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9468A -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9468A
KR20230169468A KR1020237041782A KR20237041782A KR20230169468A KR 20230169468 A KR20230169468 A KR 20230169468A KR 1020237041782 A KR1020237041782 A KR 1020237041782A KR 20237041782 A KR20237041782 A KR 20237041782A KR 20230169468 A KR20230169468 A KR 20230169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nformation
design
disclosure
parameter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고 미네
게이 고미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69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9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7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design data to control NC machines, e.g. CAD/CA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7Mechanical parametric or variational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06F30/27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using machine learning, e.g. artificial intelligence, neural networks, support vector machines [SVM] or training a mod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04Constraint-based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5Inheriting rights or properties, e.g., propagation of permissions or restrictions within a hierarch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2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21/00 and subgroups addressing 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221/2149Restricted operating environ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정보 제공처(30)에 개시하는 것이 인정되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정보의 범위를 나타내는 개시 범위 정보를 취득하는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120)와, 대상 장치(40)의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설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a)로부터 장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고, 대상 장치(40)의 동작을 결정하는 장치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2a)로부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로부터 정보 제공처(30)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프로그램
본 개시는,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부품 공급자(예를 들면, 정보를 받는 정보 수취자)에 의해 공급된 대상 부품을 조립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제품 제조업자(예를 들면,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제공자)는, 대상 부품의 성능 검증을 위한 해석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면, 대상 부품이 조립되는 제품에 대한 형상 정보)를, 부품 공급자에게 제공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품 제조업자는, 부품 공급자에게 제공해도 좋은 정보의 범위인 개시 범위를 결정하는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이 작업을 지원하기 위해서, 부품 공급자에 대한 평가 결과(예를 들면, 거래 실적)에 근거하여 개시 범위를 결정하고, 개시 범위 내의 정보로부터 대상 부품의 해석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설계 지원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제2018-147012호 공보(예를 들면, 청구항 1, 도 1)
상기 종래의 장치는, 정보 수취자의 평가 결과에 근거하여, 대상 부품이 조립되는 제품인 대상 장치의 형상의 개시 범위를 결정하지만, 대상 장치의 설계 데이터 및 대상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파라미터의 조정 데이터에 대한 개시 범위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
본 개시는, 대상 장치의 설계 데이터 및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정보 제공 장치는, 정보 제공처에 개시하는 것이 인정되는 대상 장치에 관한 정보의 범위를 나타내는 개시 범위 정보를 취득하는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와, 상기 대상 장치의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설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대상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장치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처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정보 제공 방법은,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으로서, 정보 제공처에 개시하는 것이 인정되는 대상 장치에 관한 정보의 범위를 나타내는 개시 범위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대상 장치의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설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대상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장치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처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에 의하면, 대상 장치의 설계 데이터 및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장치 설계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통합된 장치 설계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장치 설계 데이터의 작성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의 작성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의 생성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개시 범위 정보와 거래 실정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예에 있어서 개시되는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예에 있어서의 개시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직육면체 형상의 오브젝트와 설계 데이터를 관련지어 표시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한 개시용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4(a)는, XML의 속성 정보로서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고,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정보를 추출하는 예를 나타내고, 도 24(b)는, 참조 데이터를 요소 정보로서 부여하고,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정보를 추출하는 예를 나타낸다.
도 25는 개시 범위 지정란을 갖는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개시용 데이터 표시 소프트웨어(S/W)와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 실시의 형태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의 형태는, 예에 지나지 않고, 실시의 형태를 적절히 조합하는 것 및 각 실시의 형태를 적절히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나는 시스템에서는, 정보 제공자(예를 들면, 장치 제조업자)의 PC(퍼스널 컴퓨터)인 제조업자측 PC(10)가,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그대로 또는 가공하여, 개시용 데이터로서 정보 제공처(예를 들면, 최종 사용자)의 PC인 사용자측 PC(30)에 제공한다. 개시용 데이터의 제공의 방법으로서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경유하는 개시용 데이터의 송신, 또는 개시용 데이터를 저장한 광 디스크 등과 같은 정보 기록 매체의 제공 등이 있다. 개시용 데이터의 제공 방법으로서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데이터의 공유, 산업용 PC 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로의 데이터 전송이 있다.
일반적으로, 장치 설계 데이터는, 제조업자측 PC(10)에 설치된 CAD(Computer Aided Design) 툴로서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작성되고, 기억 장치에 데이터베이스(DB), 즉, 장치 설계 데이터 DB(11a)로서 저장된다. 장치 설계 데이터는, 대상 장치(40)의 기계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기계 설계 데이터와, 대상 장치(40)의 전기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전기 설계 데이터와, 대상 장치(40)의 제어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제어 설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장치 설계 데이터 작성부(11) 및 장치 설계 데이터 DB(11a)는, 정보 제공 장치(100)를 구비한 제조업자측 PC(10)와는 다른 PC에 구비되어도 좋다.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제조업자측 PC(10)에 접속된 시험용 대상 장치(20)를 이용하여 작성되고, 기억 장치에 데이터베이스(DB), 즉,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DB(12a)로서 저장된다. 시험용 대상 장치(20)는, 정보 제공자에게 납품된 대상 장치(40)(도 1에서는, 사용자측 PC(30)에 접속된 대상 장치(4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장치이다.
정보 제공처의 사용자측 PC(30)에 제공된 개시용 데이터는, 사용자측 PC(30)의 기억 장치에 개시용 장치 설계 데이터(31) 및 개시용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32)로서 저장된다. 최종 사용자는, 사용자측 PC(30)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 장치에 표시하여, 대상 장치(40)의 운전, 보수, 수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방법을 실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120)와,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를 갖는다.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120)는, 사용자측 PC(30)에 개시하는 것이 인정되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정보의 범위를 나타내는 개시 범위 정보를 취득한다. 개시 범위 정보는, 예를 들면, 최종 사용자 또는 대상 장치(40)에 따라 자동적으로 정해지거나, 또는, 사람의 입력 조작에 의해 입력된다. 개시 범위 정보는, 예를 들면, 개시 레벨을 나타내는 수치(예를 들면, 1, 2, 3, …)로 표현된다.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는, 장치 설계 데이터 DB(11a)로부터 대상 장치(40)의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고,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DB(12a)로부터 대상 장치(40)의 동작을 결정하는 장치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120)에 의해 취득된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측 PC(30)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는,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여 정보 제공처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해도 좋다. 추출된 데이터의 가공은, 예를 들면, 추출된 상기 데이터의 암호화에 의한 은닉에 의해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LOD(level of detail) 기술에 의한 정도(즉, 상세도)의 변경에 의해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및 추출된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중 어느 하나이다.
도 2의 제조업자측 PC(10)에서는, 장치 설계 데이터 작성부(11)가 장치 설계 데이터를 작성하고, 장치 설계 데이터 DB(11a)에 저장하고,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작성부(12)가, 대상 장치(4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시험용 대상 장치(20)를 이용하여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수집한다. 시험용 대상 장치(20)는, PLC(프로그래머블 논리 콘트롤러)(21)와 각종 센서(24)를 갖는다.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작성부(12)는, PLC(21)에 장치 파라미터를 제공하여 센서(24)의 검출값을 취득하는 처리를 반복 실행하여,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DB(12a)에 저장한다.
도 3은, 장치 설계 데이터 작성부(11)에 의해 작성된 장치 설계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의 장치 설계 데이터는, 기계 설계 데이터와, 전기 설계 데이터와, 제어 설계 데이터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장치 설계 데이터는, PC에 설치된 CAD 툴을 이용하여 작성된다. 도 2의 기계 설계 데이터는, 기계 설계용 CAD 툴로 작성된 파일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2의 전기 설계 데이터는, 전기 설계용 CAD 툴로 작성된 파일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2의 제어 설계 데이터는, 제어 설계용의 프로그램의 파일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 4는,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가 통합된 장치 설계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는,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통합하여, 개시용 데이터가 통합된 장치 설계 데이터로 해도 좋다.
