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6049A - 용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용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6049A
KR20230156049A KR1020237030081A KR20237030081A KR20230156049A KR 20230156049 A KR20230156049 A KR 20230156049A KR 1020237030081 A KR1020237030081 A KR 1020237030081A KR 20237030081 A KR20237030081 A KR 20237030081A KR 20230156049 A KR20230156049 A KR 20230156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resin
resin film
welded
film
welde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30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치 오다
Original Assignee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30156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60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5Making large sheets by joining smaller ones or strips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01G13/0275Fil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38Covering materials therefor; Materials for protective coverings used for soil and plants, e.g. films, canopies, tunnels or clo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4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 B29C65/5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 B29C65/504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using adhesives, i.e. using supplementary joining material; solvent bonding using adhesive tape, e.g. thermoplastic tape; using threads or the like covering both elemen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29C65/7894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of continuously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4Single butt joints
    • B29C66/1142Single butt to butt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Tongue and groove joints; Tenon and mortise joints; Stepped joint cross-sections
    • B29C66/1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222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comprising at least a lapped joint-segment
    • B29C66/12221Joint cross-sections combining only two joint-segme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only two joint-segments in the joint cross-section comprising at least a lapped joint-segment the two joint-segments being lap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 B29C66/7392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plastic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both parts being thermo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2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ridge, e.g. for making a weakening line; comprising a single 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6Moving relative to and tangentially to the parts to be joined, e.g. transversely to the displac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e.g. using a X-Y 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B29C66/91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 B29C66/9192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 B29C66/9193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variable, e.g. temperature diagrams in explicit relation to another temperature, e.g. to the softening temperature or softening point, to the thermal degradation temperature or to the ambient temperature in explicit relation to the fusion temperature or melting point of the material of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2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며, 각 용착 부위가 2.0 ㎜ 이상 이간되어 있거나, 각 용착 부위가 상기 2 장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 중 대응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단부와 이간되어 있는, 용착 필름, 및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

Description

용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본 개시는 용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농업용 피복 자재, 막 구조 등에 사용되는 필름에는, 통상적으로 광폭 필름이 사용된다. 한편, 공업적으로 제조되는 필름의 크기에는 한도가 있는 점에서, 이러한 광폭 필름은 통상적으로 공업적으로 제조된 필름을 복수 장 연결시켜 제작된다. 필름의 연결 방법으로는, 복수 장의 필름의 단부를 중첩하여 가열 압착함으로써 상기 복수 장의 필름을 용착하는 방법, 복수 장의 필름의 단부에 연결용의 필름을 덮어 가열 압착함으로써 상기 복수 장의 필름을 용착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편면에 친수화 처리면을 갖는 복수의 필름의 연결 방법으로서, 복수의 필름의 단부에 연결용의 필름을 덮어 가열 압착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필름을 용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313311호
한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방법 등, 종래의 방법에 의해서 용착된 용착 필름은, 장기적으로 전장 (展張) 했을 경우, 필름끼리의 연결부가 파열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본 개시는 연결부가 파열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는 용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이하의 양태를 포함한다.
<1>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는 용착 필름이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2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며,
상기 제 1 용착 부위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2.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 필름.
<2>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용착 부위 또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하기 (i) 및 (i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는, <1> 에 기재된 용착 필름.
(i)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ii)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3> 상기 제 1 용착 부위 및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고, 식 중,
L1b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1a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 L1b 에,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며,
L2b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2a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 L2b 에,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용착 필름.
<4>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는 용착 필름이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2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며,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용착 부위 또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하기 (i) 및 (i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 필름.
(i)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ii)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5> 상기 제 1 용착 부위 및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고, 식 중,
L1b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1a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 L1b 에,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며,
L2b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2a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 L2b 에,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는, <4> 에 기재된 용착 필름.
<6>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는 용착 필름이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2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며,
상기 제 1 용착 부위 및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고, 식 중,
L1b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1a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 L1b 에,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며,
L2b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2a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 L2b 에,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 필름.
<7> JIS K6732 : 2006 에 준하여, 표선간 거리 40 ㎜ 의 덤벨형 시험편을 사용하여, 인장 속도 200 ㎜/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가 150 % 이상인, <1> ∼ <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착 필름.
<8>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에 대한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의 비가 0.8 ∼ 1.2 인, <1> ∼ <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착 필름.
<9>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를 함유하는, <1> ∼ <8>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착 필름.
<10>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걸쳐 놓아 이루어지는 예비 배치체를 준비하는 것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히터와,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히터에 의해서 상기 예비 배치체를 가열 압착하여,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용착되는 제 1 용착 부위,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용착되는 제 2 용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이고,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은, 상기 가열 압착의 공정에 걸쳐서 상기 제 1 용착 부위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 사이의 부위와 접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
<11>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은, 가열 압착면에 오목부를 갖고,
상기 가열 압착에 있어서, 상기 가열 압착면은,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내측에서 상기 제 1 용착 부위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내측에서 상기 제 2 용착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용착 부위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상기 사이의 부위가 용착되지 않고 유지되는, <10> 에 기재된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
<12>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0.2 ㎜ 이상인, <11> 에 기재된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
<13>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폭이 2.0 ㎜ 이상인, <11> 또는 <12> 에 기재된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
<14> 막 구조물용 필름 또는 농업용 필름인, <1> ∼ <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착 필름 또는 <10> ∼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용착 필름.
