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4135A - 인쇄용 패드 - Google Patents

인쇄용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4135A
KR20230154135A KR1020227037429A KR20227037429A KR20230154135A KR 20230154135 A KR20230154135 A KR 20230154135A KR 1020227037429 A KR1020227037429 A KR 1020227037429A KR 20227037429 A KR20227037429 A KR 20227037429A KR 20230154135 A KR20230154135 A KR 20230154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ink
pad
printing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7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우지 무라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슈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슈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슈호
Publication of KR20230154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41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001Pad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 B41F17/34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curved surfaces of essentially spherical, or part-spherical, articles on articles with surface irregularities, e.g. fruits,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40Printing on bodies of particular shapes, e.g. golf balls, candles, wine corks

Landscapes

  • Printing Method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Abstract

복잡한 형상의 피인쇄면에 대한 인쇄를 가능하게 하면서, 경량 또한 재료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인쇄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는, 잉크가 놓인 인쇄 원판 및 인쇄하는 대상인 피인쇄면에 가압되는 인쇄면과, 내부에 배치된 내부층과, 내부층의 인쇄면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표면에 접해 형성되어 있는 외부층을 구비하고, 외부층은, 외측의 표면에 인쇄면을 갖고, 피인쇄면에 가압했을 때에 인쇄면이 피인쇄면에 추종하여 밀착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층은,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인쇄용 패드
본 발명은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인쇄면을 피인쇄면에 가압하여 인쇄를 실시하는 인쇄용 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쇄용 패드의 내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오프셋 인쇄는, 인쇄 원판에 인쇄용 패드의 인쇄면을 가압하여, 인쇄 원판에 인쇄 패턴에 따라 얹어진 잉크를 인쇄용 패드에 전사한다. 그리고, 잉크가 전사된 인쇄용 패드의 인쇄면을 피인쇄면에 가압하여, 잉크를 피인쇄면에 전사함으로써, 피인쇄면에 인쇄 패턴을 인쇄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발명에 있어서는, 인쇄용 패드는, 인쇄 원판에 가압된다. 인쇄 원판은, 미세 도트 패턴의 잉크가 재치되어 있다. 인쇄 원판에 가압된 인쇄용 패드는, 인쇄 원판에 유지된 잉크가 전사된다. 또, 인쇄용 패드는, 인쇄 원판에 가압되어 잉크가 전사되고 인쇄물은, 인쇄용 패드로부터 잉크가 전사된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는 인쇄용 패드 (인쇄용 블랭킷) 는, 인쇄 원판에 재치된 잉크가 인쇄면에 전사되고, 인쇄면에 전사된 잉크를 인쇄물에 전사한다. 인쇄용 패드는, 내부층과 내부층의 외측에 접해 형성된 외부층을 구비하고, 내부층 및 외부층의 경도를 변경함으로써, 요철 형상을 갖는 인쇄물에 추종하기 때문에, 복잡 형상의 피인쇄면이어도 인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 6689375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의 인쇄용 패드는, 복잡한 형상의 피인쇄면에 인쇄를 하기 위해, 표면의 인쇄면이 피인쇄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인쇄용 패드는,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체로 구성되어 있고, 복잡한 형상의 피인쇄면에 추종하도록, 인쇄면이 인쇄의 대상이 되는 피인쇄면의 전역에 밀착하는 정도로 변형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쇄용 패드는, 인쇄면을 구성하는 탄성체를 많이 필요로 하여, 치수적으로도 중량적으로도 커져, 교환 시 등에 취급이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복잡한 형상의 피인쇄면에 대한 인쇄를 가능하게 하면서, 경량 또한 재료의 사용량을 억제할 수 있는 인쇄용 패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는, 잉크가 놓인 인쇄 원판 및 인쇄하는 대상인 피인쇄면에 가압되는 인쇄면과, 내부에 배치된 내부층과, 상기 내부층의 상기 인쇄면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표면에 접해 형성되어 있는 외부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층은, 외측의 표면에 상기 인쇄면을 갖고, 상기 피인쇄면에 가압했을 때에 상기 인쇄면이 상기 피인쇄면에 추종하여 밀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층은,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쇄용 패드에 사용되는 탄성체의 중량을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교환 시 등의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인쇄용 패드에 드는 재료비도 적어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가 구비하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가 구비하는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물 (70) 에 가압될 때의 단면도이다.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가 구비하는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물 (70) 에 가압될 때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에 사용되는 인쇄 원판 (50) 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의 인쇄 스테이지 (87) 주변의 모식도이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의 송풍기 (66) 의 변형예이다.
도 8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의 기능 블록도의 일례이다.
도 9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에 의한 인쇄물 (70) 의 제조 방법의 플로 차트이다.
도 10 은, 도 4 의 인쇄면 (4) 과 피인쇄면 (71, 72, 및 73) 의 접촉부의 확대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피인쇄면 (73) 에 전사되는 잉크 (40f 또는 40g) 의 확대도이다.
도 1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에 의한 인쇄물 (70) 의 제조 방법의 플로 차트 중,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 원판 (50) 으로부터 잉크 (40) 를 수취하고, 인쇄물 (70) 에 가압될 때까지의 플로 차트의 변형예이다.
도 13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의 내부층 (1) 의 단품 사시도이다.
도 1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인쇄용 패드 (10) 를 인쇄물 (70) 에 가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일부의 설명을 생략한다. 또, 각 도면은 모식적으로 묘화된 것이고, 본 발명은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탄성체 또는 탄성이란, 이것에 가해지는 하중과 그 하중에 의해 생기는 변형량이 직선적인 관계에 있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가해지는 하중과 그 하중에 의해 생기는 변형량이 비직선적인 관계이고, 가해지고 있던 하중이 제거된 경우에, 즉시 또는 소정의 시간 후에, 원래의 형상으로 돌아가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인쇄 장치 (100)>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인쇄 장치 (100) 는, 인쇄 원판 (50) 상에 재치된 잉크를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전사하고, 또한 인쇄면 (4) 에 전사된 잉크를 인쇄물 (70) 의 피인쇄면 (71) 에 전사하는 것이다. 피인쇄면 (71) 은, 요철 형상을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인쇄 장치 (100) 는, 인쇄용 패드 (10) 의 가압 방향에 대해 피인쇄면 (71) 이 경사진 면을 가지고 있던 경우에, 그 경사진 면에 대해서도 인쇄가 가능한 것이다.
인쇄 장치 (100) 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한 인쇄용 패드 (10) 를 구비한다.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 장치 (100) 가 구비하는 상하 방향 이동 장치 (11) 에 의해 상하동되어, 인쇄물 (70) 의 피인쇄면 (71) 에 인쇄면 (4) 을 가압하여, 인쇄면 (4) 에 전사된 잉크를 피인쇄면 (71) 에 전사하는 것이다. 또, 인쇄 장치 (100) 는, 수평 방향 이동 장치 (12) 를 구비한다. 수평 방향 이동 장치 (12) 는, 인쇄용 패드 (10) 및 상하 방향 이동 장치 (11) 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인쇄용 패드 (10) 는, 수평 방향 이동 장치 (12) 에 의해, 인쇄물 (70), 클리닝 장치 (60), 활성화 장치 (61), 에어 블로우 장치 (62) 또는 인쇄 원판 (50) 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은, 상하 방향 이동 장치 (11) 에 의해 상하동하여, 인쇄물 (70), 클리닝 장치 (60), 활성화 장치 (61) 또는 인쇄 원판 (50) 의 각각에 가압된다. 도 1 에 있어서, 인쇄 장치 (100) 는, 좌측으로부터 인쇄물 (70) 을 재치하는 인쇄 스테이지 (87) 와, 클리닝 장치 (60), 활성화 장치 (61) 및 에어 블로우 장치 (62) 를 구비하는 표면 처리 스테이지 (86) 와, 인쇄 원판 (50) 이 재치되는 인쇄 원판 스테이지 (85) 를 갖는다. 단, 인쇄 장치 (100) 에 있어서, 이들 스테이지는,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고, 작업자 또는 인쇄 장치 (100) 가 설치되는 장소 등의 형편에 맞추어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또, 인쇄 장치 (100) 의 각 장치는, 필요에 따라 인쇄 장치 (100) 에 설치되는 것이며,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스테이지 (87) 에는 송풍기 (66) 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기 (66) 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을 향해 송풍하는 것이다. 또한, 인쇄 장치 (100) 는, 송풍기 (66) 또는 에어 블로우 장치 (62) 중 어느 일방을 구비하고, 송풍기 (66) 및 에어 블로우 장치 (62) 로서 기능시켜도 된다.
<인쇄용 패드 (10)>
도 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가 구비하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인쇄용 패드 (10) 의 단면도이며, 인쇄용 패드 (10) 의 정점 (6) 을 지나고, 기재 (5) 가 고정된 지지 부재 (7) 의 평면 (13) 에 대해 수직인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인쇄용 패드 (10) 는, 예를 들어 대략 반구 형상이다. 인쇄용 패드 (10) 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포탄 형상, 포물선을 그 대칭축 둘레로 회전시켜서 생기는 곡면을 갖는 형상, 타원체를 절단한 일부 등의 형상, 혹은 포탄 형상 또는 반원 형상의 단면을 일직선 상에 연속적으로 신장시킨 형상 등, 인쇄물 (70) 의 사양 등에 따라 적절히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물 (70) 또는 인쇄 원판 (50) 에 최초로 접촉하는 정부 (頂部) 를 구비하고, 정부가 점 또는 선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물 (70) 또는 인쇄 원판 (50) 에 가압되었을 때에, 인쇄면 (4) 과 인쇄물 (70) 또는 인쇄 원판 (50) 사이로 공기를 말려들게 하는 것이 억제된다. 공기가 말려들어 가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인쇄 원판 (50) 으로부터 인쇄용 패드 (10) 로의 잉크 (40) 의 전사의 누락 및 인쇄물 (70) 에 실시되는 인쇄 화상에 누락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인쇄용 패드 (10) 의 표면 중, 정점 (6) 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범위가, 인쇄 원판 (50) 으로부터 잉크 (40) 를 옮겨 취하고, 인쇄물 (70) 에 전사하는 인쇄면 (4) 이 된다. 단, 인쇄면 (4) 은, 정점 (6) 을 포함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용 패드 (10) 의 기재 (5) 는, 내부층 (1) 과 내부층 (1) 의 외측의 표면을 덮도록 배치된 외부층 (2) 을 구비한다. 내부층 (1) 및 외부층 (2) 은, 각각이 지지 부재 (7) 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인쇄용 패드 (10) 는, 2 층 구조뿐만 아니라 더욱 다층 구조여도 된다.
