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289A -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 Google Patents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289A
KR20230156289A KR1020230149906A KR20230149906A KR20230156289A KR 20230156289 A KR20230156289 A KR 20230156289A KR 1020230149906 A KR1020230149906 A KR 1020230149906A KR 20230149906 A KR20230149906 A KR 20230149906A KR 20230156289 A KR20230156289 A KR 20230156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force
spool
braking
throw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다 히로무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6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28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55Antibacklas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간이하게 더욱 상세한 제동력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적확하게 캐스팅 조건의 최적화가 가능한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은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과, 해당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와, 해당 스풀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 가능한 스풀 제동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지시를 수신 가능한 수신부를 구비하고, 해당 수신부가 해당 외부 기기로부터 제동력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면, 해당 스풀 제동력 제어부는 해당 지시에 의거하여 제동력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FISHING REEL, BRAKING FORCE CONTROL SYSTEM AND BRAKING-FORCE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투척시의 제동력을 조정할 수 있는 물고기 낚시용 릴, 물고기 낚시용 릴을 포함시킨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 축받이 릴을 이용하여 루어나 낚싯줄, 추, 낚싯바늘 등의 투척 대상물을 먼 곳까지 투척할 때, 투척시의 백래시(줄 엉킴) 방지를 위해 스풀을 제동하는 제동 장치가 미련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제동 장치에서는 제동력이 최적화되었을 때에 가장 먼 곳까지 투척할 수 있지만, 제동력이 너무 크면 비거리의 감소를 초래하고, 다른 한편, 제동력이 너무 작으면 백래시를 초래해 버린다. 제동력의 최적화는 투척하는 루어 등의 중량이나 공기 저항, 낚싯줄의 종류, 로드의 특성과 같은 사용하는 낚시 도구의 종류에 따라 바뀔 수 있다. 또, 유저의 투척 방법, 바람 등의 기상 조건에 따라서도 바뀔 수 있다. 유저는 사용시에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제동력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물고기 낚시용 릴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캐스팅에 이용되고, 릴 본체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낚싯줄이 장착되는 스풀을 제동하는 양 축받이 릴의 스풀 제동 장치로서, 스풀과 릴 본체에 마련되고, 전기적으로 제어 가능하게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 수단과, 릴 본체에 이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복수의 제 1 조작 위치로 조작 가능한 제 1 조작구와, 릴 본체에 이동 자유롭게 마련되고 복수의 제 2 조작 위치로 조작 가능한 제 2 조작구와, 제 1 조작구의 제 1 조작 위치 및 제 2 조작구의 제 2 조작 위치에 따라 스풀 제동 수단의 제동력을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스풀 제어 수단을 구비한 양 축받이 릴의 스풀 제동 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135417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관한 구성에서는 제동력의 변경은 2개의 조작구에 의해서만 실행하는 것이며, 더욱 미세한 설정이 사실상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조작 기구를 더욱 증가시킴으로써 미세한 설정을 실행하고자 하면, 물고기 낚시용 릴의 대형화를 초래해 버리기 때문에, 조작 기구의 증가에도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저가 최적의 투척(캐스팅) 조건을 찾을 때에, 유저가 직전의 투척(캐스트) 결과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최적의 캐스팅 조건을 찾아내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간이하게 더욱 상세한 제동력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적확하게 캐스팅 조건의 최적화가 가능한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이들 이외의 목적은 본 명세서 전체를 참조하는 것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은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과, 해당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와, 해당 스풀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 가능한 스풀 제동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지시를 수신 가능한 수신부를 구비하고, 해당 수신부가 해당 외부 기기로부터 제동력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면, 해당 스풀 제동력 제어부는 해당 지시에 의거하여 제동력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은 상술한 물고기 낚시용 릴과, 스풀의 제동력을 설정 가능한 제동력 설정부와, 설정한 제동력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 정보 통신 장치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설정 장치는 해당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와, 해당 스풀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 가능한 스풀 제동력 제어부와, 스풀의 회전 검출부와, 투척 개시 검출부와, 투척 개시 이후의 스풀의 회전 이력에 의해 투척 결과를 연산하는 연산부와, 스풀의 제동력을 설정 가능한 제동력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동력 설정부는 해당 투척 결과를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 