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52799A - 엘이디 경광등 - Google Patents

엘이디 경광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52799A
KR20130052799A KR1020110118047A KR20110118047A KR20130052799A KR 20130052799 A KR20130052799 A KR 20130052799A KR 1020110118047 A KR1020110118047 A KR 1020110118047A KR 20110118047 A KR20110118047 A KR 20110118047A KR 20130052799 A KR20130052799 A KR 20130052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urface
light
assembly member
led
disc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4281B1 (ko
Inventor
최철호
Original Assignee
최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철호 filed Critical 최철호
Priority to KR1020110118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2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52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2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Light emitting di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엘이디를 이용하여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의 자연 냉각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엘이디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별도의 전선을 연결할 필요 없이 태양광으로 원활히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시공과 설치가 간편해지도록 하는 엘이디 경광등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광등은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봉이 형성되고,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원판베이스와; 상기 원판베이스의 상단에 부착되는 원형턱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턱의 상부 둘레에 여섯 개의 하부 반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반사면이 상단에 하부 수직면이 형성되는 하부 조립부재와; 상기 하부 수직면의 상단에 하단이 밀착되게 상부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직면의 상단 둘레에 상부 반사면이 형성되는 상부 조립부재와; 각각의 상기 하부 수직면과 상부 수직면에 의해 형성되는 육각면체에 대응하여 엘이디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 수직면과 상부 수직면에 확대렌즈가 부착되며, 상기 확대렌즈의 둘레에 광산란관이 끼워지는 경광조명부와; 상기 상부 조립부재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이 내포되도록 상기 원판베이스에 끼워지는 대략 원통형의 투명커버와; 상기 지지봉의 내측에 설치되는 배터리와; 상기 하부 수직면과 상부 수직면의 사이로 상기 하부 조립부재와 상부 조립부재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어회로기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엘이디 경광등{LED WARNING LIGHT}
본 발명은 엘이디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엘이디 경광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엘이디를 이용하여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의 자연 냉각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엘이디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별도의 전선을 연결할 필요 없이 태양광으로 원활히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시공과 설치가 간편해지도록 하는 엘이디 경광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광등은 건설 현장이나 공사장, 도로, 해안, 항만, 부두, 고층빌딩, 경찰 혹은 앰뷸런스 등의 긴급차량 및 산업전반에 사용되는 각종 기계류 및 장치 등에 설치되어 전달정보 체계를 주위에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한편,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실1999-0015479호 "경광등"에서는 발광램프와 발광램프의 둘레에서 회전하여 발광램프로부터의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체와, 반사체의 회전구동용 모터를 갖는 경광등에 관한 것으로, 반사체의 초점은 반사체에 대해 발광램프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발광램프는 필라멘트 방식의 전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건설 현장이나 공사장, 도로, 해안, 항만, 부두, 고층 빌딩, 경찰 혹은 앰뷸런스 등의 긴급차량 및 산업전반에 사용되는 각종 기계류 및 장치에 설치하면 진동이나 충격력에 의해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여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이 필라멘트 방식의 전구를 대체하는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한 기술이 고안되었는데, 이와 같은 기술을 적용한 경광등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1153호 "경광등"이 있으며, 이를 도 13에 도시하여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광등(10)은 내부에 발광다이오드들이 다수 설치되어 있는 본체(20)와, 이 본체(20)를 도로와 같은 지면 또는 천장 등에 설치할 수 있도록 본체(2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는 지지축(1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본체(20)는 소정 거리를 가지면서 마련되어 있는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21, 23)와,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21, 23)를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축(25)과 상부플레이트(21)와 하부플레이트(23) 사이에 마련되며, 발광다이오드(11)가 고정되어 있는 반사판(3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하부플레이트(23)의 하면에는 지지축(13)이 결합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플레이트(21, 23) 사이에는 본체(20)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반사판(30) 및 발광다이오드(11) 등의 부품이 보호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커버(27)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30)은 발광다이오드(11)에서 발광되는 모든 방향의 빛이 본체(20)의 측면으로 집중시킬 수 있도록 홈 형태의 반사면(31)이 형성되어 있다. 반사면(31)은 제1 경사면(33)과 제2 경사면(35)이 상호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는데, 제1 경사면(33)과 제2 경사면(35)이 만나는 홈부에는 발광다이오드(11)들이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개 삽입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11)에서 발광되는 모든 방향의 빛은 제1 및 제2 경사면(33, 35)에 의하여 분산되지 않고 본체(20)의 측면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본체(20)의 내부에서 모아진다. 