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318Y1 -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 Google Patents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318Y1
KR200197318Y1 KR2020000011525U KR20000011525U KR200197318Y1 KR 200197318 Y1 KR200197318 Y1 KR 200197318Y1 KR 2020000011525 U KR2020000011525 U KR 2020000011525U KR 20000011525 U KR20000011525 U KR 20000011525U KR 200197318 Y1 KR200197318 Y1 KR 2001973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solar cell
emitting device
automatic light
cell automa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5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대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알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3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3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01F9/617Illuminated or wired-up posts, bollards, pillars or like upstanding bodies or structures for traffic guidance, warning or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나 교량 등의 측면에 설치되는 가드레일과 이에 삽입식으로 부착되어 야간이나 악천후시에 자동으로 점멸식으로 발광하는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교량 또는 도로의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난간 포스트(3)와; 상기 난간 포스트(3)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가드레일(2)과; 상기 가드레일(2)에 고정되는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변의 조도를 자체적으로 인식하여 어둠이 발생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발광이 되도록 하며, 이때 사용되는 전원은 자체적으로 수급이 되도록 하며, 특히 가드레일에 수납이 되어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면서도 외부의 충돌 등에 의하여도 용이하게 손망실이 되지 않아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고안이다.

Description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Fence having a autoluminous body by solar cell}
본 고안은 도로나 교량 등의 측면에 설치되는 가드레일과 이에 삽입식으로 부착되어 야간이나 악천후시에 자동으로 점멸식으로 발광하는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운전자에게 도로측면을 알려주기 위한 안전반사경이 보편화되고 다수 설치되어 있어서 야간운전시 가드레일 등에 접촉, 충돌하거나 가드레일을 부수고 나가서 교량 등에서 추락함으로서 2차 사고로 확대되는 안전사고방지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도 도로여건이 산악지대나 많은 굴곡으로 열악함에 따라 반사경의 설치가 다양하게 고려되고 있으며, 이러한 것으로서 현재 실제로 설치된 것도 있으나, 이러한 것은 초보적인 단계에 지나지 않으며, 다만 학계나 연구소등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반사경이 연구 진행중에 있다.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본인도 반사경에 대한 많은 연구를 경주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서 실용신안등록 제100966호의 가이드레일용 안전반사경과 실용신안등록 제106448호의 가드레일 파이프용 안전반사경을 완성하였는데, 상기 전자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기단부(2)의 각 α가 수평으로부터 0.6˚이고 말단부(3)의 각 β는 수평으로부터 16˚인 부드러운 만곡을 이루고, 그 가장자리는 일정높이의 보호돌기(4)가 외곽을 둘러쌓아 형성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표면에는 반사유리재질로 반구형으로 돌출된 무수한 반사돌기(5)가 포설되고, 상기 본체(1) 표면의 반사돌기(5)가 포설되지 않은 부위에는 상기 반사돌기(5)를 지지하는 지지판(6)이 도포되어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양측에는 볼트홀(8)이 천공된 프렌지(7)가 각각 형성되어 구성된 것이고, 상기 후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판재(2)의 윗면에 수지 또는 고무 등의 지지층(3)이 반사유리재질로 돌출된 다수의 반사돌기(4)를 지지하면서 부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하단에는 단면이 ''자형으로 되고 상기 본체(1)의 길이와 일치하는 길이를 가지는 연결고리(5)가 삽입되어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고안들은 반사돌기가 반사유리재질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자동차의 헤드라이트 불빛을 받아 이를 적절한 양만큼 다시 반사시킴으로서 운전자가 눈부셔하지 않으면서 식별에 이상이 없도록 하는 우수한 반사경이나, 가드레일의 소정위치에 돌출되어 부착되므로 주행차량과 부딪쳐서, 파손되기 쉬우며, 받은 불빛의 소정량을 되 반사하는 것이므로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야 제 기능을 발휘하게 되나, 일단 설치되면 다음 교체시까지 거의 손질을 하지 않는 국내의 도로관리실태를 미루어 보면, 소정기간 사용 후에는 먼지나 매연 등의 반사경에 부착되어 그 기능을 상실하여 버린다는 문제점등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연구 개발된 것으로, 튼튼하고 견고하여 차량등이 충돌할 시에 충분한 지지력을 확보하는 구조체임을 기본으로 하여, 이에다가 운전자가 주변의 장애물 등을 인식하기에 곤란한 정도의 어둠이 발생된 경우(야간 또는 악천후 시)에는 자동으로 발광이 되도록 하며, 이때 사용되는 전원은 자체적으로 수급이 되도록 하여 외부의 어떠한 지원도 불요로 하며, 특히 가드레일에 견고히 수납이 되면서 설치도 손쉽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면서도 외부의 충돌 등에 의하여도 용이하게 손망실이 되지 않도록 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본 고안을 완성하였는데, 이를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의 발췌 확대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의 다른 구성상태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일 요부의 발췌 확대상태도,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요부의 구성상태 모식도,