또는 제동력 설정 장치는 상기 스풀 제동력 제어부는 제동력의 시간 변화를 제어 가능하고, 상기 제동력 설정부는 제동력의 시간 변화를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 또는 제동력 설정 장치에 있어서, 스풀 제동력 제어부는 낚싯줄의 비거리에 따른 제동력의 변화를 제어 가능하고, 제동력 설정부는 해당 낚싯줄의 비거리에 따른 제동력의 변화를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은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과, 해당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와, 해당 스풀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 가능한 스풀 제동력 제어부와, 해당 스풀의 제동력을 설정 가능한 제동력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풀 제동력 제어부는 해당 제동력 설정부에 의한 제동력의 설정값에 의거하여 제동력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설정 프로그램에 있어서, 스풀의 제동력을 설정 가능한 제동력 설정부는 상술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 상술한 제동력 설정 장치, 또는 상술한 물고기 낚시용 릴상에서 기동하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따르면, 간이하게 더욱 상세한 제동력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적확하게 캐스팅 조건의 최적화를 실행할 수 있는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투척시의 투척 수순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 등에 있어서의 제동력을 설정하는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 등에 있어서의 제동력을 설정하는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 등에 있어서의 제동력을 설정하는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 등에 있어서의 제동력을 설정하는 화면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 등에 있어서의 투척 결과를 표시하는 동작 흐름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 등에 있어서의 투척 결과를 표시하는 동작 흐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 등에 있어서의 투척 결과를 표시하는 동작 흐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구성 요소에는 해당 복수의 도면을 통해 동일한 참조 부호가 부가되어 있다. 각 도면은 설명의 편의상, 반드시 정확한 축척으로 기재되어 있다고는 할 수 없는 점에 유의하기 바란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1)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1)은 낚싯줄을 권취하는 스풀(3)과, 해당 스풀(3)을 회전 조작하는 조작부(4)와, 해당 조작부(4)와 해당 스풀(3)의 동력 전달 여부를 전환하는 클러치(2)와, 해당 스풀(3)에 제동력을 발생하는 제동부(스풀 제동부)(15)와, 제동력을 조정하는 제동력 제어부(스풀 제동력 제어부)(16)를 갖는다.
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고기 낚시용 릴(1)은 해당 클러치의 동력 전달 여부 상태를 검출하는 클러치 검출부(7)와, 스풀(3)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8)를 갖는다. 클러치 검출부(7)는 자기 센서 등에 의해서 구성되며, 클러치(2)의 가동부에 자석 등의 피검출부를 마련함으로써, 클러치(2)의 전달 가능/불능 상태를 검출한다. 또, 회전 검출부(8)는 포토 인터럽터 등의 검출 수단과, 스풀(3)에 마련한 차광판 등의 피검출 수단의 조합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풀(3)의 회전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수단과 피검출 수단의 조합은 상기의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자석과 자기 센서 등, 공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물고기 낚시용 릴(1)은 각종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컴퓨터(9)를 갖는다. 마이크로컴퓨터(9)는 도시하지 않은 전지 등의 전원에 의해 급전되며, 예를 들면, 제동력 제어부에 목표 제동력을 지시하는 목표 설정부(91), 스풀 회전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투척 결과를 연산하는 연산부(92), 루어(20)의 정보를 취득하는 루어 정보 취득부(93)를 구비한다.
다음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 디바이스(외부 기기, 외부 정보 통신 장치, 외부 정보 통신 장치 등이라고도 함)(10)에는 유저로부터 목표로 하는 제동력을 접수하는 제동력 설정부(11)와, 설정된 제동력 정보나 투척 결과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3)와, LCD 등의 표시 수단(14)을 구비한다.
다음에, 물고기 낚시용 릴(1)을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스풀(3)은 물고기 낚시용 릴(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정회전에 의해 낚싯줄을 권취하고, 역회전에 의해 권취한 낚싯줄을 방출할 수 있다. 조작부(4)는 예를 들면 핸들로서 구성되며, 유저의 회전 조작을 기어 등의 전달 기구에 의해서 스풀(3)에 전달하고, 해당 스풀(3)을 정회전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4)는 레버 등의 조작 부재와, 모터 등의 동력원의 조합이라도 좋다.
클러치(2)는 스풀(3)에 동력 전달 가능한 온 상태와, 동력 전달을 실행하지 않는 오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온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3)에 의해서 스풀(3)을 정회전으로 조작할 수 있으며, 오프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3)의 상태에 관계없이,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스풀 프리 상태).
다음에, 본 릴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릴을 이용하여, 루어 등의 어구를 투척하고, 회수하는 수순의 일예에 대해,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3)에 의해, 루어(20)를 로드끝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조정하고, 클러치(2)(도시하지 않음)를 오프로 하고, 스풀 프리 상태로 한다. 이 때, 낚싯줄이 루어(20)의 자중 등에 의해 나가는 일이 없도록, 릴(1)의 스풀(3)을 엄지 손가락으로 눌러 둔다.
다음에, 도 2의 (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낚싯대(1)를 흔드는 것에 의해, 루어(20)에 초속(初速)을 부여한다. 그리고, 도 2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어의 속도 및 방출 방향이 적정하게 된 타이밍에서, 엄지 손가락을 스풀(3)에서 떼면, 루어(20)를 투척할 수 있다.