본 개시에 의하면, 연결부가 파열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는 용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용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용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용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 는, 용착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가열 압착기의 일례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A(a) 는 종래의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제 1 가열 압착에 사용하는 제 1 히터, 제 2 히터, 및 용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b) 는 종래의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제 2 가열 압착에 사용하는 제 1 히터, 제 2 히터, 및 용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B(a) 는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제 1 가열 압착에 사용하는 제 1 히터, 제 2 히터, 및 용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b) 는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제 2 가열 압착에 사용하는 제 1 히터, 제 2 히터, 및 용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C(a) 는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제 1 가열 압착에 사용하는 제 1 히터, 제 2 히터, 및 용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b) 는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의 일 양태에 있어서의 제 2 가열 압착에 사용하는 제 1 히터, 제 2 히터, 및 용착 필름의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 은, 실시예의 인장 파단 신도의 측정에서 사용한 덤벨형 시험편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구성 요소 (요소 스텝 등도 포함한다) 는, 특별히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 필수는 아니다. 수치 및 그 범위에 대해서도 동일하고,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있어서「공정」이라는 용어에는, 다른 공정으로부터 독립된 공정에 추가하여, 다른 공정과 명확히 구별할 수 없는 경우여도 그 공정의 목적이 달성되면, 당해 공정도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을 사용하여 나타난 수치 범위에는,「∼」의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가 각각 최소치 및 최대치로서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각 성분은 해당하는 물질을 복수 종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종 존재하는 경우, 각 성분의 함유율 또는 함유량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 종의 물질의 합계의 함유율 또는 함유량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경우, 당해 실시형태의 구성은 도면에 나타내어진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도면에 있어서의 부재의 크기는 개념적인 것으로서, 부재간의 크기의 상대적인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에 있어서, 중합체의「단위」란, 중합체 중에 존재하여 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부분을 의미한다. 또, 어느 단위의 구조를 중합체 형성 후에 화학적으로 변환한 것도 단위라고 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개개의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위를 그 단량체명에「단위」를 붙인 명칭으로 부른다.
본 개시에 있어서, 필름 및 시트를, 그 두께에 관계없이「필름」이라고 칭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용착 부위」란, 2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열에 의해서 용착된 영역을 나타낸다. 2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접촉하고 있지만 용착되어 있지 않은 영역은 용착 부위에는 포함시키지 않는다. 용착 필름의 용착 부위 및 비용착 부위는, 용착 필름을,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내측으로 하여 90°절곡했을 때에, 비용착 부위에서는 제 1 또는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추종하여 절곡되지 않는 것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연결부」란, 용착 부위를 포함시키고,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결하고 있는 부근의 영역을 나타낸다.
본 개시에 있어서, 용착 필름의「연결부의 단면도」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배열 방향을 따라서 용착 필름을 절단했을 때의 연결부의 절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도 1 ∼ 3, 및 도 5A ∼ C 에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개시에 있어서, 필름 또는 그 부분의「폭」이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배열 방향을 따른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융점」이란, 시차 주사 열량 측정 (DSC) 법으로 측정한 융해 피크의 최대치에 대응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제 1 ∼ 3 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필름을 포괄하여「본 개시의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용착 필름≫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착 필름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2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며, 상기 제 1 용착 부위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2.0 ㎜ 이상이다.
도 1 에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착 필름을 예시한다. 도 1 에는 용착 필름 (100) 의 연결부의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 의 용착 필름 (100) 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은 제 1 용착 부위 (11) 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은 제 2 용착 부위 (12) 에 의해서 용착되어 있다. 제 1 용착 부위 (11) 와 제 2 용착 부위 (12) 의 최소 거리 D1 은 2.0 ㎜ 이상이다.
복수의 필름의 연결부에서는 일반적으로 신도가 저하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착 필름에서는, 제 1 용착 부위 (11) 와 제 2 용착 부위 (12) 의 최소 거리 D1 이 2.0 ㎜ 이상 확보되어 있는 점에서, 제 1 용착 부위 (11) 및 제 2 용착 부위 (12) 사이의 필름 신도가 유지되고, 장기적으로 전장되어도 용착 필름 (100) 이 연결부에서 잘 파열되지 않는다고 생각된다.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착 필름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2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며,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용착 부위 또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하기 (i) 및 (i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한다.
(i)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ii)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도 2 에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착 필름을 예시한다. 도 2 에는 용착 필름 (100) 의 연결부의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2 의 용착 필름 (100) 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은 제 1 용착 부위 (11) 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은 제 2 용착 부위 (12) 에 의해서 용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또는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과, 상기 제 1 용착 부위 (11) 또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 (12) 의 위치 관계는, 하기 (i) 및 (i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한다.