또한, 반사면(31)은 본체(20)의 길이에 따라서 그 수를 달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본체(20)의 길이가 길면 다수의 반사면(31)을 형성할 수도 있고, 본체(20)의 길이가 짧으면 하나의 반사면(31)만을 형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수의 반사면이 층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면의 내측에 발광다이오드인 엘이디가 설치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엘이디가 설치되어 엘이디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적절히 냉각되지 못하게 되면서 엘이디의 설치 및 조립이 매우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광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엘이디를 이용함으로써 소모되는 전력이 상대적으로 많아 태양광과 같은 자연 발생적 에너지원을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전선을 연결하여 상용 전원을 사용해야 함으로써, 특히 야외나 공사장 및 고층 빌딩 등에서는 상용 전원을 연결하기 어려워 그 시공과 설치가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411153호 "경광등" 2006. 03. 06.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엘이디를 이용하여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의 자연 냉각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엘이디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별도의 전선을 연결할 필요 없이 태양광으로 원활히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시공과 설치가 간편해지도록 하는 엘이디 경광등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설치 및 보관과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엘이디 경광등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오프스위치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온오프스위치의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엘이디 경광등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러버콘과 같은 시설물에 경광등 자체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설치 높이가 조절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하는 엘이디 경광등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경광등"은,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봉이 형성되고,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원판베이스와; 상기 원판베이스의 상단에 부착되는 원형턱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턱의 상부 둘레에 여섯 개의 하부 반사면이 육각면체의 형태로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반사면이 상단에 육각면체의 형태로 하부 수직면이 형성되는 하부 조립부재와; 상기 하부 수직면의 상단에 하단이 밀착되게 상기 하부 수직면과 동일한 개수로 상부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직면의 상단 둘레에 상기 하부 반사면과 대응되게 여섯 개의 상부 반사면이 육각면체의 형태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조립부재와; 각각의 상기 하부 수직면과 상부 수직면에 의해 형성되는 육각면체의 외부 중앙에 대응하여 여섯 개의 엘이디가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의 외부면에 끼워져 상기 엘이디의 발광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하부 수직면과 상부 수직면에 확대렌즈가 부착되며, 끝단으로 원형의 광산란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확대렌즈의 둘레에 나팔관 형태의 광산란관이 끼워지는 경광조명부와; 상기 상부 조립부재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이 내포되도록 상기 원판베이스에 끼워지는 대략 원통형의 투명커버와; 상기 지지봉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하부 수직면과 상부 수직면의 사이로 상기 하부 조립부재와 상부 조립부재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제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경광등"은,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봉이 형성되고,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원판베이스와; 상기 원판베이스의 상단에 부착되는 원형턱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턱의 상부 둘레에 네 개의 하부 반사면이 사각면체의 형태로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반사면이 상단에 사각면체의 형태로 하부 수직면이 형성되는 하부 조립부재와; 상기 하부 수직면의 상단에 하단이 밀착되게 상기 하부 수직면과 동일한 개수로 상부 수직면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직면의 상단 둘레에 상기 하부 반사면과 대응되게 네 개의 상부 반사면이 사각면체의 형태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조립부재와; 각각의 상기 하부 수직면과 상부 수직면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면체의 외부 중앙에 대응하여 네 개의 엘이디가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의 외부면에 끼워져 상기 엘이디의 발광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하부 수직면과 상부 수직면에 확대렌즈가 부착되며, 끝단으로 원형의 광산란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확대렌즈 중의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개의 상기 확대렌즈의 둘레에 나팔관 형태의 광산란관이 끼워지는 경광조명부와; 상기 상부 조립부재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이 내포되도록 상기 원판베이스에 끼워지는 대략 사각입방체의 투명커버와; 상기 지지봉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상기 하부 수직면과 상부 수직면의 사이로 상기 하부 조립부재와 상부 조립부재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제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경광등"의 상기 원판베이스는, 상기 원판베이스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봉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설치홈과, 상기 설치홈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경광등"의 상기 원판베이스는,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서 그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홈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는 온오프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경광등"의 상기 원판베이스는, 상기 지지봉의 상부와 하부의 외주면에 상하 및 좌우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이 끼워지는 고정관과, 상기 돌턱이 끼워져 높이조절 가능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관의 내부면에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홈과, 상기 고정관의 하부로 중공된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원뿔관을 가지는 보조설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엘이디를 이용하여 엘이디에서 발생되는 열의 자연 냉각이 손쉽게 이루어져 과열에 의한 수명 단축이나 고장이 방지되고, 엘이디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생산성이 향상되며, 별도의 전선을 연결할 필요 없이 태양광으로 원활히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시공과 설치가 간편해지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의 설치 및 보관과 