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9671A - 표시 수단을 갖춘 튜브 피팅 - Google Patents

표시 수단을 갖춘 튜브 피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9671A
KR20020039671A KR1020027003353A KR20027003353A KR20020039671A KR 20020039671 A KR20020039671 A KR 20020039671A KR 1020027003353 A KR1020027003353 A KR 1020027003353A KR 20027003353 A KR20027003353 A KR 20027003353A KR 20020039671 A KR20020039671 A KR 20020039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marking
fitting
coupl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3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윌리암스피터씨
존스톤로니이
카코시아크존디
바부더제랄드에이
모게샌지프에스
쉐펠개리더블유
Original Assignee
맨사우어 어니스트 피.
스와겔로크 컴패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9/395,386 external-priority patent/US6279242B1/en
Application filed by 맨사우어 어니스트 피., 스와겔로크 컴패니 filed Critical 맨사우어 어니스트 피.
Publication of KR20020039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9671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8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 F16L19/1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 F16L19/103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with metal rings which bite into the wall of the pipe the profile of the ring being altered with more than one ring per pipe end being us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커플링 너트(14)와, 커플링 본체(12) 및 하나 이상의 페룰(32)을 구비하는 타입의 페룰 타입 튜브 피팅(10)용의 고유의 계측 장치는, 피팅이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시각적으로 인지되고, 피팅이 초기 풀업된 때에는 덮여 있거나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게 되는 마킹이 커플링 본체 상에 정확하게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마킹은 커플링 본체의 표면에 기계 가공되는 정확한 오목부 또는 홈(50)으로서 실현된다. 홈은 초기 풀업을 위하여 본체에 대한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는 정확한 위치의 가장자리(50b)를 형성한다. 마킹은 재구성되는 피팅 조립체에 대해서는 초기의 풀업을 넘어선 본체에 대한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는 제2 가장자리를 제공하는 축방향 길이와 같은 정확한 치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표시 수단을 갖춘 튜브 피팅{TUBE FITTING WITH INDICATING MEANS}
페룰 타입의 튜브 피팅은 해당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30년 이상 동안 매우 결과가 좋았던 2개의 페룰 피팅은 레논(Lennon) 등에 의한 미국 특허 제3,103,373호에 개시된 순차 파지 기구이며, 이 특허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된다.
통상적인 페룰 타입의 튜브 피팅 조립체에서, 커플링 본체 및 이 커플링 본체의 일단부 상의 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커플링 너트를 구비하는 커플링 기구가 있다. 커플링 본체는 통상 육각형 플랜지 형태의 토크를 가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커플링 본체의 타단부는 다른 본체, 흐름 제어 장치 등에 결합되거나 그들에 일체로 될 수 있다. 커플링 본체는 축방향으로 테이퍼진 개구 또는 캐밍 마우스(camming mouth)와, 테이퍼진 개구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쇼울더(shoulder) 또는 정지부를 포함한다. 2개의 파지 요소, 즉 후방 페룰 및 전방페룰을 포함한 페룰은 커플링 너트 내에 배치되고, 커플링 본체와 커플링 너트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전방 페룰의 테이퍼진 전방 단부는 초기에 커플링 본체의 캐밍 마우스에 맞물리고, 후방 페룰의 테이퍼진 전방 단부는 초기에 전방 페룰의 후방 단부에서 캐밍 표면에 맞물린다. 커플링 너트는 후방 페룰의 후방 벽에 강하게 맞물리는 쇼울더를 구비한다. 튜브 단부는 그것이 커플링 본체의 내측 쇼울더 정지부와 맞닿을 때까지 피팅에 축방향으로 삽입된다. 커플링 요소를 축방향으로 서로를 향해 추진하는 커플링 본체 및 너트의 상대 회전 시에, 테이퍼진 페룰은 함께 축방향으로 밀리는데, 이를 해당 분야에서는 "풀업(pulled up)"되는 것으로 지칭하며, 이들 페룰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변위되어 튜브의 순차적인 내측 파지를 달성한다. 페룰은 스웨이징 작용(swaging action)에 의하여 튜브 벽을 꽉 파지한다.
통상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튜브 피팅 조립체는, 페룰이 커플링 너트에 설치되고 커플링 너트가 손으로 조여지는 위치로 커플링 본체에 나사 결합된 상태로 고객에게 운반된다. 다음에, 조립체는 튜브 단부가 바닥에 닿거나 커플링 본체 상의 내측 정지 쇼울더에 맞닿을 때까지 튜브 단부를 피팅속으로 축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한다. 피팅이 초기의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있는 경우에, 조립자는 예컨대 렌치 또는 스패너 등을 이용하여 커플링 본체와 커플링 너트를 예정된 회전으로 상대 회전시켜 설치를 완료한다. 보다 작은 튜브 피팅, 예컨대 1/4 인치 내지 1 인치의 배관에 이용된 튜브 피팅에 대해서, 적절한 초기 풀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손으로 조인 후에 1과 1/4 회전(one and a quarter "turns past finger tight" : "TPFT")의 상대 회전수가 있다.
피팅 조립체를 적절하게 풀업하기 위한 회전 수는, 페룰이 튜브 벽에 적절하게 스웨이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커플링 본체에 대한 커플링 너트의 적절한 축방향 변위와, 나사 피치를 포함한 많은 인자에 의해 결정된다. 피팅의 다양한 부품이 고정밀도로 기계 가공되고 손으로 조여진 위치로 조립되지만, 피팅을 풀업하기 위하여 회전수와 분수(fraction) 회전수의 트랙(track)을 유지하는 것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종종, 피팅은 렌치용의 제한된 간격을 갖는 영역에 설치되며, 그에 따라 한번의 완전한 회전을 위한 개별적인 렌치의 조작 횟수를 필요로 한다.
적절한 풀업을 확인하기 위하여 성공적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된 해결책은 레논 등의 미국 특허 3,287,813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NO-GO 게이지이며, 이 특허의 전체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인용된다. 이 게이지는 커플링 본체의 플랜지와 커플링 너트의 전방 단부 사이의 갭 또는 상대 간격이 정확한 치수인 가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조립자는 먼저 커플링 너트와 본체 사이에 필요한 상대 회전을 부여한다. 게이지가 본체와 커플링 너트 사이에 끼워질 수 없는 경우에, 조립자는 너트가 적어도 적절하게 풀업되었음을 알게 된다.
전술한 계측 공구가 우수한 상업적 성공과 용도를 계속적으로 향유해왔지만, 게이지의 사용이 불편할 수 있는 용례가 있다. 개별적인 계측 공구를 전적으로 필요로 하지는 않고, 오히려 피팅의 본질적인 부품일 수 있는 게이지에 대한 요구가 특히 관심의 대상이다.
