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7338A - 적층 필름 및 포장재 - Google Patents

적층 필름 및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7338A
KR20230167338A KR1020237026972A KR20237026972A KR20230167338A KR 20230167338 A KR20230167338 A KR 20230167338A KR 1020237026972 A KR1020237026972 A KR 1020237026972A KR 20237026972 A KR20237026972 A KR 20237026972A KR 20230167338 A KR20230167338 A KR 202301673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film
layer
mass
surface layer
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겐토 쇼우지
Original Assignee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디아이씨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2/013799 external-priority patent/WO2022215538A1/ja
Publication of KR20230167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733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3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표면층(A), 중간층(B) 및 히트실링층(C)이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표면층(A), 중간층(B) 및 히트실링층(C)이 에틸렌계 수지를 주된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각 층 중의 수지 성분의 평균 밀도가 0.933g/㎤ 이상이고, 상기 표면층(A) 및 중간층(B)의 적어도 1층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적층 필름 전체의 수지 성분의 총량 중의 15질량% 이상인 적층 필름에 의해서, 호적한 내레토르트성과 저온화에서의 우수한 내충격성을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 필름 및 포장재
본 발명은, 식품이나 의료품 등의 포장재에 사용하는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에서의 내레토르트성을 갖고, 저온 하에서의 내충격성이 우수한 포장재에 사용하는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고온에서 레토르트 살균을 행하는 포장재에 사용하는 필름으로서는, 내열성이 높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체로 하는 필름(특허문헌 1 참조)이나,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레토르트용 실란트 필름(특허문헌 2 참조)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국 특개2012-172124호 공보 일본국 특개2019-131271호 공보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주체로 하는 필름은, 높은 내열성을 얻기 쉽지만, 냉장·냉동 수송시의 저온 하에서의 내충격성, 특히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의 유리 전이점인 0℃를 밑도는 저온 하에서는 내충격성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대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주체로 하는 레토르트용 실란트 필름은, 저온 내충격성과 고온 내열성의 밸런스가 우수하고, 저온 유통에 적합한 실란트 필름인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당해 레토르트용 실란트 필름은, 120℃ 정도의 레토르트 살균 온도에서는 일정의 내열성을 갖지만, 보다 고온역에서는 충분한 내레토르트성이 얻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125℃의 레토르트 살균 온도에서도 호적한 내레토르트성을 갖고, 또한, 0℃를 밑도는 저온 하에서도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표면층(A), 중간층(B) 및 히트실링층(C)이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표면층(A), 중간층(B) 및 히트실링층(C)이 에틸렌계 수지를 주된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각 층 중의 수지 성분의 평균 밀도가 0.933g/㎤ 이상이고, 상기 표면층(A) 및 중간층(B)의 적어도 1층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적층 필름 전체의 수지 성분의 총량 중의 15질량% 이상인 적층 필름에 의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에틸렌계 수지를 주된 구성 성분으로 하면서,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함과 함께, 각 층의 수지 밀도를 특정의 범위로 함으로써, 종래 실현이 곤란했던 수준으로, 저온 하에서의 내충격성과 고온역에서의 내레토르트성을 겸비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저온 하에서 보존, 보관되는 식품 용도나 의료품 용도 등의 포장 용도, 특히 냉동 식품의 포장 용도로서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성막성을 실현할 수 있는 점에서도, 양호한 외관이 요구되는 식품 용도에 호적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표면층(A), 중간층(B) 및 히트실링층(C)이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표면층(A), 중간층(B) 및 히트실링층(C)이 에틸렌계 수지를 주된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각 층 중의 수지 성분의 평균 밀도가 0.933g/㎤ 이상이고, 상기 표면층(A) 및 중간층(B)의 적어도 1층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적층 필름 전체의 수지 성분의 총량 중의 15질량% 이상인 필름이다.
