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7699Y1 -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 Google Patents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7699Y1
KR200327699Y1 KR20-2003-0019937U KR20030019937U KR200327699Y1 KR 200327699 Y1 KR200327699 Y1 KR 200327699Y1 KR 20030019937 U KR20030019937 U KR 20030019937U KR 200327699 Y1 KR200327699 Y1 KR 2003276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traffic safety
light emitting
safety sig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9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진
Original Assignee
정희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희진 filed Critical 정희진
Priority to KR20-2003-0019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76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76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76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발광부에 교통안전표지가 표시되어, 교통경찰이나 교통정리원이 발광부 하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교통안전표지를 외부로 발광시킴으로써, 운전자들이 야간에 발광봉으로 지휘되는 현장의 교통상황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교통안전표지를 인지하지 못하여 우발적 교통사고가 발생되거나 본의아니게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에 램프(10)가 내장되며 외측에는 교통안전표지(12)가 표시되어 이 교통안전표지(12)를 외부로 발광하는 발광부(14)와, 상기 발광부(14)에서 연장되며 그 내부에 상기 램프(1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6)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손잡이(18)와, 상기 손잡이(18)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램프(10)의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야간에 교통경찰이나 교통정리원이 상기 손잡이(18)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0)를 조작하여 램프(10)를 점등시키면 발광부(14)에 표시되는 교통안전표지(12)가 외부로 발광되어 운전자들이 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교통안전표지 발광봉{Traffic safety sign radiation rod}
본 고안은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전자들이 교통안전표지를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하여, 교통경찰이나 교통을 정리하는 사람이 보다 쉽게 차량을 유도할 수 있으며, 교통안전표지를 식별하지 못함으로 인해 발생되는 우발적 사고 및 교통법규 위반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간에 차량의 검문검색을 실시할 때 주로 사용되는 발광봉은 로드 일측에 붉은색으로 빛을 발하는 발광부가 구비되고, 타측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검문자가 상기 손잡이를 잡고 발광봉을 흔들어서 차량을 정지시키거나 차량의 흐름을 유도하는데 사용된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발광봉은 일반음식점에서 고객들의 주차를 안내하거나, 공사현장에서 야간작업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등 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다양한 용도로 발광봉이 사용되면서, 운전자들은 전방에서 발광되고 있는 발광봉이 교통경찰이 검문검색을 실시하는 것인지, 사고로 인한 차량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것인지, 일반음식점에서 고객들의 주차안내를 유도하는 것인지 등에 대한 혼란을 일으키게 된다.
한편, 도로교통법에는 도로상에서 운전자에게 주의, 규제 등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교통안전표지를 규정하고 있으며, 주의표지, 규제표지, 지시표지, 보조표지 네가지로 분류되는 교통안전표지는 도로상의 적재적소에 설치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교통안전표지판을 보고 주정차금지구역인지, 아동보호구역인지, 도로공사중인 구역인지 등을 판별하여 운전에 주의를 기울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교통안전표지는 야간에 식별이 어려워, 운전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함으로 인하여 우발적 교통사고가 발생되거나, 본의아니게 교통법규를 위반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야간에 운전자가 전방에서 지휘하는 발광봉을 보고 어떤 교통안전표지인지를 빠르게 인식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교통안전표지와 동일한 형상의 발광부를 갖는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램프 12. 교통안전표지
14. 발광부 16. 배터리
18. 손잡이 20. 스위치
22. 반사층
본 고안에 따르면,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에 램프(10)가 내장되며 외측에는 교통안전표지(12)가 표시되어 이 교통안전표지(12)를 외부로 발광하는 발광부(14)와, 상기 발광부(14)에서 연장되며 그 내부에 상기 램프(1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6)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손잡이(18)와, 상기 손잡이(18)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램프(10)의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야간에 교통경찰이나 교통정리원이 상기 손잡이(18)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0)를 조작하여 램프(10)를 점등시키면 발광부(14)에 표시되는 교통안전표지(12)가 외부로 발광되어 운전자들이 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발광부(14)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반사층(22)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 반사층(22)이 외부의 빛을 반사하여 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이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은 내측에 램프(10)가 내장되고 외측에 교통안전표지(12)가 표시되는 발광부(14)와, 상기 발광부(14) 하단으로 하향 연장되며 내부에 배터리(16)를 수용하는 손잡이(18)와, 상기 손잡이(18) 일측에 장착되는 스위치(20)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에서 발광부(14)에 표시되는 교통안전표지(12)는 일시정지표지이다. 이처럼 발광부(14)에서 일시정지표지를 표시하기 위하여, 발광부(14)는 바람직하게 소정 두께를 갖는 팔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로 성형된다. 이러한 발광부(14) 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10)가 내장되며, 이 램프(10)는 발광부(14) 내에서 램프고정구(28)에 의해 위치 고정되고, 손잡이(18)에 수용되는 배터리(16)에 연결된 전선(30)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상기 일시정지표지는 도로교통법의 규정에 따라 상측에 '정지'라는 한글이 마킹되고 하측에 'STOP'이라는 영문이 마킹된 시트를 발광부(14) 내측면에 부착시키거나 코팅시킨 것이며, 도면에서 음영처리된 부분에 특정 색상이 입혀져 성형된다. 이러한 일시정지표지는 발광부(14) 내의 램프(10)가 점등되면서 외부로 발광되어, 원거리의 운전자들도 용이하게 일시정지표지임을 식별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운전자는 서서히 속도를 줄이면서 정지할 준비를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발광부(14) 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교통표지(12)가 외부의 빛에 반사되어 주간에도 운전자들이 용이하게 식별하도록, 반사층(22)이 형성된다. 이 반사층(22)은 발광부(14)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박막 필름이 코팅되거나 부착되어 형성된다. 