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064B1 -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 Google Patents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064B1
KR102648064B1 KR1020220123551A KR20220123551A KR102648064B1 KR 102648064 B1 KR102648064 B1 KR 102648064B1 KR 1020220123551 A KR1020220123551 A KR 1020220123551A KR 20220123551 A KR20220123551 A KR 20220123551A KR 102648064 B1 KR102648064 B1 KR 102648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flector
pedestrians
tube bod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김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식 filed Critical 김대식
Priority to KR102022012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Abstract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은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판이 결합되는 하부 지지관체; 중공의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관체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단의 발광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 지지관체에 삽입되며, 빛을 투과하기 위한 재질로 형성되는 반사관체; 상기 반사관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하단에는 상,하부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며, 상부영역에는 녹색광과 적색광을 360°로 발광하기 위한 신호 발광부가 마련되고, 상기 반사관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결합단이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내부 지지체;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격판에 의해 상,하부로 구분되어 상,하부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반사관체의 상단이 상기 하부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결합단이 상기 격판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관체 및 상기 내부 지지체를 일체화시키는 상부 지지관체; 및 상기 상부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횡단보도 근처의 보행자 및 운전자가 보행신호 점등여부를 식별하도록 메인 신호등의 작동과 연동되는 상기 신호 발광부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발광영역을 통하여 사방으로 투과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AUXILIARY TRAFFIC LIGHT FOR PEDESTRIAN}
본 발명은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행자의 시선 높이에 신호 표시부를 형성하고 신호 표시부의 빛이 일방향이 아닌 사방으로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보행자가 보행신호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를 통과하려는 운전자에게도 보행신호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에 관한 것이다.
교통신호등은 교통을 규제, 지시 및 안내하여 방향이 서로 엇갈리는 교통흐름에 적절한 시간간격으로 통행 우선권을 할당함으로써 교통사고발생을 예방하고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통행하는 도로에는 자동차 전용도로를 제외하고 차량용 교통신호등과 함께 보행자의 도로횡단을 위한 보행자용 교통신호등이 횡단보도에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횡단보도에 설치된 보행자 도로횡단용 교통신호등은 보행자의 안전에 다소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행자 교통신호등(100)은 횡단보도(101)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교통신호등(100)은 지면에 세워진 포스트(110)의 상단에 적색(정지)과 녹색(진행)의 2색 램프가 상하로 배치되어 프로그램된 시간간격에 따라 적색램프(120)와 녹색램프(130)가 교대로 점멸함으로써 보행자의 도로횡단을 승인 및 통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100)의 가장 큰 문제점은, 보행자 진행상태인지 정지상태인지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오로지 적색램프(120)와 녹색램프(130)의 점멸뿐이고 이런 램프의 점멸은 보는 사람의 위치와 시간에 따라서는 쉽게 파악할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교통사고유발요인의 하나로 작용하고 있었다.
즉, 횡단보도(101)에 접근해 있는 차량(102)은 횡단보도 보행자 신호등(100)의 적색램프(120)와 녹색램프(130)에 대하여 대략 90도 위치에 있기 때문에 보행자 신호등의 현재 신호가 적색인지 녹색인지 잘 보이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런 보행신호에 대한 식별의 어려움은 램프의 시인성을 높이기 위해 램프 상측에 부착한 갓(140)으로 인하여 더욱 가중되고, 특히 햇빛이 강한 주간이나 아침저녁에 햇빛이 램프(120, 130)를 직접 비칠 때에는 더욱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운전자는 고개를 내밀어 보행신호를 확인하거나 보행신호가 아닌 전방의 차량용 신호를 보고 보행신호를 짐작하게 되고, 일부 운전자는 차단선을 넘어서까지 조금씩 차를 주행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보행신호의 식별 어려움은 보행자에게도 발생되었다. 즉, 보행자는 차량과는 달리 램프(120, 130)와 정면으로 마주보는 상태이나 주간에 햇빛이 강할 때에는 보행신호인지 정지신호인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63428호(공고일 : 2010.06.24)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의 배열식 보행자신호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신호등(3)의 측면에 측면보조등(303)을 설함으로써 보행자가 보행신호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배열식 보행자신호등은, 보행자의 키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행자가 고개를 들어서 신호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보행자신호등 보다 더 후방에 위치한 보행자는 보행신호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63428호(공고일 : 2010.06.24)