[표면층(A)]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표면층(A)은, 에틸렌계 수지를 주된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층이다. 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은, 호적한 내충격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표면층(A)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층(A)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이 실질적으로 에틸렌계 수지만이어도 되지만, 다른 수지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을 9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층(A)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평균 밀도를 0.933g/㎤ 이상으로 함으로써, 호적한 내레토르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당해 평균 밀도는, 0.935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40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호적한 내충격 강도를 얻기 쉬운 점에서, 0.950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45g/㎤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수지로서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V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직쇄상 중밀도 폴리에틸렌(LM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MM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EMA)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무수말레산 공중합체(E-EA-MAH),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EMAA)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에틸렌계 수지는,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호적한 내충격성이나, 양호한 내열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고,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계 수지의 밀도는, 양호한 내열성이나 내충격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960g/㎤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50g/㎤ 이하이다. 또한, 0.900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910g/㎤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수지의 MFR(멜트 플로우 레이트)은, 0.1~50g/10분(190℃, 21.18N), 바람직하게는 0.5~30g/10분(190℃, 21.18N),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g/10분(190℃, 21.18N)이다. MFR이 이 범위이면, 양호한 성막성이 얻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표면층(A)의 에틸렌계 수지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호적한 내충격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MFR(190℃, 21.18N)이 5g/10min 이하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MFR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g/10min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g/10min 이하이다. 하한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0.1g/10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g/10mi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층(A)에, MFR이 5g/10min 이하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층(A)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당해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3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5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9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표면층(A) 및 중간층(B)의 적어도 1층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함으로써, 내충격성과 내열성을 높은 수준으로 겸비할 수 있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EPR),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고무(EBR), 에틸렌-1-펜텐 공중합체 고무,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고무(EHR), 에틸렌-1-옥텐 공중합체 고무(EOR), 프로필렌-1-부텐 공중합체 고무(PBR), 프로필렌-1-펜텐 공중합체 고무, 프로필렌-1-옥텐 공중합체(POR)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EBR, EHR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은, 적층 필름 전체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총량 중의 1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8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25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호적한 내열성과 저온 내충격성을 실현할 수 있다. 당해 함유량의 상한은, 5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층(A)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층(A)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은, 5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층(A)의 수지 성분으로서는, 상기 에틸렌계 수지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외의 다른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당해 다른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나,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프로필렌-부텐-1 공중합체, 프로필렌-에틸렌-부텐-1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α-올레핀 랜덤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α-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등의 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에틸렌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해 함유량이 표면층(A)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20질량% 이하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층(A) 중에는, 상기 수지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 등을 적의(適宜) 병용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활제, 블로킹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防曇劑) 등, 착색제, 산화 방지제 등을 적의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표면층(A)에 사용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부 정도로 사용한다.
특히, 필름 성형시의 가공 적성, 충전기의 포장 적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표면층(A)의 마찰 계수는 0.9 이하, 그 중에서도, 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므로, 표면층(A)에는, 활제나 블로킹 방지제를 적의 첨가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의 총두께에 대한 표면층(A)의 두께 비율은, 호적한 내충격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5~35%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B)]
본 발명에 사용하는 중간층(B)은, 상기 표면층(A)과 마찬가지로 에틸렌계 수지를 주된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층이다. 중간층(B)의 수지 성분은 표면층(A)과 마찬가지여도 상이해도 된다. 중간층(B) 중의 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은, 호적한 내충격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중간층(B)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5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5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층(B)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이 실질적으로 에틸렌계 수지만이어도 되지만, 다른 수지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에틸렌계 수지의 함유량을 95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간층(B)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평균 밀도를 0.933g/㎤ 이상으로 함으로써, 호적한 내레토르트성을 실현할 수 있다. 당해 평균 밀도는, 0.935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40g/㎤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호적한 내충격 강도를 얻기 쉬운 점에서, 0.950g/㎤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45g/㎤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수지로서는, 표면층(A)에 있어서 예시한 에틸렌계 수지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에틸렌계 수지는,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에틸렌계 수지의 바람직한 종류나, 밀도, 멜트 플로우 레이트의 바람직한 범위도 표면층(A)과 마찬가지이다.