또한, 투척 후, 도 2의 (g) 이후, 루어(20)는 낚싯줄로부터의 장력이나 공기 저항을 받음으로써 감속을 시작한다. 한편, 스풀(3)은 낚싯줄로부터의 장력에 의해서 역회전을 시작한다. 낚싯줄의 방출 속도와 루어(20)의 비행 속도가 일치하면 스풀(3)은 최고 회전수로 되며, 낚싯줄은 장력을 잃는다. 루어(20)는 그 후에도 공기 저항 등에 의해 실속(失速)을 계속한다. 이 때, 스풀(3)이 관성에 의해 고속 회전을 계속하면, 낚싯줄의 방출 속도가 루어(20)의 비행 속도를 상회한다. 이것에 의해, 낚싯줄은 여분으로 방출되며, 릴(1)내에서 줄 엉킴이 생긴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 스풀(3)에는 제동 장치(5)에 의해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루어(20)의 고도가 충분히 내려가면 수면에 닿게 된다. 이 때, 제동 장치(5)에 의한 제동력이 너무 크면, 루어(20)를 투척할 수 있는 거리가 짧게 되어 버린다. 한편, 제동 장치(5)에 의한 제동력이 너무 작으면, 줄 엉킴이 발생하고, 권취나 방출을 정상적으로 실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제동력의 적정값은 루어(20)의 질량이나 공기 저항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또한, 로드의 길이, 투척 방법이나 바람 등의 자연 환경 등, 다양한 영향에 의해서 변화한다. 특히, 투척중에는 낚싯줄의 상태는 다이나믹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최적의 제동 조건으로 하기 위해서는 더욱 세세한 설정을 실행할 수 있으면 유리하다. 또, 투척 결과를 상세하게 파악함으로써, 제동력의 적정화를 실행하기 쉬워진다.
다음에, 스풀 제동부(15)에 대해 설명한다. 스풀 제동부(15)는 스풀(3)에 부착하는 도체로 이루어지는 회전체 형상의 와전류 발생판과, 와전류 발생판과 대향해서 배치되는 고정 자석과, 고정 자석의 반대측으로부터 와전류 발생판을 끼워 넣는 회전 자석과, 회전 자석을 회전 이동시키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을 감속하여 제 2 영구자석에 전달하는 기어열과, 영구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자석 위치 센서에 의해서 구성된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고정 자석은 외주부가 6등분되고 N극 S극 교대로 착자된다. 또, 회전 자석은 내주부가 6등분되고 N극 S극 교대로 착자된다. 고정 자석과 회전 자석에 의해서 만들어진 자장은 그 사이에 위치하는 와전류 발생판을 관통한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따라서, 스풀(3)의 회전시에는 와전류 발생판에 와전류가 발생하고, 회전 속도에 따른 제동력이 작용한다.
해당 모터 및 기어열에 의해서 회전 자석을 회전시킴으로써, 와전류 발생판에 작용하는 자장을 변화시킬 수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이하 마찬가지). 이것에 의해, 제동력을 소정의 양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회전 자석과 고정 자석을 동일 극끼리 대항시키면, 와전류 발생판에 가해지는 자장은 약해지고, 제동력은 약해진다. 회전 자석과 고정 자석을 다른 극끼리 대항시키면, 와전류 발생판에 가해지는 자장은 강해지고, 제동력은 강해진다.
자석 위치 센서는 회전 자석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이며, 자기 센서나 전기 저항식 등의 공지의 위치 센서로 구성된다.