추가로, NO-GO 게이지는 피팅 조립체의 초기 풀업을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경우에 따라서, 결합은 튜브 단부에 합체된 장치의 보수 또는 교환을 위하여 본체로부터 커플링 너트를 나사 결합 해제함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피팅의 재구성 중에, 통상적으로 커플링 너트와 본체 사이의 상대 회전은 초기 풀업에 필요한 것보다 약간 많은 회전을 필요로 하는데, 다시 말하면 커플링 본체를 향한 커플링 너트의 축방향 변위는 각각 이전의 풀업 조작에 비하여 약간 크게 된다. 제조업자는, 초기의 풀업 위치를 넘어선 예정된 양 또는 축방향 변위를 기초로 커플링 본체에 대한 커플링 너트의 축방향 변위 또는 재구성의 제안된 횟수(recommended number of remakes)를 결정할 수 있다. 고려되는 설계 인자는 피팅을 위해 정해지는 압력과 온도, 배관 및 피팅 요소에 사용되는 소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피팅 조립체가 견딜 수 있고 여전히 적절한 성능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재구성의 실제 횟수는 초기의 풀업 위치를 넘어선 추가의 축방향 변위의 제안된 거리보다 현저하게 클 수 있지만, 피팅 조립체가 재구성된 횟수를 조립자에게 표시할 수 있어서 커플링 너트 및 본체를 함께 초기의 풀업을 넘어서 예정된 축방향 변위로 전진시킬 수 있는 것이 경우에 따라서는 여전히 유리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핸드 게이지는 고정된 축방향 치수를 가지므로, 재구성된 피팅을 위한 추가의 축방향 변위를 확인하는 데에는 유용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기의 풀업을 위한 페룰 타입 튜브 피팅의 적절한 풀업을 확인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절한 초기의 풀업을 확인하고, 커플링 본체에 대한 커플링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를 표시하도록 피팅이 재구성된 횟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튜브 단부를 파지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페룰(ferrule)을 이용하는 타입의 튜브 피팅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은 피팅이 적절하게 풀업(pulled up)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유의 계측 특징을 갖는 페룰 타입 피팅을 도시하며, 여기서 피팅은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서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는 도 1의 피팅이 적절한 풀업 상태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은 마킹이 상승부의 형태로 있는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상승부가 선연부 및 후연부를 정하고 있는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본체의 나사로부터 간격을 둔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2개의 상승부의 형태로 있는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계단 형태로 있는 상승된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8은 테이퍼진 본체의 네크에 축방향으로 인접한 원통형 부분으로 있는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9는 본체 네크의 테이퍼진 부분으로서 형성된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10은 마킹으로서 나사를 이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11a 내지 도 11h는 다양한 마킹 홈의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있고,
도 12는 밴드 형태의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13은 상승된 립 또는 가장자리를 갖는 밴드 형태의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14는 2개의 상승부를 갖는 밴드 형태의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15는 예정된 방식으로 중첩되는 두 부품의 형태인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16은 보다 큰 직경의 밴드가 다른 밴드 위에서 활주하는 중첩 밴드 형태의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17은 마킹을 관찰하기 위한 관찰 창의 이용을 도시하고 있고,
도 18은 시각적인 표시 마킹으로서의 형상이 변경되는 밴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9, 도 19a, 도 19b는 절첩될 수 있는 탭 형태의 마킹을 도시하고 있고,
도 20은 변형된 너트를 이용하고 있는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1a 내지 도 21d는 절첩될 수 있는 링을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2는 절첩될 수 있는 탭 연장부를 사용하는 링을 도시하고 있고,
도 23a 및 도 23b는 마킹이 튜브 상에 형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4는 도 23의 실시예를 위한 마킹 공구를 도시하고 있고,
도 25 및 도 26은 회전 위치 표시기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27 및 도 28은 통상의 T형 피팅 본체에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고,
도 29는 레이저 에칭을 이용하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목적 및 그 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유 계측 장치는 커플링 본체 상에 정확하게 형성 및 배치된 마킹을 포함하며, 이 마킹은 커플링이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고, 피팅이 적절하게 풀업된 때에는 덮이거나 시각적으로 인지되지 않게 된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마킹은 커플링 본체의 표면에 기계 가공되는 정밀한 홈 또는 오목부로서 실현된다. 홈은 표면을 거칠게하든지 널링하고, 또는 예컨대 표면을 채색함으로써 보다 시각적으로 인지되게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고유 게이지(intrinsic gauge)를 사용하면, 커플링 너트 및 본체에 제공되는 상대 회전수 및 분수 회전을 카운트하거나 기억할 필요가 없다. 마킹의 위치는 초기 풀업을 위한 커플링 본체에 대한 커플링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에 상응한다.
이러한 고유 계측 장치의 용도 뿐만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 구체화되는 방법, 즉 페룰 타입의 피팅에서 커플링 본체 상에서의 커플링 너트의 적절한 풀업을 계측하는 방법도 고려되는데, 이 방법은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마킹을 커플링 본체 상에 배치하는 단계와, 커플링 본체에 대한 커플링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는 축방향 길이를 갖게 마킹을 형성하는 단계와, 피팅을 손으로 조여진 위치로 조립하는 단계와, 마킹이 너트에 의하여 시야로부터 보이질 않을 때까지 커플링 너트를 커플링 본체에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마킹은 예정된 축방향 치수로 형성될 수 있고 커플링 본체 상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어서, 적절한 초기의 풀업 시에 커플링너트는 마킹의 선연부와 정렬되고, 순차적인 재구성 중에 커플링 본체에 대한 커플링 너트의 예정된 추가의 축방향 변위 시에 너트는 마킹을 덮거나, 마킹의 후연부와 정렬된다.
본 발명은, 피팅이 초기에 풀업된 때에 시각적으로 보이는 방식으로 변경되거나 형상이 변경되는 장치를 피팅 상에 설치되거나 피팅과 일체로 되게 함으로써 초기의 풀업 위치 및 재구성 위치를 확인하는 방법도 고려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초기의 풀업 위치와, 피팅의 재구성 시의 너트의 추가의 축방향 변위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치가 제공되며, 이 장치는 피팅에 설치되거나 그와 일체로 형성되고, 피팅이 초기에 풀업된 때 및 재구성된 때에 시각적으로 보이는 방식으로 변경되거나 형상이 변경되어, 본체로의 너트의 추가의 축방향 변위를 야기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마킹이 튜브에 적용되어, 너트가 초기의 풀업 위치와, 초기의 풀업 위치를 넘어서 예정된 축방향 변위로 축방향으로 전진된 소정 위치에 설치되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이들 특징 및 이점과, 그 외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본 발명은 어떤 부품과 부품의 배치에 있어서 물리적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하의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되고, 명세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표준형의 2개의 페룰 스타일의 튜브 피팅 조립체에 채용되는 것과 같이 예시적인 방식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은 본 발명의 개념 및 장점을 설명 및 예시하기 위해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므로, 한정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상기 조립체를 이루도록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매우 다양한 튜브 피팅 및 커플링에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한정할 목적은 아니지만, 본 발명은 단일의페룰 튜브 피팅에, 또는 2개의 나사 형성 부품들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적절한 조립체가 부분적으로 결정되는 임의의 두 부품 커플링과 함께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표준형의 피팅 조립체(10)는 커플링 본체(12)와 커플링 너트(14)를 포함한다. 커플링 본체(12)는 수나사(18)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단부(16)를 구비한다. 커플링 너트(14)에는 암나사(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너트(14)는 본체(12)와 너트(14)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커플링 본체(12) 상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피팅(10)을 위한 통상의 조립 절차는 본체(12)의 회전을 구속하고 렌치로 너트(14)를 돌리는 것을 포함하지만, 이러한 절차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요구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전술한 "상대" 회전이라는 표현이 본 명세서에 사용된다. 너트(14)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면서 본체(12)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그 대안으로서 너트와 본체 양자를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상대 운동을 가함으로써 피팅(10)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너트에는 통상적으로 육각형 부분(22, 24)이 마련되어, 상대 회전을 가하는 렌치 또는 그 외의 공구의 사용을 돕는다.
본체(12)의 나사 형성 단부(16)는 커플링 본체(12)의 전체를 관통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보어 또는 통로(26)를 구비한다. 이 보어(26)에는 커플링 본체(12)의 전방 단부에 테이퍼진 캐밍 마우스(28)가 형성되어 있다. 커플링 본체(12)는 캐밍 마우스(28)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는 카운터보어로서의 내측 쇼울더(30)를 포함한다.
피팅 조립체(10)는 전방 페룰(32)과 후방 페룰(34)을 더 포함한다. 전방 페룰(32)은 커플링 본체(12)의 테이퍼진 캐밍 마우스(28)와 맞물리는 테이퍼진 코 부분(36)을 구비한다. 또한, 전방 페룰(32)은 그 후방 단부에 테이퍼진 캐밍 마우스(38)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페룰(34)은 전방 페룰(32)의 테이퍼진 캐밍 마우스(38)와 맞물리는 테이퍼진 코 부분(40)을 구비한다. 피팅(10)의 모든 부품은 미국 오하이오주 솔론 소재의 스와겔록 컴패니(Swagelok Company)에서 시판되는 것이다.