중간층(B)의 에틸렌계 수지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MFR(190℃, 21.18N)이 5g/10min 이하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MFR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g/10min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1g/10min 이하이다. 하한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0.1g/10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g/10min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B)에, MFR이 5g/10min 이하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간층(B)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당해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30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5질량% 이상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한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90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5질량%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중간층(B)에 있어서는, 보다 안정한 압출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MFR이 3g/10min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병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당해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MFR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20g/10min이다. MFR이 3g/10min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간층(B)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당해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5~3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2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B)에 있어서, 직쇄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함유량이 5~5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5~3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면층(A) 및 중간층(B)의 적어도 1층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적층 필름 전체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총량 중의 15질량% 이상 함유한다. 중간층(B)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간층(B)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5질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한은, 5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질량%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B)에 있어서도, 상기 에틸렌계 수지나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이외의 다른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당해 다른 수지로서는, 상기 표면층(A)과 마찬가지의 수지를 예시할 수 있고, 바람직한 함유량도 표면층(A)과 마찬가지이다.
중간층(B) 중에는, 상기 수지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 등을 적의 병용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활제, 블로킹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등, 착색제, 산화 방지제 등을 적의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간층(B)에 사용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부 정도로 사용한다.
적층 필름의 총두께에 대한 중간층(B)의 두께 비율은, 호적한 내충격성과 내열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8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70%의 범위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하한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히트실링층(C)]
본 발명의 적층 필름에 사용하는 히트실링층(C)은, 에틸렌계 수지를 주된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히트실링층(C)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의 평균 밀도가 0.933g/㎤ 이상인 층이다. 당해 히트실링층을 사용함으로써, 호적한 내충격성과 내열성을 겸비할 수 있다.
에틸렌계 수지로서는, 표면층(A)에 있어서 예시한 에틸렌계 수지와 마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에틸렌계 수지는,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히트실링층(C)에 있어서 사용하는 에틸렌계 수지로서도,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히트실링층(C)의 에틸렌계 수지로서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MFR(190℃, 21.18N)이 0.1g/10min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해 MFR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g/10min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5g/10min 이상이다. 상한은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50g/10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g/10min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함으로써, 호적한 저온 내충격성이나 내열성과 함께, 양호한 히트실링성을 실현하기 쉬워진다.
히트실링층(C)에, MFR이 3g/10min 이상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히트실링층(C)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당해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25~7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7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6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히트실링층(C)에 있어서는, 호적한 내충격성이나 히트실링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상기 고밀도 폴리에틸렌에 병용해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병용하는 호적한 내충격성이나 히트실링성을 얻기 쉬운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는, 그 밀도가 0.900~0.945g/㎤인 것이 바람직하고, 0.910~0.945g/㎤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920~0.945g/㎤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히트실링층(C)에 있어서,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히트실링층(C)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25~75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30~7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60질량%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히트실링층(C)에 있어서도, 상기 에틸렌계 수지 이외의 다른 수지를 병용해도 된다. 당해 다른 수지로서는, 상기 표면층(A)과 마찬가지의 수지를 예시할 수 있고, 바람직한 함유량도 표면층(A)과 마찬가지이다.
히트실링층(C) 중에는, 상기 수지 성분 이외에 각종 첨가제 등을 적의 병용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면, 활제, 블로킹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방담제 등, 착색제, 산화 방지제 등을 적의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첨가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히트실링층(C)에 사용하는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5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질량부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01~1질량부 정도로 사용한다.