교체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온오프스위치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제작 및 조립이 간편해지고, 온오프스위치의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러버콘과 같은 시설물에 경광등 자체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설치 높이가 조절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경광등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경광등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경광등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경광등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따른 경광등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따른 경광등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1에 따른 경광등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종래의 엘이디 경광등의 일예를 보인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경광등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경광등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경광등은 지지봉(101)을 갖는 원판베이스(100)와,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부 조립부재(300)와,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부 조립부재(3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의 상단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500)과, 상기 원판베이스(100)에 끼워지는 투명커버(600)와, 상기 지지봉(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700)와,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부 조립부재(3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회로기판(800)을 포함한다.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봉(101)이 형성되고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면으로 설치되는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봉(101)은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하면에 봉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경광등 자체를 특정한 장소에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배터리(70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봉(10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설치홈(102)과, 상기 설치홈(102)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700)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10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홈(102)은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봉(101)의 내측으로 상기 배터리 케이스(103)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103)는 상기 설치홈(102)의 내부로 상기 배터리(700)를 수용하여 상기 배터리(700)가 원활히 설치되면서 손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는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단에 부착되는 원형턱(201)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턱(201)의 상부 둘레에 여섯 개의 하부 반사면(202)이 육각면체의 형태로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반사면(202)이 상단에 육각면체의 형태로 하부 수직면(203)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와 상하로 조립되면서 상기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을 고정하여 상기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이 손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원형턱(201)은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가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 반사면(202)은 상기 경광조명부(400)에 의해 발생되는 광을 외부측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는 그 전체의 외면이 은색 도료로 도색된다. 상기 하부 수직면(203)은 그 전면과 상단에 상기 경광조명부(4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는 상기 하부 수직면(203)의 상단에 하단이 밀착되게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동일한 개수로 상부 수직면(30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직면(301)의 상단 둘레에 상기 하부 반사면(202)과 대응되게 여섯 개의 상부 반사면(302)이 육각면체의 형태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하로 조립되면서 상기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을 고정하여 상기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이 손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수직면(301)은 그 전면과 하단에 상기 경광조명부(4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반사면(302)은 상기 경광조명부(400)에 의해 발생되는 광을 외부측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는 그 전체의 외면이 은색 도료로 도색된다.
상기 경광조명부(400)는 각각의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에 의해 형성되는 육각면체의 외부 중앙에 대응하여 여섯 개의 엘이디(401)가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401)의 외부면에 끼워져 상기 엘이디(401)의 발광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에 확대렌즈(402)가 부착되며, 끝단으로 원형의 광산란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확대렌즈(402)의 둘레에 나팔관 형태의 광산란관(403)이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에 의해 형성되는 육각면체의 외부로 광을 조사하여 경광 조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엘이디(401)(LED : light-emitting diode)는 공지의 발광 다이오드로서 작은 전력으로 고휘도의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어회로기판(800)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것이다. 상기 엘이디(401)는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에 의해 제어되면서 여섯 개가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발광되거나 동시에 반복 점멸되는 등 다양하게 발광하여 경광 조명을 하게 된다.
상기 확대렌즈(402)는 투명하면서 볼록한 렌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401)의 광이 일정한 크기의 광으로 확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광산란관(403)은 상기 확대렌즈(402)를 통과한 광이 상기 광산란관(403)을 통과하면서 산란된 후에 상기 광산란관(403)의 나팔 모양의 선단에서 원형으로 조사되어 사람에 의한 경광 조명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도 4 참조).
상기 태양전지판(500)은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태양광에 의해 전기가 생성되는 공지의 패널이다.
