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739A -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49739A
KR20230149739A KR1020230050061A KR20230050061A KR20230149739A KR 20230149739 A KR20230149739 A KR 20230149739A KR 1020230050061 A KR1020230050061 A KR 1020230050061A KR 20230050061 A KR20230050061 A KR 20230050061A KR 20230149739 A KR20230149739 A KR 20230149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astening
unit
too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은식
김현수
Original Assignee
디케이락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케이락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케이락 주식회사
Priority to TW11211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TW202407226A/zh
Priority to PCT/KR2023/005293 priority patent/WO2023204591A1/ko
Publication of KR20230149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9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panners, wrenches, screwdrivers
    • B25B23/14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 B25B23/147Arrangement of torque limiters or torque indicators in wrenches or screwdriver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 operated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3/00Spanners; Wrenches
    • B25B13/48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 B25B13/481Spanners; Wrenches for special purposes for operating in areas having limited access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자동회전 체결공구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공구본체와, 상기 공구본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바디에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 체결부와, 상기 너트 체결부가 너트를 회전시켜 바디에 체결하도록 상기 너트 체결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공구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너트를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함으로써,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너트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작업자가 너트를 힘들게 수동으로 돌리지 않아도 풀업(pull up)이 가능케되며, 작업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Automatic Rotation Assembly Tool with Controllable Number of Rotations and Faste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을 연결하는 바디에 너트를 결합시키는 경우,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너트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작업자가 너트를 힘들게 수동으로 돌리지 않아도 풀업(pull up)이 가능케되며, 작업이 열악한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돕는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나 기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관(파이프 또는 튜브)은 규격에 따라 소정의 길이로 제작되어 공급되기 때문에 원하는 길이 및 구조의 관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관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다양한 재질 및 형태로 이루어진 관 연결구가 관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관 연결구는 이송되는 유체가 관 연결부를 통해 누설되지 않도록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통상적인 관 연결구는 커플링 본체인 바디와, 상기 바디에 형성된 수나사와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와 너트 사이에 기밀을 위한 테이퍼진 페룰이 설치되어, 바디와 너트의 상대 회전 시 상기 페룰이 축방향으로 밀리면서 "풀업(pull up)"되며, 상기 페룰은 스웨이징 작용(swaging action)에 의하여 튜브 벽을 공고하게 파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관 연결구는 너트를 손으로 조여 바디에 결합하는 핑거 타이트(finger tight) 후, 조립자가 렌치 또는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바디와 너트를 상대 회전시켜 피팅이 풀업(pull up)되도록 하는데, 통상 관 연결구를 적절하게 풀업하기 위한 너트의 회전수는, 페룰이 튜브 벽에 적절하게 스웨이징될 수 있는 1-1/4 회전(turn), 즉 450°회전이다.
따라서, 너트를 핑거 타이트 후 피팅을 풀업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너트를 1-1/4 회전수로 회전시켜야 하는데, 이러한 렌치 또는 스패너 작업은 작업자에게 어려울 수 있고, 정확하게 1-1/4 회전을 돌렸는지 확인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현장에서는 작업자가 1-1/4 회전수 만큼 돌리지 않고, 눈 대중으로 하거나 감각에 의해서 체결작업을 행하게 되고, 적절한 풀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을 종료하게 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튜브 피팅의 적절한 풀업을 확인하는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2-0039671호에는 초기 체결시에는 보이고 추가 체결시에는 안보이는 마킹을 구비하여, 피팅이 적절하게 풀업(pull up) 되었음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튜브 피팅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행문헌에 의하면, 피팅이 적절하게 풀업 되었음을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튜브 피팅 체결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시각적으로 확인하기에 열악한 환경, 예를 들어, 어두운 작업공간이나 야간작업 시에는 튜브 피팅 체결에 대한 확인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관을 연결하는 장소가 작업에 힘든 장소, 예컨대, 높은 위치, 낮은 위치 또는 작업자가 들어가기 힘든 좁은 장소일 경우, 마킹이 있다고 하더라도 작업시 체결부위가 잘보이지 않으므로 일부 작업자들의 경우에는 감각에 의해서 체결작업을 행하게 되고, 적절한 풀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을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뿐 아니라, 바디에 형성된 수나사에 너트가 비뚤게 체결되거나, 렌치에 너트가 제대로 협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구를 회전시키게 되어 바디와 너트의 나사산이 뭉그러지는 등 체결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당 업계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작업자의 휴먼 에러를 줄여 튜브 피팅의 적절한 풀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2-0039671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피팅 부품인 너트를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자동으로 회전시켜 작업자가 수동으로 회전시키지 않아도 적절한 풀업을 가능케하여 휴먼 에러를 줄일 수 있는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너트의 회전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피팅의 페룰이 관을 효과적으로 파지하고 밀봉하도록 하여 피팅의 유지 보수에 용이하게 사용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환경이 좋지 않은 어두운 곳이나 작업자가 너트 체결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자동적으로 너트 체결이나 분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너트의 위치를 바로잡을 수 있는 가이드 스텝을 마련하여 바디와 너트가 비뚤게 체결되거나, 나사산이 망가지는 등의 체결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너트를 회전시키지 않고 자동으로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시켜 피팅을 풀업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이용한 체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관을 연결하기 위한 바디에 너트를 체결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공구본체와, 상기 공구본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바디에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 체결부와, 상기 너트 체결부가 너트를 회전시켜 바디에 체결하도록 상기 너트 체결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공구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부와, 상기 너트를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가 제공된다.