적층 필름의 총두께에 대한 히트실링층(C)의 두께 비율은, 호적한 내충격성과 내열성을 얻기 쉬운 점에서, 5~35%인 것이 바람직하고, 10~25%의 범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상기와 같이, 에틸렌계 수지를 주된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평균 밀도가 0.933g/㎤ 이상인 표면층(A), 중간층(B) 및 히트실링층(C)을 갖고, 또한, 표면층(A) 및 중간층(B)의 적어도 1층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적층 필름 전체의 수지 성분의 총량 중의 15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저온 하에서의 우수한 내충격성과, 고온역에서의 호적한 내레토르트성을 높은 수준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의 두께가 30~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80㎛이다. 필름의 두께가 이 범위이면, 저온 하에서의 우수한 내충격성, 강성, 실링성, 포장 기계 적성 등을 얻기 쉬워진다.
또한, 각 층의 두께는, 특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표면층(A)의 두께로서는, 2.5~18㎛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층(B)의 두께는 4~70㎛인 것이 바람직하고, 6~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히트실링층(C)의 두께는 2.5~18㎛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표면층(A), 중간층(B), 히트실링층(C)에 사용하는 각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을, 각각 별개의 압출기로 가열 용융시키고, 공압출 다층 다이스법이나 피드 블록법 등의 방법에 의해서 용융 상태에서 (A)/(B)/(C)의 순으로 적층한 후, 인플레이션이나 T다이·칠롤법 등에 의해서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공압출법을 들 수 있다. 이 공압출법은, 각 층의 두께의 비율을 비교적 자유롭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고, 위생성이 우수하고, 코스트 퍼포먼스도 우수한 적층 필름이 얻어지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필름 임팩트법에 의해서 측정되는 내충격 강도가 0.75J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8J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당해 충격 강도는, 50㎛의 적층 필름을 0℃ 하에 상태 조정한 후에 측정한 충격 강도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상기의 제조 방법에 의해서, 실질적으로 무연신의 적층 필름으로서 얻어지기 때문에, 진공 성형에 의한 딥드로잉 성형 등의 이차 성형도 가능해진다.
또한, 인쇄 잉크와의 접착성이나, 라미네이트용 실란트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의 라미네이트 적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상기 수지층(A)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표면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플라스마 처리, 크롬산 처리, 화염 처리, 열풍 처리, 오존·자외선 처리 등의 표면 산화 처리, 혹은 샌드블라스트 등의 표면 요철 처리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코로나 처리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레토르트용 포장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다른 기재 필름과 첩합시켜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기재 필름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효과를 용이하게 발현시키는 관점에서, 플라스틱 기재, 특히는 이축 연신된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명성을 필요로 하지 않는 용도의 경우는 알루미늄박을 조합시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연신된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OPET),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이축 연신 폴리아미드(ONy),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를 중심층으로 한 공압출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를 중심층으로 한 공압출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이축 연신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을 코팅한 공압출 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이축 연신 나일론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과 연신 기재 필름의 라미네이트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드라이 라미네이트, 압출 라미네이트, 열 라미네이트, 다층 압출 코팅 등의 복합화 기술을 이용하면 좋다. 드라이 라미네이트법에 의해, 본 발명의 적층 필름과 연신 기재 필름을 라미네이트할 때에 사용하는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테르-폴리우레탄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폴리우레탄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과 연신 기재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포장재는, 평대형(平袋型), 자립성 포장대(스탠딩 파우치)형, 튜브형 등의 각종 형상으로 제대(製袋) 가능한 포장대로서 호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필름상의 포장재 1매를 실란트층끼리가 대향하도록 접어서 겹치고, 또는, 본 발명의 필름상의 포장재 2매를 실란트층끼리가 대향하도록 서로 겹치고, 그 주변 단부를 히트실링해서, 레토르트 식품 등의 포장대(레토르트 파우치)로 제대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V노치(notch)나 I노치 등의 개봉 개시부를 마련해도 된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특히 언급이 없는 한, 「부」 및 「%」는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1)
표면층(A), 중간층(B), 및 히트실링층(C)의 각 층을 형성하는 수지 성분으로서, 각각 하기의 수지를 사용해서, 각 층을 형성하는 수지 혼합물을 조제했다. 각 층을 형성하는 수지 혼합물을 3대의 압출기에 각각 공급하고, 표면층(A)/중간층(B)/히트실링층(C)으로 형성되는 적층 필름의 각 층의 평균 두께가 10㎛/30㎛/10㎛가 되도록, 압출 온도 250℃에서 T다이로부터 공압출하고, 40℃의 수냉 금속 냉각 롤로 냉각해서, 총두께가 50㎛인 적층 필름을 성형했다.