(i)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측의 단부와, 상기 제 1 용착 부위 (11) 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ii)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측의 단부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 (12) 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0.5 ㎜ 이상의 D2 가 확보되어 있음으로써, 각각 대응하는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의 단부 또는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의 단부에 있어서 파단 공간 (이하,「노치」라고도 기재한다.) 가 잘 발생되지 않고, 그 결과, 용착 필름 (100) 이 파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착 필름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2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며, 상기 제 1 용착 부위 및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고, 식 중,
L1b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1a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 L1b 에,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며,
L2b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2a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 L2b 에,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낸다.
도 3 에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착 필름을 예시한다. 도 3 에는 용착 필름 (100) 의 연결부의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3 의 용착 필름 (100) 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은 제 1 용착 부위 (11) 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은 제 2 용착 부위 (12) 에 의해서 용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용착 부위 (11) 및 상기 제 2 용착 부위 (12) 의 위치 관계는,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한다.
용착 필름 (100) 이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함으로써,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의 단부 또는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의 단부에 있어서 파단 공간 (즉, 노치) 가 잘 발생되지 않게 되고, 그 결과, 용착 필름 (100) 이 파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발명자는 종래의 용착 필름이 장기적으로 전장시키면 파열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는 과제에 주목하고, 그 원인 구명을 도모한 결과, 용착 필름이 바람 등에 의한 진동을 반복함으로써, 연결부를 기점으로 하여 파열이 발생되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 원인으로서, 용착 필름의 연결부의 두께가 용착시의 열에 의해서 얇아지고, 강도가 부족한 것이 하나의 요인으로 추측되었다. 그래서, 연결부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도록, 용착 방법을 검토하여, 제 1 ∼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착 필름을 발안하였다.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걸쳐 놓아 용착함으로써, 복수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결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용착 필름은, 연결 전의 필름으로서,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뿐만 아니라, 3 장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 연결한 것이어도 된다. 연결 전의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장 수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장수를 제외한다) 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예를 들어 2 ∼ 100 장, 2 ∼ 50 장, 또는 2 ∼ 10 장이어도 된다.
본 개시의 용착 필름에서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1 용착 부위를 개재하여 용착되고,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용착 부위를 개재하여 용착됨으로써,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연결된다. 제 1 용착 부위 및 제 2 용착 부위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동일 면에 있다. 예를 들어,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친수화 처리면에서는 용착이 불충분해지는 경향이 있지만, 본 개시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편면에 친수화 처리를 실시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타방의 면에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용착시킴으로써, 강고하게 연결된 용착 필름이 얻어진다.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이하, 이것들을 포괄하여 간단히「열가소성 수지 필름」이라고도 기재한다.) 은,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한다.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재질은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해도 되고, 부위에 따른 신도 및 강도의 차에 의한 파열을 보다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비정성 수지 및 결정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비정성 수지로는, 폴리스티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을 들 수 있다.
결정성 수지로는,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불소 수지로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이하,「ETFE」라고도 기재한다.), 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이하,「PFA」라고도 기재한다.), 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이하,「FEP」라고도 기재한다.),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중합체 (이하,「PCTFE」라고도 기재한다.), 비닐플루오리드 중합체 (이하,「PVDF」라고도 기재한다.), 비닐리덴플루오리드 중합체 (이하,「PVF」라고도 기재한다.), 비닐리덴플루오리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플루오리드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비닐리덴플루오리드-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및 프로필렌-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불소 수지는 각각, 다른 단위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락트산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α 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레핀 수지는 각각, 다른 단위를 추가로 가져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로는, 내흠집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고, 연신 등에 의해서 높은 강도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결정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즉,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결정성 수지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성 수지 중에서도,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불소 수지가 바람직하다. 즉,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불소 수지의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불소 수지 중에서도, 내후성과 비중, 가격의 면이 우수한 관점에서, ETFE, PFA, FEP, PCTFE, PVDF 및 PVF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바람직하고, ETFE, PFA 및 FEP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이 보다 바람직하며, ETFE 가 특히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열가소성 수지 이외의 다른 성분을 추가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성분으로는, 난연제, 자외광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필러,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는, 편면 또는 양면에 친수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되고 실시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친수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예를 들어 유적성 (流滴性) 을 향상시킬 수 있다. 친수화 처리면을 갖는 용착 필름을 제작할 경우, 용착을 충분히 행하는 관점에서는,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편면에 각각 친수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고, 친수화 처리가 실시되어 있지 않은 면에서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용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화 처리의 방법으로는, 습식법 및 건식법을 들 수 있다.
