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2151B1 - 투광등 거치대 - Google Patents

투광등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2151B1
KR100942151B1 KR1020090076114A KR20090076114A KR100942151B1 KR 100942151 B1 KR100942151 B1 KR 100942151B1 KR 1020090076114 A KR1020090076114 A KR 1020090076114A KR 20090076114 A KR20090076114 A KR 20090076114A KR 100942151 B1 KR100942151 B1 KR 1009421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floodlight
hole
shap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현희
Original Assignee
한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현희 filed Critical 한현희
Priority to KR1020090076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1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8Devices for easy attachment to any desired place, e.g. clip, clamp, mag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40Lighting for industrial, commercial, recreational or military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광등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다양한 종류의 투광등의 규격에 맞는 거치대가 별도로 제작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양한 규격의 투광등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개방되고,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선덕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배선커버와, 하단의 외주면에 단턱지게 확장되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에서 수직으로 관통되되 동일한 중심점에 대한 원호형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 개의 결합장홀과, 상면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과 소폭 이격되어 대칭되는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직 관통하는 장홀과, 상기 장홀의 하단으로 상기 장홀이 단턱지게 일정길이 확장되는 볼트가이드로 이루어지는 하부 몸체와;
하단에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 중심에서 원기둥의 형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절곡 연장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지지봉과, 상기 바닥판의 중심에 대한 동일한 원호형으로 대칭되게 길게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고정홀로 이루어지는 지지대와;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닥판이 삽입되는 바닥판 삽입홈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이 삽입되는 지지봉 삽입홈과, 볼트의 육각형의 헤드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볼트가이드에 삽입되고 상기 바닥판의 제1 고정홀을 통과하여 관통하였을 때 상부에서 너트로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홀을 구비하고 반원의 형상 을 가지도록 수직으로 양분되어 양분된 양측 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더브테일 홈과 더브테일 돌기에 의하여 결합하는 두 개의 지지대 고정브라켓과;
상기 지지대의 지지봉 상부 끝단에 장착되어, 정면 중앙에 제1 배선 인출홀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투광등 장착장홀이 형성되는 제1 장착면과, 저면 중앙에 제2 배선 인출홀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투광등 장착장홀이 형성되는 제2 장착면과, 상면 일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투광등의 장착 및 배선연결 작업을 하도록 하는 제2 배선커버로 이루어지는 투광등 장착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투광등, 투광기

Description

투광등 거치대{The support for a floodlight}
본 발명은 투광등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양한 규격의 투광등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이하여 개발된 투광등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투광등의 사전적인 의미는 빛을 일정한 방향으로 비추도록 하기 위한 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투광등이 사용되는 곳은 예전에는 군사적인 또는 일정 구역의 감시 목적으로 사용하던 서치라이트와 야간에 스포츠 경기장을 비추기 위한 용도가 그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하지만 일부 대형 문화제 또는 전시물과 같은 곳에 야간에 조명효과를 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던 즉 경관조명에 사용하던 투광등이 다양한 건물 또는 다리와 같은 시설물 또는 야외 분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그 수요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관조명을 위한 투광등의 사용은 투광등이 정확한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이를 견고히 벽체나 바닥 등에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 가 장 기본적인 일이다.
