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8700Y1 - 야광형 도로 표지구 - Google Patents

야광형 도로 표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8700Y1
KR200238700Y1 KR2020000036417U KR20000036417U KR200238700Y1 KR 200238700 Y1 KR200238700 Y1 KR 200238700Y1 KR 2020000036417 U KR2020000036417 U KR 2020000036417U KR 20000036417 U KR20000036417 U KR 20000036417U KR 200238700 Y1 KR200238700 Y1 KR 2002387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oad
lanes
road sign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64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요헌
정남기
Original Assignee
진요헌
정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요헌, 정남기 filed Critical 진요헌
Priority to KR20200000364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87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87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8700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 운행길에서 멀리서도 중앙선, 분기 차선, 진입 차선, 유도 차선의 식별이 용이하여 운행안전성을 높인 발광형 도로 표지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통전 시에만 발광하는 내조등(2)을 내장한 케이싱(1)에 갓(7)을 흙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게 한 도로 표지구에 있어서, 상기 내조등(2) 위에 내부 조명광과 외부광을 흡수하여 고휘광도에 눈부심이 낮은 단파장 비자외선 표시광을 발하는 발광구(4)를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야광형 도로 표지구{a luminous signpost}
본 고안은 야간 운행길에서 멀리서도 중앙선, 분기 차선, 진입 차선, 유도 차선의 식별이 용이하여 운행안전성이 향상된 발광형 도로 표지구에 관한 것이다.
야간 운행 차량의 안전운행을 돕기 위한 도로 시설물 자체가 스스로 빛을 내는 것은 없다. 모두 외부의 도움을 받아야 기능을 발휘하는 수동형 도로 표지구다. 이를테면, 전기장치에 의하여 빛을 발하는 것, 반사성이 우수한 반사성 도료나 반사성 테이프가 부착된 것, 반사경이 그렇다.
이러한 종래의 빛 반사형 도로 표지구는 당해 차량의 전조등 빛이 그 표지구와 각도가 맞을 때 외에는 야간 운전자의 시야에 제대로 들어오지 않고, 또 조금먼 멀리 떨어진 곳에서는 차선이 아예 보이지 않는다. 즉, 빛 반사형 도로 표지구는 조명이 없는 곳에서는 무용지물이다.
본 고안은 야간 운전자가 멀리서도 도로의 중앙선, 분기 차로, 진입 차로, 유도 차로 등을 분명하게 식별할 수 있어 야간, 밤빗길, 밤안개 낀 날 등의 안전운행에 기여할 수 있는 도로 표지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지중에 위치하는 소형 후광등의 위쪽에 후광등의 불빛을 눈부심이 적고 휘광도가 우수한 유색광으로 방사하는 발광구를 설치하여 야간 도로 표지 기능을 강화한 본 고안의 도로 표지구로써 제안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야광형 도로 표지구의 분해도
도 2는 동 조립단면도
도 3은 반구형 반사갓을 씌워 보호한 경우의 종단면도
도 4는 원추형 반사갓을 씌워 보호한 경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 : 내조등
3 : 반사경 4 : 발광구
41 : 튜브 42 : 발광제
5 : 링쐐기 6 : 조이개
도 1에서, 도로 표지구는 케이싱(1)과 내조등(2), 반사경(3), 발광구(4), 링쐐기(5) 및 조이개(6)로 구성된다.
케이싱(1)은 내조등(2)와 반사경(3) 그리고 발광구(4)와 링쐐기(5) 및 조이개(6)를 모두 수용하는 것으로, 이들 요소를 수용한 채로 도로의 중앙선, 분기 차선, 유도 차선, 노견 경계선 등에 설치했을 때 상단 둘레가 노면과 일치하거나 약간 높이 노출되어 차량 통행에 지장을 주지 않는 높이를 가진 원통형이며,
