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1894A - Her2-gst-sn-38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Her2-gst-sn-38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1894A
KR20230161894A KR1020230063650A KR20230063650A KR20230161894A KR 20230161894 A KR20230161894 A KR 20230161894A KR 1020230063650 A KR1020230063650 A KR 1020230063650A KR 20230063650 A KR20230063650 A KR 20230063650A KR 20230161894 A KR20230161894 A KR 20230161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nanoparticles
glutathione
molecule
her2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63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노종국
변승민
최효진
이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디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디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디바이오
Priority to PCT/KR2023/00668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3224385A1/ko
Publication of KR2023016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189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4Drug-peptide, drug-protein or drug-polyamino acid conjugates, i.e.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eptide, protein or polyamino acid which is covalently bonded or complexed to a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38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745Quinolines; Isoquinoline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densed with ring system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henantr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8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antibody, an immunoglobulin or a fragment thereof, e.g. an Fc-fragment
    • A61K47/6801Drug-antibody or immunoglobulin conjugates defined by the pharmac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agent
    • A61K47/6803Drugs conjugated to an antibody or immunoglobulin, e.g. cisplatin-antibody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글루타치온-S-전이효소 및 표적 세포 또는 표적 단백질 결합능을 갖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약물 복합체 및 약학적 조성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융합 단백질 및 그를 포함하는 약물 복합체에 의하면, 생체 내 잔존 시간을 지속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표적 세포로의 표적능이 향상되어 타켓으로 하는 세포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표적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HER2-GST-SN-38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HER2-GST-SN-38 complex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proliferative disease comprising the same}
글루타치온-S-전이효소 및 표적 세포 또는 표적 단백질 결합능을 갖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약물 전달체, 약물 복합체 및 약학적 조성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나노파티클은 생물학적 분포능이 우수하며 약물 방출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 영상화 장비나 표적 치료제 등의 분야에서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나노파티클은 200 ㎚의 직경을 가질 때 종양 주위의 혈관 근처로 유출될 수 있으며, 종양 주위에서는 림프관이 형성되지 않아 압력이 낮기 때문에 유출된 나노파티클이 종양 조직 내에 계속 잔존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과정은 EPR 효과(enhanced permeability and retention effect)라 하며, 이를 통해 약물 전달체의 투과성 및 잔존성이 개선될 수 있다.
현재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나노파티클로서, Abraxane 및 Doxil을 대표적인 예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종양마다 혈관의 투과성이 각기 다양하며, 나노파티클을 정맥투여하였을 때 단핵식세포계(mononuclear phagocyte system, MPS)가 이를 제거하기 위해 간과 비장과 같은 세망내피계 조직(reticuloendothelial organ)에 빠르게 축적된다는 제한점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나노파티클을 적용하는 표적 치료제는 치료 효과가 저감될 수 있으며, 나노파티클의 독성으로 인해 부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폴리에틸렌 글리콜화 (poly(ethylene glycol) ylation, PEGylation)하여 나노파티클을 둘러싸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였을 때, 생체 내 순환기에서 나노파티클이 순환될 수 있는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반대로 표적 세포 내로 유입될 수 있는 가능성이 감소하고 비-특이적인 결합을 통해 표적 세포 이외의 세포를 표적할 수 있어 이 또한 치료 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나노파티클을 약물전달체로 사용함에 있어서, 약물 전달을 위한 표적능과 함께 EPR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나노파티클의 구조적인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는 전략이 제시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나노파티클의 표면에 암세포에서 과발현되는 수용체와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단백질 또는 펩티드로 코팅하는 등의 구조적 변화를 유도하여 약물전달체의 표적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통해서도 종양 표적 효율이 효과적으로 증가되지 않고, 오히려 MPS를 통한 체내 면역 반응을 통해 나노파티클이 보다 빠르게 제거될 수 있는 타겟 리간드를 제공하게 되어, 전체적인 종양 치료 효과 면에서 유의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내지는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론적으로는, 생리적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엔트로피에 따르는 물분자의 배치, 파티클 표면의 전하의 보정(charge compensation)이나 소수성 부분이 노출되는 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표면 에너지를 낮추는 방향으로 나노파티클의 표면은 자연적으로 다른 생물분자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이 때, 나노파티클의 표면의 표면에 다양한 생물분자들이 비-특이적으로 흡착되는데, 이러한 형태를 단백질 코로나(protein corona)라고 한다. 단백질 코로나는 다른 분자들에 둘러싸여 본연의 분자적 특징이 변화하고, 표적 세포 또는 기관으로의 표적능과 나노파티클이 나타내는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이 차단된다. 때문에, 나노파티클을 표적 치료제로서 임상 수준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단백질 코로나를 조절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나노파티클을 기반으로 하는 표적 치료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나노파티클의 표면에 단백질 코로나를 먼저 형성하여 이를 조절하는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를 위해, 단백질 코로나에 의해 표적능이 차단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나노파티클의 표면을 쌍성 이온(zwitterionic), PEG 및 탄수화물 잔기 등으로 변경하여 혈청 내 단백질과의 상호작용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방법이 공지된 바 있다. 이외에도, 나노파티클을 dysopsonic 단백질로 전코팅하여 혈장 내의 원하는 단백질의 순환을 통해 단백질 코로나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백질 코로나로 전코팅된 나노파티클은 콜로이드 상태의 안정성이 증가되어 MPS에 의해 제거되지 않고 혈액 내에서 순환 시간을 지속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도 표적으로의 타겟능이 제한될 수 있고, 전코팅에 사용되는 단백질과 나노파티클 간의 생물학적 상호작용을 통한 생물화학적인 작용이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임상으로의 적용에서 제한을 가진다.
