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8886B1 -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8886B1
KR101158886B1 KR1020100060724A KR20100060724A KR101158886B1 KR 101158886 B1 KR101158886 B1 KR 101158886B1 KR 1020100060724 A KR1020100060724 A KR 1020100060724A KR 20100060724 A KR20100060724 A KR 20100060724A KR 101158886 B1 KR101158886 B1 KR 101158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nd
lighting
main body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385A (ko
Inventor
조재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위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위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위너테크
Priority to KR1020100060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8886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8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8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7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hing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의 일정 높이 이상에 설치되어 수목에 조명을 비춰 수목을 돋보이게 하고 미려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정된 높이에 설치되며, 수목의 줄기를 둘러싸는 밴드와, 상기 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의 양측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니트와, 상기 밴드에 지지되어 상기 줄기의 주위를 둘러싸며,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다수의 단위조명블록들이 상호 결합하여 조립되는 조명유니트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Scenery lighting apparatus for trees}
본 발명은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의 일정 높이 이상에 설치되어 수목에 조명을 비춰 수목을 돋보이게 하고 미려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 또는 실내에서 광을 제공하거나 물체를 조명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조명등이 이용되고 있다. 이 같은 조명등은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에너지를 광에너지로 변환시켜 광을 제공하거나 물체를 조사한다. 조명은 이제 단순히 어둠을 밝히는 도구에서 머무르지 않고 도시의 야경을 새롭게 탄생시키고 각 조형물의 특성에 맞게 이미지를 재창조하기도 한다.
경관 조명은 구조물 등에 설치되어 조명될 대상물인 피사체 또는 피조사체의 특정 위치에 빛을 조명함으로써, 아름다운 경관을 창출하거나 시선을 집중시켜 조명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관 조명에 의해 각종 광고물이나 조형물, 구조물의 데코레이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전혀 새로운 이미지의 창출이 가능한 것이며, 주야간에도 시인성 및 주목도를 향상시켜 보다 뛰어난 광고효과를 갖게 한다. 특히 경관 조명은 고층빌딩이나 다리, 공원 등에 설치되어 특정한 부분을 비추거나 그림이나 특정 모양을 만들어 내게 할 수 있다.
경관 조명을 위한 것 중 수목에 광을 조사하여 수목을 돋보이게 하고 미려한 경관을 연출하는 수목용 경관 조명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관 조명등은 도심의 아름다운 야경을 창출한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0441912호에는 가로주 주변의 지반에 램프를 매립하는 등기구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매립형 수목조명장치는 설치 공간의 확보가 어렵고, 램프가 지반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램프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지 못해 고장이 빈번하며, 수분 및 이물질이 침투하기 쉽게 되어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수목 주변을 지나가는 사람들에게는 지반에서 방사되는 빛 때문에 눈부심현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지면에 설치하지 않고 수목의 줄기에 장착하여 수목 주변의 행인들에게 지장을 주지않는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크기를 갖는 다양한 수목의 줄기에 장착이 가능하도록 크기가 가변될 수 있는 수목용 경관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목용 경관 조명 장치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설정된 높이에 설치되며, 수목의 줄기를 둘러싸는 밴드와; 상기 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의 양측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니트와; 상기 밴드에 지지되어 상기 줄기의 주위를 둘러싸며,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다수의 단위조명블록들이 상호 결합하여 조립되는 조명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단위조명블록은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과 힌지결합하는 제 1힌지결합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과 힌지결합하는 제 2힌지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유니트는 일단이 상기 밴드에 형성된 제 1브라켓들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명유니트에 형성된 제 2브라켓들에 힌지결합되는 다수의 링크바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링크바는 상기 조명유니트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명유니트의 상부에 낙엽이 얹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헤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단위조명블록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된 광의 조사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각각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또는 상기 제 2힌지결합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또는 제 2힌지결합부와 결합하며 상기 돌기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회전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밴드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목 줄기의 형상 또는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줄기에 밀착되는 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목의 일정 높이 이상에 설치하여 수목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들에게 눈부심 등의 불편을 초래시키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수목의 줄기의 둘레 길이나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가 수목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경관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관조명장치는 수목에 줄기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일정한 높이에 설치된다. 이는 행인들의 키보다 더 높은 위치에 조명장치를 설치하여 수목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들에게 눈부심 등의 불편을 초래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경관 조명장치(10)는 크게 밴드(20)와, 결합유니트(30)와, 조명유니트(40)를 구비한다.