상기 투명커버(600)는 상기 태양전지판(500)이 내포되도록 상기 원판베이스(100)에 끼워지고 대략 원통형이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부로 상기 태양전지판(500)과 경광조명부(40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터리(700)는 상기 지지봉(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태양전지판(500)으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은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의 사이로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부 조립부재(30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엘이디(401)와 배터리(700)를 포함하는 제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은 상기 태양전지판(5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도센서를 통해 본 경광등이 설치된 장소의 조도에 따라 상기 엘이디(401)의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조도 이하가 되면, 즉 야간이 되면 자동으로 상기 엘이디(401)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은 조도에 따라 상기 배터리(700)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엘이디(401)에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야간에 상기 엘이디(401)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본 엘이디 경광등의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상기 지지봉(101)의 하단에서 그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홈(1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엘이디 경광등은 상기 하부홈(104)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800)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는 온오프 스위치(9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홈(104)은 상기 온오프 스위치(90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900)는 상기 제어회로기판(800)과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엘이디(401)의 전원 공급에 의한 작동과 전원 차단에 의한 작동 중지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엘이디 경광등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인 여섯 개의 상기 엘이디(401)를 이용하여 상기 엘이디(401)에서 발생되는 열의 자연 냉각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엘이디(401)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별도의 전선을 연결할 필요 없이 태양광으로 원활히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시공과 설치가 간편해지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경광등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경광등의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상기 지지봉(101)의 상부와 하부의 외주면에 상하 및 좌우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턱(10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경광등은 상기 지지봉(101)에 끼워지는 보조설치부재(10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돌턱(105)은 상기 지지봉(101)이 상기 보조설치부재(100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보조설치부재(1000)는 상기 지지봉(101)이 결합된 상태로 러버콘(C)과 같은 시설물에 본 경광등이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러버콘(C)은 통상의 도로 등에서 차량 또는 사람의 진행을 유도하거나 다양한 공사 현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위험구역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흔히 칼라콘 또는 슈퍼콘이고도 불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보조설치부재(1000)는 상기 지지봉(101)이 끼워지는 고정관(1001)과, 상기 돌턱(105)이 끼워져 높이조절 가능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관(1001)의 내부면에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홈(1002)과, 상기 고정관(1001)의 하부로 중공된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원뿔관(100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관(1001)은 상기 지지봉(101)이 끼워져 고정되는 부위이며, 상기 단차홈(1002)은 상기 지지봉(10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돌턱(105)이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고정관(100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관(1001)의 상부측에 있는 상기 단차홈(1002)에 상기 지지봉(101)의 하부측에 있는 상기 돌턱(105)이 끼워지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본 경광등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관(1001)의 하부측에 있는 상기 단차홈(1002)까지 상기 지지봉(101)의 하부측에 있는 상기 돌턱(105)이 끼워지면 상대적은 낮은 위치에 본 경광등이 설치된다.
상기 원뿔관(1003)은 상기 러버콘의 상단이나 돌출된 부위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보조설치부재(1000)가 구비됨으로써, 본 경광등은 상기 러버콘(C)과 같은 시설물에 경광등 자체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설치 높이가 조절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경광등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경광등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도 7에 따른 경광등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엘이디 경광등은 지지봉(101)을 갖는 원판베이스(100)와,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의 상단에 조립되는 상부 조립부재(300)와,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부 조립부재(300)의 사이에 설치되는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의 상단에 설치되는 태양전지판(500)과, 상기 원판베이스(100)에 끼워지는 투명커버(600)와, 상기 지지봉(101)의 내부에 설치되는 배터리(700)와,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부 조립부재(30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어회로기판(800)을 포함한다.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봉(101)이 형성되고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그 상면으로 설치되는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봉(101)은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하면에 봉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 경광등 자체를 특정한 장소에 수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배터리(70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봉(10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설치홈(102)과, 상기 설치홈(102)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700)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10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설치홈(102)은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봉(101)의 내측으로 상기 배터리 케이스(103)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배터리 케이스(103)는 상기 설치홈(102)의 내부로 상기 배터리(700)를 수용하여 상기 배터리(700)가 원활히 설치되면서 손쉽게 교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는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단에 부착되는 원형턱(201)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턱(201)의 상부 둘레에 네 개의 하부 반사면(202)이 사각면체의 형태로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반사면(202)이 상단에 사각면체의 형태로 하부 수직면(203)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와 상하로 조립되면서 상기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을 고정하여 상기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이 손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원형턱(201)은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단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가 고정되거나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하부 반사면(202)은 상기 경광조명부(400)에 의해 발생되는 광을 외부측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는 그 전체의 외면이 은색 도료로 도색된다. 상기 하부 수직면(203)은 그 전면과 상단에 상기 경광조명부(4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는 상기 하부 수직면(203)의 상단에 하단이 밀착되게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동일한 개수로 상부 수직면(30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직면(301)의 상단 둘레에 상기 하부 반사면(202)과 대응되게 네 개의 상부 반사면(302)이 사각면체의 형태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하로 조립되면서 상기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을 고정하여 상기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이 손쉽게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수직면(301)은 그 전면과 하단에 상기 경광조명부(4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부 반사면(302)은 상기 경광조명부(400)에 의해 발생되는 광을 외부측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는 그 전체의 외면이 은색 도료로 도색된다.