Monopoli, M. P., Aberg, C., Salvati, A. & Dawson, K. A. Nat Nanotechnol 7, 779-786, doi:10.1038/nnano.2012.207 (2012).
일 양상은 글루타치온-S-전이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분자;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에 결합능을 갖는 항체, 애피바디(affibody) 또는 다이아바디(diabody) 분자;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상기 항체, 애피바디 또는 다이아바디를 연결하는 링커; 및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GSH(Glutathione) 분자에 의해 결합된 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포함하는 약물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글루타치온-S-전이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분자;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에 결합능을 갖는 항체, 애피바디(affibody) 또는 다이아바디(diabody) 분자;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상기 항체, 애피바디 또는 다이아바디를 연결하는 링커; 및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GSH(Glutathione) 분자에 의해 결합된 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글루타치온-S-전이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분자;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에 결합능을 갖는 항체, 애피바디(affibody) 또는 다이아바디(diabody) 분자;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상기 항체, 애피바디 또는 다이아바디를 연결하는 링커; 및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GSH(Glutathione) 분자에 의해 결합된 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포함하는 약물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항체(antibody)"는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용어로서 항원성 부위에 대해서 지시되는 특이적인 단백질 분자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목적상, 항체는 표적 세포 또는 표적 세포에서 발현하는 수용체에 대해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하며, 이러한 항체는, 각 유전자를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상기 마커 유전자에 의해 코딩되는 단백질을 얻고, 얻어진 단백질로부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여기에는 상기 단백질에서 만들어질 수 있는 부분 펩티드도 포함되며, 본 발명의 부분 펩티드로는, 최소한 7개 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9개 아미노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의 항체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폴리클로날 항체, 모노클로날 항체, 인간화 항체, 또는 항원 결합성을 갖는 것이면 그것의 일부인 항원 결합 단편도 본 명세서의 항체에 포함되고 모든 면역 글로불린 항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애피바디 분자(affibody molecule)"는 특정 타겟 단백질(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모사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피바디 분자는 20 내지 150의 아미노산 잔기로 구성되며, 2 내지 10개의 알파 헬릭스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애피바디 분자는 항-ErbB 애피바디 분자(ab31889), HER2-특이적 애피바디 분자(ZHER2:342), 항-EGFR 애피바디 분자(ZEGFR:237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세포의 특정 수용체 또는 표적 단백질을 인식할 수 있는 애피바디 분자를 모두 포함한다. 상기 애피바디 분자가 인식할 수 있는 표적 수용체 또는 표적 단백질의 예는, 아밀로이드 베타 펩티드, 시누클레인(예를 들면, 알파-시누클레인), 아포리포프로테인(예를 들면, 아포리포프로테인 A1), 보체 인자(Complement factor)(예를 들면, C5), 탄산무수화효소(Carbonic anhydrase)(예를 들면, CAIX), 인터루킨-2 수용체 알파 사슬(IL2RA; CD25), 세포 표면의 CD 항원(예를 들면, CD28), 또는 c-Jun, Factor VIII, 프비르노겐, GP120, H-Ras, Her2, Her3, HPV16 E7, IAPP(Human islet amyloidpolypeptide), 이뮤노글로불린 A(IgA), IgE, IgM, 인터루킨(예를 들면, IL-1, IL-6, IL-8, IL-17), 인슐린, 스타필로코커스 단백질 A 도메인(Staphylococcal protein A domain), Raf-1, LOV 도메인(Light-oxygen-voltage-sensing domain), 또는 RSV G 단백질일 수 있다. 상기 애피바디에 대한 정보는 Stefan Stahl et al., Affibody Molecules in Biotechnological and Medical Applications, Trends inBiotechnology, August 2017, Vol 35, No 8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문헌은 그 전체가 참조로서 본 명세서에서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링커(linker)"란 두 가지 이상의 화학적인 구조물을 연결시키는 분자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커는 1 내지 400개, 1 내지 200개, 또는 2 내지 200개의 임의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티드일 수 있다. 상기 펩티드 링커는 Gly, Asn 및 Ser 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Thr 및 Ala과 같은 중성 아미노산들도 포함될 수 있다. 펩티드 링커에 적합한 아미노산 서열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기능적 일부분 사이의 적절한 분리를 달성하기 위하여 또는 필수적인 내부-일부분(inter-moiety)의 상호작용을 유지하기 위한 링커의 최적화를 고려하여 카피 수 "n"을 조절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 링커는 프로테아제 저항성이 있는 링커일 수 있다. 저항성이 있다는 것은 구체적으로, 프로테아제에 의해 결합되지 않고/않거나, 프로테아제에 의해 절단되지 않고/않거나, 프로테아제와 접촉 시 안정하게 유지되고/되거나, 이의 활성을 유지함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펩티드 링커는 G, S, 및/또는 T 잔기를 포함하는 유연성 링커일 수 있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다른 가요성 링커들이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수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극성 아미노산 잔기를 추가하는 것뿐만 아니라 유연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T 및 A와 같은 아미노산 잔기를 추가한 G 및 S 링커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링커는 (GpSs)n 및 (SpGs)n으로부터 선택되는 일반식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독립적으로, p는 1 내지 10의 정수이고, s는 0 내지 10의 0 또는 정수이고, p + s는 20 이하의 정수이고, 및 n은 1 내지 20의 정수이다. 링커의 예는 (GGGGS)n (서열번호2), (SGGGG)n (서열번호 3), (SRSSG)n (서열번호 4), (SGSSC)n (서열번호 5), (GKSSGSGSESKS)n (서열번호 6), (RPPPPC)n (서열번호 7), (SSPPPPC)n (서열번호 8), (GSTSGSGKSSEGKG)n (서열번호 9), (GSTSGSGKSSEGSGSTKG)n (서열번호 10), (GSTSGSGKPGSGEGSTKG)n (서열번호 11), 또는 (EGKSSGSGSESKEF)n (서열번호 12)이고, 상기 n은 1 내지 20, 또는 1 내지 10의 정수이다.