이는 외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바람의 영향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건드릴 수도 있다는 것을 고려하여 매우 견고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정확한 곳에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건물이나 구조물 등의 아름다움을 가장 잘 두드러지게 하는 작업은 전문가의 세심한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광등은 이를 견고하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이는 투광등을 생산하는 업체와 투광등 거치대를 생산하는 업체가 따로 생산하거나 협력관계로 생산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투광등의 사용은 상황에 따라 투광등의 종류를 선택하고 고정하도록 하고 있으나 다른 곳에서 생산하는 거치대와 규격이 맞지 않아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규격에 맞는 거치대가 있다고 하더라도 설치장소에 따라 거치대의 형상 및 필요한 견고함에 차이가 있으나 이에 적합한 거치대가 없을 경우도 상당히 많아 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양한 규격을 가진 투광등을 원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조절하면서 장착할 수 있는 투광등 거치대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투광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려하고 전선의 손상우려를 줄일 수 있는 투광등 거치대를 개발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개방되고,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선덕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배선커버와, 하단의 외주면에 단턱지게 확장되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에서 수직으로 관통되되 동일한 중심점에 대한 원호형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 개의 결합장홀과, 상면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과 소폭 이격되어 대칭되는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직 관통하는 장홀과, 상기 장홀의 하단으로 상기 장홀이 단턱지게 일정길이 확장되는 볼트가이드로 이루어지는 하부 몸체와;
하단에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 중심에서 원기둥의 형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절곡 연장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지지봉과, 상기 바닥판의 중심에 대한 동일한 원호형으로 대칭되게 길게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고정홀로 이루어지는 지지대와;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닥판이 삽입되는 바닥판 삽입홈과, 상기 지지봉의 하단이 삽입되는 지지봉 삽입홈과, 볼트의 육각형의 헤드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볼트가이드에 삽입되고 상기 바닥판의 제1 고정홀을 통과하여 관통하였을 때 상부에서 너트로 볼트를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홀을 구비하고 반원의 형상을 가지도록 수직으로 양분되어 양분된 양측 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더브테일 홈과 더브테일 돌기에 의하여 결합하는 두 개의 지지대 고정브라켓과;
상기 지지대의 지지봉 상부 끝단에 장착되어, 정면 중앙에 제1 배선 인출홀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투광등 장착장홀이 형성되는 제1 장착면과, 저면 중앙에 제2 배선 인출홀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투광등 장착장홀이 형성되는 제2 장착면과, 상면 일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투광등의 장착 및 배선연결 작업을 하도록 하는 제2 배선커버로 이루어지는 투광등 장착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 몸체의 상면에는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중심으로 하는 링 형상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관통되되 적어도 2개 소 이상의 제1 연결리브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어,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리브가 절단되면서 관통홀을 포함한 원판의 형상으로 이탈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의 바닥판 저면 중심에는 상기 결합홈에 상응하는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배선커버 및 제2 배선커버는 다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 인접하여 관통된 고정볼트홀이 형성되고, 배면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는 커버판과;
상기 제1 배선커버가 형성되는 하부 몸체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판의 형상에 상응하여 삽입되도록 관통된 장착홀과, 상기 장착홀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판의 두께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단턱지게 축소되되 상기 고정볼트홀에 상응하여 고정볼트에 의하여 상기 커버판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홀과 상기 고정돌기에 상응하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걸림턱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배선커버에는 사각 또는 원형의 선을 따라 관통 절개되되 적어도 2개 소 이상의 제2 연결리브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제2 연결리브가 절단되면서 판의 형상으로 이탈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 및 투광등 장착브라켓에는 사각 또는 원형의 선을 따라 관통 절개되되 적어도 2개 소 이상의 제3 연결리브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제3 연결리브가 절단되면서 판의 형상으로 이탈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부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규격을 가진 투광등의 설치가 가능하면서 투광등의 장착위치를 선택하면서 지지대를 회전하도록 하여 빛이 조사되는 방향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조정한 후 견고히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광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미려하고 전선의 손상우려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개방되고,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선덕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배선커버(11)와, 하단의 외주면에 단턱지게 확장되는 단턱부(12)와, 상기 단턱부(12)에서 수직으로 관통되되 동일한 중심점에 대한 원호형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 개의 결합장홀(13)과, 상면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4)과, 상기 관통홀(14)과 소폭 이격되어 대칭되는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직 관통하는 장홀(15)과, 상기 장홀(15)의 하단으로 상기 장홀(15)이 단턱지게 일정길이 확장되는 볼트가이드(16)로 이루어지는 하부 몸체(1)와;
하단에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의 상면 중심에서 원기둥의 형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절곡 연장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지지봉(22)과, 상기 바닥판(21)의 중심에 대한 동일한 원호형으로 대칭되게 길게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고정홀(23)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와;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닥판(21)이 삽입되는 바닥판 삽입홈(31)과, 상기 지지봉(22)의 하단이 삽입되는 지지봉 삽입홈(32)과, 볼트(33)의 육각형의 헤드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볼트가이드(16)에 삽입되고 상기 바닥판(21)의 제1 고정홀(23)을 통과하여 관통하였을 때 상부에서 너트(34)로 볼트(33)를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홀(35)을 구비하고 반원의 형상을 가지도록 수직으로 양분되어 양분된 양측 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더브테일 홈(36)과 더브테일 돌기(37)에 의하여 결합하는 두 개의 지지대 고정브라켓(3)과;
상기 지지대(2)의 지지봉(22) 상부 끝단에 장착되어, 정면 중앙에 제1 배선 인출홀(41)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투광등 장착장홀(42)이 형성되는 제1 장착면(43)과, 저면 중앙에 제2 배선 인출홀(44)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투광등 장착장홀(45)이 형성되는 제2 장착면(46)과, 상면 일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투광등의 장착 및 배선연결 작업을 하도록 하는 제2 배선커버(47)로 이루어지는 투광등 장착브라켓(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거치대를 나타내었다.