외부층 (2) 은,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를 성형하여 구성된다. 외부층 (2) 은, 탄성 (가요성) 을 구비하고, 변형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실리콘 오일이 혼합되어 있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외부층 (2) 은, 대략 반구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인쇄물 (70) 의 사양 등에 따라 적절히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외부층 (2) 은,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 원판 (50) 에 가압되었을 때에 변형되어, 인쇄 원판 (50) 의 재치면 (51) 에 재치된 잉크 (40) (도 3 참조) 를 인쇄면 (4) 으로 옮겨 취한다. 인쇄 원판 (50) 의 재치면 (51) 에 재치된 잉크 (40) 는, 인쇄물 (70) 에 인쇄되는 화상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고, 인쇄 패턴을 형성하고 있다.
도 3 및 도 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가 구비하는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물 (70) 에 가압될 때의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내부층 (1) 은, 도 4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외부층 (2) 이 인쇄물 (70) 에 가압되어, 인쇄면 (4) 이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추종하여 변형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도, 거의 변형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경우, 예를 들어, 인쇄면 (4) 에 가까운 부분을 구성하는 외부층 (2) 의 재료는, 아스카 C 경도로 0 ∼ 20 포인트의 범위로 설정된다. 그리고, 외부층 (2) 의 내측에 있는 내부층 (1) 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의 발포체이다. 예를 들어, 내부층 (1) 은, ABS 발포체, 발포 스티롤 등의 발포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컨대, 내부층 (1) 은, 내부에 공동을 갖는 구조이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그 공동은, 미세한 기포이다. 내부층 (1) 은, 내부에 공동을 가지면서, 인쇄물 (70) 에 대한 가압 시에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강도 및 강성을 갖는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내부층 (1) 은, 인쇄 시에 인쇄면 (4) 을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가압하기 위한 힘을 가할 수 있는 측에 위치하고 있고, 인쇄면 (4) 측으로부터 볼 때 외부층 (2) 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재 (7) 는, 상하 방향 이동 장치 (11) 에 접속되어 있고, 상하 방향 이동 장치 (11) 로부터의 힘을 인쇄용 패드 (10) 에 전달하는 부분이다.
인쇄용 패드 (10) 가 변형되어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추종하기 위해서는, 인쇄용 패드 (10) 의 경도는 낮게 (부드럽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인쇄물 (70) 에 가압되는 인쇄면 (4) 측의 부분의 경도, 즉 외부층 (2) 의 경도는, 내부층 (1) 에 대해 낮게 설정되어 있을 필요가 있다. 외부층 (2) 이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인쇄면 (4) 은 부드러운 층에 의해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추종하기 쉬워짐과 함께, 인쇄용 패드 (10) 의 전체의 형상은 인쇄물 (70) 에 가압해도 거의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내부층 (1) 에 의해 유지되기 쉬워진다. 그것과 함께,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직접 가압되는 외부층 (2) 은, 피인쇄면 (71) 뿐만 아니라, 곡면인 피인쇄면 (72), 및 인쇄용 패드 (10) 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피인쇄면 (73) 에 추종하도록 변형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단, 기재 (5) 의 각 부의 경도는 상기의 경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용 패드 (10) 는, 적어도 인쇄면 (4) 이 피인쇄면 (71, 72 및 73) 의 면적의 1.5 배 이상의 면적을 확보하도록 구성되면 된다. 이로써,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물 (70) 에 가압했을 때의 변형률 (인쇄용 패드 (10) 의 크기에 대한 변형량의 비율) 이 작아지기 때문에, 인쇄면 (4) 의 피인쇄면에 대한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인쇄용 패드 (10) 의 경도를 낮게 함으로써도, 인쇄면 (4) 의 피인쇄면에 대한 미끄러짐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인쇄면 (4) 은, 외부층 (2) 의 표면에 있다. 내부층 (1) 의 표면 (인쇄면 (4)) 측을 향한 표면은, 외부층 (2) 의 표면의 형상과 상사형상이어도 된다. 내부층 (1) 은, 내부의 공동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내부의 기포) 을 포함한 체적이 기재 (5) 전체의 체적의 40 % 이하로 설정되어 있으면 된다.
<클리닝 장치 (60)>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장치 (100) 의 인쇄 스테이지 (87) 의 옆에는 표면 처리 스테이지 (86) 가 배치되어 있다. 표면 처리 스테이지 (86) 에는, 클리닝 장치 (60) 가 설치되어 있다. 클리닝 장치 (60) 는, 예를 들어 종이 또는 점착 테이프를 구비한다.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은, 종이 또는 점착 테이프의 표면에 가압됨으로써, 인쇄 후에 잔존하는 잉크 (40), 오염, 또는 먼지 등이 제거된다.
<활성화 장치 (61)>
활성화 장치 (61) 는, 액체를 저류하는 저류조,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흡수 유닛을 구비한다.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은, 흡수 유닛의 표면에 가압됨으로써, 흡수 유닛이 유지하는 액체가 부착된다. 인쇄용 패드 (10) 는, 기재 (5) 에 물 또는 용제를 부착, 또는 스며들게 함으로써, 인쇄 원판 (50) 에 재치된 잉크 (40) 를 인쇄면 (4) 에 전사하기 쉽게 시키는 것이다. 액체는, 잉크 (40) 와의 성질에 따라 적절히 선정되는 것이고, 단단한 잉크 (40) 를 연화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잉크 (40) 는, 물 또는 용제에 안료 또는 염료를 첨가하여 구성되어 있다. 활성화 장치 (61) 에 사용되는 액체는,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또는 우레탄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류, 및 물, 시너, 자일렌, 또는 톨루엔 등의 혼합제이며, 잉크 (40) 에 포함되는 용제와의 친화성이 높은 것을 선택하면 된다. 단, 활성화 장치 (61) 에 사용되는 액체는, 상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활성화 장치 (61) 의 흡수 유닛은, 예를 들어 얇은 시트상의 흡수재를 적층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재는, 예를 들어 종이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종이에만 한정되지 않고, 액체를 흡수하는 것이면, 천이나 수지 등의 다른 재질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어, 흡수 유닛은, 스펀지상의 수지 상에 종이를 적층시킨 것이어도 된다.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이 가압되는 흡수 유닛의 표면은,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잔존한 잉크 (40) 등의 오염이 부착되거나, 흡수 유닛의 표면이 깎이거나 하여 흡수 유닛을 구성하는 종이가 찢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흡수 유닛의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는, 흡수 유닛의 가장 위의 층으로부터 박리하여 제거하고, 적층되어 있는 한 장씩을 제거하거나, 기계적으로 상층부를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단, 가장 위의 층에 위치하는 종이의 교환 방법은 이 방법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 유닛은, 가장 위의 층을 구성하는 종이 등을 제거 또는 자유롭게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표면이 항상 청정하게 유지되고 있고, 또한 액체가 스며들어 있다. 그 때문에,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을 흡수 유닛의 표면에 가압하면 인쇄면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활성화 장치 (61) 의 흡수 유닛은, 적층한 구조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단일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에어 블로우 장치 (62)>
에어 블로우 장치 (62) 는, 활성화 장치 (61) 에 의해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부착된 물 또는 용제를 적당량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에어 블로우 장치 (62) 는, 활성화 장치 (61) 에 가압된 후이고 잉크가 전사되기 전의 인쇄면 (4) 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여, 인쇄면 (4) 으로부터 여분의 물 또는 용제를 제거한다. 또한, 에어 블로우 장치 (62) 의 형식, 수량, 및 공기를 분사하는 방향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활성화 장치 (61) 에 있어서 인쇄면 (4) 에 부착되는 액체를 적당량으로 제어할 수 있다면, 에어 블로우 장치 (62) 는 생략해도 된다.
<인쇄 원판 (50)>
인쇄 원판 (50) 은, 인쇄 원판 스테이지 (85) 상에 재치되는 것이며, 재치면 (51) 에 잉크 (40) 가 재치되고,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을 재치면 (51) 에 가압함으로써, 인쇄면 (4) 에 잉크 (40) 를 전사한다.
도 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에 사용되는 인쇄 원판 (50) 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에 나타나 있는 인쇄 원판 (50) 은, 요판이다. 인쇄 원판 (50) 은, 평판 형상이며, 지지체 (53) 및 지지체 (53) 상에 형성된 표면층 (52) 을 구비한다. 표면층 (52) 은, 적어도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이 가압되는 재치면 (51) 측이 소(疎)잉크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표면층 (52) 은, 예를 들어 레이저 광에 의해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제거됨으로써, 소잉크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부분이 제거되는 것이다. 요컨대, 표면층 (52) 은, 예를 들어 레이저 광에 의해 제거되어, 재치면 (51) 에 개구하는 오목부 (54) 가 형성된다. 오목부 (54) 의 저부 (55) 는, 친잉크성의 재료로 형성된 지지체 (53) 가 노출되어 있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표면층 (52) 은, 잉크 (40) 가 부착되기 어려운 소잉크성을 구비하는 소잉크층이다. 또, 지지체 (53) 는, 잉크 (40) 가 부착되기 쉬운 친잉크성을 구비하는 친잉크층이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 표면층 (52) 은,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 또는 실리콘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고무 및 실리콘 수지는, 소잉크성을 구비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기 때문에, 인쇄 원판 (50) 의 표면층 (52) 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단, 표면층 (52) 은, 실리콘 고무 및 실리콘 수지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소잉크성을 구비하는 재질이면, 그 밖의 재질을 사용해도 된다.
도 5 에 있어서는 표면층 (52) 및 지지체 (53) 는, 각각 1 층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면층 (52) 은, 소잉크성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레이저 광에 의해 파괴되는 재료에 의해 1 층으로 형성되어도 되고, 인쇄용 패드 (10) 가 가압되는 측에 소잉크층을 구비하고, 지지체 (53) 측에 기록층을 구비하여도 된다. 기록층은, 예를 들어 레이저 광을 흡수하여 열로 변환하고, 기록층과 소잉크층 간의 접착 강도를 저하시킴으로써 소잉크층을 인쇄 원판 (50) 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는, 기록층은, 예를 들어 레이저 광을 흡수하여 열로 변환하고, 기록층이 열에 의해 파괴됨으로써, 지지체 (53) 와 표면층 (52) 간의 결합력을 저하시켜, 소잉크성을 구비하는 표면층 (52) 을 인쇄 원판 (50) 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표면층 (52) 이 소잉크층과 기록층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 소잉크층은, 실리콘 고무 또는 실리콘 수지에 의해 형성되고, 기록층은, 감열 또는 감광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요판 인쇄로 인쇄를 실시하고 있지만, 철판 인쇄로 실시할 수도 있다.