습식법으로는, 친수성 물질의 용액을 롤러로 도포하는 방법, 상기 용액을 스프레이 도공하는 방법, 상기 용액을 브러시로 도포하는 방법, 상기 용액을 도공기로 도공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친수성 물질의 용액을 도공기로 코팅하는 방법 또는 스프레이로 도공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건식법으로는, 친수성 물질의, 스퍼터링법, 진공 증착법, CVD 법, 이온 플레이팅법 등을 들 수 있다. 생산성이 높고, 친수성의 지속성이 우수한 관점에서는, 친수성 물질의 스퍼터링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친수성 물질로는, SiO2, Al2O3 등의 무기질 콜로이드 졸, 폴리비닐알코올, 아크릴산 등의 친수성 수지, Si, Sn, Ti, Nb, Al, Zn 등의 금속의 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Si, Sn, Ti 등의 금속의 산화물의 스퍼터링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Si 및/또는 Sn 의 금속의 산화물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고, 10 ∼ 1,000 ㎛ 여도 되고, 20 ∼ 800 ㎛ 여도 되며, 30 ∼ 500 ㎛ 여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용착 필름이 연결부에서 파열되는 것을 보다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용착 전의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에 대한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의 비는 0.8 ∼ 1.2 인 것이 바람직하고, 0.9 ∼ 1.1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와,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가 비교적 유사함으로써, 용착 필름에 인장 응력이 가해져도, 특정한 부위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이 억제되는 것이 하나의 요인으로 추측된다. 또,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와,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가 비교적 유사할 경우, 용착시에,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히터의 온도와,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히터의 온도를 유사한 온도로 설정하기 쉬운 점에서, 용착 계면의 온도가 안정되기 쉬운 것도 하나의 요인으로 추측된다.
용착 전의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폭은 용도, 제조 설비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할 수 있어, 0.5 ∼ 3 m 여도 되고, 0.8 ∼ 2.5 m 여도 되며, 1.1 ∼ 1.6 m 여도 된다.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폭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폭은, 충분한 용착 부위를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10 ㎜ 이상이 바람직하고, 2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착에 사용하는 장치의 소형화의 관점에서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폭은,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4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용착 부위 및 제 2 용착 부위는, 전형적으로,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각각 단부 부근에 위치한다.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중첩 부분의 폭은, 5 ∼ 50 ㎜ 가 바람직하고, 5 ∼ 25 ㎜ 가 보다 바람직하며, 5 ∼ 15 ㎜ 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중첩 부분의 폭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용착 부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용착 부위에 있어서의 필름 두께는, 용착부의 강도 및 필름 강도를 양호한 것으로 하는 관점에서는, 용착 전의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의 합계의 80 ∼ 100 % 가 바람직하고, 90 ∼ 100 % 가 보다 바람직하며, 95 ∼ 10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 2 용착 부위에 있어서의 필름 두께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각 용착 부위의 사이즈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각 용착 부위의 폭은, 각각 독립적으로, 3 ㎜ 이상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이어도 되며, 10 ㎜ 이상이어도 된다. 용착에 사용하는 장치의 소형화의 관점에서는, 각 용착 부위의 폭은, 50 ㎜ 이하가 바람직하고, 3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필름 강도의 관점에서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단부는, 일정 부분용착되지 않는 부분이 남아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단부의 용착되지 않는 부분의 폭은, 0.1 ∼ 10 ㎜ 가 바람직하고, 0.3 ∼ 5 ㎜ 가 보다 바람직하며, 0.5 ∼ 3 ㎜ 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용착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와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용착 부위와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2.0 ㎜ 이상이다.
연결부의 신도의 관점에서는, 상기 최소 거리는, 2.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8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착 필름의 취급이 우수한 등의 관점에서는, 상기 최소 거리는,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6.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용착 필름에서는,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1 용착 부위 또는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하기 (i) 및 (i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제 1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ii)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본 개시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착 필름은 상기 조건을 만족한다.
상기 (i) 및 (ii) 에 있어서의 상기 최소 거리는, 각각 독립적으로, 0.7 ㎜ 이상이어도 되고, 0.9 ㎜ 이상이어도 된다. 연결부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단부의 비용착 부위가 작업성에 잘 영향을 주지 않는 관점에서는, 상기 (i) 및 (ii) 에 있어서의 상기 최소 거리는,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5.0 ㎜ 이하가 바람직하며, 3.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일 양태에 있어서, 제 1 용착 부위 및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 중,
L1b 는, 제 1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1a 는, 제 1 용착 부위의 폭 L1b 에,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제 1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며,
L2b 는, 제 2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2a 는, 제 2 용착 부위의 폭 L2b 에,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 1 열가소성 수지측의 단부로부터 제 2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낸다.
본 개시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용착 필름은,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한다.
용착 부위의 강도의 관점에서는, (L1b/L1a) 및 (L2b/L2a) 는, 각각 독립적으로, 0.33 이상이 바람직하고, 0.50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0.8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L1b/L1a) 는, 0.99 미만이 바람직하고, 0.9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의 관점에서, (L1b/L1a) 및 (L2b/L2a) 는, 각각 독립적으로, 0.33 이상 0.99 미만이 바람직하고, 0.50 ∼ 0.95 가 보다 바람직하며, 0.80 ∼ 0.95 가 더욱 바람직하다.
