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473B1 -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 Google Patents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473B1
KR101498473B1 KR20140126098A KR20140126098A KR101498473B1 KR 101498473 B1 KR101498473 B1 KR 101498473B1 KR 20140126098 A KR20140126098 A KR 20140126098A KR 20140126098 A KR20140126098 A KR 20140126098A KR 101498473 B1 KR101498473 B1 KR 101498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light
light emitting
couple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우
임용훈
임상수
Original Assignee
현대브릿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브릿지(주) filed Critical 현대브릿지(주)
Priority to KR2014012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4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27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self-righting after deflection or displacement
    • E01F9/629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이 개시된다. 상기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은 기둥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감겨있는 반사시트;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감기는 형태로 상기 몸체의 외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제1 엘이디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띠;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에너지를 상기 발광띠로 공급하는 태양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TUBULAR MARKERS USING SOLAR}
본 발명은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엘이디를 발광함에 따라 시인성을 높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선유도봉은 운전자가 차선의 위치를 정확히 인식하고 또 운행중인 자동차가 차선을 침범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교통질서 확립과 안전운행을 도모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시선유도봉은 도로에 설치되어 차선유도 및 규제, 인도 및 차선분리표시, 안전지대표시, 횡단보도표시, 분리대 충돌방지용으로 사용된다.
특히, 교차로 진입 대기 차선과 신호가 없는 차선으로의 이동이 빈번한 곳의 불법유턴 차단과 회전반경이 큰 곳이나 사고위험이 높은 곳 등의 차선에는 타측 차선 진입 등을 규제하기 위해 시선유도봉이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시선유도봉은 구조적으로 주위가 어두울 경우 시인성과 식별성이 떨어져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로 인해 결과적으로 야간에는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어려워 교통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시선유도봉이 도로의 요구되는 위치에 설치된 경우, 몸체가 노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를 갖게 되므로, 운행중인 차량과 몸체가 충돌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베이스와 몸체가 함께 거동하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된 경우, 차량과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이 몸체로 그대로 전달되므로 몸체가 쉽게 파손되는 것은 물론이고, 노면에 앵커볼트로 고정된 베이스가 전도되는 몸체와 함께 거동하면서 앵커볼트의 이탈을 유도하게 되며, 이처럼 이탈되는 앵커볼트가 차량의 타이어와 충돌하면서 펑크를 유도하여 2차적인 사고를 발생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95722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엘이디가 발광됨에 따라 시선유도봉의 시인성이 증가되어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시선유도봉의 잦은 파손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하도록 한 시선유도봉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은 기둥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 상기 몸체의 외면에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감겨있는 반사시트; 상기 몸체의 둘레를 따라 감기는 형태로 상기 몸체의 외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제1 엘이디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띠;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에너지를 상기 발광띠로 공급하는 태양광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태양광모듈은 복수의 제2 엘이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엘이디는 상기 태양광모듈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몸체의 상단부에서 발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은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발광띠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몸체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띠를 커버하는 발광띠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띠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엘이디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난반사시키는 난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은 상기 몸체의 하단부 및 상기 받침대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 및 상기 받침대를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소재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링 형상이고, 상기 링 형상의 내면에 제1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1 결합링; 링 형상이고, 상기 링 형상의 내면에 제2 암나사부가 형성된 제2 결합링; 상기 제1 결합링 및 상기 제2 결합링과 결합되는 연결기둥으로서, 상기 연결기둥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링결합부 및 상기 연결기둥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링결합부를 포함하고,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 연결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결합부는 상기 제1 결합링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위로 위치하고 하향 경사진 외면을 갖는 제1 결합링보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결합부는 상기 제2 결합링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결합링보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에 의하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엘이디가 발광됨에 따라 시선유도봉의 시인성이 증가되어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고, 시선유도봉의 잦은 파손을 방지하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결합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은 몸체(110), 받침대(120), 반사시트(130), 발광띠(140) 및 태양광모듈(150)을 포함한다.
몸체(110)는 기둥 형상이다. 예를 들면, 몸체(110)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받침대(120)는 몸체(11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몸체(110)를 지지한다. 일 예로, 받침대(120)는 평면에서 볼 때 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120)는 지면에 고정된다. 받침대(120)의 고정을 위해 앙카 볼트(미도시)가 이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받침대(120)에는 볼트삽입구멍(121)이 형성될 수 있다.