다른 양상은 상기 GST 분자와 HER2에 결합능을 갖는 항체, 애피바디 또는 다이아바디 분자가 결합된 융합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폴리뉴클레오티드(polynucleotide)"는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티드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RNA 게놈 서열, DNA(gDNA 및 cDNA) 및 이로부터 전사되는 RNA 서열을 포괄하며, 특별하게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자연의 폴리뉴클레오티드뿐만 아니라 당 또는 염기 부위가 변형된 그의 유사체(analogue)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는 단쇄 폴리뉴클레오티드이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벡터"는 적당한 숙주세포에서 목적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발현되도록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조절 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지칭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벡터는 프로모터, 오퍼레이터, 개시코돈, 종결코돈, 폴리아데닐화 시그널, 및/또는 인핸서와 같은 발현 조절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벡터의 프로모터는 구성적 또는 유도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는, 숙주 세포 내에서 안정적으로 상기 융합 단백질을 발현시킬 수 있는, 발현용 벡터일 수 있다. 상기 발현용 벡터는 당업계에서 식물, 동물 또는 미생물에서 외래의 단백질을 발현하는 데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조합 벡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구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벡터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세포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성 마커를 포함하고, 복제 가능한 벡터인 경우, 복제 기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벡터는 자가 복제하거나 숙주 DNA에 도입될 수 있으며, 상기 벡터는 플라스미드, 렌티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아데노-관련 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헤르페스 심플렉스 바이러스, 및 배시니아 바이러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벡터는 동물세포, 예를 들어, 포유동물 세포에서 작동가능한 프로모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적합한 프로모터는 포유동물 바이러스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 및 포유동물 세포의 지놈으로부터 유래된 프로모터를 포함하며, 예컨대, CMV (Cytomegalovirus) 프로모터, U6 프로모터 및 H1 프로모터, MLV(Murine Leukemia Virus) LTR(Long terminal repeat) 프로모터, 아데노바이러스 초기 프로모터, 아데노바이러스 후기 프로모터, 백시니아 바이러스 7.5K 프로모터, SV40 프로모터, HSV의 tk 프로모터, RSV 프로모터, EF1 알파 프로모터, 메탈로티오닌 프로모터, 베타-액틴 프로모터, 인간 IL-2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IFN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IL-4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림포톡신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GM-CSF 유전자의 프로모터, 인간 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아제(PGK) 프로모터, 마우스 포스포글리세레이트 키나아제(PGK) 프로모터 및 설바이빈 (Survivin) 프로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벡터에서, 전술한 융합 단백질은 프로모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은 핵산 발현 조절 서열(예: 프로모터, 시그널 서열, 또는 전사조절인자 결합 위치의 어레이)과 다른 핵산 서열사이의 기능적인 결합을 의미하며, 이에 의해 상기 조절 서열은 상기 다른 핵산 서열의 전사 및/또는 번역을 조절하게 된다.
또 다른 양상은 상기 융합 단백질, 폴리뉴클레오티드, 또는 벡터를 포함하는, 숙주 세포를 제공한다.
상기 세포, 예를 들면, 진핵 세포는 효모, 곰팡이, 원생동물(protozoa), 식물, 고등 식물 및 곤충, 또는 양서류의 세포, 또는 CHO, HeLa, HEK293, 및 COS-1과 같은 포유 동물의 세포일 수 있고, 예를 들어,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배양된 세포 (인 비트로), 이식된 세포 (graft cell) 및 일차 세포 배양 (인 비트로 및 엑스 비보(ex vivo)), 및 인 비보 (in vivo) 세포, 및 또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의 세포 (mammalian cell)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체는 효모, 곰팡이, 원생동물, 식물, 고등 식물 및 곤충, 양서류, 또는 포유 동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는 동물 세포 또는 식물세포일 수 있다.