표면층(A):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56g/㎤, MFR 1.1g/10min)(이하, HDPE(1)라고 한다) 70질량부와,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고무(밀도 0.890g/㎤, MFR 3.2g/10min) 30질량부(이하, EHR)의 혼합물.
중간층(B): HDPE(1) 50질량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60g/㎤, MFR 8.0g/10min)(이하, HDPE(2)라고 한다) 10질량부와,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31g/㎤, MFR 4.0g/10min)(이하, LLDPE(1)라고 한다) 10질량부와, EHR 30질량부의 혼합물.
히트실링층(C):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밀도 0.942g/㎤, MFR 2.8g/10min)(이하, LLDPE(2)라고 한다) 50질량부와, HDPE(2) 50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2)
중간층(B)에 사용하는 수지를 하기 성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중간층(B): HDPE(1) 60질량부와, LLDPE(1) 10질량부와, EHR 30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3)
중간층(B)에 사용하는 수지를 하기 성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중간층(B): HDPE(1) 65질량부와, LLDPE(1) 5질량부와, EHR 30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4)
중간층(B)에 사용하는 수지를 하기 성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중간층(B): HDPE(1) 70질량부와, EHR 30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5)
표면층(A) 및 중간층(B)에 사용하는 수지를 하기 성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표면층(A): HDPE(1) 70질량부와, 에틸렌-1-부텐 공중합체 고무(밀도 0.885g/㎤, MFR 1.2g/10min)(이하, EBR) 30질량부의 혼합물.
중간층(B): HDPE(1) 70질량부와, EBR 30질량부의 혼합물.
(실시예 6)
표면층(A) 및 중간층(B)에 사용하는 수지를 하기 성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표면층(A): HDPE(1) 35질량부와, LLDPE(1) 60질량부와, EBR 5질량부의 혼합물.
중간층(B): HDPE(1) 65질량부와, LLDPE(1) 5질량부와, EBR 30질량부의 혼합물.
(비교예 1)
중간층(B)에 사용하는 수지를 하기 성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중간층(B): HDPE(1) 50질량부와, LLDPE(1) 20질량부와, EHR 30질량부의 혼합물.
(비교예 2)
중간층(B)에 사용하는 수지를 하기 성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중간층(B): HDPE(1) 38질량부와, LLDPE(1) 47질량부, EBR 15질량부의 혼합물.
(비교예 3)
중간층(B)에 사용하는 수지를 하기 성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중간층(B): HDPE(1) 33질량부와, LLDPE(1) 47질량부와, EBR 20질량부의 혼합물.
(비교예 4)
중간층(B)에 사용하는 수지를 하기 성분으로 한 이외는, 실시예 6과 마찬가지로 해서 적층 필름을 얻었다.
중간층(B): HDPE(1) 23질량부와, LLDPE(1) 47질량부와, EBR 30질량부의 혼합물.
[내충격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필름을 0℃ 하에 조정한 항온실 내에서 4시간 정치한 시험편, 0℃ 하에 조정한 항온실 내에서 4시간 정치한 시험편을 준비했다. 각 시험편으로, 테스터산교제 BU-302형 필름 임팩트 테스터를 사용해서, 진자의 선단에 1.0인치의 헤드를 부착하고, 필름 임팩트법에 의한 충격 강도를 측정했다.