본 발명의 목적은, 보행자의 시선 높이에 신호 표시부를 입체적으로 형성하여 보행자로 하여금 보행신호의 시인성 및 식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횡단보도를 통과하려는 차량의 운전자도 보행신호의 시인성 및 식별이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판이 결합되는 하부 지지관체; 중공의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관체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단의 발광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 지지관체에 삽입되며, 빛을 투과하기 위한 재질로 형성되는 반사관체; 상기 반사관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상,하단에는 상,하부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며, 상부영역에는 녹색광과 적색광을 교대로 360°로 발광하기 위한 신호 발광부가 마련되고, 상기 반사관체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 결합단이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내부 지지체;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격판에 의해 상,하부로 구분되어 상,하부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반사관체의 상단이 상기 하부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결합단이 상기 격판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관체 및 상기 내부 지지체를 일체화시키는 상부 지지관체; 및 상기 상부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횡단보도 근처의 보행자 및 운전자가 보행신호 점등여부를 식별하도록 메인 신호등의 작동과 연동되는 상기 신호 발광부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발광영역을 통하여 사방으로 투과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마감부재는,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관체와 상부 지지관체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관체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관체의 발광영역 내주면에는, 빛확산부가 형성되거나, 빛확산 테이프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지지관체의 개구부와 상기 반사관체의 외주면 사이 및 상기 반사관체의 상단 외주면과 상기 하부 결합부 사이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밀유지용 패킹이 설치되거나, 접착 및 기밀유지를 위한 접착제가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지지관체의 외주면 및 상기 하부 지지관체의 외주면에는, 반사지가 부착되거나 반사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지지체는, 상기 하부 결합단이, 상기 고정판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되거나, 상기 고정판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결합단은, 상기 격판을 관통한 후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발광영역의 높이는, 보행자의 눈높이보다 낮도록 상기 지면으로부터 80 - 90cm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지지체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상기 상,하부 결합단으로 구성되거나,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설치부재; 및 상기 설치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설치부재에 고정 결합되며 상,하단부에 상기 상,하부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는 장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신호 발광부는, 적색 엘이디 모듈과 녹색 엘이디 모듈이 쌍을 이루며, 각 상기 엘이디 모듈은 상기 설치부재의 둘레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횡단보도가 설치된 도로에 접한 인도에 보행자의 시선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메인 신호등과 연동되는 보조 신호등을 설치함으로써 보행자가 고개를 들지 않더라도 보행신호를 신속하고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횡단보도를 통과하려는 차량, 특히 횡당보도가 있는 교차로에서 우회하는 차량의 운전자도 보행신호의 시인성 및 식별이 명확하게 이루어질 수 잇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이 조립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시공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교체시 분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마감부재가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하절기에도 햇빛에 의해 고온으로 상승하지 않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보행자 신호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을 도시한 결합상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이 시공된 상태를 도시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이 사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10)은, 메인 신호등(20)과 연동되어 횡단보도 보행신호 및 횡단보도 정지신호를 점등하여 횡단보도 근처의 보행자 및 운전자가 보행신호 점등여부를 식별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지중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하부 지지관체(30)와, 하부 지지관체(30)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반사관체(40)와, 반사관체(40) 내부로 삽입되어 하단이 하부 지지관체(30)에 고정되는 내부 지지체(50)와, 반사관체(40)의 상단 및 내부 지지체(50)의 상단과 결합되는 상부 지지관체(60) 및 상부 지지관체(60)에 결합되는 마감부재(70)를 포함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부 지지관체(30)는, 지중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향으로 개방된 개구부(3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판(34)이 결합된다. 고정판(34)은 지면에 설치된 보도블록이나 연석 등에 앵커볼트에 의해 직접 고정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립되는 매립 고정체(12)의 앵커볼트에 결합될 수도 있다. 매립 고정체(12)의 내부에 충진되는 콘크리트는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중앙에서 가장자리쪽으로 만곡지거나 경사지게 형성된다.
하부 지지관체(30)는, 고정판(34)을 포함한 하부 일부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매립된 상태로 직립하여 시공된다.