상기 너트 체결부는 상기 너트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너트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너트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기어와, 상기 체결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너트 끼움홈으로 인한 공백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종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체결기어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회전축이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에 따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1개의 구동기어와, 상기 체결기어, 종동기어 및 구동기어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너트 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체결부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부 몸체의 끼움홈에는 상기 너트를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각도로 잡아줄 수 있도록 내측으로 소정만큼 연장되는 가이드 스텝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너트 체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바디를 잡아주기 위한 바디 홀더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홀더는 바디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바디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바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위치에 따라 바디 홀더가 바디를 잡기 용이하도록 상기 바디 홀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바디 홀더의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너트 체결부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구비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어, 상기 돌기가 이동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바디 홀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너트 체결부는 사용되는 튜브의 외경(1/4“ ~ 1”또는 6mm ~ 24mm)에 따라 너트의 크기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너트의 크기에 맞는 너트 끼움홈을 갖는 너트 체결부를 각각 제작하여 하나의 공구본체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각각의 다른 사이즈의 너트를 자동 체결할 수 있도록, 너트의 크기에 맞는 너트 체결부가 공구본체에 합체되어 각각의 사이즈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공구본체를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체결공구는 상기 너트를 풀업할 수 있는 회전수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풀업버튼과, 상기 너트의 체결을 완료한 후 상기 너트 체결부가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리셋버튼과, 상기 너트를 설정된 소정의 회전수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버튼을 포함하는 회전 선택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회전 선택부는 상기 풀업버튼, 리셋버튼 또는 회전버튼 중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여 작동시킬수 있는 선택 레버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부의 작동에 따라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부와, 피팅을 풀업하기 위한 1-1/4 회전수 또는 설정된 임의의 회전수로 상기 너트 체결부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회전수 설정부와, 상기 너트의 체결이 완료한 후 상기 너트 체결부를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리셋 신호를 보내는 리셋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피팅의 부품에 따라 토크 레벨을 달리 해야 하는 경우, 토크 레벨을 설정하여 토크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조절부와, 상기 너트 체결부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으면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구동부에 신호를 보내는 구동 정지부와, 상기 너트 체결부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는 경우 또는 너트 체결부가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되지 않은 경우에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가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경우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버 토크로 원하는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고 동작이 멈췄을 때 뿐만 아니라 충전된 체결공구의 전력 저하로 원하는 위치까지 회전되지 않았을 때 등에도 경고 알람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토크 조절부는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여 토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부의 경고 알람은 소리, 조명 또는 진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체결공구는 상기 너트 체결부의 회전방향을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변경하는 노브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관을 연결하기 위한 바디에 너트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풀업 위치까지 체결하는 체결방법으로서, 체결공구에 구비된 너트 체결부에 너트를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체결공구에 설치된 스위치부를 작동하여 상기 너트 체결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동하는 단계와,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상기 너트 체결부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바디에 너트를 자동으로 체결하는 단계와, 체결 완료된 너트를 상기 너트 체결부의 너트 끼움홈에서 이탈시키는 단계와, 상기 너트 체결부가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상기 구동부에 리셋 신호를 보내어 상기 너트 체결부를 리셋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너트 체결부에 너트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체결공구의 끼움홈을 상기 관에 삽입한 후 상기 너트 체결부에 형성된 가이드 스텝을 이용하여 상기 너트를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각도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너트 체결부의 일면에 상기 바디를 잡아주기 위한 바디 홀더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와 너트에 상기 바디 홀더와 너트 체결부를 동시에 삽입한 후, 상기 너트를 체결할 수 있다.