지지체 (53) 는, 예를 들어 인쇄 원판 (50) 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예를 들어 알루미늄제의 금속판의 1 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금속판의 표면에 친잉크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된 친잉크층을 구비하여도 된다. 또, 지지체 (53) 는, 금속판의 표면을 부식시키는 등의 수단에 의해 면을 거칠게 하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또, 지지체 (53) 의 표면은, 표면층 (52) 과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라이머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인쇄 원판 (50) 은, 표면층 (52) 이 제거됨으로써 오목부 (54) 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54) 는, 잉크 재치 장치 (63) 에 의해 재치면 (51) 에 잉크 (40) 가 공급되고, 내측에 잉크 (40) 가 재치된다. 이때, 표면층 (52) 이 남아 있는 부분은, 소잉크 영역 (57) 을 형성하여, 잉크 (40) 가 부착되지 않는다. 오목부 (54) 는, 친잉크 영역 (58) 을 형성하여, 잉크 (40) 가 재치된다. 즉, 재치면 (51) 은, 소잉크 영역 (57) 과 친잉크 영역 (58) 을 갖고, 잉크 재치 장치 (63) 에 의해, 친잉크 영역 (58) 에만 잉크 (40) 가 재치된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 표면층 (52) 의 두께 h1 은, 예를 들어 3 ㎛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표면층 (52) 을 제거하여 오목부 (54) 를 형성한 경우, 오목부 (54) 의 저부 (55) 의 재치면 (51) 을 따른 방향의 폭 치수인 폭 w2 에 대해, 오목부 (54) 의 개구부 (56) 의 폭 치수인 폭 w1 은 크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표면층 (52) 의 두께 h1 을 3 ㎛ 이하로 함으로써, 오목부 (54) 의 저부 (55) 의 폭 w2 와 개구부 (56) 의 폭 w1 의 차가 작아진다. 이로써 오목부 (54) 의 내부의 용적이 작아진다. 또, 표면층 (52) 의 두께 h1 이 3 ㎛ 이하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레이저 광에 의해 오목부 (54) 를 형성할 때에, 레이저 광에 감광하는 층에 대한 에너지의 공급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레이저 광은, 인쇄 원판 (50) 의 오목부 (54) 의 저부 (55) 의 형상을 양호한 정밀도로 형성할 수 있어, 폭 w2 를 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오목부 (54) 의 저부 (55) 의 폭 w2 는, 20 ㎛ 이하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로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 이하로 형성된다.
<잉크 재치 장치 (63)>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잉크 재치 장치 (63) 는, 잉크를 유지하는 재질을 표면에 구비하는 롤러인 잉크 유지부 (64) 를 구비한다. 잉크 유지부 (64) 는, 회전축 (65) 둘레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잉크 재치 장치 (63) 는, 인쇄 원판 (50) 의 재치면 (51) 에 잉크 유지부 (64) 를 접촉시키고, 잉크 유지부 (64) 가 재치면 (51) 상을 회전 이동함으로써, 잉크 (40) 를 재치면 (51) 의 친잉크 영역 (58) 에 재치한다. 잉크 재치 장치 (63) 는, 도 1 에 나타내는 롤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잉크 유지부 (64) 와 인쇄 원판 (50) 의 재치면 (51) 이 접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면, 예를 들어 잉크 유지부 (64) 가 재치면 (51) 에 대해 수직 이동하는 형식이어도 된다.
인쇄 원판 (50) 이 소잉크 영역 (57) 및 친잉크 영역 (58) 을 구비하고 있고, 소잉크 영역 (57) 이 잉크를 튕기기 때문에, 잉크 재치 장치 (63) 는, 친잉크 영역 (58) 이 미세해도 친잉크 영역 (58) 에 잉크를 얹을 수 있다. 또, 잉크 재치 장치 (63) 는, 소잉크 영역 (57) 이 여분의 잉크를 튕기기 때문에, 잉크를 얹은 후에 여분의 잉크를 제거하는 닥터 블레이드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 인쇄물 (70) 의 표면에 컬러 화상을 인쇄할 때에는, 복수의 단색용 인쇄 원판 (50) 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 인쇄 장치 (100) 는, 복수의 잉크 재치 장치 (63)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는, 복수의 인쇄 장치 (100) 에 의해 1 개의 인쇄물 (70) 을 인쇄해도 된다. 이때, 복수의 인쇄 장치 (100) 의 각각은, 복수의 단색용 인쇄 원판 (50) 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다.
<송풍기 (66)>
도 6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의 인쇄 스테이지 (87) 주변의 모식도이다. 인쇄 장치 (100) 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잉크 (40) 가 전사된 상태에 있어서, 인쇄면 (4) 에 공기를 보내는 송풍기 (66) 를 구비한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인쇄 스테이지 (87) 의 인쇄물 (70) 이 재치되는 주변에 송풍기 (66) 가 배치되어 있다. 송풍기 (66) 는, 잉크 (40) 가 부착된 상태이고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가압되기 전의 인쇄면 (4) 에 공기를 분사한다. 송풍기 (66) 는, 인쇄면 (4) 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활성화 장치 (61) 로 인쇄면 (4) 에 부착된 액체 및 잉크 (40) 에 스며든 용제 등의 액체도 증발시킨다. 이로써, 잉크 (40) 와 인쇄면 (4) 의 친화성이 저하된다. 또, 잉크 (40) 의 점도가 증가한다. 요컨대, 송풍기 (66) 에 의한 송풍에 의해, 잉크 (40) 는 경화한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 송풍기 (66) 는, 인쇄물 (70) 에 접촉하기 전의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을 향해 송풍구 (66a) 를 향하게 하여 배치되어 있다. 송풍기 (66) 는, 인쇄면 (4) 에 공기가 닿도록 복수 지점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 송풍기 (66) 는, 내부에 히터 (67) 를 구비하고, 인쇄면 (4) 에 보내는 공기의 온도를 조정해도 된다. 인쇄면 (4) 에 보내는 공기의 온도의 조정은, 인쇄면 (4) 에 보내는 공기의 온도를 온도 센서 (68) (도 8 참조) 에 의해 검지하여 히터 (67) 의 출력을 조정함으로써 실시해도 된다. 또, 온도 센서 (68) 가 인쇄 장치 (100) 가 놓여져 있는 환경의 실온을 검지하고, 실온에 따라 히터 (67) 의 출력을 조정해도 된다. 예를 들어, 송풍기 (66) 는, 통상의 케이싱의 일단이 송풍구 (66a) 가 되고, 케이싱의 타단측의 내부에 팬 및 히터 (67) 가 설치되고 공기를 도입하는 유입구 (66b) 를 갖는다.
도 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의 송풍기 (66) 의 변형예이다. 송풍기 (66) 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드라이어 형식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평판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등하여 송풍구 (66a) 로 한 형태여도 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송풍기 (66) 는, 인쇄 스테이지 (87) 또는 그 외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송풍기 (66A) 와 같이 표면 처리 스테이지 (87) 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잉크 (40) 가 전사된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물 (70) 에 가압되기 전에 송풍기 (66) 의 송풍구 (66a) 의 앞으로 인쇄면 (4) 을 이동시키고, 인쇄면 (4) 에 송풍기 (66) 로부터의 공기가 닿도록 제어된다. 도 7 의 송풍기 (66) 에 있어서는, 송풍구 (66a) 가 형성되어 있는 범위 (S) 가 인쇄면 (4) 의 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7 에 나타나 있는 송풍기 (66) 는, 유입구 (66b) 로부터 공기가 공급되고, 내부에 배치된 히터 (67) 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송풍구 (66a) 로부터 분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인쇄 장치 (100) 에 의한 인쇄물 (70) 의 제조 방법>
도 8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의 기능 블록도의 일례이다. 다음으로, 인쇄 장치 (100) 에 의한 인쇄물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장치 (100) 는, 제어 장치 (20) 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 (20) 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고, 연산 장치 (20a) 및 기억 장치 (20b) 를 구비한다. 제어 장치 (20) 의 기능, 즉 도 8 에 나타내는 각 기능 블록은, 연산 장치 (20a) 및 기억 장치 (20b) (도 1 참조) 를 사용하여 실현된다.
기억 장치 (20b) 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 등을 미리 유지하고 있는 ROM, 프로그램의 실행 시에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RAM 등이다. 또, 기억 장치 (20b) 로서, 플래쉬 메모리, EPROM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및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등의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 등이 사용된다. 또, 기억 장치 (20b) 로서,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광 디스크, CD (Compact Disc), MD (Mini Disc) 및 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착탈 가능한 기록 매체가 이용되어도 된다. 기억 장치 (20b) 는, 온도 센서 (68) 등에서 얻은 정보, 연산 장치 (20a) 에 있어서 처리된 정보를 기억할 수 있다.
연산 장치 (20a) 는, 제어 장치 (20) 의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연산 장치 (20a) 는, 예를 들어 온도 센서 (68) 로부터의 실온의 정보와 미리 기억 장치 (20b) 에 보존되어 있던 온도의 임계값을 비교하고, 실온이 임계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판정한다. 제어 장치 (20) 는, 실온이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히터 (67) 의 출력을 소정값으로 억제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또는, 제어 장치 (20) 는, 실온이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 송풍기 (66) 의 운전 시간을 짧게 하는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혹은, 제어 장치 (20) 는, 인쇄용 패드 (10) 가 송풍기 (66) 의 앞에 정지하여 공기를 쏘이는 시간을 제한하는 등의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도 9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에 의한 인쇄물 (70) 의 제조 방법의 플로 차트이다. 인쇄 장치 (100) 는, 인쇄 장치 (100) 의 기동 시 또는 운전 재개 시에 실시되는 개시 공정과, 복수의 인쇄물 (70) 을 제조하는 반복 공정을 구비한다. 개시 공정은, 인쇄용 패드 (10) 의 상태에 따라 실시되는 것이며, 생략되어도 된다.
(개시 공정)
개시 공정은, 예를 들어 인쇄 장치 (100) 를 기동한 직후에 실시되는 공정이다.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물 (70) 의 제조를 개시한 직후에, 표면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을 적정하게 활성화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인쇄용 패드 (10) 는, 실리콘 고무 등의 단단한 잉크 (40) 가 부착되기 어려운 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대로 인쇄 원판 (50) 에 가압하여도 잉크 (40) 가 의도한 대로 전사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는, 개시 공정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인쇄면 (4) 을 활성화한다.
먼저, 인쇄 장치 (100) 가 기동되면, 인쇄 장치 (100) 는, 인쇄용 패드 (10) 를 활성화 장치 (61) 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활성화 장치 (61) 를 향해 강하시킨다.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면 (4) 이 활성화 장치 (61) 의 흡수 유닛에 가압되고, 인쇄면 (4) 을 포함하는 소정의 범위가 흡수 유닛에 접촉한 후에, 상승된다. 이것을 활성화 공정이라고 칭한다 (SP1). 이로써, 활성화 장치 (61) 의 흡수 유닛에 스며들어 있는 물 또는 용제 등의 액체가,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부착 또는 스며든다. 또한, 인쇄면 (4) 은, 표면에 미소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흡수 유닛으로부터의 액체가 부착되었을 때에 유지할 수 있다. 인쇄면 (4) 의 요철은, 바람직하게는 2 ∼ 5 ㎛ 의 고저차를 갖도록 형성되면 된다. 제어 장치 (20) 의 패드 제어부 (21) 는, 상하 방향 이동 장치 (11) 및 수평 방향 이동 장치 (12) 를 제어한다. 이로써, 인쇄용 패드 (10) 의 위치, 제조 개시 시의 위치로부터 활성화 장치 (61) 로의 이동 및 가압의 동작이 제어된다. 활성화부 (24) 는, 활성화 장치 (61) 의 흡수 유닛에 포함되어 있는 액체의 양을 소정의 양으로 유지하도록 제어 또는 통지한다. 또, 활성화부 (24) 는, 흡수 유닛이 열화한 경우에는, 흡수 유닛의 갱신을 실시하도록 제어 또는 통지한다.