내부 아래 쪽에는 내조등이 들어 앉을 내조등좌(11)가 형성되어 있고, 내조등좌(11)의 위쪽 내주면에는 조이개 체결용 속나사(12)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에서 위를 향해 조명하는 내조등(2)은 보호캡(21)에 도전성 베이스(22)와, 꼬마 전구(24)를 끼우고 투명갓(25)으로 보호한 소켓(23)을 삽입한 것으로, 케이싱(1)의 내조등좌(11)에 안장된다.
반사경(3)은 꼬마 전구(24)의 불빛이 위쪽으로 집중 조명되도록 유도하는 깔데기형이며, 겉에는 직벽(31)을 형성하여 발광구(4)를 씌울 때 안쪽에서 그 운두를 지지하는 버팀목이 되도록 한다. 또, 직벽(31)의 하단에는 외향 플랜지(32)를 형성하여 내조등좌(11)의 경계턱(13) 위에 걸터 앉아 반사경(3)이 바른 자세를 유지하도록 한다.
발광구(4)는 아래 쪽의 내조등(2)에서 나오는 불빛을 받아 은근하면서도 야간 운전자의 눈에 부시지 않는 밝은 빛으로 방사하여 야간 운전자가 쉽게 식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휘광체이다. 이 발광구(4)는 인장강도와 유연성이 우수한 연질의 반투명, 유색 또는 무색 합성수지제이며, 상단의 밀폐형 튜브(41)에는 내부의 조명광 또는 태양광이나 자동차 전조등 불빛을 흡수하여 발광하는 발광체(42)를 매입하고, 주벽의 외면 하반부에는 오목한 쐐기홈(43)을 형성하여 링쐐기(5)로 옥죄어 반사경(3)의 직벽(31) 겉에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주벽 하단의 외향 플랜지(44)는 반사경(3)의 플랜지(32)에 바르게 들어 앉히기 위한 것이다. 튜브(41)의 저면 둘레에는 반사경(4)의 상면 둘레에 얹혀서 눌림압력을 받더라도 복원이 불가능할 정도로 주저앉지 못하게 저지하는 환턱(45)을 형성하고, 튜브(41)의 외곽에는 조이개(6)의 내향 플랜지가 걸리는 받침턱(46)을 형성한다.
링쐐기(5)는 발광구(4)의 주벽을 옥죄어 반사경(3)에 밀착 고정시킬 때 사용하는 것으로, 외주면(51)이 테이퍼져서 조이개(6)로 조일 때 쉽게 옥죄어 들게 된다.
조이개(6)는 케이싱(1)에 체결하여 내조등(2)과 반사경(3), 발광구(4) 및 링쐐기(5)를 꼼짝달싹 못하게 가두는 것으로, 외주면에는 케이싱(1)의 속나사(12)에 체결하기 위한 겉나사(61)를 부여하고, 상면에는 발광구(4)의 받침턱(46)에 걸터 앉아 튜브(41)를 안정시키는 내향 플랜지(62)를 형성한다.
도 2에서, 내조등좌(11)에 미리 조립한 내조등(2)을 들어 앉히고 갓(25) 위에 반사경(3)을 얹는다. 또, 쐐기홈(43)에 링쐐기(5)를 씌운 발광구(4)를 반사경(3)에 씌워 앉히고 케이싱(1)과 발광구(4) 사이로 조이개(6)를 들이 밀어 체결하면 본 고안에서 말하는 도로 표지구(A)가 완성된다.
기존 도로의 경우에는 차로의 중앙선, 분기 차선, 진입 차선, 유도 차선, 노견 경계선 등에 일정한 간격마다 케이싱(1)의 반경과 높이만한 수직공(B)을 천공하여 속을 마끔히 비우고 케이싱(1)의 겉에 무기질 접착제를 도포하여 구멍에 넣어 고정한다.
신설 도로의 경우에는 아스콘 마감포장층의 표면에 케이싱(1)의 상단이 일치하거나 약간 돌출되도록 매설한다. 이와는 별도로 지중에 배전선 공사를 실시하고, 이 지중 배전선에 내조등(2)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와 함께 지중 배전선은 지상 통제소측에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로의 차선 같은 곳에 이 도로 표지구를 설치하고 통전시키면 내조등(2)의 꼬마 전구(24)에서 나오는 불빛이 반사경(3)에 반사되어 더 밝은 빛으로 발광구(4)로 향하고, 이 빛을 받은 발광구(4)에서는 발광체(42)의 휘광작용에 의하여 고유한 빛을 발한다. 이를테면, 발광체(42)가 녹색용이면 표시광은 녹색을 띄고, 황색용이면 황색광을 띈다.
이 때의 표시광은 아주 밝지만 눈부심이 덜하다. 자외선이 나오지도 않는다. 이를테면, 인체에 무해한 단파장 유색광이다.
또한, 차량이 이 도로 표지구 위를 지나갈 때 발광구(4)의 튜브(41)는 발광체(42)와 함께 짓눌린 압력에 상응하는 만큼 아래로 눌렸다가 차량이 통과하는 즉시 복원된다. 발광구(4) 자체가 우수한 유연성과 탄성을 지녔기 때문이다.
도 3과 도 4는 운행차량이 차선을 밟고 지나가선 안되는 안전도로 상에 설치하여 홍보목적으로 이용할 때의 활용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도 3은 반구형 보호갓(7)을 덧씌운 경우이고, 도 4는 장축 삿갓형 보호갓(8)을 추가 설치한 경우이다.
도로의 중앙선, 분기로, 진입로, 유도로, 노견 등의 차선에 본 고안의 도로 표지구를 설치하면 밤 비 오는 거리, 밤안개가 낀 도로, 혹은 새벽 안개 때문에 전방 시야가 짧아 운행이 불안하더라도 안심하고 안전하게 운행할 수가 있다.
또, 유연하고 탄성이 우수한 발광구는 통과 차량에 대하여 큰 충격과 조향성을 흐트러뜨릴 정도로 위험한 순간적 쏠림현상을 유발하지 않아서 차량이 밝고 지나가도 별 지장이 없다.