제동력 제어부(16)는 자석 위치 센서의 값을 보면서 모터에 필요한 전류를 흘리는 것에 의해, 모터를 피드백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스풀(3)에 소정의 제동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동부(15) 및 제동력 제어부(16)에 의해서, 스풀(3)에 인가하는 제동력을 경시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와전류 발생판은 스풀(3)의 일부로 구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와전류 발생판은 스풀(3)의 회전 스피드에 따라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스풀(3)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소정의 제동력 특성을 갖게 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술한 제동부(15)는 상술한 바와 같은 와전류를 이용하는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마이크로컴퓨터로 제동력을 경시적으로 조정 가능한 것이면, 마찬가지의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제동 장치의 다른 방식에는 스풀에 부착한 영구자석과 릴 본체에 마련한 코일 사이에 회생 브레이크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나, 스풀에 부착한 마찰판에의 접촉력을 전자 액추에이터 등으로 변화시키는 접촉 브레이크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있으며, 특정의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1)은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3)과, 해당 스풀(3)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15)와, 해당 스풀 제동부(15)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 가능한 스풀 제동력 제어부(16)를 구비하고, 외부 기기로부터의 지시를 수신 가능한 수신부(송수신부)(94)를 구비하고, 해당 수신부(94)가 해당 외부 기기(10)로부터 제동력에 관한 지시를 수신하면, 해당 스풀 제동력 제어부(16)는 해당 지시에 의거하여 제동력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1)에 의해, 간이하게 더욱 상세한 제동력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적확하게 캐스팅 조건의 최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100)은 상술한 물고기 낚시용 릴(1)과, 스풀의 제동력을 설정 가능한 제동력 설정부(11)와, 설정한 제동력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송신부(13)를 갖는 정보 통신 장치(10)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100)에 의해, 외부에서 간이하게 더욱 상세한 제동력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적확하게 캐스팅 조건의 최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설정 장치(101)는 해당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15)와, 해당 스풀 제동부(15)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 가능한 스풀 제동력 제어부(16)와, 스풀의 회전 검출부(8)와, 투척 개시 검출부(도시하지 않음)와, 투척 개시 이후의 스풀의 회전 이력에 의해 투척 결과를 연산하는 연산부(92)와, 스풀의 제동력을 설정 가능한 제동력 설정부(11)를 구비하고, 해당 제동력 설정부(11)는 해당 투척 결과를 표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예에서는 제동력 설정부(11)는 외부 디바이스(10)내에 마련되어 있지만, 그 대신에 물고기 낚시용 릴(1)에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제동력 설정 장치(101)는 물고기 낚시용 릴(1)에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서, 간이하게 제동력 설정을 위한 기능을 물고기 낚시용 릴에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설정 장치(101)는 간이하게 더욱 상세한 제동력의 설정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적확하게 캐스팅 조건을 최적화할 수 있는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100) 또는 제동력 설정 장치(101)에 있어서, 스풀 제동력 제어부(16)는 제동력의 시간 변화를 제어할 수 있고, 상기 제동력 설정부는 제동력의 시간 변화를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제동력 제어 시스템(100) 또는 제동력 설정 장치(101)에 있어서, 스풀 제동력 제어부는 낚싯줄의 비거리에 따른 제동력의 변화를 제어 가능하며, 제동력 설정부는 해당 낚싯줄의 비거리에 따른 제동력의 변화를 설정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1)은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3)과, 해당 스풀(3)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15)와, 해당 스풀 제동부(15)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 가능한 스풀 제동력 제어부(16)와, 해당 스풀의 제동력을 설정 가능한 제동력 설정부(11)를 구비하고, 해당 스풀 제동력 제어부(16)는 해당 제동력 설정부(11)에 의한 제동력의 설정값에 의거하여 제동력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도 1에 나타내는 제동력 설정부(11)가 물고기 낚시용 릴(1)내에 마련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동력 제어부(16)는 전자 디바이스(10)상에서 실행되는 제동력 설정부(11)에 의해서 제동력의 설정을 실행한다. 전자 디바이스(10)에는 스마트폰, 스마트 글라스나 스마트 워치 등의 웨어러블 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이 고려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에, 도 3을 참조하여, 제동력을 설정하는 화면의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 중의 그래프 1은 과거(직전)의 투척 결과를 나타내고, 횡축은 투척 개시부터의 경과 시간, 종축은 스풀(3)의 회전 속도이다. 한편, 도면 중의 그래프 2는 제동력의 설정을 나타내고 있다. 횡축은 그래프 1과 공통이며 투척 개시 이후의 경과 시간, 종축은 제동력의 설정값이다. 위로 갈수록 높은 제동력이 되도록 축 방향을 정의하고 있다.
유저는 그래프 1의 투척 결과를 보면서 제동력의 경시 변화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척 개시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n개(t1∼tn) 및 각각의 브레이크 설정(S1∼Sn)을 입력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시간과 제동력의 4개의 조합에 의해 브레이크 설정값을 정의하고 있다.
이 값을 송신 수단(13)에 의해 물고기 낚시용 릴(1)에 송신하면, 제동력 제어부(16)는 이 설정값에 따라 스풀(3)에의 제동력을 경시적으로 조정한다. 또한, 브레이크 설정값의 변경 속도에는 한계가 있으며, 그 값은 제동부(5)의 특성에 따라 정해진다. 도 3의 그래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의 설정 변경은 변경량에 따라, tn보다도 전에 개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물고기 낚시용 릴(1)측에 입력부나 표시부를 마련하는 일 없이 복잡한 제동력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과거의(특히 직전의) 투척 결과를 표시하면서 다음 투척의 제동력 조건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동력 조건의 최적화를 실행하기 쉬워진다는 이점이 있다. 이것을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동력이 너무 커 비거리가 신장하지 않았을 때의 투척 결과와, 그 때의 제동 조건이다. 도면 중의 그래프 1은 스풀(3)의 회전 속도이며, 실선이 직전의 투척 결과, 점선은 이상적인 투척 결과이다. 점선으로 나타내는 이상적인 투척 결과에서는 원활하게 스피드가 저하해 감으로써, 긴 비거리를 실현하고 있다. 한편, 실선으로 나타내는 직전의 투척 결과에서는 A의 지점에서의 브레이크력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급격한 속도 저하를 일으킨 결과, 긴 비거리를 실현할 수 없었다.이러한 경우에는 A점에서의 제동력을 약하게 함으로써, 더욱 이상에 가까운 제동력 설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상적인 투척 결과와 직전의 투척 결과를 동시에 표시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더욱 멀리 날리기 위한 브레이크 설정을 알기 쉽게 된다. 이상적인 투척 결과로서는 유사 조건에 있어서의 최고 거리를 달성한 과거 데이터를 참조해도 좋고, 공장 출하시 등에 미리 기억시켜 두고, 유사 조건 중에서 선택해도 좋다.