상기 경광조명부(400)는 각각의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면체의 외부 중앙에 대응하여 네 개의 엘이디(401)가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401)의 외부면에 끼워져 상기 엘이디(401)의 발광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에 확대렌즈(402)가 부착되며 끝단으로 원형의 광산란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확대렌즈(402) 중의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개의 상기 확대렌즈(402)의 둘레에 나팔관 형태의 광산란관(403)이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면체의 외부로 광을 조사하여 경광 조명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엘이디(401)는 공지의 발광 다이오드로서 작은 전력으로 고휘도의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제어회로기판(800)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어 전원의 공급에 의해 발광되는 것이다. 상기 엘이디(401)는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에 의해 제어되면서 네 개가 순차적으로 연속하여 발광되거나 동시에 반복 점멸되는 등 다양하게 발광하여 경광 조명을 하게 된다.
상기 확대렌즈(402)는 투명하면서 볼록한 렌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엘이디(401)의 광이 일정한 크기의 광으로 확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광산란관(403)은 상기 확대렌즈(402)를 통과한 광이 상기 광산란관(403)을 통과하면서 산란된 후에 상기 광산란관(403)의 나팔 모양의 선단에서 원형으로 조사되어 사람에 의한 경광 조명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광산란관(403)은 네 개의 확대렌즈(402) 중에 번갈아 가며 하나씩 두 개가 설치되어 상기 광산란관(403)이 없는 확대렌즈(402)가 구별되게 광이 조사됨으로써, 본 경광등의 발광에 대한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다.
상기 태양전지판(500)은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태양광에 의해 전기가 생성되는 공지의 패널이다.
상기 투명커버(600)는 상기 태양전지판(500)이 내포되도록 상기 원판베이스(100)에 끼워지고 대략 사각입방체이면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부로 상기 태양전지판(500)과 경광조명부(400)를 포함하는 제반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배터리(700)는 상기 지지봉(101)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태양전지판(500)으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공지의 것이다.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은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의 사이로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부 조립부재(30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엘이디(401)와 배터리(700)를 포함하는 제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은 상기 태양전지판(500)의 일측에 설치되는 조도센서를 통해 본 경광등이 설치된 장소의 조도에 따라 상기 엘이디(401)의 점등을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조도 이하가 되면, 즉 야간이 되면 자동으로 상기 엘이디(401)가 점등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회로기판(800)은 조도에 따라 상기 배터리(700)에 저장된 전원을 상기 엘이디(401)에 공급하거나 차단하여 야간에 상기 엘이디(401)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본 엘이디 경광등의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상기 지지봉(101)의 하단에서 그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홈(1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엘이디 경광등은 상기 하부홈(104)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800)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는 온오프 스위치(9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부홈(104)은 상기 온오프 스위치(900)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온오프 스위치(900)는 상기 제어회로기판(800)과 연결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엘이디(401)의 전원 공급에 의한 작동과 전원 차단에 의한 작동 중지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엘이디 경광등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인 네 개의 상기 엘이디(401)를 이용하여 상기 엘이디(401)에서 발생되는 열의 자연 냉각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엘이디(401)의 설치 및 조립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별도의 전선을 연결할 필요 없이 태양광으로 원활히 전원 공급이 이루어져 시공과 설치가 간편해지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따른 경광등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경광등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 경광등의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상기 지지봉(101)의 상부와 하부의 외주면에 