여기서 하부 몸체(1)는 투광기 설치를 위한 구조물 또는 벽면 등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단턱부(12)의 결합장홀(13)을 통하여 고정하게 되며, 기존에 고정을 위한 나사홀이나 또는 나사봉이 돌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도 용이하게 결합하고 그 위치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결합장홀(13)을 원호의 형상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투광등의 경우 투광등 본체와 장착을 위한 장착밴드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상기 장착밴드에 형성된 홀에 의하여 결합하도록 하는 형태가 그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때 투광등의 종류나 규격에 따라 이러한 장착밴드의 형상이나 형성된 홀의 위치가 다른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원의 경우 각각 한 쌍씩의 제1 및 제2 투광등 장착장홀(42, 45)에 의하여 서로 홀의 위치가 상이한 투광등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투광등 장착브라켓(4)의 전면 및 저면에 제1 및 제2 장착면(43, 46)을 두어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또는 복수의 투광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배선 인출홀(41, 44)은 상기 투광등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 통과하여 연결되도록 한 것으로 본원에서의 전원은 상기 하부 몸체(1)의 저면에서 관통홀(14)을 거쳐 상기 지지봉(22) 및 상기 투광등 장착브라켓(4)을 통과하도록 내장되어 있어 외관에서 전선이 드러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의 결합을 나타낸 개념도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에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의 상면 중심에서 원기둥의 형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절곡 연장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지지봉(22)과, 상기 바닥판(21)의 중심에 대한 동일한 원호형으로 대칭되게 길게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고정홀(23)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는;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닥판(21)이 삽입되는 바닥판 삽입홈(31)과, 상기 지 지봉(22)의 하단이 삽입되는 지지봉 삽입홈(32)과, 볼트(33)의 육각형의 헤드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볼트가이드(16)에 삽입되고 상기 바닥판(21)의 제1 고정홀(23)을 통과하여 관통하였을 때 상부에서 너트(34)로 볼트(33)를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홀(35)을 구비하고 반원의 형상을 가지도록 수직으로 양분되어 양분된 양측 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더브테일 홈(36)과 더브테일 돌기(37)에 의하여 결합하는 두 개의 지지대 고정브라켓(3)에 의하여 하부 몸체(1)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고정을 위한 조립순서는 먼저 지지대(2)의 바닥판(21)을 하부몸체(1)의 중앙에 올려놓은 후 지지대 고정브라켓(3) 중 하나를 조립하고 볼트(33)을 하부 몸체(1)의 내부에서 상부로 상기 장홀(15)을 관통하고 상기 바닥판(21)의 제1 고정홀(23) 및 상기 지지대 고정브라켓(3)의 제2 고정홀(35)을 관통하게 하고 상기 너트(34)로 살짝 조여준다.
