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2603A -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를 위한 기어 선택 작동기 - Google Patents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를 위한 기어 선택 작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2603A
KR20230162603A KR1020237031355A KR20237031355A KR20230162603A KR 20230162603 A KR20230162603 A KR 20230162603A KR 1020237031355 A KR1020237031355 A KR 1020237031355A KR 20237031355 A KR20237031355 A KR 20237031355A KR 20230162603 A KR20230162603 A KR 20230162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transmission
assembly
carriage
se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1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잭 자오
샤빈 장
게리 첸
정웨이 예
Original Assignee
지에이치에스피,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이치에스피,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지에이치에스피,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230162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260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61/32Electric motors actuators or related electrical control means therefor
    • F16H2061/326Actuators for range selection, i.e. actuators for controlling the range selector or the manual range valve in the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변속기를 위한 시프트 작동기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와 결합된 구동 조립체를 포함한다. 변속기 선택 장치는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 사이에서 작동한다.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는 구동 조립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작동된다. 캐리지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따라 선형으로 작동하여 변속기 설정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기 위치를 획정한다. 작동기 암은 캐리지와 변속기 선택 장치 사이에서 연장되어 캐리지의 선형 작동을 변속기 선택 장치의 회전 작동으로 전환한다.

Description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를 위한 기어 선택 작동기
본 디바이스는 선택 기구, 더 구체적으로, 시프트-바이-와이어(shift-by-wire) 선택 인터페이스를 통해 변속기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기어 선택 기구를 위한 작동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차량 내에서, 변속기는 차량의 작동 특성을 변경하기 위한 다수의 기어를 포함한다. 이 변속기는 종종 작동 시스템의 사용을 통해 수동으로 변경되는 기계적 변속기를 사용한다. 또한,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변속기의 기어 설정부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시프트-바이-와이어 인터페이스 내에서, 작동기는 일반적으로 변속기를 위해 선택된 기어를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제1 양상에 따르면, 변속기를 위한 시프트 작동기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와 결합된 구동 조립체를 포함한다. 변속기 선택 장치는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 사이에서 작동한다.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는 구동 조립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작동된다. 캐리지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따라 선형으로 작동하여 변속기 설정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기 위치를 획정한다. 작동기 암은 캐리지와 변속기 선택 장치 사이에서 연장되어 캐리지의 선형 작동을 변속기 선택 장치의 회전 작동으로 전환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가진 구동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캐리지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의 회전축을 따라 선형으로 작동하여 복수의 작동기 위치를 획정한다. 작동기 암은 캐리지와 변속기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연장된다. 캐리지의 선형 작동은 변속기 인터페이스 주위의 작동기 암의 회전 작동을 획정한다. 위치 센서는 구동 조립체의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 작동기 암 및 모터와 통신하여 복수의 작동기 위치에 캐리지 및 작동기 암을 설치한다. 변속기 선택 장치가 포함되고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따른 캐리지의 선형 작동은 변속기 선택 장치의 각각의 기어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기 위치를 획정한다.
본 개시내용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선택 장치 조립체는 제어기를 통해 구동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포함한다. 캐리지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따라 병진하여 복수의 기어 위치를 획정한다. 변속기 선택 장치는 인터페이스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센서 조립체는 제어기 및 캐리지와 통신한다. 캐리지의 선형 작동이 인터페이스 축을 중심으로 한 변속기 선택 장치 및 센서 조립체의 자석의 회전 작동을 획정한다. 센서 조립체가 구동 조립체와 협력하여 복수의 기어 위치 중 선택된 기어 위치에 캐리지 및 변속기 선택 장치를 설치한다.
본 개시내용의 이 양상 및 다른 양상, 목적 및 특징은 다음의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된 도면을 연구할 때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고 인식될 것이다.
도면에서:
도 1은 차량을 위한 예시적인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의 사시도;
도 2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 및 시프트-바이-와이어 변속기와 관련된 사용을 위한 예시적인 선택 장치 작동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택 장치 작동기의 또 다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선택 장치 작동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선택 장치 작동기를 위한 작동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라인(VI-VI)을 따라 취한 도 3의 선택 장치 작동기의 단면도;
도 7은 제1 변속기 설정부에 도시된 작동기 조립체의 사시도;
도 8은 제2 변속기 설정부에 도시된 도 7의 작동기 조립체의 사시도; 및
도 9는 제3 변속기 설정부에 도시된 도 8의 작동기 조립체의 사시도.