장치 제조업자에 의한 장치 설계는, 일반적으로, 수주, 기계 설계, 전기 설계, 제어 설계, 및 시작·조정의 흐름으로 행해진다. 수주는, 장치 카탈로그 등을 이용한 대상 장치(또는 대상 설비), 등의 설명, 제안을 수반한다. 기계 설계는, 대상 장치의 기계 사양에 근거하여 행해지고, 조립도, 부품도 등의 작성을 포함한다. 전기 설계는, 대상 장치의 전기 사양에 근거하여 행해지고, 전기 회로도, 부품 배치도, 배선도 등의 작성을 포함한다. 제어 설계는, 제어 사양에 근거하여 행해져 프로그램의 작성 등을 포함한다.
장치 설계 데이터는, 설계의 성과물이며, 예를 들면, 시방서, 설계도, 설계서, 도면, 모형, 기기 명칭표, 취급 설명서 등의 전자 데이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이 전자 데이터는, 기계 CAD 데이터, 전기 CAD 데이터, 제어 프로그램, 문서 파일, 화상 파일, 애니메이션 파일, 및 동영상 파일 등이다.
장치 설계 데이터는, 공정 설계 데이터를 포함해도 좋다. 공정 설계 데이터는, 장치 설계 데이터 중, 제품 설계부터 생산 전개하기까지의 공정에 관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장치 설계 데이터는, 라인 설계 데이터, 라인 시뮬레이터 소프트웨어에 의한 시뮬레이션 결과의 데이터, CAD/CAM(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E(Computer Aided Engineering)에 의한 설계, 생산 관리 정보 등을 포함한다.
기계 설계 데이터는, 형상 데이터, 기구 데이터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기계 설계 데이터는, 제도, 가공, 조립·유지 보수, 규격·설계 기준, 강도 계산, 능력 계산, 재료·부품의 입수성, 기계 도입의 비용, 기계의 러닝코스트(running cost), 납기, 조립 용이성, 유지 보수성, 디자인성, 품질의 안정성, 안전성, 환경 부하, 해석에 관한 작업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기계 설계에서는, 기계 요소(나사, 톱니바퀴, 모터, 감속기, 베어링, 볼 나사, 리니어 가이드, 실린더, 유압·공압(空壓), 링크, 용수철, 실(seal) 등)·유닛 기계의 구조 및 기구를 도면화하고, 구조 및 기구의 각 구성 요소의 강도, 변형 상태가, 허용값 내에 들어가도록, 재료, 형상, 치수를 결정한다. 또, 기존의 기계 요소 또는 유닛 기계를 사용하는 경우는, 그러한 기술 자료에 근거하여, 구성 요소의 형상, 치수, 재료 등이 결정된다. 결정 사항에 근거하여, 설계서, 계획도, 장치의 형상, 기구, 색 또는 재질 등의 속성 등을 설계한 데이터, 시방서 등의 문서 파일, 부품의 상세 도면(부품도), 부분 조립도, 기계 전체의 조립도, 제작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제작도 등이 작성된다.
기계 CAD 데이터는, 기계 CAD 소프트웨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이다. 데이터 형식으로서는, 각 벤더의 소프트웨어에서만 취급할 수 있는 네이티브 파일과, 각 벤더간의 데이터 교환에 이용하는 중간 파일이 있다. 예를 들면, 기계 CAD 데이터로서는, 2차원 CAD 소프트웨어로 설계된 장치의 조립도 또는 부품의 상세도 등의 2차원 CAD 데이터, 3차원 CAD 소프트웨어로 설계된 장치의 조립도 또는 부품의 상세도 등의 3차원 CAD 데이터, CAD 소프트웨어 간의 데이터 교환용의 중간 파일이 있다. 기계 CAD 데이터의 구체적인 예는, IGES(Initial Graphics Exchange Specification), STEP(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 PARASOLID, JT(Jupiter Tessellation) 등이다.
전기 설계 데이터는, 전기에 관한 설계 데이터이다. 전기 설계 데이터는, 예를 들면, 전기 CAD 소프트웨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이다. 전기 설계 데이터는, 구체적으로는, 전기 사양의 결정, 전기 회로도의 작성, 배선도(예를 들면, 동력계 배선도, 제어계 배선도)의 작성, 연결기의 형상 등이 기술된 도면의 작성 등을 포함한다. 전기 사양의 결정은, 인버터의 선정, 배선용 차단기인 브레이커의 선정, 제어반, 조작반, 분전반의 결정, 센서 및 모터의 선정 등을 포함한다. 전기 CAD 데이터는, 전기 CAD 소프트웨어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이다.
제어 설계 데이터는, 제어에 관한 설계 데이터이며, 예를 들면, 계측 제어계의 설계는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측정, 제어할지를 결정하는 데이터이다. 제어 설계는, PLC 프로그램의 설계, 터치 패널의 작성을 포함한다. 제어 설계 데이터는, 예를 들면, PLC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장치의 제어 설계를 한 데이터,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의 작화 데이터를 작성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설계한 작화 데이터, 및 이것들에 부수하는 시방서 등의 문서 파일 또는 DB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설계 데이터는, 래더도(ladder diagram), 표시기용의 작화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는, 장치의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이다.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는, 예를 들면, 과거에 장치의 파라미터를 조정했을 때의 이력 데이터 또는 기계 학습에 의해 장치 파라미터 조정의 추천값을 산출한 결과의 데이터이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는, CSV 파일 또는 DB 등에 기록된 데이터가 해당한다.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는, 예를 들면, 현장 데이터이다. 현장 데이터는, 장치 또는 장치에 부수하는 센서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이다. 예를 들면, 장치의 가동 상황 또는 고장, 유지 보수에 관한 데이터, 장치의 설정 파라미터의 데이터, 재료의 데이터, 환경(온도, 습도 등)의 데이터, 검사의 결과 얻어진 데이터, 장치의 가동 로그 데이터, 사람이 장치를 조작한 로그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는, 예를 들면, Edgecross 컨소시엄이 작성한, 제조 현장과 IT의 사이의 에지 컴퓨팅 영역의 개방적인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Edgecross」에 의해 수집하고 CSV 파일 형식 또는 DB에 보존한 장치의 데이터, 및, 시퀀서의 데이터 로깅 기능으로 기록하고, CSV 형식으로 보존된 장치의 가동 로그 파일 또는 프로그래머블 표시기에서, CSV 또는 Unicode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기록된 장치의 조작 로그 파일을 포함한다. 또한, 장치 파라미터의 예로서는,
(1) 장치의 설정값, 커스터마이즈 설계값, 기종, 기능의 ON/OFF 등 장치의 설정에 관한 설정 파라미터 정보,
(2) 재질, 특성 등 장치의 재료에 관한 재료 파라미터 정보,
(3) 온도, 습도, 기압 등 장치를 이용하는 환경에 관한 환경 파라미터 정보,
(4) 동작 시간, 처리 결과 등 장치 파라미터 조정의 결과의 검사에 관한 검사 파라미터 정보 등이 있다.
이러한 장치 파라미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서 취급해도 좋다.
개시용 데이터는, 각종 데이터를 통합한 통합 데이터여도 좋다. 통합 데이터는, 기계 설계 데이터, 전기 설계 데이터, 제어 설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는 데이터인 통합 모델이다. 통합 모델은, 구체적으로는, AutomationML 등, XML을 베이스로 하는 공개 사양의 표준 데이터 포맷으로 기술된다.
도 5는,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적용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조업자측 PC(10)는, 정보 제공 장치(100)와, 기억부(103)와, 통신부(104)와, 표시 장치(180)와, 입력부(190)와, 장치 설계 데이터 DB(11a)와,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DB(12a)를 갖는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프로세서(101)와 메모리(102)를 갖는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의 프로세서(101)와 휘발성의 기억 장치인 메모리(102)를 갖는다. 메모리(102)는, 예를 들면,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이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100)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DD) 등의 비휘발성의 기억 장치를 가져도 좋다.
정보 제공 장치(100)의 각 기능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현된다. 처리 회로는, 전용 하드웨어여도 좋고, 메모리(102)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101)라도 좋다. 프로세서(101)는, 처리 장치, 연산 장치,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컴퓨터,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 중 어느 하나라도 좋다.
처리 회로가 전용 하드웨어인 경우, 처리 회로는, 예를 들면, 단일 회로, 복합 회로,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병렬 프로그램화한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이들 중 어느 것을 조합한 것이다.