반사관체(40)는, 중공의 원통으로 형성되고, 하부 지지관체(30)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단의 발광영역(4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개구부(32)를 통하여 하부 지지관체(3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반사관체(40)는, 빛을 투과하기 위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합성수지재 또는 아크릴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반사관체(40)는 신호 발광부(55)의 녹색 엘이디 모듈 또는 적색 엘이디 모듈에서 발광된 빛이 녹색이나 적색으로 확산되어 외부에서 녹색이나 적색으로 식별되도록 백색의 합성수지재 또는 아크릴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반사관체(40)의 발광영역(42)은 반사관체(40)의 상부영역에 형성되는 것이다. 즉, 반사관체(40)가 하부 지지관체(30)에 삽입되고, 상단이 상부 지지체(60)에 삽입되었을 때 하부 지지관체(30)의 상단과 상부 지지관체(60)의 하단 사이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전술한 반사관체(40)의 발광영역(42)의 내주면에는, 빛확산부(42A)가 형성되거나, 빛확산 테이프가 부착된다. 빛확산부(42A)는 발광영역(42)의 내주면을 황삭가공하여 형성하거나 다수개의 확산돌기들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빛확산부(42A)에 의해 신호 발광부(55)의 각 엘이디 모듈로부터 발광된 빛은 외부로 확산되므로 보행자의 눈부심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내부 지지체(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 발광부(55)를 구비하여 반사관체(4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반사관체(40)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된다.
내부 지지체(5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파이프로 형성되는 설치부재(52)와, 설치부재(52)를 관통하고 설치부재(52)와 용접이나 너트 체결 등으로 고정 결합되며 상,하단부에는 나사산을 구비한 상,하부 결합단(54A,54B)이 각각 형성되는 장볼트(54)로 구성된다.
설치부재(52)를 원형이나 다각형의 파이프로 구성한 것은 신호 발광부(55)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엘이디 모듈들을 중심을 기준으로 설치부재(52)의 외측면에 360°방향으로 각각 배치하여 신호 발광부(55)의 빛이 사방으로 발광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신호 발광부(55)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엘이디 모듈들은 발광영역(42)에 대응되는 설치부재(52)의 외측면에만 설치된다.
그리고 상,하부 결합단(54A,54B)가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하부 결합단(54B)는 고정판(34)에 체결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상부 결합단(54A)도 상부 지지관체(60)의 격판(62)에 용이하게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하부 결합단(54B)은, 고정판(34)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한 후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되고, 상부 결합단(54A)은 격판(62)의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하부에서 상부로 관통한 후 너트가 체결되어 결합된다.
한편, 하부 결합단(54B)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고정판(34)에 형성되는 나사공에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부 지지체(50)가 장볼트(54)와 파이프 구조의 설치부재(52)로 구성되어 체결 결합구조에 의해 하부 지지관체(30)의 고정판(34)이나 상부 지지관체(60)의 격판(62)에 결합될 수 있음으로써 각 부품의 분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신호 발광부(55)는 "→" 및 " ×" 형상으로 구성되어 발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녹색 엘이디 모듈이 점등될 때에는 횡단보도를 건너가도 좋은 "→"가 점등되고, 적색 엘이디 모듈이 점등될 때에는 " ×" 가 점등되도록 하여 보행자 신호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보행 신호시에는 보행자를 바라보는 영역의 신호 발광부(55)에서는 "→"형 녹색 엘이디 모듈이 점등되도록 하고, 운전자가 바라보는 영역의 신호 발광부(55)에는 위 신호와 반대 신호로 " ×" 형 적색 엘이디 모듈이 점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는 반대로 메인 신호등의 신호가 정지신호일 때에는 영역의 신호 발광부(55)에서는 "×"형 적색 엘이디 모듈이 점등되도록 하고, 운전자가 바라보는 영역의 신호 발광부(55)에는 위 신호와 반대 신호로 " →" 형 녹색 엘이디 모듈이 점등되도록 할 도 있다.
상부 지지관체(60)는, 반사관체(40)의 상단 및 내부 지지체(50)의 상단과 결합되어 하부 지지관체(30), 반사관체(40)를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격판(62)에 의해 상,하부로 구분되어 상,하부 결합부(64A,64B)가 각각 형성된다. 격판(62)의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하부 결합부(64A,64B)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결합부(64A)에는 원형의 마감부재(70)가 끼움 결합되고, 하부 결합부(64B)에는 하부 지지관체(30) 상단부가 끼움 결합된다.
전술한 하부 지지관체(30)과 상부 지지관체(60)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특히 녹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고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도록 스테인레스 스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하부 지지관체(30)의 개구부(32)와 반사관체(40)의 외주면 사이, 그리고 반사관체(40)의 상단 외주면과 하부 결합부(64B) 사이에는, 빗물 및 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밀유지용 패킹이 설치되거나, 접착 및 기밀유지를 위한 접착제(또는 실리콘 등)가 주입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관체(30)의 상단 외주면과 상부 지지관체(60)의 외주면에는 반사지(80)가 부착된다. 이러한 반사지(80) 재귀반사가 가능한 것으로, 야간에 시인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반사지(80) 대신에 반사도료가 도포될 수도 있다.