밴드(20)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띠 모양으로 형성된다. 밴드(20)는 수목의 줄기(5)를 둘러싸도록 수목에 장착되며, 일정 높이에 장착된다. 수목마다 줄기(5)의 둘레 길이가 다르므로 밴드(20)는 줄기(5)의 둘레 길이에 대응되도록 신축 변형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밴드(20)는 신축변형이 가능한 고무나 수지를 이용한다. 이와 같이 밴드(20)는 신축가능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수목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밴드(20)의 양측을 결합시키는 결합유니트(30)는 다양한 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버클(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버클이 적용된 경우 밴드(20)의 일측에 숫부재(31)가 결합되고, 밴드(20)의 타측에 암부재(35)가 결합된다. 숫부재(31)에는 밴드(20)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밴드(20)가 결합된다. 이외에도 도 9에 도시된 형상의 버클이나, 허리띠나 가방, 안전벨트 등에 적용되는 공지의 버클이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줄기(5)와 접촉하는 밴드(20)의 내측면에는 공기의 유입 및 유출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공기튜브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튜브에는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노즐이 설치된다. 또한, 공기튜브에 공기의 유출을 단속할 수 있는 공기 유출노즐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공기를 공기주입노즐을 통해 공기튜브 내부로 주입하게 되면 밴드(20)와 줄기(5) 사이에서 공기튜브가 팽창하게 된다. 이때 공기튜브는 줄기(5)의 형상에 따라 팽창하므로 줄기에 장착된 밴드920)의 결합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조명유니트(40)는 밴드(20)에 지지되어 줄기(5)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조명유니트(40)는 다수의 단위조명블록들(50)이 상호 결합하여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는 4개의 단위조명블록들(50)이 서로 결합하여 환형의 조명유니트(40)를 형성한다. 이외에도 단위조명블록(50)은 2개 또는 3개가 결합되거나 5개 이상이 결합하여 조명유니트(40)를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된 각 단위조명블록(50)은 발광다이오드(53)가 내장된 본체(51)와, 본체(51)의 일측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과 힌지결합하는 제 1힌지결합부(57)와, 본체(51)의 타측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50)과 힌지결합하는 제 2힌지결합부(59)를 구비한다.
본체(51)는 내부에 다수의 발광다이오드(53)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된다. 발광다이오드(53)는 PCB기판(미도시)에 실장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하는 발광소자로서 발광다이오드(53)가 적용되었는데, 이외에도 형광램프나 무기전계발광소자(Inorganic Electro Luminescence)라 불리는 무기EL 등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는 발광하는 색상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하여 계절 또는 시간에 따라 조명 색상의 변화를 줄 수 있다. 가령, 온도센서에 의해 온도를 감지하거나 시간에 의해 마이컴이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들 중 특정 발광다이오드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제어하여 조명색상을 조절한다.