다음에, 도 5는 제동력이 너무 작아 줄 엉킴이 발생했을 때의 투척 결과와, 그 때의 제동 조건이다. B점에 있어서, 제동력이 너무 약했기 때문에 줄의 방출 속도가 루어의 속도를 추월함으로써 줄 엉킴이 발생하고, 그 결과, 스풀(3)로부터 줄의 방출을 실행할 수 없게 되고, 급격히 실속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B점에서의 제동력을 강하게 함으로써, (줄 엉킴을 어떻게든 한 후에) 더욱 이상에 가까운 제동력 설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제동력이 너무 컸는지, 너무 작았는지의 판단은 그래프 1뿐만 아니라, 투척 후의 줄 엉킴의 상태도 고려하면 된다. 숙련된 유저는 줄 엉킴의 발생을 손가락으로 느끼는 것에 의해서, 줄 엉킴의 발생을 사전에 느낄 수는 있다. 그러나, 그 타이밍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어렵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고기 낚시용 릴(1)에서 측정한 투척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줄 엉킴 발생의 타이밍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회 이후의 투척에서는 더욱 적정화된 제동 조건으로 설정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제동력을 설정하는 화면의 다른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면 중의 그래프 1은 과거(직전)의 투척 결과를 나타내고, 횡축은 투척 개시로부터의 방출 거리, 종축은 스풀(3)의 회전 속도이다. 한편, 도면 중의 그래프 2는 제동력의 설정을 나타낸다. 횡축은 그래프 1과 공통이며 투척 개시로부터의 방출 시간, 종축은 제동력의 설정값이다. 위로 갈수록 높은 제동력이 되도록 축 방향을 정의하고 있다. 유저는 그래프 1의 투척 결과를 보면서 제동력의 경시 변화를 설정한다.
이 예에서는 유저는 투척 개시로부터의 방출 거리를 n개(L1∼Ln) 및 각각의 브레이크 설정(S1∼Sn)을 입력한다. 이 값을 송신부(13)에 의해서 물고기 낚시용 릴(1)에 송신하면, 제동력 제어부(16)는 이 설정값에 따라 스풀(3)에의 제동력을 조정한다. 즉, 지정된 비거리가 되었을 때에 그 때의 설정 제동력으로 한다.
이와 같이, 투척 개시로부터의 방출 거리에 따라 브레이크 설정 상태를 순차 전환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투척 방향에 장애물이 있고, 그 바로앞에서 제동을 걸고자 할 때 등에, 장애물에 부딪히기 전에 제동력을 올리는 것 등을 할 수 있다. 또, 방출한 낚싯줄의 길이에 따라, 낚싯줄이 받는 공기 저항은 바뀌어 온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척 거리로부터의 방출 거리에 따라 브레이크 설정을 변경함으로써, 이러한 영향을 보정할 수 있다.
다음에, 투척 결과를 표시하는 동작 흐름에 대해, 도 7-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투척 준비를 검출하는 투척 준비 개시 검출부에 의해 물고기 낚시용 릴(1)이 투척 준비를 개시했는지를 검출한다. 투척 준비를 개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로 되돌린다.
투척 준비를 개시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 있어서, 해당 스풀(3)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5)에 의한 검출을 개시하고, 거리를 초기화한다(L=0).
다음에, 스텝 S3에 있어서, 해당 스풀(3)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에 의해 해당 스풀의 회전이 검출되었는지를 확인한다. 회전이 검출된 경우에는 소정의 거리만큼 측정값을 증가시킨 후(L=L+1)에, 스텝 S3으로 되돌린다. 또한, 거리 L은 스풀(3)의 회전량이라도 좋고, 스풀(3)의 반경 변화를 보정한 낚싯줄의 방출량이라도 좋다.