약물 전달체를 사용하여 개체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약학적 활성 성분의 종류는 항암제, 조영제(염료), 호르몬제, 항호르몬제, 비타민제, 칼슘제, 무기질 제제, 당류제, 유기산 제제, 단백질 아미노산 제제, 해독제, 효소 제제, 대사성 제제, 당뇨 병용제, 조직 부활 용약, 클로로필 제제, 색소제제, 종양 용약, 종양 치료제, 방사성 의약품, 조직 세포 진단제, 조직 세포 치료제, 항생 물질 제제, 항바이러스제, 복합항생물질제제, 화학요법제, 백신, 독소, 톡소이드, 항독소, 렙토스피라혈청, 혈액 제제, 생물학적 제제, 진통제, 면역원성 분자, 항히스타민제, 알레르기 용약, 비특이성 면역원 제제, 마취제, 각성제, 정신 신경 용제, 저분자 화합물, 핵산, 앱타머, 안티센스 핵산,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펩타이드, siRNA 및 마이크로 RN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N-38은 항암제일 수 있으며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SN-38(7-ethyl-10-hydroxycamptothecin)"은 이리노테칸(Irinotecan)(일명 "CPT-11"라고도 불림)의 활성 성분으로, I형 DNA 토포이소메라제(topoisomerase) 활성을 저해함으로써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이리노테칸보다 생체외에서 각종 암 세포에 대항하여 1,000배 이상까지 강력한 세포 독성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SN-38(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의 결합은 GSH(Glutathione)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SN-38은 GSH가 결합된 SN-38일 수 있다. GSH는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의 결합 부위로 작용하여 SN-38과 글루타치온-S-전이효소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SN-38 분자는 SN-38이 담지된 또는 SN-38을 담지할 수 있는 나노파티클일 수 있다. 나노파티클은 종래의 기술에 따라 약물 전달체로서 적용할 수 있는 나노파티클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실리카 나노파티클(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 MSN), 골드 나노파티클(gold nanoparticle), 마그네틱 나노파티클(magnetic nanoparticle), 핵산-금속유기 금속체 나노파티클(Nucleic acid-Metal Organic Framework nanoparticle) 및 중합체 나노파티클(polymer nanoparticl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파티클에 GSH(Glutathione)이 결합된 것일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나노파티클은 GST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과 결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SN-38 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다른 양상은 글루타치온-S-전이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분자;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에 결합능을 갖는 항체, 애피바디(affibody) 또는 다이아바디(diabody) 분자;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상기 항체, 애피바디 또는 다이아바디를 연결하는 링커; 및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GSH(Glutathione) 분자에 의해 결합된 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을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증식성 질환"은 세포의 증대에 의한 비정상적인 확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지칭한다. 증식성 질환은 다음과 관련될 수 있다: 1) 정상적 휴지기 세포의 병리학적 증식; 2) 정상 위치로부터의 세포의 병리학적 이동(예를 들어, 신생물 세포의 전이); 3)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예를 들어, 콜라게나아제, 젤라티나아제 및 엘라스타아제)와 같은 단백질 분해 효소의 병리학적 발현; 4) 증식성 망막병증 및 종양 전이에서와 같은 병리학적혈관신생; 또는 5) 숙주 면역 감시 및 신생물 세포 제거의 회피.
상기 증식성 질환은 암(즉, 악성 신생물), 양성 신생물, 및 혈관신생을 포함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암은 혈액암 또는 고형암일 수 있다.
상기 혈액암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Acute Lymphoblastic Leukemia), 만성 골수성 백혈병(Chronic Myelogenous Leukemia),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 및 림프종(Lymphoma)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형암은 유방암, 대장암, 두경부암, 폐암, 위암, 뇌암, 피부암, 결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직장암, 갑상선암, 간암, 자궁경부암, 직장암, 항문암, 요도암, 난소암, 식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암은 항암제에 대한 내성(예를 들면, 다제 내성)을 갖는 위암, 유방암, 폐암, 간암, 식도암 및 전립선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은 최초 발생된 부위에서 분리된 암세포가 혈액, 림프관 등을 통해 다른 부위에 전이되어 증식되는 전이암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양성 신생물은 선종, 섬유종, 혈관종, 결절성 경화증, 및 지방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제" 또는 "약학적 조성물"은 대상체로의 투여 시에 몇몇 유리한 효과를 부여하는 분자 또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유리한 효과는 진단적 결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 질병, 증상, 장애 또는 병태의 개선; 질병, 증상, 장애 또는 질환의 발병의 감소 또는 예방; 및 일반적으로 질병, 증상, 장애 또는 병태의 대응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 또는 "치료하는" 또는 "완화하는" 또는 "개선하는"은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이들 용어는 치료 이익 및/또는 예방 이익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 유리한 또는 요망되는 결과를 수득하는 방법을 지칭한다. 치료 이익은 치료 하의 하나 이상의 질병, 질환 또는 증상의 임의의 치료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또는 그에 대한 효과를 의미한다. 예방 이익에 있어서, 조성물은 특정 질병, 질환 또는 증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대상체에게 또는 질병, 질환 또는 증상이 아직 나타나지 않을지라도, 질병의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증상을 보고하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량" 또는 "치료적 유효량"은 유리한 또는 요망되는 결과를 야기하기에 충분한 작용제의 양을 지칭한다. 치료적 유효량은 치료되는 대상체 및 병태, 대상체의 체중 및 연령, 병태의 중증도, 투여 방식 등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어는 본원에 기술된 영상화 방법 중 임의의 것에 의한 검출을 위한 이미지를 제공할 용량에 적용된다. 특정 용량은 선택된 특정 작용제, 뒤따르는 투여 요법, 그것이 다른 화합물과 병용하여 투여되는지 여부, 투여 시기, 영상화되는 조직 및 그것을 운반하는 신체 전달 시스템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임상투여시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직장, 정맥, 복막, 근육, 동맥, 경피, 비강(Nasal), 흡입, 안구 및 피하와 같은 경구 이외의 투여경로를 통한 투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의약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 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리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생리식염수 또는 유기용매와 같이 약제로 허용된 여러 전달체(Carrier)와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안정성이나 흡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글루코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탄수화물,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또는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항산화제(Antioxidants), 킬레이트화제(Chelating agents), 저분자 단백질 또는 다른 안정화제(Stabilizers)들이 약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은 0.01 내지 100 ㎎/㎏이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 이며, 하루 1회 내지 3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대상체", "개체" 및 "환자"는 척추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간을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서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된다. 포유동물은 쥣과, 원숭이, 인간, 농장 동물, 스포츠 동물 및 애완동물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생체내에서 수득되거나 시험관내에서 배양된 생물학적 엔티티(entity)의 조직, 세포 및 그들의 자손도 또한 포함된다.