발광다이오드(53)의 구동전원으로 외부에서 끌어들인 상용전원을 이용한다. 자체에 배터리를 설치하여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배터리는 태양광 또는 풍력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부와 연결되어 전기를 충전할 수 있다. 상용 전원과 배터리를 함께 사용하도록 구축된 경우 발전부가 발전상태일 때는 발전부에 의해 생성된 전력을 이용하고, 비 발전시에는 배터리 또는 상용전원을 이용하며, 배터리의 충전 필요시에는 발전부가 가동중일 때는 발전부의 전력으로 충전하게 하고, 비 발전시에는 상용전원으로 충전하도록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광다이오드를 자동으로 온오프할 수 있도록 마이컴이 설치되고, 마이컴은 조도센서를 통해 발광다이오드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본체(51)의 개방된 상부에는 빛이 투과될 수 있는 소재로 형성된 커버(55)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커버(55)는 얇은 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51)의 상부에는 낙엽이 얹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부(56)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헤드부(56)가 커버의 기능을 한다. 따라서 헤드부(56)는 빛이 투과 가능한 소재를 이용한다. 헤드부(56)는 하부에서 상부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빛이 발산되는 본체(51)의 상부에 낙엽이 떨어지더라도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여 본체(51)에 얹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헤드부(56)는 도시된 형상 이외에도 상단이 뾰족한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5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힌지결합부(57)(59)는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의 제 2 및 제 1힌지결합부와 각각 힌지결합된다. 제 1힌지결합부(57)는 본체(51)의 하부에서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힌지결합부(57)의 상하 두께는 본체(51) 두께의 절반으로 한다. 제 2힌지결합부(59)는 본체(51)의 상부에서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2힌지결합부(59) 역시 상하 두께는 본체(51) 두께의 절반으로 한다. 제 1 및 제 2힌지결합부(57)(59)는 상하방향에서 서로 결합한다. 제 1 및 제 2힌지결합부에(57)(59)는 결합핀(63)이 삽입되는 핀홀(61)이 각각 형성된다. 핀홀(61)의 직경은 결합핀(63)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결합핀(63)은 하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65)와 나사결합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체의 하부에는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용이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히트씽크가 형성될 수 있다.
조명유니트(40)는 밴드(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유니트와 밴드가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명유니트(40)를 지지하기 위해 다수의 링크바들(80)이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하나의 단위조명블록(50)은 하나의 링크바(80)에 지지된다. 각 링크바(80)는 일단이 밴드(20)에 설치된 제 1브라켓(70)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단위조명블록(50)에 설치된 제 2브라켓(75)에 힌지결합된다.
제 1브라켓(70)은 밴드(20)를 둘러싸는 사각의 프레임(71)과 프레임(71)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결합편(73)으로 이루어진다. 프레임(71)의 내측 공간은 밴드(20)의 크기보다 약간 크도록 형성되어 밴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레임(71)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71)의 내측면에는 줄기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요철이 형성된다. 프레임의 형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결합편(73)은 반호형의 형상으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결합편(73)은 프레임(71)과 일체로 만들어지거나 별도의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프레임(73)에 결합될 수 있다. 제 1결합편(73)에는 링크바(80)의 일측이 고정핀에 의해 힌지결합한다. 한편, 제 1브라켓의 제 1결합편(7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71)의 바깥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브라켓(75)은 원판형의 장착플레이트(77)와, 장착플레이트(77)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한 쌍의 제 2결합편(79)으로 이루어진다. 제 2브라켓(75)은 각 단위조명블록(50)의 본체(51) 하부에 나사결합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장착플레이트(77)는 본체(51)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본체(51)의 하부에 피벗(pivot)결합할 수 있다. 링크바(80)의 상부는 제 2브라켓(75)의 제 2결합편(79)에 힌지결합된다.
