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527B1 -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527B1
KR100982527B1 KR1020080050056A KR20080050056A KR100982527B1 KR 100982527 B1 KR100982527 B1 KR 100982527B1 KR 1020080050056 A KR1020080050056 A KR 1020080050056A KR 20080050056 A KR20080050056 A KR 20080050056A KR 100982527 B1 KR100982527 B1 KR 1009825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block
check sheet
simulation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4059A (ko
Inventor
허희영
원석희
박중구
양진혁
장태원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0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52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0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0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과 웹 시스템 및 이메일 결재 시스템간 시스템 통합을 통해, 데이터로서 활용 가능하고 시뮬레이션이 가능한 문서의 작성 및 공유를 용이하여, 블록 조립시 블록정도 예측과 치수품질 관리를 효율적 및 계통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은 선박 생산 정도 관리 프로세스를 위한 것으로서, 선박의 블록에 대한 치수 품질문제의 통계적 분석 데이터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한 정보체크시트 원도 파일, 체크시트 완성 파일,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을 작성하는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100)과, 이런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에서 작성된 파일을 네트워크망(10)을 통해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시키고 파일을 분석하여 정보로서 기록 저장하는 웹 시스템(200)과, 파일의 교환, 공유, 전자 결재를 수행하는 이메일 결재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 웹 시스템, 이메일 결재 시스템, 체크시트, 시뮬레이션

Description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Total Dimensional Accurac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Block Assembly}
본 발명은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기준 문서인 체크시트(Check sheet)의 작성과 활용이 가능하여 선박 회사 또는 기타 대형 블록을 설계 또는 제조하는 회사에서 사용되어 통합적인 블록정도 예측 및 관리를 수행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된 블록 단위의 중간제품을 서로 쌓으며 연결하는 선박 생산의 특성상, 도크내 탑재를 위해 제작된 대형블록에서부터 그 대형블록을 구성하는 조립 완성된 소형블록까지 모든 대상 블록의 치수 정확도는 건조 공정의 중요한 품질 관리 대상이며, 설계 또는 제조단계에서 블록정도의 예측 및 관리가 통합적으로 가능할 경우 선박 제조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기술에 따른 선체 블록의 제조과정에서는 치수품질 불량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때 치수품질에 대한 품질 관리 목적으로 단순한 작업일지와 같이 해당 치수품질 내용을 단순 워드 작업을 통해 문서화하고 있으므로 체계적으로 블록정도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기술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서 내의 세부 내용 자체를 데이터로서 활용할 수 없는 단순 문서파일 형식의 치수품질 관리문서(1)가 일반적인 블록 치수 품질 관리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치수품질 관리문서(1)는 1차적으로 수작업으로 작성 또는 메모한 후 2차적으로 문서화 작성을 통해 작성된다.
예컨대, 종래의 치수품질 관리문서(1)는 블록 치수품질 검사기준 문서 또는 블록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등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문서작성기, 워드프로세서 또는 유사 문서 작성 시스템(예 : MS워드, 아래아한글 등)에 의해 단순 기록 방식으로 작성되고 있다.
종래의 치수품질 관리문서(1)는 해당 블록의 블록 형상정보(2)에서 미리 기획된 해당 계측위치들을 작업자의 육안으로 찾아서, 그 찾은 계측위치별로 표식(3)을 표시시키고, 그 표식(3)의 순번을 인덱스와 같은 번호 순서에 맞게 3차원 설계정규값(4, 5)을 일반적인 표에 입력하여 단순히 문서화 된다.