또 다른 양상은 하기의 구성을 포함하는, 단백질 코로나 외층(protein corona shield)을 가지는 나노파티클(protein corona shield nanoparticle, PCSN)을 제공한다:
a) 약물을 담지할 수 있는 나노파티클; b) 나노파티클의 표면에 결합된, 글루타치온-S-전이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포함 융합 단백질.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나노파티클의 내부에 약물이 담지된, 단백질코로나 외층을 가지는 나노파티클 약물 전달체 또는 약물 복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i) 내지 iii) 단계를 포함하는, 단백질 코로나 외층을 가지는 나노파티클 약물 전달체 또는 약물 복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i) 나노파티클 표면에 링커(예를 들면, GSH)를 결합시키는 단계; ii) 상기 단계 i)에서 링커와 결합된 나노파티클의 내부 또는 표면에 약물을 담지시키는 단계; 및 iii) 상기 단계 ii)에서 약물을 담지한 나노파티클 표면에 GST 융합 단백질을 코팅하여 단백질 코로나 외층(PCS)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단백질 코로나 외층(protein corona shield)을 가지는 나노파티클은 융합 단백질로 표면이 전-코팅된 단백질 코로나 외층을 먼저 생성하였기 때문에 체내 환경에서 혈청 단백질에 의해 둘러싸이는 코로나층이 형성되지 않아, 대식 세포에 의한 면역 반응을 회피할 수 있어 스텔스 효과(stealth effect)를 유의적으로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단백질 코로나 외층을 가지는 나노파티클(PCSN)은 생체 내 잔존 시간을 지속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표적 세포로의 표적능이 향상되어 타겟으로 하는 세포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표적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융합 단백질 및 그를 포함하는 약물 전달체 또는 약물 복합체에 의하면, 생체 내 잔존 시간을 지속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표적 세포로의 표적능이 향상되어 타켓으로 하는 세포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표적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GST-HER2 Afb의 SDS-PAGE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HER2 양성 유방암 세포주 SK-BR3, 위암 세포주 NCI-N87, HER2 음성 유방암 세포주 MDA-MB231의 HER2 발현량을 확인한 이미지이다.
도 3은 HER2 양성 유방암 세포주 SK-BR3, 위암 세포주 NCI-N87, MKN45, HER2 음성 유방암 세포주 MDA-MB231에 KMD111을 처리한 후의 세포 생존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위암 세포주인 MKN45를 이식한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KMD111 투여량에 따른 체중변화를 나타낸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위암 세포주인 MKN45를 이식한 마우스 동물모델에서 KMD111 투여량에 따른 항종양 효과를 확인한 결과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 1. 애피바디(affibody) 및 글루타치온-S-전이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융합 단백질의 제조
본 발명에서는 약물 전달체로 사용하기 위한 나노파티클의 표면에 단백질 코로나의 외층을 형성시켜, 생체 내 환경에서도 안정성 및 표적능이 향상된 약물 전달체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단백질 코로나 외층을 구성할 수 있는 융합 단백질(fusion protein)을 제조하였다. 융합 단백질은 암세포 표면의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애피바디(affibody, Afb)와 GST가 결합된 형태가 되도록 발현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Afb로서 HER2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HER2 Afb를 사용하였다. GST 단백질은 서열번호 13의 human GSTA1 (P08263)을 도입하였으며 GST의 C-terminal 말단에 링커 서열 SGGGSGGGSGGGSGGGSGGGSGGG(서열번호 1)을 결합시킨 다음 서열번호 14의 HER2-affibody (ZHER2:342)를 도입하였다. 서열번호 15의 HER2-affibody-GST 융합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기본으로 하여 대장균에서 발현을 유도하기 위한 codon optimization을 수행한 후 Invitrogen GeneArt 유전자 합성(ThermoFisher)을 통해 암호화된 유전자(서열번호 16)를 합성하고 단백질 발현 플라스미드인 pET151/D-TOPO에 삽입하였다.
상기 구축된 플라스미드를 E. Coli BL21(DE3) 균주에 삽입(transformation)하여 배양하였다. 융합단백질은 배양액에 IPTG를 처리하여 발현을 유도하였으며 30℃에서 16시간 동안 배양하고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수득하였다. 수득한 배양세포를 50 mM PBS에 현탁한 후 고압세포파쇄기를 이용해 세포를 파쇄하였다. 파쇄 후 원심분리하여 융합단백질을 포함한 상등액을 분리 회수한 다음 FPLC 장비를 사용하여 NI-NTA affinity chromatography로 HER2-affibody-GST를 정제하였다. 정제된 단백질은 SDS-PAGE 분석을 통해 단백질의 순도 및 분자량을 분석하였다.
