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49370A - 바닥 신호등 - Google Patents
바닥 신호등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30149370A KR20230149370A KR1020220048108A KR20220048108A KR20230149370A KR 20230149370 A KR20230149370 A KR 20230149370A KR 1020220048108 A KR1020220048108 A KR 1020220048108A KR 20220048108 A KR20220048108 A KR 20220048108A KR 20230149370 A KR20230149370 A KR 202301493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d
- vertex
- vertices
- unit cell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8000003464 asthen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68 polycarbonate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31 polycarbonate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신호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보행자에게 바닥 신호등의 빛이 과도하게 방출되어 보행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지 않게 하면서 운전자에게는 바닥 신호등에 의한 운전방해를 방지하기 위한 바닥 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도로측과 보행자측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 신호등으로서,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와,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에 배치되며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에 형성되는 엘이디(220)로 이루어지는 엘이디 모듈(200)과,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 및 엘이디 모듈(200)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의 상면에는 상기 기판(210)을 수용하며 보행자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모듈 수용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300)의 저면에는 상기 엘이디(220)를 수용하기 위해 엘이디(22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엘이디(220)와 이격되도록 엘이디 수용홈(3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도로측과 보행자측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 신호등으로서,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와,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에 배치되며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에 형성되는 엘이디(220)로 이루어지는 엘이디 모듈(200)과,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 및 엘이디 모듈(200)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의 상면에는 상기 기판(210)을 수용하며 보행자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모듈 수용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300)의 저면에는 상기 엘이디(220)를 수용하기 위해 엘이디(22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엘이디(220)와 이격되도록 엘이디 수용홈(3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신호등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행자측 및 운전자측의 눈부심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바닥신호등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에는 도로상의 차량 주행을 멈추도록 하고 보행자가 안전하게 도로를 횡단할 수 있도록, 차량통행용 교통신호와 연동하여 작동하면서 차량통행과 보행자 통행을 순차적으로 허용하는, 보행자용 교통신호등이 설치된다.
따라서 보행자들은 보행자용 교통신호등의 점등에 따라 횡단보도를 횡단하게 되는데, 보행자용 교통신호동이 녹색이면 보행자 신호로 인식하여 횡단보도를 이용하여 도로를 건너게 되며, 교통신호등이 적색이면 횡단을 하지 않고 대기선에서 대기하게 된다.
한편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하여 도로 위를 보행하는 보행자들에 대한 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는데, 스마트폰에서 눈을 떼지 않고 걷는 사람을 뜻하는 이른바 '스몸비족(스마트폰+좀비를 합한 신조어)'으로 인하여 도로 상에서의 안전이 크게 위협 받고 있는 상황이다.
예를 들어 보행 중에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다가 전봇대나 표지판 등 도로 주변에 설치된 시설물에 부딪치는 경우도 있고, 보행자 상호간에 서로 부딪히는 안전사고도 많이 발생된다.
특히, 횡단보도에서 보행자가 신호를 기다리면서 스마트폰을 쳐다보다가 보행자 신호가 아닌데도 불구하고 무심결에 횡단보도를 건너려 하다가 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많으며, 보행자 신호로 바뀐 줄도 모르고 스마트폰만 쳐다보고 있다가 보행자 신호가 끝나갈 때쯤에야 이를 알아채고 갑자기 급한 마음에 횡단보도를 건너려 하다가 신호가 바뀌어 교통사고를 당하는 경우도 있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 들어 횡단보도 또는 횡단보도와 연결되는 보행자 도로 등의 바닥에 매립되어 교통신호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보행자 신호를 LED 빛으로 발산하는 보행자용 바닥신호등 즉 바닥매립형 보행자신호등이 설치되어 운영 중에 있다.