이러한 치수품질 관리문서(1)는 다음 공정에서 수정, 변경 등이 발생될 경우 문서화 작업이 반복되어 최종 완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치수품질 관리문서가 단순히 상용화된 워드프로세스 프로그램 또는 일반적인 문서작성기를 이용하여 작성됨에 따라, 컴퓨터를 활용한 문서 작성에도 불구하고, 문서에 사용된 블록형상 그림이나 기재된 복수개의 3차원 설계정 규값이 모두 문서 작성을 위한 단순한 객체로서 인식될 뿐 향후 활용 가능한 데이터적 의미 또는 활용 가능한 요소로서의 구현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치수품질 관리문서가 체크시트로서 완비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설계정규값과 계측값의 수동 비교, 오차량 계산, 오차량 표시 등과 같이 반복적으로 문서화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치수품질 관리문서의 정밀도는 블록 수정 여부를 판단하거나 최적의 조건을 찾기 위한 좌표변환 수행 회수와 작업자의 경험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수작업으로 문서화되는 특성 상, 작업자별 경험 및 노하우에 따라 문서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달라져서, 치수품질 관리문서 작성의 표준화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처럼 종래의 치수품질 관리문서의 작성에서는 1차적으로 수작업으로 작성된 후 2차적으로 수작업 작성 결과를 워드프로세서 프로그램으로 옮겨 작성하기 때문에 반복적인 업무가 발생되고, 많은 작업 시간을 요구하며, 용이하게 작성하기 어려우며, 특히 탑재 블록과 도크내 블록간 수정량을 산출하는 작업을 컴퓨터 상에서 용이하고 편리하게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수단의 부재로 인하여, 과도한 수작업에 따른 작업 불편성과 함께 과도한 작업 시간이 요구되고, 숙련자와 미숙련자간 품질 편차가 발생되며, 반복적인 수작업 가운데 직접 확인하고, 판단하고, 작업하면서 문서 작업까지 병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연속성이 떨어지고 업무 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과 웹 시스템 및 이메일 결재 시스템간 시스템 통합을 통해, 블록 조립시 치수품질을 효율적이며 계통적으로 접근 및 관리할 수 있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의 초기화면(이하 '초기화면'으로 약칭 함)을 통해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을 통합 구성함에 따라, 기존 수동 연산과 문서작성에 의존한 일련의 선박 생산 정도 관리 프로세서를 컴퓨터 시스템 기반의 효율적인 전산작업 방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회사 내부의 네트워크망을 통해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과 웹 시스템 및 이메일 결재 시스템간 통합을 통해, 체크시트 또는 조립 시뮬레이션에 관련된 복수의 문서를 웹 상에서 공유 및 활용하여 블록정도를 예측 및 관리할 수 있고, 나아가 블록정도 관리와 블록 수정 및 세팅 작업간에 기밀한 연계성을 실현함으로써, 인적, 시간적, 물적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고, 향후 시스템적인 통계분석과 설계 피드백을 실현할 수 있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은 선박 생산 정도 관리 프로세스를 위한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블록에 대한 치수 품질문제의 통계적 분석 데이터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한 정보체크시트 원도 파일, 체크시트 완성 파일,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을 작성하는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 상기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에서 작성된 파일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시키고 파일을 분석하여 정보로서 기록 저장하는 웹 시스템; 상기 파일의 교환, 공유, 전자 결재를 수행하는 이메일 결재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에 의해 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은 상기 파일의 작성을 위한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과,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과,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의 실행을 위해서, 해당 모듈별 실행 아이콘이 구비 또는 배열된 초기화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선박 생산 정도 관리 프로세스를 위한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에서는,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이 자체 구비된 테이블 입력창을 이용하여 체크시트 원도 파일을 작성하는 체크시트 원도 작성단계; 이메일 결재 시스템이 작성된 상기 체크시트 원도 파일을 웹 시스템에게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제1웹 등록단계;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이 자체 구비된 스마트 세팅창을 이용하되, 상기 체크시트 원도 파일을 상기 웹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불러온(import) 후, 블록 계측값 입력, 자동 변환 및 오차량 계산에 따른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작성하는 체크시트 문서 작성단계; 상기 이메일 결재 시스템이 작성된 상기 체크시트 완성 파 일을 상기 웹 시스템에게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제2웹 등록단계; 상기 웹 시스템과 상기 이메일 결재 시스템이 상호 연계를 통해서 블록 수정 또는 세팅과 같은 작업지시를 블록 수정세팅 실행부서 쪽으로 전달하는 제1작업지시단계; 상기 웹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 가공처리부가 업로드된 체크시트 원도 파일 