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51400A -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 Google Patents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51400A
KR20230151400A KR1020220051098A KR20220051098A KR20230151400A KR 20230151400 A KR20230151400 A KR 20230151400A KR 1020220051098 A KR1020220051098 A KR 1020220051098A KR 20220051098 A KR20220051098 A KR 20220051098A KR 20230151400 A KR20230151400 A KR 20230151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starch
quick
frying
ge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1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연
Original Assignee
이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연 filed Critical 이성연
Priority to KR1020220051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51400A/ko
Publication of KR20230151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14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L3/365Thawing subsequent to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튀김용 묵 제조방법은 전분 호화 장치를 이용해서 묵을 만들기 위해 도토리 전분, 메밀 전분, 녹두 전분, 동부 전분 중에서 1종으로 선택된 전분에 물을 부어 섞으면서 열을 가해 호화(gelatinization)시키는 전분 호화 단계; 상기 전분 호화 단계에서 호화된 재료를 젤화 장치를 이용해서 냉각시키면서 젤화(gel)시킴으로써 묵이 생성되게 하는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 상기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를 통해 겔화시켜 얻은 묵을 묵 절단 장치를 이용해서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묵 절단 단계; 절단된 단위 크기의 묵을 묵 급속냉동 장치를 이용해서 섭씨 ??30℃ 내지 ??60℃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는 묵 급속냉동 단계; 급속냉동된 묵을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를 이용해서 상온의 온도로 해동시키는 급속냉동 묵 해동 단계; 및 식품용 탈수 장치를 이용해서 해동된 묵에 잔존하는 물기를 빼는 물기 빼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Manufacturing method of muk for fritter, muk for fritter thereby the same, and fried muk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튀김용 묵을 제조하기 위한 일련의 기술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가질뿐더러 보기도 좋아서 식욕을 자극하는 묵튀김을 만들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기를 빼는 공정 시간을 종래보다 훨씬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묵은 도토리, 메밀 또는 녹두 등의 앙금을 풀처럼 쑤어 식혀서 굳힌 대한민국의 전통 음식으로서, 저칼로리 알칼리성 식품으로 단백질, 식물성 지방, 식이섬유, 비타민,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소가 풍부하고 소화율이 높은 장점이 있다.
한편, 묵은 양념장에 찍어 먹거나 채소와 함께 무쳐 먹기도 하는데, 묵을 튀겨서 튀김을 하면 색다른 맛을 즐길 수 있다.
한편, 묵은 수분이 많아서 그냥 튀기기가 곤란하므로 묵튀김을 할 때는 묵을 건조해서 튀김을 한다. 그러나, 묵을 건조하면 상당히 딱딱해지기 때문에 튀김을 하였을 때 식감이 좋지 않고, 또, 건조과정에서 묵이 뒤틀리는 등 묵의 형상이 변형되므로 보기에도 좋지 않다.
해서, 본 출원인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한 새로운 방식의 튀김용 묵 제조방법에 대해 출원해서 등록번호 제10-1835398호로 등록 받은 바 있다.