활성화 공정 (SP1) 이 완료된 후,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부착되어 있는 액체가 적당량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SP2). 인쇄면 (4) 에 부착되어 있는 액체가 적당량이 아닌 경우 (SP2 에서 NO 인 경우), 인쇄 장치 (100) 는, 에어 블로우 공정을 실시한다 (SP3). 에어 블로우 공정에 있어서는, 에어 블로우 장치 (62) 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공기를 분사하여, 인쇄면 (4) 에 부착된 여분의 액체를 제거한다. 또한, 인쇄면 (4) 에 부착되어 있는 액체가 적당량이 아닌 경우란, 인쇄면 (4) 에 액체가 과잉으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이다. 제어 장치 (20) 의 에어 블로우부 (23) 는, 에어 블로우 장치 (62) 의 운전을 제어하는 것이다. 에어 블로우부 (23) 는, 인쇄용 패드 (10) 가 에어 블로우 장치 (62) 로부터 보내지는 공기가 닿는 곳으로 이동한 시점에, 에어 블로우 공정을 실시하도록 에어 블로우 장치 (62) 를 구동한다.
에어 블로우 공정 (SP3) 을 완료한 후에,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부착되어 있는 액체가 적당량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SP4). 아직,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여분의 물 또는 용제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SP4 에 있어서 NO 인 경우), 인쇄 장치 (100) 는, 흡수 공정을 실시한다 (SP5). 흡수 공정에 있어서는, 인쇄 장치 (100) 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을 클리닝 장치 (60) 에 가압한다. 이로써,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부착된 여분의 액체를 제거한다.
또한, 인쇄용 패드 (10) 에 적당량의 물 또는 용제가 부착 또는 스며들어 있는 경우 (SP2 에 있어서 YES 또는 SP4 에 있어서 YES 인 경우) 는, 에어 블로우 공정 (SP3) 및 흡수 공정 (SP5) 의 일방 또는 양방의 실시를 생략해도 된다. 또, 에어 블로우 공정과 흡수 공정은, 실시의 순서를 변경해도 된다. 또한, 에어 블로우 공정 및 흡수 공정은, 복수회 실시되어도 된다. 인쇄면 (4) 에 부착되어 있는 액체가 적당량인지 여부는, 작업자가 시인해도 된다. 작업자가 인쇄면 (4) 에 여분의 액체가 부착되어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작업자가 흡수 공정의 지시를 실시하고, 제어 장치 (20) 의 패드 제어부 (21) 가 인쇄용 패드 (10) 를 에어 블로우 공정 및 흡수 공정의 적어도 일방으로 진행하도록 이동시켜도 된다.
(반복 공정)
개시 공정이 완료되고,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의 상태가 적정하게 활성화 처리되면, 반복 공정으로 이행한다. 반복 공정은, 잉크 재치 공정 (S1), 잉크 전사 공정 (S2), 송풍 공정 (S3), 인쇄 공정 (S4), 클리닝 공정 (S5), 활성화 공정 (S6), 에어 블로우 공정 (S8), 및 흡수 공정 (S10) 을 구비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장치 (100) 는, 잉크 재치 공정 (S1), 잉크 전사 공정 (S2), 송풍 공정 (S3), 인쇄 공정 (S4), 클리닝 공정 (S5), 활성화 공정 (S6), 에어 블로우 공정 (S8), 및 흡수 공정 (S10) 의 순서로 공정을 진행시킨다. 단, 반복 공정은, 이 순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잉크 재치 공정 (S1) 및 잉크 전사 공정 (S2) 이 완료한 후에, 인쇄 장치 (100) 는, 송풍 공정 (S3) 내지 흡수 공정 (S10) 을 실시한다. 그 한편으로, 인쇄 장치 (100) 는, 송풍 공정 (S3) 내지 흡수 공정 (S10) 을 실시하고 있는 동안에 다음 회의 잉크 재치 공정 (S1) 을 병행하여 실시해도 된다.
반복 공정은, 인쇄 공정 (S4) 을 실시할 때마다 인쇄물 (70) 의 표면에 인쇄 화상이 형성된다. 인쇄물 (70) 은, 1 개로 한정되지 않고, 복수 동시에 인쇄해도 된다. 복수 동시에 인쇄하는 경우에는, 인쇄용 패드 (10) 를 인쇄 장치 (100) 에 복수 설치해도 된다.
(잉크 재치 공정)
잉크 재치 공정 (S1) 은, 잉크 재치 장치 (63) 에 의해 잉크 (40) 를 인쇄 원판 (50) 에 재치하는 공정이다. 잉크 재치 장치 (63) 는, 잉크 유지부 (64) 를 인쇄 원판 (50) 의 재치면 (51) 에 접촉시키고, 재치면 (51) 상에 잉크 유지부 (64) 를 전동시킨다. 잉크 유지부 (64) 에 흡수되어 있는 잉크 (40) 는, 재치면 (51) 에 형성된 친잉크 영역 (58) 에만 재치된다. 잉크 (40) 가 흡수되어 있는 잉크 유지부 (64) 는, 소잉크 영역 (57) 에도 접촉한다. 그러나, 소잉크 영역 (57) 은, 잉크 (40) 를 튕기기 때문에, 잉크 (40) 가 재치되지 않는다. 잉크 (40) 는, 소잉크 영역 (57) 에서 튕겨지도록 하기 위해서, 단단하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잉크 (40) 의 점도는, 700 ∼ 1200 P (Poise) 의 범위로 설정되면 된다. 제어 장치 (20) 의 잉크 재치부 (25) 는, 잉크 재치 장치 (63) 의 동작을 제어하여,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 원판 (50) 에 가압되기 전에 잉크 (40) 를 인쇄 원판 (50) 에 재치한다.
(잉크 전사 공정)
잉크 전사 공정 (S2) 에 있어서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은, 인쇄 원판 (50) 의 재치면 (51) 에 가압된다.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은, 인쇄 원판 (50) 의 친잉크 영역 (58) 에 재치된 잉크 (40) 에 접촉한다. 그 후, 인쇄용 패드 (10) 는, 상방으로 이동하고, 인쇄면 (4) 이 인쇄 원판 (50) 의 재치면 (51) 으로부터 이탈한다. 인쇄면 (4) 에 접촉한 잉크 (40) 는, 그대로 인쇄면 (4) 으로 이동한다. 인쇄 원판 (50) 의 재치면 (51) 에 배치된 친잉크 영역 (58) 에 따라, 잉크 (40) 는 인쇄면 (4) 에 배치되게 된다.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 원판 (50) 에의 가압도 패드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다.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은, 활성화 공정 (SP1, 또는 S6) 에 의해, 물 또는 용제가 부착 또는 스며들어 있어, 잉크 (40) 가 부착되기 쉽게 되어 있다. 특히, 정밀도가 높은 인쇄 화상을 얻기 위해서는, 인쇄면 (4) 에 전사되는 잉크 (40) 의 도트 1 개당의 크기를 작게 하고, 이웃하는 잉크 (40) 끼리의 간격도 좁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잉크 (40) 는, 점도가 높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에 서술한 바와 같이, 잉크 (40) 의 점도는, 700 P ∼ 1200 P 의 범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 장치 (100) 에 의하면,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은, 활성화 장치 (61) 에 의해 활성화되어 있고, 잉크 (40) 의 점도가 높아도 잉크 (40) 가 부착되기 쉽게 되어 있다.
(송풍 공정)
송풍 공정 (S3) 에 있어서는, 인쇄용 패드 (10) 는, 송풍기 (66) 로부터 보내지는 공기가 인쇄면 (4) 에 닿는 위치로 이동되어 있다. 인쇄용 패드 (10) 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한 시점에서, 송풍기 (66) 의 운전이 개시되고, 인쇄면 (4) 에 공기가 분사된다. 인쇄면 (4) 에 공기가 분사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어 장치 (20) 의 송풍부 (22) 는, 송풍기 (66) 의 운전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해도 되고, 정지하고 있던 인쇄용 패드 (10) 의 이동을 개시하도록 제어를 실시해도 된다. 송풍기 (66) 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는, 예를 들어 40 ∼ 80 ℃ 로 제어되고 있다.
또, 송풍 공정 (S3)에 있어서는, 인쇄용 패드 (10) 에 공기를 분사하는 시간을 실내 환경의 온도에 의해 제어해도 된다. 송풍부 (22) 는, 온도 센서 (28) 로부터 실온의 정보를 수취하고, 실온에 따라 설정된 길이의 시간만큼 공기를 분사하는 운전을 실시하도록 송풍기 (66) 의 운전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실온이 높으면 분사 시간을 짧게 하는 등의 제어를 실시한다.
또, 송풍기 (66) 에 내장된 히터 (67) 의 출력을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 (26) 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송풍부 (22) 는, 공기를 분사하는 시간의 길이를 조절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송풍부 (22) 는, 온도 센서 (68) 에 의해 온도가 측정된 송풍기 (66) 로부터 분출되는 공기의 온도의 정보에 근거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양을 제어한다.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인쇄면 (4) 의 잉크 (40) 의 점도는, 예를 들어 900 P 이상 1100 P 이하의 범위로 조정되면 된다. 단, 잉크의 점도는, 상기에 설명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쇄 공정)
인쇄 공정 (S4) 에 있어서는, 잉크 (40) 가 부착된 상태의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은, 인쇄물 (70) 에 가압된다.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는, 평면에도 인쇄할 수 있지만, 도 3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인쇄물 (70) 의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도 인쇄할 수 있다. 인쇄물 (70) 의 피인쇄면 (71) 은, 평면이다. 그러나, 피인쇄면 (72) 은, 곡면으로 구성되고, 피인쇄면 (73) 은, 평면이지만, 인쇄용 패드 (10) 가 이동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쇄 공정 (S4) 에 있어서는, 잉크 (40) 가 부착된 인쇄면 (4) 을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밀착하도록 인쇄용 패드 (10) 를 인쇄 스테이지 (87) 측을 향해 가압한다. 인쇄면 (4) 에 부착되어 있던 잉크 (40) 는,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접촉하고, 전사된다. 인쇄 공정에 있어서의 인쇄용 패드 (10) 의 이동도 패드 제어부 (21) 에 의해 제어된다.