또는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데이터 파싱(data parcing)하여 DB화 할 때, 블록 치수품질의 원인분석, 관리지표 자동계산, 통계적 관리(SPC : Statistical Process Control), 선후공정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DB화된 정보를 가공처리하는 제1데이터 가공처리단계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체크시트 완성 파일이 상기 웹 시스템에 업로드되어 있을 경우에,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이 자체 구비된 시뮬레이션 스마트 세팅창을 이용하되, 적어도 2개의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상기 웹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불러온 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을 작성하는 블록 조립 시뮬레이션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단순한 문서작업의 의미를 벗어나 데이터로서 공유, 가공, 분석, 활용이 가능한 각각의 파일, 즉 체크시트 원도 파일(예 : *.LEO)과 체크시트 완성 파일(예 : *.LEA)과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예 : *.LES)을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에 의해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의 구성요소인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을 초기화면을 통해 통합 사용 가능하게 함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각각의 모듈에서 작성된 파일들을, 이메일 결재 시스템을 이용하여, 웹 시스템 상에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하여, 파일 공유 또는 교환이 이루어지고, 이때 웹 시스템의 DB관리부 또는 데이터 가공처리부가 해당 파일을 분석하여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 하여 계통적으로 통합 관리 가능하고 향후 시스템적인 통계분석과 설계 피드백 목적으로 활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의 초기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의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의 캡쳐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의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의 캡쳐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의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의 캡쳐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웹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또한, 도 8a는 체크시트 원도 작성, 체크시트 작성을 기준으로 한 본 발명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8b는 체크시트 원도 작성, 체크시트 작성 및 조립 시뮬레이션을 기준으로 한 본 발명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네트워크망(10)에 접속되어 운용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으로서, 통합 시스템 환경 또는 업무 프로세스를 지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드웨어적으로 네트워크가 가능한 서버 컴퓨터 또는 클라이언트 컴퓨터 단말과, 이들 컴퓨터 장치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설치되어 작동 되는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 또는 기타 네트워크 프로그램 환경이 기본적으로 사용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은 크게, 클라이언트측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단말에서 응용프로그램으로서 셋업(setup)되어 있는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100)과, 상기 클라이언트 컴퓨터 단말이 네트워크망(10)을 통해 접속되어 있는 웹 시스템(200)과, 클라이언트 컴퓨터 단말의 사용자간 파일 교환, 공유, 전자 결재 등을 위한 이메일 결재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체크시트 원도 담당부서, 체크시트 완성 담당부서, 조립 시뮬레이션 담당부서, 시스템 관리부서, 블록 수정세팅 실행부서, 기타 관련 부서 각각의 작업자, 계측자, 업무수행자, 책임자 등이 될 수 있다.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100)은 선박의 블록에 대한 치수 품질문제의 통계적 분석 데이터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한 정보체크시트 원도 파일, 체크시트 완성 파일,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을 작성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웹 시스템(200)은 상용 서버 클라이언트 네트워킹 시스템을 사용하고, 주지의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또는 DB관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때, 웹 시스템(200)은 하기에 설명할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7)와, DB관리부 및 데이터 가공처리부를 구비하여 기술적으로 신규하고 진보되며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특징을 본 발명에게 제공하게 된다.
이메일 결재 시스템(300)은 주지의 전자결재 그룹웨어 또는 회사 내부 메일 결재서비스 인프라를 이용하여 사용자간 또는 사용자의 클라이언트 컴퓨터 단말간 회사 내부 메일 전송 및 결재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설명의 용이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에 대해 정의한다.