보행자용 바닥신호등이 설치되는 경우, 스마트폰을 보면서 걷다가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휠체어를 이용하는 노약자나 장애인 등도 바닥신호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교통약자들의 보행여건을 크게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바닥신호등은, 바닥에서 발광하는 빛을 보행자들이 내려다 보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부의 LED 램프에서 비춰지는 빛이 투광창을 통하여 보행자들에게 비춰지다 보면, 보행자의 눈이 부시게 되어 눈의 피로감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반면에, 차량도로측으로는 바닥 신호등이 너무 눈부시게 빛을 방출하면 운전자에게 위험을 유발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해서는 바닥 신호등에 의한 눈부심이 방지되도록 작용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바닥신호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보행자에게 바닥 신호등의 빛이 과도하게 방출되어 보행자의 눈을 피로하게 하지 않게 하면서 운전자에게는 바닥 신호등에 의한 운전방해를 방지하기 위한 바닥 신호등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도로측과 보행자측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 신호등으로서,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와,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에 배치되며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에 형성되는 엘이디(220)로 이루어지는 엘이디 모듈(200)과,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 및 엘이디 모듈(200)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의 상면에는 상기 기판(210)을 수용하며 보행자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모듈 수용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300)의 저면에는 상기 엘이디(220)를 수용하기 위해 엘이디(22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엘이디(220)와 이격되도록 엘이디 수용홈(31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 신호등에서, 엘이디 수용홈(310)에는 상기 엘이디(220)를 덮는 반투명 소재의 반사부(60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 신호등에서, 상기 엘이디(220)는 상기 엘이디 수용홈(310)의 내부에서 보행자측으로 이동되어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 신호등에서, 상기 엘이디 수용홈(310)에는 차량도로측에는 불투명부(6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 신호등에서, 상기 커버(300)의 상면에는 돌출부(50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500)는, 길이(l) 및 폭(w)를 가지는 하나의 단위 셀(400))이 길이방향(x 방향) 및 폭방향(y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위 셀(400)은 길이 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중양 돌출부(410)와, 상기 제1돌출부(4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부 돌출부(420)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 돌출부(410)는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꼭지점 a(0,w,0)과,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타일측에 형성되는 제2 꼭지점 b(l,w,0)과, 상기 제1,2 꼭지점(a,b)이 단위 셀(400)의 하부 중간에서 만나 형성되는 형성되는 제3 꼭지점 c(l/2,0,0))과, 상기 제3 꼭지점(c)에서 높이 방향(z 방향)으로 높이(h)만큼 상승되며 단위 셀(400)의 폭방향 후방으로 w1(= w/8 - w/9 )정도 이동하여 형성되는 제4 꼭지점 d(l/2,w1,h)로 이루어지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 돌출부(420)는 상기 중앙 돌출부(410)의 양 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2 측부 돌출부(421,4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부 돌출부(421)는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꼭지점(a)과, 단위 셀(400)의 하부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제3 꼭지점(c)과, 상기 단위 셀(400)의 하부 양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5 꼭지점 i(0,0,0)과, 상기 제 5 꼭지점 i(0,0,0)에서 상방으로 높이(h)만큼 상승되어 형성되는 제6 꼭지점 f(0,w1,h)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부 돌출부(422)는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꼭지점(b)과, 단위 셀(400)의 하부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제3 꼭지점(c)과, 상기 단위 셀(400)의 하부 양단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7 꼭지점 g(l,0,0)과, 상기 제7꼭지점(g)에서 높이 방향(z 방향)으로 높이(h)만큼 상승되어 형성되는 제8 꼭지점 j(l,w1,h)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돌출부(410)는 보행자측을 향하고 상기 제1,2 측부 돌출부(421,422)는 차량도로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 신호등에서, 상기 중앙 돌출부(410)는 제1,2,3 꼭지점(a,b,c)이 사면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제1 바닥면(410a)를 형성하고, 제1,2,4 꼭지점(a,b,d)이 사면체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1 경사면(410b)를 형성하며, 제1,3,4 꼭지점(a,c,d) 및 제2,3,4 꼭지점(b,c,d)이 각각 제1,2 측면(410c,410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닥 신호등에서, 상기 제1 측부 돌출부(421)는 제1,3,5 꼭지점(a,c,i)이 사면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제2 바닥면(421a)를 형성하고, 제1,3,6 꼭지점(a,c,f)이 사면체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2 경사면(421b)를 형성하며, 제1,5,6 꼭지점(a,i,f) 및 제3,5,6 꼭지점(c,i,f)이 각각 제3,4 측면(421c,421d)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측부 돌출부(422)에서는 제2,3,7 꼭지점(b,c,g)이 사면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제3 바닥면(422a)를 형성하고, 제2,3,8 꼭지점(b,c,j)이 사면체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3 경사면(422b)를 형성하며, 제2,7,8 꼭지점(b,g,j) 및 제3,7,8 꼭지점(c,g,j)이 각각 제5,6 측면(422c,422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210)에서 보행자측 부분이 반투명부(600)에 의해 덮히도록 형성되므로 보행자측을 향해 방출되는 엘이디(210)의 방출 빛을 감소시켜 바닥신호등에 의해 보행자의 느끼는 시각적 피로감이 감소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엘이디(210)에서 차량도로측 부분도 반투명부(600)에 의해 덮혀지게 되므로 동시에 운전자에게 방출되는 빛에 의한 시각적 피로감이 감소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힌편,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투명부(600)를 형성할 때 엘이디(220)의 설치위치를 보행자측 방향 이동시켜 편심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측으로 방출되는 빛의 의한 시각적 피로감이 보행자측에서 느끼는 시각적 피로감이 덜 해지게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엘이디 수용홈(310)의 내부에서 운전자측의 내부면을 불투명부(610)로 형성함으로써 엘이디에서 투사되는 빛이 차량도로측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방출되지는 않게 되어 운전자의 눈부심 및 시각적 피로감을 감소하는 데 유용한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 신호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 신호등의 전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은 도 3 에서의 돌출부의 단위 셀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5b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5c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투명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불투명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A-A 단면에서 엘이디의 광이 굴절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B-B 단면에서 엘이디의 광이 굴절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 신호등의 전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은 도 3 에서의 돌출부의 단위 셀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a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측면도이다.