스텝 S3에 있어서, 해당 스풀(3)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5)에 의해 해당 스풀의 회전이 검출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다음의 스텝으로 이행한다. 스텝 S4에 있어서, 투척 종료를 검출하는 투척 종료 검출부(7)에 의해 투척이 종료되고 있는지를 검출한다. 투척 준비를 개시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으로 되돌린다.
투척이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S5로 진행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해당 투척 준비에서 해당 투척 종료까지의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력 데이터 생성부(8)에 의해 이력 데이터의 생성을 실행하고, 다음의 스텝으로 진행한다.
스텝 S6에 있어서, 스텝 S5에 있어서 생성된 이력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9)에 의해 기억시키거나, 혹은 생성된 이력 데이터를 후술하는 통신 처리부에 의해 외부에 송신한다. 이것에 의해, 퍼스널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다른 릴 등, 외부의 기기에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데이터의 열람이나 기록이 가능하다.
여기서, 이력 데이터에 대해 설명한다. 이력 데이터는 예를 들면, 일정시간마다의 거리 L의 변천이라도 좋고, 최종적인 비거리 L만이라도 좋다. 또, L을 시간 미분함으로써 얻어지는 스풀의 속도 변화, 제동력의 경시 변화, 낚싯줄의 최고속도나 스풀의 최고 회전수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복수의 투척을 집계함으로써, 그 날마다의 투척 이력을 기록해도 좋고, 그 릴의 전체 투척 데이터를 기록해도 좋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1)의 투척 준비 개시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1)에 있어서, 해당 투척 준비 개시 검출부(6)는 상기 스텝 S1에 있어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해당 클러치(2)가 오프 상태로 된 경우(S1a), 해당 스풀(3)이 정지한 상태로부터 해당 낚싯줄의 풀어냄 방향으로의 회전을 개시한 경우(S1b), 해당 릴이 소정의 방향으로 되어 있는 경우(S1c), 또는 상기 릴의 소정 방향의 각속도가 설정 임계값 이상으로 되는 경우(S1d), 릴에 버튼 등의 입력 장치를 마련하고, 유저가 투척 준비를 개시하고자 할 때에 입력 장치를 조작한 경우(S1e) 중의 어느 하나의 상태로 된 경우에, 투척 준비의 개시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투척 준비 개시 검출부(6)는 투척 준비 개시를 적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1)의 투척 종료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1)에 있어서, 해당 투척 종료 검출부(7)는 해당 클러치(2)가 온 상태로 된 경우(S4a), 해당 투척 준비 개시의 검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S4b), 해당 스풀(3)의 회전이 권취 방향으로 된 경우(S4c), 또는 해당 스풀의 회전 속도가 임계값 이하로 된 경우(S4d), 릴에 버튼 등의 입력 장치를 마련하고, 유저가 투척 종료를 판단했을 때에 입력 장치를 조작한 경우(S4e) 중의 어느 하나의 상태로 된 경우에, 투척 종료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어느 하나의 상태를 검출함으로써, 투척 종료 검출부(7)는 투척 종료를 적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양태에 대해,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1실시형태에 관한 물고기 낚시용 릴(1)은 제 2 제동력 설정부(20)를 갖는다. 그 밖은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제 2 제동력 설정부(20)는 예를 들면, 2개의 멤브레인 스위치로 구성되고, 한쪽을 +버튼(플러스 버튼), 다른쪽을 -버튼(마이너스 버튼)으로 한다. 또한, 제 2 제동력 설정부(20)의 실현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릴 본체에 부착 가능하고, 유저가 하기 조작을 실행할 수 있는 공지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기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10)를 이용하여 브레이크력을 설정한 후에, 제 2 제동력 설정부(20)를 이용하여 제동력을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력을 설정할 때에, 일부러 외부 디바이스(10)로 바꿀 필요가 없으며, 세세한 브레이크력의 설정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하나의 예에서는 외부 디바이스(10), 또는 공장 출하시에 따라 설정한 제동력을 제 2 제동력 설정부(20)에 의해서 오프셋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외부 디바이스(10)에 의해서, 제동력이
(t1,t2,t3)=(0,100,500) (S1,S2,S3)=(5,12,10)
로 설정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 때에,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S1,S2,S3)=(6,13,11)로 1씩 증가한다. 한편,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S1,S2,S3)=(4,11,9)로 1씩 감소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함으로써, 외부 디바이스(10)에 의해서 상세한 설정을 실행한 후, 제 2 제동력 설정부(20)에 의해서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에서는 외부 디바이스(10)에 의해서 제동력의 설정값을 미리 복수 세트 만들어 두고, 제 2 설정 수단을 이용하여 그 복수 세트 중에서 선택하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면,
패턴 1: (t1,t2,t3)=(0,100,500) (S1,S2,S3)=(5,12,10)
패턴 2: (t1,t2,t3)=(0,100,600) (S1,S2,S3)=(4,12,10)
패턴 3: (t1,t2,t3)=(0,100,700) (S1,S2,S3)=(3,12,10)
패턴 4: (t1,t2,t3)=(0,100,800) (S1,S2,S3)=(10,15,8)
와 같이 설정되고, 현재 패턴 2를 사용하고 있었다고 한다. 이 때에,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패턴 3을 사용하고, -버튼을 누른 경우에는 패턴 1을 사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함으로써, 제 2 제동력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 완료의 브레이크 설정값을 손잡이의 조작만으로 미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각 구성요소의 치수, 재료, 및 배치는 실시형태 중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이 각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는 임의의 치수, 재료, 및 배치를 갖도록 변형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명시적으로 설명하고 있지 않은 구성요소를, 설명한 실시형태에 부가할 수도 있고,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요소의 일부를 생략할 수도 있다.