체크시트 원도는 통합 검사기준 문서이고, 체크시트 원도 파일(파일확장자 LEO)에 해당한다. 이는 컴퓨터 데이터 시스템 기반으로 단순 전산 문서상의 문자열 등의 데이터뿐만 아니라 스프레드시트 또는 액셀형 데이터, 객체(object), 태그를 지원하는 통합 문서 포맷을 갖고 있음에 따라, 입력되는 블록 이미지나 계측위치별 또는 계측후보위치별 설계정규값이 모두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문서 내에 저장되고, 결국 정보 공유, 통계적 분석, 모니터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체크시트, 즉 체크시트 완성 파일의 작성에 활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체크시트는 통합 검사결과서이고, 체크시트 완성 파일(파일확장자 LEA)에 해당한다. 이는 웹 시스템(200)으로부터 다운로드한 상기 체크시트 원도를 이용하여 블록 계측값 입력, 자동 변환 및 오차량 계산, 취부 또는 용접 등 수정 정보를 데이터로서 활용 가능하게 기록 저장하여 역시 파일 교환, 정보 공유, 통계적 분석, 시뮬레이션, 블록 수정, 블록 세팅, 모니터링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블록탑재 시뮬레이션은 조립 시뮬레이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2개의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상기 웹 시스템(200)으로부터 다운로드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함에 따라 블록정도를 예측한다. 이는 일측 체크시트 완성 파일(예 : 제1통합 검사결과서) 관련 탑재 블록과, 타측 체크시트 완성 파일(예 : 제2통합 검사결과서) 관련 도크내 블록 각각의 계측값, 설계값 대비 오차량, 탑재 블록의 탑재 작업 전 수정량 계산 등의 일련의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통합 시뮬레이션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결과적으로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파일확장자 LES)을 만든다.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은 시뮬레이션결과파일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 특징에 해당하는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10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100)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 체크시트 자동 완성 모듈,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을 포함한다.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은 본 출원인 및 관련 발명자들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72834호의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기준 문서 작 성 시스템이다.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기준 문서란 앞서 설명한 체크시트 원도 또는 통합 검사기준 문서의 기능적 한정어구이며, 이는 실질적으로나 의미적으로 상호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72834호의 상세 내용은 본 실시예의 설명에 참고로 포함되기에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다. 다만, 하기의 도 4를 통해 특징적 내용을 언급하여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체크시트 자동 완성 모듈은 동일 출원인 및 관련 발명자들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06410호의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 작성 시스템이다. 선체 블록용 치수품질 검사결과서란 앞서 설명한 체크시트 또는 통합 검사결과서의 기능적 한정어구이며, 이는 실질적으로나 의미적으로 상호 동일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6410호의 상세 내용은 본 실시예의 설명에 참고로 포함되기에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다. 다만, 하기의 도 5를 통해 특징적 내용을 언급하여 체크시트 자동 완성 모듈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자 한다.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은 역시 동일 출원인 및 관련 발명자들에 의해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8-0026523호의 선체 블록 조립 시뮬레이션 시스템이며, 상기 '26523호의 내용이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되기에 그에 대한 본 실시예에서의 자세한 설명은 역시 생략한다. 이때, 블록탑재 시뮬레이션이란 앞서 언급한 조립 시뮬레이션과 동일한 의미로서 이해된다.
이런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 체크시트 자동 완성 모듈,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은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100)의 구성 소프트웨어 요소 또는 그룹웨어와 같이 모듈화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100)에서 제공하는 초기화면(101)을 통해서,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111),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121),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131)을 개별적으로 실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초기화면(101) 상에는 해당 모듈별 실행 아이콘(110, 120, 130)이 구비 또는 배열되어 있으며, 마우스 클릭 등의 입력방식에 의해,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3가지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아이콘(110, 120, 130)이 클릭될 때, 해당 모듈(111, 121, 131)이 실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초기화면(101)에는 창닫기 기능과 같이, 창 또는 화면 제어를 위한 제어 아이콘(102)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111)은 선체 블록에 관해 미리 기획 및 정의된 계측 후보위치별 설계정규값에 대한 설계정보를 읽어드리고 블록 이미지를 입력시킨 문서 내용 내에 적어도 설계정규값이 병합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테이블 입력창(112)(일명, 테이블 매니저)을 포함하여서, 결과적으로 체크시트 원도 파일(파일확장자 LEO)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111)은 테이블 매니저를 이용하여 계측 후보위치별 설계정규값과 이미지를 문서 내에서 병합함에 따라 데이터로서 전사적 관리가 가능한 체크시트 원도 파일(파일확장자 LEO)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테이블 입력창(112)과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111)에 의해 체크시트 원도 파일이 만들어지는 일련의 과정은 상기 '72834호의 상세 내용에 설명되어 있다. 이는 도 8a 또는 도 8b의 체크시트 원도 작성단계(S10)에 대응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121)은 적어도 체크시트 완성 파일(파일확장자 LEA) 열기, 체크시트 원도 파일(파일확장자 LEO) 열기, 측정값 읽기, 테이블 보이기 숨기기, 미세 좌표변환, 최적 세팅, 자동 정합, 계측값조정, 세팅 결과 저장, 자동 오차 보정, 메모갱신, 정규치추가, 오차량표시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스마트 세팅창(122)을 포함하여서, 결과적으로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마트 세팅창(122)과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121)에 의해 체크시트 완성 파일이 만들어지는 일련의 과정은 상기 '6410호의 상세 내용에서 기 설명되어 있다. 이는 도 8a 또는 도 8b의 체크시트 문서 작성단계(S30, S40, S50)에 해당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131)은 적어도 기 출원 명세서 상의 시뮬레이션결과파일에 해당하는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파일확장자 LES) 열기, 기 출원 명세서 상의 제1통합 검사결과서에 해당하는 제1체크시트 완성 파일 열기(LEA1 열기), 제2통합 검사결과서에 해당하는 제2체크시트 완성 파일 열기(LEA2 열기), 테이블 보이기 숨기기, 좌표변환, 세팅 결과 저장, 화면 표시, 오차량 표시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시뮬레이션 스마트 세팅창(132)을 포함하여, 결과적으로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을 작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시뮬레이션 스마트 세팅창(132)과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131)에 의해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이 만들어지는 일련의 과정은 상기 '26523호의 상세 내용에서 기 설명되어 있다. 이는 도 8b의 블록 조립 시뮬레이션단계(S62)에 해당한다.