인쇄물 (70) 은, 인쇄 스테이지 (87) 상에 있어서, 위치 결정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인쇄용 패드 (10) 와 피인쇄면 (71, 72, 및 73) 의 위치 관계가 정해져,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양호한 정밀도로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클리닝 공정)
클리닝 공정 (S5) 에서는,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잉크 (40) 를 전사한 후의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을, 클리닝 장치 (60) 의 평탄한 클리닝면에 가압한다. 인쇄용 패드 (10) 에 잔존하는 잉크 (40) 를, 클리닝면에 부착시킨다. 클리닝면은 종이 또는 점착 테이프로 구성되지만, 이들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활성화 공정, 에어 블로우 공정, 흡수 공정)
활성화 공정 (S6) 은, 개시 공정에 있어서의 활성화 공정 (SP1) 과 동일한 내용의 공정이다. 에어 블로우 공정 (S8) 은, 개시 공정에 있어서의 에어 블로우 공정 (SP3) 과 동일한 내용의 공정이다. 흡수 공정 (S10) 도, 개시 공정에 있어서의 흡수 공정 (SP5) 과 동일한 내용의 공정이다. 에어 블로우 공정 (S6) 및 흡수 공정 (S10) 은,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부착되어 있는 물 또는 용제 등의 액체의 양에 따라 실시되고, 일방을 생략해도 되고, 적어도 일방을 복수회 실시해도 된다. 에어 블로우 공정 (S8) 및 흡수 공정 (S10) 은, 각각의 공정 전에 있어서,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의 상태를 확인 (S7 및 S9) 한 후에, 인쇄면 (4) 의 활성화 상태에 따라 실시되는 것이다.
S7 또는 S9 에 있어서, 인쇄면 (4) 의 상태가 잉크 (40) 를 전사하는데 적정한 상태라고 판단된 후, 다음의 인쇄물 (70) 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플로는 재차 S1 로 돌아가고, 인쇄물 (70) 의 제조를 종료하는 경우에는, 플로는 종료한다 (S11). 이상과 같이, 인쇄 장치 (100) 는, 기동 시에 개시 공정을 실시하고, 그 후에는 반복하여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다수의 인쇄물 (70) 에 대해 인쇄를 실시하는 것이다.
인쇄 원판 (50) 이 예를 들어 복수의 단색용 인쇄 원판 (50) 에 의해 구성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단색용 인쇄 원판 (50) 의 각각에 대응한 복수의 인쇄 장치 (100) 를 사용하여 인쇄를 실시해도 된다. 예를 들어, 1 개의 인쇄 장치 (100) 는, 단색용 인쇄 원판 (50) 을 구비하고 있고, 인쇄물 (70) 에 대해 마젠타의 잉크만을 사용하여 인쇄한다. 그 후, 인쇄물 (70) 은, 단색용 인쇄 원판 (50) 을 구비하는 다른 인쇄 장치 (100) 에 있어서, 시안의 잉크만을 사용하여 인쇄된다. 이것을, 복수의 단색용 인쇄 원판 (50) 의 수량만큼 반복하여 인쇄를 실시할 수 있다.
인쇄 장치 (100) 가 복수의 단색용 인쇄 원판 (50) 에 대응하여 복수의 인쇄 원판 스테이지 (85) 및 복수의 잉크 재치 장치 (63) 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인쇄 장치 (100) 는, 1 개의 인쇄물 (70) 에 대해, 적어도 잉크 재치 공정, 잉크 전사 공정, 및 인쇄 공정을 복수의 단색용 인쇄 원판 (50) 의 수량과 동일한 횟수만큼 반복한다. 또, 인쇄 장치 (100) 는, 클리닝 공정, 활성화 공정, 에어 블로우 공정, 및 흡수 공정 중 적어도 1 개를 복수의 단색용 인쇄 원판 (50) 의 수량과 동일한 횟수만큼 반복해도 된다.
이상에 있어서, 인쇄 장치 (100) 에 의한 인쇄물 (70) 의 제조 방법을 설명했지만, 제조 방법은, 상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각 공정을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의 효과)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는, 표면에 위치하고, 잉크가 놓인 인쇄 원판 및 인쇄하는 대상인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가압되는 인쇄면 (4) 과, 내부에 배치된 내부층 (1) 과, 내부층 (1) 의 인쇄면 (4) 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표면에 접해 형성되어 있는 외부층 (2) 을 구비하고, 외부층 (2) 은,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가압되었을 때에 인쇄면 (4) 이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추종하여 밀착하도록 구성되고, 내부층 (1) 은,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인쇄용 패드 (10) 는, 내부층 (1) 이 공동을 갖기 때문에,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인쇄용 패드 (10) 는, 외부층 (2) 이 변형되어 인쇄물 (70) 의 피인쇄면 (71, 72 및 73) 의 형상에 추종하여 변형시켜 요철이 있는 인쇄물 (70) 에 인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경량화를 도모하면서, 복잡한 피인쇄면을 구비하는 인쇄물 (70) 에 인쇄가 가능해진다. 또, 인쇄용 패드 (10) 는, 내부층 (1) 의 분만큼 외부층 (2) 을 구성하는 탄성 재료를 삭감할 수 있다.
또, 내부층 (1) 및 외부층 (2) 은, 인쇄면 (4) 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 (端部) 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각각 지지 부재 (7) 에 고정되어 있다. 이로써, 인쇄 장치 (100) 는, 지지 부재 (7) 및 내부층 (1) 을 개재하여 외부층 (2) 에 하중을 가하여 변형시키기 때문에, 피인쇄면 (72 및 73) 과 같이 경사진 면에 대해서도 인쇄면 (4) 을 추종하도록 외부층 (2) 을 변형시킬 수 있다.
만일, 인쇄용 패드 (10) 의 내부층 (1) 이 없는 구성으로 인쇄한 경우, 요컨대 내부층 (1) 이 들어가 있는 부분에 공간이 있는 인쇄용 패드 (10) 로 인쇄한 경우, 외부층 (2) 은, 수평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변형되어, 피인쇄면 (73) 까지 인쇄면 (4) 이 밀착되지 않는다. 또, 외부층 (2) 은, 내부층 (1) 이 본래 있어야 하는 공간을 작게 하는 방향으로도 변형될 수 있기 때문에, 인쇄면 (4) 중 정점 (6) 으로부터 떨어진 주변부를 인쇄 스테이지 (87) 의 상면을 향해 압입하기 어렵다. 그러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에 있어서는, 내부층 (1) 이 변형되기 어려운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층 (2) 은, 내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외부층 (2) 은 내부층 (1) 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층 (2) 이 외측으로 팽창하도록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인쇄면 (4) 이 피인쇄면 (72 및 73) 에도 추종하기 쉽다.
인쇄용 패드 (10) 의 내부층 (1) 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발포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내부층 (1) 은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물 (70) 에 가압되어도, 변형이 억제되어, 인쇄 장치 (100) 로부터의 하중이 외부층 (2) 으로 전달되기 쉽다. 또, 내부층 (1) 은, 외부층 (2) 과 비교하여 강성이 높기 때문에, 외부층 (2) 만을 효율적으로 변형시키면서, 인쇄용 패드 (10) 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외부층 (2) 은, 예를 들어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무겁고, 재료비도 비교적 높지만, 내부층 (1) 의 체적분만큼 실리콘 고무를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인쇄용 패드 (10) 전체적으로 중량을 삭감하고, 비용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내부층 (1) 의 공동을 포함한 체적은, 외부층 (2) 및 공동을 포함한 내부층 (1) 을 합친 체적의 30 % 이하이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외부층 (2) 은, 복잡한 요철 형상이 있어도 인쇄물 (70) 에 추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물 (70) 의 볼록부의 치수 H 에 따라 인쇄용 패드 (10) 의 높이 치수를 결정함으로써, 내부층 (1) 의 체적이 30 % 이면, 인쇄용 패드 (10) 의 두께의 약 절반이 외부층 (2) 이 되기 때문에, 인쇄면 (4) 은 피인쇄면 (72 및 73) 에 추종할 수 있다. 또, 내부층 (1) 및 외부층 (2) 의 인쇄면 (4) 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표면은, 형상이 상사이기 때문에, 외부층 (2) 은, 인쇄면 (4) 을 따라 두께가 균일해져, 변형에 불균일이 없고, 피인쇄면 (72 및 73) 에도 추종하기 쉽다. 단, 내부층 (1) 의 형상은, 외부층 (2) 의 표면 형상에 상사인 것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는, 인쇄면 (4) 을 갖는 인쇄용 패드 (10) 와, 잉크 (40) 가 재치되는 재치면 (51) 에 잉크 (40) 를 수용하지 않는 소잉크 영역 (57) 및 잉크 (40) 를 수용하는 친잉크 영역 (58) 을 갖는 인쇄 원판 (50) 을 재치하는 인쇄 원판 스테이지 (85) 와, 인쇄물 (70) 을 재치하기 위한 인쇄 스테이지 (87) 와,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을 향하여 공기를 보내는 송풍기 (66) 를 구비한다.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 원판 스테이지 (85) 와 인쇄 스테이지 (87)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인쇄 원판 스테이지 (85) 또는 인쇄 스테이지 (87) 에 대해 상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 (66) 는, 인쇄 원판 (50) 의 재치면 (51) 상의 잉크 (40) 가 인쇄면 (4) 에 전사된 상태의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을 향하여 공기를 보낸다.