도 1은 HER2-affibody-GST의 SDS-PAGE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표 1은 HER2-affibody-GST의 SDS-PAGE 분석을 통해 단백질 순도를 정량적으로 수치화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Band No. Mol. Wt.(KDa) Relative Front Adj. Volume(Int) Volume(Int) Abs. Quant. Rel. Quant. Band% Lane%
1 N/A 0.275 309,225 27,068,370 N/A N/A 0.4 0.3
2 N/A 0.537 87,572,730 176,874,915 N/A N/A 99.5 74.0
3 N/A 0.646 173,040 34,072,605 N/A N/A 0.2 0.1
Band Detection Automatically detected bands with sensitivity: High
Land Background Lane background subtracted with disk size: 0.1
Lane Width 7.17mm
실시예 2. 단백질 코로나 외층(PCS)을 가지는 약물 전달체의 제조
<2-1> 다공성 실리카 나노파티클 준비
약물 전달체의 기본 구조로서, 다공성 실리카 나노파티클(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 MSN)을 준비하였다.
먼저, 직경 50 ㎚ 이하의 MSN을 준비하기 위해 1.53 g의 CTAB 및 0.3 g의 수산화테트라에틸암모늄 용액(Tetraethylammonium hydroxide, TEAH)을 100 g의 탈이온수에 가한 후, 80℃에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여 이를 용해시켰다. CTAB 및 TEAH가 완전히 용해되면, 14.45 g의 TEOS를 가하고 2 시간 동안 800 rpm으로 추가 교반하였다. 교반액이 백색의 고체상을 나타내면 이를 진공 필터로 여과한 다음, 탈이온수로 세척하고, 70℃의 공기중에서 건조시켜 건조물을 수득하였다. 수득한 건조물은 마노 절구(agate mortar)에서 균질화한 다음, 550℃에서 5 시간동안 하소(calcine)하여 최종적으로 다공성 실리카 나노파티클(MSN)을 수득하였다.
<2-2> GSH를 표면 결합시킨 나노파티클의 제조
본 발명의 단백질 코로나 외층을 가지는 나노파티클을 제조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표면에 글루타치온(glutathione, GSH)을 티올-엔 클릭 화학반응(thiol-ene click chemistry)으로 결합시킨 나노파티클(GSH-modified particle, MMSN)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된 MSN 100 ㎎ 및 1 ㎖의 3-(트리메톡시실일)프로필 아크릴레이트(3-(trimethoxysilyl) propyl acrylate)를 18 ㎖ 톨루엔에 혼합하였다. 혼합된 혼합액은 60℃에서 24 시간 동안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탄올 및 탈이온수로 반응된 MSN를 세척한 다음, 16 ㎖의 DMF에 가하여 MSN을 준비하였다. 외층을 이루기 위한 GSH는 100 ㎎의 GSH를 2 ㎖의 탈이온수에 용해하여 준비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준비한 MSN 포함 용액 및 GSH 수용액을 혼합하고, 40 ㎕의 피리딘을 가하여 볼텍싱하여 교반하였다. 교반 후, 혼합액은 실온에서 72 시간 동안 방치하여 반응을 유도하였다. 반응 종료 후, 나노파티클을 에탄올로 3회 세척하고 실온에서 진공 건조하여, GSH가 표면에 결합된 나노파티클(MMSN)을 최종적으로 수득하였다.
<2-3> 약물을 담지한 나노파티클의 제조
본 발명에서 약물 전달체로 사용하고자 하는, 단백질 코로나 외층을 가지는 나노파티클(protein corona shield nanoparticle, PCSN)을 제조하기 위해, 단백질 코로나 외층으로서 GST-Afb를 적용한 나노파티클을 제조하였다. MSN은 내부 및 표면에 화학 작용기를 통해 물질을 담지할 수 있는 전달체로서 사용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MSN 표면에 GSH를 결합하여 MMSN를 제조하고, 이에 GST를 통해 결합된 단백질 코로나 외층을 형성하여 PCSN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2-2>에서 제조된 GSH-MSN에 약물을 담지하기 위하여 5 mg의 GSH-MSN을 1 ml DMSO에 분산시킨 후 SN-38이 녹아 있는 DMSO 용액(10 mg/ml) 1 ml에 천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12 시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SN-38이 담지된 GSH-SN-38 MSN은 원심분리하여 회수하고 D.I water로 3회 세척 후 진공 건조하였다. 약물이 담지된 비율은 아래의 식으로 계산하였다.
[식 1]
Drug loading capacity (%) = Mass of drug in GSH-MSN / Mass of GSH-MSN x 100
그 다음, 단백질 코로나 외층을 가지는 나노파티클(PCSN)을 제조하기 위해 HER2-affibody-GST 단백질 1 mg을 준비하여 2 ml의 PBS에 용해하여 준비하였다. SN-38을 담지한 GSH-SN-38 MSN 1 mg을 3 ml의 PBS에 분산시킨 후, 준비한 단백질 용액을 4℃에서 교반하면서 한방울씩 천천히 가하여 혼합하고 2 시간 동안 추가로 교반하였다. 교반 후 원심분리하여 결합되지 않은 단백질을 제거하고 PBS로 3회 세척하여 최종적으로 HER2-affibody-GST-SN-38 MSN인 PCSN(KMD111)을 수득하고 PBS에 보관하면서 하기의 효능평가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1. 각 세포에서의 HER2 발현량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KMD111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전에, 먼저 각 세포주의 HER2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HER2 수용체는 ERBB/HER 성장인자군(growth factor superfamily)에 속하는 세포막 수용체로서, HER2 유전자는 잘 알려진 원발암 유전자이다. KMD111 후보물질은 HER2를 특이적으로 표적하는 Affibody를 DNA 복제를 억제하는 Topoisomerase 계열인 SN-38을 탑재한 나노 입자에 결합시킨 표적지향형 약물전달체(Targeted Drug Delivery System)로, HER2 발현레벨이 높을수록 세포사멸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한국세포주은행에서 구입한 인간 유방암 세포주인 SKBR3, MDA-MB231과 인간 위암 세포주인 NCI-N87, MKN4를 이용하였다. 10% fetal bovine serum (FBS, Hyclone, Logan, UT, USA), 1% stereptomycin-peniciline (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첨가한 RPMI-1640(Thermo fisher scientific, USA) 배지를 사용하여 37°C,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각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80%-90% 정도의 밀도로 자랐을 때 계대 배양하였다.