본 개시내용의 부가적인 특징 및 이점은 다음에 나오고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분명해질 상세한 설명에 제시될 것이고 또는 청구범위 및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설명에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행함으로써 인식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2개 이상의 항목의 목록에서 사용될 때, 나열된 항목 중 임의의 하나가 자체적으로 채용될 수 있거나, 또는 나열된 항목 중 2개 이상의 항목의 임의의 조합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합성물이 성분(A, B 및/또는 C)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면, 합성물은 단독으로 A; 단독으로 B; 단독으로 C; 조합하여 A 및 B; 조합하여 A 및 C; 조합하여 B 및 C; 또는 조합하여 A, B 및 C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문서에서, 관계성 용어, 예컨대, 제1 및 제2, 상단 및 하단 등은 이러한 개체 또는 작용 간의 임의의 실제의 이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필요로 하거나 또는 암시하는 일 없이, 오로지 하나의 개체 또는 작용으로부터 또 다른 개체 또는 작용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용어 "결합된"(모든 용어의 형태에서: 결합하다, 결합하는, 결합된 등)은 일반적으로 서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2개의 컴포넌트(전기적 또는 기계적)의 연결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결은 본질적으로 고정적이거나 또는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은 2개의 컴포넌트(전기적 또는 기계적) 및/또는 임의의 부가적인 중간 부재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은 서로 단일의 통합된 몸체로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즉, 일체형으로 결합되는)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거나 또는 2개의 컴포넌트의 연결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은 본질적으로 영구적일 수도 있거나, 또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본질적으로 제거 가능하거나 또는 해제 가능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인", "실질적으로" 및 이의 변형은 설명된 특징부가 값 또는 설명과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표면은 평면형이거나 또는 대략적으로 평면형인 표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게다가, "실질적으로"는 2개의 값이 동일하거나 또는 대략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는 서로 약 10% 이내, 예컨대, 서로 약 5% 이내, 또는 서로 약 2% 이내의 값을 나타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단수 형태("the", "a" 또는 "an")는 "적어도 하나"를 의미하고 대조적으로 분명히 나타내지 않는 한 "단 하나"로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하나의 컴포넌트"에 대한 언급은 문맥이 달리 분명히 나타내지 않는 한 2개 이상의 이러한 컴포넌트를 갖는 실시형태를 포함한다.
이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참조 부호(10)는 일반적으로 기계적 조립체, 예컨대, 변속기(14)에 대한 다양한 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선택 장치 작동기(12)를 포함할 수 있는, 시프트 작동기를 나타낸다. 선택 장치 작동기(12)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16)로부터 명령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16)로부터의 명령어는 선택 장치 작동기(12)를 작동시켜서 기어 위치(18)와 같은, 복수의 가능한 위치 중 다양한 선택된 위치 사이에서 기계적 조립체를 이동시킨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변속기(14)를 위한 시프트 작동기(10)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16)와 결합되는 구동 조립체(20)를 포함한다. 변속기 선택 장치(22)는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24) 사이에서 작동한다.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는 구동 조립체(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작동된다. 캐리지(28)가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따라 선형으로 작동하여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24)에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기 위치(30)를 획정한다. 작동기 암(32)은 캐리지(28)와 변속기 선택 장치(22) 사이에서 연장된다. 이 작동기 암(32)이 작동하여 캐리지(28)의 선형 작동(34)을 작동기 암(32) 및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회전 작동(36)으로 전환한다. 따라서, 작동기 암(32) 및 변속기 선택 장치(22) 각각은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작동한다.
다시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시프트 작동기(10)를 위한 작동기 암(32)은 구동 조립체(20)와 통신하는 위치 센서(52)에 대해 작동하는 위치설정 자석(50)을 포함한다. 위치설정 자석(50)과 위치 센서(52)가 서로 협력하여 구동 조립체(20)의 하나 이상의 모터(5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서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24)를 획정한다. 위치 센서(52)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56) 내에 포함될 수 있다. 구동 조립체(20), 캐리지(28), 위치설정 자석(50) 및 위치 센서(52)는 외부 하우징(58) 내에, 예컨대, 외부 하우징(58)의 모터 공동부(60) 내에 각각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캐리지(28), 작동기 암(32), 위치설정 자석(50) 및 시프트 작동기(10)의 다른 컴포넌트가 외부 하우징(58)의 모터 공동부(60) 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PCB(56)는 외부 하우징(58)의 일부에 부착되거나 또는 모터 공동부(60) 내 안정적인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시프트 작동기(10)를 위한 구동 조립체(20)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작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모터(5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20)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회전축(7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단일의 양방향 