1; 물고기 낚시용 릴 2; 클러치
3; 스풀 4; 조작부
5; 스풀 제동부 6; 스풀 제동력 제어부
8; 회전 검출부 9; 마이크로컴퓨터
10; 외부 디바이스 11; 제동력 설정부
13; 송수신부(송신부) 14; 표시부
15; 제동력 제동부 16; 제동력 제어부
20; 제 2 제동력 설정부 51; 와전류 발생판
52; 고정 자석 53; 회전 자석
54; 모터 55; 기어열
56; 자석 위치 센서 91; 목표 설정부
92; 연산부 93; 기억부
100; 제동력 제어 시스템 101; 제동력 설정 장치

Claims (6)

  1. 낚시용 릴과 정보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제동력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릴은,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과,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와,
    상기 스풀 제동부에 의한 제동력을 제어하는 스풀 제동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정보 통신 장치는,
    상기 스풀의 상기 제동력을 설정하는 제동력 설정부; 및
    설정한 제동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낚시용 릴의 상기 스풀 제동력 제어부는 외부 기기로부터 지시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풀 제동력 제어부는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수신부에 수신된 상기 제동력에 관한 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제동력을 제어하며,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상기 제동력 설정부는 과거 투척 결과를 표시하고, 과거 투척 결과에 기초하여 다음 투척을 위한 상기 스풀의 제동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통신 장치의 상기 제동력 설정부는, 과거 투척 과정에서 발생한 줄 엉킴의 상태에 기초하여 다음 투척을 위한 상기 스풀의 제동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력 제어 시스템.
  3. 정보 통신 장치에 있어서,
    스풀의 제동력을 설정하는 제동력 설정부와,
    설정된 제동력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력 설정부는 낚싯줄의 비거리에 따라 상기 제동력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통신 장치.
  4. 낚시용 릴에 있어서,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과,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스풀 제동부와,
    상기 스풀 제동부의 제동력을 제어하는 스풀 제동력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풀 제동력 제어부는 낚싯줄의 비거리에 따라 제동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5. 낚시용 릴에 있어서,
    낚싯줄을 권회 가능한 스풀과,
    투척 준비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투척 준비 개시 검출부와,
    스풀의 회전을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와,
    투척 종료를 검출하도록 구성된 투척 종료 검출부와,
    투척 준비부터 투척 종료까지의 이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이력 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력 데이터는 비거리의 변화, 최종적인 비거리, 스풀의 속도 변화, 제동력의 경시 변화, 스풀의 최대 회전 속도, 또는 복수 투척의 집계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력 데이터를 외부 기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릴.