도 10a, 10b는 종래 고안의 설치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 1'. 반사경
11. 외피 111. 부착홀
12. 입방체 121. 투명판
13. 기판 131. 센서 132. 전원공급원
133. 구동부 134. 제어부
14. 집전판
15. 발광체
2. 가드레일
21. 절결부 22. 보강리브
23. 노치홈
3. 포스트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요부인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만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4a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또는 도로의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난간 포스트(3)와; 상기 난간 포스트(3)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가드레일(2)과; 상기 가드레일(2)에 고정되는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도 4b는 본 고안의 다른 구성상태 단면도로서, 도 4a와 동일하게 도 1의 A-A선에서 절단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2)의 내주에 보강리브(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드레일(2)에는 소정 위치마다 상기 보강리브(22)의 대향면을 절결하여 절결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21)에 상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상태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21)의 상하에 노치홈(23)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가 전면이 만출되어 그 중앙부에는 집전판(14)이 그리고 그 좌우에는 발광체(15)가 배설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요부의 다른 구성상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구성 일 요부의 발췌 확대상태도이고, 도 8은 도 6의 B-B선 단면도이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는 전면이 직각으로 돌출되어 상면에는 집전판(14)이 그리고 전면에는 발광체(15)가 배설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작용된다.
본 고안의 일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은 교량 또는 도로의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난간 포스트(3)와; 상기 난간 포스트(3)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가드레일(2)과; 상기 가드레일(2)에 고정되는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교량 또는 도로의 측면에 입설되는 포스트(3)와 포스트(3)를 이어서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가드레일(2)이 전형적인 난간을 이루게되며, 이러한 난간의 상기 가드레일(2)에 본 고안의 일 요부인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가 고정되게 되는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8-308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전원으로 변환하는 집전판(14)과, 태양전지의 전원을 충전 및 방전하는 전원공급원(132)과, 야간에 점멸되는 발광체(15), 및 집전판(14)에서 전력이 출력될 때 전원이 상기 전원공급원(132)에 충전되고, 상기 집전판(14)에서 전력이 출력되지 않을 때 상기 전원공급원(132)의 전원으로 상기 발광체(15)를 점멸시키는 기판(13)으로 구성 된 것이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그대로 채용 할 수도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의 조도(밝기량)를 감지하는 센서(131)와, 집전판(14)으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하여 발광체(15)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원(132)과,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체(15)로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구동부(133)와, 상기 센서(131)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밝기량)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그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부(133)로 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신호(밝기량)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구동부(133)로 구동개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134)로 구성한 기판(13)을 상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의 내부를 보호하는 외피(11)와 입방체(12)내에 수납하고, 상기 기판(13)에 집전판(14)과 발광체(15)가 적의 연결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손쉽게 실현할 수 있으며, 이렇게 이루어지는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를 