다만, 상기 문헌의 기술에 보면, 해동된 묵을 초음파로 진동시켜서 물기를 빼는 공정이 있는데, 이러한 공정을 토대로 물기를 빼도 좋기는 하나,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에서 보완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0790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175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가질뿐더러 보기도 좋아서 식욕을 자극하는 묵튀김을 만들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기를 빼는 공정 시간을 종래보다 훨씬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전분 호화 장치를 이용해서 묵을 만들기 위해 도토리 전분, 메밀 전분, 녹두 전분, 동부 전분 중에서 1종으로 선택된 전분에 물을 부어 섞으면서 열을 가해 호화(gelatinization)시키는 전분 호화 단계; 상기 전분 호화 단계에서 호화된 재료를 젤화 장치를 이용해서 냉각시키면서 젤화(gel)시킴으로써 묵이 생성되게 하는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 상기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를 통해 겔화시켜 얻은 묵을 묵 절단 장치를 이용해서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묵 절단 단계; 절단된 단위 크기의 묵을 묵 급속냉동 장치를 이용해서 섭씨 ??30℃ 내지 ??60℃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는 묵 급속냉동 단계; 급속냉동된 묵을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를 이용해서 상온의 온도로 해동시키는 급속냉동 묵 해동 단계; 및 식품용 탈수 장치를 이용해서 해동된 묵에 잔존하는 물기를 빼는 물기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전분 호화 장치를 이용해서 묵을 만들기 위해 도토리 전분, 메밀 전분, 녹두 전분, 동부 전분 중에서 1종으로 선택된 전분에 물을 부어 섞으면서 열을 가해 호화(gelatinization)시키는 전분 호화 단계; 상기 전분 호화 단계에서 호화된 재료를 젤화 장치를 이용해서 냉각시키면서 젤화(gel)시킴으로써 묵이 생성되게 하는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 상기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를 통해 겔화시켜 얻은 묵을 묵 절단 장치를 이용해서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묵 절단 단계; 절단된 단위 크기의 묵을 묵 급속냉동 장치를 이용해서 섭씨 ??30℃ 내지 ??60℃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는 묵 급속냉동 단계; 급속냉동된 묵을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를 이용해서 상온의 온도로 해동시키는 급속냉동 묵 해동 단계; 식품용 탈수 장치를 이용해서 해동된 묵에 잔존하는 물기를 빼는 물기 빼는 단계; 및 물기가 빠진 묵을 묵 튀김 장치를 이용해서 기름에 튀겨 묵튀김을 생산하는 묵튀김 생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묵을 만들기 위하여 도토리 전분, 메밀 전분, 녹두 전분, 동부 전분 중에서 1종으로 선택된 전분에 물을 부어 섞으면서 열을 가해 호화(gelatinization)시키는 전분 호화 장치; 상기 전분 호화 장치에서 호화된 재료를 냉각시켜 겔(gel)화시킴으로써 묵이 생성되게 하는 묵 생성을 위한 젤화 장치; 상기 묵 생성을 위한 젤화 장치를 통해 겔화시켜 얻은 묵을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묵 절단 장치; 절단된 단위 크기의 묵을 섭씨 ??30℃ 내지 ??60℃의 온도에서 급속냉동시키는 묵 급속냉동 장치; 급속냉동된 묵을 상온에서 해동시키는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 해동된 묵에 잔존하는 물기를 빼는 식품용 탈수 장치; 및 물기가 빠진 묵을 기름에 튀겨 묵튀김을 생산하는 묵 튀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전분 호화 장치, 상기 젤화 장치, 상기 묵 절단 장치, 상기 묵 급속냉동 장치, 상기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 상기 식품용 탈수 장치 및 상기 묵 튀김 장치는 모두 자동화 기계이며, 상기 전분 호화 장치, 상기 젤화 장치, 상기 묵 절단 장치, 상기 묵 급속냉동 장치, 상기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 상기 식품용 탈수 장치 및 상기 묵 튀김 장치들 사이사이에 이웃한 한 쌍의 장치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자동 컨베이어가 마련되며, 묵이 자동으로 제조된 후 튀겨지게 상기 전분 호화 장치, 상기 젤화 장치, 상기 묵 절단 장치, 상기 묵 급속냉동 장치, 상기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 상기 식품용 탈수 장치, 상기 묵 튀김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자동 컨베이어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가질뿐더러 보기도 좋아서 식욕을 자극하는 묵튀김을 만들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기를 빼는 공정 시간을 종래보다 훨씬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및 도 5는 식품용 탈수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및 도 5는 식품용 탈수 장치의 개략적인 동작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시스템의 제어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가질뿐더러 보기도 좋아서 식욕을 자극하는 묵튀김을 만들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기를 빼는 공정 시간을 종래보다 훨씬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은 도 1의 튀김용 묵 제조방법, 도 2의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그리고, 도 3 내지 도 6의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시스템에 그 권리범위가 적용될 수 있다.
