381U (ja) * 2014-10-30 2015-01-15 株式会社いきいき堂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JP2017121388A (ja) 2016-01-07 2017-07-13 有限会社ユーカリ 足指パッド付き履物
JP7257664B2 (ja) 2019-01-18 2023-04-14 要輔 宮崎 一本歯下駄
JP2021065671A (ja) 2019-10-25 2021-04-30 太詞宣 大和田 スリムなボデイをつくるゲタ型履き物
JP3232282U (ja) 2021-02-01 2021-06-03 内藤 雅明 健康サンダ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2282B2 (ja) 1999-03-01 2001-11-26 日華化学株式会社 可逆性感熱記録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97690A1 (en) 2023-12-14
JP2023180918A (ja) 2023-12-21
CN117204644A (zh) 2023-12-12
EP4311448A1 (en) 2024-01-31
JP7166035B1 (ja) 202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8839A (en) Stand easy shoe
US5826351A (en) Shoe sole and shoe and sandal including the sole
KR20230170565A (ko) 신발
JP4896221B2 (ja)
TW201433276A (zh) 拖鞋
JP3195381U (ja) サンダル基板及びサンダル
KR20090085381A (ko)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가지는 신발
JP3260668B2 (ja) 靴のソール
KR101178866B1 (ko) 기능성 신발
JP7454299B1 (ja) 履物
KR20080000391A (ko) 다기능 신발밑창
JP2006247218A (ja) 履物
JP7350346B2 (ja) 履物
KR102659993B1 (ko) 기능성 슬리퍼
KR102667891B1 (ko) 교정용 슬리퍼
KR102239837B1 (ko) 인솔
KR101007606B1 (ko) 발바닥 압력 분산을 위한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 이를 가진 중창 및 구두
KR100972971B1 (ko) 보행성을 향상시킨 기능성 신발
KR100613207B1 (ko) 건강 신발
KR20090107730A (ko) 기능성 신발
JP2000004902A (ja) 自発性筋力強化履物
JP2024070529A (ja) 歩行矯正姿勢改善具
WO2020213204A1 (ja) 中敷き及び靴
JP4486069B2 (ja)
JP3200983U (ja) 履物の底板及び履物、靴の中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