〔용착 필름의 물성〕
(인장 파단 신도)
본 개시의 용착 필름은, 연결부의 파열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는 관점에서, JIS K6732 : 2006 에 준하여, 표선간 거리 40 ㎜ 의 덤벨형 시험편을 사용하여, 인장 속도 200 ㎜/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가 15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는, 구체적으로는 실시예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할 수 있다.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는, 18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50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며, 280 %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의 상한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용착 필름의 강도의 관점에서는,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는 5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35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28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인장 강도)
용착 필름의 연결부의 인장 강도는, 막 구조 용도 등의 높은 강도를 필요로 하는 용도에 적용할 수 있는 관점에서는, 25 ㎫ 이상이 바람직하고, 30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35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연결부의 인장 강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높을수록 바람직하다.
「인장 강도」란, JIS K6732 : 2006 에 준하여 표선간 거리 40 ㎜ 의 덤벨형 시험편을 사용하여, 인장 속도 200 ㎜/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인장 파괴 응력이다.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 1 용착 부위 및 제 2 용착 부위는 가열 압착되지만, 제 1 용착 부위와 제 2 용착 부위 사이에 끼워지는 부분은 가열 압착되지 않는 방법이 채택되어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걸쳐 놓아 이루어지는 예비 배치체를 준비하는 것 (이하,「예비 배치체의 준비 공정」이라고도 기재한다.) 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히터와,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히터에 의해서 상기 예비 배치체를 가열 압착하여,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용착되는 제 1 용착 부위,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용착되는 제 2 용착 부위를 형성하는 것 (이하,「가열 압착 공정」이라고도 기재한다.) 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은, 상기 가열 압착의 공정에 걸쳐서 상기 제 1 용착 부위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 사이의 부위와 접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예비 배치체의 준비 공정에서는,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걸쳐 놓아 이루어지는 예비 배치체를 준비한다. 「예비 배치체」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걸쳐 놓아 이루어지는 배치체이고 용착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그리고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자세한 것은, 상기 서술한 사항을 적용할 수 있다. 또, 예비 배치체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그리고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위치 관계는, 제작되는 용착 필름이 상기 서술한 양태로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가열 압착 공정에서는, 제 1 히터와, 제 2 히터에 의해서 예비 배치체를 가열 압착하여,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용착되는 제 1 용착 부위,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용착되는 제 2 용착 부위를 형성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가열 압착시에,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외측에 배치되는 히터를 편의상「제 1 히터」라고 칭하고,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외측에 배치되는 히터를 편의상「제 2 히터」라고 칭한다. 제 1 용착 부위 및 제 2 용착 부위의 자세한 것은 상기 서술한 사항을 적용할 수 있다.
가열 압착은 2 단계 이상의 공정에서 행해져도 된다. 일 양태에 있어서, 가열 압착은 제 1 가열 압착과 제 2 가열 압착을 포함한다. 제 1 가열 압착과 제 2 가열 압착은 동일한 온도에서 행해져도 되고 상이한 온도에서 행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가열 압착을 행한 후, 제 1 가열 압착보다 저온에서 제 2 가열 압착을 행해도 된다. 2 단계 이상의 가열 압착에 의해서, 용착 정도를 부위에 따라서 조절할 수 있다.
가열 압착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의 -10 ∼ +20 ℃ 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8 ∼ +15 ℃ 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5 ∼ +10 ℃ 의 범위에서 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열 압착을 2 단계 이상의 공정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가열 압착이 상기 범위에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압착시의 압력은 히터의 자중 (自重) 이어도 되고, 추가로 하중을 부가하여 압력을 높여도 된다. 상기 압력은, 0.01 ∼ 10 ㎫ 가 바람직하고, 0.1 ∼ 1 ㎫ 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열 압착은, 각 히터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이형성을 높이기 위해서 이형 필름을 사용하여 행해도 된다.
가열 압착 후에, 냉각 공정을 삽입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냉각은, 냉각판을 사용하여 행해도 되고, 공랭에 의해서 행해도 된다. 이형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냉각 공정을 삽입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이형 필름의 박리성이 향상된다.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은, 가열 압착면에 오목부를 갖고, 가열 압착에 있어서, 가열 압착면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내측에서 제 1 용착 부위를 형성하고, 또한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내측에서 제 2 용착 부위를 형성하고, 오목부에 의해서, 제 1 용착 부위와 제 2 용착 부위 사이의 부위가 용착되지 않고 유지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 꼬치형 형상의 히터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오목부의 깊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용착되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접하지 않기 위해서 충분한 깊이를 확보하는 관점에서는, 0.2 ㎜ 이상이 바람직하고, 0.3 ㎜ 이상이어도 된다. 오목부의 깊이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오목부의 깊이는 100 ㎜ 이하여도 된다.