우선, 도 1을 참조해서 튀김용 묵 제조방법에 대해 알아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 제조방법은 전분 호화 단계(S110),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S120), 묵 절단 단계(S130), 묵 급속냉동 단계(S140), 묵 해동 단계(S150), 물기 빼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분 호화 단계(S110)는 전분 호화 장치(110)를 이용해서 묵을 만들기 위해 도토리 전분, 메밀 전분, 녹두 전분, 동부 전분 중에서 1종으로 선택된 전분에 물을 부어 섞으면서 열을 가해 호화(gelatinization)시키는 공정이다.
도토리 전분을 예로 들면, 도토리 전분 99.8%에 정제 소금 0.2중량%를 혼합하고, 도토리 전분의 4배 정도의 물을 넣고 계속 저어주면서 가열하여 도토리 전분을 호화시킬 수 있다.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S120)는 전분 호화 단계(S110)에서 호화된 재료를 젤화 장치(120)를 이용해서 냉각시키면서 젤화(gel)시킴으로써 묵이 생성되게 하는 공정이다.
전분 호화 단계(S110)에서 호화된 재료를 용기에 붓고 식히는 과정인데, 호화된 것이 식으면서 겔화되어 탱글탱글한 도토리묵이 만들어질 수 있다.
묵 절단 단계(S130)는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S120)를 통해 겔화시켜 얻은 묵을 묵 절단 장치(130)를 이용해서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공정이다.
도토리묵을 절단하는 형태나 모양,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과도하게 크지 않도록 절단하는 편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묵 절단 장치(130)를 통한 자동화 구현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묵 급속냉동 단계(S140)는 절단된 단위 크기의 묵을 묵 급속냉동 장치(140)를 이용해서 섭씨 ??30℃ 내지 ??60℃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는 공정이다.
절단한 도토리묵을 급속냉동, 바람직하게는 섭씨 ??30℃ 내지 ??60℃로 급속냉동시킨다. 그러면, 도토리묵 내부에 상대적으로 작고 고른 크기의 빙결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동 후 수분이 빠진 도토리묵의 조직이 균일하게 다공질화될 수 있어서 식감이 한층 더 좋아질 수 있다.
묵 해동 단계(S150)는 급속냉동된 묵을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150)를 이용해서 상온의 온도로 해동시키는 공정이다.
급속냉동시킨 도토리묵을 해동시킨다. 상온 해동도 좋지만 시간도 오래걸리고 또한 해동 시 불순물이 추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멸균에 우수한 묵 해동 장치(150)를 사용한다.
묵 해동 장치(150)를 통한 해동 과정에서 도토리묵 내부의 빙결정이 용해되어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다시 말해, 일종의 드립(drip) 현상이 발생한다. 이처럼 도토리묵 내부의 빙결정이 용해되어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도토리묵의 조직이 다공질화되어 마치 스펀지처럼 탄력성을 가지며, 쫄깃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물기 빼는 단계(S160)는 식품용 탈수 장치(160)를 이용해서 해동된 묵에 잔존하는 물기를 빼는 공정이다.
식품용 탈수 장치(160)를 이용해서 외부로 유출되지 못한 물기를 배출시킨다. 이때, 식품용 탈수 장치(160)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기를 빼는 공정 시간을 종래보다 훨씬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전분 호화 단계(S210),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S220), 묵 절단 단계(S230), 묵 급속냉동 단계(S240), 묵 해동 단계(S250), 물기 빼는 단계(S260), 묵튀김 생산단계(S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분 호화 단계(S210),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S220), 묵 절단 단계(S230), 묵 급속냉동 단계(S240), 묵 해동 단계(S250), 물기 빼는 단계(S260)까지는 전술한 도 1의 튀김용 묵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따라서, 중복 설명은 피한다. 다만, 도면 참조부호만 달리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서 묵튀김 생산단계(S270)는 물기가 빠진 묵을 묵 튀김 장치(170)를 이용해서 기름에 튀겨 묵튀김을 생산하는 공정이다. 이 공정 역시, 자동화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시스템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전분 호화 장치(110), 젤화 장치(120), 묵 절단 장치(130), 묵 급속냉동 장치(140), 묵 해동 장치(150), 식품용 탈수 장치(160), 묵 튀김 장치(170), 시스템 컨트롤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분 호화 장치(110)는 묵을 만들기 위하여 도토리 전분, 메밀 전분, 녹두 전분, 동부 전분 중에서 1종으로 선택된 전분에 물을 부어 섞으면서 열을 가해 호화(gelatinization)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토리 전분을 예로 들면, 도토리 전분 99.8%에 정제 소금 0.2중량%를 혼합하고, 도토리 전분의 4배 정도의 물을 넣고 계속 저어주면서 가열하여 도토리 전분을 호화시킬 수 있다.