이후 다른 한 쌍의 지지대 고정브라켓(3)을 상기 더브테일 홈(36)과 더브테일 돌기(37)를 이용하여 결합한 후 또 다른 볼트(33)를 이용하여 이를 어느 정도 유동이 있는 상태로 조립한 후 지지대(2)를 돌리면서 정확한 방향을 조절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너트(34)를 조여 단단히 고정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로서, 상기 하부 몸체(1)의 상면에는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14)을 중심으로 하는 링 형상의 결합홈(17)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7)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관통되되 적어도 2개 소 이상의 제1 연결리브(18)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어,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리브(18)가 절단되면서 관통홀(14)을 포함한 원판의 형상으로 이탈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의 바닥판(21) 저면 중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홈(17)에 상응하는 결합돌기(24)가 돌출되게 구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상기 결합홈(17)과 결합돌기(24)는 바닥판(21)이 용이하게 정확한 위치에 안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연결리브(18)에 의하여 중앙의 일부가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하게 한 구성은 투광등이 경우에 따라 투광등과 본원의 지지봉과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 일체로 구성되어 판매되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 본원에서는 중앙의 일부를 제거하고 이러한 지지봉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사시도로서, 상기 제1 배선커버(11) 및 제2 배선커버(47)는 다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 인접하여 관통된 고정볼트홀(111, 471)이 형성되고, 배면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12, 472)가 형성되는 커버판(110, 470)과;
상기 제1 배선커버(11)가 형성되는 하부 몸체(1)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판(110, 470)의 형상에 상응하여 삽입되도록 관통된 장착홀(113, 473)과, 상기 장착홀(113, 473)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판(110, 470)의 두께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단턱지게 축소되되 상기 고정볼트홀(111, 471)에 상응하여 고정볼트(114, 474) 에 의하여 상기 커버판(110, 47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홀(115, 475)과, 상기 고정돌기(112, 472)에 상응하는 고정홈(116, 476)이 형성되는 걸림턱(117, 47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거치대를 나타내었다.
이때 상기 도면에서 나타낸 부분은 하부 몸체(1)와 투광등 장착브라켓(4)의 둘 다 사용할 수 있는 부분이기에 동일한 구성에 두 개의 도면부호를 같이 인용하였다.
상기 구성은 상기 커버판(110, 470)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수 개의 볼트를 사용할 경우 그 분리작업에 시간이 소모되며, 단순 힌지에 의한 오픈 구조일 경우 누구나 쉽게 열 수 있는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하나의 고정볼트로도 용이하고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배선커버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사시도로서, 상기 제1 배선커버(11)에는 사각 또는 원형의 선을 따라 관통 절개되되 적어도 2개 소 이상의 제2 연결리브(191)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제2 연결리브(191)가 절단되면서 판의 형상으로 이탈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19)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거치대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경우에 따라 상기 제1 배선커버(11)를 통하여 전선 또는 전선이 내장되는 케이블을 인입 연결할 경우 상기 제1 배선커버(11) 자체를 개방하여 연결하거나 또는 상기 케이블 연결부(19)를 통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로서, 상기 하부 몸체(1) 및 투광등 장착브라켓(4)에는 사각 또는 원형의 선을 따라 관통 절개되되 적어도 2개 소 이상의 제3 연결리브(51)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제3 연결리브(51)가 절단되면서 판의 형상으로 이탈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부(5)가 추가로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 예는 내부가 햇빛에 노출될 경우는 줄임이 바람직하나 완전히 밀폐되어 있을 경우에는 야외에서 비에 노출 물이 들어갔을 때 배출이 용이하지 않게 되거나 또는 습기가 내부에서 응결되어 연결된 전기선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를 방지하기위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부분적으로 통기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실시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 또는 통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로서, 전술한 케이블 연결부(19) 또는 통기부(6)의 경우 외부와 내부를 관통 연결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외부의 빗물 등이 쉽게 스며들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설치 장소와 형성된 위치에 따라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추가적인 실시 예로 관통되지 않고 그 두께가 충격에 의하여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로 얇도록 형성된 절개홈(192, 62)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 연결부(19) 또는 통기부(6)를 형성하도록 하는 실시 예를 제시한 것이 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블 연결부(19) 또는 통기부(6)의 형상은 원형 또는 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자 임의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의 결합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배선커버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부분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 또는 통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케이블 연결부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몸체