처리 회로가 프로세서(101)인 경우,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와 펌웨어와의 조합에 의해 실현된다.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는, 프로그램으로서 기술되고, 메모리(102)에 저장된다. 프로세서(101)는, 메모리(102)에 기억된 정보 제공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나는 각부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일부를 전용 하드웨어로 실현하고, 일부를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로 실현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처리 회로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 중 어느 것의 조합에 의해, 도 2에 나타나는 각 기능 블록의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도 6은, 장치 설계 데이터의 작성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장치 설계 데이터 작성부(11)는, 기계 설계 데이터, 전기 설계 데이터, 제어 설계 데이터를 작성하고, 장치 설계 데이터 DB(11a)에 저장한다(스텝 S11).
도 7은,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의 작성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작성부(12)는, 시험용 대상 장치(20)의 장치 파라미터를 조정하고(스텝 S22), 운용 데이터를 수집하여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DB(12a)에 저장하는(스텝 S23) 것을 반복해서 실행한다(스텝 S21).
도 8은,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의 생성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는, 개시 범위 정보를 취득하고(스텝 S31),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가공하여,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고(스텝 S32), 정보 제공처에 개시용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S33).
도 9는,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의 예에서는, 개시 범위 정보는, 개시 레벨 1 내지 5로 표시되고, 정보 제공처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의 정보량이, 개시 레벨 1 내지 5의 각각에 대해 결정되어 있다. 도 9의 예의 경우, 개시 레벨 1에서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데이터를 전혀 개시하지 않고, 개시 레벨 2에서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개시용 데이터의 개시 정보량은 '소'이며, 개시 레벨 3에서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개시용 데이터의 개시 정보량은 '중'이며, 개시 레벨 4에서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개시용 데이터의 개시 정보량은 '대'이며, 개시 레벨 5에서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데이터의 모든 것을 개시한다.
도 10은,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예에서는, 개시 범위 정보는, 개시 레벨 1 내지 5로 표시되고, 정보 제공처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의 기밀 정도가, 개시 레벨 1 내지 5의 각각에 대해 결정되어 있다. 도 10의 예의 경우, 개시 레벨 1에서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데이터는 「극비」 취급되고, 개시 레벨 2에서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데이터는 「비」(즉, 비밀) 취급되고, 개시 레벨 3에서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데이터는 「사외비(for company use only)」 취급되고, 개시 레벨 4에서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데이터는 「관계자외비」(즉, 관계자 이외에 비밀) 취급되고, 개시 레벨 5에서는, 대상 장치(40)에 관한 데이터는 「비 사외비」(즉, 사외비는 아님) 취급된다.
도 11은,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의 예에서는, 개시 범위 정보는, 개시 레벨 1 내지 5로 표시되고, 정보 제공처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의 범위가, 개시 레벨 1 내지 5의 각각에 대해 결정되어 있다. 도 11의 예의 경우, 개시 레벨 1에서는, 개시용 데이터는 기존의 문서 중 소스 코드 상당의 정보를 포함하고, 개시 레벨 2에서는, 개시용 데이터는 기존의 문서 중 내부 시방서 상당의 정보를 포함하고, 개시 레벨 3에서는, 개시용 데이터는 기존의 문서 중 외부 시방서 상당의 정보를 포함하고, 개시 레벨 4에서는, 개시용 데이터는 기존의 문서 중 매뉴얼 상당의 정보를 포함하고, 개시 레벨 5에서는, 개시용 데이터는 기존의 문서 중 카탈로그 상당의 정보를 포함한다.
도 12는, 개시 범위 정보와 거래 실정의 관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의 예에서는, 개시 범위 정보는, 개시 레벨 1 내지 5로 표시되고, 개시 레벨 1 내지 5는 정보 제공처와의 거래 실정에 따라 결정되어 있다. 정보 제공처가 첫 거래 상대인 경우는, 개시 레벨 1이 부여되고, 정보 제공처와 5년 미만의 거래가 있었던 경우는, 개시 레벨 2가 부여되고, 정보 제공처와 5년 이상 10년 미만의 거래가 있었던 경우는, 개시 레벨 3이 부여된다. 또, 정보 제공처와 10년 이상의 거래가 있었던 경우는, 개시 레벨 4가 부여되고, 정보 제공처와 10년 이상의 거래가 있고 또한 그룹 기업인 경우는, 개시 레벨 5가 부여된다.
도 13은,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예에서는, 개시 범위 정보로서, 작업자(조작자)용, 보수원용, 사용자의 라인 관리자용, 장치 제조업자의 라인 관리자용, 일원 관리가 이미 정해져 있다. 도 13의 예의 경우, 개시 범위 정보가 작업자용이면, 개시용 데이터는 장치의 조작에 필요한 정보이며, 개시 범위 정보가 보수원용이면, 개시용 데이터는 장치의 보수에 필요한 정보이다. 또, 개시 범위 정보가 사용자의 라인 관리자용이면, 개시용 데이터는 라인의 운용, 관리에 필요한 정보(일부 제한 있음)이며, 개시 범위 정보가 장치 제조업자의 라인 관리자용이면, 개시용 데이터는 라인의 운용, 관리에 필요한 정보(제한 없음)이며, 개시 범위 정보가 일원 관리이면, 개시용 데이터는 라인의 운용, 관리에 필요한 정보(제한 없음)이다.
도 14는, 개시 범위 정보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의 예에서는, 개시 범위 정보로서, 모바일 단말용, 내장된 표시기용, PC(로우 스펙)용, PC(하이 스펙)용이 이미 정해져 있다. 도 14의 예의 경우, 개시 범위 정보가 모바일 단말용이면, 개시용 데이터의 정보량은 '소'이며, 개시 범위 정보가 내장된 표시기용이면, 개시용 데이터의 정보량은 '중'이다. 또, 개시 범위 정보가 PC(로우 스펙)용이면, 개시용 데이터의 정보량은 '대'이며, 개시 범위 정보가 PC(하이 스펙)용이면, 개시용 데이터의 정보량은 모든 정보이다.
도 15는, 개시 범위 정보와 정보 제공처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6은, 도 15의 예에 있어서 개시되는 형상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의 예에서는, 개시 범위 정보는, 개시 레벨 1 내지 5로 표시되고, 개시 레벨 1 내지 5는 정보 제공처와의 거래 실정에 따라 결정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의 예의 경우, 개시 레벨 1에서는, CAD 데이터가 전혀 개시되지 않고, 개시 레벨 2에서는, 바운더리 박스 표시가 행해지고, 개시 레벨 3에서는, 모자이크 표시가 행해지고, 개시 레벨 4에서는, 와이어 프레임 표시가 행해지고, 개시 레벨 5에서는, CAD 데이터 전부의 정보가 개시된다. 바운더리 박스 표시에서는, 대상물을 내포하는 최소의 육면체(직육면체)를 표시한다. 모자이크 표시에서는, 사용자가 결정한 크기의 다면체의 집합으로 외형을 근사한 형상이 표시된다. 와이어 프레임 표시에서는, CAD로 작성된 형상의 면과 볼륨의 정보를 은닉하고, 에지에 상당하는 선으로 윤곽이 표시된다. 개시 레벨 5에서는, 전부의 선, 면, 볼륨(내용)을 포함하는 기하 정보가 표시된다.
도 17은, 개시되는 정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18은, 도 17의 예에 있어서의 개시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및 도 18의 예에서는, 개시 범위 정보는, 개시 레벨 1 내지 3으로 표시되고, 개시 레벨 1 내지 3은 정보 제공자인 장치 제조업자의 희망에 따라 결정되어 있다.
개시 레벨 1에서는, 제조업자측 PC(10)는, 라인 표시 화면(도 17)의 가시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조업자측 PC(10)는, 기계 설계 데이터로부터 기밀 정보가 솎아내져 디포르메(deformation)된(즉, 대상을 변형시켜 표현한) 장치의 외관 정보를 제공한다. 이 때, 제조업자측 PC(10)는, 설계 데이터로부터 추출한 형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또는 PDF(Portable Document Format) 파일로 변환하여 제공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가시화 소프트웨어에 의해 아무것도 없는 상태로부터 모식도를 작도하는 경우에 비해, 설계 데이터를 유용(流用)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도를 위한 작업량이 삭감된다. 또, 제조업자측 PC(10)는, 설계 데이터로부터 기밀 정보를 솎아내 얻어진 데이터에 근거한 모식도를 출력할 수 있다. 또, 가시화 소프트웨어에 미리 정해진 유사 장치의 화상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장치의 외관과 일치하는 모식도가 표시되기 때문에, 모식도에 의해 장치의 외관을 이해하기 쉽다.