모터(54)를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20)가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회전축(70)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각각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회전시키기 위해, 다수의 모터(54), 예컨대, 2개의 단방향 모터(54)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다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구동 조립체(20)는 또한 모터(54)와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 사이에서 연장되는 기어열(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기어열(80)은 각각의 모터(54)의 구동 샤프트(84)에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구동 기어(8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는 구동 기어(82)와 맞물리는 별개의 작동 기어(86)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열(80)은 기어열(80) 내에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아이들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에서, 도 4 내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82) 및 작동 기어(86)가 상이한 크기를 가져서 시프트 작동기(10)를 위한 구동 조립체(20) 내에서 기어 감속 기구(100)를 획정할 수 있다. 이 기어 감속 기구(100)는 캐리지(28)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또는 시프트 작동기(10)의 복수의 작동기 위치(30)를 획정하기 위해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따라 캐리지(28)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54)의 기계적 이점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82)가 작동 기어(86)보다 더 작으므로 작동 기어(86)는 구동 기어(82)보다 더 느린 회전 속도로 이동한다. 작동 기어(86)와 구동 기어(82) 간의 크기의 이러한 차이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회전시키고 캐리지(28)의 선형 작동(34)을 실시하기 위해 작동 기어(86)에서 증가된 출력 회전력(102)을 발생시킨다. 이 구성을 통해, 모터(54)는 기어열(80)을 위한 작동 기어(86)와 구동 기어(82) 간의 크기의 차이를 통해 획득되는 기계적 이점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저출력 모터(54)일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캐리지(28)와 작동기 암(32)은 수용기(110)와 돌출부 조합의 사용을 통해 서로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작동한다. 수용기(110)는 돌출부(112)가 수용기(110) 내에서 작동하게 하는 세장형 구멍(114) 또는 슬롯을 포함한다. 캐리지(28) 및 작동기 암(32)의 작동 동안, 캐리지(28)의 선형 작동(34)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캐리지(28)에 대한 제한된 이동이 돌출부(112)에 제공된다. 이 방식으로, 돌출부(112)는 수용기(110)의 구멍(114) 내에서 원활하게 병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돌출부(112)가 작동기 암(32) 상에 배치되고 수용기(110)가 캐리지(28) 내에 획정되지만, 이 위치는 전환될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돌출부(112)에 대한 수용기(110)의 세장형 구멍(114)은 작동기 암(32)의 회전 작동(36)과 결합하여 캐리지(28)의 선형 작동(34)을 제공한다. 또 다른 방식으로 말하자면, 캐리지(28)가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따라 선형 작동(34)을 겪기 때문에, 작동기 암(32) 그리고 그 대신 돌출부(112)가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아치형 경로를 통해 회전 작동(36)으로 이동한다. 돌출부(112)와 수용기(110) 사이의 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작동기 암(32)이 캐리지(28)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고정 배열은 작동기 암(32)의 회전 작동(36)으로의 캐리지(28)의 선형 작동(34)의 원활한 전환을 제공한다. 캐리지(28)와 변속기 선택 장치(22) 사이에서 연장되는 작동기 암(32)의 사용은 시프트 작동기(10) 내 부가적인 기계적 이점을 제공한다. 캐리지(28)가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따라 선형 작동(34)을 겪기 때문에, 작동기 암(32)은 캐리지(28)와 변속기 선택 장치(22) 사이에 부가적인 기계적 이점을 제공하는 방사상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시프트 작동기(10) 내에 제공되는 다수의 기계적 이점은 모터(54)의 크기가 상당히 감소되게 하고, 반면에 기어열(80)을 작동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출력 회전력(102),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 캐리지(28), 작동기 암(32) 및 변속기(14)를 작동시키기 위한 변속기 선택 장치(22)를 동시에 제공한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작동기(10) 및 변속기 선택 장치(22)는 변속기(14)의 기어 위치(18)를 조작하기 위해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맞물린다.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는 시프트 작동기(10), 그리고 특히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이동을 통해 명령어를 수신하고, 이는 결국 다양한 기어 위치(18) 사이에서 변속기(14)를 작동시키기 위해 별개의 기계적 조립체를 활성화시킨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시프트 작동기(10)가 또한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의 부재 시 변속기(14)를 작동시키기 위해 기계적 조립체에 직접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일반적으로,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는 다양한 기어 위치(18) 사이에서 변속기(14)를 조작하기 위해 시프트 작동기(10)와 결합하여 활용될 것이다. 변속기(14)의 다양한 기어 위치(18)에 대응하는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24)는 적어도 후진 위치(122), 중립 위치(124) 및 구동 위치(126)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인 변속기 설정부(24)는 교번 구동 설정부, 상이한 도로 및 날씨 조건에 대한 변속기 설정부(24), 및 다른 유사한 변속기 설정부(24)에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특정한 양상에서, 시프트 작동기(10)는 또한 변속기 설정부(24) 중 하나로서 주차 위치(128)를 포함할 수 있다. 