피팅 조립체(10)는 도 1에서 "손으로 조여진 위치(FTP)", 즉 통상적으로 제조자로부터 입수하였을 당시의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튜브의 단부(A)가 피팅(10)으로 삽입된 후의 피팅(10)을 도시하고 있다. 커플링 부품(12, 14)은 단지 손으로 조여져 있기 때문에, 튜브 단부(A)는 튜브의 단부 벽이 커플링 본체(12)의 내측 쇼울더(30)에 맞닿을 때까지 피팅 조립체(10)로 쉽게 활주하게 된다. 전방 페룰(32) 및 후방 페룰(34)은 모두 튜브의 외벽(C) 둘레에 밀접하게 수용되는 대략 원통형의 보어(32a, 34a)를 각각 구비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의 페룰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상이한 페룰 형상이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커플링 너트(14)는 후방 페룰(34)의 후벽(34b)과 맞물리는 구동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내측으로 연장되는 쇼울더(42)를 포함한다. 커플링 너트(14)가 커플링 본체(12)상으로 체결됨에 따라, 후방 페룰(34)은 전방 페룰(32)의 후방 단부에 있는 캐밍 마우스 속으로 전방으로 추진되어, 전술한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은 순차 파지 작업이 발생하여, 페룰(32, 34)의 내측 반경 방향의 변위를 유발하여 이들페룰은 튜브의 벽(C) 상에 강력하게 유밀식으로 파지되도록 스웨이징된다(도 2 참조).
커플링 본체(12) 상으로의 커플링 너트(14)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는 본체(12)와 너트(14) 사이의 완전한 상대 회전수 및 부분 상대 회전수와 관련이 있다. 이 너트(14)는 페룰(32, 34)에 의한 강력한 파지 작용을 튜브 벽(C)에 부여하기 위해 본체(12)에 대해 충분하게 멀리 전진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조립 지시는, 예컨대 커플링 본체(12)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면서 커플링 너트(14)에 부여하는 완전한 회전수 및 부분 회전수를 나타낸다.
피팅(10) 부품의 소재 및 설계에서의 기술적 발전에 따라, 피팅(10)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토크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구성 토크(make up torque)의 이러한 감소는 너트(14)와 후방 페룰(34) 사이의 마손을 감소시키는 개선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어떠한 이유일지라도, 감소된 토크로 인하여, 조립자가 피팅(10)의 초기 풀업에 충분한 지점을 넘어 축방향으로 너트(14)를 부주의하게 전진시키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이 지점을 넘어 너트(14)를 본체(12)에 대해 지나치게 전진시키는 것은 통상적으로 일부 용례에서 재구성을 허용하기 위한 요구에 기인한 피팅 설계에 의해 수용된다. 그러나, 초기 풀업 중에 너트(14)의 본체(12)로의 이러한 지나친 전진은 후속의 재구성에 이용할 수 있는 추가의 상대적인 축방향 변위를 감소시켜 이용 가능한 재구성 횟수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고유의 계측 장치가 커플링 본체(12) 상에 마련된다. "고유의 계측(intrinsic gauging)"이란, 단순히 계측 장치 및/또는 계측 기능또는 계측 방법론이 하나 이상의 피팅 부품에 본질적으로 실현, 조립 또는 설치되어 어떠한 외부 또는 별도의 계측 공구 없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지만 필수 사항은 아닌 예에서, 고유 게이지는 커플링 본체(12)에 정확하게 위치된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마킹으로서 실현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마킹은 커플링 본체의 네크(52)에 형성되는 정확하게 기계 가공된 홈 또는 오목부(50)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홈(50)은 나사 형성 본체(12)의 단부 나사(54)에 또는 그 근처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있다. 홈(50)은 선연부(50a)와 후연부(50b)를 구비한다. 홈(50)은, 피팅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조여진 위치(FTP)에서 있을 때 조립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 홈(50)은 원주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그 대안으로서, 예컨대 상기 홈(50)은 본체의 네크(52) 둘레에 호형의 섹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마킹이 잘 형성되고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가장자리(들) 또는 그 외의 적절한 경계를 갖는 한, 임의의 시각적인 기하 형상이 본체(12)에 기계 가공되어 마킹(50)을 형성할 수 있다.
홈(50)의 후연부(50b)의 축방향 위치(56)는 정확하게 기계 가공되어 있기 때문에, 피팅(1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초기 풀업된 때에, 커플링 너트의 전방 단부(14a)는 후연부(50b)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너트(14)는 실질적으로 홈(50)의 시각적 인식, 특히 피팅(10)의 종방향 축선(X)에 대해 측방향의 관찰 각도로부터의 시각적 인식을 실질적으로 방해한다. 후연부(50b)의 정확한 위치와 위치 설정은 마커로서 사용되므로, 조립자는 본 명세서에 "예정된 초기 풀업"으로언급하는 적절한 초기 위치로 커플링 본체(12)에 대해 커플링 너트(14)를 전진시킴으로써 피팅(10)을 풀업할 수 있다. 이러한 예정된 초기 풀업 상태는 튜브 벽(C)상으로 페룰(32, 34)을 스웨이징하는 초기 풀업을 위한 본체(12)에 대한 너트(14)의 예정된 초기 축방향 위치와 상응한다. 상기 조립체가 풀업 상태로 있기 전에 홈(50)의 시각적 인식을 돕도록, 홈(50)은 바닥 홈의 표면(58)과 같이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표면에 페인트 또는 그 외의 착색 재료를 도포함으로써 채색될 수 있다. 예컨대, 적절한 색상의 접착제 스트립이 홈(50)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홈 표면(58)을 널링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쉽게 눈에 인지될 수 있는 외관 또는 감촉으로 변경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스냅 링을 홈(50)에 설치할 수 있다.