도 5b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5c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배면도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투명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불투명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A-A 단면에서 엘이디의 광이 굴절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B-B 단면에서 엘이디의 광이 굴절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 신호등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바닥 신호등의 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닥 신호등(10)은,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와,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엘이디 모듈(200)과,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 및 상기 엘이디 모듈(200)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300)로 이루어진다.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소재에 제한은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출 등에 의해 형성된다.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의 상면에는 엘이디 모듈(200)을 수용하기 위한 모듈 수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모듈 수용홈(110)은 10도 정도 우측이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11)와 상기 경사부(111)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높이부(112)로 이루어진다.
모듈 수용홈(110)은 엘이디 모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엘이디 모듈(200)은 기판(210)와, 상기 기판(210)에 설치되는 엘이디(220)로 이루어진다.
엘이디 모듈(200)은 모듈 수용홈(110)에 대응하여 수용되도록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복수 개로 형성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은 도 3 에서의 돌출부의 단위 셀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커버(300)은 엘이디(220)에서 방출되는 빛이 바닥 통과할 수 있도록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등의 투광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커버(300)의 하부 저면에는 엘이디(220)를 이격되어 수용할 수 있도록 엘이디(22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엘이디 수용홈(310)이 형성된다.
커버(300)의 상면에는 하나의 단위 셀(400))이 길이방향(x 방향) 및 폭방향(y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돌출부(500)가 형성된다.
단위 셀(400)은 길이(l) 및 폭(w)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단위 셀(400)에는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중양 돌출부(410)와, 상기 제1돌출부(4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부 돌출부(420)로 이루어진다.
중앙 돌출부(410)는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꼭지점 a(0,w,0)과,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타일측에 형성되는 제2 꼭지점 b(l,w,0)과, 상기 제1,2 꼭지점(a,b)이 단위 셀(400)의 하부 중간에서 만나 형성되는 형성되는 제3 꼭지점 c(l/2,0,0))과, 상기 제3 꼭지점(c)에서 높이 방향(z 방향)으로 높이(h)만큼 상승되며 단위 셀(400)의 폭방향 후방으로 w1(= w/8 - w/9 )정도 이동하여 형성되는 제4 꼭지점 d(l/2,w1,h)로 이루어지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체로 형성된다.
중앙 돌출부(410)에서는 제1,2,3 꼭지점(a,b,c)이 사면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제1 바닥면(410a)를 형성하고, 제1,2,4 꼭지점(a,b,d)이 사면체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1 경사면(410b)를 형성하며, 제1,3,4 꼭지점(a,c,d) 및 제2,3,4 꼭지점(b,c,d)이 각각 제1,2 측면(410c,410d)을 형성하게 된다.
측부 돌출부(420)는 중앙 돌출부(410)의 양 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2측부 돌출부(421,422)로 이루어진다.
제1 측부 돌출부(421)는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꼭지점(a)과, 단위 셀(400)의 하부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제3 꼭지점(c)과, 상기 단위 셀(400)의 하부 양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5 꼭지점 i(0,0,0)과, 상기 제 5 꼭지점 i(0,0,0)에서 상방으로 높이(h)만큼 상승되어 형성되는 제6 꼭지점 f(0,w1,h)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체로 형성된다.