반사시트(130)는 몸체(110)의 원기둥 형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감겨서 몸체(110)의 둘레에 부착된다. 반시시트(130)는 복수일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복수의 반사시트(130)는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는 형태로 몸체(1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시트(130)는 차량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가 시선유도봉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반사시트(130)는 2개일 수 있다.
발광띠(140)는 몸체(110)의 둘레를 따라 감기는 형태로 몸체(110)의 외면에 결합된다. 몸체(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발광띠(140)는 발광한다. 이를 위해, 발광띠(140)는 소정의 길이를 갖고 몸체(110)의 원기둥 형상의 원주 방향을 따라 몸체(110)의 둘레에 결합되는 결합띠(141) 및 결합띠(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배열된 제1 엘이디(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띠(140)의 결합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몸체(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몸체(110)의 둘레에 둘러져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몸체(110)의 외면에는 발광띠(14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111)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발광띠(140)는 상기 수용홈(111)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태양광모듈(150)은 몸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에너지를 발광띠(140)로 공급한다. 일 예로, 태양광모듈(150)은 상부 하우징(151), 발광표시부(152), 축전지(153), PCB 기판(미도시) 및 하부 하우징(1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151)의 상면에는 투명 재질로 태양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덮개(미도시)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발광표시부(152)는 원형플레이트(152a), 복수의 제2 엘이디(152b), 솔라셀(152c) 및 조도센서(152d)를 포함할 수 있다. 원형플레이트(152a)는 원 형상의 플레이트이고, 복수의 제2 엘이디(152b) 및 솔라셀(152c)은 원형플레이트(152a)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솔라셀(152c)은 태양광을 수집하여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다. 조도센서(152d)는 외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축전지(153)는 솔라셀(152c)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솔라셀(152c)에 의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충전된다. 축전지(153)에 충전된 전력은 제1 엘이디(142) 및 제2 엘이디(152b)에 공급될 수 있다.
PCB 기판은 제1 엘이디(142) 및 제2 엘이디(152b)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PCB 기판은 제1 엘이디(142), 제2 엘이디(152b), 솔라셀(152c) 및 조도센서(152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조도센서(152d)의 조도 측정값에 따라 제1 엘이디(142) 및 제2 엘이디(152b)의 발광을 제어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54)은 축전지(153)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부 하우징(154)은 상부 하우징(151)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나사에 의해 상부 하우징(151)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발광표시부(152)는 상부 하우징(151) 및 하부 하우징(154)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상부 하우징(151) 및 하부 하우징(154)의 사이는 밀폐되어 발광표시부(152)는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광모듈(150)은 몸체(110)의 상단부에 결합될 때 하부 하우징(154)이 몸체(110)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하우징(154)이 몸체(110)와 결합되는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예를 들면, 하부 하우징(154)의 외면의 양측에 돌출부(154a)를 형성하고, 몸체(110)의 상단부에는 상기 돌출부(154a)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구멍(1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부 하우징(154)의 돌출부(154a)를 상기 삽입구멍(112)에 삽입한 후 태양광모듈(150)을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90도 회전시켜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태양광모듈(150)의 고정을 위해 나사를 태양광모듈(150) 및 몸체(110)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은 도로의 중앙선이나 구획된 도로의 구획차선을 따라서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상태에 대해 아래에서 설명한다.
시선유도봉의 사용을 위해, 받침대(120)를 도로 상에 앙카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에 의해 몸체(110)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태양광모듈(150)은 조도센서(152d)의 조도 측정에 따라 제1 엘이디(142) 및 제2 엘이디(152b)를 발광시킬 수 있다.
즉, 태양광모듈(150)은 솔라셀(152c)을 통해 낮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를 축전지(153)에 저장하고, 태양광이 없는 밤에는 제1 엘이디(142) 및 제2 엘이디(152b)의 발광을 제어한다.
제1 엘이디(142) 및 제2 엘이디(152b)의 제어과정은, 조도센서(152d)를 통해 측정되는 조도가 감소한 경우 PCB 기판은 축전지(153)에 저장된 전력을 제1 엘이디(142) 및 제2 엘이디(152b)로 공급하여 제1 엘이디(142) 및 제2 엘이디(152b)를 발광시킨다.