상기 오목부의 폭은, 연결부의 신도의 관점에서는, 2.0 ㎜ 이상이 바람직하고, 2.5 ㎜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2.8 ㎜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용착 필름의 취급성 등의 관점에서는, 오목부의 폭은 10.0 ㎜ 이하가 바람직하고, 8.0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6.0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 4 에 제 1 가열 압착과, 제 2 가열 압착에 의해서 용착 필름을 제작하는 경우의 공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 는, 가열 압착기의 가열 압착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화살표는 필름의 반송 방향을 나타낸다. 가열 압착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반송 방향으로부터 차례로, 제 1 가열 압착에서 사용하는 제 1 히터 (21) 및 제 2 히터 (22), 제 2 가열 압착에서 사용하는 제 1 히터 (23) 및 제 2 히터 (24), 그리고 냉각판 (25, 26) 이 형성되어 있다. 도 4 의 양태에서는, 가열 압착기와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접착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형 필름 (27) 이 사용되고 있고,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이형 필름으로 반송된다.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먼저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21) 및 제 2 히터 (22) 에 의해서 가열 압착된다.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21) 및 제 2 히터 (22) 의 온도는,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의 -10 ∼ +20 ℃ 로 된다. 계속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반송되어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23) 및 제 2 히터 (24) 에 의해서 가열 압착된다.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23) 및 제 2 히터 (24) 의 온도는,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융점의 -10 ∼ +20 ℃ 로 된다. 제 1 가열 압착 및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 제 1 히터와, 제 2 히터의 온도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와,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에는, 두께가 큰 필름측의 히터의 온도를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반송되어 냉각판 (25, 26) 에 의해서 냉각된다.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21) 및 제 2 히터 (22) 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도 5A ∼ C 중의 (a) 에 나타내는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본형상의 제 1 히터 (21) 및 제 2 히터 (22) 를 사용함으로써,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중첩 부분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용착할 수 있다.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23) 및 제 2 히터 (24) 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도 5B(b) 또는 도 5C(b) 에 나타내는 꼬치형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가열 압착면에 오목부를 갖는 꼬치형 형상의 히터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용착 부위 및 제 2 용착 부위를 형성하면서, 이들 사이의 부위는 용착되지 않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도 5A(b) 는 종래예로서,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1) 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의 경계 부분도 포함하여 가열 압착이 행해진다. 이 경우, 상기 경계 부분의 필름 두께가 얇아져, 노치가 쉽게 형성되게 된다.
〔용착 필름의 용도〕
본 개시의 용착 필름의 용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용착 필름은, 막 구조물용 필름 (예를 들어 막 구조물용 외부 피복 필름), 농업용 필름 (예를 들어 농업용 하우스 피복 필름)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막 구조물은, 필름을 사용한 지붕, 외벽, 시설 등의 구조물이다. 시설의 예로는, 스포츠 시설 (풀, 체육관, 테니스 코트, 축구장 등), 창고, 집회장, 전시장, 원예 시설 (원예 하우스, 농업용 하우스 등) 을 들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개시의 실시형태를 실시예에 의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형태는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 1, 2 는 비교예이고, 예 3, 4 는 실시예이다.
<예 1>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표 1 에 나타나는 두께를 갖는 ETFE 필름 (AGC 사 제조, 융점 260 ℃) 을 사용하였다.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폭은 1.3 m,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폭은 32 ㎜ 로 하였다.
도 4 의 개략도로 나타내는 구성을 갖는 퀸 라이트 전자 정공사 제조의 열판식 연속 용착기를 사용하여, 표 1 에 나타나는 온도 및 반송 속도로, 평가용의 용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로서 도 5A(a) 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고,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로서 도 5A(b) 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였다. 각 히터의 상세한 것을 이하에 나타낸다.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 꼬치형 히터 (폭 30 ㎜, 오목부의 폭 8 ㎜, 오목부의 깊이 5 ㎜)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2 히터 : 평면형 히터 (폭 30 ㎜)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 평면형 히터 (폭 30 ㎜)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2 히터 : 평면형 히터 (폭 30 ㎜)
<예 2>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 각 히터의 온도 및 반송 속도를 표 1 에 나타내는 내용으로 한 것 이외에는, 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의 용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예 3>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의 용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로서 도 5B(a) 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고,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로서 도 5B(b) 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였다. 각 히터의 상세한 것을 이하에 나타낸다.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 꼬치형 히터 (폭 30 ㎜, 오목부의 폭 8 ㎜, 오목부의 깊이 5 ㎜)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2 히터 : 평면형 히터 (폭 30 ㎜)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 꼬치형 히터 (폭 30 ㎜, 오목부의 폭 8 ㎜, 오목부의 깊이 5 ㎜)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2 히터 : 꼬치형 히터 (폭 30 ㎜, 오목부의 폭 8 ㎜, 오목부의 깊이 5 ㎜)
<예 4>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평가용의 용착 필름을 제작하였다.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로서 도 5C(a) 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고,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및 제 2 히터로서 도 5C(b) 에 나타내는 것을 사용하였다. 각 히터의 상세한 것을 이하에 나타낸다.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 꼬치형 히터 (폭 30 ㎜, 오목부의 폭 8 ㎜, 오목부의 깊이 5 ㎜)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2 히터 : 평면형 히터 (폭 30 ㎜)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 꼬치형 히터 (폭 30 ㎜, 오목부의 폭 3 ㎜, 오목부의 깊이 1 ㎜)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2 히터 : 꼬치형 히터 (폭 30 ㎜, 오목부의 폭 3 ㎜, 오목부의 깊이 1 ㎜)
〔인장 파단 신도의 측정〕
각 예에서 얻어진 용착 필름으로부터,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착 부위가 중앙이 되도록, 표선간 거리 (도 6 에 있어서의 양 화살표간의 거리) 40 ㎜ 의 덤벨형 (타입 1) 의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오리엔테크 제조의 만능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JIS K6732 : 2006 에 준하여, 인장 속도 200 ㎜/분으로 용착 필름의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를 측정하였다.