이상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인쇄 장치 (100) 는, 인쇄물 (70) 에 잉크 (40) 를 전사시키기 직전에,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부착되어 있거나 또는 스며들어 있는 액체를 증발시킬 수 있다. 이로써, 활성화 공정에 있어서 물 또는 용제 등의 액체가 부착되어 잉크 (40) 가 비교적 부착되기 쉬운 상태였던 인쇄면 (4) 은, 인쇄물 (70) 에 가압하기 직전에 잉크 (40) 와의 친화성이 억제된다. 그 때문에, 피인쇄면 (71, 72 및 73) 과 인쇄면 (4) 간에 미끄러짐이 발생한 경우여도, 잉크 (40) 는, 인쇄면 (4) 과 부착되기 어려운 상태로 되어 있어,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부착된 후에 변형 또는 이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러짐이란,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인쇄면 (4) 을 가압한 상태에서 인쇄면 (4) 이 피인쇄면 (71, 72 및 73) 을 따른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0 은, 도 4 의 인쇄면 (4) 과 피인쇄면 (71, 72, 및 73) 의 접촉부의 확대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피인쇄면 (73) 에 전사되는 잉크 (40f 또는 40g) 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 및 도 11 에 있어서 인쇄용 패드 (10) 의 각 부 및 잉크 (40a ∼ 40g) 의 변형은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는 것이며, 인쇄용 패드 (10) 의 구조, 재질 및 인쇄 장치 (100) 의 구성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11 에 있어서, 좌측의 도면은,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물 (70) 에 가압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40) 를 나타내고 있다. 도 11 에 있어서, 우측의 도면은, 인쇄물 (70) 의 표면에 잉크 (40f 또는 40g) 가 전사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는, 피인쇄면 (72 및 73) 과 같이, 곡면 또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진 면에 잉크 (40) 를 전사하는 경우가 있다.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는, 인쇄 원판 (50) 으로부터 전사된 잉크 (40a ∼ 40g) 가 얹혀 있다. 잉크 (40a ∼ 40d) 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이동 방향에 대해 수직인 피인쇄면 (71) 에 전사된다. 잉크 (40e) 는, 곡면인 피인쇄면 (71) 에 전사된다. 잉크 (40f 및 40g) 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이동 방향에 수직인 면에 대해 경사진 면인 피인쇄면 (73) 에 전사된다. 또한, 인쇄물 (70) 의 피인쇄면 (71, 72, 및 73) 은 일례이며, 인쇄물 (70) 은, 다른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인쇄용 패드 (10) 는, 요철 형상을 갖는 피인쇄면 (72 및 73) 에도 인쇄면 (4) 이 추종하도록 변형된다. 이때, 인쇄면 (4) 은, 피인쇄면 (72 및 73) 을 따른 방향으로 미소하게 변위한다. 따라서,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면 (4) 과 피인쇄면 (73) 의 양방에 접촉한 잉크 (40f 및 40g) 는, 인쇄면 (4) 의 변형 ε1 에 따라 피인쇄면 (73) 을 따른 방향으로 미끄러지면서 전사된다. 잉크 (40) 와 피인쇄면 (73) 은, 인쇄면 (4) 과 피인쇄면 (73) 이 거리 L1 떨어진 상태에서 접촉한다. 인쇄면 (4) 은,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물 (70) 에 가압되어 눌리는 동안, 계속 변형된다. 따라서, 잉크 (40f 및 40g) 는, 피인쇄면 (73) 과 접촉하고 나서 인쇄용 패드 (10) 가 다 변형될 때까지의 기간, 인쇄면 (4) 과 피인쇄면 (73) 사이에서 변형되기 때문에, 당초의 폭 d1 이었던 잉크 (40f 및 40g) 가 폭 d2 가 되어 피인쇄면 (73) 에 전사된다. 이때, 잉크 (40f 및 40g) 는, 잉크 (40f 및 40g) 가 피인쇄면 (73) 에 접촉하고 나서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이 종료될 때까지의 변형 ε1 에 의해, d2 = d1·ε1 이 된다. 여기서, ε1 > 1 이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잉크 (40f 및 40g) 의 변형은,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량이 큰 경우에는, 잉크 (40a ∼ 40f) 의 어느 것에도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잉크 (40a ∼ 40f) 는, 일괄하여 잉크 (40) 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인쇄면 (4) 의 표면에 송풍이 실시됨으로써, 잉크 (40) 가 경화되어, 인쇄면 (4) 과 잉크 (40) 의 친화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도 11 의 좌측의 도면에 있어서, 인쇄면 (4) 이 피인쇄면 (73) 을 따른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변형되어도, 잉크 (40) 는 경화하고 있기 때문에 눌림 및 미끄러짐이 억제되어, 인쇄면 (4) 의 변형의 영향을 받기 어렵다. 그 때문에, 도 11 의 우측의 도면에 나타내는 d2 는, 작게 억제된다. 요컨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에 의한 인쇄에 의하면,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 ε1 이 있어도, 도 11 의 d1 과 d2 의 차는 작게 억제된다. 또, 도 11 에 있어서는, 우측의 도면에 있어서 잉크 (40) 의 형상이 삼각형으로 변형되어 있지만,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에 의한 인쇄에 의하면, 잉크 (40) 가 피인쇄면 (73) 에 전사되기 전에 경화하고 있기 때문에, 잉크 (40) 의 변형도 억제된다.
요컨대, 인쇄물 (70) 은,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용 패드 (10) 가 가압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피인쇄면 (72 및 73) 을 구비하고, 피인쇄면 (72 및 73) 에도 인쇄면 (4) 을 가압하여 잉크 (40) 의 전사가 실시된다. 이때, 인쇄용 패드 (10) 는, 피인쇄면 (72 및 73) 을 따라 변형되고, 피인쇄면 (72, 73) 및 인쇄 스테이지 (87) 의 상면에 밀착하는 정도까지 가압된다. 인쇄용 패드 (10) 는, 변형되기 쉬운 재료로 구성되고, 예를 들어 실리콘 고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인쇄물 (70) 의 요철 형상이 큰 경우나 형상이 복잡한 경우에 있어서는, 인쇄 원판 (50) 에 가압하였을 때보다 인쇄물 (70) 에 가압하였을 때가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량이 크고, 인쇄면 (4) 에 신장 또는 압축되는 부분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피인쇄면 (71, 72 또는 73) 과 인쇄면 (4)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긴다.
또, 활성화 공정 직후에 있어서는, 인쇄면 (4) 은 액체가 부착 또는 스며들어 있어, 잉크 (40) 와의 친화성이 높은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인쇄면 (4) 은, 인쇄 원판 (50) 으로부터 잉크 (40) 가 부착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인쇄면 (4) 에 잉크 (40) 가 부착되기 쉬운 상태인 채, 인쇄면 (4) 을 인쇄물 (70) 에 가압한 경우, 잉크 (40) 는, 피인쇄면 (71, 72 또는 73) 에 부착되고, 또한 인쇄면 (4) 에도 잉크 (40) 가 비교적 부착되기 쉬운 상태이다. 그 때문에, 잉크 (40) 가 인쇄면 (4) 및 인쇄물 (70) 의 양방에 맞닿은 상태가 되면, 인쇄면 (4) 이 인쇄물 (70) 에 부착된 잉크 (40) 를 변형 또는 이동시켜 버린다. 특히 인쇄면 (4) 과 인쇄물 (70) 의 표면의 미끄러짐이 비교적 생기기 쉬운 피인쇄면 (72 및 73) 은, 도 11 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사된 잉크 (40) 가 인쇄물 (70) 의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또는 인쇄면 (4) 은, 당초에 잉크 (40) 가 인쇄물 (70) 의 표면에 접촉한 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경우도 있다. 그러면, 잉크 (40) 는, 인쇄물 (70) 의 표면에 있어서 상정한 위치 및 형상으로 배치되지 않는 경우가 생겨, 인쇄 화상의 정밀도가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상기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에 의하면, 인쇄면 (4) 을 인쇄물 (70) 에 가압하기 전에, 인쇄면 (4) 에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잉크 (40) 는 경화하여 눌림 및 미끄러지기 어렵게 되어, 인쇄면 (4) 과 잉크 (40) 의 친화성을 저하시킨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인쇄면 (4) 을 인쇄물 (70) 에 가압했을 때에 인쇄면 (4) 으로부터 잉크 (40) 가 떨어지기 쉬워, 인쇄면 (4) 과 피인쇄면 (71, 72 및 73) 의 미끄러짐이 발생해도, 잉크 (40) 는 인쇄면 (4) 의 미끄러짐에 의한 이동에 끌려 변형 또는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요컨대, 잉크 (40) 는, 경화하여 눌리기 어렵고 또한 미끄러지기 어렵기 때문에, 피인쇄면 (71, 72 또는 73) 에 맞닿은 시점에서, 인쇄면 (4) 이 미끄러져도 부착한 위치에 머무른다. 잉크 (40) 는 단단해져 있고, 인쇄면 (4) 과는 서로 친화성이 낮기 때문에, 잉크 (40) 가 피인쇄면 (71, 72 또는 73) 에 부착되면, 인쇄면 (4) 이 미끄러짐에 의해 이동해도, 잉크 (40) 는 인쇄면 (4) 의 표면을 미끄러지기 때문에 부착한 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 인쇄면 (4) 에 공기가 분사되었을 때에, 잉크 (40) 에 스며든 물 또는 용제가 증발하여, 점도가 상승한다. 요컨대, 인쇄면 (4) 에 부착된 채로 잉크 (40) 가 비교적 단단해진다. 이로써, 인쇄면 (4) 으로부터 피인쇄면 (71, 72 및 73) 으로 전사되는 시점에 있어서는, 잉크 (40) 가 비교적 단단해져 있기 때문에, 인쇄면 (4) 의 미끄러짐에 의해 잉크 (40) 가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인쇄 장치 (100) 에 의하면, 잉크 (40) 가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맞닿은 후에 인쇄면 (4) 이 피인쇄면 (71, 72 및 73) 을 따라 변위했을 때의 잉크 (40) 의 변형 및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1 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잉크 (40) 는 작은 편이 보다 변형 및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 장치 (100) 는, 상기에서 설명한 인쇄용 패드 (10), 인쇄 원판 (50) 및 송풍기 (66) 에 의한 송풍을 병용함으로써, 보다 정밀도가 높은 인쇄가 가능해진다.
도 12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에 의한 인쇄물 (70) 의 제조 방법의 플로 차트 중,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 원판 (50) 으로부터 잉크 (40) 를 수취하고, 인쇄물 (70) 에 가압될 때까지의 플로 차트의 변형예이다.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 원판 (50) 에 가압된 후에 인쇄물 (70) 이 재치되고 있는 인쇄 스테이지 (87) 로 이동하여 인쇄물 (70) 에 가압된다. 인쇄용 패드 (10) 는, 그 사이에 인쇄면 (4) 에 송풍기 (66 및 66A) 로부터의 공기가 분사되고, 계속해서 인쇄물 (70) 에 인쇄면 (4) 이 가압된다. 도 10 에 있어서는, 그때의 인쇄용 패드 (10) 의 이동에 관한 제어 플로의 상세를 나타내고 있다.
(잉크 전사 공정)
잉크 전사 공정 (S2) 에 있어서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은, 인쇄 원판 (50) 의 재치면 (51) 에 가압된다. 다음으로,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 원판 (50) 으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된다 (S2-2). 그리고,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 원판 스테이지 (85) 로부터 인쇄 스테이지 (87) 의 상방으로 이동된다 (S2-3). 이상의 공정은, 기본적으로 실시형태 1 과 동일하다.
(인쇄 공정)
인쇄 스테이지 (87) 의 상방으로 이동한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 스테이지 (87) 상에 재치된 인쇄물 (70) 을 향해 제 1 속도로 이동한다. 제 1 속도는, 인쇄 공정에 걸리는 시간을 가능한 한 적게 하도록 고려하여 설정된 것이다 (S2-4). 패드 제어부 (21) 는, 크기 및 경도 등의 인쇄용 패드 (10) 의 사양에 따라 인쇄용 패드 (10) 의 속도를 제어한다.