젤화 장치(120)는 전분 호화 장치(110)에서 호화된 재료를 냉각시켜 겔(gel)화시킴으로써 묵이 생성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전분 호화 단계(S110)에서 호화된 재료를 용기에 붓고 식히는 과정인데, 호화된 것이 식으면서 겔화되어 탱글탱글한 도토리묵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역시, 자동화를 위해 젤화 장치(120)로 진행할 수 있다.
묵 절단 장치(130)는 묵 생성을 위한 젤화 장치(120)를 통해 겔화시켜 얻은 묵을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토리묵을 절단하는 형태나 모양, 크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과도하게 크지 않도록 절단하는 편이 바람직하며, 별도의 묵 절단 장치(130)를 통한 자동화 구현이 필요하다. 그래야만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묵 급속냉동 장치(140)는 절단된 단위 크기의 묵을 섭씨 ??30℃ 내지 ??60℃의 온도에서 급속냉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절단한 도토리묵을 급속냉동, 바람직하게는 섭씨 ??30℃ 내지 ??60℃로 급속냉동시킨다. 그러면, 도토리묵 내부에 상대적으로 작고 고른 크기의 빙결정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해동 후 수분이 빠진 도토리묵의 조직이 균일하게 다공질화될 수 있어서 식감이 한층 더 좋아질 수 있다.
묵 해동 장치(150)는 급속냉동된 묵을 상온에서 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급속냉동시킨 도토리묵을 해동시킨다. 상온 해동도 좋지만 시간도 오래걸리고 또한 해동 시 불순물이 추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멸균에 우수한 묵 해동 장치(150)를 사용한다.
묵 해동 장치(150)를 통한 해동 과정에서 도토리묵 내부의 빙결정이 용해되어 외부로 유출되기 때문에, 다시 말해, 일종의 드립(drip) 현상이 발생한다. 이처럼 도토리묵 내부의 빙결정이 용해되어 외부로 유출됨에 따라 도토리묵의 조직이 다공질화되어 마치 스펀지처럼 탄력성을 가지며, 쫄깃한 식감을 제공할 수 있다.
식품용 탈수 장치(160)는 해동된 묵에 잔존하는 물기를 빼는 역할을 한다.
식품용 탈수 장치(160)는 도 4 및 도 5처럼 장치 하우징(161)과, 장치 하우징(161)의 하부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휠(161a)과, 복수 개의 휠(161a) 주변에 배치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복수 개의 스토퍼(161b)와, 장치 하우징(161) 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측벽에 복수 개의 탈수공(164a)이 형성되되 해동된 묵에 잔존하는 물기를 빼는 장소를 형성하는 회전 바스켓(164)과, 장치 하우징(161)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해서 장치 하우징(161)의 상부를 자동으로 개폐하는 전동 도어(162)와, 전동 도어(162)를 전동으로 구동시키는 도어 전동 구동부(163)와, 장치 하우징(161) 내에 배치되고 회전 바스켓(164)의 회전 구동시키는 바스켓 회전 구동부(165)와, 장치 하우징(161)에 연결되되 장치 하우징(161)과 회전 바스켓(164)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동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로(166)를 포함할 수 있다.
