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253Y1 -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8253Y1 KR200228253Y1 KR20000036395U KR20000036395U KR200228253Y1 KR 200228253 Y1 KR200228253 Y1 KR 200228253Y1 KR 20000036395 U KR20000036395 U KR 20000036395U KR 20000036395 U KR20000036395 U KR 20000036395U KR 200228253 Y1 KR200228253 Y1 KR 20022825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iver
- road
- light
- bottle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53—Low discrete bodies, e.g. marking blocks, studs or flexible vehicle-striking members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 곡각길, 안개지역, 합류지역, 분리도로, 기타를 비롯한 위험지역에 설치되어 도로에서 주간에는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력을 얻고 이 전력을 충전시켰다가 야간 또는 우천시나 안개시 시계가 불량할 때는 점등함으로서 운전자가 확연한 차선의 식별력을 증대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종래 표지병의 명확한 식별력을 가지기 위하여 전기와 함께 태양에 의한 충전지를 이용한 태양전지형의 도로표지병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전지구성은 상기 전지로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켜 빠르고 연속적이며 불밝기가 선명하여 집중력을 가지도록 한 점멸로 인하여 운전자가 시야의 혼란이 가중되어 혼동을 일으킴으로서 찻길 표시금을 쉽게 식별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안전주행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표지병에 태양전지로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함과 함께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경을 일체로 구성시켜 원거리와 함께 근거리에서도 운전자가 표지병의 식별이 용이하여 표시선을 명확히 확인 가능하도록 함으로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고안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 또는 위험표시의 목적으로 가설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로의 중앙선, 곡각길, 안개지역, 합류지역, 분리도로, 기타를 비롯한 위험지역에 설치되어 도로에서 주간에는 태양광을 수광하여 전력을 얻고 이 전력을 충전시켰다가 야간 또는 우천시나 안개시 시계가 불량할 때는 점등함으로서 운전자가 확연한 차선의 식별력을 증대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도로 표지병이 운전자의 눈에 잘 보일 수 있도록 합성수지 및 유리알을 이용한 반사체 재료로 사용하고 있으나 광반사체의 경우 자동차의 전조등으로부터 조사되는 입사광선을 단순히 반사만 하는 것에 한정됨으로서 기후의 조건 즉, 비, 눈에 의한 악천후나 강우시 도로에 물고임이 발생될 때에 물에 의한 난반사로 찻길의 표시금 또는 찻길 중앙표시금이 보이지 않고 원거리에서는 잘 식별할 수 없는 폐단이 있어 많은 운전자가 악천후에는 서해운전을 하여야 됨과 함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이러한 반사구성은 시안거리가 짧으므로 설치 간격이 좁게 형성됨으로 많은 표지병의 사용으로 설치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폐단이 있다.
이에 따라 표지병의 명확한 식별력을 가지기 위하여 전기와 함께 태양에 의한 충전지를 이용한 태양전지형의 도로표지병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전지구성은 상기 전지로 공급되는 전원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켜 빠르고 연속적이며 불밝기가 선명하여 집중력을 가지도록 한 점멸로 인하여 운전자가 시야의 혼란이 가중되어 혼동을 일으킴으로서 찻길 표시금을 쉽게 식별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안전주행에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없었다.
예컨데 찻길표시금을 주행방향으로 달리는 운전자가 한눈에 모두 식별할 수 없으며 현란한 불빛으로 혼란의 가중을 일으키게 되는 단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상기한 전지형의 표지병은 발광다이오드에 의한 점멸만을 실시함으로서 밝은 불빛이 현란하고 차량과 근접된 위치에서는 불빛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운전자가 차선을 확인할 수 없는 상태에 이르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요인은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불빛은 먼거리에서 확인되도록 조사방향을 설정하고 또한 표지병의 구성상 불빛이 상부로 조사되는 것을 가능하면 차단하고 있기 때문에 차량과 근접한 거리에 있을 때에 운전자가 상기 표지병의 점멸불빛을 볼 수 없는 폐단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단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표지병에 태양전지로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를 구성함과 함께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체를 일체로 구성시켜 원거리와 함께 근거리에서도 운전자가 표지병의 식별이 용이하여 표시선을 명확히 확인가능하도록 함으로 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정면도.