제 1 속도로 이동하고 있는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물 (70) 로부터 떨어진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된다 (S2-5). 이 공정은, 다음의 송풍 공정 (S3) 을 위해서 인쇄용 패드 (10) 를 정지시키고, 인쇄면 (4) 에 송풍기 (66) 의 공기가 닿도록 함과 함께, 부드러운 재료로 구성된 인쇄용 패드 (10) 가 제 1 속도로 이동함으로써 진동한 것을 억제하기 위한 공정이다. 패드 제어부 (21) 는, 인쇄용 패드 (10) 의 크기, 경도, 제 1 속도의 설정, 및 인쇄 등의 정보에 근거하여, 인쇄용 패드 (10) 의 정지시키는 시간을 제어한다.
인쇄용 패드 (10) 가 정지한 후, 또는 정지함과 동시에, 송풍기 (66) 는,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에 송풍을 실시한다 (S3). 이 공정은, 실시형태 1 과 동일하다.
다음으로, 인쇄용 패드 (10) 는, 제 2 속도로 이동된다 (S3-2). 패드 제어부 (21) 는, 송풍이 완료한 시점에서, 인쇄물 (70) 이 재치되어 있는 인쇄 스테이지 (87) 를 향해 인쇄용 패드 (10) 를 이동시킨다. 제 2 속도는, 제 1 속도보다 낮게 설정한다. 또, 패드 제어부 (21) 는, 인쇄용 패드 (10) 를 제 2 속도에 도달할 때까지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 패드 제어부 (21) 는, 예를 들어 인쇄용 패드 (10) 의 진동을 검출하는 가속도 센서 (69) (도 8 참조) 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진동에 의한 가속도가 소정 이하가 된 시점에서 인쇄용 패드 (10) 의 이동을 개시하도록 제어해도 된다. 또한, 인쇄용 패드 (10) 의 이동 개시는, 작업자의 지시에 의해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2 속도로 이동하는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물 (70) 의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가압된다. 패드 제어부 (21) 는, 제 2 속도를 유지한 채로, 인쇄용 패드 (10) 를 인쇄물 (70) 에 가압하여도 되고, 더욱 느린 속도로 떨어뜨려도 된다.
이상의 변형예에 관련된 공정에 의하면, 인쇄 장치 (100) 는, 인쇄용 패드 (10) 를 인쇄 스테이지 (87) 에 재치된 인쇄물 (70) 을 향해 이동시킬 때에, 인쇄용 패드를 제 1 속도로의 이동 상태 및 정지 상태 중 적어도 2 개의 상태로 제어 가능한 패드 제어부 (21) 를 구비한다. 정지 상태는, 적어도 인쇄용 패드 (10) 가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맞닿기 전에 실시된다. 그리고, 정지 상태로부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인쇄용 패드 (10) 를 향해 움직인다. 이로써, 인쇄용 패드 (10) 는, 송풍기 (66) 에 의한 송풍 중에 정지되어 진동이 억제되기 때문에, 잉크 (40) 를 인쇄물 (70) 에 전사할 때의 인쇄 화상의 정밀도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물 (70) 에 가압되기 직전에 제 1 속도보다 낮은 제 2 속도로 이동하도록 제어되고, 인쇄물 (70) 가압되므로, 제 2 속도로의 이동에 의해 인쇄용 패드 (10) 의 진동이 억제되어, 인쇄 화상의 정밀도의 악화가 억제된다. 또, 비교적 느린 속도로 인쇄용 패드 (10) 가 변형되기 때문에, 인쇄면 (4) 의 갑작스러운 변형이 억제된다.
또, 인쇄용 패드 (10) 의 진동을 억제하기 위한 정지 시간 동안에 송풍기 (66) 에 의한 송풍이 실시되므로, 잉크 (40) 의 변형 및 이동의 영향을 억제하면서 인쇄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인쇄용 패드 (10) 의 이동 제어의 변형예)
도 12 에 있어서는, 인쇄용 패드 (10) 가 정지한 후, 또는 정지함과 동시에 송풍기 (66) 가 송풍을 실시하고 있지만, 정지하기 전에 송풍을 실시해도 된다. 요컨대, 도 12 에 나타내는 플로에 있어서 스텝 S3 은, 스텝 S2-3 의 직전 또는 스텝 S2-4 의 직전에 위치해도 된다. 송풍기 (66) 는,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 스테이지 (87) 의 상방에 오기 직전부터 송풍을 개시해도 되고,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 스테이지 (87) 의 상방에 오는 것과 동시에 또는 온 직후에, 송풍을 개시해도 된다. 이동하면서 송풍함으로써, 인쇄용 패드 (10) 의 정지 시간을 생략하여, 인쇄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도 12 에 나타내는 플로에 있어서, 스텝 S2-5 의 인쇄용 패드 (10) 의 정지를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속도 또는 제 2 속도를 동일하게 하고, 인쇄용 패드 (10) 가 이동하고 있는 일부의 시간 또는 모든 시간에 있어서, 송풍기 (66) 는, 인쇄면 (4) 에 대해 송풍을 실시해도 된다.
인쇄 장치 (100) 는,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 원판 스테이지 (85) 로부터 인쇄 스테이지 (87) 로 이동하는 도중에 인쇄면 (4) 에의 송풍을 실시하는 송풍기 (66A) 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송풍기 (66A) 는, 인쇄 원판 스테이지 (85), 표면 처리 스테이지 (86) 및 인쇄 스테이지 (87) 로부터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송풍기 (66A) 는, 인쇄용 패드 (10) 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인쇄 원판 스테이지 (85) 로부터 인쇄 스테이지 (87) 로의 이동 중에 인쇄면 (4) 에 대한 송풍이 가능해져, 인쇄에 걸리는 시간의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예)
도 15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인쇄용 패드 (10) 를 인쇄물 (70) 에 가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인쇄용 패드 (10) 의 내부층 (1) 은,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외부층 (2) 의 표면과 상사의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층 (1) 의 외면 (1d) 은, 인쇄물 (70) 의 형상에 따라 외부층 (2) 의 표면과 상이한 형상이어도 된다.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인쇄용 패드 (10) 는, 내부층 (1) 의 표면이 인쇄물 (70) 에 형성된 돌기 (70A) 에 맞추어 오목부 (1f) 를 가지고 있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면 (1d) 은,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물 (70) 에 가압된 상태를 상정하여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요컨대, 내부층 (1) 의 외면 (1d) 은, 외부층 (2) 의 표면이 인쇄물 (70) 에 가압된 상태의 형상에 근사한 형상이면 된다. 더 바꾸어 말하면, 내부층 (1) 의 외면 (1d) 은, 인쇄물 (70) 의 피인쇄면 (71) 에 형성된 돌기 (70A) 에 대응하는 오목부 (1f) 를 구비한다. 요컨대, 내부층 (1) 은, 표면 형상이, 인쇄면 (4) 이 피인쇄면 (71) 에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의 외부층 (2) 의 표면 형상과 근사하고 있다. 그리고, 내부층 (1) 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1f) 는, 피인쇄면 (71) 에 가압된 상태의 외부층 (2) 의 표면 형상인 오목 형상 (2f) 과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변형예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는, 인쇄면 (4) 이 인쇄물 (70) 에 가압된 상태에서, 돌기 (70A) 와 오목부 (1f) 가 인쇄용 패드 (10) 의 가압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외부층 (2) 이 변형된 상태에서, 외부층 (2) 의 표면과 내부층 (1) 에 접하고 있는 면이 대략 상사의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로써 인쇄용 패드 (10) 로부터 인쇄물 (70) 에 가해지는 하중이 피인쇄면 (71) 의 각 부에 있어서 평균화된다.
도 17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인쇄용 패드 (10) 의 내부층 (1) 은, 외부층 (2) 의 표면과 상사 형상이 아니고, 가압 방향으로 긴 형상이어도 된다. 요컨대, 외부층 (2) 의 두께가, 인쇄용 패드 (10) 의 정점 (6) 에 있어서 가장 얇고, 주변부 (지지 부재 (7) 측) 를 향함에 따라 두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외부층 (2) 은, 정점 (6) 의 주변에 있어서 변형량이 작고, 주변부로 갈수록 변형량이 커진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 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의 내부층 (1) 을 변경한 것이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 에 대한 변경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의 각 부에 대해서는,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실시형태 1 의 설명에서 사용한 도면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인쇄용 패드 (10))
도 13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의 내부층 (1) 의 단품 사시도이다. 인쇄용 패드 (10) 의 내부층 (1) 은, 일방이 개방된 볼 (bowl) 상 또는 상자상 등의 공동을 갖는 구조여도 된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는, 일방의 단부 (1a) 는 개방되고, 외면 (1d) 이 도 13 의 하방, 즉 정점 (1b) 을 향해 볼록한 돔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면 (1d) 은, 외부층 (2) 의 표면과 형상이 상사로 형성되어 있다. 또, 내면 (1c) 도 단부 (1a) 로부터 하방을 향해 돔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면 (1c) 과 외면 (1d) 사이의 두께가 균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내면 (1c) 은, 상기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시형태 1 의 변형예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와 마찬가지로, 내면 (1c) 을 인쇄물 (70) 에 형성된 볼록 형상에 맞추어 형성해도 되고, 외부층 (2) 의 두께가 변화하도록 내면 (1c) 의 형상을 설정해도 된다. 또, 단부 (1a) 는, 인쇄용 패드 (10) 의 지지 부재 (7) 에 맞닿아 있다.
내부층 (1) 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인쇄용 패드 (10) 가 인쇄물 (70) 에 가압되었을 때에 거의 변형하지 않는 정도의 강성 및 강도를 갖는다. 내부층 (1) 을 구성하는 재질에 따라서는, 내면 (1c) 부터 외면 (1d) 까지의 두께를 설정하고, 필요에 따라 내부에 리브 (1e) 등을 형성함으로써, 강성 및 강도를 확보하면 된다. 도 13 에 있어서 리브 (1e) 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서 교차하고 있지만, 이 형태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내부층 (1) 은, 예를 들어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된 것이어도 된다.
또, 내부층 (1) 은, 도 13 의 볼상의 개방된 단부 (1a) 가 폐색된 구조여도 된다. 또한 내부층 (1) 은, 지지 부재 (7) 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도 14 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용 패드 (10) 는, 기재 (5) 의 표면을 덮는 보호 피막층 (3) 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보호 피막층 (3) 은, 인쇄용 패드 (10) 의 외측의 인쇄면 (4) 을 구성한다. 보호 피막층 (3) 은, 예를 들어 0.5 ㎜ 의 실리콘 고무의 시트를 외부층 (2) 의 표면에 첩부하여 구성된다. 보호 피막층 (3) 은, 내부의 부드러운 실리콘 고무에 포함된 실리콘 오일이 인쇄면 (4) 으로 스며나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보호 피막층 (3) 의 외측의 표면은, 인쇄면 (4) 을 구성하고, 인쇄 원판 (50) 및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반복 가압되기 때문에, 흠집, 마모에 대한 내구성이 필요로 된다. 그 때문에, 보호 피막층 (3) 은, 외부층 (2) 에 대해 경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하고, 또한, 인쇄면 (4) 이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가압되었을 때에 피인쇄면 (71, 72, 및 73) 에 추종하도록 얇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는, 보호 피막층 (3) 의 두께는, 가능한 범위에서 얇게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0.1 ㎜ ∼ 1 ㎜ 의 범위에서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보호 피막층 (3) 을 기재 (5) 에 첩부하는 공정에 있어서, 기재 (5) 의 표면을 따라 첩부되도록, 충분한 신축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쇄용 패드 (10) 는, 더욱 다층 구조로 형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3 에 나타나는 인쇄용 패드 (10) 의 외부층 (2) 을 더욱 경도가 상이한 재료로 다층 구조로 형성해도 된다.