KR1020230149906A 2020-08-27 2023-11-02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KR202301562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43233A JP7481958B2 (ja) 2020-08-27 2020-08-27 魚釣用リール、制動力制御システム及び制動力設定装置
JPJP-P-2020-143233 2020-08-27
KR1020210018066A KR102599486B1 (ko) 2020-08-27 2021-02-09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66A Division KR102599486B1 (ko) 2020-08-27 2021-02-09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289A true KR20230156289A (ko) 2023-11-14

Family

ID=746721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66A KR102599486B1 (ko) 2020-08-27 2021-02-09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KR1020230149906A KR20230156289A (ko) 2020-08-27 2023-11-02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066A KR102599486B1 (ko) 2020-08-27 2021-02-09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412725B2 (ko)
EP (1) EP3959974A1 (ko)
JP (1) JP7481958B2 (ko)
KR (2) KR102599486B1 (ko)
CN (2) CN1164730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81958B2 (ja) * 2020-08-27 2024-05-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制動力制御システム及び制動力設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5417A (ja) 2005-11-15 2007-06-0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32623B2 (ja) * 1992-01-31 1997-07-2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バックラッシュ防止装置
US6086005A (en) * 1997-03-11 2000-07-11 Daiwa Seiko, Inc. Fishing reel with magnetic force spool rotational-speed control during spool free rotational state
JPH11155440A (ja) * 1997-11-21 1999-06-15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JP2001286248A (ja) * 2000-04-05 2001-10-16 Mamiya Op Co Ltd 釣用リール
TWI298621B (en) * 2003-01-06 2008-07-11 Shimano Kk Brak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JP4384876B2 (ja) 2003-06-05 2009-12-16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品の電子回路装置
JP4276970B2 (ja) * 2004-03-11 2009-06-10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US7165737B2 (en) * 2005-01-18 2007-01-23 Shimano Inc. Spool braking device for dual-bearing reel
JP2006230359A (ja) 2005-02-28 2006-09-0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
JP2006197810A (ja) 2005-01-18 2006-08-03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CN2857476Y (zh) * 2005-12-12 2007-01-17 宁波市北仑海伯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鼓式鱼线轮轴向调节磁阻尼机构
JP4863716B2 (ja) * 2006-01-12 2012-01-25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ロータ制動装置
JP2008245552A (ja) * 2007-03-29 2008-10-1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9027975A (ja) * 2007-07-26 2009-02-12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5122273B2 (ja) * 2007-12-28 2013-01-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KR200451591Y1 (ko) * 2008-06-24 2010-12-27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스풀 제동장치
US7712695B2 (en) * 2008-07-10 2010-05-11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pool braking device for fishing reel
US20110079672A1 (en) * 2009-10-07 2011-04-07 Hyunkyu Kim Automatic external adjustable spool braking system
JP5767526B2 (ja) * 2011-08-08 2015-08-19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BR112015004919A2 (pt) * 2012-09-21 2017-07-04 Globeride Inc carretel de pesca
KR101510729B1 (ko) * 2013-07-09 2015-04-10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정밀 원심 제동시스템을 구비한 낚시릴
JP6184884B2 (ja) * 2014-01-31 2017-08-2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6655380B2 (ja) 2015-12-18 2020-02-2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JP6572139B2 (ja) * 2016-01-22 2019-09-04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
CN107549128B (zh) * 2016-06-30 2020-11-06 古洛布莱株式会社 钓鱼用卷线器
KR101869962B1 (ko) * 2016-10-12 2018-08-02 주식회사 코커스 낚시용 릴의 스풀 브레이크장치
JP6836404B2 (ja) * 2017-01-19 2021-03-03 株式会社シマノ スプール制動装置
JP7166895B2 (ja) * 2018-11-28 2022-11-08 株式会社シマノ リール制動調整装置及びリール制動調整プログラム
KR102233310B1 (ko) * 2019-01-30 2021-03-29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원심력을 이용한 이동식 마그넷 브레이크를 구비한 낚시 릴
JP2021145656A (ja) 2020-03-24 2021-09-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履歴データ管理システム
JP7481958B2 (ja) * 2020-08-27 2024-05-13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制動力制御システム及び制動力設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5417A (ja) 2005-11-15 2007-06-07 Shimano Inc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制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097725B (zh) 2023-06-27
CN116473031A (zh) 2023-07-25
CN114097725A (zh) 2022-03-01
KR20220027732A (ko) 2022-03-08
US11819014B2 (en) 2023-11-21
US20220061288A1 (en) 2022-03-03
JP2022038628A (ja) 2022-03-10
US20220386577A1 (en) 2022-12-08
KR102599486B1 (ko) 2023-11-08
EP3959974A1 (en) 2022-03-02
US11412725B2 (en) 2022-08-16
JP7481958B2 (ja) 202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156289A (ko) 물고기 낚시용 릴, 제동력 제어 시스템 및 제동력 설정 장치
KR102074899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스풀 제동 장치
US20210298284A1 (en) Fishing reel and history data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the reel
US20230068397A1 (en) Braking device that brakes spool and fishing reel provided with the same
KR102600014B1 (ko) 낚시용 릴
CN107296022B (zh) 电动渔线轮的电机控制装置
KR102666364B1 (ko) 낚시용 릴 및 이것을 구비한 이력 데이터 관리 시스템
JP2575459Y2 (ja) 釣り用リール
JP3038002B2 (ja) 釣り用リール
KR102669088B1 (ko) 낚시용 릴 및 백래시 수정 작업 상태 판정 장치
CN114097732B (zh) 钓鱼用卷线器、钓鱼用卷线器的制动装置以及制动系统
JP7377785B2 (ja) 制動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魚釣用リール、釣竿
US11930800B2 (en) Braking device that brakes spool and fishing reel provided with the same
KR20240036464A (ko) 낚시 도구
CN114097733B (zh) 钓鱼用卷线器
TW202410804A (zh) 釣魚用具
JP2022081857A (ja) 魚釣用リール及び制動装置
JPH06125686A (ja) 釣り用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