위와 같은 각 모듈(111, 121, 131)을 통해 만들어지는 각 파일(LEO, LEA, LES)은 도 2 또는 도 7에 도시된 웹 시스템(200)에 업로드되어서, 체크시트 원도 담당부서, 체크시트 완성 담당부서, 조립 시뮬레이션 담당부서, 시스템 관리부서, 블록 수정세팅 실행부서 등의 사용자에게 열람 또는 다운로드 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또한, 각 파일(LEO, LEA, LES)이 웹 시스템(200)에 업로드될 때, 웹 시스템(200)의 데이터 가공처리부가 해당 파일(LEO, LEA, LES)을 구분 또는 분석하여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DB)화 한다.
이때, DB화가 되는 정보들은 계측된 블록의 설계정규값, 계측값, 오차량, 일반 계측정보(계측자, 계측자 소속부서, 사용장비, 계측일자, 기온, 날씨, 작업장 등의 정보), 탑재전 사전 수정량(조인트 사이의 갭, 재 절단, 발생 단차) 등이 있으며, 이러한 DB화된 정보들은 향후 시스템적인 통계분석과 설계 피드백 목적으로 활용된다. 예컨대, DB는 블록 치수품질의 원인분석, 관리지표 자동계산, 통계적 관리(SPC : Statistical Process Control), 선후공정 정보전달 등의 다양한 목적에 따라 가공처리되어 웹 시스템(200)을 통해 제공된다.
각 파일(LEO, LEA, LES)의 웹 등록은 도 2의 이메일 결재 시스템 또는 회사 내부 메일 결재서비스 인프라와의 연계를 통해서, 컴퓨터 시스템 기반의 결재가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컨대, 도 7에 보이는 바와 같이, 웹 시스템(200)은 파일 리스트 형태로 조 회,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가능한 구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210)와, 사용자 인터페이스(210)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DB관리부와, 파일의 업로드 과정에서 파일 내부에 담긴 내용을 데이터 파싱(data parcing) 또는 구분하여 분석, 관리, 저장 등의 전산화 기능을 담당하는 데이터 가공처리부를 갖는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는 조회, EXCEL출력, 검색, 등록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일측 영역(211)을 갖는다.
일측 영역(211)에서는 호선별, 블록별 조회가 가능하고, 조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10) 상의 파일 리스트가 EXCEL파일 형태로 출력(export)될 수 있고, 키워드를 통해 정보 검색이 가능하며, 파일 등록이 가능하다.
파일 등록은 파일 업로드 등과 같은 최소의 절차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후 웹 시스템(200)이 업로드된 파일 내부의 데이터를 파싱(parcing)하여 미리 설계된 항목별 데이터를 자동 구분 인식하게 되어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210)는 항목별로 호선코드, 블록코드, 블록종류, 속성, 파일명, 다운로드(213), 등록자, 결재자, 결재일, 조회수 등으로 구분되는 DB화된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타측 영역(212)을 갖는다.
특히, 타측 영역(212)의 다운로드 항목(213)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파일의 파일확장자(예 : LEO, LEA, LES) 중 하나가 표시된 제1다운로드버튼(213a)과, 해당 파일의 데이터를 범용 문서 규격으로 변환 출력한 범용 파일의 파일확장자(예 : PDF)가 표시된 제2다운로드버튼(213b)이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세한DB정보나 결재정보(예 : 결재자, 결재중 코멘트) 등은 해당 파일을 클릭하게 되면 자세히 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고자 한다.