Claims (1)

  1. 통전 시에만 발광하는 내조등(2)을 내장한 케이싱(1)에 갓(7)을 흙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게 한 도로 표지구에 있어서, 상기 내조등(2) 위에 내부 조명광과 외부광을 흡수하여 고휘광도에 눈부심이 낮은 단파장 비자외선 표시광을 발하는 발광구(4)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표지구.
KR2020000036417U 2000-12-26 2000-12-26 야광형 도로 표지구 KR2002387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17U KR200238700Y1 (ko) 2000-12-26 2000-12-26 야광형 도로 표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6417U KR200238700Y1 (ko) 2000-12-26 2000-12-26 야광형 도로 표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8700Y1 true KR200238700Y1 (ko) 2001-09-26

Family

ID=73093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6417U KR200238700Y1 (ko) 2000-12-26 2000-12-26 야광형 도로 표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87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768B1 (ko) 2006-01-18 2006-12-08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101059456B1 (ko) * 2008-07-21 2011-08-25 이소라 도로용 조명 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768B1 (ko) 2006-01-18 2006-12-08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101059456B1 (ko) * 2008-07-21 2011-08-25 이소라 도로용 조명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2916B1 (ko) 도로용 안전발광난간
KR20110049098A (ko) 지면 매립형 상향 조명등
KR100934621B1 (ko) 발광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34715Y1 (ko) 신호등에 연계되어 발광하는 표지병
KR100941585B1 (ko) 자전거 전용도로용 조명기구
KR100895722B1 (ko) 솔라 시선유도봉
KR101675377B1 (ko) 반사 겸용 태양열 축광식 도로표지병
KR20110051303A (ko) 횡단보도 발광표시장치
KR200238700Y1 (ko) 야광형 도로 표지구
KR101337335B1 (ko) 볼라드
CN101684640B (zh) 多功能安全反射镜装置
KR101553557B1 (ko) 주행 차량 운전자 인식을 위한 보행자 보호용 횡단보도 표시램프
CN102388185A (zh) 自行车以及慢跑专用道用视线引导感应灯
KR102207109B1 (ko) 충격에 반응하여 식별정보를 표출하는 도로표지병
KR101654046B1 (ko) 차단봉
KR200153277Y1 (ko) 도로표지봉
KR200326788Y1 (ko) 건널목 야간 발광 표시기 장치
KR200397976Y1 (ko) 광섬유 조명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가드레일
KR101313265B1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CN220724900U (zh) 一种具有灯体的照明防撞桩
KR101275279B1 (ko) 광섬유를 이용한 도로표지병
KR102597716B1 (ko) 활주로형 도로 표지병
KR102648064B1 (ko) 보행자용 보조 신호등
KR101281728B1 (ko) 자전거 및 조깅전용 도로용 시선안내 유도램프
KR200228253Y1 (ko)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