단순 수작업이 아닌, 이러한 식품용 탈수 장치(160)를 이용해서 외부로 유출되지 못한 물기를 배출시키 때문에, 물기를 빼는 공정 시간을 종래보다 훨씬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묵 튀김 장치(170)는 물기가 빠진 묵을 기름에 튀겨 묵튀김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시스템의 자동화를 위해 전분 호화 장치(110), 젤화 장치(120), 묵 절단 장치(130), 묵 급속냉동 장치(140),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150), 식품용 탈수 장치(160) 및 묵 튀김 장치(170)는 모두 자동화 기계로 적용된다.
그리고, 전분 호화 장치(110), 젤화 장치(120), 묵 절단 장치(130), 묵 급속냉동 장치(140),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150), 식품용 탈수 장치(160) 및 묵 튀김 장치(170)들 사이사이에 이웃한 한 쌍의 장치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자동 컨베이어(C/V)가 마련된다.
시스템 컨트롤러(180)는 묵이 자동으로 제조된 후 튀겨지게 전분 호화 장치(110), 젤화 장치(120), 묵 절단 장치(130), 묵 급속냉동 장치(140),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150), 식품용 탈수 장치(160), 묵 튀김 장치(170) 및 복수 개의 자동 컨베이어(C/V)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시스템 컨트롤러(180)는 중앙처리장치(181, CPU), 메모리(182, MEMORY), 그리고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장치(181)는 본 실시예에서 감지부(1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보호 윈도우가 단계적으로 동작되도록 보호 윈도우 슬라이딩 유닛(140)의 동작을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82, MEMORY)는 중앙처리장치(181)와 연결된다. 메모리(18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일 수 있다.
서포트 회로(183, SUPPORT CIRCUIT)는 중앙처리장치(181)와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8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시스템 컨트롤러(180)는 감지부(1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보호 윈도우가 단계적으로 동작되도록 보호 윈도우 슬라이딩 유닛(140)의 동작을 컨트롤한다. 이때, 시스템 컨트롤러(180)가 감지부(170)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보호 윈도우가 단계적으로 동작되도록 보호 윈도우 슬라이딩 유닛(140)의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은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8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중앙처리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가질뿐더러 보기도 좋아서 식욕을 자극하는 묵튀김을 만들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기를 빼는 공정 시간을 종래보다 훨씬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 제조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 제조방법은 한약재를 투입한 전분 호화 단계(S310),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S120), 묵 절단 단계(S130), 묵 급속냉동 단계(S140), 묵 해동 단계(S150), 물기 빼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은 한약재를 투입한 전분 호화 단계(S310),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S220), 묵 절단 단계(S230), 묵 급속냉동 단계(S240), 묵 해동 단계(S250), 물기 빼는 단계(S260), 묵튀김 생산단계(S27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튀김용 묵 제조방법과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은 한약재를 투입한 전분 호화 단계(S310)가 적용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르다.
즉 한약재를 투입한 전분 호화 단계(S310)는 묵을 만들기 위해 도토리 전분, 메밀 전분, 녹두 전분, 동부 전분 중에서 1종으로 선택된 전분에 물을 부어 섞으면서 열을 가해 호화(gelatinization)시키는 공정인데, 이 공정을 진행할 때, 물에 한약재가 투입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때, 한약재가 2중량% 미만이면 한약재의 효과가 미미하게 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과량이 되어 한약재의 향이 강해지게 되므로 도토리묵 특유의 향취를 느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물 90∼98중량%에 한약재 2∼10중량%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되는 한약재로는 인삼, 오미자 및 맥문동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약재 중 인삼(ginseng)은 원기회복, 신경안정, 구토, 피로, 현기증, 비뇨증, 소갈, 자궁출혈, 소아경련, 시력증강, 소아불량, 이질, 혈액순환, 학질, 신경마비, 토혈, 고혈압 등에 