얻어진 인장 파단 신도를 사용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인장 파단 신도 유지율을 산출하였다.
인장 파단 신도 유지율 (%) =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 (%)/용착 전의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인장 파단 신도 (%) × 100
또한, 용착 전의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인장 파단 신도는 409.7 % 였다.
〔비용착 부위의 말림의 평가〕
각 예에서 얻어진 용착 필름에 대해서,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비용착 부위에서 용이하게 말리지 않는 것을 A, 용이하게 말려 버리는 것을 B 로 하였다.
〔반복 하중 부가 시험〕
각 예에서 제작된 용착 필름으로부터, 연결부가 중심이 되도록, 길이 300 ㎜, 폭 50 ㎜ 의 장방형의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제 1 용착 부위 및 제 2 용착 부위의 양측 단부에 각각 2 ㎜ 의 절입을 형성하고, 내풍 피로 시험 장치 (AGC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용착 필름에 5 회/초로 반복하여 인장 하중을 가하고, 용착 필름의 파단에 이르기까지의 횟수를 관찰하였다. 인장 하중은, 용착 필름이 약 3 % 의 연신을 일으키는 하중으로 하였다 (평가 부분의 용착 필름 길이 : 하중 부가 전 223 ㎜, 하중 부가 후 230 ㎜).
이하의 지표로 평가를 행하였다.
A : 파단까지의 횟수가 100 만회 이상
B : 파단까지의 횟수가 50 만회 이상 100 만회 미만
C : 파단까지의 횟수가 50 만회 미만
Figure pct00001
표 1 중,「용착 부위간의 거리」란, 제 1 용착 부위와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를 나타낸다. 또, 단부-용착 부위간 거리란,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제 1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연결부의 형상은 연결부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이다.
예 1 에서는, 노치 현상의 발생이 보이고, 반복 하중 부가 시험에서는 약 15 만회에 파단이 발생되었다. 또,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 유지율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예 1 에서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보다 두껍기 때문에,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제 1 히터의 설정 온도를,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제 2 히터의 설정 온도보다 높게 하고 있다. 용착시의 용착 계면의 온도가 잘 안정되기 않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노치 현상이 발생되었다고 추측된다.
예 2 에서는, 노치 현상의 발생이 보이고, 반복 하중 부가 시험에서는 28 만회에서 파단이 발생되었다. 또,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 유지율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예 2 에서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가 제 1 및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와 동일하지만, 연결부 전체에 열이 가해지는 점에서,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경계 부분에 있어서 필름 두께가 얇아져, 노치 현상이 발생되었다고 추측된다.
예 3, 4 에서는, 반복 하중 부가 시험에서는 100 만회를 초과해도 파단이 발생되지 않았다. 또,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 유지율도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예 3, 4 에서는, 제 1 가열 압착 및 제 2 가열 압착의 어느 것도 꼬치형 히터로 용착 가공되기 때문에,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간극에 있어서의 노치 현상의 발생이 억제된 것으로 추측된다. 예 4 는 비용착 부위가 말림이 없어, 특히 우수하였다.
일본 특허출원 제2021-043917호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서 본 명세서에 받아들여진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은, 개개의 문헌, 특허출원, 및 기술 규격이 참조에 의해서 받아들여지는 것이 구체적이며 또한 개개에 기록된 경우와 동일한 정도로, 본 명세서 중에 원용되어 받아들여진다.
1 :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2 :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3 :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
11 : 제 1 용착 부위
12 : 제 2 용착 부위
21 :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22 : 제 1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2 히터
23 :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1 히터
24 : 제 2 가열 압착에 있어서의 제 2 히터
25 : 냉각판
26 : 냉각판
27 : 이형 필름
100 : 용착 필름

Claims (14)

  1.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는 용착 필름으로,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2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며,
    상기 제 1 용착 부위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2.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용착 부위 또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하기 (i) 및 (i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는, 용착 필름.
    (i)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ii)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 부위 및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고, 식 중,
    L1b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1a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 L1b 에,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며,
    L2b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2a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 L2b 에,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는, 용착 필름.
  4.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는 용착 필름으로,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2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며,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용착 부위 또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하기 (i) 및 (ii)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 필름.
    (i)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ii)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최소 거리가 0.5 ㎜ 이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용착 부위 및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고, 식 중,
    L1b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1a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 L1b 에,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며,
    L2b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2a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 L2b 에,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는, 용착 필름.