링크바(80)에 의해 지지되는 조명유니트(40)는 밴드(20)의 상부에 배치된다.바람직하게 조명유니트(40)의 내경은 수목 줄기(5)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조명유니트(40)는 다수의 단위조명블록(50)이 결합하여 조립되므로 단위조명블록(50)의 결합 수에 따라 조명유니트(40)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추가되는 단위조명블록(50) 만큼 제 1브라켓(70)과 링크바(8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에는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된 광의 조사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본체(51)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수단이 각 단위조명블록에 구비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틸팅수단으로 본체(51)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각각 형성된 돌기(101)와, 돌기(101)의 단부에 형성되며 제 1 또는 상기 제 2힌지결합부(90)(95)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제 1 또는 제 2힌지결합부(90)(95)와 결합하며 돌기(101)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구형의 회전구(10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 1힌지결합부(90)는 제 1상부판(91)과 제 2하부판(93)으로 나뉜다. 제 1상부판(91)과 제 2하부판(93)은 나사에 의해 결합한다. 제 1상부판(91)은 제 2하부판(93)보다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의 제 2힌지결합부(95) 방향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1상부판(91)과 제 2하부판(93)에는 서로 결합하는 결합면에 반구형의 홈(94)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상부판(91) 및 제 2하부판(93)을 결합하게 되면 회전구(105)를 수용하는 구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수용공간에 수용된 회전구(105)가 회전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은 회전구(105)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제 2힌지결합부(95)는 제 3상부판(96)과 제 4하부판(97)으로 이루어진다. 제 3상부판(96)과 제 4상부판(97)은 나사에 의해 결합한다. 제 4하부판(97)은 제 3상부판(96)보다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의 제 1힌지결합부 방향으로 더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 3상부판(96)과 제 4하부판(97)에는 서로 결합하는 결합면에 반구형의 홈(98)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 3상부판(96) 및 제 4하부판(97)을 결합하게 되면 회전구(105)를 수용하는 구형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서 돌기(101)는 본체(51)와, 제 1 및 제 2힌지결합부(90)(95)가 이격될 수 있도록 하여 본체(51)의 회전시 제 1 및 제 2힌지결합부(90)(95)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51)가 틸팅가능하도록 결합된 조명유니트는 각 단위조명블록의 기울기를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빛의 조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예에서 링크바는 조명유니트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다. 높이조절수단으로 링크바는 제 1바(111) 및 제 2바(113)로 형성되고, 제 1바(111) 및 제 2바(113)는 핀(117)에 의해 힌지결합되어 관절부(115)를 형성한다. 상기 관절부(115)에 의해 조명유니트와 밴드의 수직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이는 도로 주변에 일렬로 늘어 선 가로수에 본 발명의 경관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각 가로수에 장착된 조명유니트의 높이를 동일하게 조정시 그 조정이 매우 용이하다.
한편, 도 5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위조명블록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50)의 내부는 격벽(108)에 의해 상하 2개의 공간으로 나뉘고, 상부측에는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53)가 설치되고, 하부측에는 하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다이오드(54)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51)의 상부에는 커버 기능을 하는 헤드부(56)가 결합되고, 본체(51)의 하부에도 커버(11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하방으로도 빛을 조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능을 더욱 다양화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경관조명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경관 조명장치는 밴드(20)와, 결합유니트(30)와, 조명유니트를 구비한다. 밴드(20) 및 결합유니트(30)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조명유니트는 다수의 단위조명블록들(120) 및 다수의 연결블록들(130)이 결합하여 형성된다. 각 연결블록들(130)은 인접하는 두개의 단위조명블록들(120) 사이마다 하나씩 배치된다. 즉, 연결블록(130) 및 단위조명블록들(120)은 교호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단위조명블록들(120) 각각은 베이스부(121)와, 상기 베이스부(121)의 상부에 장착되며 발광다이오드가 내장된 본체(127)와, 베이스부(121)의 일측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연결블록과 힌지결합하는 제 1힌지결합부(123)와, 베이스부(121)의 타측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연결블록과 힌지결합하는 제 2힌지결합부(125)를 구비한다. 그리고 연결블록들(130) 각각은 일측에 형성되어 제 1힌지결합부(123)와 결합하는 제 3힌지결합부(123)와, 타측에 형성되어 제 2힌지결합부(125)와 힌지결합하는 제 4힌지결합부(135)를 구비한다.
상기 연결블록들(130)의 하부에는 제 2브라켓(75)이 각각 설치된다. 따라서 링크바(140)의 상단은 제 2브라켓(75)에 힌지결합되고, 링크바(140)의 하단은 제 1브라켓(70)에 힌지결합된다.