제1 엘이디(142) 및 제2 엘이디(152b)의 발광에 의해, 몸체(110)의 상단부 및 몸체(110)의 외면 둘레에서 빛이 조사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을 이용하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고 이를 충전하여 전원을 공급하므로 엘이디 발광을 위한 배터리의 교체가 필요 없이 반복적인 전력의 충, 방전을 통해 엘이디의 발광을 위한 전원 공급이 용이하며, 야간에만 엘이디가 발광되도록 자동 제어되므로 특별한 관리 없이도 야간에 용이하게 엘이디가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전력소모가 적은 엘이디를 이용함에 따라 소형 솔라셀의 이용이 가능하고, 소형 솔라셀에 의해 충전되는 전력만으로도 문제 없이 엘이디를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시선유도봉의 외부, 즉 몸체(110)의 상단부 및 몸체(110)의 둘레에서 제1 엘이디(142) 및 제2 엘이디(152b)가 발광되므로 운전자에게 시선유도봉의 위치가 확실히 각인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효과적으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운전자가 도로의 중앙선이나 구획된 도로의 구획차선의 위치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은 몸체(210), 받침대(220), 반사시트(230), 발광띠(240), 태양광모듈(250) 및 발광띠커버(260)를 포함한다.
몸체(210), 받침대(220), 반사시트(230), 발광띠(240), 태양광모듈(25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의 몸체(110), 받침대(120), 반사시트(130), 발광띠(140), 태양광모듈(15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발광띠커버(26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띠커버(260)는 발광띠(240)를 커버한다. 이를 위해, 발광띠커버(260)는 발광띠(240)가 결합되어 있는 몸체(210)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발광띠(240)를 커버한다. 일 예로, 발광띠커버(260)는 링 형상일 수 있고, 링 형상의 일측에는 힌지부(262)가 마련되고 힌지부(262)로부터 연장되는 양측 단부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각 단부의 착탈은 돌기(263) 및 돌기(263)가 삽입되는 구멍(264)일 수 있다.
이러한 발광띠커버(260)는 몸체(210)에 결합될 때, 발광띠(240)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감싸도록 결합될 수 있다. 발광띠커버(260)가 수용홈을 감싸도록 몸체(210)에 결합되면 발광띠커버(260)는 발광띠(240)를 커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발광띠커버(260)는 투명이고, 발광띠커버(260)의 내면에는 난반사부(261)가 형성된다. 난반사부(261)는 복수의 제1 엘이디(24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난반사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난반사부(261)는 발광띠커버(260)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규칙적 또는 불규칙하게 배열된 다수의 난반사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난반사돌기는 반구 형상 또는 다수의 경사진 면이 조합된 돌기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난반사돌기는 제1 엘이디(242)에 대향되어 제1 엘이디(24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난반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은 몸체(210)의 둘레에서 조사되는 빛을 난반사시킬 수 있다.
즉, 발광띠(240)의 제1 엘이디(242)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발광띠커버(260)의 내면에 형성된 난반사부(261)를 향해 조사되고, 난반사부(261)를 향해 조사된 빛은 난반사돌기들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반사하여 흩어진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발광띠(240)의 제1 엘이디(24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몸체(210)의 원주 주변으로 더욱 확산되고, 이에 의해 차량 운전자는 시선유도봉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차량 운전자에게 더욱 쉽게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을 이용하면, 차량 운전자가 시선유도봉의 위치를 더욱 정확히 인식할 수 있고, 더욱 효과적으로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유도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은 몸체(310), 받침대(320), 반사시트(330), 발광띠(340), 태양광모듈(350) 및 연결부재(360)를 포함한다.
몸체(310), 받침대(320), 반사시트(330), 발광띠(340), 태양광모듈(350)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의 몸체(110), 받침대(120), 반사시트(130), 발광띠(140), 태양광모듈(150)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연결부재(360) 및 연결부재(360)를 통해 몸체(310)와 받침대(320)가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연결부재(360)는 몸체(310) 및 받침대(320)를 연결한다. 이를 위해, 연결부재(360)는 몸체(310)의 하단부 및 받침대(320)의 사이에 결합되고, 제1 결합링(361), 제2 결합링(362), 연결기둥(36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링(361)은 링 형상이고, 링 형상의 내면에 제1 암나사부(361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결합링(361)은 몸체(310)의 하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링(362)은 링 형상이고, 링 형상의 내면에 제2 암나사부(362a)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결합링(362)은 받침대(320)와 결합될 수 있다.