좋으며, 오미자는 중추신경억제, 강심 작용, 관맥류량 증가, 호흡 흥분작용, 간장 보호, 궤양 예방, 체내에 당대사를 촉진하는 등의 작용을 하고, 맥문동은 마른기침, 각혈, 폐농양, 갈증, 변비, 이뇨, 월경불순, 소화촉진, 간장보호 등에 효과가 있으므로, 그 효능을 충분히 숙지한 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제법으로 제조된 기능성 도토리묵은 묵의 미감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한약재 내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므로, 인체 건강에 유익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부드럽고 쫄깃한 식감을 가질뿐더러 보기도 좋아서 식욕을 자극하는 묵튀김을 만들 수 있음은 물론 특히, 물기를 빼는 공정 시간을 종래보다 훨씬 단축할 수 있어서 생산성을 배가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10 : 전분 호화 장치 120 : 젤화 장치
130 : 묵 절단 장치 140 : 묵 급속냉동 장치
150 :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 160 : 식품용 탈수 장치
170 : 묵 튀김 장치 180 : 시스템 컨트롤러

Claims (5)

  1. 전분 호화 장치를 이용해서 묵을 만들기 위해 도토리 전분, 메밀 전분, 녹두 전분, 동부 전분 중에서 1종으로 선택된 전분에 물을 부어 섞으면서 열을 가해 호화(gelatinization)시키는 전분 호화 단계;
    상기 전분 호화 단계에서 호화된 재료를 젤화 장치를 이용해서 냉각시키면서 젤화(gel)시킴으로써 묵이 생성되게 하는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
    상기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를 통해 겔화시켜 얻은 묵을 묵 절단 장치를 이용해서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묵 절단 단계;
    절단된 단위 크기의 묵을 묵 급속냉동 장치를 이용해서 섭씨 ??30℃ 내지 ??60℃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는 묵 급속냉동 단계;
    급속냉동된 묵을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를 이용해서 상온의 온도로 해동시키는 급속냉동 묵 해동 단계; 및
    식품용 탈수 장치를 이용해서 해동된 묵에 잔존하는 물기를 빼는 물기 빼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묵 제조방법.
  2. 제1항의 튀김용 묵 제조방법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3. 전분 호화 장치를 이용해서 묵을 만들기 위해 도토리 전분, 메밀 전분, 녹두 전분, 동부 전분 중에서 1종으로 선택된 전분에 물을 부어 섞으면서 열을 가해 호화(gelatinization)시키는 전분 호화 단계;
    상기 전분 호화 단계에서 호화된 재료를 젤화 장치를 이용해서 냉각시키면서 젤화(gel)시킴으로써 묵이 생성되게 하는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
    상기 묵 생성을 위한 젤화 단계를 통해 겔화시켜 얻은 묵을 묵 절단 장치를 이용해서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묵 절단 단계;
    절단된 단위 크기의 묵을 묵 급속냉동 장치를 이용해서 섭씨 ??30℃ 내지 ??60℃의 온도로 급속냉동시키는 묵 급속냉동 단계;
    급속냉동된 묵을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를 이용해서 상온의 온도로 해동시키는 급속냉동 묵 해동 단계;
    식품용 탈수 장치를 이용해서 해동된 묵에 잔존하는 물기를 빼는 물기 빼는 단계; 및
    물기가 빠진 묵을 묵 튀김 장치를 이용해서 기름에 튀겨 묵튀김을 생산하는 묵튀김 생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4. 묵을 만들기 위하여 도토리 전분, 메밀 전분, 녹두 전분, 동부 전분 중에서 1종으로 선택된 전분에 물을 부어 섞으면서 열을 가해 호화(gelatinization)시키는 전분 호화 장치;
    상기 전분 호화 장치에서 호화된 재료를 냉각시켜 겔(gel)화시킴으로써 묵이 생성되게 하는 묵 생성을 위한 젤화 장치;
    상기 묵 생성을 위한 젤화 장치를 통해 겔화시켜 얻은 묵을 단위 크기로 절단하는 묵 절단 장치;
    절단된 단위 크기의 묵을 섭씨 ??30℃ 내지 ??60℃의 온도에서 급속냉동시키는 묵 급속냉동 장치;
    급속냉동된 묵을 상온에서 해동시키는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
    해동된 묵에 잔존하는 물기를 빼는 식품용 탈수 장치; 및
    물기가 빠진 묵을 기름에 튀겨 묵튀김을 생산하는 묵 튀김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분 호화 장치, 상기 젤화 장치, 상기 묵 절단 장치, 상기 묵 급속냉동 장치, 상기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 상기 식품용 탈수 장치 및 상기 묵 튀김 장치는 모두 자동화 기계이며,
    상기 전분 호화 장치, 상기 젤화 장치, 상기 묵 절단 장치, 상기 묵 급속냉동 장치, 상기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 상기 식품용 탈수 장치 및 상기 묵 튀김 장치들 사이사이에 이웃한 한 쌍의 장치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자동 컨베이어가 마련되며,
    묵이 자동으로 제조된 후 튀겨지게 상기 전분 호화 장치, 상기 젤화 장치, 상기 묵 절단 장치, 상기 묵 급속냉동 장치, 상기 급속냉동 묵 해동 장치, 상기 식품용 탈수 장치, 상기 묵 튀김 장치 및 상기 복수 개의 자동 컨베이어의 동작을 유기적인 메커니즘으로 컨트롤하는 시스템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시스템.