11 : 제1 배선커버
110 : 커버판 111 : 고정볼트홀
112 : 고정돌기 113 : 장착홀
114 : 고정볼트 115 : 나사홀
116 : 고정홈 117 : 걸림턱
12 : 단턱부 13 : 결합장홀
14 : 관통홀 15 : 장홀
16 : 볼트가이드 17 : 결합홈
18 : 제1 연결리브
19 : 케이블 연결부
191 : 제2 연결리브 192 : 절개홈
2 : 지지대
21 : 바닥판 22 : 지지봉
23 : 제1 고정홀 24 : 결합돌기
3 : 고정브라켓
31 : 바닥판 32 : 지지봉 삽입홈
33 : 볼트 34 : 너트
35 : 제2 고정홀 36 : 더브테일 홈
37 : 더브테일 돌기
4 : 투광등 장착브라켓
41 : 제1 배선 인출홀 42 : 제1 투광등 장착장홀
43 : 제1 장착면 44 : 제2 배선 인출홀
45 : 제2 투광등 장착장홀 46 : 제2 장착면
47 : 제2 배선커버
470 : 커버판 471 : 고정볼트홀
472 : 고정돌기 473 : 장착홀
474 : 고정볼트 475 : 나사홀
476 : 고정홈 477 : 걸림턱
5 : 통기부
61 : 제3 연결리브 62 : 절개홈

Claims (5)

  1.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저면이 개방되고, 일측에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배선덕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제1 배선커버(11)와, 하단의 외주면에 단턱지게 확장되는 단턱부(12)와, 상기 단턱부(12)에서 수직으로 관통되되 동일한 중심점에 대한 원호형으로 길게 연장되는 수 개의 결합장홀(13)과, 상면 중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14)과, 상기 관통홀(14)과 소폭 이격되어 대칭되는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수직 관통하는 장홀(15)과, 상기 장홀(15)의 하단으로 상기 장홀(15)이 단턱지게 일정길이 확장되는 볼트가이드(16)로 이루어지는 하부 몸체(1)와;
    하단에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21)과, 상기 바닥판(21)의 상면 중심에서 원기둥의 형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었다가 다시 절곡 연장되는 원형 파이프 형상의 지지봉(22)과, 상기 바닥판(21)의 중심에 대한 동일한 원호형으로 대칭되게 길게 연장되는 두 개의 제1 고정홀(23)로 이루어지는 지지대(2)와;
    저면에 형성되는 상기 바닥판(21)이 삽입되는 바닥판 삽입홈(31)과, 상기 지지봉(22)의 하단이 삽입되는 지지봉 삽입홈(32)과, 볼트(33)의 육각형의 헤드가 하부에서 상부로 상기 볼트가이드(16)에 삽입되고 상기 바닥판(21)의 제1 고정홀(23)을 통과하여 관통하였을 때 상부에서 너트(34)로 볼트(33)를 조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2 고정홀(35)을 구비하고 반원의 형상을 가지도록 수직으로 양분되어 양분된 양측 면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더브테일 홈(36)과 더브테일 돌기(37)에 의하여 결합하는 두 개의 지지대 고정브라켓(3)과;
    상기 지지대(2)의 지지봉(22) 상부 끝단에 장착되어, 정면 중앙에 제1 배선 인출홀(41)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투광등 장착장홀(42)이 형성되는 제1 장착면(43)과, 저면 중앙에 제2 배선 인출홀(44)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 투광등 장착장홀(45)이 형성되는 제2 장착면(46)과, 상면 일부가 개폐가능하게 형성되어 투광등의 장착 및 배선연결 작업을 하도록 하는 제2 배선커버(47)로 이루어지는 투광등 장착브라켓(4)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거치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1)의 상면에는 중앙에 형성되는 관통홀(14)을 중심으로 하는 링 형상의 결합홈(17)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7)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으로 관통되되 적어도 2개 소 이상의 제1 연결리브(18)에 의하여 연결 고정되어,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제1 연결리브(18)가 절단되면서 관통홀(14)을 포함한 원판의 형상으로 이탈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2)의 바닥판(21) 저면 중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결합홈(17)에 상응하는 결합돌기(24)가 돌출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거치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커버(11) 및 제2 배선커버(47)는 다각형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단에 인접하여 관통된 고정볼트홀(111, 471)이 형성되고, 배면 하단에는 하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돌기(112, 472)가 형성되는 커버판(110, 470)과;
    상기 제1 배선커버(11)가 형성되는 하부 몸체(1)의 일면에는 상기 커버판(110, 470)의 형상에 상응하여 삽입되도록 관통된 장착홀(113, 473)과, 상기 장착홀(113, 473)의 내측으로 상기 커버판(110, 470)의 두께 이상으로 삽입되지 않도록 단턱지게 축소되되 상기 고정볼트홀(111, 471)에 상응하여 고정볼트(114, 474)에 의하여 상기 커버판(110, 47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나사홀(115, 475)과, 상기 고정돌기(112, 472)에 상응하는 고정홈(116, 476)이 형성되는 걸림턱(117, 47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거치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커버(11)에는 사각 또는 원형의 선을 따라 관통 절개되되 적어도 2개 소 이상의 제2 연결리브(191)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제2 연결리브(191)가 절단되면서 판의 형상으로 이탈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 연결부(19)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거치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1) 및 투광등 장착브라켓(4)에는 사각 또는 원형의 선을 따라 관통 절개되되 적어도 2개 소 이상의 제3 연결리브(51)에 의하여 연결되어, 일정 이상의 충격에 의하여 상기 제3 연결리브(51)가 절단되면서 판의 형상으로 이탈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통기부(5)가 추가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등 거치대.