도시된 예에서 링크바(140)는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제 1브라켓(70)에 연결되며 내부가 빈 파이프 형상의 지지관(141)과, 상기 지지관(141)에 수용되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단부가 제 2브라켓(75)에 연결된 이동봉(143)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지지관(141)의 상단에 나사결합하여 이동봉(143)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는 캡(145)이 설치된다. 캡(145)을 조이면 이동봉(143)의 이동이 억제되고, 캡(145)을 풀면 이동봉(143)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그리고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20)의 내측에는 수목의 줄기(5) 형상 또는 크기에 대응하여 줄기를 밀착시키는 가압부(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150)는 제 1브라켓(70)의 내측면에서 줄기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원통형의 가이드관(151)과, 상기 가이드관(151)에 수용되며 단부가 상기 가이드관(151)의 외부로 돌출되는 봉 형상의 슬라이더(153)와, 슬라이더(153)의 단부에 형성되며 압착판(155)과, 상기 압착판(155)의 단면에 다수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수목 줄기에 박히는 고정침(156)과, 상기 가이드관(151)에 내장되어 상기 슬라이더(153)를 줄기(5)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인 스프링(157)을 구비한다. 가이드관(151)의 단부에는 상기 슬라이더(153)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된다. 삽입홀은 슬라이더(153)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관(151)의 내부에 위치한 슬라이더(153)의 단부에는 삽입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된 스토퍼(159)가 마련된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가압부(150)는 탄성부재에 의해 압착판(155)을 줄기 방향으로 항상 가압하는 구조이므로, 나무의 형상이나 크기가 다양하게 변하더라도 밴드(20)의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한편,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관 조명장치는 다수의 줄기에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령, 하나의 수목이 다수의 줄기로 갈라지는 경우 다수의 밴드를 마련하여 각 줄기마다 하나의 밴드(20)를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갈라지는 줄기의 모양이 매우 다양하고 그에 따라 각 밴드(20) 간의 간격 및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밴드(20)와 조명유니트를 연결하는 링크바(140)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각도의 변형이 자유롭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도시된 예에서 링크바(140)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관(141)과, 이동봉(143)과, 캡(14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지관(141)은 유니버셜조인트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통상적으로 유니버셜조인트는 지지관(141)의 단부에 구비된 요크부(151)(153)와, 상기 요크부(151)(153)를 결합시키도록 상기 요크부(151)(153) 사이에 끼워지는 십자축(미도시)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 중에서 위에서 설명되지 않은 구성요소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술한 각 실시예들은 음향발생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음향발생수단은 음향이 저장된 음향칩이 장착된 음향전기신호모듈과, 상기 음향칩에서 재생되는 음향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를 구비한다.
음향칩에는 각종 새소리 또는 물소리 또는 바람 소리와 같이 자연에서 발생하는 소리 등이 저장된다. 또한, 보행자의 청각적인 즐거움을 부여할 수 있는 소리가 음향칩에 저장될 수 있다.