마감부재(70)는, 상부 지지관체(60)에 결합되어 상부를 커버하여 마감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 외주면 일부가 상부 결합부(64A)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면은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중앙에서 가장자리 쪽으로 경사지거나 만곡진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부 결합부(64A)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부재(70)의 하단 외주면에는 결합력을 높이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돌기(72)들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마감부재(70)는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다. 마감부재(70)가 열전도율이 낮은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하절기에 햇빛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마감부재(70)가 뜨겁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10)의 발광영역(42)의 높이(H)는 보행자의 눈높이보다 낮도록 지면으로부터 80 - 90c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행자가 고개를 들지 않고 시선을 전방 하향으로 두더라도 용이하게 식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의 메인 신호등(20)은 보행자의 신상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보행자가 메인 신호등(20)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고개를 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의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10)은 발광영역(42)이 지면으로부터 80 - 90cm에 위치하므로 굳이 고개를 들지 않아도 신호의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10)의 시공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부 지지관체(30)의 개구부(32)로 신호 발광부(55)를 구비한 내부 지지체(50)를 삽입하되, 하부 결합단(54B)을 고정판(34)의 관통공으로 관통시킨 후 너트로 체결하여 내부 지지체(50)의 하부를 하부 지지관체(30)에 고정한다.
이어서 고정판(34)을 기 시공된 매립 고정체(12)에 체결하여 결합하고, 매립 고정체(12)와 하부 지지관체(30)의 고정판(34) 그리고 하부 지지관체(30)의 하단 일부를 매립한다.
이 과정으로 하부 지지관체(30)는 직립하여 시공될 수 있다.
이어서, 반사관체(40)를 하부 지지관체(30)의 내주면과 내부 지지체(50) 사이로 삽입하여 하단부가 고정판(34)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다.
반사관체(40)가 하부 지지관체(30)에 결합되면, 상부 지지관체(60)의 하부 결합부(64B)에 반사관체(40)의 상단부를 삽입한다. 즉 내부 지지체(50)의 상부 결합단(54A)를 격판(62)의 관통공으로 관통시키면서 상부 지지관체(60)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반사관체(60)의 상단부가 하부 결합부(64B)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부 결합단(54A)이 격판(62)의 관통공으로 관통되고 반사관체(60)의 상단부가 하부 결합부(64B)에 삽입되면 상부 결합단(64A)에 너트를 체결한다.
격판(62)을 관통하여 상부 결합부(64A)에 위치하는 상부 결합단(654A)을 너트로 체결함에 따라 상부 지지관체(60)와 반사관체(40) 및 하부 지지관체(30)는 일체화될 수 있다. 이때, 상부 결합단(654A)을 체결하는 너트를 격판(62)을 사이에 두고 2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어서, 상부 결합부(64A)에 마감부재(70)를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 과정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10)의 시공은 완료될 수 있다.
그리고,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의 양쪽에 각각 설치될 수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어느 한 쪽에만 설치될 있다.
또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10)은 전기적으로 메인 신호등(20)가 연결되어 메인 신호등(20)의 작동과 연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시공된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10)은, 보행자의 눈높이 아래에서 녹색광 또는 적색광으로 발광되므로 보행자는 물론, 교차로를 통과하려는 운전자에게 보행신호의 시인성 및 식별성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횡단보도가 있는 교차로에서 우회전 하려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행신호의 신속하고 직관적인 식별 및 인지가 용이하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보조 신호등 20 : 메인 신호등
30 : 하부 지지관체 32 : 개구부
34 : 고정판 40 : 반사관체
42 : 발광영역 50 : 내부 지지체
52 : 설치부재 54 : 장볼트
54A : 상부 결합단 54B : 하부 결합단
60 : 상부 지지관체 62 : 격판
64A : 상부 결합부 64B : 하부 결합부
70 : 마감부재 72 : 결합돌기

Claims (10)

  1. 소정의 길이를 갖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향으로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판이 결합되는 금속재로 된 하부 지지관체;
    중공의 원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관체의 길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어 상단의 발광영역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하부 지지관체에 삽입되며, 빛을 투과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나 아크릴재로 형성되는 반사관체;