KR1020220051098A 2022-04-25 2022-04-25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KR20230151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098A KR20230151400A (ko) 2022-04-25 2022-04-25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1098A KR20230151400A (ko) 2022-04-25 2022-04-25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1400A true KR20230151400A (ko) 2023-11-01

Family

ID=88746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1098A KR20230151400A (ko) 2022-04-25 2022-04-25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5140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908A (ko) 2011-07-11 2013-01-21 홍성욱 차량을 이용한 불가사리 분말 처리장치
KR20130117549A (ko) 2012-04-18 2013-10-28 한국과학기술원 프로플라빈을 이용한 옥시도리덕타제 보조인자의 광화학적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인공광합성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7908A (ko) 2011-07-11 2013-01-21 홍성욱 차량을 이용한 불가사리 분말 처리장치
KR20130117549A (ko) 2012-04-18 2013-10-28 한국과학기술원 프로플라빈을 이용한 옥시도리덕타제 보조인자의 광화학적 재생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인공광합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1633A (zh) 一种将普通干玉米棒加工成风味鲜食玉米棒的方法
CN104222890A (zh) 一种香脆枸杞的制备方法
CN106901241A (zh) 一种鱿鱼粒保持肉质弹性的制备工艺
CN106551389A (zh) 一种葛根红豆千层糕的制作方法
CN106035960A (zh) 一种菊苣保健脯的制作方法
KR20230151400A (ko) 튀김용 묵 제조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튀김용 묵, 그리고 상기 튀김용 묵을 이용한 묵튀김 제조방법 및 제조시스템
CN103609807B (zh) 一种栗仁巧克力及其制作方法
CN104473226B (zh) 一种即食蜜饯海参的加工方法
CN105815368A (zh) 一种速食甘薯饼及其制备方法
CN103156136A (zh) 一种百合粉的制作方法
CN105053446A (zh) 一种果糖味冬瓜条的加工方法
CN107410882A (zh) 一种风味鸡肉饭团的加工方法
CN104381575A (zh) 一种无花果果脯的制备方法
CN114886095A (zh) 一种速食海参的制备方法
KR101642343B1 (ko) 황태 통조림 가공을 위한 황태 전처리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황태 통조림
JP2019122328A (ja) 柿ペーストの製造方法及び柿アイスクリームの製造方法
CN103689065A (zh) 一种脱水洋葱的制备方法
CN106234994A (zh) 一种鱼肉馅柑橘粽及其制备方法
CN105249254B (zh) 一种无花果牛羊肉泥及其制备方法
KR910005287B1 (ko) 스낵형 인삼 제품의 제조 방법
KR101663459B1 (ko) 어린이용 무우 김치와 그 제조방법
CN107156721A (zh) 一种营养茭白片的加工方法
CN108935911A (zh) 一种蜂蜜红薯冰激凌的制作方法
CN103141778A (zh) 李子罐头
KR101402094B1 (ko) 대추건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