한편, 피팅의 부품에 따라 토크 레벨을 달리 해야 하는 경우, 토크 레벨을 설정하여 토크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너트 체결부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는 경우에는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피팅의 너트를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자동으로 회전시켜 작업자가 수동으로 너트를 체결하지 않고도 적절한 풀업을 가능케하여 휴먼 에러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팅의 수리 또는 유지보수 등 필요에 따라 너트의 회전수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피팅의 페룰이 관을 효과적으로 파지하고 밀봉하도록 하여 풀업을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작업환경이 좋지 않은 어두운 곳이나 작업자가 너트 체결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자동적으로 너트 체결이나 분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너트의 위치를 바로잡을 수 있는 가이드 스텝을 마련하여 바디와 너트가 비뚤게 체결되거나, 나사산이 망가지는 등의 체결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를 잡아주는 바디 홀더를 일체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본 발명의 체결공구를 이용하면 한 손으로도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작업이 어려운 높은 위치, 낮은 위치 또는 좁은 공간에서도 1-1/4 회전을 완벽하게 수행하여 풀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너트 체결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너트 체결부가 1-1/4 회전 후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너트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 스텝에 너트가 걸리는 것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디를 잡아주는 바디홀더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디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회전 선택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이용한 체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액체나 기체를 이송시키기 위한 배관용으로 사용되는 관(파이프 또는 튜브)을 연결하는 바디에 너트를 체결함에 있어서,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너트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작업자가 너트를 힘들게 수동으로 돌리지 않아도 풀업(pull up)이 가능하게 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10)에 관한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공구본체(20), 너트 체결부(100), 구동부, 전원공급부(50), 스위치부(30) 및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공구본체(2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공구본체(20)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부드러운 굴곡면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길이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부(30)가 설치되어 너트 체결 동작을 온/오프 하도록 한다.
상기 공구본체(20)의 후단부에는 상기 전원공급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50)는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너트 체결부(100)는 상기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바디에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구본체(20)의 일단, 즉 선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부가 너트 체결부(10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여 너트를 바디에 체결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서의 너트 체결부의 내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이다.
상기 너트 체결부(100)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개의 기어들과 상기 기어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체결부 몸체(110)를 구비한다.
상기 너트 체결부(100)의 기어들은 상기 너트(4)가 끼워지는 너트 끼움홈(122)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4)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기어(120)와, 상기 체결기어(120)에 맞물리며 상기 너트 끼움홈(122)으로 인한 공백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종동기어(130)와, 상기 종동기어(130)와 맞물리며 상기 체결기어(120)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회전축이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에 따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1개의 구동기어(140)(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너트 끼움홈(122)은 상기 너트(4)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너트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종동기어(130)는 상기 체결기어(120)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2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체결기어(120)의 양측에 상호 대칭되도록 2개가 설치되는 종동기어(130)는 2개의 기어가 동시에 체결기어(120)와 맞물리어 회전하므로 상기 너트 끼움홈(122)으로 인한 공백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상기 2개의 종동기어(130)와 맞물리며 상기 체결기어(120)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회전축을 갖는 제1 구동기어(140)와, 상기 제1 구동기어(140)의 회전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회전축(152)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에 따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구동기어(1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구동기어(150)의 회전축(152)에 구동부의 모터 회전축이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제2 구동기어(150), 제1 구동기어(140), 종동기어(130) 및 체결기어(120)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너트를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기어를 제1 구동기어(140)와 제2 구동기어(150)로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의 체결공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동기어를 한 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구동기어의 회전축이 구동부의 모터 축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상기 체결기어(120), 종동기어(130) 및 구동기어(140)(150)는 체결부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체결부 몸체(110)에는 상기 너트 끼움홈(122)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112)이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너트 체결부가 1-1/4 회전 후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너트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너트 체결부(100)는 1-1/4 회전을 하면 450°, 즉 1회전 후 90°만큼 더 회전하여 너트 끼움홈(122)이 원 위치(도 2에서 0°방향)에서 90°회전한 위치가 된다. 이때, 체결부 몸체(110)의 끼움홈(112)은 0°방향이므로 상기 끼움홈(112)과 너트 끼움홈(122)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각도를 갖게 된다.