개시 레벨 2에서는, 제조업자측 PC(10)는, 장치의 조작 화면의 가시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조업자측 PC(10)는, 기계 설계 데이터로부터 장치의 외관 정보를 추출, 가공하여 제공한다. 제공한 데이터는, 정보 제공처의 사용자측 PC(30)에서 확대·축소, 이동, 회전 조작 등의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사용자측 PC(30)를 사용하는 최종 사용자는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사용자측 PC(30)는, 가시화 S/W에서 제공되고 있는 램프 또는 수치 표시 등의 오브젝트와 설계 데이터를 연결시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측 PC(30)는, 형상 데이터로부터 인출선으로, 램프 또는 수치 표시 등의 오브젝트와 설계 데이터를 관련지어 표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는, 장치 외관과 오브젝트의 대응 관계를 직감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직육면체 형상의 오브젝트와 설계 데이터(가동 범위[mm], 출력[W])를 관련지어 표시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개시 레벨 3에서는, 제조업자측 PC(10)는, 장치 유지 보수 화면의 가시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예를 들면, 제조업자측 PC(10)는, 장치의 내부 정보, 전기 배선, 래더 프로그램, 장치 조정 파라미터, 주석 정보 등을 제공한다. 사용자측 PC(30)는, 제공된 데이터를, 형상 데이터, 가시화를 위한 화면 구성 요소인 버튼 또는 텍스트 등의 오브젝트와 관련시켜, 이러한 상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측 PC(30)는, 장치 유지 보수 화면에서, 형상 데이터와 관련지은 상태에서, 장치의 조정 방법, 조정값 등의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개시 레벨 3에서는, 개시 레벨 2의 경우와 달리, 제공된 데이터에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가 포함되기 때문에, 최종 사용자는, 장치의 조작 개소를 직감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작 개소에 대해서, 어떠한 조작 또는 어떠한 값의 설정을 행하면 좋을지를 알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장치 제조업자는, 최종 사용자로부터 조정 지원을 의뢰받는 것이 감소하여, 조정 지원을 위한 작업량과 시간을 삭감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개시용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기초로, 스스로 장치의 조정 및 유지 보수를 할 수 있게 되고(즉, 장치 제조업자에게 지원을 의뢰하는 통신이 없어져, 스스로 즉시 대처할 수 있게 되고), 생산 효율이 향상한다. 이 때, 운용 상황 가시화 S/W에,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입력으로서 기계 학습을 행하게 하고, 설정의 추천값을 출력하는 조정 지원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일반적인 레이저 가공기는, 레이저를 발진하는 레이저 발진기, 레이저가 통과하는 광로, 레이저를 집광하여 사출하는 가공 헤드 및 판재를 배치하는 테이블을 구비한다. 레이저 가공시에는, 레이저 가공기의 테이블 상에 가공 대상의 판재를 배치하고, 레이저 가공기가 갖는 좌표계에 따라 가공 헤드를 이동시키고, 레이저광을 사출하여 가공을 행한다. 레이저 가공기의 장치 제조업자는, 최종 사용자로부터의 요구 사양에 근거하여, 기계 CAD 소프트웨어로 기계 설계, 전기 CAD 소프트웨어로 전기 설계, 제어 소프트웨어로 제어 프로그램 설계를 행하고, 각 소프트웨어가 지원하고 있는 파일 형식으로 설계 데이터를 보존한다. 그 후, AutomationML 등에 대응한 설계 정보 제휴를 위한 소프트웨어에, 각 설계 데이터를 입력하여 통합 모델을 생성하고, 설계 검증 및 설계 데이터의 관리를 행한다. 이 때, 설계 데이터는 기밀 정보이기 때문에, 그대로는 최종 사용자에게 개시할 수 없다.
다음에, 장치 제조업자는, 대상 장치의 실기가 완성한 후에, 최종 사용자의 이용 환경에 맞추어, 대상 장치의 파라미터 조정을 행한다. 예를 들면, 최종 사용자가 취급하는 금속판의 사이즈, 소재의 종류에 따라, 가공 헤드의 가동 범위의 조정, 레이저의 출력값의 조정 등을 행한다. 이 때, 장치 파라미터의 조정은, 장치 제조업자측의 조정 작업자의 노하우 또는 시행 착오에 의해, 최적값이 설정된다. 이 때에 행한 시행 착오의 결과는, 장치 파라미터 조정의 이력으로서 기록된다.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도, 장치 제조업자의 기밀 정보이기 때문에, 그대로는, 최종 사용자에 개시할 수 없다.
다음에, 장치 제조업자로부터 최종 사용자에 대상 장치가 납품된다. 납품시에는, 장치 제조업자로부터 최종 사용자에 대해서, 운전 지도가 행해진다. 또, 설계 데이터와는 별도로, 매뉴얼, 조립도 등의 자료가 납품된다.
다음에, 최종 사용자는, 운전 지도 및 납품된 자료를 기초로, 대상 장치의 운용을 행한다. 최종 사용자는, 납품된 운전 지도시에 배운 내용, 납품된 자료를 기본으로, 대상 장치의 운용을 개시한다. 그러나, 최종 사용자는, 대상 장치의 전문가는 아니기 때문에, 기본적인 사용법은 가능하지만, 조정값의 변경, 특정 에러 시의 대처를 하지 못하고, 대상 장치를 잘 다룰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최종 사용자는, 장치 제조업자에 장치의 조정값의 변경, 에러 시의 대처에 관한 문의 또는 대응 의뢰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최종 사용자에 있어서는, 장치의 트러블 해결에 시간이 걸리는 요인으로 된다. 한편, 장치 제조업자에 있어서는, 본래의 업무와는 별도로, 조정값의 변경, 특정 에러의 대처 등에, 소비하는 시간이 증가한다.
또, 근래에는, 장치의 가시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 또는 가시화 S/W에 장치의 외관도 등을 표시한 화면을 작성하지만, 장치 제조업자로부터 설계 데이터를 입수할 수 없기 때문에, 최종 사용자는, 이용하고 있는 표시 장치 및 가시화 S/W에 부속되어 있는 작화 소프트웨어 등을 이용하여, 장치의 외관도를 새롭게 작화할 필요가 있다.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면, 장치 제조업자가 보유하는 장치 설계 데이터에 대해, 개시 범위 제어를 행하고, 개시용 통합 모델 등의 개시용 데이터를 출력하고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시 레벨을 제어하고, 제공하는 것에 의해, 장치 제조업자의 수고의 삭감을 꾀할 수 있고, 최종 사용자는, 필요 정보를 볼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면,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개시용 데이터의 개시 범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장치 제조업자로부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에 의해, 최적인 파라미터 설정 및 설정 시간의 단축화가 가능해진다.
또, 실시의 형태 1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를 이용하면, 형상 정보에 관련되는 기계 설계 데이터에 부가하여, 형상 정보에 관련되지 않는 전기 설계 데이터, 제어 설계 데이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대해서, 상세한 입도로 개시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개시 범위 정보는, 복수의 정보의 조합(예를 들면, 개시 레벨 정보, 개시 기간 정보, 개시 대상의 기기를 나타내는 정보, 개시 대상의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 등의 조합)이어도 좋다.
실시의 형태 2.
도 20은,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a)가 적용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에서는,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작성부(22)는, 대상 장치(40)의 동작을 결정하는 장치 파라미터의 조정시에, 대상 장치(40) 또는 시험용 대상 장치(20)의 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값(PLC(21)의 제어 신호) 및 대상 장치(40) 또는 시험용 대상 장치(20)에 구비된 센서(24)로부터의 출력값을 조정 데이터로서 수집하고, 수집된 조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작성부(22)는, PLC(21)를 조작하기 위한 표시·조작부(22c)와, 학습부(22b)를 이용한 기계 학습에 의해,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학습부(22b)는, 수집된 조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학습 완료 모델을 생성하고, 동 모델에서의 추천값 등을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학습부(22b)는, 수집한 조정 데이터로부터, 학습용 데이터 세트로서 정형·가공한 데이터를 생성한다. 다음에, 학습부(22b)는, 학습용 데이터 세트를 이용하여, 학습 완료 파라미터를 생성하기 위한 학습용 프로그램을 생성한다. 다음에, 학습부(22b)는, 학습용 프로그램에 학습용 데이터 세트를 입력한 결과 생성된 학습 완료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다음에, 학습부(22b)는, 학습 완료 파라미터를 내장한 학습 완료 프로그램으로서 학습 완료 모델을 생성한다. 상기와 같이 생성한 학습 완료 모델에 의해, 입력 데이터에 대해서, 장치를 최적 운용하기 위한 추천 설정값을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서 생성하는 것에 의해, 장치의 파라미터 조정을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완료 모델의 생성 방법으로서는, 베이즈 최적화(Bayesian optimization) 등이 고려되지만, 적용 가능한 기계 학습 수법은 베이즈 최적화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a)를 이용하면,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개시용 데이터의 개시 범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장치 제조업자로부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에 의해, 최적인 파라미터 설정 또는 설정 시간의 단축화가 가능하다.