제1 측부 돌출부(421)에서는 제1,3,5 꼭지점(a,c,i)이 사면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제2 바닥면(421a)를 형성하고, 제1,3,6 꼭지점(a,c,f)이 사면체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2 경사면(421b)를 형성하며, 제1,5,6 꼭지점(a,i,f) 및 제3,5,6 꼭지점(c,i,f)이 각각 제3,4 측면(421c,421d)을 형성하게 된다.
제2 측부 돌출부(422)는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꼭지점(b)과, 단위 셀(400)의 하부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제3 꼭지점(c)과, 상기 단위 셀(400)의 하부 양단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7 꼭지점 g(l,0,0)과, 상기 제7꼭지점(g)에서 높이 방향(z 방향)으로 높이(h)만큼 상승되어 형성되는 제8 꼭지점 j(l,w1,h)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체로 형성된다.
제2 측부 돌출부(422)에서는 제2,3,7 꼭지점(b,c,g)이 사면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제3 바닥면(422a)를 형성하고, 제2,3,8 꼭지점(b,c,j)이 사면체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3 경사면(422b)를 형성하며, 제2,7,8 꼭지점(b,g,j) 및 제3,7,8 꼭지점(c,g,j)이 각각 제5,6 측면(422c,422d)을 형성하게 된다.
제2 측부 돌출부(422)는 폭방향(y 방향(을 중심으로 제1 측부 돌출부(421)와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제2,3경사면(421b,422b)도 서로 대칭되면서 경사지게 보행자측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닥 신호등(10)은 제1경사면(410b)이 보행자 측을 향하고 제4 측면(421d) 및 제6 측면(422d)이 차량도로측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도 6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반투명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엘이디 모듈(200)과 커버(300)의 저면부에 형성된 엘이디 수용홈(310)의 사이에는 반투명부(60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반투명부(600)는 수지계열의 반투명성 소재의 액상을 엘이디 수용홈(310)에 투입한 다음 엘이디 모듈(200)의 엘이디(210)를 엘이디 수용홈(310)에 삽입하여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210)에서 보행자측 부분이 반투명부(600)에 의해 덮히도록 형성되므로 보행자측을 향해 방출되는 엘이디(210)의 방출 빛을 감소시켜 바닥신호등에 의해 보행자의 느끼는 시각적 피로감이 감소되는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엘이디(210)에서 차량도로측 부분도 반투명부(600)에 의해 덮혀지게 되므로 동시에 운전자에게 방출되는 빛에 의한 시각적 피로감이 감소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반투명부(600)를 형성할 때 엘이디(220)의 설치위치를 보행자측 방향 이동시켜 편심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엘이디(220)를 편심시키는 경우 차량도로측 반투명부(6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보행자측 반투명부(600)의 두께보다 두껍게 되므로 엘이디(220)에서 방출되는 빛이 상대적으로 덜 통과하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측으로 방출되는 빛의 의한 시각적 피로감이 보행자측에서 느끼는 시각적 피로감이 덜 해지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보행자측보다는 운전자측에 대한 눈부심이나 시각적 피로감을 방지하는 것이 안정 측면에서 더욱 중요하기 때문이다.
도 7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불투명부가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엘이디 수용홈(310)의 내부에서 운전자측의 내부면을 불투명부(610)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한 경우 엘이디(220)에서 방출되는 빛이 차량도로측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방출되지는 않게 되어 운전자의 눈부심 및 시각적 피로감을 감소하는 데 유용한 작용효과를 가지게 된다.
엘이디 수용홈(310)의 내부에서 운전자측의 내부면을 불투명부(610)로 형성하더라도 불투명부(610)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빛이 반사 및 굴절되어 운전자는 바닥 신호등의 작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엘이디 수용홈(310)에서 보행자측 내부면에는 불투명부(410)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보행자는 바닥 신호등의 작동을 판단을 별다른 문제없이 판단하게 된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A-A 단면에서 엘이디의 광이 굴절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커버에는 중앙 돌출부(410)가 형성되어 있는 바,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이디(220)에서 방출되는 빛에서 90도 이하의 각도도 투사되는 빛은 보행자측을 향해 투사된다.
그런데, 엘이디(220)에서 방출되는 빛에서 중앙 돌출부(410)의 제1경사면(410b)을 통과하는 빛은 굴절되어 α 만큼 투사각이 감소되오 투사된다.
따라서, 보행자측으로 향하는 빛의 각도가 얼굴방향에서 몸체방향으로 감소하게 되므로 보행자의 시각적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보행자측에서 보행자는 대부분 서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투사각의 감소로 인해 빛이 얼굴쪽이 아니라 얼굴 아래의 몸체쪽으로 향하게 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엘이디(220)에서 방출되는 빛에서 90도 이상의 각도로 투사되는 빛은 기본적으로 운전자측을 향하게 된다.