주차 설정부가 또한 변속기(14)의 주차 위치(128)를 활성화시키는 것에 전용인 별개의 조립체의 사용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이 전용 조립체는 또한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 및 변속기(14)의 주차 잠금 설정부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이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구동 조립체(20)가 작동하여 회전축(70)을 중심으로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회전시킨다.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이러한 회전 동안, 캐리지(28)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회전축(70)을 따라 선형 작동(34)을 통해 병진된다. 캐리지(28)의 이러한 선형 작동(34)이 사용되어 변속기 설정부(24)에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기 위치(30)를 획정한다. 캐리지(28)의 이러한 선형 작동(34)은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한 작동기 암(32)의 회전 작동(36)으로 전환된다. 작동기 암(32)에 부착된 위치설정 자석(50)은 또한 시프트 작동기(10)를 위한 캐리지(28) 및 구동 조립체(20)의 작동 동안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작동기 암(32)이 회전함에 따라, 위치설정 자석(50)이 위치 센서(52)와 상호작용하여 위치 센서(52)에 대한 위치설정 자석(50) 그리고 결국 작동기 암(32)의 위치를 전달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16)를 사용하여 선택이 이루어진 후, 구동 조립체(20)가 작동되어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회전축(70)을 따라 캐리지(28)를 병진시킨다. 캐리지(28)의 이러한 병진 동안, 위치설정 자석(50)은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이동한다. 위치설정 자석(50)이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16)를 위한 원하는 변속기 설정부(24)에 대응하는, 캐리지(28)의 선택된 작동기 위치(140)에 대응하는 원하는 위치에 도달할 때, 위치 센서(52)가 제어기(142)를 통해 구동 조립체(20)와 통신하여 구동 조립체(20)의 모터(54)의 작동을 중단시킨다. 위치설정 자석(50) 및 위치 센서(52)를 사용하여, 작동기 암(32)의 별개의 이동이 검출될 수 있으므로 캐리지(28), 작동기 암(32) 및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정확한 위치설정이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를 작동시키기 위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기 암(32)의 별개의 이동은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대응하는 별개의 회전으로 젼환될 수 있다. 캐리지(28), 작동기 암(32) 및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별개의 이동 및 증분 이동을 사용하는 것은 시프트 작동기(1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소형이 되게 한다. 선택 장치 작동기(12)를 위한 컴포넌트 부분의 이동이 작기 때문에, 최소 공간량이 모터 공동부(60) 내 이동의 다양한 경로를 수용하기 위해 필요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계적 이점은 변속기 선택 장치(22)에서 출력 회전력(102)을 희생하는 일 없이, 시프트 작동기(10)의 크기의 이러한 감소를 허용한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시프트 작동기(10)를 위한 외부 하우징(58)은 캐리지가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회전축(70)을 따라 병진됨에 따라 캐리지(28)를 고정된 회전 위치에 유지하는 안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안내부(150)는 복수의 작동기 위치(30)를 통한 그리고 선형 작동(34)으로의 캐리지(28)의 병진을 안내하는 것을 돕는다. 이 안내부(150)는 외부 하우징(58) 내에 획정되는 일련의 홈 또는 채널(152)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28)는 또한 외부 하우징(58)의 안내부(150)의 역할을 하는, 외부 하우징(58) 내에 획정된 채널(152)과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탭(154) 또는 활주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하우징(58) 및 캐리지(28) 내에 획정된 안내부(150)는 캐리지가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회전축(70)을 따라 병진됨에 따라 캐리지(28)의 원활한 선형 작동(34)을 보장한다. 또한, 이 안내부(150)는 캐리지(28)가 임의의 편심 회전 운동을 겪지 않아서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회전축(70)을 따른 선형 작동(34)으로 국한되는 것을 보장한다. 오직 선형 작동(34)에 대한 캐리지(28)의 이러한 국한은 시프트 작동기(10)의 작동 동안 작동기 암(32) 및 위치설정 자석(50)의 정확한 움직임을 보장하는 것을 돕는다.
다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하우징(58) 내에서, 변속기 선택 장치(22)는 외부 하우징(58)의 인터페이스 부분(160) 내에 고정된다. 인터페이스 부분(160)은 변속기 선택 장치(22) 및 작동기 암(32)을 배치하여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는 것을 돕는다. 따라서, 외부 하우징(58)의 인터페이스 부분(160)은 변속기 선택 장치(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허브(1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동기 암(32) 및 변속기 선택 장치(22)가 단일의 피스일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 작동기 암(32) 및 변속기 선택 장치(22)가 변속기 선택 장치(22)뿐만 아니라 외부 하우징(58)의 인터페이스 부분(160)에 의해 획정되는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작동하도록 함께 부착되는 별개의 컴포넌트일 수 있다는 것을 또한 고려한다.
다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을 위한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170)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가진 구동 조립체(2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16)를 포함한다. 캐리지(28)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회전축(70)을 따라 선형 작동(34)을 통해 병진하여 복수의 작동기 위치(30)를 획정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캐리지(28)는 선형 작동(34)으로 제한되고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회전축(70)으로부터 원위인 또는 외부인 방향으로 또는 회전 방향으로 작동하는 것으로부터 방지된다. 작동기 암(32)은 캐리지(28)와 변속기 인터페이스(180) 사이에서 연장된다. 