도 3는 도 1의 결합된 중요부분에 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케이스 11; 태양전지 20; 조사경
21; 발광다이오드 22; 조사랜즈 23; 재귀반사경
30; 본체 31; 앙카봉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운전자가 점멸불빛에 의한 원거리와 함께 근거리에서도 차선을 선명히 식별할 수 있도록 발광다이오드에 의한 불빛과 함께 합성수지에 의한 반사체를 함께 구성시키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중요부분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태양전지(11)를 수용하며 저면에 충전지 수납부와 회로기판수납부 및 조사경(20)을 형성하고 부식, 강도, 내열 및 수해나 열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10)을 앙카봉(31)이 형성된 본체(30)에 체결시켜 점멸되는 표지병을 구성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조사경(20) 양측에 발광다이오드(21)가 수용되는 조사랜즈(22)와 함께 내측으로 수직형의 리플렉터(reflector)가 형성된 재귀반사경(23)을 일체로 구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12는 태양전지보호투명체이고 13은 충전지, 14는 회로기판, 15는 패킹, 16은 전선인출공이며 32는 체결볼트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된 중요부분에 대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면에 태양전지(11)를 수용하고 저면에 충전지 수납부와 회로기판수납부 및 조사경(20)을 형성한 부식, 강도, 내열 및 수해나 열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10)에 충전지와 회로기판 등을 구성시켜 앙카봉(31)이 형성된 본체(30)에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을 공지에서와 같이 도로의 굽은길, 위험한 길, 비탈길 등에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위험한 도로의 표시선에 체결구멍을 형성시켜 상기 본 고안의 표지병의 앙카봉(31)을 체결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도 2와 3에서와 같이 낮에는 케이스(10) 상면에 구성된 태양전지(11)에 태양빛이 조사됨으로서 공지에서와 같이 태양전지(11)는 전기를 일으켜 충전지(13)로 이동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야간에는 상기 태양빛을 받지 못할때에 회로에 의해 충전지(13)의 전기로 하여금 발광다이오드(21)를 점멸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에 발광다이오드(21)는 조사경(20) 양측의 조사랜즈(22) 내에 수용되어 점멸됨으로서 운전자가 원거리에서 점멸불빛에 의해 위험한 도로 굽은 도로의 차선을 간단하고 명확히 식별됨으로서 안전운전을 기하게 되고
차량이 근거에 있을 때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21)의 점멸불빛이 보이지 않은 반면에 차량의 헤드라이트에서 조사되는 불빛이 상기 조사경(20)의 수직형 재귀반사경(23)에 의한 반사로 근거리에서도 표지병을 명확히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의 반사는 공지와 같이 조사경(20)의 재귀반사경(23) 내면에 리플렉터 (reflector)가 형성되어 있어 선명한 반사에 따른 반사를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표지병에 체결되는 조사경에 좌우로 발광다오드에 의한 점멸과 함께 상기 발광다이오드 내측으로 차량의 불빛에 의한 재귀반사를 이룸으로 운전자가 원거리와 함께 근거리에서도 명확한 표지병을 식별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표지병에 구성되는 반사경에 발광다이오드와 함께 리플렉터에 의한 반사를 이루는 재귀반사경을 일체로 구성시켜 전기에 의한 점멸과 빛반사에 따른 반사로 원거리와 근거리에서 표지병을 명확히 식별가능한 특징과 함께 그 구성이 간단하여 용이한 제작과 저렴한 생산가로 제조될 수 있는 특징을 가진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 상면에 태양전지(11)를 수용하며 저면에 충전지 수납부와 회로기판 수납부 및 조사경(20)을 형성한 케이스(10)를 앙카봉(31)이 형성된 본체(30)에 체결시켜서 되는 표지병에 있어서,상기 조사경(20) 양측에 발광다이오드(21)가 수용되는 조사랜즈(22)와 함께 내측으로 수직형의 리플렉터(reflector)가 형성된 재귀반사경(23)을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00036395U KR200228253Y1 (ko) | 2000-12-26 | 2000-12-26 |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00036395U KR200228253Y1 (ko) | 2000-12-26 | 2000-12-26 |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8253Y1 true KR200228253Y1 (ko) | 2001-06-15 |
Family
ID=4165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00036395U KR200228253Y1 (ko) | 2000-12-26 | 2000-12-26 |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8253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4506B1 (ko) | 2007-05-25 | 2007-12-11 | 주식회사 한라엠에스 | 발광부를 가진 차막이 |
WO2009119927A1 (en) * | 2008-03-25 | 2009-10-01 | Nexon Co., Ltd. | Dual radiation traffic sign |
WO2016068369A1 (ko) * | 2014-10-29 | 2016-05-06 | 주재선 | 자동차용 전조등 주간 점등 장치 |
-
2000
- 2000-12-26 KR KR20000036395U patent/KR20022825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84506B1 (ko) | 2007-05-25 | 2007-12-11 | 주식회사 한라엠에스 | 발광부를 가진 차막이 |
WO2009119927A1 (en) * | 2008-03-25 | 2009-10-01 | Nexon Co., Ltd. | Dual radiation traffic sign |
WO2016068369A1 (ko) * | 2014-10-29 | 2016-05-06 | 주재선 | 자동차용 전조등 주간 점등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00035C (en) | Signalling means | |
KR100732916B1 (ko) | 도로용 안전발광난간 | |
US4668120A (en) | Solar-powered illuminated reflector | |
US7656284B2 (en) | Multipurpose optical signalling device, particularly for road emergency in low visibility conditions | |
KR100873914B1 (ko) | 경계석용 표지병 | |
KR100895722B1 (ko) | 솔라 시선유도봉 | |
KR200208098Y1 (ko) | 도로표시구 | |
KR101564902B1 (ko) | 전원 소모 저감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 |
KR200228253Y1 (ko) |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등식 도로 표지병 | |
WO2012074201A2 (ko) | 도로 표지병 | |
JP3827478B2 (ja) | 自発光性視線誘導標 | |
KR101663008B1 (ko) | 차단봉 | |
KR20140013189A (ko) | 태양광 엘이디를 이용한 중앙분리대겸용 보행자 안전 휀스 | |
KR200413570Y1 (ko) | 태양광 전지패널을 갖는 차선 유도등 | |
JP2975561B2 (ja) | 視線誘導道路標識柱 | |
KR100911243B1 (ko) | 보행자 신호등 | |
KR101885882B1 (ko) | 도로용 중앙분리대의 시인장치 | |
KR200215165Y1 (ko) | 경계석 솔라 표지병 | |
JPH09195232A (ja) | 警告灯 | |
CN212612083U (zh) | 一种太阳能光电柱式轮廓标 | |
JP3453725B2 (ja) | 出会い頭事故防止装置 | |
KR950001952Y1 (ko) | 태양전지를 이용한 점멸식 도로위험 표시등 | |
KR200197339Y1 (ko) | 도로 교통표지판에 발광수단을 장착한 식별구조 | |
KR200450436Y1 (ko) | 엘이디 라이트를 장착한 난간지주 | |
KR200238700Y1 (ko) | 야광형 도로 표지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411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