그런데, 엘이디(200)에서 방출되는 빛에서 중앙 돌출부(410)의 제1,2측면(410c,410d)를 통과하는 빛은 굴절되어 β만큼 투사각이 증가하여 투사된다.
따라서, 차량도로측의 운전자를 향하는 빛의 각도가 증가되므로 운전자의 시각적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차량도로측에서 운전자는 대부분 앉아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투사각의 증가로 인해 빛이 얼굴쪽이 아니라 얼굴 위쪽을 향하게 한다는 점에서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
도 9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커버의 B-B 단면에서 엘이디의 광이 굴절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중앙 돌출부(410)의 제1경사면(410b)을 통과하는 빛에 대한 굴절작용은 제1 측부 돌출부(421)에서 제2 경사면(421b)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작용한다.
즉, 엘이디(220)에서 방출되는 빛에서 90도 이하의 각도도 투사되는 빛은 제1 측부 돌출부(421)의 제2경사면(421b)을 통과하면서 α 만큼 굴절되어 투사각이 감소됨으로써 보행자의 시각적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엘이디(220)에서 방출되는 빛에서 90도 이상의 각도로 투사되는 빛은 제1 측부 돌출부(421)의 제3,4측면(421c,421d)를 통과하면서 β만큼 굴절되어 투사각이 증가됨으로써 차량도로측의 운전자의 시각적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커버의 돌출부 구성으로 인해 보행자측으로 투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투사각을 감소시킴으로써 보행자의 시각적 피로감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운전자측으로 투사되는 빛도 굴절시켜 투사각을 증가시켜 운전자의 시각적 피로감을 함께 해소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엘이디 모듈 지지대
200 : 엘이디 모듈
300 : 커버
300 : 커버
Claims (7)
- 차량도로측과 보행자측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 신호등으로서,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와,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에 배치되며 기판(210)과, 상기 기판(210)에 형성되는 엘이디(220)로 이루어지는 엘이디 모듈(200)과,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 및 엘이디 모듈(200)을 덮도록 형성되는 커버(300)로 이루어지며,
상기 엘이디 모듈 지지대(100)의 상면에는 상기 기판(210)을 수용하며 보행자측을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모듈 수용홈(110)이 형성되며,
상기 커버(300)의 저면에는 상기 엘이디(220)를 수용하기 위해 엘이디(22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엘이디(220)와 이격되도록 엘이디 수용홈(310)이 형성되어 있는 바닥 신호등.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수용홈(310)에는 상기 엘이디(220)를 덮는 반투명 소재의 반사부(600)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 신호등. -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220)는 상기 엘이디 수용홈(310)의 내부에서 보행자측으로 이동되어 편심되도록 설치되는 바닥 신호등.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 수용홈(310)에는 차량도로측에는 불투명부(610)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 신호등. -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0)의 상면에는 돌출부(500)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500)는, 길이(l) 및 폭(w)를 가지는 하나의 단위 셀(400))이 길이방향(x 방향) 및 폭방향(y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단위 셀(400)은 길이 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중양 돌출부(410)와, 상기 제1돌출부(410)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부 돌출부(420)를 구비하며,
상기 중앙 돌출부(410)는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꼭지점 a(0,w,0)과,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타일측에 형성되는 제2 꼭지점 b(l,w,0)과, 상기 제1,2 꼭지점(a,b)이 단위 셀(400)의 하부 중간에서 만나 형성되는 형성되는 제3 꼭지점 c(l/2,0,0))과, 상기 제3 꼭지점(c)에서 높이 방향(z 방향)으로 높이(h)만큼 상승되며 단위 셀(400)의 폭방향 후방으로 w1(= w/8 - w/9 )정도 이동하여 형성되는 제4 꼭지점 d(l/2,w1,h)로 이루어지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측부 돌출부(420)는 상기 중앙 돌출부(410)의 양 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1,2 측부 돌출부(421,4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측부 돌출부(421)는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꼭지점(a)과, 단위 셀(400)의 하부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제3 꼭지점(c)과, 상기 단위 셀(400)의 하부 양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5 꼭지점 i(0,0,0)과, 상기 제 5 꼭지점 i(0,0,0)에서 상방으로 높이(h)만큼 