상기 이외에 관해, 실시의 형태 2는,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다.
실시의 형태 3.
도 21은,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b)가 적용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장치 설계 데이터는, 참조 데이터(즉, 참조 정보)가 부가된 문자열을 포함하는 복합 문서의 형식으로 기억 장치에 장치 설계 데이터 DB(11a)로서 기억되고,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b)는,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참조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 DB(11a)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참조 데이터는, 대상 장치(40)의 구성의 속성 데이터, 대상 장치의 구성의 명칭, 및 대상 장치(40)의 구성에 첨부된 태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관련되고, 미리 작성된 복합 문서(예를 들면, XML 복합 문서)가 기억 장치에 데이터 구조 DB(23)로서 기억되어 있고,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b)는,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복합 문서로부터 문자열을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열에 관련된 데이터를,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b)를 이용하면,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개시용 데이터의 개시 범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장치 제조업자로부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에 의해, 최적인 파라미터 설정 및 설정 시간의 단축화가 가능해진다.
또,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복합 문서로부터 문자열을 추출하고, 추출된 문자열에 관련된 데이터를,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련성을 판정하는 경우에 비해, 처리 속도가 향상한다.
상기 이외에 관해, 실시의 형태 3은, 실시의 형태 1 또는 2와 동일하다.
실시의 형태 4.
도 22는,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c)가 적용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 제공 장치(100c)는, 장치 설계 데이터 또는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추출·가공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참조 데이터 등록부(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또, 도 22에서는, 장치 설계 데이터 작성부(11),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작성부(12), 참조 데이터 등록부(13), 및 각종 데이터베이스가, 정보 제공 장치(100c)의 일부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데이터베이스는, 정보 제공 장치(100c)와는 다른 기억 장치에 저장되어도 좋다.
도 23은, 정보 제공 장치(100c)에 의한 개시용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정보 제공 장치(100c)는, 장치 설계 데이터 또는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고(스텝 S41), 참조 데이터와 개시 범위 정보를 대응시키고(스텝 S42), 도 8에 나타나는 개시용 데이터의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스텝 S43).
《XML 형식으로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예》
예를 들면, 참조 데이터 등록부(13)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형식으로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관리하고, 동 형식으로 취급하는 속성 정보 또는 요소 정보로서 참조 데이터를 장치 설계 데이터 또는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부여한다. XML는, 사용자가 정의한 태그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의미 및 문장 구조를 기술할 수 있기 때문에, 설계 데이터의 데이터 구조를 XML의 형식으로 기술하고, 참조 데이터를 속성 정보 또는 요소 정보로서 부여하고, XML의 변환 엔진과 필터를 적용하는 것으로, 개시 범위 정보에 따른 정보의 추출 및 가공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XML에서는, 요소와 속성을 이하와 같이 기술한다.
<요소 속성="속성의 값">
요소의 내용</요소>
도 24(a)에는, XML의 속성 정보로서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고,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정보를 추출하는 예 1이 도시되어 있다. 예 1에 있어서, XML 파일은, 장치(Equipment) 안에 복수의 부품(Part)이 있고, 부품 안에 사이즈(size), 제어 정보(control) 등 복수의 요소가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예를 들면, 부품에 대해서, 개시 범위 정보와 연결시키기 위한 레벨(Level)을 속성 정보로서 부여해 둔다. 이것에 의해, 개시 범위 정보로서 레벨 1의 정보를 추출하도록 지정된 경우, 속성 정보를 참조하여 정보가 추출되고, 출력된다.
도 24(b)에는,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일부를 참조 데이터로서 취급하고,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정보를 추출하는 예 2가 도시되어 있다. 예 2에 있어서, XML 파일은, 예 1의 것과 거의 동일하고, 참조 데이터로서 속성 정보를 부여하고 있지 않은 점만, 예 1의 것과 다르다. 예 2에서는,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일부를 참조 데이터로서 취급하기 위해, 각 데이터의 속성 정보와 개시 범위 정보를 대응시켜 참조 테이블에 유지한다. 예를 들면, 개시 범위 정보의 레벨 1에, size의 속성 정보를 대응시켜 참조 테이블에 유지해 둔다. 이 때, 개시 범위 정보로서 레벨 1의 정보를 추출하도록 지정되면, 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레벨 1에 해당하는 size의 속성 정보를 갖는 데이터가 XML 파일로부터 추출된다.
《STEP 형식으로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예》
상기에서는, 참조 데이터 등록부(13)가, XML 형식으로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다른 형식으로 참조 데이터를 부여해도 좋다. 예를 들면, 참조 데이터 등록부(13)는, CAD 데이터 교환 규격인, 국제 규격 ISO10303(Standard for the Exchange of Product model data:STEP)을 이용하여 참조 데이터를 부여해도 좋다. 동 규격은, 제품의 형상 데이터, 어셈블리 구조, 주석 정보(치수, 공차) 등의 제품 설계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고 있고, XML 형식의 기술도 가능하다. STEP 형식에서는, 각 요소가 가지고 있는 "Label"에 특정 문자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Label에, 'Level1'이라는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120)는, Label이 "Level1"인 데이터만을 추출할 수 있다.
이하에, 점을 기술하는 CARTESIAN_POINT의 데이터에, Label로서 "Level1"을 부여한 예를 나타낸다.
(1) 형식
CARTESIAN_POINT(Label명, (x좌표, y좌표, z좌표))
(2) 예
#1=CARTESIAN_POINT('Level1', (1.0, 2.0, 3.0))
참조 데이터 등록부(13)는, STEP 형식의 security_classification_level을 이용한 참조 데이터를 부여한다. 또, STEP 형식에서는, security_classification_level을 이용하여, 각 요소에 기밀 구분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기밀 구분을 참조 데이터로서 취급해도 좋다. security_classification_level에 관련하는 엔티티는, 예를 들면, 이하의 사양이 되고 있다.
이하의 표 1의 security_classification의 엔티티는, 제품 데이터 보호의 목적으로 필요하게 되는 기밀성의 레벨을 정의한다.
ENTITY security_classification Attribute Population 비고
Name type : label = string security_classification를 인식하기 위한 라벨.
Purpose type : text = string security_classification의 의도를 비공식적으로 설명한다.
Security_level type : entity = security_-classification_level 필요한 시큐리티의 정도를 지정한다.
security_classification_level을 정의한다.
이하의 표 2의 security_classification_level의 엔티티는, 제품 데이터 보호에 필요한 시큐리티의 카테고리를 정의한다.
ENTITY
security_classification_level
Attribute Population 비고
Name type : label = string security_classification_level을 알기 위한 라벨.
이하의 표 3의 applied_security_classification_assignment의 엔티티는, security_classification을 security_classification_item에 할당하는 security_classification_assignment의 타입을 정의한다.
applied_security_classification_assignment Attribute Population 비고
assigned_security_classification type : entity = security_classification Assigned_security_classification는, 제품 데이터에 관련된다.
security_classification을 제공한다.
items type : entity = security_classification_item SET [1:? ]
security_classification이 할당되어 있는 아이템 세트.
시큐리티 분류는, 할당된 security_classification의 하나의 인스턴스이고 복수의 아이템에 할당된다.
상기 엔티티를 이용하여, 이하의 표 4와 같이 기술하는 것에 의해, 각 요소에 기밀 구분을 설정할 수 있다.
표 4에 있어서, #250은, security_classification이고, 「Name=confidentiality」라는 라벨을 붙이고, 「Purpose=classify as confidental」로서, 의도를 설명하는 문장을 기재하고, #260의 내용을 시큐리티의 정도로서 지정한다.