상하 및 좌우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턱(105)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엘이디 경광등은 상기 지지봉(101)에 끼워지는 보조설치부재(10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돌턱(105)은 상기 지지봉(101)이 상기 보조설치부재(1000)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보조설치부재(1000)는 상기 지지봉(101)이 결합된 상태로 러버콘(C)과 같은 시설물에 본 경광등이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러버콘(C)은 통상의 도로 등에서 차량 또는 사람의 진행을 유도하거나 다양한 공사 현장이나 건설 현장에서 위험구역을 표시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흔히 칼라콘 또는 슈퍼콘이고도 불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보조설치부재(1000)는 상기 지지봉(101)이 끼워지는 고정관(1001)과, 상기 돌턱(105)이 끼워져 높이조절 가능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관(1001)의 내부면에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홈(1002)과, 상기 고정관(1001)의 하부로 중공된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원뿔관(100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관(1001)은 상기 지지봉(101)이 끼워져 고정되는 부위이며, 상기 단차홈(1002)은 상기 지지봉(101)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상기 돌턱(105)이 높이가 조절된 상태로 상기 고정관(1001)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관(1001)의 상부측에 있는 상기 단차홈(1002)에 상기 지지봉(101)의 하부측에 있는 상기 돌턱(105)이 끼워지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본 경광등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관(1001)의 하부측에 있는 상기 단차홈(1002)까지 상기 지지봉(101)의 하부측에 있는 상기 돌턱(105)이 끼워지면 상대적은 낮은 위치에 본 경광등이 설치된다.
상기 원뿔관(1003)은 상기 러버콘의 상단이나 돌출된 부위에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보조설치부재(1000)가 구비됨으로써, 본 경광등은 상기 러버콘(C)과 같은 시설물에 경광등 자체의 설치가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설치 높이가 조절되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0 : 원판베이스
101 : 지지봉 102 : 설치홈
103 : 배터리 케이스 104 : 하부홈
105 : 돌턱
200 : 하부 조립부재
201 : 원형턱 202 : 하부 반사면
203 : 하부 수직면
300 : 상부 조립부재
301 : 상부 수직면 302 : 상부 반사면
400 : 경광조명부
401 : 엘이디 402 : 확대렌즈
403 : 광산란관
500 : 태양전지판
600 : 투명커버
700 : 배터리
800 : 제어회로기판
900 : 온오프 스위치
1000 : 보조설치부재
1001 : 고정관 1002 : 단차홈
1003 : 원뿔관

Claims (5)

  1.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봉(101)이 형성되고,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원판베이스(100)와;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단에 부착되는 원형턱(201)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턱(201)의 상부 둘레에 여섯 개의 하부 반사면(202)이 육각면체의 형태로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반사면(202)이 상단에 육각면체의 형태로 하부 수직면(203)이 형성되는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기 하부 수직면(203)의 상단에 하단이 밀착되게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동일한 개수로 상부 수직면(30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직면(301)의 상단 둘레에 상기 하부 반사면(202)과 대응되게 여섯 개의 상부 반사면(302)이 육각면체의 형태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조립부재(300)와;
    각각의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에 의해 형성되는 육각면체의 외부 중앙에 대응하여 여섯 개의 엘이디(401)가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401)의 외부면에 끼워져 상기 엘이디(401)의 발광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에 확대렌즈(402)가 부착되며, 끝단으로 원형의 광산란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확대렌즈(402)의 둘레에 나팔관 형태의 광산란관(403)이 끼워지는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태양전지판(500)과;
    상기 태양전지판(500)이 내포되도록 상기 원판베이스(100)에 끼워지는 대략 원통형의 투명커버(600)와;
    상기 지지봉(101)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500)으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700)와;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의 사이로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부 조립부재(30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제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기판(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경광등.