사용할지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일탈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상술한 구조의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는 센서(131)에 의해서 주변의 조도(밝기량)를 감지하는데, 제어부(134)가 센서(131)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밝기량)가 입력되면 기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하여 그 이하인 경우, 상기 구동부(133)로 구동정지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감지신호(밝기량)가 설정치 이상이면 상기 구동부(133)로 구동개시신호를 출력하도록 하여, 예컨대 설정치를 50Lux로 한 경우, 50Lux이상에서는 집전판(14)에 입사되는 태양광이 전기에너지로 바뀌어 전원공급원(132)에 저장되도록 하고, 50Lux이하에서는 집전판(14)에는 이를 여기시킬 만큼의 충분한 빛이 들어오지 않으므로 전기에너지의 생산은 중단되며, 이때는 주변이 어두운 것으로 판단하여 전원공급원(132)에 충전된 전기를 발광체(15)에 전송하므로서 발광이 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가드레일(2)의 내주에 보강리브(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드레일(2)에는 소정 위치마다 상기 보강리브(22)의 대향면을 절결하여 절결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21)에 상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가 삽입 고정되는 것인데, 가드레일(2)의 내주에 형성되는 보강리브(22)는 가드레일(2)의 강도를 보완하면서, 특히 상술한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의 배면이 보강리브(22)에 면접되어 지지되도록 하므로서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의 견고한 삽착을 보장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절결부(21)의 상하에 노치홈(23)을 형성한 것인데, 가드레일(2)의 길이를 따라 상하로 2줄이 노치홈(23, 23)이 형성되고 이들 노치홈(23, 23)사이의 가드레일(2)내주에 보강리브(22)가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절결부(21)의 위치를 정확히 한정하므로서, 절결부(21)의 후면이 보강리브(22)에 정확히 일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가 전면이 만출되어 그 중앙부에는 집전판(14)이 그리고 그 좌우에는 발광체(15)가 배설된 것인데, 이렇게 집전판(14)이 중앙에 위치되므로서 절결부(21)의 양측에 위치되는 가드레일(2)이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의 양단을 차단하는 격벽으로 작용되어 태양광의 비스듬한 투입을 차단하지 않도록 하는 배려이며, 따라서 이는 계절에 따른 태양의 입사각이 변하더라도 집전판(14)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구성에 의하면, 상기한 구성과 더불어, 상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는 전면이 직각으로 돌출되어 상면에는 집전판(14)이 그리고 전면에는 발광체(15)가 배설된 것인데, 이는 특히 가드레일(2)의 각주형으로 된 것에 적용이 잘 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의 직각으로 돌출되는 전면이 각주형 가드레일(2), 예컨대, 사각기둥상 가드레일(2)의 상면과 전면이 맞나는 모서리에 장착되도록 하므로서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와 가드레일(2)이 일체적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며, 게다가 이 경우, 태양광은 상면측으로 조사되므로 집전판(14)은 상면에 배치하고, 발광체(15)의 절멸 빛은 운전자에게 현시되어야 하므로 전면에 배치되도록 한 것이며, 이러한 구성이 상기 만곡면으로 된 발광장치에 그대로 적용되더라도 상술한 효과는 동일하게 얻을 수 있는데, 예컨대, 원기둥형 가드레일(2)인 경우 상술한 배치관계를 고려하면, 발광장치를 수평면에서 약 45。위쪽을 향하도록 장착하고 상부측에는 집전판(14)을 하부측에는 발광체(15)를 배치하므로서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일 지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음은 명백하다.
또한, 상기 발광체(15)는 전원공급원(132;배터리)으로부터 받은 전력을 발광시키는 수단을 통칭하는 것으로 통상적인 전구나 LED등 모든 발광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며, 본 고안의 일 요부가 수납되는 입방체(12)는 금속제 외피(11)로 보호되도록 되면서 전면이 투명제로된 투명판(121)으로 되어 있어서, 집전판(14)로의 빛의 침투 및 발광체(15)에서 발하는 빛의 투과가 전혀 지장을 받지 않으며, 이는 투명판(21)에 면접하여 상기 기판(13)과 적의 연결되어 배치되는 집전판(14) 및 발광체(15)가 배치되기 때문이며, 내장되는 상기 발광체(15)는 전면에 통상체의 커버를 배치하여 직진성과 통상체를 통한 산란효과를 얻도록 할 수도 있다.
게다가, 상기 외피(11)의 양측에는 부착홀(111)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드레일(2)에 볼트 등으로 연결하기 손쉽도록 하면 바람직하며, 특히 본 고안에 사용되는 배면리브(62)가 형성되는 가드레일(6)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보다 효과적이며, 이러한 변형일지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못함은 재론의 여지도 없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주변의 조도를 자체적으로 인식하여 운전자가 주변의 장애물 등을 인식하기에 곤란한 정도의 어둠이 발생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점멸식으로 발광이 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장애물을 확인시키므로서 안전운전을 보장하며, 이때 사용되는 전원은 태양광 전지에 의하여 자체적으로 수급이 되도록 하여 외부의 어떠한 지원도 불요로 하며, 특히 가드레일과 일체적으로 수납이 되도록 하여 미려한 외관과 발광장치의 보호를 이룩하여 외부의 충돌 등에 의하여도 용이하게 손망실이 되지 않도록 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고안이다.