연결기둥(363)은 제1 링결합부(3631) 및 제2 링결합부(36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결합부(3631)는 제1 결합링(361)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링결합부(3631)는 제1 결합링(361)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3631a)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3631a)에는 제1 결합링(361)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제1 결합링(361)이 연결기둥(363)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링결합부(3631)는 제1 결합링보호부(363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링보호부(3631b)는 제1 수용공간(3631a)를 감싸도록 연결기둥(363)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1 수용공간(3631a)의 위로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링보호부(3631b)는 경사면(3631b-1)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3631b-1)은 제1 결합링보호부(3631b)의 상단부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결합링보호부(3631b)의 내면은 제1 결합링(361)이 몸체(310)의 하단부와 결합될 때 몸체(3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몸체(310)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결합부(3632)는 제2 결합링(362)을 수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링결합부(3632)는 제2 결합링(362)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363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3632a)에는 제2 결합링(362)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제2 결합링(362)이 연결기둥(363)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2 링결합부(3632)는 제2 결합링보호부(363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링보호부(3632b)는 제2 수용공간(3632a)를 감싸도록 연결기둥(363)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제2 수용공간(3632a)의 아래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360)와 연결되기 위해, 몸체(310)의 하단부에는 제1 수나사부(310a)가 형성될 수 있고, 받침대(320)는 받침대(320)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된 연장관(322)을 포함할 수 있고 연장관(322)의 상단부에는 제2 수나사부(322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부재의 결합구조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결합링(361)은 제1 링결합부(3631)의 제1 수용공간(3631a) 내에 삽입되어 있고, 제2 결합링(362)은 제2 링결합부(3632)의 제2 수용공간(3632a) 내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제1 결합링(361)의 제1 암나사부(361a)와 몸체(310)의 제1 수나사부(310a)가 결합되어 제1 결합링(361) 및 몸체(310)가 결합되어 있고, 제2 결합링(362)의 제2 암나사부(362a)와 받침대(320)의 연장관(322)의 제2 수나사부(322a)가 결합되어 제2 결합링(362) 및 받침대(320)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 상태에서 제1 결합링보호부(3631b)의 내면은 몸체(310)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고, 제2 결합링보호부(3632b)의 내면은 받침대(320)의 연장관(322)의 외면에 밀착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은 몸체(310) 및 받침대(320)가 플렉시블한 소재의 연결부재(36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몸체(31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플렉시블한 연결부재(360)가 일측으로 휘어졌다가 복원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몸체(310)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차량이 몸체(310)에 부딪히더라도 몸체(310)는 일측으로 휘어졌다가 복원되므로 시선유도봉의 파손이 방지된다. 따라서 시선유도봉이 쉽게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시선유도봉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몸체(310)에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져서 연결부재(360) 및 몸체(310)가 받침대(320)로부터 분리된다 하더라도 연결부재(360) 및 몸체(310)를 다시 결합하거나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가 용이하므로 시선유도봉의 유지 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360)가 몸체(310) 및 받침대(3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결합링(361) 및 제2 결합링(362)이 결합된 부분을 연결부재(360)의 제1 결합링보호부(3631b) 및 제2 결합링보호부(3632b)가 감싸고 있으므로 눈이나 비로부터 제1 결합링(361) 및 제2 결합링(362)을 보호할 수 있고, 제1 결합링보호부(3631b)에는 경사면(3631b-1)이 형성됨에 따라 비 또는 눈이 몸체(310)의 외측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하여 제1 결합링보호부(3631b)의 아래로 비 또는 눈이 흘러서 제1 결합링(361)이 결합된 부분을 향해 유입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60)가 결합된 부분이 비 또는 눈에 의해 부식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시선유도봉의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에는 산화방지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에 세라믹 코팅을 하는 이유는 부식 방지가 주목적이다. 세라믹 코팅은 크롬도금 또는 니켈크롬도금에 비해 내부식성, 내스크래치성, 내마모성, 내충격성 및 내구성이 뛰어나다.