  2.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지지봉(101)이 형성되고,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원판베이스(100)와;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단에 부착되는 원형턱(201)이 형성되고, 상기 원형턱(201)의 상부 둘레에 네 개의 하부 반사면(202)이 사각면체의 형태로 상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하부 반사면(202)이 상단에 사각면체의 형태로 하부 수직면(203)이 형성되는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기 하부 수직면(203)의 상단에 하단이 밀착되게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동일한 개수로 상부 수직면(30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수직면(301)의 상단 둘레에 상기 하부 반사면(202)과 대응되게 네 개의 상부 반사면(302)이 사각면체의 형태로 하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 조립부재(300)와;
    각각의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면체의 외부 중앙에 대응하여 네 개의 엘이디(401)가 설치되고, 상기 엘이디(401)의 외부면에 끼워져 상기 엘이디(401)의 발광을 확대시키도록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에 확대렌즈(402)가 부착되며, 끝단으로 원형의 광산란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확대렌즈(402) 중의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개의 상기 확대렌즈(402)의 둘레에 나팔관 형태의 광산란관(403)이 끼워지는 경광조명부(400)와;
    상기 상부 조립부재(300)의 상면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태양전지판(500)과;
    상기 태양전지판(500)이 내포되도록 상기 원판베이스(100)에 끼워지는 대략 사각입방체의 투명커버(600)와;
    상기 지지봉(101)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태양전지판(500)으로부터 생성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700)와;
    상기 하부 수직면(203)과 상부 수직면(301)의 사이로 상기 하부 조립부재(200)와 상부 조립부재(30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제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기판(8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경광등.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상기 원판베이스(100)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봉(101)의 내측으로 형성되는 설치홈(102)과,
    상기 설치홈(102)의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터리(700)를 수용하는 배터리 케이스(1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경광등.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상기 지지봉(101)의 하단에서 그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홈(104)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홈(104)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회로기판(800)과 전기 신호상으로 연결되는 온오프 스위치(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경광등.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베이스(100)는, 상기 지지봉(101)의 상부와 하부의 외주면에 상하 및 좌우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돌턱(10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101)이 끼워지는 고정관(1001)과, 상기 돌턱(105)이 끼워져 높이조절 가능하면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관(1001)의 내부면에 상하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단차홈(1002)과, 상기 고정관(1001)의 하부로 중공된 원뿔형으로 형성되는 원뿔관(1003)을 가지는 보조설치부재(10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경광등.
KR1020110118047A 2011-11-14 2011-11-14 엘이디 경광등 KR101274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47A KR101274281B1 (ko) 2011-11-14 2011-11-14 엘이디 경광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047A KR101274281B1 (ko) 2011-11-14 2011-11-14 엘이디 경광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2799A true KR20130052799A (ko) 2013-05-23
KR101274281B1 KR101274281B1 (ko) 2013-06-13

Family

ID=4866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047A KR101274281B1 (ko) 2011-11-14 2011-11-14 엘이디 경광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0991A (zh) * 2014-12-09 2015-04-08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太阳能电池向泡沫复合夹芯浮力基体上的兔灯的供电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278B1 (ko) 2014-11-04 2016-11-21 최철호 엘이디 경광등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779Y1 (ko) * 2001-03-13 2001-10-08 이계선 태양전지를 이용한 엘이디 안전유도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00991A (zh) * 2014-12-09 2015-04-08 无锡同春新能源科技有限公司 太阳能电池向泡沫复合夹芯浮力基体上的兔灯的供电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4281B1 (ko) 2013-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94208A1 (en) Led street light
JP2002373761A5 (ko)
WO2005095848A1 (en) An illumination device
WO2008110796A1 (en) Beacons and other light-emitting units
EP1460333A1 (en) A projector for swimming pools emitting selectively variable coloured light
JP2009021203A (ja) 複合体光学光源燈
KR101274281B1 (ko) 엘이디 경광등
JP2006218259A (ja) 照明杖
JP6095838B1 (ja) 回り灯篭用led照明具
KR101304728B1 (ko) 다용도 교통안전 표지판
CN105156929B (zh) 一种照明模组及具有该照明模组的照明灯具
JP2000319833A (ja) 工事灯
KR102472069B1 (ko) 3축 방진 댐퍼가 적용된 엘이디 조명시스템
JP2010262856A (ja) Ledランプ
JP2000319833A6 (ja) 工事灯
JP4428790B2 (ja) 放光灯
JP3179912U (ja) 照明装置
CN204005304U (zh) 手电筒
JP4868237B2 (ja) 警告灯
KR200229869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안전표시장치
JP3164629U (ja) Led又はel発光体の発光調節部材
KR200395790Y1 (ko) 가설용 점등기구
JP2008098127A (ja) 発光ダイオード装飾灯
KR200472882Y1 (ko) 발광소자를 이용한 손전등
KR101587534B1 (ko)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