Claims (5)

  1. 교량 또는 도로의 일정간격마다 설치되는 난간 포스트(3)와;
    상기 난간 포스트(3)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는 가드레일(2)과;
    상기 가드레일(2)에 고정되는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2)의 내주에 보강리브(22)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드레일(2)에는 소정 위치마다 상기 보강리브(22)의 대향면을 절결하여 절결부(21)를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21)에 상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가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21)의 상하에 노치홈(23)을 형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가 전면이 만출되어 그 중앙부에는 집전판(14)이 그리고 그 좌우에는 발광체(15)가 배설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5.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자동 발광장치(1)는 전면이 직각으로 돌출되어 상면에는 집전판(14)이 그리고 전면에는 발광체(15)가 배설된 것임을 특징으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KR2020000011525U 2000-04-22 2000-04-22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KR200197318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1495 2000-04-2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1495 Division 2000-04-22 2000-04-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318Y1 true KR200197318Y1 (ko) 2000-09-15

Family

ID=196663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525U KR200197318Y1 (ko) 2000-04-22 2000-04-22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KR2020000027794U KR200216354Y1 (ko) 2000-04-22 2000-10-05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794U KR200216354Y1 (ko) 2000-04-22 2000-10-05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731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091B1 (ko) * 2002-10-28 2005-07-01 (주)뉴그린 밸리 조명장치가 구비되는 펜스 및 난간
WO2006083082A1 (en) * 2005-02-01 2006-08-10 Hyun-Tack Oh Power-fre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safety indication using external light
KR101049149B1 (ko) * 2009-04-22 2011-07-14 (주)아루미존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발광파이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087B1 (ko) 2011-03-14 2011-08-29 (주)한동알앤씨 태양 전지를 이용한 가드레일용 도로 표시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091B1 (ko) * 2002-10-28 2005-07-01 (주)뉴그린 밸리 조명장치가 구비되는 펜스 및 난간
WO2006083082A1 (en) * 2005-02-01 2006-08-10 Hyun-Tack Oh Power-free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safety indication using external light
KR101049149B1 (ko) * 2009-04-22 2011-07-14 (주)아루미존 태양전지모듈이 구비된 발광파이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354Y1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3023Y1 (ko) 착탈식 주차장 차단기
KR100873914B1 (ko) 경계석용 표지병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200197318Y1 (ko) 태양전지 자동발광장치 부착 난간
KR20120050117A (ko) 조명기능이 구비된 볼라드
KR100806209B1 (ko) 발광 과속 방지턱
JP3827478B2 (ja) 自発光性視線誘導標
KR200448402Y1 (ko) 쏠라부를 구비한 도로표지병
KR20080084546A (ko) 도로 안전시설물용 조명장치
WO2007018352A1 (en) Post cap for guardrail with luminous lamp
KR200336597Y1 (ko) 태양광 경광등 및 그를 이용한 안전난간
JPH0726526A (ja) ソーラ式安全ライト、このライトを備えたガードレール及びスタンション
KR200281822Y1 (ko) 볼라드
KR101031192B1 (ko) 엘이디를 이용한 표지판
KR200365473Y1 (ko) 태양열을 이용한 도로용 가이드 레일
JPH09195232A (ja) 警告灯
KR200227057Y1 (ko) 난간레일 단부에 부착된 발광장치
KR200201507Y1 (ko) 공사장용 보안등
KR200184754Y1 (ko) 안전 펜스
KR200227058Y1 (ko) 자동발광장치가 내장된 반사체
KR200211230Y1 (ko) 공사장 보안등용 발광다이오드
KR20080005771U (ko) 도로 안전시설물용 조명장치
JPH10195830A (ja) 道路標識
JP4767740B2 (ja) 遮断機用警告灯
CN211399582U (zh) 一种主动发光轮廓标识装置及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