홈(50)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변형예로서, 널링, 점각(點刻) 성형, 거칠게 하는 기계 가공 등에 의하여 기계 가공된 밴드를 네크(52) 내에 또는 그 네크 상에 형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초기 풀업 계측 특징에 있어서, 홈의 사용은 후연부(50b)의 시각적 인식을 개선시킨다. 마킹(50)이 임의의 적절한 가장자리, 라인, 또는 커플링 본체(12)에서 상승 또는 오목하게 파여 있거나, 커플링 본체(12)에 적용되는 그 외의 경계(demarcation)의 형태로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며, 상기 마커는, 예정된 초기 풀업 위치에 도달하여 너트(14)의 추가 전진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조립자에서 표시하기 위해 풀업 중에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다. 물론, 조립자는 이 위치를 지나 너트(14)를 계속 회전시킬 수 있지만, 어떤 경우에도, 고유의 게이지는 너트(14)가 적어도 초기 풀업 위치까지 풀업되었다는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조립 절차 및 고유의 계측을 위한 방법으로, 조립자는 튜브 단부(A)를 피팅에 설치한다. 렌치 또는 그 외의 적절한 공구를 사용하여, 커플링 본체(12)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고, 마킹(50)이 시야로부터 막 방해될 때까지 커플링 너트(14)를 회전시킨다. 마킹(50)용으로 간단한 경계를 사용하는 실시예의 경우, 너트의 가장자리(14a)가 마킹(50)과 실질적으로 정렬할 때까지 너트(14)를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12)와 너트(14) 사이의 완전한 상대 회전의 수 및 부분 상대 회전의 수를 카운트하거나 그 트랙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구성 및 재구성될 피팅(10)에 있어서, 선연부(50a)는 손으로 조여진 위치(FTP)에서의 선연부(50a)가 너트(14)의 전방 단부(14a)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도록 정확하게 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선연부(50a)는 적절한 풀업이 실행된 때 너트(14)의 전방 단부(14a)가 선연부(50a)와 정렬되도록 배치된다. 후속하는 재구성 중에, 너트(14)는 적절한 풀업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 번 축방향으로 약간 더 전진한다. 예정된 회수의 재구성 후에, 너트(14)의 전방 단부(14a)는 마킹(50)의 후연부(50b)와 정렬되어 마킹(50)을 실질적으로 덮으며, 조립자는, 커플링 너트(14)가 초기 풀업 상태를 지나 커플링 본체(12)에 대해 예정된 양만큼 축방향으로 전진한 지점으로 피팅(10)이 재구성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마킹(50)의 선연부(50a)와 후연부(50b) 사이의 축방향 길이는 설계 분석과 경험적 데이터로부터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마킹(50)은 예정된 초기 풀업 위치를 초과한 커플링 본체(12)에 대한 커플링 너트(14)의 예정된 전진과 상응하는 수회의 재구성 후에 너트(14)에 의해 덮이게 된다. 정확한 거리(Y)가 결정되거나 필요에 따라 본체(12)에 기계 가공될 수 있지만, 후연부의 정확한 위치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에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는, 용례에 따라서는 단지 초기 풀업 위치를 넘어 원하는 추가의 축방향 변위에 가까운 근사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형태에는 상관 없이, 마킹(50)은 본체(12)의 기계 가공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정확하게 기계 가공될 수 있으므로, 마킹은 피팅(10)의 적절한 풀업을 결정하기 위하여 정확하고 영구적인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표시를 제공한다.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예시한다. 이러한 변형예들은 본질적으로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체, 너트, 페룰 등과 같이 피팅(10)에 사용된 동일한 부품에 있어서, 그 도면 부호는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대응 부품의 도면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도 3에 있어서, 마킹(50)은 본체(12) 상의 네크(52)의 상승부(100)의 형태로 실현된다. 이 상승부(100)는 착색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피팅 조립체에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하게 처리될 수 있다. 상승부(100)는 가장자리(102)를 형성한다. 너트(14, 도 3에서는 생략)는 너트의 후방 단부(14a)가 상승부(100)를 덮을 때까지 본체(112) 상에 설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너트(14)는 적어도 가장자리(102)와 정렬되거나 그 가장자리를 덮는다. 그 다음, 이 가장자리(102)는 도 1의후연부(56)와 유사한 방법으로 너트의 원하는 초기 풀업 위치와 일치한다. 도 3에 있어서, 상승부(100)는 본체의 나사(18)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되지만, 마킹(50)의 정확한 위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사이즈의 피팅에 대하여 결정된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승부(100)는 선연부(104)를 형성하고, 가장자리(102)는 선연부(104)에 대해 후연부가 된다. 선연부(104)는 초기의 적절한 풀업 위치와 일치하도록 위치 설정되며, 후연부(102)는 너트가 초기의 풀업 위치를 지나 예정된 거리 "Y" 만큼 축방향으로 전진한 것을 피팅의 후속하는 재구성 중에 조립자에게 알리도록 위치 설정 및 사용된다. 너트(14)가 후연부(102)와 정렬될 때, 조립자는 피팅(10)이 초기 풀업 위치를 지난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이동 거리에 일치하는 횟수만큼 재구성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목표로 정한 초기 풀업 위치를 가리키도록 마킹(50)이 사용될 수 있지만, 마킹과 너트(14)의 정밀한 정렬이 반드시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 조립자는, 예컨대 의도적으로 또는 부주의하게 초기 풀업 위치의 마킹을 지나쳐 체결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예컨대 도 1의 예에서, 너트(14)가 적어도 후연부에 설치되어 초기 풀업 위치가 얻어졌다는 것을 마킹의 선연부가 조립자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거리 "Y"는 마킹(50)의 두 가장자리 또는 경계 사이의 거리로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초기 풀업 위치로부터 재구성 중에 너트(14)의 추가적인 축방향 변위의 거리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여기서 초기 풀업 위치는 목표로한 초기 풀업 위치(56)와 너트(14)의 정확한 정렬에 상응하거나, 목표 위치를 축방향으로 어느 정도 넘어선 초기 풀업 위치에 상응한다. 따라서, 예컨대 도 4에서, 상승부(100)의 축방향 길이는, 초기 풀업을 위해 너트의 전방 단부(14a)가 적어도 선연부(104)로 전진되어야 하고, 상승부(100)의 축방향 길이 내의 소정 위치로 전진될 수도 있음을 조립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상승부(100)의 후연부(102)는 목료로한 초기 풀업 위치(56)를 넘어선 추가의 축방향 변위 거리의 시각적인 표시로서 사용된다.
도 5는 도 3과 유사하지만, 상승부(100)는 여러 사이즈의 피팅을 위하여 본체의 나사(18)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을 추고 있다.
도 6의 실시예에서, 마킹(50)의 2개의 상승부(110, 112)가 본체의 네크(52) 상에 형성되어 있다. 제1 부분, 즉 선두 상승부(110)는 초기 풀업 위치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고, 제2 상승부(112)는 후속 재구성 중에 너트(도시 않음)가 초기 풀업 위치(56)로부터 예정된 거리 Y만큼 축방향으로 전진하였음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도 6에서, 초기의 풀업 위치는 상승부(110)의 후연부(110a)에 상응하므로, 상승부(110)는 너트가 초기 풀업 위치에 있을 때 실질적으로 덮여있다. 또한, 추가의 풀업 위치 지시는 제2 상승부(112)의 후연부(112a)에 해당하므로, 제2 상승부(112)는 너트가 초기 풀업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예정된 거리만큼 전진하였을 때 실질적으로 덮이게 된다.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서, 상승부(110, 112)의 상승면은 착색되거나 거칠게 기계 가공되고, 또는 그 외에 마킹(50)의 시각적인 인식을 보조하도록 처리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는, 마킹(50)이 본체(12)의 네크(52)에 있는 계단(12)으로서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4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현된다. 계단(120)은, 초기 풀업 위치(56)와, 피팅의 후속 재구성 중의 거리 Y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선연부(120a) 및 후연부(120b)를 형성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본체(12)의 네크(52)는 52a에서와 같이 축방향으로 테이퍼져있다. 네크(52)는, 본 실시예에서 본체 나사(18)의 후방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원통형 부분(130)으로 테이퍼져있다. 따라서, 마킹(50)은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원통형 부분(130)의 형태로 실현된다. 너트는, 마킹(50)이 실질적으로 너트에 의해 덮이고 그에 따라 너트가 초기 풀업 위치에 있음을 가리킬 때까지 본체(12)로 전진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본체(12)의 네크(52)는 네크(52)의 예정된 부분(140)에 걸쳐 축방향으로 테이퍼져있다. 테이퍼부(140)는 홈(142)에 축방향으로 인접하므로, 홈(142)과 테이퍼부(140) 사이에 가장자리(144)를 형성한다. 가장자리(144)는 초기 풀업 위치(56)에 상응하므로, 홈(142)은 너트가 초기 풀업 위치(56)에 설치되었을 때 너트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덮이게 된다. 테이퍼부(140)의 축방향 길이는 피팅의 후속하는 재구성 중에 너트(14)의 추가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에 대한 거리 Y를 정하여, 테이퍼부(140)는 너트가 후속 재구성 중에 거리 Y만큼 전진되었을 때 너트에 의해 실질적으로 덮인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마킹(50)은 홈(142) 및 테이퍼부(140)를 포함한다.
도 10의 실시예에서, 본체(12)의 나사(18)는 나사(18)의 후방 단부가 초기 풀업 위치(56)에 상응하도록 정밀 기계 가공된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에서의 마킹(50)은 나사(18)의 단부 형태로 실현된다.