통상적인 페룰 타입의 피팅은 1-1/4 회전에 의해 풀업(pull-up)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너트를 풀업할 수 있는 회전수인 1-1/4 회전을 설정하여 자동적으로 1-1/4 만큼 회전하도록 한다. 그러나, 피팅 부품의 규격에 따라 프리 스웨이징(pre-swaging)이 필요한 경우가 있고, 이때에는 1-1/4 회전이 아닌 1/2 회전만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1/4”~ 1”와 6mm ~ 24mm 피팅은 핑거 타이트 후 1-1/4 회전을 하며, 종종 현장에서는 프리 스웨이징 툴(pre-swaging tool)을 사용하여 핑거 타이트 절차를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3/4”와 1”또는 18mm와 24mm 피팅의 경우, 1-1/4 회전을 하는데 필요한 토크가 커서 프리 스웨이징(pre-swaging)을 한 후에 1/2 회전을 해서 풀업(pull-up)할 것을 추천한다. 이 경우, 프리 스웨이징 툴(pre-swaging tool)로 프리 스웨이징된(pre-swaged) 피팅은 1/2 회전으로 피팅이 체결되기 때문에 이러한 경우, 1/2 회전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체결공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상기 너트 체결부는 사용되는 튜브의 외경(1/4“ ~ 1”또는 6mm ~ 24mm)에 따라 너트의 크기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사이즈별로 제작되어 상기 공구본체(2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너트의 크기에 맞는 너트 끼움홈이 형성된 너트 체결부를 각각 제작하여 하나의 공구본체(20)에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너트 체결부(100)와 공구본체(20)의 체결은 공지된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또는 각각의 다른 사이즈의 너트를 자동 체결할 수 있도록, 너트의 크기에 맞는 너트 체결부가 공구본체에 합체되어 각각의 사이즈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공구본체를 제작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너트(4)는 관(2)에 끼워진 상태에서, 바디(6)에 체결되는데, 본 발명의 너트 체결부(100)는 체결부 몸체(110)의 끼움홈(112)에 상기 너트(4)를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각도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스텝(guide step)(114)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가이드 스텝에 너트가 걸리는 것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로서, 상기 가이드 스텝(114)은 체결부 몸체(110)의 끼움홈(112) 일면에 형성되며, 끼움홈의 내측으로 소정만큼 연장되는 단턱의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가이드 스텝(114)은 너트 체결부(100)의 끼움홈(112)을 관(2)에 끼운 후 상기 너트(4)의 위치까지 체결공구를 이동시키면 상기 가이드 스텝(114)이 너트(4)에 닿게 되어 너트를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각도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너트의 체결 각도가 비뚤어지어 바디와 너트가 비뚤게 체결되거나, 나사산이 망가지는 등의 체결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디를 잡아주는 바디홀더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서 바디홀더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너트 체결부(100)의 일면에는 상기 바디(6)를 잡아주기 위한 바디 홀더(2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디 홀더(200)는 바디(6)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바디(6)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바디 끼움홈(210)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6)의 위치에 따라 바디 홀더(200)가 바디(6)를 잡기 용이하도록 상기 바디 홀더(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바디 홀더(200)의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220)과, 상기 너트 체결부(100)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홈(220)에 끼워지는 돌기(232)가 구비되는 고정부(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동홈(220)은 도면에서와 같이 물결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돌기(232)는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어, 상기 돌기(232)가 이동홈(22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바디 홀더(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작업자가 원하는 만큼 바디 홀더(200)의 이동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체결공구는 상기 너트의 회전수 등을 선택할 수 있는 회전 선택부가 더 구비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회전 선택부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회전 선택부(60)는 너트를 풀업할 수 있는 1-1/4 회전수 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풀업버튼(66)과, 상기 너트의 체결을 완료한 후 상기 너트 체결부(100)가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리셋버튼(64)과, 상기 너트를 설정된 소정의 회전수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버튼(6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풀업버튼(66), 리셋버튼(64) 또는 회전버튼(68)은 각각의 버튼을 작업자가 눌러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도록 구성함도 가능하다. 