    상기 반사관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의 상,하부에 각각 마련되는 상,하부 결합단으로 구성되거나, 상기 반사관체보다 더 긴 길이로 형성되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설치부재와, 상기 설치부재를 관통하고 상기 설치부재에 고정 결합되며 상,하단부에 상기 상,하부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는 장볼트로로 구성되어 상기 반사관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결합단이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는 내부 지지체;
    적색 엘이디 모듈과 녹색 엘이디 모듈이 쌍을 이루고, 각 상기 엘이디 모듈은 상기 설치부재의 상부영역에 둘레 방향으로 배치되어 녹색광과 적색광을 360°로 발광하기 위한 신호 발광부; 및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가 격판에 의해 상,하부로 구분되어 상,하부 결합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반사관체의 상단이 상기 하부 결합부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결합단이 상기 격판에 결합되어 상기 반사관체 및 상기 내부 지지체를 일체화시키는 금속재로 된 상부 지지관체; 및 상기 상부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는 마감부재를 포함하고,
    횡단보도 근처의 보행자 및 운전자가 보행신호 점등여부를 식별하도록 메인 신호등의 작동과 연동되는 상기 신호 발광부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발광영역을 통하여 사방으로 투과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재는,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재, 목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관체의 발광영역 내주면에는,
    빛확산부가 형성되거나, 빛확산 테이프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관체의 개구부와 상기 반사관체의 외주면 사이 및 상기 반사관체의 상단 외주면과 상기 하부 결합부 사이에는, 빗물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기밀유지용 패킹이 설치되거나, 접착 및 기밀유지를 위한 접착제가 주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지지관체의 외주면 및 상기 하부 지지관체의 외주면에는, 반사지가 부착되거나 반사도료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영역의 높이는,
    보행자의 눈높이보다 낮도록 상기 지면으로부터 80 - 9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9. 삭제
  10. 삭제
KR1020220123551A 2022-09-28 2022-09-28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KR102648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551A KR102648064B1 (ko) 2022-09-28 2022-09-28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551A KR102648064B1 (ko) 2022-09-28 2022-09-28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8064B1 true KR102648064B1 (ko) 2024-03-15

Family

ID=9027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551A KR102648064B1 (ko) 2022-09-28 2022-09-28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06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428B1 (ko) 2010-02-23 2010-06-24 한원흠 신호등 사면 배열식 보행자신호등
KR20130053073A (ko) * 2011-11-15 2013-05-23 윤지원 교통 신호등
KR20150015946A (ko) * 2013-08-02 2015-02-11 김규엽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498473B1 (ko) * 2014-09-22 2015-03-12 현대브릿지(주)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KR101750879B1 (ko) * 2017-02-03 2017-06-26 주식회사 창우 횡단보도 안전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428B1 (ko) 2010-02-23 2010-06-24 한원흠 신호등 사면 배열식 보행자신호등
KR20130053073A (ko) * 2011-11-15 2013-05-23 윤지원 교통 신호등
KR20150015946A (ko) * 2013-08-02 2015-02-11 김규엽 자동 수납형 볼라드
KR101498473B1 (ko) * 2014-09-22 2015-03-12 현대브릿지(주)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KR101750879B1 (ko) * 2017-02-03 2017-06-26 주식회사 창우 횡단보도 안전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214B1 (ko) 횡단보도 안전조명 시스템
KR101971032B1 (ko) 도로표지병
KR20110049098A (ko) 지면 매립형 상향 조명등
KR101919981B1 (ko) 주간 식별이 용이한 면발광 횡단보도
KR102648064B1 (ko)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KR101337335B1 (ko) 볼라드
JP3970572B2 (ja) 発光型道路用標示体
KR20120059158A (ko) 도로 표지병
KR200443453Y1 (ko) 발광부를 갖는 볼라드
JP5123188B2 (ja) 道路用標示体及び自発光式道路標識柱
CN101684640A (zh) 多功能安全反射镜装置
KR101637182B1 (ko) 지주형 경광장치
KR102577598B1 (ko) 눈부심 방지가 가능한 바닥 신호등
KR200153277Y1 (ko) 도로표지봉
KR200299276Y1 (ko) 볼라드
KR10103119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표지판
KR200326788Y1 (ko) 건널목 야간 발광 표시기 장치
KR20040110782A (ko) 횡단보도 조명장치
KR200462855Y1 (ko) 방호울타리
CN213952027U (zh) 一种市政道路阻车桩
JP2948500B2 (ja) 駐車場の車両誘導案内体構造
KR100530956B1 (ko) 횡단보도 경고 및 조명장치
KR200238700Y1 (ko) 야광형 도로 표지구
KR101035738B1 (ko) 보행자 및 자전거 도로용 조명기구
KR102339424B1 (ko) 무단횡단 보행자 정보제공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