음향전기신호모듈은 음향칩이 장착된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진다. 음향전기신호모듈과 스피커는 조명유니트와 별도로 수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음향전기신호모듈과 스피커는 조명유니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조명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단위조명블록이 음향발생블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음향발생블록은 단위조명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갖고, 다만 내부에 발광다이오드 대신에 음향전기신호모듈과, 스피커가 설치된다. 이러한 음향발생수단은 마이컴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수목 줄기 10: 경관조명장치
20: 밴드 30: 결합유니트
40: 조명유니트 50: 단위조명블록
51: 본체 53: 발광다이오드
55: 커버 57: 제 1힌지결합부
59: 제2힌지결합부 80: 링크바

Claims (7)

  1.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 설치되고, 수목의 줄기를 둘러싸며 상기 줄기의 둘레 길이에 따라 길이의 변형이 가능한 밴드와;
    상기 밴드에 설치되어 상기 밴드의 양측을 결합시켜 상기 밴드를 상기 줄기에 고정시키는 결합유니트와;
    상기 줄기의 주위를 둘러싸며, 발광다이오드가 장착된 다수의 단위조명블록들이 상호 결합하여 환형으로 조립되는 조명유니트와;
    상기 단위조명블록들의 결합 수에 따라 상기 조명유니트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도록 일단은 상기 밴드에 형성된 제 1브라켓들에 힌지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단위조명블록들에 형성된 제 2브라켓들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조명유니트를 지지하는 다수의 링크바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조명블록은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내장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과 힌지결합하는 제 1힌지결합부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형성되며 인접하는 단위조명블록과 힌지결합하는 제 2힌지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바는 상기 조명유니트의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유니트의 상부에 낙엽이 얹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방으로 진행할수록 점진적으로 단면적이 좁아지는 헤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조명블록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된 광의 조사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틸팅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틸팅수단은 상기 본체의 양측에서 돌출되어 각각 형성된 돌기와, 상기 돌기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또는 상기 제 2힌지결합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수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또는 제 2힌지결합부와 결합하며 상기 돌기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회전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수목 줄기의 형상 또는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줄기에 밀착되는 가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KR1020100060724A 2010-06-25 2010-06-25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KR101158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24A KR101158886B1 (ko) 2010-06-25 2010-06-25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724A KR101158886B1 (ko) 2010-06-25 2010-06-25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85A KR20120000385A (ko) 2012-01-02
KR101158886B1 true KR101158886B1 (ko) 2012-06-25

Family

ID=4560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724A KR101158886B1 (ko) 2010-06-25 2010-06-25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88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647B1 (ko) * 2013-09-11 2014-02-21 성낙규 조립식 조명등 커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8436A1 (en) 2008-04-25 2009-10-29 Keiji Taiga Small scale illumination device
KR100942151B1 (ko) * 2009-08-18 2010-02-16 한현희 투광등 거치대
KR100950574B1 (ko) * 2009-07-29 2010-04-0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아웃도어용 전등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68436A1 (en) 2008-04-25 2009-10-29 Keiji Taiga Small scale illumination device
KR100950574B1 (ko) * 2009-07-29 2010-04-01 주식회사 아이에스시테크놀러지 아웃도어용 전등
KR100942151B1 (ko) * 2009-08-18 2010-02-16 한현희 투광등 거치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385A (ko) 201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7234B2 (en) Landscape light
US20060092638A1 (en) Housing for intelligent lights
US10234118B2 (en) Decorative light
EP2172690B1 (en) Imitation candle
US8960967B2 (en) Housing for intelligent lights
US20100277089A1 (en) Led light has geometric-unit(s) incorporated with projection means
US9890938B2 (en) Decorative light
US8002427B2 (en) Solar rechargeable light emitting diode lights
KR100936942B1 (ko) 조립형 엘이디 조명기구
US20170329211A1 (en) Laser Projection Light
KR101158886B1 (ko)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JP3177650U (ja) Led照明装置
KR20120102268A (ko) 이미지 조경 겸용 보도블록
KR101274281B1 (ko) 엘이디 경광등
CN211526269U (zh) 一种带摄像头的投光灯
NL2026547B1 (en) Lighting apparatus with modular frame
KR102301524B1 (ko) 미러 조명구를 이용한 경관조명 장치
CN212901007U (zh) 一种投光灯
KR100444634B1 (ko) 변색등
KR200370824Y1 (ko) 착탈식 전등기구
KR20060029421A (ko) 착탈식 전등기구
KR200484254Y1 (ko) 초롱가로등 엘이디램프 결합구조
KR200449652Y1 (ko) 조명장치
CN203743977U (zh) 便携式投光灯
KR20190139413A (ko) 프로젝터 알람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