도 8a에 도시된 본 발명의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은 체크시트 원도 작성, 체크시트 작성을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111)은 자체 구비된 테이블 입력창을 이용하여 체크시트 원도 파일(*.LEO)을 작성하는 체크시트 원도 작성단계(S10)를 포함한다.
이때, 이메일 결재 시스템(300)은 작성된 체크시트 원도 파일(*.LEO)을 웹 시스템(200)에게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제1웹 등록단계(S20)를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에서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121)은 자체 구비된 스마트 세팅창을 이용하되, 상기 체크시트 원도 파일을 웹 시스템(200)으로부터 다운로드 하여 불러온(import) 후, 블록 계측값 입력, 자동 변환 및 오차량 계산에 따른 체크시트 완성 파일(*.LEA)을 작성하는 체크시트 문서 작성단계(S30, S40, S50)를 진행한다.
이런 다음, 이메일 결재 시스템(300)은 작성된 체크시트 완성 파일(*.LEA)을 웹 시스템(200)에게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제2웹 등록단계(S60)를 수행한다.
또한, 웹 시스템(200)과 이메일 결재 시스템(300)은 상호 연계를 통해서 블록 수정 또는 세팅과 같은 작업지시를 블록 수정세팅 실행부서 쪽으로 전달하는 제1작업지시단계(S70)를 진행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은 웹 시스템(200)의 데이터 가공처리부가 업로드된 체크시트 원도 파일(*.LEO) 또는 체크시트 완성 파일(*.LEA)을 데이터 파싱(data parcing)하여 DB화 할 때, 블록 치수품질의 원인분석, 관리지표 자동계산, 통계적 관리(SPC : Statistical Process Control), 선후공정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DB화된 정보를 가공처리하는 제1데이터 가공처리단계(S80)를 포함한다.
도 8b에 도시된 본 발명의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은 체크시트 원도 작성, 체크시트 작성 및 조립 시뮬레이션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에서, 앞서 언급한 단계(S10 ~ S60)가 이루어져서 복수개의 체크시트 완성 파일(*.LEA)이 웹 시스템(200)에 업로드되어 있을 경우에,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131)은 자체 구비된 시뮬레이션 스마트 세팅창을 이용하되, 적어도 2개의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불러온 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LES)을 작성하는 블록 조립 시뮬레이션단계(S62)를 더 진행한다.
이런 다음, 이메일 결재 시스템(300)은 작성된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LES)을 웹 시스템(200)에게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제3웹 등록단계(S64)를 수행한다.
이럴 경우, 웹 시스템(200)과 이메일 결재 시스템(300)은 상호 연계를 통해서 선(先) 절단 또는 세팅과 같은 작업지시를 블록 수정세팅 실행부서 쪽으로 전달하는 제2작업지시단계(S72)를 진행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에서는 상기 웹 시스템(200)에 구비된 데이터 가공처리부가 업로드된 체크시트 원도 파일(*.LEO), 체크시트 완성 파일(*.LEA),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LES)을 데이터 파싱(data parcing)하여 DB화 함으로써, 블록 치수품질의 원인분석, 관리지표 자동계산, 통계적 관리, 선후공정 정보전달 및 공유, 블록 치수품질 파악, 체계적인 DB축적을 통한 전체 블록 정도품질의 모니터링의 목적으로 DB화된 정보를 가공처리하는 제2데이터 가공처리단계(S82)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설명에 언급된 시스템 기반 절차 중 일부 과정에 관련된 발명일지라도 발명의 목적, 구성, 효과가 선체블록의 치수 품질 관리에 관한 것일 경우 본 발명에 귀속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치수품질 관리문서용 문서 작성 시스템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의 초기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의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의 캡쳐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의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의 캡쳐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의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의 캡쳐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웹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캡쳐도이다.