구체적으로, 실험에 사용한 세포주의 HER2 발현량은 웨스턴 블랏(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상기 세포주들이 배양접시에 80%~90% 정도의 밀도로 자랐을 때, Protease/Phosphatase Inhibitor가 첨가된 RIPA 버퍼로 세포를 파쇄한 후 원심 분리하여 cell lysate를 얻었다. Nu-PAGE 4-12% Bis-Tris gel에 각 well당 10 ug의 단백질을 loading하여 전개한 후 PVDF membrane에 transfer한 후, 단백질이 transfer된 PVDF membrane을 blocking, 1차 항체, 2차 항체, HRP의 기질 순서로 반응하여 시그널을 얻었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HER2 음성인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에서는 HER2 발현량이 매우 낮으나, HER2 양성 유방암 세포주인 SKBR3 및 위암세포주 NCI-N87은 HER2를 다량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HER2-affibody-GST-SN-38(KMD111)의 표적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KMD111의 표적세포로의 약물 전달능을 확인하기 위해 표적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정상 대조군으로 사용하기 위한 HER2 음성인 인간 유방암 세포주인 MDA-MB231 세포와 HER2 Afb가 인식하는 수용체를 과발현하는 유방암 세포주인 SK-BR3 세포, 위암 세포주인 NCI-N87, MKN-45를 96-well plate에 1Х104 cell/well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KMD111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SN-38의 농도 기준, 3.1, 6.2, 12.5, 25, 50, 100, 200 ng/mL의 농도로 각각의 세포에 처리하였다. 배양된 plate에 cck-8(Dojindo, Japan)를 10 μL씩 96-well에 처리한 후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때, 수용성이 높은 테트라 졸륨염 WST-8은 세포의 탈수소 효소 활성에 의해 감소되어 조직 배양 배지에 용해되는 황색 포르마잔 염료를 생성하므로, 흡광도 측정한 값은 생존세포 수와 비례한다. Microplate reader (Multiskan SkyHigh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Thermo fisher scientific, USA)로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여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었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KMD111이 HER2가 발현되지 않는 MDA-MB231 세포에 대하여는 세포 독성이 30% 이내로 나타났으며, HER2 발현이 높은 유방암 세포주인 SKBR3 세포에서 80% 이상, 위암 세포주인 NCI-N87에서 70%의 세포 사멸 효능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HER2 양성 암 세포에 대하여 특이적으로 세포 사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약물 전달체로서 사용하였을 때 유의적인 항암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3. HER2-affibody-GST-SN-38 MSN(KMD111)을 이용한 in vivo 효능평가
KMD111의 표적 종양 세포에 대한 항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간 위암 MKN45 세포 주를 이식한 마우스 동물모델(mouse xenograft model)을 이용하여 생체 내(in vivo) 환경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항암 효력시험을 위하여 6주령 NIG(NOD/SCID, 지에이치바이오㈜) 마우스를 구매하여 사료 및 음수를 자유롭게 급여할 수 있는 환경에서 사육하면서 10일 이상 순화한 뒤 종양 세포를 이식하였다. 종양 세포는 HER2 양성 위암 MKN45 세포를 개체별로 5x106 cells/100 μL로 왼쪽 옆구리 부분 일정한 위치에 피하투여 하고, 1주 경과 이후부터 시험물질 투여개시 전까지 종양측정을 실시하여 종양의 크기가 약 150 mm3에 도달하는 개체를 선별하여 각 시험군에 무작위 분배한 후 투여를 개시하였다.
시험군은 대조군 PBS 투여군과 시험물질 KMD111을 SN-38 기준으로 3 mg/kg, 6 mg/kg, 12 mg/kg 투여군으로 각각 3 마리씩 나누고 21일간 3일 1회, 총 8회 정맥투여(Intravenous Injection, IV)하였으며, 암 세포 이식(0 day) 후 11일 째부터 종료일(32일간)까지 종양크기 및 체중을 측정하였다. 종양의 크기, 상대 종양 부피(Relative tumor volume, RTV) 및 종양 성장 억제율(Tumor growth inhibition %, TGI %)는 종양의 장축 및 단축 길이를 측정하여 아래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식 2]
Tumor size (mm3) = (length x width2)/2, (L: 장축, W: 단축)
[식 3]
RTV = (tumor size on final day)/(tumor size on initial day)
[식 4]
TGI % = [1 - (RTV of the treated group)/(RTV of the control group)] x 100 (%)
각 시험 동물의 몸무게를 체크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으며, 종양 크기를 분석한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그룹에서 주령에 따른 몸무게 증가는 없었으며 KMD111투여 그룹에서 몸무게 감소가 확인되었으나 특별한 임상증상을 보이지 않았으며 상태가 양호하였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양 크기를 분석하였을 때 PBS 투여 그룹 대비 KMD111 투여그룹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종양 크기가 크게 감소하였다. KMD111 투여군은 대조군 PBS 투여군 대비 KMD111-3 mg/kg, KMD111-6 mg/kg 그리고 KMD111-12 mg/kg 투여군의 종양 성장 억제율(TGI %)이 각각 79.5%, 83.5%, 92.5%로 종양의 진행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MKN45 세포주를 이식한 xenograft mouse model에서 KMD111이 모든 농도에서 종양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KMD111는 MKN45 종양에 뚜렷한 항암효과를 갖는 것을 의미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2)

  1. 글루타치온-S-전이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분자;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에 결합능을 갖는 항체, 애피바디(affibody) 또는 다이아바디(diabody) 분자;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상기 항체, 애피바디 또는 다이아바디를 연결하는 링커; 및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GSH(Glutathione) 분자에 의해 결합된 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 분자를 포함하는 약물 복합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 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약물 복합체.