이 코팅층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 및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분말이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의 둘레에 코팅된다.
산화크롬(Cr2O3)은, 금속 내부로 침입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부동태피막(Passivity Layer)의 역할을 함으로써 녹이 잘 슬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물리화학적으로 매우 안정적이고 은폐력이 높아서 백색안료로 많이 된다. 또한 굴절율이 높아서 고굴절율의 세라믹스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광촉매적 특성과 초친수성의 특성을 갖는다. 이산화티타늄(TiO2)은, 공기정화 작용, 항균작용, 유해물질 분해작용, 오염방지 기능, 변색 방지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산화티타늄(TiO2)은, 코팅층이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의 둘레에 확실하게 피복되도록 하며,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의 손상을 방지시킨다.
여기서, 산화크롬(Cr2O3)과 이산화티타늄(TiO2)을 혼합하여서 사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산화크롬(Cr2O3) 96∼98중량%에 이산화티타늄(TiO2) 2∼4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크롬(Cr2O3)의 혼합비율이 96∼98중량%보다 적을 경우, 고온 등의 환경에서 산화크롬(Cr2O3)의 피복이 파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었으며, 이에 따라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의 녹방지 효과가 급격이 저하되었다.
이산화티타늄(TiO2)의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적을 경우, 이를 산화크롬(Cr2O3)에 혼합하는 목적이 퇴색될 정도로 이산화티타늄(TiO2)의 효과가 미미하였다. 즉, 이산화티타늄(TiO2)은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의 둘레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분해, 제거하여서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가 부식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시키는데, 그 혼합비율이 2∼4중량%보다 작을 경우, 부착된 이물질을 분해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의 둘레에 내산화성이 뛰어난 코팅층이 형성되므로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가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고, 각각의 받침대(120, 220, 320)의 산화 방지에 의해 시선유도봉의 수명이 연장되어서 유지 보수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210, 310 : 몸체 120, 220, 320 : 받침대
130, 230, 330 : 반사시트 140, 240, 340 : 발광띠
150, 250, 350 : 태양광모듈 260 : 발광띠커버
360 : 연결부재

Claims (5)

  1. 기둥 형상의 몸체(110, 210, 310);
    상기 몸체(110, 210, 31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10, 210, 310)를 지지하는 받침대(120, 220, 320);
    상기 몸체(110, 210, 310)의 외면에 상기 몸체(110, 210, 310)의 둘레를 따라 감겨있는 반사시트(130, 230, 330);
    상기 몸체(110, 210, 310)의 둘레를 따라 감기는 형태로 상기 몸체(110, 210, 310)의 외면에 결합되고, 복수의 제1 엘이디(142, 24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띠(140, 240, 340);
    상기 몸체(110, 210, 3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고 상기 전기에너지를 상기 발광띠(140, 240, 340)로 공급하는 태양광모듈(150, 250, 350)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310)의 하단부 및 상기 받침대(320)의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몸체(310) 및 상기 받침대(32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한 소재의 연결부재(3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360)는,
    링 형상이고, 상기 링 형상의 내면에 제1 암나사부(361a)가 형성된 제1 결합링(361);
    링 형상이고, 상기 링 형상의 내면에 제2 암나사부(362a)가 형성된 제2 결합링(362);
    상기 제1 결합링(361) 및 상기 제2 결합링(362)과 결합되는 연결기둥(363)으로서, 상기 연결기둥(363)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링결합부(3631) 및 상기 연결기둥(363)의 하단부에 형성된 제2 링결합부(3632)를 포함하고, 플렉시블한 소재로 이루어진 연결기둥(36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결합부(3631)는 상기 제1 결합링(361)이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3631a) 및 상기 제1 수용공간(3631a)의 위로 위치하고 하향 경사진 외면을 갖는 제1 결합링보호부(3631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결합부(3632)는 상기 제2 결합링(362)이 수용되는 제2 수용공간(3632a) 및 상기 제2 수용공간(3632a)의 아래에 위치하는 제2 결합링보호부(3632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모듈(150)은 복수의 제2 엘이디(152b)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엘이디(152b)는 상기 태양광모듈(15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몸체(110)의 상단부에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공간을 갖고, 상기 발광띠(240)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몸체(210)의 일부분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띠(240)를 커버하는 발광띠커버(2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띠커버(260)의 내면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엘이디(24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난반사시키는 난반사부(26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4. 삭제