KR1020090076114A 2009-08-18 2009-08-18 투광등 거치대 KR100942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114A KR100942151B1 (ko) 2009-08-18 2009-08-18 투광등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114A KR100942151B1 (ko) 2009-08-18 2009-08-18 투광등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151B1 true KR100942151B1 (ko) 2010-02-16

Family

ID=4208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114A KR100942151B1 (ko) 2009-08-18 2009-08-18 투광등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1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886B1 (ko) * 2010-06-25 2012-06-25 주식회사위너테크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KR200461275Y1 (ko) 2011-03-25 2012-07-03 (주)네오루체 천정직착등의 전등갓 탈부착장치
KR200482884Y1 (ko) 2015-10-26 2017-03-14 허창기 투광등의 연결 브라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62Y1 (ko) 2005-06-13 2005-08-22 손경진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200429831Y1 (ko) 2006-08-01 2006-10-27 이성형 가로등의 지주 연결구조
JP2008174900A (ja) 2007-01-16 2008-07-31 Sun Fastener Buhin Kk 高さ調整用脚金具用耐震固定具
KR20090017783A (ko) * 2007-08-16 2009-02-19 주식회사 일산 기둥의 기초 연결부 마감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562Y1 (ko) 2005-06-13 2005-08-22 손경진 횡단보도용 조명장치
KR200429831Y1 (ko) 2006-08-01 2006-10-27 이성형 가로등의 지주 연결구조
JP2008174900A (ja) 2007-01-16 2008-07-31 Sun Fastener Buhin Kk 高さ調整用脚金具用耐震固定具
KR20090017783A (ko) * 2007-08-16 2009-02-19 주식회사 일산 기둥의 기초 연결부 마감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886B1 (ko) * 2010-06-25 2012-06-25 주식회사위너테크 수목용 경관 조명장치
KR200461275Y1 (ko) 2011-03-25 2012-07-03 (주)네오루체 천정직착등의 전등갓 탈부착장치
KR200482884Y1 (ko) 2015-10-26 2017-03-14 허창기 투광등의 연결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7619B2 (en) Lighting fixture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for different junction box configurations
US8371726B2 (en) Recessed luminaire with a reflector
CA2185201C (en) Canopy luminaire
US7874711B2 (en) Surface-mounted lighting system
US9062838B1 (en) Downwardly-extending light fixture
KR100942151B1 (ko) 투광등 거치대
CA2686758A1 (en) A linear lighting system having a spinal structure and an optical system separately installable thereon
JP2016157604A (ja) 多目的ポール
US5188449A (en) Lighting fixture assembly
KR200402734Y1 (ko) 벽걸이형 조명등
KR100869560B1 (ko) 탈착이 용이한 스피커 커버가 구비된 스피커부착형 조명등
CN109404803B (zh) 灯组件和驱动器组件之间具有独立调节的嵌入式照明灯具
JP5545473B2 (ja) 照明装置
KR200400245Y1 (ko) 조명기구
KR20090080383A (ko) 등기구
WO2000025063A2 (en) Lighting apparatus
CN217031123U (zh) 多功能防护拼接箱
CN217482695U (zh) 一种可调发光角度led户外灯具
JP2010231980A (ja) 配線ダクト付天井パネルシステム
KR200483750Y1 (ko) 원형 고정체를 갖는 사각형 천정 매립등
KR101014792B1 (ko) 조명장치
KR200378298Y1 (ko) 램프 고정 대 구조
KR101379396B1 (ko) Led 등기구 조립체
KR200208057Y1 (ko) 조명기구
JP5172423B2 (ja) 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