한편, 도 2에서는 발광부(14) 내부에 단일의 램프(10)가 내장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다수의 LED가 상호 이격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18)는 사용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발광부(14)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배터리(16)를 수용한다. 배터리(16)는 램프(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수단으로서, 배터리(16)의 양극은 발광부(14) 저면의 금속판(도시안됨)에 직접 접촉되고, 배터리(16)의 음극은 손잡이(18) 내부 저면에서손잡이(18) 상부 일측으로 연장된 접속편(24)에 접촉된다. 금속판과 접속편(24)은 각각 램프(10)의 양극과 음극에 전선(30)으로 연결되어 램프(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손잡이(18) 일측에는 램프(10)의 점등을 조작하는 스위치(20)가 구비되며, 발광부(14)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하여 램프(10)를 주기적으로 점멸시키는 발진기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6은 본 고안의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을 휴대할 때, 손목에 감기 위한 손목끈(26)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다양한 변형 실시예를 보인 정면도로서, 상기 교통안전표지(12)는 도 1 및 도 2에서 소개된 일시정지표지 이외에, 주정차금지표지, 아동보호표지, 서행표지, 위험표지 등 다양한 교통안전표지(12)로 실시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4)는 도 5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의 로드 상단에 부분적으로 교통안전표지(12)가 형성되고, 교통안전표지(12)가 표시된 부분만 발광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의 로드 중간에 교통안전표지(12)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은 발광부(10)가 교통안전표지(12)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발광부(10) 표면에 교통안전표지(12)가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운전자에게 현재 교통지휘 상황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으며, 운전자 입장에서도 원거리에서 발광봉의 교통안전표지(12)를 식별하여 현 교통상황에 대해 정확히 파악할 수 있어, 이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운전자가 교통안전표지(12)를 식별하지 못하고 지나쳐서, 우발적인 교통사고를 유발시키거나, 본의아니게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발광부(1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 반사층(22)을 형성하여, 주간에도 운전자들이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교통안전표지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교통안전표지를 표시하는 발광부와, 이 발광부에서 연장되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교통경찰이나 교통정리원이 상기 손잡이를 파지하여 용이하게 교통상황을 지휘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현재 교통지휘 상황을 빠르게 전달할 수 있으며, 운전자가 교통안전표지를 식별하지 못하고 지나쳐서 우발적으로 교통사고를 유발시키거나 본의아니게 교통법규를 위반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된 교통안전표지 발광봉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내측에는 공간부가 형성되어 이 공간부에 램프(10)가 내장되며 외측에는 교통안전표지(12)가 표시되어 이 교통안전표지(12)를 외부로 발광하는 발광부(14)와, 상기 발광부(14)에서 연장되며 그 내부에 상기 램프(10)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16)가 착탈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손잡이(18)와, 상기 손잡이(18)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램프(10)의 온오프를 조작할 수 있도록 된 스위치(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야간에 교통경찰이나 교통정리원이 상기 손잡이(18)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20)를 조작하여 램프(10)를 점등시키면 발광부(14)에 표시되는 교통안전표지(12)가 외부로 발광되어 운전자들이 이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14)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에는 반사층(22)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이 반사층(22)이 외부의 빛을 반사하여 주간에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KR20-2003-0019937U 2003-06-24 2003-06-24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KR2003276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937U KR200327699Y1 (ko) 2003-06-24 2003-06-24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9937U KR200327699Y1 (ko) 2003-06-24 2003-06-24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1131A Division KR20050000661A (ko) 2003-06-24 2003-06-24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7699Y1 true KR200327699Y1 (ko) 2003-09-26

Family

ID=49415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9937U KR200327699Y1 (ko) 2003-06-24 2003-06-24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76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379B1 (ko) * 2020-08-04 2022-01-03 주식회사 팔공엠앤씨 조명과 난반사 기능을 겸비한 led 야간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6379B1 (ko) * 2020-08-04 2022-01-03 주식회사 팔공엠앤씨 조명과 난반사 기능을 겸비한 led 야간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3868A (en) Continuous prefabricated road-marking tape with composite structure and passive and active optical effect completely independent from outside investment and external energy source
KR10164534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발광형 가변표지판
KR20070008795A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커브길에서의 도로 안전 표시 장치
KR101498473B1 (ko) 태양광을 이용하는 시선유도봉
KR200420047Y1 (ko) 안전신호봉 및 차량경광등
KR200327699Y1 (ko)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KR101899492B1 (ko) 도로 표지병의 제어 장치
KR200435080Y1 (ko) 도로 경계석 표시장치
US20150116991A1 (en) Multi-function and portable device for forming separately an illuminator and a barrier and for forming in combination an illuminated barrier
KR101157800B1 (ko) 설치 용이성과 시인성이 향상된 교통안전표지판
KR20050000661A (ko) 교통안전표지 발광봉
JP5123188B2 (ja) 道路用標示体及び自発光式道路標識柱
KR200445686Y1 (ko) 신호등의 잔여시간 표시기
JP2008290569A (ja) 発光式鉄道用看板
KR200353283Y1 (ko) 안전표지판
JP2005197134A (ja) 合図灯
KR200329862Y1 (ko) 비상 발광표시 디스플레이
KR101003401B1 (ko) 엘이디발광체가 구비된 트래픽콘
JP3194281U (ja) 電気発炎筒
JPH0538395Y2 (ko)
KR200382618Y1 (ko) 낮에도 식별이 용이한 택시 방범등의 빈차 표시장치
JP2010103073A (ja) 携帯誘導信号灯
JP2004031125A (ja) 合図灯
JPH0538394Y2 (ko)
KR200434738Y1 (ko) 발광 교통표지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