캐리지(28)의 선형 작동(34)은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한 작동기 암(32)의 회전 작동(36)을 획정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변속기 선택 장치(22)와 작동기 암(32)은 별개의 컴포넌트일 수 있거나 또는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동시에 작동하는 단일의 통합된 피스일 수 있다. 변속기 인터페이스(180)는 변속기 선택 장치(22)와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 간의 맞물림에 의해 획정될 수 있다. 이 변속기 인터페이스(180)는 변속기 선택 장치(22) 및 작동기 암(32)의 회전 작동(36)을 수용하고 이 회전 작동(36)을 차량을 위한 변속기(14)를 작동시키기 위한 명령어로 바꾼다.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움직임은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 그리고 결국 차량을 위한 변속기(14)를 작동시키기 위한 디지털 명령어 또는 전기적 명령어로 전환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유한하고 별개의 움직임일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시프트 작동기(10)의 위치 센서(52)가 구동 조립체(20)의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16), 작동기 암(32) 및 모터(54)와 통신하여 복수의 작동기 위치(30) 중 원하는 작동기 위치(30)에 캐리지(28) 및 작동기 암(32)을 설치한다. 변속기 선택 장치(22)는 또한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170)의 시프트 작동기(10) 내에 포함된다.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따른 캐리지(28)의 선형 작동(34)은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각각의 기어 위치(18)에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기 위치(30)를 획정한다.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위치 센서(52)는 위치 센서(52)의 자석 센서(190)에 대해 작동하는 위치설정 자석(50)을 포함하거나 또는 그와 쌍을 이룬다. 위치 센서(52)의 이러한 자석 센서(190)는 제어기(142) 및 구동 조립체(20)와 통신한다. 위치설정 자석(50) 및 위치 센서(52)가 협력하여 구동 조립체(20)의 모터(5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서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24)를 획정한다. 센서 조립체(220)의 위치설정 자석(50)이 작동기 암(32)에 일반적으로 부착되고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위치설정 자석(50)의 이러한 이동이 일반적으로 자석 센서(190)의 형태인 위치 센서(52)와 협력하여, 캐리지(28) 및 작동기 암(32)에 관한 위치설정 정보를 제공한다. 이 위치설정 정보가 사용되어 구동 조립체(20)를 작동시켜서 변속기 인터페이스(180) 및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다양한 변속기 설정부(24)를 획정한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외부 하우징(58)은 전력을 구동 조립체(20)에 제공하기 위한 연결기(212)를 수용하는 연결 단자(210)를 포함한다. 데이터 통신부는 또한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 및 변속기(14)를 위한 제어기(142)와 데이터 및 위치설정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연결 단자(210) 및 연결기(212) 내에 포함된다. 외부 하우징(58)의 외부로부터, 이동을 나타내는 시프트 작동기(10)의 부분만이 변속기 인터페이스(180)에서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와 맞물리는 변속기 선택 장치(22)이다. 시프트 작동기(10)의 모든 다른 작동 가능한 컴포넌트는 외부 하우징(58)의 모터 공동부(60) 내에 포함되고 포괄된다. 이 구성을 통해, 먼지, 이물질 및 다른 오염물질이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170)를 위한 시프트 작동기(10)의 외부에 유지될 수 있다. 외부 하우징(58) 내에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 캐리지(28) 및 작동기 암(32)을 포함시킴으로써, 캐리지(28)의 선형 작동(34) 및 작동기 암(32)의 회전 작동(36)은 모터 공동부(60)에 진입할 수도 있는 최소량의 오염물질로 인해 연장된 시간 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연결 단자(210)가 PCB(56)와 맞물려서 전력을 전달하고 시프트 작동기(10)의 상태에 관한 다양한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한다. 전력을 모터(54)에 전달하기 위해, 모터(54)는 PCB(56)로 연장되는 연결 핀(272)과 맞물리는 모터 핀(270)을 포함한다. 시프트 작동기(10)의 제작 동안, 모터(54)는 외부 하우징(58)에 대해 배치될 수 있다. 모터(54)의 모터 핀(270)은 압입 끼워맞춤될 수 있거나, 또는 PCB(56)의 연결 핀(272)에 압입 끼워맞춤되고 용접/납땜될 수 있다. 이어서 리테이너(240)는 외부 하우징(58) 내에서 시프트 작동기(10)의 다른 컴포넌트 및 모터(54)를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 모터(54)는 또한 모터 공동부(60) 내에서 모터(54)를 고정시키기 위해 외부 하우징(58)과 같은, 시프트 작동기(10)의 일부와 맞물리는 위치설정 특징부(274)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하우징(58)은 외부 하우징(58)을 획정하도록 함께 부착되는 대향하는 하우징 부분(280)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 공동부(60)로의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대향하는 하우징 부분(280)은 대향하는 하우징 부분(280) 사이에 배치되는 주변 개스킷(28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하우징(58)의 허브(162)는 변속기 선택 장치(22)에 배치되는 내부 개스킷(284) 또는 O자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내부 개스킷(284) 및 주변 개스킷(282)은 모터 공동부(60)를 밀봉하여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한다. 주변 개스킷(282) 및 내부 개스킷(284)은 또한 시프트 작동기가 유체로 더럽혀지게 하거나 또는 기계적 조립체의 윤활 유체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잠기게 한다. 이 방식으로, 시프트 작동기(10)가 유체 환경 내에 있으면서 외부 하우징(58)의 모터 공동부(60)로의 유체 또는 다른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작동기 암(32)의 회전 작동(36)의 정도는 일반적으로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길이 및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따른 캐리지(28)의 선형 이동 경로에 의존적이다. 이 방식으로, 작동기 암(32)이 겪는 회전 작동(36)의 양은 복수의 작동기 위치(30) 중 최외부 작동기 위치(30) 사이에서 대략 45도일 수 있다. 디바이스의 특정한 양상에서, 작동기 암(32)은 복수의 작동기 위치(30)의 최외부 위치 사이에서 대략 30도의 총 회전을 겪을 수도 있다. 디바이스의 특정한 양상에서, 작동기 암(32)은 복수의 작동기 위치(30)의 최외부 위치 사이에서 대략 20도의 총 회전을 겪을 수도 있다. 