도 11a 내지 도 11f는, 홈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마킹(50)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본체(12)의 네크(52)에 형성된 다양한 홈 형상 또는 기하형태를 도시한다. 이들은, 특정 홈 형상이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한 것이다. 특히, 도 11h는 타원형 가장자리를 갖는 홈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네크(52)의 기계 가공 홈 또는 상승부 대신에 본체(12)의 네크 상에 설치된 밴드를 사용하는 고유 게이지를 채용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밴드(150)는 채색되거나, 그외의 방식으로 시각적으로 인식될 수 있으며, 너트(14; 도시 않음)가 밴드(150) 위에서 쉽게 연장될 수 있도록 충분히 얇다. 밴드(150)는, 초기 풀업 위치(56)와, 후속 재구성 중의 너트 운동의 예정된 축방향 거리(Y)에 상응하는 선연부(50a) 및 후연부(50b)를 정하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마킹(50)을 포함한다. 도 13은 이러한 개념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밴드(150)는 너트(14)의 초기 풀업 위치(56)에 상응하는 가장자리(154)를 정하는 상승 립(152)을 포함한다. 도 14는 밴드(150)가 제1 상승부(160) 및 제2 상승부(162)를 포함하고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상승부(160, 162)는 초기 풀업 위치(56) 및 후속 재구성 중의 예정된 축방향 거리 Y를 각각 가리키는 상응하는 가장자리(160a, 162a)를 정한다. 다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리 Y는 목표로한 초기 풀업 위치(56)와 추가의 축방향 변위 위치(예를 들어, 도 12에서 50b, 도 14에서 162a) 사이의 축방향 거리에 상응할 수 있거나, 또는 너트(14)가 본체(12) 상에서 회전되는 실제의 초기 풀업 위치와 추가의 변위 위치 사이의 축방향 거리에 상응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커플링 본체(12)에는 대략 원통형의 본체 밴드 또는 슬리브(200)가 부착된다. 본체 밴드(200)는 본체(12) 상의 너트(14)의 초기 풀업 위치(56)에 상응하게 정확하게 결정된 위치(202)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커플링 너트(14)는 너트의 전방 단부(14a)에 부착된 너트 탭(204)를 포함한다. 너트 탭(204)은 본체 밴드(20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후방 단부(204a)를 구비한다. 너트(14)가 너트(14)와 본체(12) 사이의 상대 회전에 의해 본체 나사(18) 상으로 전진함에 따라, 너트 탭(204)은 본체 밴드(200)를 향해 전진한다. 탭의 후방 단부(204a)가 본체 밴드(200)의 전방 단부(202)와 정렬되는 경우, 조립자는 너트(14)가 초기 풀업 위치에 있음을 알게 된다. 선택적으로, 탭(204)의 축방향 치수는 피팅(10)의 후속 재구성 중에 너트가 전진하는 축방향 거리 Y에 상응하도록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조건에서, 너트(14)는, 본체 밴드(200)의 전방 단부(202)가 탭(204)을 덮거나 너트(14)의 전방 단부(14a)에 부딪칠 때까지 후속 재구성 중에 전진된다.
도 16의 실시예에서, 너트 탭(204')은 본체 밴드(2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게 치수가 정해진다. 이 경우에, 너트(14)가 본체(14) 나사 상에서 전진함에 따라, 탭(204')은 본체 밴드(200') 위로 미끄러질 수 있다. 탭(204')이 본체 밴드(200)의 전방 단부(202')와 정렬될 때, 초기 풀업 위치가 표시된다.
도 15 및 도 16의 실시예에서, 밴드(200, 200')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강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밴드는 본체(12)에 부착되거나 본체(12)로부터 기계 가공될 수 있다. 너트 탭(204, 204')은 너트(14)의 일부로서 기계 가공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에서, 마킹(50)은 나사(18)에 인접하게 본체(12)에 위치된다. 마킹(50)은 밴드일 수 있고, 기계 가공된 표면, 홈 또는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기타 적당한 마킹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마킹(50)은 본체 네크(52)의 둘레에서 연속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예에서, 너트(14)를 통하는 반경 방향 관찰 창(220)이 마련된다. 너트(14)는 마킹(50)이 먼저 창(220)에서 보일 때까지 너트 본체(12) 상에 설치된다. 이 위치는 초기 풀업 위치에 상응한다. 마킹(50)의 축방향 길이는 피팅(10)의 후속 재구성 중에 너트(14)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Y)에 상응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마킹(50)이 창(220)을 통하여 더 이상 보이지 않는 지점까지 너트(14)가 전진하는 경우, 조립자는 너트(14)가 예정된 거리 Y만큼 축방향으로 전진되었음을 알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에서, 고유 게이지는 초기에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하나 이상의 경계를 갖는 마킹(50)을 형태로 구현되며, 이 마킹은 초기 풀업 위치 또는 추가의 축방향 변위 위치에서 시각적으로 정렬되거나 인식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은 피팅(10)의 추가의 특징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들 대안적인 실시예는, 이들이 피팅 조립체(10)에 채용될 수 있고 별도의 또는 외부의 계측 도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고유 게이지(intrinsic gauging)로서 지칭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금속 스탬프와 같은 상승 밴드(300)가 본체 네크(52) 상에 위치된다. 밴드(300)의 자유단(302)이 상승되어, 너트(14)의 전방 단부(14a)는 너트(14)가 초기 풀업 위치(56)에 도달하였을 때 밴드(300)와 맞물리고 그 밴드를 변위시킨다. 밴드(300)는, 너트(14)가 초기 풀업 상태에 도달할 때 또는 너트(14)가 피팅의 후속 재구성 중에 예정된 거리 Y만큼 축방향으로 더욱 전진되었을 때, 파괴되도록 제조될 수도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절첩 가능한 탭을 사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네크(52)의 둘레에서 본체(12) 상에는 표시 링(400; 도 19b)이 설치된다. 표시 링(400)은 복수 개의 축방향 연장 탭(402)을 포함한다. 이 예에서, 각각의 탭(402)은 반경방향 플랜지(403)를 구비한다. 각 플랜지(403)의 전방면(404)은 너트(14)에 대한 초기 풀업 위치(56)에 상응하도록 정밀한 위치에 있다.
초기 풀업을 위하여, 너트(14)는 너트(14)의 전방 단부(14a)가 탭(402)의 전방면(404)에 접촉 또는 정렬될 때까지 본체(12) 상에 설치된다(도 19b). 너트(14)가 링(400), 구체적으로 플랜지(403)에 접촉하였음을 조립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함줌으로써 과잉 체결은 방지된다. 너트(14)가 본체(12)에 대해 계속해서 회전되면, 탭(402)은 내측으로 접히거나 굽혀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탭(402)의 압축은 필요에 따라 후속 재구성 중의 추가의 축방향 변위 거리 Y를 가리키는 표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후속 재구성 동안에, 본체(12) 상으로의 너트(14)의 추가의 축방향 전진은 탭(402)의 추가의 압축 또는 절첩을 야기하게 된다. 탭(402)의 완전한 압축은 너트(14)가 초기 풀업 위치(56)를 지나쳐 거리 Y만큼 전진하였음을 알리는 시각 표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변형된 너트(450)와 함께 사용되는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피팅(10) 및 마킹(50)의 모든 특징은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너트(450)는 6각면(452)이 본체 단부가 아닌 너트의 튜브 단부에 형성되게 변형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너트(450)는 마킹(50)의 영역에 인접한 직경 감소부(454)를 구비하여, 마킹을 시각적으로 검출하기 쉽게 하고, 마킹(50)과 너트 단부(456)의 정렬을 결정하는 시각적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도 21a 내지 도 21c는 부착 가능한 링(500)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링(50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이고, 임의의 적당한 방법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링(500)은 강성 본체(502)와, 압축성 또는 절첩식 부분(504)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예에서, 압축성 부분(504)은 복수 개의 얇은 웨브형 레그(508)에 의해 강성 본체(502)에 부착된 얇은 벽(506)을 포함한다. 레그(508)는 절첩식 부분(504)의 원통형 벽에 구멍을 기계 가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도 21a는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있는 피팅(10)을 도시한다. 도 21b에서, 너트(14)는 전방 벽(506)이 본체(12)의 전방면(12b)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본체(12) 상에 설치되었다. 이것은 초기 풀업 위치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후속 재구성 중에, 도 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 웨브(508)는 너트가 각각의 재구성에 따라 더욱 전진함에 따라 절첩된다. 레그(508)의 완전 압축은 조립자에게 추가의 축방향 변위를 알리는 시각 표시로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추가의 재구성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정지부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1d 내지 도 21f의 실시예에서, 압축성 정지부 칼라(850)는, 예컨대 너트(14)가 손으로 조여진 위치(도 21e)에 설치되기 전에 칼라(850)와 너트(14) 사이에 축방향 갭(852)을 형성함으로써, 피팅이 구성되지 않았을 때 칼라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본체(12) 상에 설치된다. 도 21e에서, 너트(14)는 너트의 전방 벽(14a)이 칼라(850)를 건드리도록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너트(14)와 칼라(850) 사이의 이러한 접촉은 칼라(850)가 자유롭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 또는 제한하므로, 적당한 초기 풀업의 표시로서 사용될 수 있다. 후속 재구성 시에, 도 2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14)가 그 초기 풀업 위치를 지나쳐 축방향으로 더욱 전진함에 따라, 칼라(850)는, 너트(14)의 예정된 축방향 전진 시에 구겨지거나, 그와 달리 절첩되는 얇은 연장부 또는 일련의 탭(854)을 포함한다. 명확화를 위해서, 도 21e 및 도 21f에는 페룰을 생략한다.