    [화학식 1]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애피바디는 서열번호 14의 HER2-특이적 애피바디인 약물 복합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커는 프로테아제가 결합하지 않는 것인 약물 복합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 분자는 나노파티클에 담지된 것인 약물 복합체.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티클은 다공성 실리카 나노파티클(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 MSN), 골드 나노파티클(gold nanoparticle), 마그네틱 나노파티클(magnetic nanoparticle), 핵산-금속유기 금속체 나노파티클(Nucleic acid-Metal Organic Framework nanoparticle) 및 중합체 나노파티클(polymer nanoparticl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약물복합체.
  7. 글루타치온-S-전이효소(glutathione-S-transferase, GST) 분자;
    HER2(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2)에 결합능을 갖는 항체, 애피바디(affibody) 또는 다이아바디(diabody) 분자;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상기 항체, 애피바디 또는 다이아바디를 연결하는 링커; 및
    상기 글루타치온-S-전이효소와 GSH(Glutathione) 분자에 의해 결합된 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 분자를 포함하는 약물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 분자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인 약학적 조성물.
    [화학식 1]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증식성 질환은 암, 양성 신생물, 및 혈관 신생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약학적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암은 유방암, 대장암, 두경부암, 폐암, 위암, 뇌암, 피부암, 결장암, 전립선암, 방광암, 신장암, 직장암, 갑상선암, 간암, 자궁경부암, 직장암, 항문암, 요도암, 난소암, 식도암 및 췌장암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7-에틸-10-히드록시캄토테신은 나노파티클에 담지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나노파티클은 다공성 실리카 나노파티클(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 MSN), 골드 나노파티클(gold nanoparticle), 마그네틱 나노파티클(magnetic nanoparticle), 핵산-금속유기 금속체 나노파티클(Nucleic acid-Metal Organic Framework nanoparticle) 및 중합체 나노파티클(polymer nanoparticle)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KR1020230063650A 2022-05-18 2023-05-17 Her2-gst-sn-38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301618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06685 WO2023224385A1 (ko) 2022-05-18 2023-05-17 Her2-gst-sn-38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61077 2022-05-18
KR1020220061077 2022-05-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1894A true KR20230161894A (ko) 2023-11-28

Family

ID=8895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3650A KR20230161894A (ko) 2022-05-18 2023-05-17 Her2-gst-sn-38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61894A (ko)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nopoli, M. P., Aberg, C., Salvati, A. & Dawson, K. A. Nat Nanotechnol 7, 779-786, doi:10.1038/nnano.2012.207 (2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5774B2 (en) Nanocage and use thereof
EP3360893B1 (en) High-affinity and soluble pdl-1 molecule
AU2017363302A1 (en) PSMA targeting trispecific proteins and methods of use
WO2015184941A1 (zh) 一种cd7纳米抗体、其编码序列及应用
JP5966000B2 (ja) 腫瘍ターゲティング腫瘍壊死因子関連アポトーシス誘導リガンド変異体及びその応用
KR20190062320A (ko) 글루타치온―s―전이효소 및 표적 세포 또는 표적 단백질 결합능을 갖는 단백질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US10370410B2 (en) Cancer cell-targeting peptide and use thereof
CN112386678B (zh) 多肽或其衍生物的应用
CN112535738B (zh) 奥沙利铂偶联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835374A (zh) 抗ccr8×ctla-4双特异性抗体及其应用
KR101575194B1 (ko) 인간 페리틴 유래 융합폴리펩티드
KR101286721B1 (ko) 폴리-시스테인 펩티드 융합 재조합 알부민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90365815A1 (en) Natural killer cell expressing anti-cotinine chimeric antigen receptor
CN102993314B (zh) 一种抗肿瘤融合蛋白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6466485B (zh) 一种具有细胞内吞介导功能的靶向配体-药物偶联体
KR20230161894A (ko) Her2-gst-sn-38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EP4365202A1 (en) Anti-trop2 single-domain antibody and use thereof
WO2023224385A1 (ko) Her2-gst-sn-38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1848805A (zh) 用于肿瘤免疫治疗的具有双Her2位点的双特异性抗体
CN103237812A (zh) Ephrin B2抗体及其应用
CN106466484B (zh) 一种具有细胞内吞介导功能的多靶向配体-药物偶联体
CN110627905B (zh) 靶向vegf与egfr的双功能融合蛋白及其应用
KR20220121220A (ko) Her2-gst-이리노테칸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N115702940A (zh) 包含环状rna分子的制剂在制备治疗肿瘤的药物中的应用
KR20220120910A (ko) Egfr-gst-울리서티닙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