디바이스의 특정한 양상에서, 작동기 암(32)은 복수의 작동기 위치(30)의 최외부 위치 사이에서 대략 15도의 총 회전을 겪을 수도 있다. 작동기 암(32)의 회전도는 위치설정 자석(50) 및 자석 센서(190)를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220)의 사용을 통해 모니터링된다. 센서 조립체(220)의 이 컴포넌트는 작동기 암(32)의 회전 작동(36) 동안 별개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와 통신하기 위한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필요한 회전량은 복수의 기어 위치(18) 중 다양한 기어 위치(18) 사이를 파악하기 위해 소량으로 유지될 수 있다. 유한한 이동만이 작동기 암(32)에서 필요할 수도 있기 때문에, 시프트 작동기(1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최소량의 공간이 변속기(14)를 위한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 및 시프트 작동기(10)에 의해 차지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선택 장치 조립체(170)는 제어기(142)를 통해 구동 조립체(2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16)를 포함한다. 구동 조립체(20)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포함한다. 캐리지(28)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를 따라 병진하여 복수의 기어 위치(18)를 획정한다. 변속기 선택 장치(22)는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센서 조립체(220)는 제어기(142) 및 캐리지(28)와 통신한다. 캐리지(28)의 선형 작동(34)은 인터페이스 축(38)을 중심으로 한 변속기 선택 장치(22) 및 센서 조립체(220)의 위치설정 자석(50)의 회전 작동(36)을 획정한다. 센서 조립체(220)가 구동 조립체(20)와 협력하여 복수의 기어 위치(18) 중 원하는 또는 선택된 기어 위치(230)에 캐리지(28) 및 변속기 선택 장치(22)를 설치한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센서 조립체(220)를 위한 위치설정 자석(50)은 일반적으로 캐리지(28)와 변속기 선택 장치(22) 사이에서 연장되는 작동기 암(32)에 부착된다. 다시, 캐리지(28)의 선형 작동(34)은 작동기 암(32)의 회전 작동(36)을 통해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회전 작동(36)으로 전환된다. 외부 하우징(58)에 부착되고/되거나 모터 공동부(60) 내에 포함되는 PCB(56)는 작동기 암(32)에 부착되는 위치설정 자석(50)과 협력하는, 일반적으로 자석 센서(190)의 형태인, 위치 센서(5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센서(52)로부터의 정보는 시프트 작동기(10)를 위한 제어기(142)를 통해 구동 조립체(20)로 전달된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구동 조립체(20) 및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는 구동 조립체(20) 및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의 축방향 위치를 유지하는 다양한 리테이너(2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리테이너(240)가 외부 하우징(58)에 결합되어 외부 하우징(58) 내에서 시프트 작동기(10)의 컴포넌트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리테이너(240)가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26)와 맞물리는 캡, 기어열(80)의 다양한 부분 및 이 컴포넌트의 회전 작동(36)을 허용하기 위한 구동 조립체(20)의 다른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면서 축방향 및 횡방향 위치설정을 유지한다. 윤활유, 베어링 및 다른 저마찰 인터페이스가 이 리테이너(24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시프트 작동기(10)는 모터(54)로부터 변속기 선택 장치(22)로 힘 또는 출력 회전력(102)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소형 회전-기반 시프트 작동기(10)를 제공한다. 다양한 기계적 이점은 캐리지(28)와 변속기 선택 장치(22) 사이에서 연장되는 작동기 암(32)에 의해 획정되는 모멘트 암 및 기어열(80)을 통해 달성된다. 시프트 작동기(10)가 작동하여 변속기(14)를 구동시켜서 복수의 기어 위치(18) 사이에서 이동한다. 시프트 작동기(10)가 이동 명령을 제공하여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가 변속기(14)를 신속하게 구동시켜서 대응하는 선택된 기어 위치(23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디바이스의 다양한 양상에 따르면, 시프트 작동기(10)는 차량 설정부 내에 포함되는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 및 다른 다양한 선택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시프트 작동기(10)는 또한 비차량 적용에 있는 다른 기계적 조립체 내의 다른 선택 인터페이스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시프트 작동기(10)를 위한 외부 하우징(58)은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에 직접적으로 부착되거나, 변속기(14)에 부착되거나 또는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를 작동시키기 위한 차량의 또 다른 컴포넌트에 부착될 수 있는 다양한 연결 지점(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부착 지점은 외부 하우징(58)을 단단히 고정시켜서 변속기 선택 장치(22)가 시프트 작동기(10)와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 사이에서 변속기 인터페이스(180)와 정확하게 맞물리게 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특정한 양상에서, 구동 조립체(20)는 다양한 모터(54)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하나의 예시적인 양상에서, 구동 조립체(20)를 위한 모터(54)는 12V DC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작동기 암(32)에 의해 제공되는 모멘트 암뿐만 아니라 기어열(80)의 기어 감속 기구(100)에 의해 제공되는 기계적 이점은 캐리지(28), 작동기 암(32) 및 변속기 선택 장치(22)의 별개의 그리고 정확한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는 소량의 출력 또는 회전력 출력을 가진 모터(54)를 제공할 수 있다. 변속기(14)의 기계적 조립체를 이동시키기 위한 시프트 작동기(10)가 사용되는 경우에, 원할 때 더 큰 양의 출력 또는 출력 회전력(102)을 제공하기 위한 더 큰 모터(54)가 활용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120)를 사용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모터(54)가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념으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위에서 언급한 구조체에 대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또한 이러한 개념은 이 청구범위가 달리 언어로 명시적으로 나타내지 않는 한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포함되도록 의도된 것을 이해한다.