표 4에 있어서, #260은, security_classification_level이며, 「Name=confidential」이라는, 제품 데이터 보호에 필요한 시큐리티의 카테고리를 정의하고 있다. 이 정의에서는, Top Secret(극비), Secret(비밀), Confidential(사외비), Restricted(취급 주의) 등, 임의의 카테고리가 설정된다.
표 4에 있어서, #270은, security_classification_assignment이며, #250의 assigned_security_classification를, #180, #190, #240의 아이템에 할당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참조 데이터 등록부(13)는, security_classification_level을 이용하여, 기밀 구분을 참조 데이터로서, STEP 파일에 부여할 수 있다.
참조 데이터는, 각 설계 국면에서, 설계 데이터에 대해서 부여된다. 예를 들면, 장치 제조업자가 설계를 행하는 경우, 바텀 업 설계와 탑 다운 설계의 2 종류가 있다. 바텀 업 설계는, 부품이 있는 조립 설계이며, 미리 개개의 부품의 상세가 정해져 있고, 부품으로부터 전체를 조립해간다. 한편, 탑 다운 설계는, 전체 이미지의 구상으로부터 만들어내고, 세부의 부품 형상을 만들어간다. 탑 다운 설계에서는, 우선, 전체 이미지(레이아웃)의 형상을 먼저 설계하고, 그 후, 부품 하나 하나로 「분해」하여, 부품의 상세 형상을 설계한다. 그 후, 기계 가공 등을 할 수 있도록 치수 공차, 기하 공차, 표면 거칠기, 표면 처리 등의 작업 지시까지 더한 상세 설계가 행해진다.
이것에 대해서,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처리의 흐름을 설명한다. 설계자는, 우선, 전체 이미지(레이아웃)의 설계를 실시한다. 다음에, 전체 이미지(레이아웃)의 설계 데이터에 대해서, 각 요소에 일괄로 "Level1"을 참조 데이터로서 부여한다. 다음에, 설계자는, 부품 형상의 상세 설계를 실시한다. 다음에, 부품 형상의 상세 설계가 완료한 시점에서 추가된 설계 데이터, 즉, 부품 형상의 상세 설계가 완료한 시점에서의 설계 데이터이며, 또한 참조 데이터로서 "Level1"이 부여되어 있지 않은 설계 데이터에 일괄로, "Level2"를 참조 데이터로서 부여한다.
다음에, 설계자는, 제조에 필요한 치수 공차, 기하 공차, 치수의 허용 한계, 표면 성상(性狀), 표면 거칠기, 표면 처리, 용접 기호 등의 작업 지시의 추가를 행한다. 다음에, 작업 지시의 추가가 완료한 시점에서 추가된 설계 데이터, 즉, 작업 지시의 추가가 완료한 시점에서의 설계 데이터이며, 또한 참조 데이터로서 "Level1", "Level2"가 부여되어 있지 않은 설계 데이터에 일괄로, "Level3"을 참조 데이터로서 부여한다.
이와 같이, 설계 데이터를 작성하는 각 국면에서,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120)가 취득한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b)에서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바텀 업 설계의 경우도, 동일하게 설계 국면에 의해,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개시 범위를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이외에, 설계 데이터에 운전 정보 또는 보수 정보를 추가 기재하고, 해당하는 정보에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여 관리해도 좋다.
참조 데이터의 부여 기능은, 각종 CAD 소프트웨어의 기능으로서 실현되어도 좋고, CAD 소프트웨어와는 독립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으로서 실현되어도 좋다.
또, 설계 국면마다,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모든 설계 완료 후, 개개의 설계 데이터에 참조 데이터를 부여해도 좋다.
《참조 데이터에 근거한 데이터 추출 방법(Pull Parsing)》
XML의 속성 정보 및 요소 정보는,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Pull Parsing은, XML 문서를, 최초부터 차례로 판독하여, Iterator 패턴의 디자인 패턴을 사용하여 항목(item)의 일련의 흐름으로서 취급한다. Pull Parsing으로 작성되는 「반복자(iterator)」는, XML 문서 중의 다양한 요소, 속성, 데이터를 차례로 방문한다. 「반복자」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처리 중에 현재의 항목(예를 들면, 요소의 개시, 요소의 종료, 텍스트)을 조사하고, 그 특성(예를 들면, 요소의 명칭, 명칭 공간, 속성값, 텍스트 내용)을 조사한다. 그리고, 반복자에게 「다음의」 항목으로 이동하도록 지시할 수도 있다. 프로그램은, 이와 같이 XML 문서를 주사하도록 하여, 문서로부터 정보를 꺼낼 수 있다.
《참조 데이터에 근거한 데이터 추출 방법(XLink)》
XML에 링크된 파일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으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XML Linking Language(XLink)는, XML 데이터가 보존된 파일, XML의 요소·속성, 문자열 등, 링크를 거는 대상인 리소스 사이에 걸린 링크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언어이다. XLink가 기술하는 링크는, 단순 링크(Simple link)와 확장 링크(Extended link)의 2개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단순 링크란, 1개의 리소스로부터 또 하나의 리소스로 일방 통행으로 걸린 링크이다. 확장 링크란, 복수의 리소스를 향해 걸리는 링크, 또는 쌍방향으로 걸린 링크이다. 링크에 부가적인 속성을 붙여, 리소스 또는 링크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크에, 링크명 또는 설명, 리소스의 종류, 링크처의 역할 등을 기술할 수 있다. 또, 링크가 걸리는 리소스를 수정하지 않고, 링크를 걸 수 있다.
《참조 데이터에 근거한 데이터 추출 방법(XPointer)》
XML Pointer Language(XPointer)는, 링크를 거는 대상을 상세하게 특정하기 위한 언어이다. 링크처로서, XML 데이터의 파일 전체를 지정하고, 및, 식별자(id속성 등)가 붙은 요소를 지정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일한 요소가 차례로 나열되어 있을 때의 m번째(m는 자연수)라는 지정, 또는 요소 내용인 텍스트 데이터의 n번째의 문자(n는 자연수)라는 지정을 행할 수 있다.
XLink에서는, XML의 데이터 구조에 대해서 관련하는 파일을 링크시킬 수 있기 때문에, XML의 데이터 구조에 기술할 수 없는 형상 데이터 또는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는, 링크 데이터로서 관련시킬 수 있지만, XPointer에서는, 링크처로서, XML 데이터의 파일 전체는 아니고, 부분적인 지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링크된 데이터 중, 기간, 또는 대상 부품 등의 조건을 지정하여, 링크처 데이터의 일부를 추출 및 가공할 수 있다.
이하에,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120) 및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b)를 갖는 S/W의 예를 나타낸다. 동 S/W는, 설계 데이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설계 데이터 표시 영역, 설계 데이터의 구조를 트리 표시하는 데이터 구조 표시란, 사용자 조작에 의해 개시 범위 정보를 설정하는 개시 범위 지정란을 갖는다.
미리, 참조 데이터를 부여한 설계 데이터를 입력하면, 설계 데이터의 요소를 검색하고, 부여되어 있는 참조 데이터로 정의되어 있는 기밀 구분을 일람 표시한다. S/W에 설계 데이터를 입력했을 때에, 참조 데이터를 검색하고, 개시 범위 지정란에, 부여된 참조 데이터에 근거하는 개시 범위 지정을 위한 정보가 표시된다. 예를 들면, 참조 데이터로서 Level1 내지 Level5를 부여해 두면, 개시 범위 지정란에, Level1 내지 Level5의 선택지가 표시된다.
도 25는, 개시 범위 지정란을 갖는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정보 제공처에 따라, 개시 범위 지정란에서, Level1 내지 Level5의 체크 박스로 개시 범위를 지정한다.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120)는, 지정된 정보를 취득하고, 개시 범위 정보와 설계 데이터에 부여된 참조 데이터의 대응에 따라 설계 데이터를 추출하고, 데이터 구조 표시란 또는, 설계 데이터 표시 영역에 표시한다. 데이터 구조 표시란에서는, 지정된 개시 범위에 대응한 참조 데이터가 부여된 설계 데이터만 체크 박스가 ON으로 되고, 지정된 개시 범위에 대응하고 있지 않는 설계 데이터의 체크 박스는 OFF로 된다. 또, 설계 데이터 표시 영역에는, 지정된 개시 범위에 대응한 참조 데이터가 부여된 설계 데이터만이 표시된다. 개시 범위를 지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출력 버튼을 누르면, 추출되고 있는 설계 데이터만을 개시용 데이터로서 출력한다.