○: 충격 강도가 0.75(J) 이상
×: 충격 강도가 0.75(J) 미만
<라미네이트 필름의 제작>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적층 필름의 표면층(A)의 표면에, 이축 연신 폴리아미드(ONy) 필름(두께 25㎛)을 드라이 라미네이션으로 첩합시키고, 40℃에서 72시간 에이징해서, 평가용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얻었다. 이 때, 드라이 라미네이션용 접착제로서는, 디아이씨가부시키가이샤제의 2액 경화형 접착제(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 「딕드라이 LX500」 및 경화제 「딕드라이 KO-55」)를 사용했다.
[레토르트성 평가]
얻어진 라미네이트 필름으로부터, 종22cm×횡18cm의 필름을 잘라내고, 당해 필름의 히트실링층(C)면끼리가 겹치도록 반으로 접은 후, 종 2변, 횡 1변을, 160℃, 0.2MPa, 1초의 조건에 의해, 단부로부터 1cm의 히트실링을 행해서, 3방대(方袋)를 작성했다. 얻어진 3방대에, 물 240ml를 넣고, 개방부를 상기 히트실링 조건에 의해, 밀봉 실링했다. 고온 고압 조리 살균 장치를 사용해서, 125℃, 30분의 가열 처리를 실시했다. 가열 살균 처리 후의 3방대의 담도(曇度)를 JIS K7105에 기해서 헤이즈미터(니혼덴쇼쿠고교가부시키가이샤제)를 사용해서 측정했다(단위: %). 가열 살균 처리 후의 담도의 수치를, 가열 살균 전의 담도로 나눗셈한 값을 변화도로 나타내고, 가열 살균 처리 전후의 필름 외관을 평가했다.
변화도 = 가열 살균 처리 후의 담도(단위: %) / 가열 살균 처리 전의 담도(단위: %)
○: 3.5 이하
×: 3.6 이상
[낙대(落袋) 평가]
상기 레토르트성 평가와 마찬가지로 해서 3방대를 작성하고, 당해 3방대에, 3% 식염수 240ml를 넣고, 개방부를 상기 히트실링 조건과 동일한 조건에 의해, 밀봉 실링했다. 고온 고압 조리 살균 장치를 사용해서, 121℃, 30분의 가열 처리를 실시했다. 이와 같은 대(袋)를 20대 준비하고, 0℃의 분위기 하에서 4시간 정치한 후, 하나의 대에 대해서, 높이 150cm로부터 대의 평평한 면이 낙하면에 닿는 낙하를 1세트로 해서, 이면측의 대의 평평한 면을 교호로 30세트의 낙하를 반복하고, 파대(破袋)까지의 횟수를 평가했다. 30세트 낙하한 후, 20대 중, 파대하지 않은 3방대를 세고, 그 대수를 20대로 나눗셈한 값을 잔존율로서 평가했다.
잔존율[%]=[파대하지 않은 대수/20대]×100
◎: 잔존율=100~80%
○: 잔존율=79~50%
△: 잔존율=50% 미만
상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표에 나타낸다.
[표 1]
Figure pct00001
상기 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6의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125℃ 레토르트 살균 온도에서도 호적한 내레토르트성을 가짐과 함께, 0℃를 밑도는 냉동 하에서도 우수한 내충격성을 갖는 것이었다. 한편, 비교예 1~4의 적층 필름은, 호적한 내충격성과 내충격성을 겸비할 수 없는 것이었다.