도 8a는 체크시트 원도 작성, 체크시트 작성을 기준으로 한 본 발명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b는 체크시트 원도 작성, 체크시트 작성 및 조립 시뮬레이션을 기준으로 한 본 발명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0 :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 111 :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
121 :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 131 :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
200 : 웹 시스템 300 : 이메일 결재 시스템

Claims (9)

  1. 선박 생산 정도 관리 프로세스를 위한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선박의 블록에 대한 치수 품질문제의 통계적 분석 데이터로서 활용 가능하도록 구성한 정보체크시트 원도 파일, 체크시트 완성 파일,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을 작성하는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
    상기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에서 작성된 파일을 네트워크망을 통해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시키고 파일을 분석하여 정보로서 기록 저장하는 웹 시스템;
    상기 파일의 교환, 공유, 전자 결재를 수행하는 이메일 결재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통합 블록정도 예측 시스템은,
    상기 파일의 작성을 위한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과,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과,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의 실행을 위해서, 해당 모듈별 실행 아이콘이 구비 또는 배열된 초기화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은,
    선체 블록에 관해 미리 기획 및 정의된 계측 후보위치별 설계정규값에 대한 설계정보를 읽어드리고 블록 이미지를 입력시킨 문서 내용 내에 적어도 설계정규값이 병합되는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테이블 입력창을 포함하여서, 체크시트 원도 파일을 작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은,
    적어도 체크시트 완성 파일 열기, 체크시트 원도 파일 열기, 측정값 읽기, 테이블 보이기 숨기기, 미세 좌표변환, 최적 세팅, 자동 정합, 계측값조정, 세팅 결과 저장, 자동 오차 보정, 메모갱신, 정규치추가, 오차량표시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스마트 세팅창을 포함하여서,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작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은,
    적어도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 열기, 제1체크시트 완성 파일 열기(LEA1 열기), 제2체크시트 완성 파일 열기, 테이블 보이기 숨기기, 좌표변환, 세팅 결과 저장, 화면 표시, 오차량 표시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시뮬레이션 스마트 세팅창을 포함하여,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을 작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웹 시스템은,
    파일 리스트 형태로 조회, 업로드 또는 다운로드 가능한 구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데이터 관리를 위한 DB관리부;
    상기 파일의 업로드 과정에서 파일 내부에 담긴 내용을 데이터 파싱(data parcing) 또는 구분하여 분석, 관리, 저장 등의 전산화 기능을 담당하는 데이터 가공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호선별, 블록별 조회가 가능하고, 조회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10) 상의 파일 리스트가 EXCEL파일 형태로 출력(export)될 수 있고, 키워드를 통해 정보 검색이 가능하며, 파일 등록이 가능하도록, 조회, EXCEL출력, 검색, 등록 기능을 구현한 일측 영역;
    항목별로 호선코드, 블록코드, 블록종류, 속성, 파일명, 다운로드, 등록자, 결재자, 결재일, 조회수로서 구분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타측 영역;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8. 선박 생산 정도 관리 프로세스를 위한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에 있어서,
    체크시트 원도 작성모듈이 자체 구비된 테이블 입력창을 이용하여 체크시트 원도 파일을 작성하는 체크시트 원도 작성단계;
    이메일 결재 시스템이 작성된 상기 체크시트 원도 파일을 웹 시스템에게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제1웹 등록단계;
    체크시트 자동 완성모듈이 자체 구비된 스마트 세팅창을 이용하되, 상기 체크시트 원도 파일을 상기 웹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불러온(import) 후, 블록 계측값 입력, 자동 변환 및 오차량 계산에 따른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작성하는 체크시트 문서 작성단계;
    상기 이메일 결재 시스템이 작성된 상기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상기 웹 시스템에게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제2웹 등록단계;
    상기 웹 시스템과 상기 이메일 결재 시스템이 상호 연계를 통해서 블록 수정 또는 세팅과 같은 작업지시를 블록 수정세팅 실행부서 쪽으로 전달하는 제1작업지 시단계;
    상기 웹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 가공처리부가 업로드된 체크시트 원도 파일 또는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데이터 파싱(data parcing)하여 DB화 할 때, 블록 치수품질의 원인분석, 관리지표 자동계산, 통계적 관리(SPC : Statistical Process Control), 선후공정 정보전달의 목적으로 DB화된 정보를 가공처리하는 제1데이터 가공처리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체크시트 완성 파일이 상기 웹 시스템에 업로드되어 있을 경우에, 블록탑재 시뮬레이션모듈이 자체 구비된 시뮬레이션 스마트 세팅창을 이용하되, 적어도 2개의 체크시트 완성 파일을 상기 웹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하여 불러온 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을 작성하는 블록 조립 시뮬레이션단계;
    상기 이메일 결재 시스템이 작성된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을 상기 웹 시스템에게 업로드하여 등록하는 제3웹 등록단계;
    상기 웹 시스템과 상기 이메일 결재 시스템이 상호 연계를 통해서 선(先) 절단 또는 세팅과 같은 작업지시를 블록 수정세팅 실행부서 쪽으로 전달하는 제2작업지시단계;
    상기 웹 시스템에 구비된 데이터 가공처리부가 업로드된 체크시트 원도 파일, 체크시트 완성 파일, 조립 시뮬레이션 파일을 데이터 파싱(data parcing)하여 DB화 함으로써, 블록 치수품질의 원인분석, 관리지표 자동계산, 통계적 관리, 선후공정 정보전달 및 공유, 블록 치수품질 파악, 체계적인 DB축적을 통한 전체 블록 정도품질의 모니터링의 목적으로 DB화된 정보를 가공처리하는 제2데이터 가공처리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블록정도 관리 방법.