  6.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걸쳐 놓아 배치되는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적어도 구비하는 용착 필름으로,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1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고,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은 제 2 용착 부위에 의해서 용착되며,
    상기 제 1 용착 부위 및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위치 관계가, 0 < (L1b/L1a) < 0.99, 및 0 < (L2b/L2a) < 0.99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을 만족하고, 식 중,
    L1b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1a 는, 상기 제 1 용착 부위의 폭 L1b 에,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며,
    L2b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을 나타내고,
    L2a 는,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폭 L2b 에,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 2 용착 부위까지의 최소 거리를 더한 총길이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 필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JIS K6732 : 2006 에 준하여, 표선간 거리 40 ㎜ 의 덤벨형 시험편을 사용하여, 인장 속도 200 ㎜/분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연결부의 인장 파단 신도가 150 % 이상인, 용착 필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에 대한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두께의 비가 0.8 ∼ 1.2 인, 용착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각각 독립적으로, 불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개를 함유하는, 용착 필름.
  10.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걸쳐 놓아 이루어지는 예비 배치체를 준비하는 것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1 히터와,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 2 히터에 의해서 상기 예비 배치체를 가열 압착하여,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용착되는 제 1 용착 부위, 및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과 상기 연결용 열가소성 수지 필름이 용착되는 제 2 용착 부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은, 상기 가열 압착의 공정에 걸쳐서 상기 제 1 용착 부위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 사이의 부위와 접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은, 가열 압착면에 오목부를 갖고,
    상기 가열 압착에 있어서, 상기 가열 압착면은,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내측에서 상기 제 1 용착 부위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제 2 열가소성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열가소성 수지 필름측의 단부로부터 내측에서 상기 제 2 용착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에 의해서, 상기 제 1 용착 부위와 상기 제 2 용착 부위의 상기 사이의 부위가 용착되지 않고 유지되는,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깊이가 0.2 ㎜ 이상인,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 및 상기 제 2 히터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일방에 있어서의 상기 오목부의 폭이 2.0 ㎜ 이상인, 용착 필름의 제조 방법.
  14. 막 구조물용 필름 또는 농업용 필름인,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용착 필름 또는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 의해서 제조되는 용착 필름.
KR1020237030081A 2021-03-17 2022-01-24 용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301560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43917 2021-03-17
JP2021043917 2021-03-17
PCT/JP2022/002480 WO2022196108A1 (ja) 2021-03-17 2022-01-24 溶着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6049A true KR20230156049A (ko) 2023-11-13

Family

ID=83320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30081A KR20230156049A (ko) 2021-03-17 2022-01-24 용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405942A1 (ko)
JP (1) JPWO2022196108A1 (ko)
KR (1) KR20230156049A (ko)
CN (1) CN116981558A (ko)
DE (1) DE112022000778T5 (ko)
WO (1) WO202219610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311A (ja) 2001-12-14 2003-11-06 Asahi Glass Co Ltd フィルムの接合方法、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た広幅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農業用被覆資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7673A (en) * 1976-08-02 1978-02-17 Nippon Carbide Kogyo Kk Method of adhesion of thermally shrinkable conjugate film or sheet
JPS58160118U (ja) * 1982-04-19 1983-10-25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加熱圧着接合装置
JPH09207221A (ja) * 1996-02-07 1997-08-12 Yokohama Rubber Co Ltd:The 防水シートの接合方法
JP7337615B2 (ja) 2019-09-13 2023-09-04 株式会社クボタ 農作業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311A (ja) 2001-12-14 2003-11-06 Asahi Glass Co Ltd フィルムの接合方法、その方法により得られた広幅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てなる農業用被覆資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405942A1 (en) 2023-12-21
WO2022196108A1 (ja) 2022-09-22
JPWO2022196108A1 (ko) 2022-09-22
DE112022000778T5 (de) 2023-11-16
CN116981558A (zh) 202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4878B1 (en) Multi-layer article
US6841028B2 (en) Film joining method, a wide film produced by the joining method and a covering material for agricultural use made of the wide film
US7794558B2 (en) Method of bonding fluororesin films, and fluororesin film
JP5263149B2 (ja) 積層シート
JPS63183837A (ja) 積層物成形法
US9233526B2 (en) Composites having improved interlayer adhesion and methods thereof
US11162213B2 (en) Composite having optically transparent resin layer
US7744715B2 (en) Fluororesin laminated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30156049A (ko) 용착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022806A1 (en) Multilayer fluorinated films
JP5239758B2 (ja) 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
DE60308736T2 (de) Mehrschichtverbund aus fluorierten Polymeren mit chloriertem Polyvinylchlorid
JP2006218836A (ja) 防汚性膜材接合体
KR200444660Y1 (ko) 보강 덧댐막을 이용한 막구조 시스템
JPH02276625A (ja) 長尺複合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93751A (ko) 디프 드로잉 가공 심재 및 그것을 이용한 샌드위치 패널
TWI280916B (en) Manufacturing method of roller made of fluororesin material
JPH06226852A (ja) 積層シートの接合方法
WO2018116447A1 (ja) 防汚性シート、防汚性シート接合体、及び防汚性シート接合体の製造方法
JP2000301671A (ja) 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985B2 (ja) フクゴウシ−ト ノ セイゾウホ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