보호 피막층 (3) 은, 기재 (5) 의 표면에 첩부되어 있지만, 흠집 또는 마모 등의 손상이 생긴 경우에, 기재 (5) 의 표면으로부터 벗기고, 새로운 것으로 교환할 수 있다. 보호 피막층 (3) 은, 얇은 시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예를 들어 반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기재 (5) 와 비교해 저렴하고, 교환에 의해 내부의 기재 (5) 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보호 피막층 (3) 을 갱신함으로써 고가의 기재 (5) 를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어, 인쇄용 패드 (10) 의 인쇄면 (4) 의 상태를 인쇄에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인쇄 장치 (100) 는, 인쇄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 ∼ 2 를 설명했지만, 각 실시형태는 일례이며, 각 실시형태 및 변형예끼리를 조합할 수도 있고, 또 다른 공지된 기술과 조합할 수도 있다. 또 본 개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일부를 생략 변경할 수도 있다. 또, 상기에 설명한 인쇄용 패드 (10) 는, 이하의 부기 1 ∼ 9 에 나타내는 각 특징의 조합도 포함할 수 있는 것이다. 그 조합에 대해 하기에 나타낸다.
[부기 1]
잉크가 놓인 인쇄 원판 (50) 및 인쇄하는 대상인 피인쇄면 (71) 에 가압되는 인쇄면 (4) 과,
내부에 배치된 내부층 (1) 과,
상기 내부층 (1) 의 상기 인쇄면 (4) 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표면에 접해 형성되어 있는 외부층 (2) 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층 (2) 은,
외측의 표면에 상기 인쇄면 (4) 을 갖고, 상기 피인쇄면 (71) 에 가압되었을 때에 상기 인쇄면 (4) 이 상기 피인쇄면 (71) 에 추종하여 밀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층 (1) 은,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용 패드 (10).
[부기 2]
상기 내부층 (1) 및 상기 외부층 (2) 은,
상기 인쇄면 (4) 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각각 지지 부재 (7) 에 고정되어 있는, 부기 1 에 기재된 인쇄용 패드 (10).
[부기 3]
상기 내부층 (1) 은,
플라스틱 발포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부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인쇄용 패드 (10).
[부기 4]
상기 내부층 (1) 은,
상기 인쇄면 (4) 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개구된 볼상의 부재인, 부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인쇄용 패드 (10).
[부기 5]
상기 내부층 (1) 의 상기 공동을 포함한 체적은,
상기 외부층 (2) 및 상기 공동을 포함한 상기 내부층 (1) 을 합친 체적의 40 % 이하인, 부기 1 ∼ 4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인쇄용 패드 (10).
[부기 6]
상기 내부층 (1) 및 상기 외부층 (2) 의 상기 인쇄면 (4) 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표면은,
형상이 상사인, 부기 1 ∼ 5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인쇄용 패드 (10).
[부기 7]
상기 내부층 (1) 은,
표면 형상이, 상기 인쇄면 (4) 이 상기 피인쇄면 (71) 에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외부층 (2) 의 표면 형상과 근사하고 있고,
상기 내부층 (1) 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 (1f) 는, 상기 피인쇄면 (71) 에 가압된 상태의 상기 외부층 (2) 의 표면 형상인 오목 형상과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부기 1 ∼ 5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인쇄용 패드 (10).
[부기 8]
상기 내부층 (1) 은,
가압 방향으로 긴 형상이며,
상기 외부층 (2) 의 두께는,
정점 (1b) 에 있어서 가장 얇고, 주변부를 향함에 따라 두꺼워지는, 부기 1 ∼ 5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인쇄용 패드 (10).
[부기 9]
상기 외부층 (2) 의 외측의 표면에 접해 형성된 보호 피막층 (3) 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보호 피막층 (3) 은,
상기 외부층 (2) 보다 아스카 C 경도가 높고,
상기 인쇄면 (4) 은,
상기 보호 피막층 (3) 의 외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부기 1 ∼ 8 중 어느 1 항에 기재된 인쇄용 패드 (10).
1 : 내부층
1a : 단부
1b : 정점
1c : 내면
1d : 외면
1e : 리브
1f : 오목부
2 : 외부층
2f : 오목 형상
3 : 보호 피막층
4 : 인쇄면
5 : 기재
6 : 정점
7 : 지지 부재
10 : 인쇄용 패드
11 : 상하 방향 이동 장치
12 : 수평 방향 이동 장치
13 : 평면
20 : 제어 장치
20a : 연산 장치
20b : 기억 장치
21 : 패드 제어부
22 : 송풍부
23 : 에어 블로우부
24 : 활성화부
25 : 잉크 재치부
26 : 온도 제어부
28 : 온도 센서
40 : 잉크
40a : 잉크
40b : 잉크
40c : 잉크
40d : 잉크
40e : 잉크
40f : 잉크
40g : 잉크
50 : (단색용) 인쇄 원판
51 : 재치면
52 : 표면층
53 : 지지체
54 : 오목부
55 : 저부
56 : 개구부
57 : 소잉크 영역
58 : 친잉크 영역
60 : 클리닝 장치
61 : 활성화 장치
62 : 에어 블로우 장치
63 : 잉크 재치 장치
64 : 잉크 유지부
65 : 회전축
66 : 송풍기
66a : 송풍구
66b : 유입구
67 : 히터
68 : 온도 센서
69 : 가속도 센서
70 : 인쇄물
70A : 돌기
71 : 피인쇄면
72 : 피인쇄면
73 : 피인쇄면
85 : 인쇄 원판 스테이지
86 : 표면 처리 스테이지
87 : 인쇄 스테이지
100 : 인쇄 장치

Claims (9)

  1. 잉크가 놓인 인쇄 원판 및 인쇄하는 대상인 피인쇄면에 가압되는 인쇄면과,
    내부에 배치된 내부층과,
    상기 내부층의 상기 인쇄면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표면에 접해 형성되어 있는 외부층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층은,
    외측의 표면에 상기 인쇄면을 갖고, 상기 피인쇄면에 가압했을 때에 상기 인쇄면이 상기 피인쇄면에 추종하여 밀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내부층은,
    내부에 공동이 형성되어 있는, 인쇄용 패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 및 상기 외부층은,
    상기 인쇄면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있어서 각각 지지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인쇄용 패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플라스틱 발포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인쇄용 패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상기 인쇄면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가 개구된 볼상의 부재인, 인쇄용 패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의 상기 공동을 포함한 체적은,
    상기 외부층 및 상기 공동을 포함한 상기 내부층을 합친 체적의 40 % 이하인, 인쇄용 패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 및 상기 외부층의 상기 인쇄면이 배치되어 있는 측의 표면은,
    형상이 상사인, 인쇄용 패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표면 형상이, 상기 인쇄면이 상기 피인쇄면에 가압된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외부층의 표면 형상과 근사하고 있고,
    상기 내부층의 표면에 형성된 오목부는, 상기 피인쇄면에 가압된 상태의 상기 외부층의 표면 형상인 오목 형상과 대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인쇄용 패드.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층은,
    가압 방향으로 긴 형상이며,
    상기 외부층의 두께는,
    정점에 있어서 가장 얇고, 주변부를 향함에 따라 두꺼워지는, 인쇄용 패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층의 외측의 표면에 접해 형성된 보호 피막층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보호 피막층은,
    상기 외부층보다 아스카 C 경도가 높고,
    상기 인쇄면은,
    상기 보호 피막층의 외측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인쇄용 패드.
KR1020227037429A 2022-04-28 2022-04-28 인쇄용 패드 KR202301541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22/019263 WO2023209941A1 (ja) 2022-04-28 2022-04-28 印刷用パッ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4135A true KR20230154135A (ko) 2023-11-07

Family

ID=88518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7429A KR20230154135A (ko) 2022-04-28 2022-04-28 인쇄용 패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54135A (ko)
CN (1) CN117320882A (ko)
WO (1) WO202320994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9375B2 (ja) 2016-05-17 2020-04-28 株式会社秀峰 印刷用ブランケッ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85140U (ko) * 1988-12-20 1990-07-03
US8151704B2 (en) * 2008-02-21 2012-04-10 Bridgestone Sports Co., Ltd Method for printing on spherical object and pad to be used therefor
US7870823B1 (en) * 2008-08-11 2011-01-18 Robert Cameron Multilayer print pad
JP6338260B2 (ja) * 2017-05-15 2018-06-06 菊池紙工株式会社 筆記具用のパッド印刷方法
JP7325599B2 (ja) * 2020-02-19 2023-08-14 株式会社秀峰 印刷装置、及び印刷物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89375B2 (ja) 2016-05-17 2020-04-28 株式会社秀峰 印刷用ブランケ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9941A1 (ja) 2023-11-02
CN117320882A (zh)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1751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H09300678A (ja) 記録装置
JP5154878B2 (ja) 液体除去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液体除去方法
JP2009034913A (ja) フレキソ印刷版およびその製造方法、薄膜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WO2008018530A1 (en) Production method and production device of cylindrical print substrate
JP4749063B2 (ja) レーザー彫刻用スリーブ印刷原版の製造方法及びレーザー彫刻用スリーブ印刷原版の製造装置
JP7325599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物の製造方法
KR20230154135A (ko) 인쇄용 패드
KR20230154136A (ko) 인쇄 장치, 및 인쇄물의 제조 방법
JP2017007330A (ja) 中間転写体、中間転写体の製造方法、画像形成方法
JP7297141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物の製造方法
WO2024018602A1 (ja) 印刷用治具、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EP2287003B1 (en) Dual imaging of erasable and non-erasable media
JP7172459B2 (ja) 記録媒体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200206728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042772A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ller stamp
JP7493704B2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EP4144535B1 (en) Printed material, printing apparatus, printing system, and printing method
KR20230002022A (ko) 인쇄 장치 및 인쇄 방법
JPH08142477A (ja) 孔版印刷装置
KR20160092359A (ko) 그라비어 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그라비어 인쇄장치
JP2002278340A (ja) オイル塗布装置、オイル塗布ローラ、および該オイル塗布ローラの製造方法
JP2000238426A (ja) 画像形成記録体
KR20150085454A (ko) 곡률 형상 유리판의 인쇄 장치 및 방법
JPH10333512A (ja) 被記録材の再生方法、装置、及び、シート材の仕上げ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