  5. 삭제
KR20140126098A 2014-09-22 2014-09-22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KR10149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6098A KR101498473B1 (ko) 2014-09-22 2014-09-22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6098A KR101498473B1 (ko) 2014-09-22 2014-09-22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473B1 true KR101498473B1 (ko) 2015-03-12

Family

ID=53026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6098A KR101498473B1 (ko) 2014-09-22 2014-09-22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47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567Y1 (ko) * 2018-08-02 2019-05-21 민병일 시선유도봉
KR20190057612A (ko) 2017-11-20 2019-05-29 이정자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유도봉
KR102280781B1 (ko) 2020-12-08 2021-07-21 임완수 바닥고정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선유도봉
KR102488639B1 (ko) 2021-11-03 2023-01-12 이중호 도로 유도 표시구
KR102648064B1 (ko) * 2022-09-28 2024-03-15 김대식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515U (ja) * 1993-03-03 1994-09-22 株式会社ヤマウ 発光表示装置
KR20000018718U (ko) * 1999-03-26 2000-10-25 박정욱 차선규제봉
KR200293123Y1 (ko) * 2002-06-03 2002-10-25 김종식 쏠라발광볼라드
KR200420428Y1 (ko) * 2006-04-13 2006-07-04 씨케이스톤 (주) 발광소자를 구비한 볼라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7515U (ja) * 1993-03-03 1994-09-22 株式会社ヤマウ 発光表示装置
KR20000018718U (ko) * 1999-03-26 2000-10-25 박정욱 차선규제봉
KR200293123Y1 (ko) * 2002-06-03 2002-10-25 김종식 쏠라발광볼라드
KR200420428Y1 (ko) * 2006-04-13 2006-07-04 씨케이스톤 (주) 발광소자를 구비한 볼라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7612A (ko) 2017-11-20 2019-05-29 이정자 태양광 모듈을 통해 자가발전이 가능한 차선유도봉
KR200488567Y1 (ko) * 2018-08-02 2019-05-21 민병일 시선유도봉
KR102280781B1 (ko) 2020-12-08 2021-07-21 임완수 바닥고정유닛과 이것을 이용한 시선유도봉
KR102488639B1 (ko) 2021-11-03 2023-01-12 이중호 도로 유도 표시구
KR20230064585A (ko) 2021-11-03 2023-05-10 이중호 도로 유도 표시구
KR102648064B1 (ko) * 2022-09-28 2024-03-15 김대식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473B1 (ko)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US6808291B1 (en) Safety/warning device
US5785410A (en) Electronic road beacon
US20080088477A1 (en) Omnidirectional universal mount hazard marker
US20200248893A1 (en) Led lamp
JP2000096528A (ja) 保安用表示具
KR20080096216A (ko) 솔라 시선유도봉
KR200420047Y1 (ko) 안전신호봉 및 차량경광등
US20200370254A1 (en) Power-generating and rotating road marker using magnet
KR200455815Y1 (ko) 솔라 안개등
KR20150140973A (ko) 1차 전지를 이용한 지중매입형 발광부재를 갖는 시선유도봉
EP0759859A4 (en) SAFETY / WARNING DEVICE
KR101637182B1 (ko) 지주형 경광장치
US10559203B2 (en) Motorist warning system
KR200197318Y1 (ko)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KR200449725Y1 (ko) 엘이디 경광등
KR101003401B1 (ko) 엘이디발광체가 구비된 트래픽콘
KR200327699Y1 (ko)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KR200184754Y1 (ko) 안전 펜스
KR200484189Y1 (ko) Led 발광장치가 결합된 트래픽콘
CN211079983U (zh) 一种石油钻井用安全警示装置
KR20130052799A (ko) 엘이디 경광등
KR101447175B1 (ko) 엘이디 델리니에이터
KR20050000661A (ko)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JP3127660U (ja) 誘導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