예컨대, 작업자는 상기 풀업버튼(66), 리셋버튼(64) 또는 회전버튼(68) 중 하나의 버튼을 누르고 상기 스위치부(3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구동부가 선택된 버튼에 설정된 회전수만큼 상기 너트 체결부(100)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 선택부(60)는 상기 풀업버튼(66), 리셋버튼(64) 또는 회전버튼(68) 중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여 작동시킬수 있는 선택 레버(62)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선택 레버(62)를 회동시켜 상기 풀업버튼(66), 리셋버튼(64) 또는 회전버튼(68) 중 하나의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선택부(60)에서 선택 레버(62)를 회동하여 회전 수(1-1/4, 1/2, 1/4, 또는 1/8) 또는 리셋을 선택하고, 상기 스위치부(30)로 구동하게 하여 선택과 구동을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 선택부(60)는 도 1에서와 같이, 공구본체(20)의 측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쉽게 한 손으로도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버튼(68)은 1/2, 1/4 혹은 1/8 회전을 할 수 있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흔히, 피팅은 유체 시스템의 다양한 수리 및 유지보수를 위해 느슨해진 피팅을 재조립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너트 체결부(100)의 회전수를 1/4 혹은 1/8 회전으로 설정하여 조립상황에 따른 회전수를 설정하여 자동으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팅의 규격에 따라 3/4”와 1”피팅의 경우, 1-1/4 회전을 하는데 필요한 토크가 커서 미리 프리 스웨이징(pre-swaging)을 한 후에 1/2 회전을 하기도 한다. 이 경우, 프리 스웨이징 툴(pre-swaging tool)로 프리 스웨이징된(pre-swaged) 피팅은 1/2 회전만 하면 피팅이 체결되므로, 이를 위해 1/2 회전이 필요하다.
한편, 반도체용 피팅은 씰링을 위해 별도의 가스켓을 넣고 metal-to-metal face seal을 이용하여 체결하는데, 이 경우, 피팅을 핑거 타이트하고 stainless steel or nickel gasket의 경우 1/8 turn을 돌리고, copper or aluminum gasket의 경우 1/4 turn을 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해 1/4 혹은 1/8 회전으로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너트를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스위치부(30)의 작동에 따라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70)를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부(82)와, 피팅을 풀업하기 위한 1-1/4 회전수 또는 설정된 임의의 회전수, 예를 들어, 1/2, 1/4 혹은 1/8 회전으로 상기 너트 체결부(100)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회전수 설정부(84)와, 상기 너트의 체결이 완료한 후 상기 너트 체결부(100)를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리셋 신호를 보내는 리셋부(8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80)는 피팅의 부품에 따라 토크 레벨을 달리 해야 하는 경우, 토크 레벨을 설정하여 토크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조절부(88)가 포함될 수 있다.
통상, 피팅을 풀업하는 경우, 회전수에 의한 풀업도 가능하지만 토크에 의한 풀업도 가능하다. 이러한 토크에 의한 풀업은 바디에 대한 너트의 상대 회전수를 요구하지 않고, 설정된 토크 레벨을 사용하여 바디와 너트를 체결하여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피팅의 부품 규격에 따라 토크 레벨을 다르게 돌려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토크에 의한 풀업이 가능하도록 상기 컨트롤러(80)에 토크 레벨을 설정하여 토크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조절부(8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크 조절부(88)로 인해 본 발명의 체결공구(10)는 회전수 뿐 아니라 토크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토크 조절부(88)는 상기 구동부(70)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여 토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너트 체결부(100)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으면 상기 구동부(70)의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예컨대, 상기 너트가 바디와 체결이 제대로 안 되었을 경우 너트를 회전시키면 오버 토크가 걸릴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구동부(70)의 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80)는 상기 너트 체결부(100)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으면 상기 구동부(70)의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구동부(70)에 신호를 보내는 구동 정지부(72)와, 상기 너트 체결부(100)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는 경우에 작업자가 이를 알 수 있도록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90)가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경우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토크값을 넘어 오버 토크로 원하는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고 동작이 멈췄을 때 뿐만 아니라 충전된 체결공구의 전력 저하로 기설정된 회전수에 도달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경고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알람부(90)의 경고 알람은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알람부(90)의 경고 알람은 상기 너트 체결부(100)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는 경우 경고음(소리)을 발생하거나, 엘이디 등의 조명이 켜지도록 하거나 또는 공구본체(10)에 진동을 발생하여 진동으로 작업자에게 경고 알람을 줄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너트 체결부(100)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는 경우, 상기 너트 체결부(100)를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리셋 신호를 보내는 리셋부(86)에서 리셋 신호를 보내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체결공구(10)는 상기 너트 체결부(100)의 회전방향을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변경하는 노브(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에 결합된 너트를 풀어야 할 경우에 상기 너트의 역방향 회전이 필요하며, 이 경우 상기 노브(40)를 이용하여 상기 너트 체결부(100)의 회전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노브(40)의 정역방향 변경을 위한 구성은 통상의 공지된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이용한 체결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이용한 체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작업자는 너트(4)가 끼워진 관(2)에 체결공구(10)의 끼움홈(112)을 끼우고, 상기 너트(4)의 위치까지 체결공구(10)를 이동시켜 상기 너트 체결부(100)에 너트를 삽입한다(S110).