Claims (45)

  1. 변속기를 위한 시프트 작동기로서,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와 결합된 구동 조립체;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 사이에서 작동하는 변속기 선택 장치;
    상기 구동 조립체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작동되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
    상기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따라 선형으로 작동하여 상기 변속기 설정부에 대응하는 복수의 작동기 위치를 획정하는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와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 사이에서 연장되어 상기 캐리지의 선형 작동을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의 회전 작동으로 전환하는 작동기 암
    을 포함하는, 시프트 작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암은 상기 구동 조립체와 통신하는 위치 센서에 대해 작동하는 위치설정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자석과 상기 위치 센서가 협력하여 상기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 사이에서 상기 구동 조립체의 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시프트 작동기.
  3. 제2항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조립체, 상기 캐리지, 상기 위치설정 자석 및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외부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시프트 작동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외부 하우징에 부착되는 인쇄 회로 기판에 포함되는, 시프트 작동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모터와 상기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 사이에서 연장되는 기어열을 포함하는, 시프트 작동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단일의 양방향 모터를 포함하는, 시프트 작동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2개의 단방향 모터를 포함하는, 시프트 작동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및 상기 작동기 암이 서로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작동하여 상기 캐리지의 상기 선형 작동을 상기 작동기 암의 상기 회전 작동으로 전환하는, 시프트 작동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캐리지를 고정된 회전 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작동기 위치를 통한 상기 캐리지의 병진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시프트 작동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암과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는 단일의 피스인, 시프트 작동기.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는 적어도 후진 위치, 중립 위치 및 구동 위치를 포함하는, 시프트 작동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인터페이스 부분 내에 고정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부분은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 및 상기 작동기 암을 배치하여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의 인터페이스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는, 시프트 작동기.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암과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가 함께 부착되어 단일의 피스를 형성하는, 시프트 작동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가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shift-by-wire mechanism)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시프트 작동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는 주차 위치를 포함하는, 시프트 작동기.
  16.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로서,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가진 구동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
    상기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의 회전축을 따라 선형으로 작동하여 복수의 작동기 위치를 획정하는 캐리지;
    상기 캐리지와 변속기 인터페이스 사이에서 연장되는 작동기 암으로서, 상기 캐리지의 선형 작동은 상기 변속기 인터페이스 주위의 상기 작동기 암의 회전 작동을 획정하는, 상기 작동기 암;
    상기 구동 조립체의 상기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 상기 작동기 암 및 모터와 통신하여 상기 복수의 작동기 위치에 상기 캐리지 및 상기 작동기 암을 설치하는 위치 센서; 및
    변속기 선택 장치로서, 상기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따른 상기 캐리지의 상기 선형 작동은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의 각각의 기어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작동기 위치를 획정하는,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
    를 포함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구동 조립체와 통신하는 자석 센서에 대해 작동하는 위치설정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설정 자석과 상기 위치 센서가 협력하여 복수의 변속기 설정부 사이에서 상기 구동 조립체의 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자석이 상기 작동기 암에 부착되고 상기 자석 센서가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조립체, 상기 캐리지 및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모터 공동부 내에 배치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외부 하우징에 부착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21.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모터와 상기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 사이에서 연장되는 기어열을 포함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22. 제16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단일의 양방향 모터를 포함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23. 제16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및 상기 작동기 암이 서로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작동하여 상기 캐리지의 상기 선형 작동을 상기 작동기 암의 상기 회전 작동으로 전환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캐리지를 고정된 회전 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작동기 위치를 통한 상기 캐리지의 병진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25.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암과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는 단일의 피스인,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26. 제16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어 위치는 적어도 후진 위치, 중립 위치 및 구동 위치를 포함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인터페이스 부분 내에 고정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부분은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 및 상기 작동기 암을 배치하여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의 인터페이스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28. 제16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암과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가 함께 부착되어 단일의 피스를 형성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29. 제16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가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30.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기어 위치는 주차 위치를 포함하는, 기어 선택 장치 조립체.
  31. 선택 장치 조립체로서,
    제어기를 통해 구동 조립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포함하는, 상기 선택 장치 인터페이스;
    상기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를 따라 병진하여 복수의 기어 위치를 획정하는 캐리지;
    인터페이스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변속기 선택 장치; 및
    상기 제어기 및 상기 캐리지와 통신하는 센서 조립체로서, 상기 캐리지의 선형 작동이 상기 인터페이스 축을 중심으로 한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 및 상기 센서 조립체의 자석의 회전 작동을 획정하고, 상기 센서 조립체가 상기 구동 조립체와 협력하여 상기 복수의 기어 위치 중 선택된 기어 위치에 상기 캐리지 및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를 설치하는, 상기 센서 조립체
    를 포함하는, 선택 장치 조립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조립체는 상기 구동 조립체와 통신하는 위치 센서에 대해 작동하는 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자석과 상기 위치 센서가 협력하여 상기 복수의 기어 위치 사이에서 상기 구동 조립체의 모터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선택 장치 조립체.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작동기 암에 부착되고 상기 위치 센서가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되는, 선택 장치 조립체.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하우징을 더 포함하되, 상기 구동 조립체, 상기 캐리지 및 상기 센서 조립체는 상기 외부 하우징의 모터 공동부 내에 배치되는, 선택 장치 조립체.