KR1020080050056A 2008-05-29 2008-05-29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82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056A KR100982527B1 (ko) 2008-05-29 2008-05-29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0056A KR100982527B1 (ko) 2008-05-29 2008-05-29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059A KR20090124059A (ko) 2009-12-03
KR100982527B1 true KR100982527B1 (ko) 2010-09-16

Family

ID=4168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0056A KR100982527B1 (ko) 2008-05-29 2008-05-29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5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795A (ko) 2015-03-31 2016-10-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도관리 정보 조회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20366A (ko) 2015-04-07 2016-10-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바일 기반 정도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522B1 (ko) * 2013-10-29 2015-04-1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도관리를 위한 정도계측도의 3차원 정반좌표 변환방법 및 기록매체
KR101717586B1 (ko) * 2015-03-31 2017-03-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도관리 정보생성 시스템
KR101717598B1 (ko) * 2015-04-13 2017-03-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도 품질문제 관리 시스템
CN106556605B (zh) * 2016-11-25 2018-05-15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桥梁现场检测典型病害的数字化表征系统
KR102292528B1 (ko) * 2019-11-27 2021-08-24 주식회사 뎁스 블록공정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7795A (ko) 2015-03-31 2016-10-1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정도관리 정보 조회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120366A (ko) 2015-04-07 2016-10-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모바일 기반 정도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059A (ko)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527B1 (ko) 통합 블록정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480944B2 (en) CAD-based design control
US11379467B2 (en) System for uploading information into a metadata repository
KR20170139239A (ko) 도면변환을 활용한 건설현장의 모바일기반 현장협업솔루션 제공방법
CN112559351B (zh) 一种cfd软件验证与确认数据库平台
CN114118980A (zh) 一种建筑设计数字化成果智能校审方法及系统
CN113868498A (zh) 数据存储方法、电子装置、装置及可读存储介质
KR20090100973A (ko) 선체 블록 조립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Chiarini et al. Integrating ISO 9001 and Industry 4.0. An implementation guideline and PDCA model for manufacturing sector
Teran et al. Performance measurement integrated information framework in e-Manufacturing
JP2003114813A (ja) 分析サーバ、プログラム分析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分析方法
US20070185828A1 (en) Graphical portal in a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process
CN103034917A (zh) 一种物料跟踪系统设计装置及方法
Bega et al. Extension of value stream mapping 4.0 for comprehensive identification of data and information flows within the manufacturing domain
Wang et al. Comparative case study for using COBie in project turnover
JP2017068418A (ja) 計画支援システム及び計画支援方法
TWM590730U (zh) 基於人工智慧之文件管理系統
US20140149186A1 (en) Method and system of using artifacts to identify elements of a component business model
CN103177064A (zh) 一种自动取录电子文档中指定内容的方法
Nardello et al. Process model automation for industry 4.0: Challenges for automated model generation based on laboratory experiments
Tam et al. Data quality in asset management—creating and maintaining a foundation for data analytics
US11645485B2 (en) Facade element tracking systems and related techniques
KR101178968B1 (ko) 연구개발 정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JP3695410B2 (ja) 生産技術の管理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lnaggar et al. The road to digital asset rea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