상기 너트 체결부(100)에 너트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체결공구(10)의 끼움홈(112)을 상기 관(2)에 삽입한 후 상기 너트 체결부(100)에 형성된 가이드 스텝(114)을 이용하여 상기 너트를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각도로 잡아줄 수 있다.
상기 너트 체결부(100)가 너트(4)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공구(10)에 설치된 스위치부(30)를 작동하여 상기 너트 체결부(100)를 회전시킨다(S120).
이때, 상기 컨트롤러(80)가 스위치부(30)의 작동에 따라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70)의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구동부(70)의 모터의 회전에 따라 제2 구동기어(150), 제1 구동기어(140), 종동기어(130) 및 체결기어(120)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상기 너트 체결부(10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상기 컨트롤러(80)가 상기 너트 체결부(100)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바디에 너트를 자동으로 체결한다(S130).
본 발명의 체결공구(10)는 상기 회전 선택부(60)에 의해 상기 바디에 너트를 풀업(pull up)하는 1-1/4 회전수 또는 소정의 회전수만큼 설정할 수 있으므로, 최초 조립인 경우에는 피팅 규격에 따라 1-1/4 회전 또는 1/2 회전으로 풀업을 하고, 재 조립인 경우에는 1/4 또는 1/8 회전으로 체결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용 피팅의 경우 가스켓의 재질에 따라 stainless steel or nickel gasket의 경우 1/8 turn을 돌리고, copper or aluminum gasket의 경우 1/4 turn을 돌리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이를 위해 1/4 혹은 1/8 회전으로 설정하여 너트를 자동으로 체결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체결공구(10)는 상기 컨트롤러(80)가 기설정된 회전수 만큼 상기 너트 체결부(100)를 통해 너트를 회전시키고, 기설정된 회전수 만큼 너트를 회전시키고 나서 자동으로 회전이 멈추게 된다.
이후, 회전이 멈춘 너트 체결부(100)에서 체결 완료된 너트를 이탈시켜야 하며, 상기 체결공구(10)를 관(2)의 길이방향으로 잡아당겨 너트 체결부에서 너트를 빼낸다(S140).
이때, 상기 체결공구(10)의 너트 체결부(100)는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1-1/4 회전, 1/2, 1/4 또는 1/8 회전이 된 상태이므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너트 체결부(100)의 너트 끼움홈(122)이 여전히 관(2)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이 멈추게 된다.
따라서, 너트의 체결이 완료된 후에는 항상 상기 너트 체결부(100)가 원 위치, 즉 너트 체결부(100)의 끼움홈(112)와 체결기어(120)의 너트 끼움홈(122)이 일치되는 상태로 리셋되어야 한다.
따라서, 너트의 체결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너트 체결부(100)가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상기 구동부에 리셋 신호를 보내어 상기 너트 체결부를 리셋한다(S150).
한편, 상기 너트 체결부(100)의 일면에 구비된 바디 홀더(200)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6)와 너트(4)에 상기 바디 홀더(200)와 너트 체결부(100)를 동시에 삽입한 후, 상기 너트를 체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바디(6)와 너트(4)의 헥사는 방향이 불일치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손으로 너트(4)를 조금 돌려 바디(6)의 헥사와 너트(4)의 헥사 방향을 일치시킨다.
이후, 본 발명의 체결공구(10)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6)와 너트(4)를 상기 바디 홀더(200)와 너트 체결부(100)로 동시에 잡은 상태에서, 자동으로 너트를 회전시켜 풀업을 한다.