도 22는 절첩 가능한 부분(504')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다. 도 22의 예에 있어서, 링(504')의 절첩 가능한, 즉 압축성 부분(504')은 메인 본체(502')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련의 탭 연장부(510)의 형태로 실현된다. 이들 탭(510)은 피팅(10)의 초기 구성 중에 본체(12)와 맞물림에 따라 절첩된다.
도 23a 및 도 23b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는, 초기의 풀업 위치(56)와 추가적인 축방향 변위 위치(그리고 거리 Y)가 튜브(T) 상의 마킹(600)에 의하여 시각적으로 표시된다. 이 예에서, 마킹(600)은 2개의 경계 또는 라인(602, 604)의 형태로 실현된다. 이들 경계(602, 604)는 튜브 벽(606)에 형성되거나, 밴드, 채색된 라인 등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서, 2개의 라인(602, 604)은 너트(14)에 의하여 조립자의 시야로부터 가려진다. 제1 라인(602)은, 도 2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라인(602)이 보일 때까지 너트(14)가 초기의 풀업 중에 본체(12) 위로 전진되도록 배치된다. 제2 라인(604)은, 너트(14)가 초기의 풀업 위치(56)를 지나 추가의 축방향 변위 Y만큼 전진된 후에 후속 재구성 중에, 제2 라인(604)이 보일 수 있도록 배치된다.
도 24는 도 23a 및 23b의 실시예에 따라 튜브(T)에 마킹을 하기에 적합한 공구(650)를 예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 공구(650)는 중공의 단일 종단 원통형 슬리브(652)의 형태로 실현된다. 이 슬리브는 후방벽(654)을 구비하고, 이 후방벽에 튜브 단부(656)의 바닥이 맞닿게 되어 있다. 슬리브(652)에는 한 쌍의 반경 방향 홀(658, 660)이 형성되어 각각의 마킹 공구(662, 664)를 수용한다. 이들 공구(662, 664)는 축방향으로 예정 거리 Y만큼 떨어져 있다. 슬리브(652) 내에서 튜브(T)를 회전시킴에 따라, 공구(662, 664)는 튜브(T)의 표면을 긁거나, 그렇지 않으면 도 23a 및 도 23b와 관련하여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라인(602, 604)에 상응하는 라인을 형성한다.
도 2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치 표시 밴드(700)가 너트 본체(12)에 부착되어 있다. 이 밴드는 "출발" 위치 인식부(702)와 "최종" 위치 인식부(704)를 포함한다. 너트(14)는 초기에 본체(14) 상에서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설치된다. 그 후에, 이 너트(14)에는 제조업자 또는 조립자가 적절한 방법으로 마킹을 한다. 출발 위치 인식부(702)와의 축방향 정렬을 위하여 너트상의 정렬 마크(도시하지 않음)가 너트에 적용되는데, 이 마크는 통상 너트의 전면(14a) 또는 너트 본체의 하나의 육각 면에 적용될 수 있다. 그 후, 너트는 본체에 대하여 정해진 수의 완전 및 부분 회전수만큼 회전되는데, 여기서 너트(14)는 너트 정렬 마크가 최종 위치 인식부(704)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회전된다. 이 기술은 조립자가 완전 및 부분 회전의 트랙을 유지하는 것을 필요로 하지만, 명확히 정해진 출발 위치 인식부와 최종 위치 인식부가 있기 때문에 보다 정밀하게 최종의 풀업 위치를 달성한다. 도 26은 표시 밴드(700')가 너트(14) 상에 마련되는 예를 예시하고 있다. 피팅(10)이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조립되면, 정렬 마크가 밴드(700') 상의 출발 위치 인식부(702')와 축방향으로 정렬되게 본체(12)에 적용된다. 그 후, 너트(14)는 본체(12) 상의 정렬 마스크가 밴드(700') 상의 최종 위치 인식부(704')와 축방향으로 정렬될 때까지 정해진 회수의 완전 및 부분 회전수만큼 상대적으로 회전된다.
도 27 및 도 2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이 T형 피팅(800)에 사용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피팅(800)은 3개의 동일한 피팅 단부(804)를 구비한 메인 본체(802)를 포함한다. 이 예에서, 각 피팅 단부(804)는 본 발명에 따른 마킹(50)을 포함하지만, 3개의 피팅 단부 모두가 마킹(50)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도 28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마킹(50)은 각 피팅 단부(804)의 네크부(22)에 기계 가공되는 홈(806)의 형태로 구현된다. 홈의 선연부(808)은 나사 형성 단부(18)의 최종 나사로부터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있으며, 따라서 계단부(810)를 형성한다. 홈의 후연부(812)는 후속 재구성 중에 너트(14)의 추가적인축방향 변위(도시되지 않음)를 표시하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명세서 중의 다른 예에서처럼, 초기의 풀업 위치(56)는 너트(14)의 전방 단부를 홈(806)의 선연부(808)와 정렬시킴으로써 표시되거나, 또는 홈(806) 영역 내의 어느 곳에서든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너트(14)의 전방 단부로 간단히 구체화될 수도 있다.