Claims (11)

  1. 표면층(A), 중간층(B) 및 히트실링층(C)이 적층된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표면층(A), 중간층(B) 및 히트실링층(C)이 에틸렌계 수지를 주된 수지 성분으로서 함유하고, 각 층 중의 수지 성분의 평균 밀도가 0.933g/㎤ 이상이고, 상기 표면층(A) 및 중간층(B)의 적어도 1층에,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함유하고,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함유량이, 적층 필름 전체의 수지 성분의 총량 중의 15질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A) 및 중간층(B)이,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3g/10min 이하(190℃, 21.18N)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적층 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A)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3g/10min 이하(190℃, 21.18N)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30질량% 이상인 적층 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B)에 포함되는 수지 성분 중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3g/10min 이하(190℃, 21.18N)인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함유량이 40질량% 이상인 적층 필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MFR)가 3.5g/10min 이하(190℃, 21.18N)인 적층 필름.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실링층(C)이, 고밀도 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적층 필름.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총두께가 30~100㎛인 적층 필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0℃에 있어서의 충격 강도가 0.75J 이상인 적층 필름.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필름의 하기 측정 조건에서의 헤이즈값의 변화도(가열 처리 후의 헤이즈값 / 가열 처리 전의 헤이즈값)가 3.5 이하인 적층 필름.
    (측정 조건)
    적층 필름의 표면층(A)에 두께 25㎛의 이축 연신 폴리아미드(ONy)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종22cm×횡18cm의 라미네이트 필름을 반으로 접고, 종 2변 및 횡 1변을, 160℃, 0.2MPa, 1초의 조건에 의해 히트실링해서 작성한 3방대(方袋)에 물 240ml를 넣고, 개방부를 같은 조건에 의해 히트실링한 대(袋)를 작성하고, 얻어진 대를, 고온 고압 조리 살균 장치로 125℃, 30분의 가열 처리를 행해서, 가열 처리 전후의 헤이즈값을 측정한다.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의 표면층(A) 상에 기재를 라미네이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을 사용한 포장재.
KR1020237026972A 2021-04-08 2022-03-24 적층 필름 및 포장재 KR202301673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1065792 2021-04-08
JPJP-P-2021-065792 2021-04-08
PCT/JP2022/013799 WO2022215538A1 (ja) 2021-04-08 2022-03-24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7338A true KR20230167338A (ko) 2023-12-08

Family

ID=83271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6972A KR20230167338A (ko) 2021-04-08 2022-03-24 적층 필름 및 포장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136397B1 (ko)
KR (1) KR20230167338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2124A (ja) 2011-02-24 2012-09-10 Toray Advanced Fil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積層体
JP2019131271A (ja) 2018-02-02 2019-08-08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レトルト食品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84885A (en) * 1986-08-29 1988-11-15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Peelable film laminate
JP3410219B2 (ja) * 1994-07-15 2003-05-26 大倉工業株式会社 ラミネート用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3642616B2 (ja) * 1995-12-21 2005-04-27 大倉工業株式会社 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レトルト用パウ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72124A (ja) 2011-02-24 2012-09-10 Toray Advanced Film Co Ltd ポリプロピレン系フィルムおよびその積層体
JP2019131271A (ja) 2018-02-02 2019-08-08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レトルト食品用シーラント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36397B1 (ja) 2022-09-13
JPWO2022215538A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8991B2 (ja) マット調積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JP5459535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JP6863483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JP4702245B2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並びに該フィルムを用いたラミネート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2012224071A (ja) 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KR20180092939A (ko) 실런트 필름 및 포장재
JPWO2018163835A1 (ja) 積層フィルム及び食品包装袋
JP6443661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6797353B2 (ja) 多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6070916B1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6160797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2016222277A (ja) 包装袋
JP6972545B2 (ja) 防曇性多層フィルム、これを用いる積層体、及び包装材
JP6150687B2 (ja) 多層シーラントフィルム
KR20230167338A (ko) 적층 필름 및 포장재
WO2018225521A1 (ja) 易開封性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KR20190055789A (ko) 적층 필름, 라미네이트 필름 및 포장 용기
WO2022102414A1 (ja) アルコール透過抑制フィルム、及びアルコール透過抑制フィルムを用いた包装材並びに包装体
JP7095412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2023009437A (ja) 電池包装用積層体
WO2022215538A1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2005104152A (ja) ヒートシール性積層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フィルム及び包装体
JP2021102301A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7276394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材
JP6839924B2 (ja) 蓋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