  35.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은 외부 하우징에 부착되는, 선택 장치 조립체.
  36. 제31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상기 모터와 상기 나사산 형성된 작동기 사이에서 연장되는 기어열을 포함하는, 선택 장치 조립체.
  37. 제3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조립체는 단일의 양방향 모터를 포함하는, 선택 장치 조립체.
  38. 제3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 및 상기 작동기 암이 서로에 대해 활주 가능하게 작동하여 상기 캐리지의 상기 선형 작동을 상기 작동기 암의 상기 회전 작동으로 전환하는, 선택 장치 조립체.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하우징은 상기 캐리지를 고정된 회전 위치에 유지하고 상기 복수의 기어 위치를 통한 상기 캐리지의 병진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선택 장치 조립체.
  40. 제3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암과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는 단일의 피스인, 선택 장치 조립체.
  41. 제3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어 위치는 적어도 후진 위치, 중립 위치 및 구동 위치를 포함하는, 선택 장치 조립체.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는 상기 하우징의 인터페이스 부분 내에 고정되고, 상기 인터페이스 부분은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 및 상기 작동기 암을 배치하여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의 인터페이스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작동하는, 선택 장치 조립체.
  43. 제31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 암과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가 함께 부착되어 단일의 피스를 형성하는, 선택 장치 조립체.
  44. 제3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선택 장치가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선택 장치 조립체.
  45.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어 위치는 주차 위치를 포함하는, 선택 장치 조립체.
KR1020237031355A 2021-03-30 2021-03-30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를 위한 기어 선택 작동기 KR202301626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1/084045 WO2022204960A1 (en) 2021-03-30 2021-03-30 Gear selection actuator for a shift‐by‐wire mechanis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2603A true KR20230162603A (ko) 2023-11-28

Family

ID=83455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1355A KR20230162603A (ko) 2021-03-30 2021-03-30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를 위한 기어 선택 작동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133465A1 (ko)
JP (1) JP2024511602A (ko)
KR (1) KR20230162603A (ko)
CN (1) CN117561391A (ko)
WO (1) WO2022204960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6837B2 (ja) * 2003-02-18 2005-11-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シフトバイワイヤ式自動変速機のレンジ選択装置
US9939064B2 (en) * 2012-11-30 2018-04-10 Kongsberg Automotive Ab Rotary shift actuator for a shift-by-wire transmission
US9334949B2 (en) * 2013-12-13 2016-05-10 Ghsp, Inc. Rotary shifting device with motorized knob
DE102017114591A1 (de) * 2017-06-29 2019-01-03 Küster Hold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nwählen von Fahrstufen bei Kraftfahrzeugen
US20190203826A1 (en) * 2017-12-28 2019-07-04 Dura Operating, Llc Transmission shifter assembly with secondary shifting
CN211343989U (zh) * 2019-12-05 2020-08-25 东风格特拉克汽车变速箱有限公司 一种自动变速箱驻车换挡执行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33465A1 (en) 2024-04-25
WO2022204960A1 (en) 2022-10-06
JP2024511602A (ja) 2024-03-14
CN117561391A (zh) 202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9283B2 (en) Device for activating gearshift forks
US10281038B2 (en) Actuator for shift by wire automatic transmission
JP2023509769A (ja) 駆動系アセンブリ用のアクチュエータモジュール
US8176807B2 (en) Control unit for automatic transmission
KR100852870B1 (ko) 클러치 작동 장치
CN103089994A (zh) 电动促动器
US20040018907A1 (en) Shift range changeover mechanism
US5970811A (en) Automatic speed-change apparatus for a gear transmission
CN101233348B (zh) 自动变速器
KR101765400B1 (ko) 변속기의 액추에이터
JP2011510236A (ja) メインカム及び補助カムを有する回転ドラムが設けられた車両用変速機のためのギヤ切替制御装置。
KR20230162603A (ko) 시프트-바이-와이어 기구를 위한 기어 선택 작동기
KR101090984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용 작동기
KR101795734B1 (ko) 듀얼 클러치 변속기의 구동장치
CN217519191U (zh) 用于变速器拨叉的致动器以及包括该致动器的变速器
JP2005090621A (ja) 手動変速機のリバースミスシフト防止装置
JP4356104B2 (ja) 手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KR101470028B1 (ko) Dct의 클러치 작동장치
CN216975743U (zh) 换挡装置和车辆
JPS6151697B2 (ko)
JP2004308678A (ja) 自動変速装置
JP2024077782A (ja) シフト装置
JP2003254434A (ja) 車輌のレンジ切替え装置
JP2010190359A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及び変速機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3254433A (ja) 車輌のレンジ切替え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