도 26은, 개시용 데이터 표시 S/W와 표시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정보 제공처의 사용자측 PC(30)는, 개시용 데이터를 입수하고, 개시용 데이터 표시 S/W에 개시용 데이터를 입력한다. 개시용 데이터 표시 S/W는, 정보 제공원으로부터 입수한 설계 데이터와 현장으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가시화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파일 단위》
상기 설명에서는, XML 또는 STEP 파일의 요소에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했지만, 파일의 헤더 정보 등에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고, 파일 단위로 데이터를 추출해도 좋다.
기계 설계 CAD로, 장치 설계를 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탑 어셈블리 파일, 서브 어셈블리 파일, 및 파츠(parts) 파일이 작성된다. 탑 어셈블리 파일은, 장치 전체를 설계한 파일이며, 복수의 서브 어셈블리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서브 어셈블리 파일은,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기기를 설계한 파일이며, 복수의 파츠 파일로 구성되어 있다. 파츠 파일은, 기기에 포함되는 부품을 설계한 파일이며, 기계 설계 파일의 최소 단위이다. 각 파일은, STEP 파일로서 보존할 수 있다.
STEP 파일에서는, 각 파일에 헤더 정보를 기재할 수 있다. 각 파일을 지정하고, 헤더에 개시 레벨 정보를 기재한다. 예를 들면, STEP에는, 파일의 정보를 기재하는 헤더 섹션과, 실제의 데이터를 기술하는 DATA 섹션이 있다. 헤더 섹션의 FILE_NAME는, 필드의 사용 방법에 엄밀한 규칙이 없기 때문에, FILE_NAME에, 예를 들면, Level1 내지 Level5의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고,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120)에서 Level1이 지정된 경우,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b)는, 복수의 STEP 파일 중에서, FILE_NAME가 name=Level1로 되어 있는 파일만을 추출하여,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한다.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b)를 갖는 S/W(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나는 개시용 데이터 생성 S/W의 입력용 화면)에, 참조 데이터 등록부를 추가하고, GUI를 이용하여 참조 데이터를 부여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동 S/W에 STEP 파일의 탑 어셈블리 파일 및 그것에 관련되는 서브 어셈블리 파일, 파츠 파일을 입력하면, 화면에 판독한 형상 데이터와, 파일의 트리뷰(tree view)를 표시한다. 사용자는, 트리뷰로부터 파일을 선택, 또는, 형상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으로부터 대상을 선택하고, 선택한 파일에 부여하는 참조 데이터를 풀다운 조작, 키 입력 조작 등으로 지정하여 보존한다. 이 때, 내부 처리로서는, 선택된 STEP 파일을 열고, 헤더 정보에 지정된 참조 데이터를 추가 기재하고, 파일을 덧쓰기하여 보존한다.
개시용 데이터 생성 S/W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참조 데이터가 부여된 설계 데이터를 입력하면, 헤더 정보를 참고로 사용자가 선택한 개시 범위에 대응하는 참조 데이터에 따라, 개시용 모델을 출력한다.
이것에 의해, 서브 어셈블리 파일 또는 파츠 파일 단위로 개시 범위의 설계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120)에서, 개시 범위에 따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참조 데이터를 부여해 두고,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110b)에서 변환 또는 필터 처리를 행하는 것에 의해, 개시 범위에 따른 설계 데이터의 추출 및 가공을 할 수 있다.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대한 개시 제어》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는, 장치 설계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XML 형식으로 관리해도 좋고, XML 형식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링크된 CSV 형식으로 관리해도 좋다. 예를 들면, XML의 설계 데이터에, 개시 범위를 나타내는 속성 정보와, 링크처 파일에 대해서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참조 데이터로서 부여해 두는 것에 의해, 속성 정보가 Level1의 설계 데이터를 추출하고, 또한, 동 설계 데이터에 링크된 장치 조정 파라미터 데이터 중, 지정 기간 내의 데이터만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CSV 데이터로서, 일자, 장치 설정 파라미터, 환경 파라미터, 재료 파라미터, 검사 파라미터 등의 정보를 기재해 두고, XML의 참조 데이터에서, 링크처의 CSV 파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는 대상의 기간의 정보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기간을 나타내는 정보로서 「2021/4/1」~ 「2021/4/30」을 지정하면, 4월의 1개월 분의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기간뿐만이 아니라, 대상 기기, 환경 조건 등을 지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장치 제조업자가 4월에 A사에 납품한 장치의 조정 데이터 중, 환경의 온도가 18℃ 이상의 데이터와 같이 복수 조건을 조합하여 지정해도 좋다.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서는, 장치로부터 취득한 생 데이터(raw data)를 취급해도 좋고, 학습용으로 생 데이터를 가공한 학습용 데이터 세트, 학습 완료 파라미터를 내장한 학습 완료 프로그램인 학습 완료 모델, 학습 완료 모델을 실행하여 얻어진 장치 파라미터 조정의 추천값 정보를 링크시켜 관리해도 좋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c)를 이용하면,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개시용 데이터의 개시 범위를, 유연하게 설정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장치 제조업자로부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으로, 최적인 파라미터 설정 및 설정 시간의 단축화가 가능해진다.
상기 이외에 관하여, 실시의 형태 4는, 실시의 형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다.
실시의 형태 5.
실시의 형태 5에서는, 설계 데이터로부터 라인 레이아웃 설계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고,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내지 4에서는, 개시용 설계 데이터를 가시화 소프트웨어에 입력하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여기에서는, 설계 데이터로부터 치수 또는 외관 정보 등 라인 레이아웃 설계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고,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최종 사용자는, 제조 라인을 검토할 때, 라인 레이아웃 설계 지원 툴 등을 이용한다. 예를 들면, 이하의 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라인 레이아웃 설계 지원 툴을 이용하는 예를 설명한다.
비특허문헌 1 : URL <https://monoist.atmarkit.co.jp/mn/articles/2007/ 06/news078.html>, 미시마 가즈타카 저, 「제조 현장용 AI 기술, 그 라인 구성은 정말로 효율적인가, 최적인 생산 레이아웃을 검토하는 AI」, MONOist사, 2020년 7월 6일 공개
라인 레이아웃 설계는, 최종 사용자가 실시하는 경우 외에, 장치 제조업자가 하청받는 경우, 다른 SIer(System Integrator)가 하청받는 경우, 등이 있다. 이 때, 장치의 설계 데이터로부터, 치수 정보 및 외관 정보 중 적어도 한쪽을, 개시용 데이터로서 추출한다. 그 후, 개시용 데이터를 라인 레이아웃 설계 소프트웨어에 입력한다. 라인 레이아웃 설계 소프트웨어에서는, 장치의 외관을 표시하면서, 치수 정보로부터, 에리어에 장치를 배치할 수 있는지, 또는, 다른 장치와의 간섭 등을 검증하면서, 라인 레이아웃을 설계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5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를 이용하면, 설계 데이터로부터 치수 또는 외관 정보 등 라인 레이아웃 설계에 필요한 정보만을 추출하고,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최종 사용자는, 동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으로, 장치가 라인의 상정 에리어에 들어가는지, 다른 장치와 간섭하지 않는지 등을 라인 레이아웃 설계 지원 툴로 검증하면서 라인 설계가 가능해진다.
상기 이외에 관해, 실시의 형태 5는, 실시의 형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다.
변형예.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장치 설계 데이터에 대해서 개시 제어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공정 설계 데이터, 제품 설계 데이터, 최종 사용자의 현장 데이터, 기계·전기·제어 설계 데이터를 통합 관리한 통합 데이터 등에 상기 개시 제어를 적용해도 좋다.