도 29는 피팅이 손으로 조여진 위치로 조립된 후에 너트(14)와 본체(12)에 라인 마킹(900a, 900b)이 적용되는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라인 마킹(900)은 레이저 에칭을 비롯한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형성해도 좋다. 피팅은 설치를 위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분해된 후에 마킹(900a, 900b)이 정렬되게 손으로 조여진 상태로 재구성될 수 있다. 그 후, 마킹들이 다시 정렬될 때까지 너트를 완전히 한 바퀴 회전시킴으로써 초기의 풀업이 확인된다. 본 실시예는 초기의 풀업을 위하여 단 한 바퀴의 회전을 이용하는 피팅에 특히 적합하다. 라인 마킹(900a, 900b)은 차후의 재구성 중에 초기의 풀업을 벗어난 추가적인 축방향 변위를 표시하도록 홈과 같은 다른 마킹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다. 당업자에게는,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하면 수정예 및 변형예가 떠오를 것이다. 청구된 발명의 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들어오는 한 그러한 모든 수정예 및 변형예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Claims (31)

  1. 페룰 타입의 튜브 피팅용 고유의 계측 조립체로서,
    튜브 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나사 형성 단부를 구비한 커플링 본체와,
    커플링 본체의 상기 나사 형성 단부와 맞물리는 나사 형성 커플링 너트와,
    상기 너트 내부에 유지되는 하나 이상의 페룰과,
    피팅이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시각적으로 보이고, 피팅이 초기의 풀업 위치로 튜브 단부 상에서 조립된 후에는 실질적으로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 커플링 본체 상의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마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커플링 본체 상의 기계 가공된 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상기 커플링 본체의 나사 형성 단부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가공된 표면은 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초기 풀업을 위하여 커플링 본체에 대한 커플링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전진에 상응하는 축방향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상기 커플링 본체의 네크부에서 기계 가공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상기 커플링 본체에 기계 가공된 오목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예정된 축방향 길이의 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채색 가공된 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마킹의 선연부 및 후연부를 형성하는 상기 커플링 본체 상의 2개 이상의 경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연부는 조립체의 예정된 초기 풀업에 상응하고, 상기 후연부는 상기 초기 풀업을 넘어선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너트의 추가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상기 본체 상에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되는 경계를 포함하며, 이 경계는 초기 풀업을 위하여 상기 본체에 대한 상기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는, 너트가 초기 풀업을 위하여 상기 예정된 축방향 변위 만큼 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된 때에 상기 커플링 너트의 전방 단부와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가장자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는 너트가 초기 풀업을 위하여 적어도 상기 예정된 변위만큼 본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변위된 후에는 실질적으로 시야로부터 가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14. 페룰 타입의 튜브 피팅 조립체용 고유의 계측 조립체로서,
    튜브 단부와 하나 이상의 페룰을 수용할 수 있는 나사 형성 단부를 가지며, 피팅 조립체로서 커플링 나사와 맞물릴 수 있는 커플링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본체는 피팅 조립체가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 시각적으로 보이는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마킹을 구비하며, 이 마킹은 피팅 조립체가 튜브 단부 상에 적절하게 풀업된 때에 커플링 너트에 대하여 예정된 관계를 가지며, 상기 마킹은 초기의 풀업을 위하여 본체에 대한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커플링 본체 상의 기계 가공된 표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은 커플링 본체의 상기 나사 형성 단부의 후방 단부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가공된 표면은 널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은 2개의 경계에 의해 정해지는 예정된 축방향 길이를 가지며, 제1 경계는 초기의 풀업을 위하여 커플링 본체에 대한 커플링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며, 제2 경계는 상기 초기 풀업을 넘어선 본체에 대한 너트의 추가의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19. 페룰 타입의 피팅에서 커플링 본체 상에서의 커플링 너트의 적절한 풀업을계측하는 계측 방법으로서,
    a.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는 마킹을 커플링 본체 상에 형성하는 마킹 형성 단계와,
    b. 상기 마킹 형성 단계는 초기 풀업을 위하여 커플링 본체에 대한 커플링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게 마킹을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며,
    c. 마킹이 너트와 상응할 때까지 커플링 너트를 커플링 본체 상에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형성 단계는 커플링 본체에 홈을 기계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형성 단계는 상기 홈에 유색 표면을 피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형성 단계는 상기 홈의 표면을 널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이 실질적으로 시야로부터 가려질 때까지 본체에 대한 너트의 축방향 변위를 발생시키도록 너트와 본체 사이에 상대 회전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 형성 방법은 커플링 본체 상에 2개 이상의 경계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경계를 선연부 및 후연부로서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연부는 피팅의 초기 풀업을 위하여 본체에 대한 너트의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고, 후연부는 초기의 풀업을 넘어선 본체에 대한 너트의 추가의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방법.
  25. 본체,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및 하나 이상의 페룰을 포함하는 타입의 튜브 피팅용 고유의 계측 조립체로서,
    너트 및 피팅 본체의 하나에 설치되는 계측 장치를 포함하며, 이 계측 장치는 피팅이 먼저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에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제1 형상을 가지며, 피팅이 초기의 풀업 위치에 이르기까지 풀업된 때에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제2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장치는 피팅이 풀업됨에 따라 축방향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 장치는 느슨하게 설치되어 피팅이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에는 자유롭게 회전하며, 상기 계측 장치는 피팅이 풀업된 때에는 회전이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축방향으로 압축되고, 피팅의 추가의 풀업시에 시각적으로 인지 가능한 형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29. 본체, 본체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 및 하나 이상의 페룰을 구비하는 타입의 튜브 피팅용 고유의 계측 조립체로서,
    본체 상의 제1 마킹과 너트 상의 제2 마킹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마킹 및 제2 마킹은 피팅이 손으로 조여진 위치에 있을 때는 정렬되고, 상기 마킹들은 피팅이 풀업됨에 따라 오정렬되며, 상기 마킹은 피팅이 완전히 풀업된 때에 다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유의 계측 조립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킹 및 제2 마킹은 너트 및 본체의 회전 축선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지향된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1. 제19항에 있어서, 너트 상에 제2 마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마킹은 피팅이 손으로 조여진 상태로 있을 때는 예정된 방식으로 정렬되고, 본체 상에서의 너트의 초기 체결 중에 오정렬되고, 본체에 대한 너트의 예정된 축방향 변위 후에 다시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 방법.
KR1020027003353A 1999-09-13 2000-09-12 표시 수단을 갖춘 튜브 피팅 KR200200396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95,386 1999-09-13
US09/395,386 US6279242B1 (en) 1999-09-13 1999-09-13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US15996599P 1999-10-18 1999-10-18
US60/159,965 1999-10-18
PCT/US2000/024900 WO2001020214A1 (en) 1999-09-13 2000-09-12 Tube fitting with indicating mea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9671A true KR20020039671A (ko) 2002-05-27

Family

ID=2685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3353A KR20020039671A (ko) 1999-09-13 2000-09-12 표시 수단을 갖춘 튜브 피팅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EP (1) EP1216377B1 (ko)
JP (1) JP4172935B2 (ko)
KR (1) KR20020039671A (ko)
CN (1) CN1192178C (ko)
AT (1) ATE360171T1 (ko)
AU (2) AU778387B2 (ko)
CA (2) CA2629361A1 (ko)
DE (1) DE60034466T2 (ko)
IL (1) IL148632A0 (ko)
MX (1) MXPA02002878A (ko)
TW (1) TW552369B (ko)
WO (1) WO200102021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34B1 (ko) * 2010-02-11 2010-10-12 주식회사 비엠티 조임량 확인이 가능한 튜브 피팅 구조
WO2014077538A1 (ko) * 2012-11-13 2014-05-22 디케이락 주식회사 결합돌기와 첵 마아킹이 형성된 튜브체결구
KR20180125534A (ko) * 2016-03-23 2018-11-23 스웨이지락 캄파니 스트로크 저항 특징부를 갖는 도관 피팅