상승되어 형성되는 제6 꼭지점 f(0,w1,h)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부 돌출부(422)는 단위 셀(400)의 상부 양단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꼭지점(b)과, 단위 셀(400)의 하부 길이방향 중앙에 형성되는 제3 꼭지점(c)과, 상기 단위 셀(400)의 하부 양단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7 꼭지점 g(l,0,0)과, 상기 제7꼭지점(g)에서 높이 방향(z 방향)으로 높이(h)만큼 상승되어 형성되는 제8 꼭지점 j(l,w1,h)으로 이루어지는 삼각뿔 형태의 사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 돌출부(410)는 보행자측을 향하고 상기 제1,2 측부 돌출부(421,422)는 차량도로측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바닥 신호등. -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중앙 돌출부(410)는 제1,2,3 꼭지점(a,b,c)이 사면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제1 바닥면(410a)를 형성하고, 제1,2,4 꼭지점(a,b,d)이 사면체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1 경사면(410b)를 형성하며, 제1,3,4 꼭지점(a,c,d) 및 제2,3,4 꼭지점(b,c,d)이 각각 제1,2 측면(410c,410d)을 형성하는 바닥 신호등. -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돌출부(421)는 제1,3,5 꼭지점(a,c,i)이 사면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제2 바닥면(421a)를 형성하고, 제1,3,6 꼭지점(a,c,f)이 사면체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2 경사면(421b)를 형성하며, 제1,5,6 꼭지점(a,i,f) 및 제3,5,6 꼭지점(c,i,f)이 각각 제3,4 측면(421c,421d)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측부 돌출부(422)에서는 제2,3,7 꼭지점(b,c,g)이 사면체의 바닥면을 이루는 제3 바닥면(422a)를 형성하고, 제2,3,8 꼭지점(b,c,j)이 사면체의 경사면을 이루는 제3 경사면(422b)를 형성하며, 제2,7,8 꼭지점(b,g,j) 및 제3,7,8 꼭지점(c,g,j)이 각각 제5,6 측면(422c,422d)을 형성하는 바닥 신호등.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8108A KR20230149370A (ko) | 2022-04-19 | 2022-04-19 | 바닥 신호등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48108A KR20230149370A (ko) | 2022-04-19 | 2022-04-19 | 바닥 신호등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149370A true KR20230149370A (ko) | 2023-10-27 |
Family
ID=88514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48108A KR20230149370A (ko) | 2022-04-19 | 2022-04-19 | 바닥 신호등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149370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4250B1 (ko) | 2019-04-29 | 2021-06-14 |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 블록식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
2022
- 2022-04-19 KR KR1020220048108A patent/KR2023014937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64250B1 (ko) | 2019-04-29 | 2021-06-14 | 주식회사 토브씨앤지 | 블록식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0147B1 (ko) | 바닥형 보행신호등 | |
KR102342538B1 (ko) | 발광 인지율을 개선한 바닥신호등 | |
KR200486578Y1 (ko) | 도로 경계석 커버 | |
KR102315565B1 (ko) | 횡단보도에 형성되는 바닥 신호등 | |
KR101919981B1 (ko) | 주간 식별이 용이한 면발광 횡단보도 | |
KR102544218B1 (ko) | 스마트폰 사용자를 위한 바닥 신호등 | |
KR20230149370A (ko) | 바닥 신호등 | |
JP3615641B2 (ja) | 自発光式道路鋲 | |
KR20130002317U (ko) |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 |
KR200299276Y1 (ko) | 볼라드 | |
JP4552823B2 (ja) | 地中埋め込み型照明装置による照明方法及び地中埋め込み型照明装置 | |
KR102648064B1 (ko) |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 |
KR920001114Y1 (ko) | 도로 경계석 | |
KR102577598B1 (ko) | 눈부심 방지가 가능한 바닥 신호등 | |
KR102520607B1 (ko) | 중앙 전반사형 도로표지병 | |
JP2948500B2 (ja) | 駐車場の車両誘導案内体構造 | |
KR101313265B1 (ko) |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 |
KR100439588B1 (ko) | 도로노면 신호기 | |
KR102271281B1 (ko) | 에너지 저감형 발광 점자블록 | |
KR102556956B1 (ko) | 운행차선을 안내하는 매립형 차선지시등 | |
JP3634581B2 (ja) | 自発光式道路鋲 | |
KR101281728B1 (ko) |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 |
JPH10280339A (ja) | 自発光式道路鋲 | |
JP2004003163A (ja) | 発光点字ブロック及び導光板 | |
JPH02803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