최종 사용자의 현장 데이터에 대해서는, 장치 제조업자로서는 현장의 장치 운용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현장 데이터를 수집할 필요가 있지만, 최종 사용자로서는, 기밀 정보가 포함되기 때문에, 그대로는 장치 제조업자에게 제공할 수 없다. 그래서, 현장 데이터에 대해서 개시 범위를 제어하여, 장치 제조업자에게 제공한다. 예를 들면, 장치의 가동 이력 및 조작 로그 등의 현장 데이터를 CSV 파일 또는 XML 파일로 관리해 두고, 개시 범위 제어에 의해, 장치 제조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트러블 발생시의 조사, 또는 시뮬레이터 상에서의 상황 재현, 장치의 가동 로그와 조작 로그를 비교하는 것에 의한, 원인의 1차 분리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형상 정보에 관련되는 정보를 성근 입도(granularity)로밖에 개시 레벨을 제어할 수 없었지만,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기계 설계 데이터에 부가하여, 형상 정보에 관련되지 않는 전기, 제어 설계 데이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개시 제어할 수 있는 데이터의 종류가 확대된다.
또, 테이블을 참조하여, 개시 레벨에 따라 제공 정보(항목)의 가부를 설정하는 경우에 비해, 설계 데이터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참조 데이터를 부여할 수 있어, 세밀한 입도로 개시 제어를 할 수 있다.
또, 테이블을 참조하는 경우에는, 다른 테이블을 유지하여 참조할 필요가 생기지만, 상기 실시의 형태에서는, 설계 데이터에 직접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것으로, 일원 관리를 할 수 있고, 테이블을 이용하여 관련성을 판정하는 경우에 비해, 처리 속도가 향상된다.
최종 사용자는, 장치 제조업자로부터 개시용의 설계 데이터 및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입수하는 것으로, 이러한 데이터를 장치의 운용, 유지 보수, 트러블 대응, 장치 파라미터 조정 시에 참조하고, 작업 효율화가 가능해진다.
10, 10a, 10b, 10c 제조업자측 PC, 11 장치 설계 데이터 작성부, 11a 장치 설계 데이터 DB, 12, 22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작성부, 12a, 22a 장치 파라미터 조정용 데이터 DB, 13 참조 데이터 등록부, 20 시험용 대상 장치, 21 PLC, 23 데이터 구조 DB, 24 센서, 30 사용자측 PC, 31 개시용 장치 설계 데이터, 32 개시용 장치 파라미터 조정용 데이터, 40 대상 장치, 100, 100a, 100b 정보 제공 장치, 101 프로세서, 102 메모리, 103 기억부, 104 통신부, 110, 110b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 120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

Claims (15)

  1. 정보 제공처에 개시하는 것이 인정되는 대상 장치에 관한 정보의 범위를 나타내는 개시 범위 정보를 취득하는 개시 범위 정보 취득부와,
    상기 대상 장치의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설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대상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장치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처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는, 상기 대상 장치의 기계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기계 설계 데이터와, 상기 대상 장치의 전기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전기 설계 데이터와, 상기 대상 장치의 제어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제어 설계 데이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설계 데이터는, 기계 설계용 CAD 툴로 작성된 파일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설계 데이터는, 전기 설계용 CAD 툴로 작성된 파일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설계 데이터는, 제어 설계용 프로그램의 파일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상기 장치 파라미터의 조정 시에, 상기 대상 장치 또는 시험용 대상 장치의 가동 상태를 나타내는 값 및 상기 대상 장치 또는 상기 시험용 대상 장치에 구비된 센서로부터의 출력값을 조정 데이터로서 수집하고, 수집된 상기 조정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작성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 작성부는, 기계 학습을 이용하여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는,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정보 제공처에 제공되는 상기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에 의해 행해지는 가공은, 상기 추출된 상기 데이터의 암호화에 의한 은닉에 의해 상기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LOD 기술에 의한 정도의 변경에 의해 상기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및 상기 추출된 상기 데이터를 다른 데이터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 또는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상기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데이터를 추출·가공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참조 데이터를 부여하는 참조 데이터 등록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일부를, 상기 개시 범위 정보와 연결된 참조 데이터로서 관리하는 참조 데이터 등록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는, 참조 데이터가 부가된 문자열을 포함하는 복합 문서의 형식으로 기억 장치에 기억되고,
    상기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상기 참조 데이터를 참조하여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데이터는, 상기 대상 장치의 구성의 속성 데이터, 상기 대상 장치의 구성의 명칭, 및 상기 대상 장치의 구성에 첨부된 태그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에 관련되고, 미리 작성된 복합 문서가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개시용 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상기 복합 문서로부터 문자열을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문자열에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 범위 정보는, 개시 레벨 정보, 개시 기간 정보, 개시 대상의 기기를 나타내는 정보, 개시 대상의 조건을 나타내는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장치.
  14.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정보 제공처에 개시하는 것이 인정되는 대상 장치에 관한 정보의 범위를 나타내는 개시 범위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대상 장치의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설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대상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장치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처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방법.
  15. 정보 제공처에 개시하는 것이 인정되는 대상 장치에 관한 정보의 범위를 나타내는 개시 범위 정보를 취득하는 스텝과,
    상기 대상 장치의 설계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설계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대상 장치의 동작을 결정하는 장치 파라미터에 관한 데이터인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를 취득하고, 상기 개시 범위 정보에 따라 상기 장치 설계 데이터 및 상기 장치 파라미터 조정 데이터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정보 제공처에 제공되는 개시용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텝
    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제공 프로그램.
KR1020237041782A 2021-06-14 2021-06-14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프로그램 KR20230169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1/022446 WO2022264193A1 (ja) 2021-06-14 2021-06-14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9468A true KR20230169468A (ko) 2023-12-15

Family

ID=8452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1782A KR20230169468A (ko) 2021-06-14 2021-06-14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프로그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94701A1 (ko)
JP (1) JP7462841B2 (ko)
KR (1) KR20230169468A (ko)
CN (1) CN117425892A (ko)
DE (1) DE112021007474T5 (ko)
WO (1) WO202226419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7012A (ja) 2017-03-01 2018-09-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協調設計支援装置、協調設計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9073B2 (ja) * 2005-01-13 2011-01-12 凸版印刷株式会社 商品情報データベースシステム
JP4693620B2 (ja) * 2005-12-15 2011-06-01 富士通株式会社 Cadデータ管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1206294A (zh) 2006-12-14 2008-06-25 富士胶片株式会社 透镜光学系统的偏心调整方法、偏心调整装置和偏心调整程序
JP5544268B2 (ja) * 2010-10-12 2014-07-09 鹿島建設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47012A (ja) 2017-03-01 2018-09-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協調設計支援装置、協調設計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21007474T5 (de) 2024-02-01
WO2022264193A1 (ja) 2022-12-22
TW202248944A (zh) 2022-12-16
CN117425892A (zh) 2024-01-19
JPWO2022264193A1 (ko) 2022-12-22
JP7462841B2 (ja) 2024-04-05
US20240094701A1 (en)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51636B (zh) 工程设计工具、系统及模块
KR101812241B1 (ko) 통합 경영표준 인증 관리 방법
JP6668182B2 (ja) 回路設計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回路設計方法
CN112559351B (zh) 一种cfd软件验证与确认数据库平台
KR20160148911A (ko) 산업유형별 공정 데이터 분석 및 검증 기술과 hw-sw 융합 프레임워크 기반의 정보통합 시스템
US6389407B1 (en) Method for documenting engineering rules
KR100982527B1 (ko)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Qiao et al. Data driven design and simulation system based on XML
CN114371845A (zh) 表单生成方法及装置
JPWO2007086120A1 (ja) 情報処理装置、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200060022A (ko) 통합 경영시스템
Nardello et al. Incorporating process and data heterogeneity in enterprise architecture: Extended AMA4EA in an international manufacturing company
JP4084229B2 (ja) 製品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2100768A (zh) Cad模型审查方法及系统
KR20230169468A (ko) 정보 제공 장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정보 제공 프로그램
TWI838638B (zh) 資訊提供裝置、資訊提供方法以及記錄資訊提供程式的記錄媒體
KR20050094415A (ko) 제품 설계 지원 시스템, 제품 설계 지원 방법 및 프로그램
Runde et al. EDDL and semantic web—From field device integration (FDI) to Future Device Management (FDM)
JP7479582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方法、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05447279A (zh) 几何产品智能公差规范设计方法和可视化公差标注系统
JP2004178170A (ja) 設計製造データ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4929018B2 (ja) セルコンセプトを用いた設計方法、図面作成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1337824A (ja) 原子力計装設計支援システム
Schilberg et al. Virtual Production-The connection of the modules through the Virtual Production Intelligence
Abrantes et al. Data exchange format requirements and analysis collaboration in PCB de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