또한, 회전수 대신 피팅의 각 사이즈별로 설정된 토크에 의해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피팅의 부품에 따라 토크 레벨을 달리 해야 하는 경우, 토크 레벨을 설정하여 토크 제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80)는 토크 레벨을 설정하여 토크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조절부(88)를 포함하므로, 상기 토크 조절부(88)에 의해 피팅의 부품 규격에 따른 토크 레벨을 다르게 하여 토크에 의한 풀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너트를 체결하지 않고도 적절한 풀업을 자동으로 가능케하여 휴먼 에러를 줄일 수 있으며, 작업환경이 좋지 않은 어두운 곳이나 작업자가 너트 체결이 어려운 장소에서도 자동적으로 너트 체결이나 분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매우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디를 잡아주는 바디 홀더를 일체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본 발명의 체결공구를 이용하면 한 손으로도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작업이 어려운 높은 위치, 낮은 위치 또는 좁은 공간에서도 1-1/4 회전을 완벽하게 수행하여 풀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자동회전 체결공구 20: 공구본체
30: 스위치부 40; 노브
50: 전원공급부 60: 회전 선택부
64: 리셋버튼 66: 풀업버튼
68: 회전버튼 70: 구동부
80: 컨트롤러 82: 구동 제어부
84: 회전수 설정부 86: 리셋부
88: 토크 조절부 100: 너트 체결부
120: 체결기어 122: 너트 끼움홈
130: 종동기어 140: 제1 구동기어
150: 제2 구동기어 200: 바디 홀더
210: 바디 끼움홈 220: 이동홈
230: 고정부 232: 돌기

Claims (21)

  1. 관을 연결하기 위한 바디에 너트를 체결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로서,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공구본체;
    상기 공구본체의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너트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바디에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너트 체결부;
    상기 너트 체결부가 너트를 회전시켜 바디에 체결하도록 상기 너트 체결부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상기 공구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원을 인가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너트를 기설정된 회전수만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 체결부는 상기 너트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너트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너트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너트를 회전시키기 위한 체결기어;
    상기 체결기어에 맞물리며 상기 너트 끼움홈으로 인한 공백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체결기어의 중심축과 동일선상에 위치되는 회전축이 상기 구동부의 모터 회전에 따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1개의 구동기어; 및
    상기 체결기어, 종동기어 및 구동기어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너트 끼움홈과 대응되는 형상의 끼움홈이 형성되는 체결부 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 몸체의 끼움홈에는 상기 너트를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각도로 잡아줄 수 있도록 내측으로 소정만큼 연장되는 가이드 스텝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 체결부는 사용되는 튜브의 외경에 따라 너트의 크기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사이즈별로 제작되어 상기 공구본체에 체결하여 사용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 체결부는 사용되는 튜브의 외경에 따라 너트의 크기가 다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너트의 크기에 맞는 너트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공구본체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 체결부의 일면에는 상기 바디를 잡아주기 위한 바디 홀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바디 홀더는 바디가 끼워지도록 일측이 개방되고 상기 바디의 다각형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바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위치에 따라 바디 홀더가 바디를 잡기 용이하도록 상기 바디 홀더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바디 홀더의 양측면에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이동홈과,
    상기 너트 체결부의 일면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구비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지어,
    상기 돌기가 이동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바디 홀더가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를 풀업할 수 있는 회전수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풀업버튼;
    상기 너트의 체결을 완료한 후 상기 너트 체결부가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리셋버튼;
    상기 너트를 설정된 소정의 회전수만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부를 구동하기 위한 회전버튼; 을 포함하는 회전 선택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회전 선택부는 상기 풀업버튼, 리셋버튼 또는 회전버튼 중 하나의 버튼을 선택하여 작동시킬수 있는 선택 레버가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회전 선택부에서 선택 레버를 회동하여 회전 수(1-1/4, 1/2, 1/4, 또는 1/8) 또는 리셋을 선택하고, 상기 스위치부로 구동하게 하여 선택과 구동을 나눌 수 있는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스위치부의 작동에 따라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부;
    피팅을 풀업하기 위한 1-1/4 회전수 또는 설정된 임의의 회전수로 상기 너트 체결부의 회전수를 설정하는 회전수 설정부; 및
    상기 너트의 체결이 완료한 후 상기 너트 체결부를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리셋 신호를 보내는 리셋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피팅의 부품에 따라 토크 레벨을 달리 해야 하는 경우, 토크 레벨을 설정하여 토크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조절부;