KR20190108631A (ko) * 2017-03-20 2019-09-24 김병국 플렉시블 튜브와 피팅 몸체의 조립체와 그 조립 방법
KR20230149739A (ko) 2022-04-20 2023-10-27 디케이락 주식회사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4817B2 (en) * 1999-09-13 2007-03-27 Swagelok Company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US6640457B2 (en) * 1999-09-13 2003-11-04 Swagelok Company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US6279242B1 (en) 1999-09-13 2001-08-28 Swagelok Company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AUPR447001A0 (en) 2001-04-19 2001-05-17 Philmac Pty Ltd Pipe coupling
DE60319545T2 (de) 2002-07-17 2009-04-02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Verfahren zur verbindung von expandierbaren rohren
UA81123C2 (uk) 2002-07-18 2007-12-10 Шелл Інтернаціонале Рісерч Маатшаппідж Б.В. Маркування трубних з'єднань
US7774917B2 (en) 2003-07-17 2010-08-17 Tubefuse Applications B.V. Forge welding tubulars
JP2005036947A (ja) * 2003-07-18 2005-02-10 Ihara Science Corp 管継手
TW200602577A (en) * 2004-04-22 2006-01-16 Swagelok Co Fitting for tube and pipe
US7497483B2 (en) 2004-04-22 2009-03-03 Swagelok Company Fitting for tube and pipe with cartridge
FR2872561B1 (fr) * 2004-06-30 2008-02-08 Chuchu Decayeux Soc Par Action Dispositif de raccord d'un tuyau, procede de montage associe et dispositif de tirette
US20080309076A1 (en) * 2005-02-25 2008-12-18 Waters Investments Limited Device and Method for a Fluid-Tight Connection
US8007013B2 (en) 2006-01-13 2011-08-30 Swagelok Company Fitting with adapted engaging surfaces
WO2008051500A1 (en) * 2006-10-23 2008-05-02 Swagelok Company Installation arrangement for a conduct gripping device
JP2008286338A (ja) * 2007-05-18 2008-11-27 Daikin Ind Ltd 食い込み式管継手、冷凍装置及び温水装置
WO2009018079A1 (en) * 2007-07-27 2009-02-05 Swagelok Company Tapered nut for tube or pipe fitting
DE102007048948B4 (de) * 2007-10-12 2014-11-2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bindungsanordnung
WO2009149048A2 (en) * 2008-06-02 2009-12-10 Swagelok Company Fitting assembly evaluating apparatus and methods
US10215315B2 (en) 2008-09-05 2019-02-26 Parker-Hannifin Corporation Tube compression fitting and flared fitting used with connection body and method of making same
US7837238B2 (en) * 2009-01-12 2010-11-23 Krausz Industries Development Ltd Pipe grip ring
CN105065810B (zh) * 2009-02-20 2018-06-12 斯瓦戈洛克公司 具有扭矩箍的导管配件以及用于拉近导管配件的方法
EP3301337A1 (en) 2009-02-20 2018-04-04 Swagelok Company Fitting assembly evaluating apparatus and methods
WO2010129261A1 (en) 2009-04-27 2010-11-11 Swagelok Company Tapered drive nut for conduit fitting
WO2011062847A1 (en) * 2009-11-20 2011-05-26 Alcoa Inc. Lockwireless anti-rotation fitting
EP2591261B1 (en) * 2010-07-09 2019-10-23 Swagelok Company Conduit fitting with flexible torque collar
US8569070B2 (en) * 2010-07-16 2013-10-29 Idex Health & Science Llc Connection assembly for ultra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US8523503B2 (en) * 2010-07-30 2013-09-03 Nuovo Pignone, S.P.A. Threaded joint and method of sealing a threaded joint
KR101338185B1 (ko) * 2012-12-10 2013-12-09 주식회사 새롬테크 수밀구조를 갖는 파이프 이음구
KR101372931B1 (ko) * 2013-06-12 2014-03-12 주식회사 유니락 파이프 피팅 장치
WO2015171998A2 (en) 2014-05-09 2015-11-12 Swagelok Company Conduit fitting with components adapted for facilitating assembly
JP6410465B2 (ja) * 2014-05-14 2018-10-24 株式会社Kvk 管継手
WO2015187958A1 (en) 2014-06-04 2015-12-10 Parker-Hannifin Corporation Compression fitting with torque nut
KR102390780B1 (ko) * 2015-03-06 2022-04-25 스와겔로크 컴패니 커플링에서 변형 검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561340B2 (ja) * 2017-06-13 2019-08-21 株式会社トヨックス 管継手
CN108317153B (zh) * 2017-10-24 2019-12-10 喜利得股份公司 具有接合指示件的紧固件联接件
AU2020247986B2 (en) * 2019-03-27 2023-02-16 Nippon Steel Corporation Threaded connection for steel pipe
ES2969596T3 (es) * 2019-06-13 2024-05-21 Parker Hannifin Corp Conjuntos de acoplamiento roscados para interconectar conductos de transporte de fluido
CN111102408A (zh) * 2019-12-23 2020-05-05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电推进发动机的阴极管路绝缘密封接头
CN111140400B (zh) * 2019-12-23 2021-10-2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电推进发动机的阳极进气组件
CN111322470B (zh) * 2020-03-13 2021-09-14 浙江双森金属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锁扩式管道连接件
WO2023064726A1 (en) * 2021-10-15 2023-04-20 Reliance Worldwide Corporation Water heater expansion tank fitting te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9798A (en) * 1934-04-30 1936-02-04 John C Schellin Hose coupling thread terminus indicator
US3103373A (en) 1961-06-29 1963-09-10 Crawford Fitting Co Controlled phase sequential gripping device
US3287813A (en) 1961-12-04 1966-11-29 Crawford Fitting Co Gauge for coupling components
GB1361372A (en) * 1972-03-13 1974-07-24 Weatherhead Co Tube couplings
US4162802A (en) * 1978-03-27 1979-07-31 Aeroquip Corporation Permanent flareless tube connector
GB2049853B (en) * 1979-05-23 1983-04-27 Neil Holdings Ltd James Pipe couplings
US5388866A (en) * 1990-03-09 1995-02-14 Lourdes Industries High pressure coupling with provision for preventing separation of parts and with anti-galling provision
DE19709464C2 (de) * 1997-03-07 2000-03-09 Voss Armaturen Rohrverschraubung mit Schneidring für metallische Rohrleitungen
JP3044612B2 (ja) * 1997-09-19 2000-05-2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継手用締付部材の合成樹脂製締付規制具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334B1 (ko) * 2010-02-11 2010-10-12 주식회사 비엠티 조임량 확인이 가능한 튜브 피팅 구조
WO2011099667A1 (ko) * 2010-02-11 2011-08-18 주식회사 비엠티 조임량 확인이 가능한 튜브 피팅
US9528640B2 (en) 2010-02-11 2016-12-27 Bmt Co., Ltd. Tightness-indicating tube fitting
WO2014077538A1 (ko) * 2012-11-13 2014-05-22 디케이락 주식회사 결합돌기와 첵 마아킹이 형성된 튜브체결구
KR20180125534A (ko) * 2016-03-23 2018-11-23 스웨이지락 캄파니 스트로크 저항 특징부를 갖는 도관 피팅
KR20190108631A (ko) * 2017-03-20 2019-09-24 김병국 플렉시블 튜브와 피팅 몸체의 조립체와 그 조립 방법
KR20230149739A (ko) 2022-04-20 2023-10-27 디케이락 주식회사 회전수 제어가 가능한 자동회전 체결공구 및 이를 이용한 체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34466T2 (de) 2008-01-03
TW552369B (en) 2003-09-11
DE60034466D1 (de) 2007-05-31
ATE360171T1 (de) 2007-05-15
JP4172935B2 (ja) 2008-10-29
WO2001020214A1 (en) 2001-03-22
EP1216377A1 (en) 2002-06-26
AU7828400A (en) 2001-04-17
CA2384835C (en) 2008-08-12
MXPA02002878A (es) 2003-07-21
CN1192178C (zh) 2005-03-09
AU2005200125A1 (en) 2005-02-10
AU778387B2 (en) 2004-12-02
CA2629361A1 (en) 2001-03-22
CN1390285A (zh) 2003-01-08
CA2384835A1 (en) 2001-03-22
IL148632A0 (en) 2002-09-12
EP1216377B1 (en) 2007-04-18
JP2003509645A (ja) 200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39671A (ko) 표시 수단을 갖춘 튜브 피팅
US6640457B2 (en)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US7194817B2 (en)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US6279242B1 (en) Intrinsic gauging for tube fittings
JP2008512628A5 (ko)
US11642765B2 (en) Drive guide
US7448143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serting a probe
EP1536175A2 (en) Tube fitting with indicating means
WO2018166659A1 (en) Telescopic maneuvering wrench for facilitating anchoring of sanitary fixtures to a wall
JPS63241301A (ja) 雌ねじのねじ部の長さ測定具
JPH11153401A (ja) ボルト余長等の測定具
US3044178A (en) Thread taper gage
GB2220716A (en) An indicator system for threaded pipe coupling
GB2288215A (en) Gauge for use with pipe fittings
KR20010016385A (ko) 조임각도 제어방식 암수나사 및 그 결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