    상기 너트 체결부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으면 상기 구동부의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구동부에 신호를 보내는 구동 정지부; 및
    상기 너트 체결부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는 경우 또는 너트 체결부가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되지 않은 경우에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알람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토크 조절부는 상기 구동부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여 토크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알람부의 경고 알람은 소리, 조명 또는 진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너트 체결부의 회전방향을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변경하는 노브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충전식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
  17. 관을 연결하기 위한 바디에 너트를 자동으로 회전시켜 풀업 위치까지 체결하는 체결방법으로서,
    체결공구에 구비된 너트 체결부에 너트를 삽입하는 단계;
    상기 체결공구에 설치된 스위치부를 작동하여 상기 너트 체결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동하는 단계;
    기설정된 회전수에 따라 상기 너트 체결부에 회전력을 가하여 상기 바디에 너트를 자동으로 체결하는 단계;
    체결 완료된 너트를 상기 너트 체결부의 너트 끼움홈에서 이탈시키는 단계; 및
    상기 너트 체결부가 원 위치로 돌아오도록 상기 구동부에 리셋 신호를 보내어 상기 너트 체결부를 리셋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이용한 체결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너트 체결부에 너트를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체결공구의 끼움홈을 상기 관에 삽입한 후 상기 너트 체결부에 형성된 가이드 스텝을 이용하여 상기 너트를 정확한 위치 및 정확한 각도로 잡아줄 수 있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이용한 체결방법.
  19.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너트 체결부의 일면에 상기 바디를 잡아주기 위한 바디 홀더를 이용하여 상기 바디와 너트에 상기 바디 홀더와 너트 체결부를 동시에 삽입한 후, 상기 너트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이용한 체결방법.
  20. 청구항 17에 있어서,
    피팅의 부품에 따라 토크 레벨을 달리 해야 하는 경우, 토크 레벨을 설정하여 토크 제어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이용한 체결방법.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너트 체결부에서 발생된 토크가 설정된 일정 토크값을 넘는 경우 또는 너트 체결부가 정해진 회전수만큼 회전되지 않은 경우에는 경고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회전 체결공구를 이용한 체결방법.

KR1020230050061A 2022-04-20 2023-04-17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 KR20230149739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12114495A TW202407226A (zh) 2022-04-20 2023-04-19 可控制旋轉量的自動旋轉緊固工具及使用其之緊固方法
PCT/KR2023/005293 WO2023204591A1 (ko) 2022-04-20 2023-04-19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48964 2022-04-20
KR1020220048964 2022-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9739A true KR20230149739A (ko) 2023-10-27

Family

ID=88514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061A KR20230149739A (ko) 2022-04-20 2023-04-17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497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671A (ko) 1999-09-13 2002-05-27 맨사우어 어니스트 피. 표시 수단을 갖춘 튜브 피팅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671A (ko) 1999-09-13 2002-05-27 맨사우어 어니스트 피. 표시 수단을 갖춘 튜브 피팅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1980B2 (en) Tap and die devices
US8696274B2 (en) Torque control bolt for hose clamp
US5772252A (en) Pipe junction holder with a novel torque-limiting device
JP6655163B2 (ja) 水栓の設置構造
US5439339A (en) Externally threaded interference fit fastener with oppositely threaded puller
EP2492568B1 (en) Closing valve
JP2018519445A (ja) 水栓の結合構造
US9789592B2 (en) Rotary tool
KR20230149739A (ko)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
JP4920063B2 (ja) 締結構造
TW202407226A (zh) 可控制旋轉量的自動旋轉緊固工具及使用其之緊固方法
CN2920548Y (zh) 一种拧紧圆螺母的内镶式套筒
EP2155441B1 (en) Housing joint for a power tool
RU2482373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т для труб,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трубы с фитингом, гайка и инструмент (варианты)
JP7329789B2 (ja) 間接活線棒における取付構造、駆動伝達装置、および駆動装置
JP5778399B2 (ja) 管継手
JP7161968B2 (ja) 多管円筒形熱交換器のプラグの引き抜き用治具
JP2010169166A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
US20160045965A1 (en) Tap sleev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H0112634B2 (ko)
KR20220000460U (ko) 몽키스패너
JPH0738788Y2 (ja) 水道鉛管の鍔部形成用具
JPH1094971A (ja) 配管用圧力駆動レンチ
JP2020188850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を配管継手に締付ける方法
JP5381093B2 (ja) 食い込み式管接続構造、弁、食い込み式管継手及び冷凍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